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5398B1 - 드레인 기능을 갖는 도로보수용 패드 - Google Patents

드레인 기능을 갖는 도로보수용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5398B1
KR101635398B1 KR1020140063655A KR20140063655A KR101635398B1 KR 101635398 B1 KR101635398 B1 KR 101635398B1 KR 1020140063655 A KR1020140063655 A KR 1020140063655A KR 20140063655 A KR20140063655 A KR 20140063655A KR 101635398 B1 KR101635398 B1 KR 101635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repair
road
ascon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3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6321A (ko
Inventor
송석민
Original Assignee
(주)바우테크
송석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우테크, 송석민 filed Critical (주)바우테크
Priority to KR1020140063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5398B1/ko
Publication of KR20150136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6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5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5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05Methods or materials for repairing pav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ad Repair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수된 부분에 스며든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여 수분에 의해 보수된 부분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 드레인 기능을 갖는 도로 보수용 패드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보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도로의 파손된 틈이나 공간에 고이는 물을 모세관 현상에 의해 흡수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드레인부재를 더 구비한 드레인 기능을 갖는 도로 보수용 패드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보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드레인 기능을 갖는 도로보수용 패드{pad for road-reparing with the drain function}
본 발명은 도로 보수용 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포장도로의 보수된 부분에 스며든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여 수분에 의해 보수된 부분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 드레인 기능을 갖는 도로 보수용 패드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보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도로의 파손된 틈이나 공간에 고이는 물을 모세관 현상에 의해 흡수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드레인부재를 더 구비한 드레인 기능을 갖는 도로 보수용 패드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보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스팔트콘크리트(이하, "아스콘"이라 통칭함)는 아스팔트와 굵은 골재, 잔골재 및 포장용 채움재(석분, 시멘트 등)를 가열하여 혼합하거나 또는 상온에서 혼합한 것으로 도로포장이나 주차장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아스콘은 상기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아스팔트와 굵은 골재, 잔골재 및 포장용 채움재를 혼합하여 만들어지지만, 다양한 새로운 것들이 개발되고 있다.
아스콘으로 시공된 도로는 계절적 온도변화에 따른 서로 다른 열팽창계수 및 차량바퀴 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접속부 파손, 지반 침하 및 다짐 불량으로 발생되는 균열, 강우ㆍ강설과 중차량 교통량증대로 인해 발생되는 포트홀, 반복하중 및 배수불량으로 차륜의 주행방향으로 아스팔트 도로가 길게 파여 요철이 발생하는 소성변형, 온도차이 및 다짐불량으로 발생되는 맨홀주면 파손부 등 기타 여러 가지 요인(노화, 지반 침하 등)에 의해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파손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손상 부위에 강우ㆍ강설, 염화칼슘 등 이물질이 침투하게 되면 손상 부위가 더욱 커지고 결국 도로의 심각한 파손으로 이어져 차량 통행에 지장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교통사고를 유발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차량의 안전한 운행과 도로의 수명연장을 위해서는 포장도로에 파손이 발생할 경우 이를 신속하게 보수해야 한다.
이렇게 파손된 도로를 보수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다양한 기술이 사용되고 있고, 그 일예로 특허문헌 1 및 2가 있다.
특허문헌 1은 본 출원인에 의해 개발된 기술로,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도로의 보수하고자 하는 부위에 있는 이물질을 청소하는 이물질 제거단계와;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도로의 보수하고자 하는 부위의 표면에 보수재를 충진시키는 충진단계와; 가열기에 의해 120~200℃의 열을 발생시켜 6~10분 동안 포장도로의 보수 부위와 보수재를 동시에 가열시키는 가열단계와; 가열된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도로의 보수 부위를 다짐하는 다짐단계를 포함하는 것이고,
특허문헌 2는 부틸고무로 이루어지는 기재 70중량%, 접착성 강화용 프로세스 오일 5중량%, 구마론 수지 10중량%, 탄산칼슘 10중량%, 폴리부텐 5중량%로 이루어지는 점착 조성물층과; 점착 조성물층 하부에 부착되어 조성물층을 임시보호토록 종이 또는 실리콘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박리지층과; 점착 조성물층 상부에 부착되며, 점착 조성물을 보호하는 보호층으로 이루어진 도로균열 보수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다양한 종래의 도로 보수 수단이나 방법에 의해 보수된 도로는 기존의 도로면에 시공되는 것으로 기존 도로와 보수된 부분 사이로 물이 스며들 수 있고 이렇게 스며든 물이 장시간 남아 있을 경우 수분에 의해 보수한 포장재가 들뜨거나 부서져 다시 보수를 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즉, 보수 부분에 물이 고여 있으면 물에 의해 보수 부분의 아스콘을 구성하는 골재와 아스팔트 사이에 물이 스며들어 골재들 사이가 분리되어 골재들이 보수부분으로부터 분리되어 흩어져 보수 부분이 다시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253598호 2.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8878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아스콘 포장도로의 보수된 부분에 스며든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여 잔류 수분에 의해 보수된 부분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 드레인 기능을 갖는 도로 보수용 패드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보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보수패드에 드레인부재를 설치하여 보수 시공 후, 보수 부분으로 스며든 물을 드레인부재가 모세관 현상으로 흡수하여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내부의 수분에 의해 보수 부분이 다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드레인 기능을 갖는 도로 보수용 패드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보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아스콘 포장도로를 보수하는 도로 보수용 패드는 상온에서 경화되는 보수패드와; 상기 보수패드의 일측 또는 양측 면에 부착 설치되어 보수 부분의 내부에 고이는 수분을 모세관 현상에 의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드레인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드레인부재는 섬유 또는 직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보수패드는 폴리머아스팔트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양상에 따른 도로 보수용 패드를 이용한 도로 보수 방법은 아스콘 포장도로의 손상 부분을 일정하게 파내 새로운 아스콘을 채울 공간을 마련한 후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가장자리를 다듬질하여 보수공간을 마련하는 정리단계; 기존 포장도로의 보수공간 내부의 기존 포장도로의 면에 접하게 보수용 패드를 밀착 설치하는 단계, 보수용 패드가 설치된 보수공간에 새로운 아스콘을 타설하여 새로 타설된 아스콘의 열에 의해 보수용 패드가 용융되어 기존의 아스콘과 새로 타설된 아스콘이 혼합되게 하는 단계; 새로 아스콘이 타설된 보수 부분을 다져 평탄화하여 보수용 패드에 구비된 드레인부재의 끝단이 도로표면 외부로 노출되게 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보수가 완료되면 보수용 패드의 형체는 용융되어 녹아 없어지고 보수 부분에 드레인부재가 심지 형태로 남아 내부에 있는 수분을 빨아올려 도로 표면에 돌출되어 있는 드레인부재의 끝단을 통해 외부 대기로 증발시켜 배출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드레인 기능을 갖는 도로 보수용 패드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보수방법은 보수 후 보수용 패드에 구비된 드레인부재의 끝단이 도로표면 밖으로 노출되어 있어 보수 부분의 내부에 고인 물을 모세관 현상에 의해 빨아올려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보수 부분이 잔류 수분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보수 부분에 고인 물을 보수용 패드에 구비된 드레인부재가 빨아올려 외부 대기로 증발시켜 배출함으로써 잔류 수분에 의한 골재와 아스팔트 사이의 분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레인 기능을 갖는 도로 보수용 패드의 일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레인 기능을 갖는 도로 보수용 패드를 이용한 보수 과정의 일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레인 기능을 갖는 도로 보수용 패드를 이용하여 보수된 도로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드레인 기능을 갖는 도로 보수용 패드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보수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포장도로의 보수된 부분 내부에 스며든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여 잔류 수분에 의해 보수된 부분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드레인 기능을 갖는 도로 보수용 패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수패드(10)의 일측 또는 양측 면에 드레인부재(20)를 일체로 부착 설치한 것으로, 상기 드레인부재(20)는 섬유나 직물로 이루어지고 보수패드(10)는 폴리머계 아스팔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머계 아스팔트는 일반적인 아스팔트보다 훨씬 낮은 온도에서 용융되므로 유동성이 좋아 좁은 틈 형상의 균열 부분을 보수할 때 틈에 고르게 흘러 들어갈 수 있고, 또한 폴리머계 아스팔트는 일반적인 아스팔트보다 공극이 없어 결합성 및 방수성이 우수하며, 내구성이 높아 보수 부분이 장시간 손상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보수패드(10)의 일측 또는 양측 면에 설치되는 상기 드레인부재(20)는 수분을 흡수하는 흡수율이 높은 재질이면 어떤 것이든 사용 가능하지만 내마모성과 내열성이 있는 재질이 바람직하며, 형상은 섬유 또는 직물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직물의 형상으로 제작할 경우에는 이 드레인부재가 기존의 아스콘과 새로 설치되는 보수패드 사이를 차단시키지 않도록 사이가 넓은 그물망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의 도로 보수용 패드에 있어서 보수패드(10)는 아스콘 포장도로의 보수 과정에서 새로 채워지는 아스콘의 높은 열에 의해 용융되어 형체는 녹아 없어져 기존 도로의 아스콘과 새로 채워진 아스콘 사이에 고르게 스며들어 양쪽 부분의 결합을 강화시키는 결합재의 역할을 하게 되고, 드레인부재(20)는 보수가 완료된 포장도로 내부에 심지 형태로 남아 모세관 현상에 의해 보수 부분의 내부에 있는 수분을 빨아들여 도로 표면으로 노출되어 있는 드레인부재 한쪽 끝단을 통해 대기로 증발시켜 외부로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즉, 보수 부분에 물이 고였을 경우 상기 드레인부재(20)가 이를 흡수하여 외부로 증발시켜 배출함으로써 보수부분에 수분이 남아 있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수분에 의한 골재와 아스팔트 사이의 분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드레인 기능을 갖는 도로 보수용 패드를 이용하여 도로를 보수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통상적으로 파손된 도로의 보수는 도로의 파손 부분에 새로운 아스콘을 채우고 다지는 방법으로 이루어지는데 도로의 파손 형태가 다양하고 보수가 필요한 도로의 손상 부분은 도 2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장자리가 불규칙하여 본 발명에 의한 보수용 패드를 설치하여 보수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보수용 패드를 이용하여 도로의 파손된 부분을 보수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2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로의 손상 부분을 적정한 깊이로 파내 새로운 아스콘을 채울 보수공간을 만든 다음 기존 도로면을 일정하게 다듬질을 한다.
새로운 아스콘을 채울 보수공간이 정리되면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수공간 내부의 기존 도로면에 접하게 본 발명에 의한 보수용 패드를 설치하며, 보수용 패드 설치는 보수가 끝났을 때 드레인부재의 한쪽 끝단이 도로 표면에 노출될 수 있도록 보수용 패드 상부가 도로 표면보다 약간 돌출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보수용 패드가 설치되면 보수공간에 가열된 새로운 아스콘을 타설하여 채우는데, 이때 새로운 아스콘의 높은 열에 의해 보수패드는 용융되어 기존 도로의 아스콘과 새로 채워진 아스콘 사이에 고르게 스며들어 양쪽 부분의 결합을 강화시키는 결합재의 역할을 하게 된다.
새로운 아스콘을 채우고 나서 보수 부분을 다져 평탄화하면 도로 보수가 완료되며, 이렇게 보수가 완료된 도로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수용 패드에 설치되어 있던 드레인부재가 심지 형태로 남게 되어 모세관 현상에 의해 보수 부분의 내부에 있는 수분을 빨아들여 도로 표면으로 노출되어 있는 드레인부재 한쪽 끝부분에 의해 대기로 증발시켜 외부로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10: 보수패드
20: 드레인부재

Claims (4)

  1. 아스콘 포장도로를 보수하는 도로보수용 패드에 있어서,
    보수패드(10)의 본체는 폴리머계 아스팔트로 이루어지고, 보수패드 본체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드레인부재(20)을 일체로 부착하여 만들어지되,
    보수패드(10)는 아스콘 포장도로의 보수과정에서 새로 채워지는 아스콘의 높은 열에 의해 용융되어 형체는 녹아 없어져 기존 도로의 아스콘과 새로 채워진 아스콘 사이에 고르게 스며들어 양쪽 부분의 결합을 강화시키는 결합재의 역할을 하고,
    드레인부재(20)는 보수가 완료된 포장도로의 내부에 심지 형태로 남아 모세관 현상에 의해 보수부분의 내부에 있는 수분을 빨아들여 도로 표면으로 노출되어 있는 드레인부재의 한쪽 끝단을 통해 대기로 증발시켜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 기능을 갖는 도로 보수용 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부재(20)는 섬유 또는 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 기능을 갖는 도로 보수용 패드.
  3. 삭제
  4. 삭제
KR1020140063655A 2014-05-27 2014-05-27 드레인 기능을 갖는 도로보수용 패드 KR101635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655A KR101635398B1 (ko) 2014-05-27 2014-05-27 드레인 기능을 갖는 도로보수용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655A KR101635398B1 (ko) 2014-05-27 2014-05-27 드레인 기능을 갖는 도로보수용 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6321A KR20150136321A (ko) 2015-12-07
KR101635398B1 true KR101635398B1 (ko) 2016-07-01

Family

ID=54872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3655A KR101635398B1 (ko) 2014-05-27 2014-05-27 드레인 기능을 갖는 도로보수용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53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008882A1 (de) * 2019-12-19 2021-06-24 Markus Riedlberger VERFAHREN ZUM BILDEN ODER SANIEREN EINES STRAßENBELAGS UND SPERRRING FÜR DAS VERFAHR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421B1 (ko) 2009-07-03 2010-04-19 의왕개발 주식회사 콘트리트 포장도로 보수용 아스콘층 덧씌우기공법 및 유도배수로가 설치된 포장체 및 그 비산먼지 여과장치
KR100974203B1 (ko) * 2010-03-04 2010-08-05 세기하이테크건설 주식회사 모세관 기능을 가지는 유도배수 다공질 배수판을 이용한 신축이음부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5107A (ja) * 1997-03-24 1998-12-08 Nichireki Co Ltd 小規模舗装復旧工事における舗装補修構造と舗装補修工法
KR100388789B1 (ko) 1998-02-02 2003-10-04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피롤구조를갖는파네실전이효소억제제및그의제조방법
KR101253598B1 (ko) 2012-09-05 2013-04-11 (주)바우테크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도로의 보수공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421B1 (ko) 2009-07-03 2010-04-19 의왕개발 주식회사 콘트리트 포장도로 보수용 아스콘층 덧씌우기공법 및 유도배수로가 설치된 포장체 및 그 비산먼지 여과장치
KR100974203B1 (ko) * 2010-03-04 2010-08-05 세기하이테크건설 주식회사 모세관 기능을 가지는 유도배수 다공질 배수판을 이용한 신축이음부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6321A (ko) 2015-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9407B1 (ko) 배수기능이 강화된 구조물 신축이음부 방수 및 배수로시공방법
KR101355399B1 (ko) 지하차도와 교량의 도로구조물 신축이음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036277B1 (ko) 도로와 교량을 포함하는 구조물의 신축이음 방수재 및 이를 이용한 신축이음부 시공 공법
KR101327860B1 (ko) 콘크리트 포장 도로의 보수 방법
KR101323022B1 (ko) 콘크리트 도로용 신축줄눈 파손부의 보수방법
KR100403390B1 (ko) 고분자 개질 아스팔트 봉함재를 이용한 교량 또는 구조물의 신축이음 시공 방법
KR100886158B1 (ko) 가스 홀을 갖춘 방수시트를 이용하는 방수공법
KR101479531B1 (ko) 점착성 방수재와 내부가 비어 있는 돌기를 가진 요철성형 방수패널을 이용한 입체형 복합 방수공법
KR101635398B1 (ko) 드레인 기능을 갖는 도로보수용 패드
KR101292204B1 (ko) 저교통량 아스팔트 포장체의 보수공법
KR101392477B1 (ko) 콘크리트 포장도로의 아스팔트 덧씌우기 포장공법
KR101302469B1 (ko) 고무화 아스팔트 방수재와 그 시공방법
US10497228B2 (en) Perforated tactile warning device
KR101236189B1 (ko) 아스팔트 포장도로 및 포장공법
KR101802699B1 (ko) 도로의 수용성 칼라 박층 포장재
KR100337443B1 (ko) 도막과 시트의 복합 방수재와 그 방수재를 이용한 방수방법
KR101476692B1 (ko) 지하차도와 교량의 도막방수를 이용한 무조인트 신축이음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250216B1 (ko) 도로 균열방지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보수방법
KR100831087B1 (ko) Mma 공중합수지를 혼합한 단면보수재와 이를 이용하는열화콘크리트 교량상판 단면보수방법
US9016978B2 (en) Asphalt sealer for surface crack repair
KR101593998B1 (ko) 신축이음장치 보수시설 및 이를 이용한 보수공법
KR20120009560A (ko) 결빙방지 오버레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
Ghafoori et al. Bridge deck asphalt plug joints: problems and solutions
KR101944925B1 (ko) 배수성을 갖는 보도의 아스팔트 포장 공법
KR101179395B1 (ko) 아스팔트 포장도로 균열 보수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