KR102243008B1 - 텍코오트 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텍코오트 포설방법 - Google Patents

텍코오트 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텍코오트 포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3008B1
KR102243008B1 KR1020200096383A KR20200096383A KR102243008B1 KR 102243008 B1 KR102243008 B1 KR 102243008B1 KR 1020200096383 A KR1020200096383 A KR 1020200096383A KR 20200096383 A KR20200096383 A KR 20200096383A KR 102243008 B1 KR102243008 B1 KR 102243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praying
coupled
tekkoot
hard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6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철
백유진
장현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00096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30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3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3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1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bituminous binders
    • E01C7/182Aggregate or filler materials, except those according to E01C7/2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20Arrangements of several outlets along elongated bodies, e.g. perforated pipes or troughs, e.g. spray booms; Outlet el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0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comprising sensors for monitoring the delivery, e.g. by displaying the sensed value or generating an alarm
    • B05B12/006Pressure or flow rat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05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mounted on vehicles or designed to apply a liquid on a very large surface, e.g. on the road, on the surface of lar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4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with pumps fo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05Methods or materials for repairing pav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1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bituminous binders
    • E01C7/187Repairing bituminous covers, e.g. regeneration of the covering material in situ, application of a new bituminous to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텍코오트 분사장치는 이동대차(20); 상기 이동대차(20)에 결합된 분사장치(10);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장치(10)는 텍코오트(A)를 분사하는 텍코오트분사장치(100); 상기 텍코오트(A)를 경화시키는 경화제(B)를 분사하는 경화제분사장치(200);를 포함함과 아울러, 상기 텍코오트분사장치(100)는 텍코오트수납부(110); 상기 텍코오트수납부(110)에 연결된 상기 텍코오트(A) 이동파이프(120); 상기 이동파이프(120)의 후방 단부에 결합된 분사파이프(130); 상기 분사파이프(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간격을 두고 결합된 복수의 분출부(133); 상기 이동파이프(120)에 결합된 분사펌프(310); 상기 이동파이프(120)에 결합된 유량계(320);를 포함하고, 상기 경화제분사장치(200)는 경화제수납부(210); 상기 경화제수납부(210)에 연결된 상기 경화제(B) 이송파이프(220); 상기 이송파이프(220)에 결합된 이송펌프(330); 상기 이송파이프(220)의 후방 단부에 결합된 경화제분사파이프(230); 상기 경화제분사파이프(2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간격을 두고 결합된 복수의 경화제분출부(231);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텍코오트 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텍코오트 포설방법{SPRAY APPARATUS OF TACK-COATING AND TACK-COATING SPRAY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건설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텍코오트 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텍코오트 포설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스팔트를 포설하기 전에는 아스팔트의 접착강도 향상을 위해 먼져 텍코오트(TACK-COATING)를 포설한다. 기존의 텍코오트는 상온에서 자연 경화되는 타입으로 작업 후 적어도 8~12시간의 경화 시간을 필요로 한다.
때문에 텍코오트 포설 이후에 바로 아스팔트를 포설하지 못하고, 텍코오트의 경화를 기다려야 한다. 텍코오트가 경화되기 전에 아스팔트를 타설하면 아스팔트의 접착강도가 저하되어 포트홀 및 균열을 유발할 수 있다.
무엇보다 텍코오트의 경화시간 때문에 도로 통행제한 시간이 길어져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상술하는 종래의 기술구성, 명칭, 도면번호는 그 종래기술의 설명에 한정되어 사용한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1406680호 '부착 증진제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텍코팅 바인더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및 에어졸 스프레이를 사용한 조성물의 분사 방법은 부착 증진제를 포함함으로써, 부착력이 향상된 아스팔트 택코팅(Tack-Coating) 바인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바인더 조성물을 에어졸 스프레이 용기에 충진한 후, 스프레이 방법으로 분사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아스팔트 택코팅 바인더 조성물은, 전체 바인더 조성물 100중량%를 기준으로, 아스팔트 40~60중량%, 블로운 아스팔트 25~10%, 점도-경화 조절제 30~50중량%, 층간부착증진제 01~1중량%를 포함하고,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 포장 후 환경적 또는 외부 요인으로 인해 발생되는 여러 가지 형태의 하자(Pot-hole, Crack등)를 보수할 때, 본 발명의 아스팔트 택코팅(Tack-Coating) 바인더 조성물을 에어졸 스프레이 용기에 충진한 후, 스프레이 방식으로 이를 분사함으로써 피착면과 보수재의 부착성능을 향상시킴은 물론 균일한 코팅 두께를 확보할 수 있으며, 간편하고 손쉬운 작업으로 빠른 시공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1955570호 '아스팔트섬유보강재가 일체 형성된 텍코팅용 섬유융착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포장방법'은 아스팔트섬유보강재가 일체 형성된 택코팅용 섬유융착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포장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일정온도에서 용융되는 저융점섬유체에 아스팔트 유제를 함침 및 고착시켜 시트형상으로 된 택코팅을 완제품형태로 구현함과 동시에 시트형상의 택코팅의 제조과정에서 격자형상의 아스팔트섬유보강재까지 일체 구성함으로써, 기층 상에 시공이 간단하고 아스팔트의 포설 또는 공사차량의 바퀴에 택코팅이 유실될 우려가 없으며, 기층과 표층 사이에서 용융되는 작용에 의해 융착작용을 발휘하여 기층과 표층의 부착강도를 높혀 결속력을 강화하며, 아스팔트섬유보강재가 전단강도 및 인장강도를 강화하여 아스팔트의 내구성 및 사용수명을 극대화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1953381호 '텍코팅용 섬유융착코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포장방법'은 아스팔트 유제를 고착시킨 상태로 택코팅을 완제품형의 시트형태로 일정온도에서 용융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기층의 표면상에 깔아주도록 커버링하는 시공으로 설치시공이 간편하고, 고착화한 상태이기 때문에 아스팔트의 포설 또는 공사차량의 바퀴에 택코팅이 유실될 우려가 없으며, 기층과 표층 사이를 긴밀히 융착시키는 작용을 발휘하여 결속력 강화에 따른 부착강도를 향상시켜 아스팔트의 내구성 및 사용수명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코팅용 섬유융착코트 및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포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택코팅용 섬유융착코트는 일정 온도에 용융되는 제1저융점섬유체에 아스팔트 유제를 함침하여 택코팅층이 일체 고착된 직포 또는 부직포로 형성되는 저융점융착시트와, 상기 저융점융착시트가 용융시 발생되는 수분을 흡수하고 방습 및 방수성을 보완하도록 제2저융점섬유체를 저융점융착시트에 합포시켜 형성하는 저융점방습층을 포함하며, 고형화된 택코팅을 기층에 커버링한 후, 표층을 위한 아스팔트 포설이 바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1406680호 대한민국등록특허 10-1955570호 대한민국등록특허 10-1953381호
본 발명은 텍코오트의 신속한 경화를 위하여 텍코오트 살포와 함께 경화제를 함께 살포하여 텍코오트의 경화시간을 단축시킨다. 무엇보다, 텍코오트의 분출량을 조절하여 일정한 살포가 가능하도록 유도하여 텍코오트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의 텍코오트 분사장치는 이동대차(20); 상기 이동대차(20)에 결합된 분사장치(10);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장치(10)는 텍코오트(A)를 분사하는 텍코오트분사장치(100); 상기 텍코오트(A)를 경화시키는 경화제(B)를 분사하는 경화제분사장치(200);를 포함함과 아울러, 상기 텍코오트분사장치(100)는 텍코오트수납부(110); 상기 텍코오트수납부(110)에 연결된 상기 텍코오트(A) 이동파이프(120); 상기 이동파이프(120)의 후방 단부에 결합된 분사파이프(130); 상기 분사파이프(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간격을 두고 결합된 복수의 분출부(133); 상기 이동파이프(120)에 결합된 분사펌프(310); 상기 이동파이프(120)에 결합된 유량계(320);를 포함하고, 상기 경화제분사장치(200)는 경화제수납부(210); 상기 경화제수납부(210)에 연결된 상기 경화제(B) 이송파이프(220); 상기 이송파이프(220)에 결합된 이송펌프(330); 상기 이송파이프(220)의 후방 단부에 결합된 경화제분사파이프(230); 상기 경화제분사파이프(2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간격을 두고 결합된 복수의 경화제분출부(231);를 포함한다.
이웃하여 설치된 한 쌍의 분출부(133) 사이 구간에는 상기 분사파이프(130)로 이동되는 상기 텍코오트(A)의 이동압력을 측정하는 유압계(340)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파이프(120)의 후방 가장자리는 일측이동파이프(121)와 타측이동파이프(122)로 나눠지고, 상기 일측이동파이프(121)에는 일측분사파이프(131)가 결합되며, 상기 타측이동파이프(122)에는 타측분사파이프(132)가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측분사파이프(131)의 일측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일측확장부(131a); 상기 타측분사파이프(132)의 타측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타측확장부(132a);를 포함하고, 상기 일측확장부(131a)와 상기 타측확장부(132a)는 힌지결합으로 상기 일측분사파이프(131)와 상기 타측분사파이프(132)에 결합되며, 상측방향을 따라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텍코오트(A)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이동파이프(120)의 외주면에는 방열덮개(400)가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대차(20)에는 상기 이동대차(20)의 이동 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속도계(500)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텍코오트분사장치(100)에는 상기 분사펌프(310)와 상기 이송펌프(330)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장치(300)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대차(20)의 후방에는 상기 경화제분사파이프(230)가 위치되고, 상기 경화제분사파이프(230)의 후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분사파이프(130)가 위치되며, 상기 경화제분사파이프(230)에 설치된 경화제분출부(231)로 상기 경화제(B)가 후방하측으로 분사되고, 상기 분사파이프(130)에 설치된 분출부(133)로 상기 텍코오트(A)가 전방하측으로 분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에 의해 상기 텍코오트(A)와 상기 경화제(B)가 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분사파이프(130)와 상기 경화제분사파이프(230)가 감싸지도록 바람막이(700)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텍코오트 분사장치를 이용한 텍코오트 포설방법은 상기 텍코오트(A)와 상기 경화제(B)를 상기 텍코오트수납부(110)와 상기 경화제수납부(210)에 충전하는 단계; 상기 텍코오트(A)와 상기 경화제(B)를 분사하는 단계; 상기 제어장치(300)를 통해 상기 분사펌프(310)와 상기 이송펌프(330)의 펌프 압력을 조절하는 분사량 조절단계; 상기 유압계(340)의 분출압력 정도를 사용자 단말기(600)로 전송받아 상기 분출부(133)의 막힘현상을 파악하는 단계; 상기 유량계(320)와 상기 속도계(500)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600)로 전송받아 면적당 포설량(ℓ/㎡)을 확인하는 단계; 면적당 포설량(ℓ/㎡)을 확인하여 상기 이동대차(20)의 속도를 조절하고, 상기 텍코오트(A)의 분사량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텍코오트 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텍코오트 포설방법은 텍코오트 분사시 경화제를 동시에 분사하기 때문에 텍코오트의 경화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로인해 차량통행 제한 시간을 단축함은 물론, 텍코오트의 품질을 향상시켜 아스팔트 포장층의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1은 대한민국등록특허 10-1406680호 대표도면
도2는 대한민국등록특허 10-1955570호 대표도면
도3은 대한민국등록특허 10-1953381호 대표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대차에 분사장치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텍코오트분사장치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화제분사장치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유압계가 분사파이프와 경화제분사파이프에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화제분사파이프와 분사파이프가 후방을 따라 순차적으로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파이프 후방에 일측이동파이프와 타측이동파이프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측확장부와 타측확장부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파이프의 외주면에는 방열덮개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람막이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람막이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대차에 라이트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속도계, 유량계, 유압계의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단위면적당 포설량이 표시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에 의한 텍코오트 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텍코오트 포설방법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표 및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텍코오트 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텍코오트 포설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텍코오트 분사장치는 이동대차(20); 이동대차(20)에 결합된 분사장치(10);를 포함하고, 분사장치(10)는 텍코오트(A)를 분사하는 텍코오트분사장치(100); 텍코오트(A)를 경화시키는 경화제(B)를 분사하는 경화제분사장치(200);를 포함함과 아울러, 텍코오트분사장치(100)는 텍코오트수납부(110); 텍코오트수납부(110)에 연결된 텍코오트(A) 이동파이프(120); 이동파이프(120)의 후방 단부에 결합된 분사파이프(130); 분사파이프(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간격을 두고 결합된 복수의 분출부(133); 이동파이프(120)에 결합된 분사펌프(310); 이동파이프(120)에 결합된 유량계(320);를 포함하고, 경화제분사장치(200)는 경화제수납부(210); 경화제수납부(210)에 연결된 경화제(B) 이송파이프(220); 이송파이프(220)에 결합된 이송펌프(330); 이송파이프(220)의 후방 단부에 결합된 경화제분사파이프(230); 경화제분사파이프(2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간격을 두고 결합된 복수의 경화제분출부(231);를 포함한다.
종래에는 텍코오트만을 포설하여 자연경화되도록 유도하고, 도로포장공사를 진행하였다. 이로인해 포장시간이 길어지고, 차량통제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어왔다.
또한 텍코오트의 품질은 아스팔트 포장층의 접착강도에 직결되기 때문에 텍코오트의 품질저하로 인한 포장층의 손상이 발생하였다.
그로나 본원발명은 텍코오트(A)의 신속한 경화를 유도하기 위해 경화제(B)를 별도로 살포하여 텍코오트(A)의 경화시간을 단축시킨다.
아울러, 텍코오트(A)의 살포량을 확인하기 위해 유량계(320)를 설치하여 시간당 작업량을 확인하면서 작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웃하여 설치된 한 쌍의 분출부(133) 사이 구간에는 분사파이프(130)로 이동되는 텍코오트(A)의 이동압력을 측정하는 유압계(340)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유압계(340)는 도 7과 같이 분출부(133)의 사이 구간에 설치되는데, 분사되는 텍코오트(A)의 분사압력을 측정하여 분출부(133)의 막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유압계(340)는 분사파이프(130)와 경화제분사파이프(230)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유압계(340)의 정보는 사용자단말기(600)로 전송되어 작업자가 용이하게 분사압력을 파악할 수 있다.
이동파이프(120)의 후방 가장자리는 일측이동파이프(121)와 타측이동파이프(122)로 나눠지고, 일측이동파이프(121)에는 일측분사파이프(131)가 결합되며, 타측이동파이프(122)에는 타측분사파이프(132)가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9와 같이 본원발명의 이동파이프(120)는 일측이동파이프(121)와 타측이동파이프(122)로 나누어진다. 이는 분사파이프(130)의 길이를 축소하여 분출되는 분사압을 일정하게 하기 위함이다.
일측이동파이프(121)에는 일측분사파이프(131)가, 타측이동파이프(122)에는 타측분사파이프(132)가 결합되는 구조를 통해 분출되는 텍코오트(A)의 분사압력을 일정하게 하고, 막힘현상이 발생한 분출부(133)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일측분사파이프(131)의 일측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일측확장부(131a); 타측분사파이프(132)의 타측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타측확장부(132a);를 포함하고, 일측확장부(131a)와 타측확장부(132a)는 힌지결합으로 일측분사파이프(131)와 타측분사파이프(132)에 결합되며, 상측방향을 따라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선의 폭 또는 작업조건에 따라 신속한 텍코오트(A) 분사를 위해, 도 10과 같은 구조로 일측확장부(131a)와 타측확장부(132a)가 결합될 수 있다.
일측확장부(131a)와 타측확장부(132a)는 도 10과 같이 상방향을 따라 회전구동되기 때문에 작업조건에 따라 접히고 펴질 수 있다.
텍코오트(A)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이동파이프(120)의 외주면에는 방열덮개(400)가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텍코오트(A)는 상온에서 분사되는 것이 아니라 고온에서 분사된다. 따라서 텍코오트(A)가 이동되는 이동파이프(120)와 텍코오트수납부(110)는 방열덮개(400)로 감싸진다.
아울러, 텍코오트수납부(110) 내부에는 텍코오트(A)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별도의 가열장비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이동대차(20)에는 이동대차(20)의 이동 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별도의 속도계(500)가 설치될 수 있고, 텍코오트분사장치(100)에는 분사펌프(310)와 이송펌프(330)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장치(300)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대차(20)의 후방에는 경화제분사파이프(230)가 위치되고, 경화제분사파이프(230)의 후방으로 이격되어 분사파이프(130)가 위치되며, 경화제분사파이프(230)에 설치된 경화제분출부(231)로 경화제(B)가 후방하측으로 분사되고, 분사파이프(130)에 설치된 분출부(133)로 텍코오트(A)가 전방하측으로 분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제분사파이프(230)와 분사파이프(130)는 도 8과 같이 설치되고, 경화제(B)는 후방하측방향으로 분사되고, 텍코오트(A)는 전방하측 방향으로 분사된다.
이를 통해 차량이 이동하더라도, 텍코오트(A)에 충분히 경화제(B)가 살포될 수 있다.
강풍이 부는 상황에서는 텍코오트(A)가 바람에 날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분사파이프(130)와 경화제분사파이프(230)가 감싸지도록 바람막이(700)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막이는 도 12, 13과 같은 구조로 설치되는데, 전면과 후면, 양측면, 상면이 폐쇄되도록 설치된다. 바람막이가 설치되면 실제로 분사되는 상황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바람막이의 내부에는 텍코오트(A)와 경화제(B)가 분사되는 것을 확인하도록 카메라가 설치되고, 카메라에 의해 수집된 영상정보는 운전자가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텍코오트 분사장치를 이용한 텍코오트 포설방법은 텍코오트(A)와 경화제(B)를 텍코오트수납부(110)와 경화제수납부(210)에 충전하는 단계; 텍코오트(A)와 상기 경화제(B)를 분사하는 단계; 제어장치(300)를 통해 분사펌프(310)와 이송펌프(330)의 펌프 압력을 조절하는 분사량 조절단계; 유압계(340)의 분출압력 정도를 사용자 단말기(600)로 전송받아 분출부(133)의 막힘현상을 파악하는 단계; 유량계(320)와 속도계(500)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600)로 전송받아 면적당 포설량(ℓ/㎡)을 확인하는 단계; 면적당 포설량(ℓ/㎡)을 확인하여 이동대차(20)의 속도를 조절하고, 텍코오트(A)의 분사량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동대차(20)를 운전하는 운전자는 사용자 단말기(600)로 텍코오트(A)의 포설량과 이동대차 속도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도 16과 같은 단위면적당 포설량을 유량계(320)와 속도계(500)의 정보를 통해 계산하고, 이를 도표로 표시함으로서, 텍코오트 포설공정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현장에서 포설되는 텍코오트(A)는 단위면적당 포설량으로 표시되고, 이러한 정보는 단말기 내부에 저장됨과 아울러, 관리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A : 텍코오트 B : 경화제
10 : 분사장치 20 : 이동대차
100 : 텍코오트분사장치 110 : 텍코오트수납부
120 : 이동파이프 121 : 일측이동파이프
122 : 타측이동파이프 130 : 분사파이프
131 : 일측분사파이프 131a : 일측확장부
132 : 타측분사파이프 132a : 타측확장부
133 : 분출부 200 : 경화제분사장치
210 : 경화제수납부 220 : 이송파이프
230 : 경화제분사파이프 231 : 경화제분출부
300 : 제어장치 310 : 분사펌프
320 : 유량계 330 : 이송펌프
340 : 유압계 400 : 방열덮개
500 : 속도계 600 : 사용자 단말기
700 : 바람막이

Claims (10)

  1. 이동대차(20);
    상기 이동대차(20)에 결합된 분사장치(10);를 포함하는 텍코오트 분사장치로서,
    상기 분사장치(10)는
    텍코오트(A)를 분사하는 텍코오트분사장치(100);
    상기 텍코오트(A)를 경화시키는 경화제(B)를 분사하는 경화제분사장치(200);를 포함함과 아울러,
    상기 텍코오트분사장치(100)는
    텍코오트수납부(110);
    상기 텍코오트수납부(110)에 연결된 상기 텍코오트(A) 이동파이프(120);
    상기 이동파이프(120)의 후방 단부에 결합된 분사파이프(130);
    상기 분사파이프(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간격을 두고 결합된 복수의 분출부(133);
    상기 이동파이프(120)에 결합된 분사펌프(310);
    상기 이동파이프(120)에 결합된 유량계(320);를 포함하고,
    상기 경화제분사장치(200)는
    경화제수납부(210);
    상기 경화제수납부(210)에 연결된 상기 경화제(B) 이송파이프(220);
    상기 이송파이프(220)에 결합된 이송펌프(330);
    상기 이송파이프(220)의 후방 단부에 결합된 경화제분사파이프(230);
    상기 경화제분사파이프(2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간격을 두고 결합된 복수의 경화제분출부(231);를 포함하되,
    이웃하여 설치된 한 쌍의 분출부(133) 사이 구간에는 상기 분사파이프(130)로 이동되는 상기 텍코오트(A)의 이동압력을 측정하는 유압계(340)가 설치되고,
    상기 이동파이프(120)의 후방 가장자리는 일측이동파이프(121)와 타측이동파이프(122)로 나눠지고,
    상기 일측이동파이프(121)에는 일측분사파이프(131)가 결합되며,
    상기 타측이동파이프(122)에는 타측분사파이프(132)가 결합되고,
    상기 일측분사파이프(131)의 일측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일측확장부(131a);
    상기 타측분사파이프(132)의 타측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타측확장부(132a);를
    포함하고,
    상기 일측확장부(131a)와 상기 타측확장부(132a)는 힌지결합으로 상기 일측분사파이프(131)와 상기 타측분사파이프(132)에 결합되며, 상측방향을 따라 회전되고,
    상기 텍코오트(A)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이동파이프(120)의 외주면에는 방열덮개(400)가 결합되며,
    상기 텍코오트분사장치(100)에는 상기 분사펌프(310)와 상기 이송펌프(330)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장치(300)가 설치되고,
    상기 이동대차(20)의 후방에는 상기 경화제분사파이프(230)가 위치되고,
    상기 경화제분사파이프(230)의 후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분사파이프(130)가 위치되며,
    상기 경화제분사파이프(230)에 설치된 경화제분출부(231)로 상기 경화제(B)가 후방하측으로 분사되고,
    상기 분사파이프(130)에 설치된 분출부(133)로 상기 텍코오트(A)가 전방하측으로 분사되며,
    바람에 의해 상기 텍코오트(A)와 상기 경화제(B)가 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분사파이프(130)와 상기 경화제분사파이프(230)가 감싸지도록 바람막이(7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코오트 분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의 텍코오트 분사장치를 이용한 텍코오트 포설방법으로서,
    상기 텍코오트(A)와 상기 경화제(B)를 상기 텍코오트수납부(110)와 상기 경화제수납부(210)에 충전하는 단계;
    상기 텍코오트(A)와 상기 경화제(B)를 분사하는 단계;
    상기 제어장치(300)를 통해 상기 분사펌프(310)와 상기 이송펌프(330)의 펌프 압력을 조절하는 분사량 조절단계;
    상기 유압계(340)의 분출압력 정도를 사용자 단말기(600)로 전송받아 상기 분출부(133)의 막힘현상을 파악하는 단계;
    상기 유량계(320)와 속도계(500)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600)로 전송받아 면적당 포설량(ℓ/㎡)을 확인하는 단계;
    면적당 포설량(ℓ/㎡)을 확인하여 상기 이동대차(20)의 속도를 조절하고, 상기 텍코오트(A)의 분사량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코오트 포설방법.
KR1020200096383A 2020-07-31 2020-07-31 텍코오트 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텍코오트 포설방법 KR102243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383A KR102243008B1 (ko) 2020-07-31 2020-07-31 텍코오트 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텍코오트 포설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383A KR102243008B1 (ko) 2020-07-31 2020-07-31 텍코오트 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텍코오트 포설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3008B1 true KR102243008B1 (ko) 2021-04-21

Family

ID=75744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6383A KR102243008B1 (ko) 2020-07-31 2020-07-31 텍코오트 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텍코오트 포설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3008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162B1 (ko) * 2001-02-28 2004-03-02 인성산업 주식회사 유화 아스팔트 조성물과 경화제의 동시 분사장치
KR20130041433A (ko) * 2011-10-17 2013-04-2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2액형 도료 가열도장장치
KR101406680B1 (ko) 2013-12-19 2014-06-12 (주)에이알앤씨 부착 증진제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택코팅(Tack-Coating) 바인더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및 에어졸 스프레이를 사용한 상기 조성물의 분사 방법
KR200476176Y1 (ko) * 2012-07-31 2015-02-04 김의환 자동방제기의 노즐관 각도조정장치
KR101493912B1 (ko) * 2014-07-28 2015-02-16 권영선 스프레이를 이용한 라인 도색장치
KR101570708B1 (ko) * 2015-04-06 2015-11-20 (유) 이성안전건설 이액형 차선 도색장치
US20170152637A1 (en) * 2012-10-30 2017-06-01 Capstan Ag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applying multi-colored surface markings to a surface
KR101953381B1 (ko) 2018-07-09 2019-02-28 안승하 택코팅용 섬유융착코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포장방법
KR101931053B1 (ko) * 2018-04-26 2019-03-11 김영규 2액형 도료 차선도색장치
KR101955570B1 (ko) 2018-07-26 2019-04-17 안승하 아스팔트섬유보강재가 일체 형성된 택코팅용 섬유융착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포장방법
KR102057064B1 (ko) * 2019-08-02 2020-01-22 최대열 스프레이 융착식 선명도 향상 차선 도색장치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162B1 (ko) * 2001-02-28 2004-03-02 인성산업 주식회사 유화 아스팔트 조성물과 경화제의 동시 분사장치
KR20130041433A (ko) * 2011-10-17 2013-04-2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2액형 도료 가열도장장치
KR200476176Y1 (ko) * 2012-07-31 2015-02-04 김의환 자동방제기의 노즐관 각도조정장치
US20170152637A1 (en) * 2012-10-30 2017-06-01 Capstan Ag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applying multi-colored surface markings to a surface
KR101406680B1 (ko) 2013-12-19 2014-06-12 (주)에이알앤씨 부착 증진제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택코팅(Tack-Coating) 바인더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및 에어졸 스프레이를 사용한 상기 조성물의 분사 방법
KR101493912B1 (ko) * 2014-07-28 2015-02-16 권영선 스프레이를 이용한 라인 도색장치
KR101570708B1 (ko) * 2015-04-06 2015-11-20 (유) 이성안전건설 이액형 차선 도색장치
KR101931053B1 (ko) * 2018-04-26 2019-03-11 김영규 2액형 도료 차선도색장치
KR101953381B1 (ko) 2018-07-09 2019-02-28 안승하 택코팅용 섬유융착코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포장방법
KR101955570B1 (ko) 2018-07-26 2019-04-17 안승하 아스팔트섬유보강재가 일체 형성된 택코팅용 섬유융착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포장방법
KR102057064B1 (ko) * 2019-08-02 2020-01-22 최대열 스프레이 융착식 선명도 향상 차선 도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8396B1 (ko) 2-레이어 복합식 도막방수층, 이를 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831907B1 (ko) 포장 표면의 강화 및 방수처리 방법
KR101574159B1 (ko) 방수 도막 및 방수 시트의 일체형 시공 장치 및 이를 사용한 방수 시공 방법
KR102010244B1 (ko) 도로용 차선표시 테이프와 이를 이용한 차선표시방법
US11624160B2 (en) Paving machine membrane dispenser
EP308169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ying asphalt binder compositions including void reducing asphalt membrane compositions for paving applications
US6235136B1 (en) Water-resistant mastic membrane
KR101025458B1 (ko) 포장면을 강화하고 방수하는 방법
JP7000412B2 (ja) トンネル壁要素、およびトンネル壁要素を備えるトンネル壁の組立方法
KR102243008B1 (ko) 텍코오트 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텍코오트 포설방법
CN103249900B (zh) 涂覆有非反应性的热熔粘合剂的聚烯烃密封膜片用于密封的用途
KR20180056429A (ko) 아스팔트 유제 동시 살포 아스콘 포설장비 및 이를 이용한 코팅 유제 및 아스콘 동시 시공공법
KR101955570B1 (ko) 아스팔트섬유보강재가 일체 형성된 택코팅용 섬유융착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포장방법
CN101492905A (zh) 路面修补新工艺
WO1999058325A9 (en) Water-resistant mastic membrane
KR101236189B1 (ko) 아스팔트 포장도로 및 포장공법
JP3322658B2 (ja) 防水シートの貼付方法及び貼付装置
KR101250216B1 (ko) 도로 균열방지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보수방법
US6217254B1 (en) Marking on roads with a fixed road surface, such as asphalt, concrete or the like for motor vehicles and method for producing road markings
JP4247071B2 (ja) 床版の防水施工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タックシート材
ES2953333T3 (es) Refuerzo para revestimiento de carretera de tipo tratamiento superficial en frío y procedimiento de fabricación del revestimiento de carretera que utiliza dicho refuerzo
JP2002322603A (ja) アスファルト舗装の防水施工方法
KR20010107074A (ko) 도막과 시트의 복합 방수재와 그 방수재를 이용한 방수방법
KR101923550B1 (ko) 폴리우레탄 방수시트 및 이의 제조 장치, 제조된 폴리우레탄 방수시트 시공 방법
CN111733681A (zh) 一种道路标线的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