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6189B1 - 아스팔트 포장도로 및 포장공법 - Google Patents

아스팔트 포장도로 및 포장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6189B1
KR101236189B1 KR1020100042538A KR20100042538A KR101236189B1 KR 101236189 B1 KR101236189 B1 KR 101236189B1 KR 1020100042538 A KR1020100042538 A KR 1020100042538A KR 20100042538 A KR20100042538 A KR 20100042538A KR 101236189 B1 KR101236189 B1 KR 101236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phalt
layer
base layer
sheet
pr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2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7540A (ko
Inventor
송태훈
이강원
Original Assignee
송태훈
호용종합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태훈, 호용종합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송태훈
Publication of KR20110027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7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6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6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1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bituminous binders
    • E01C7/182Aggregate or filler materials, except those according to E01C7/26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16Reinforcements
    • E01C11/165Reinforcements particularly for bituminous or rubber- or plastic-bound pav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48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laying-down the materials and consolidating them, or finishing the surface, e.g. slip forms therefor, forming kerbs or gutters in a continuous operation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1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bituminous binders
    • E01C7/185Isolating, separating or connecting intermediate layers, e.g. adhesive layers; Transmission of shearing force in horizontal intermediate planes, e.g. by protru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스팔트 포장 도로 및 포장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프라임시트 및 택시트를 시트식으로 미리 제작하여 균일하고 정량적으로 시공되고, 보조기층 및 아스팔트간의 접착력을 우수하게 유지하면서 친환경적으로 신속하고 편리하게 포장되며, 아스팔트의 내구성이 향상된 아스팔트 포장 도로 및 포장 공법을 제공하도로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아스팔트 포장도로는, 골재를 함유하는 보조기층 상부에 설치되는 프라임시트와; 상기 프라임코팅 시트지 상부에 포장되는 아스팔트 기층과; 상기 아스콘 기층 상부에 설치되는 택시트와; 상기 택코팅 시트지 상부에 포장되는 아스팔트 표층을 포함하며, 본 발명의 아스팔트 포장공법은, 보조기층 상부에서, 아스팔트 공급장치의 롤부에 감긴 프라임시트를 펼치는 단계와; 상기 아스팔트 공급장치에서, 상기 펼쳐진 프라임시트 상부에 아스팔트를 공급하여 아스팔트 기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아스팔트 기층 상부에서, 상기 아스팔트 공급장치의 롤부에 감긴 택시트를 펼치는 단계와; 상기 아스팔트 공급장치에서, 상기 펼쳐진 택시트 상부에 아스팔트를 공급하여 표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아스팔트 포장공법은, 보조기층을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개의 구획된 영역에 순차적으로 프라임시트를 펼침과 동시에 아스팔트기층을 포장하여 아스팔트 기층과 보조기층을 접합하여 제1아스팔트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아스팔트층이 형성된 영역을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개의 구획된 영역에 순차적으로 택시트를 펼침과 동시에 아스팔트표층을 포장하여 상기 제1아스팔트층과 아스팔트 표층을 접합하여 제2아스팔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아스팔트 포장도로 및 포장공법{The asphalted road and the method using the sheet}
본 발명은 아스팔트 포장도로 및 포장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프라임시트 및 택시트를 이용한 아스팔트 포장도로 및 포장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스팔트 포장시 토목공사 표준 시방서에 따르면, 보조기층 위에 프라임 코팅층으로서, KSM2203의 RS(C)-3 또는 동등 이상의 재료를 사용하여 사용온도와 습도를 고려하여 1~2 ℓ/㎡ 고르게 살포하고 24시간 양생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시방서의 규정대로 살포하고 양생하여 포장을 하더라도 휘니샤를 이용한 포장작업시 아스콘 탑재 차량이 프라임 코팅층 위를 지나다녀야 하므로 중량의 덤프 트럭 타이어에 프라임 코팅층이 달라붙어 손실되고, 이로 인해 보조기층과 그 상부에 포장되는 아스팔트와의 접착이 불량해지며,사용목적인 보조기층 위로 증발하는 수분을 차단하는 기능을 상실하여 상부에 타설되는 아스팔트가 수분침투에 의해 제대로 양생되지 않아 하중에 의해 쉽게 아스팔트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토목공사 표준 시방서에 따르면, 택코팅층으로서, KSM2203의 RS(C)-4 또는 동등 이상의 재료를 사용하여 사용온도와 습도를 고려하여 0.3~0.6ℓ/㎡ 고르게 살포하고 택코팅층의 이음부분은 과소 또는 과다 역청제 살포에 주의하고, 수분 또는 휘발분이 건조할 때까지 충분히 양생하며 손상되지 않도록 차량통행을 금지하여 보호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아스팔트 포장 현장에서는 택코팅층의 접합부가 뜨거운 아스팔트 열에 의해서 타는 증발현상이 생겨 유제를 고르게 살포하기가 어렵고 아스팔트를 싫은 덤프차량이 택코팅층 위를 지나 다녀야 하므로, 아스팔트 기층과 아스팔트 표층을 견고하게 접착, 일체화하여 차량통행의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고 물의침투을 억제하는 기능이 상실되어 택코팅 층 으로서의 역할을 다하지 못하게 된다.
프라임코팅층과 택코팅층은 액체 형태의 유제로서 지형 및 포장조건에 따라 도심 시가지공사에서는 시간적 제약이 따르고 균일한 두께로 시공하는 것이 곤란하고, 포장과정에서 역청제가 유실될 우려가 높다. 또한, 보관시 영하의 온도에서 얼어붙어 사용이 불가능하며, 습기가 있거나 물기가 있는 곳에서 살포할 경우에는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현공법으로는 표층의 수직면에는 먼저 포장한 아스팔트 면과 나중에 포장한 아스팔트 면 사이의 온도차이로 인해 포장공사가 끝난 후 차량의 진동, 온도변화 및 누수 침입에 의해 접합부 이음새가 가장 먼저 파손되어 추가로 코킹 공법을 이용해 파손된 접합부를 보수하여야 하는데, 이는 경제적으로나 미관상에도 좋지 않고, 코킹 접착성이 떨어져 아스팔트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일반도로의 측구 콘크리트와 차도의 아스팔트 사이의 접착은 콘크리트와 아스팔트의 수축률과 재질이 서로 달라 방수 성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고 그 틈으로 물이 침입하여 도로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10-0027500호, 2005-0078167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균일하고 정량적으로 시공되고, 보조기층 및 아스팔트간의 접착력을 우수하게 유지하면서 친환경적으로 신속하고 편리하게 포장되며, 아스팔트의 내구성이 향상된 아스팔트 포장 도로 및 포장 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아스팔트 포장도로는, 골재를 함유하는 보조기층 상부에 설치되는 프라임시트와; 상기 프라임코팅 시트지 상부에 포장되는 아스팔트 기층과; 상기 아스콘 기층 상부에 설치되는 택시트와; 상기 택코팅 시트지 상부에 포장되는 아스팔트 표층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아스팔트 표층은 측면으로 인접하는 복수개로 형성되며, 인접하는 아스팔트 표층의 경계부에는 택시트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아스팔트 포장도로의 측면에는 측구 콘크리트가 형성되며, 상기 프라임시트은 상기 보조기층 상부에서 상기 측구 콘크리트와의 경계부까지 연장되어 설치된다.
상술한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아스팔트 포장공법은, 보조기층 상부에서, 아스팔트 공급장치의 롤부에 감긴 프라임시트를 펼치는 단계와; 상기 아스팔트 공급장치에서, 상기 펼쳐진 프라임시트 상부에 아스팔트를 공급하여 아스팔트 기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아스팔트 기층 상부에서, 상기 아스팔트 공급장치의 롤부에 감긴 택시트를 펼치는 단계와; 상기 아스팔트 공급장치에서, 상기 펼쳐진 택시트 상부에 아스팔트를 공급하여 표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아스팔트 포장공법은, 보조기층을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개의 구획된 영역에 순차적으로 프라임시트를 펼침과 동시에 아스팔트기층을 포장하여 아스팔트 기층과 보조기층을 접합하여 제1아스팔트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아스팔트층이 형성된 영역을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개의 구획된 영역에 순차적으로 택시트를 펼침과 동시에 아스팔트표층을 포장하여 상기 제1아스팔트층과 아스팔트 표층을 접합하여 제2아스팔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아스팔트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인접하는 아스팔트 기층의 경계부에 프라임시트를 형성하여 인접하는 아스팔트 기층을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아스팔트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인접하는 아스팔트 표층의 경계부에 택시트를 형성하여 인접하는 아스팔트 표층을 접합하여 제2아스팔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효과가 달성된다.
프라임시트와 택시트는 미리 공장에서 제작되므로 현장 시공시 따로 양생시간이 필요없어 신속한 공사가 가능하여 공사시간이 절감되며, 현장 시공시 손상의 우려가 없어 역청재의 목적인 상호간의 접착, 수분차단 및 유수분리 기능을 최대화하여 도로의 내구수명이 증대된다.
프라임시트와 택시트는 녹는점이 100~120℃이어서 아스팔트의 자체 열에 의해 액체 상태로 변형되면서 상/하 아스팔트가 접착되도록 하므로 따로 가열 작업이 필요없다.
프라임시트와 택시트는 도로의 중, 경에 따라 공장에서 미리 두께가 자유롭게 제작되므로 포장도로 전체에 걸쳐 균일한 살포효과를 얻어 아스팔트 포장도로의 내구수명이 향상된다.
프라임시트와 택시트는 시공시 아스팔트 자체열에 의해서 부착하므로 시공성이 뛰어나고 균일한 밀착과 접착이 되어 도로의 유지관리 뿐만 아니라 경제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다.
프라임시트가 콘크리트와 아스팔트 접합부에서 용이하게 설치되어, 콘크리트와 아스팔트 접합부에서 수축작용을 하여 도로의 물이 침투되는 것을 막아 도로의 변형을 최대한 억제시킨다.
택시트가 아스팔트 사이에 설치되어, 시간차를 두고 아스팔트가 포장되더라도 접착성이 유지되며 인접하는 아스팔트층간의 일체화가 더욱 향상된다.
본 발명의 아스팔트 포장도로 및 포장공법에 따르면 시공이 용이하고, 공사기간이 단축되며, 내구성이 향상되고,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아스팔트 포장도로의 단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기층 상부에 설치된 측구 콘크리트의 단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상부에 프라임시트를 형성한 단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상부에 아스팔트 기층을 형성한 단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상부에 택시트를 형성한 단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상부에 구획된 일부 영역에 아스팔트를 형성한 단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나머지 영역에 아스팔트를 형성한 단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아스팔트 공급장치를 이용하여 포장하는 상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아스팔트 포장도로의 단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기층 상부에 설치된 측구 콘크리트의 단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상부에 프라임시트를 형성한 단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상부에 아스팔트 기층을 형성한 단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상부에 택시트를 형성한 단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상부에 구획된 일부 영역에 아스팔트를 형성한 단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나머지 영역에 아스팔트를 형성한 단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아스팔트 공급장치를 이용하여 포장하는 상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아스팔트 포장도로는 보조기층(100), 프라임시트(200), 아스팔트 기층(300), 택시트(400), 아스팔트 표층(50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된다. 또한 아스팔트 포장도로의 양측에는 측구 콘크리트(600)가 설치된다.
보조기층(100)은 골재를 함유하고 있는 층이다.
보조기층(100) 상부에는 프라임시트(200)가 형성된다. 프라임시트(200)는 시트형상으로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도록 공장에서 미리 고형으로 제작되며, 도로의 경중에 따라 1mm~10mm로 다양하게 제작된다.
프라임시트(200)는 보조기층(100)의 수분이 상부에 시공되는 아스팔트 기층(200)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보조기층(100)과 아스팔트 기층(300)과의 접착력이 충분히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서, 토목공사 시방서 KSM2203의 RC(S)-3 또는 동등 이상의 성능을 갖는 것이 좋다.
프라임시트(200)의 녹는점은 100~120℃로서, 상부에 시공되는 아스팔트 기층(300)의 열에 의해 액체 상태로 녹음과 동시에 보조기층(100)과 아스팔트 기층(300)가 서로 견고히 접착된다.
아스팔트 포장도로의 측면에는 구배부를 갖는 측구 콘크리트(600)가 형성된다. 측구 콘크리트(600)의 내측으로는 아스팔트 포장도로가 형성되며, 외측으로는 인도가 설치된다.
프라임시트(200)는 보조기층(100) 상부에서 측구 콘크리트(600)의 구배부까지 연장되어 설치된다. 프라임시트(200) 한장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보조기층(100) 상부와 측구 콘크리트(600)의 구배부에 각각 따로 설치할 수도 있다.
측구 콘크리트(600)와 아스팔트의 접합부에서 프라임시트(200)가 수축작용을 하여 도로의 물이 침투되는 것을 막아 도로의 변형을 억제한다.
프라임시트(200) 상부에는 아스팔트 기층(300)이 형성된다.
아스팔트를 도로에 포장하는 경우에, 도로의 폭이 아스팔트 공급장치(700)가 한번의 주행으로 포장할 정도로 좁은 경우에는, 보조기층(100)을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획하고, 프라임시트(200)는 구획된 보조기층(100)의 상부에 각각 깔린다. 즉, n개의 영역으로 구획할 경우, 프라임시트(200)는 n번에 걸쳐 보조기층(100) 상부에 깔리게 된다.
복수개의 구획된 영역을 순차적으로 프라임시트(200)를 펼침과 동시에 아스팔트 기층(300)을 포장하여 아스팔트 기층(300)과 보조기층(100)을 접합한다.
또한, 인접하는 아스팔트 기층(300)의 경계부에 프라임시트(200)를 형성하여 인접하는 아스팔트 기층(300)들을 접합한다.
도로의 폭이 좁은 경우에는 한번에 의해 아스팔트 기층(300)이 형성되며, 도로의 폭이 긴 경우에는 복수번에 걸쳐 아스팔트 기층(300)을 형성하여 제1아스팔트층을 형성한다.
아스팔트 기층(300) 또는 제1아스팔트층 상부에는 택시트(400)가 형성된다. 택시트(400)는 시트형상으로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도록 공장에서 미리 고형으로 제작되며, 도로의 경중에 따라 1mm~10mm로 다양하게 제작된다.
택시트(400)는 유수분리를 방지하고, 아스팔트 기층(300)과 아스팔트 표층(500)과의 접착력이 충분히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서, 토목공사 시방서 KSM2203의 RS(C)-4 또는 동등 이상의 성능을 갖는 것이 좋다.
택시트(400)의 녹는점은 100~120℃로서, 상부에 시공되는 아스팔트 표층(500)의 열에 의해 액체 상태로 녹음과 동시에 아스팔트 기층(300)과 아스팔트 표층(500)이 서로 견고히 접착된다.
도로의 폭이 긴 경우에는 아스팔트 기층(300)을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획하고, 택시트(400)는 구획된 아스팔트 기층(300)의 상부에 각각 깔린다. 즉, n개의 영역으로 구획할 경우, 택시트(400)는 n번에 걸쳐 아스팔트 기층(100) 상부에 깔리게 된다.
복수개의 구획된 영역을 순차적으로 택시트(400)를 펼침과 동시에 아스팔트 표층(300)을 포장하여 아스팔트 표층(500)과 아스팔트 기층(300)을 접합한다.
또한, 인접하는 아스팔트 기층(300)의 경계부에 택시트(400)를 형성하여 인접하는 아스팔트 표층(500)들을 접합한다.
도로의 폭이 아스팔트 공급장치(700)가 한번의 주행으로 포장할 정도로 좁은 경우에는 한번에 의해 아스팔트 표층(500)이 형성되며, 도로의 폭이 긴 경우에는 복수번에 걸쳐 아스팔트 표층(500)을 형성하여 제2아스팔트층을 형성한다.
도 2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아스팔트 포장공법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골재를 함유하는 보조기층(100)을 다져서 평탄한 지형이 되도록 한다. 보조기층(100)의 상부 양측에는 측구 콘크리트(600)가 설치되며, 측구 콘크리트(600)의 내측으로는 아스팔트 포장도로가 형성되며, 외측으로는 인도가 설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보조기층(100) 상부에는 프라임시트(200)를 깐다. 여기서, 프라임시트(200)는 보조기층(100) 상부에서 측구 콘크리트(600)의 구배부까지 연장되어 설치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라임시트(300) 상부에 아스팔트 기층(300)을 포장한다.
도 3 및 도 4와 같이, 프라임시트(200)를 깐 이후에 아스팔트 기층(300)을 포장할 수도 있으나, 도 8의 아스팔트 공급장치(700)를 이용하여, 프라임시트(200)를 보조기층(100) 상부에 깜과 동시에 그 상부로 아스팔트를 공급하여 아스팔트 기층(300)를 형성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3과 도 4는 아스팔트 공급장치(700)가 한번의 주행으로 설치하는 경우를 예시하는 것이며, 도로의 폭이 길어 아스팔트 공급장치(700)가 여러번의 주행이 필요한 경우에는 보조기층(100) 영역을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획하여 순차적으로 프라임시트(200)를 깜과 동시에 그 상부에 아스팔트를 공급하여 제1아스팔트층을 형성한다. 제1아스팔트층에서, 인접하는 아스팔트 기층(300)의 경계부에는 프라임시트(200)가 삽입되므로, 시간차를 두고 아스팔트 기층(300)을 포장하더라도 인접하는 아스팔트 기층(300)간에 견고한 접착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구획된 영역 중 일부 영역에 택시트(400)를 깐다. 도 6을 참조하면, 택시트(400) 상부에 아스팔트를 포장하여 아스팔트 표층(510)을 형성한다.
도 5 및 도 6과 같이, 택시트(400)를 깐 이후에 아스팔트 표층(510)을 포장할 수도 있으나, 도 8의 아스팔트 공급장치(700)를 이용하여, 택시트(400)를 보조기층(100) 상부에 깜과 동시에 그 상부로 아스팔트를 공급하여 아스팔트 표층(510)를 형성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형성된 아스팔트 표층(510)의 경계부 및 아스팔트 기층(300)의 상부에 택시트(400)를 깜과 동시에 아스팔트를 포장하여 아스팔트 표층(520)을 형성한다.
아스팔트 기층(300)과 아스팔트 표층(500) 사이에는 택시트(400)가 형성되고, 인접하는 아스팔트 표층(510,520) 경계부에 택시트(450)가 형성되어, 차량 하중은 아스팔트 기층(300)과 아스팔트 표층(500)가 균일하게 지지하도록 하며, 복수번에 걸쳐 시간차를 두고 포장되는 아스팔트 표층(510,520)이 서로 견고하게 접착되어 아스팔트가 깨지지는 것이 방지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아스팔트 공급장치(700)는 롤부(710), 아스팔트 공급부(720) 및 다짐부(730)를 포함한다. 아스팔트 공급장치(700)의 롤부(710)에 감겨진 프라임시트(200)를 펼치면서, 롤부(710)로부터 펼쳐진 프라임시트(200) 상부에 아스팔트를 공급한다. 다짐부(730)는 프라임시트(200)상부에 형성된 아스팔트를 소정의 균일한 높이로 다진다.
아스팔트 공급부(720) 바로 앞에서 롤부(710)에 의해 프라임시트(200)가 보조기층(100) 상부로 펼쳐지게 되므로, 프라임시트(200)가 주변기계나 작업인부들에 의해 파손되지 않으면서 보조기층(100)과 아스팔트 기층(300)을 견고히 접착하게 된다.
도 8은 롤부(710)가 아스팔트 공급장치(700)의 후단에 설치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범위라면 아스팔트 공급부(720) 앞에서 아스팔트 공급장치(700)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도로 및 포장공법은 도로의 중,경에 따라 두께를 자유로이 공장에서 제작가능하고 양생 시간이 따로 필요 없어 공사기간을 절감하게 되며, 아스팔트 포장도중에 손상될 우려가 적어 아스팔트 포장이후에 포장도로의 내구 수명이 증대된다.
또한, 정량화가 가능하며, 장소나 시간에 관계없이 일정한 두께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여 포장도로의 균일성이 확보된다.
또한, 친환경적이며 시공성이 용이하고 경제적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 보조기층 200 : 프라임시트
300 : 아스팔트 기층 400 : 택시트
500 : 아스팔트 표층 600 : 측구콘크리트
700 : 아스팔트 공급장치 710 : 롤부
720 : 아스팔트 공급부 730 : 다짐부
800 : 차선부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보조기층 상부에서, 롤부, 아스팔트 공급부 및 다짐부가 순차적으로 설치된 아스팔트 공급장치의 상기 롤부에 감겨진 프라임시트를 펼치면서, 상기 롤부로부터 펼쳐진 프라임시트 상부에 아스팔트를 공급하고 상기 다짐부가 프라임시트 상부에 형성된 아스팔트를 다져, 상기 프라임시트를 펼침과 동시에 상기 아스팔트를 포장하여 아스팔트 기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아스팔트 기층 상부에서, 롤부, 아스팔트 공급부 및 다짐부가 순차적으로 설치된 아스팔트 공급장치의 상기 롤부에 감겨진 택시트를 펼치면서, 상기 롤부로부터 펼쳐진 택시트 상부에 아스팔트를 공급하고 상기 다짐부가 택시트 상부에 형성된 아스팔트를 다져, 상기 택시트를 펼침과 동시에 상기 아스팔트 포장하여 아스팔트 표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포장공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기층을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개의 구획된 영역에 상기 프라임시트를 펼침과 동시에 상기 아스팔트기층을 포장하여 상기 아스팔트 기층과 상기 보조기층을 접합하여 제1아스팔트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아스팔트층이 형성된 영역을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개의 구획된 영역에 상기 택시트를 펼침과 동시에 상기 아스팔트 표층을 포장하여 상기 제1아스팔트층과 아스팔트 표층을 접합하여 제2아스팔트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포장공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아스팔트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인접하는 아스팔트 기층의 경계부에 프라임시트를 형성하여 인접하는 아스팔트 기층을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아스팔트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인접하는 아스팔트 표층의 경계부에 택시트를 형성하여 인접하는 아스팔트 표층을 접합하여 제2아스팔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포장공법.

KR1020100042538A 2009-09-09 2010-05-06 아스팔트 포장도로 및 포장공법 KR1012361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725 2009-09-09
KR20090084725 2009-09-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7540A KR20110027540A (ko) 2011-03-16
KR101236189B1 true KR101236189B1 (ko) 2013-02-22

Family

ID=43934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2538A KR101236189B1 (ko) 2009-09-09 2010-05-06 아스팔트 포장도로 및 포장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61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4882B1 (ko) * 2018-01-04 2019-11-14 박노윤 차세대 포장 단면과 향상된 내구성을 갖는 도로 포장 방법
KR101953381B1 (ko) * 2018-07-09 2019-02-28 안승하 택코팅용 섬유융착코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포장방법
CN109853323A (zh) * 2018-12-28 2019-06-07 无锡市城归设计有限责任公司 一种海绵城市生态渗滤地面结构及其构建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2712A (ja) * 1993-05-11 1994-11-22 Yokohama Rubber Co Ltd:The 弾性舗装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234505A (ja) * 1999-12-17 2001-08-31 Mitsui Chemicals Inc 道路補強シート及びアスファルト強化舗装道路の構造および道路の舗装方法
KR100605280B1 (ko) * 2006-04-04 2006-07-28 주식회사 우진 콘크리트 포장도로 양생막구조
JP2007023502A (ja) * 2005-07-12 2007-02-01 Kazuo Yamana 繊維シートによるアスファルト補修方法およびアスファルト舗装の施工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2712A (ja) * 1993-05-11 1994-11-22 Yokohama Rubber Co Ltd:The 弾性舗装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234505A (ja) * 1999-12-17 2001-08-31 Mitsui Chemicals Inc 道路補強シート及びアスファルト強化舗装道路の構造および道路の舗装方法
JP2007023502A (ja) * 2005-07-12 2007-02-01 Kazuo Yamana 繊維シートによるアスファルト補修方法およびアスファルト舗装の施工方法
KR100605280B1 (ko) * 2006-04-04 2006-07-28 주식회사 우진 콘크리트 포장도로 양생막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7540A (ko) 2011-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5399B1 (ko) 지하차도와 교량의 도로구조물 신축이음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416721B1 (ko) 거리들, 길들 또는 고속도로들의 포장을 위한 콘크리트 슬래브 및 콘크리트 슬래브 포장의 제조방법
US5123778A (en) Method of paving
KR101157063B1 (ko)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036277B1 (ko) 도로와 교량을 포함하는 구조물의 신축이음 방수재 및 이를 이용한 신축이음부 시공 공법
KR101236189B1 (ko) 아스팔트 포장도로 및 포장공법
CN103866668A (zh) 一种表面透水沥青的水泥透水混凝土地面结构及其制作方法
US20060204332A1 (en) Method for repairing holes in pavement
KR101879658B1 (ko) 아스팔트 유제 동시 살포 아스콘 포설장비 및 이를 이용한 코팅 유제 및 아스콘 동시 시공공법
EP2445692B2 (en) Materials
KR100886158B1 (ko) 가스 홀을 갖춘 방수시트를 이용하는 방수공법
KR102199977B1 (ko) 포장층과 방수층의 접착력을 향상시킨 교량 상판 방수구조 및 교량 상판 방수공법
KR101250216B1 (ko) 도로 균열방지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보수방법
KR101560189B1 (ko) 키 형상을 활용한 강성 포장도로의 신축이음구조 및 시공방법
US1720461A (en) Tread for surfaced roads and pavements
JP2002322603A (ja) アスファルト舗装の防水施工方法
KR101179395B1 (ko) 아스팔트 포장도로 균열 보수 공법
KR101635398B1 (ko) 드레인 기능을 갖는 도로보수용 패드
US20090067926A1 (en) Thermoplastic pothole repair material and method
KR20110088712A (ko) 아스콘 포장 시트지
KR20230155645A (ko) 건식 프라임코트 및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H0743123Y2 (ja) 道路等のジョイント部における舗装構造
JPH0721601Y2 (ja) 道路等のジョイント部における舗装構造
KR101216157B1 (ko) 지열 융설 도로 포장방법
KR200324315Y1 (ko) 변형 및 균열방지를 위한 노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