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3912B1 - 스프레이를 이용한 라인 도색장치 - Google Patents

스프레이를 이용한 라인 도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3912B1
KR101493912B1 KR20140095778A KR20140095778A KR101493912B1 KR 101493912 B1 KR101493912 B1 KR 101493912B1 KR 20140095778 A KR20140095778 A KR 20140095778A KR 20140095778 A KR20140095778 A KR 20140095778A KR 101493912 B1 KR101493912 B1 KR 101493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pray
coupled
head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95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선
권영탁
Original Assignee
권영선
권영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선, 권영탁 filed Critical 권영선
Priority to KR20140095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39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3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3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 E01C23/22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by spray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1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 E01C19/16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for applying or spreading liquid materials, e.g. bitumen slurries
    • E01C19/17Application by spraying or throwing

Abstract

본 발명은 차선, 안전선 등의 라인을 도색하는 장치에서, 판 부재가 서로 결합한 직육면체 형상으로, 상판과 하판에는 일단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면이 천공된 상ㆍ하부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상ㆍ하부개구부가 위치된 양측 측판에는 일정 높이만큼 소정의 폭으로 절개된 홈부가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측판 저면에 결합되어 회전 이동을 가능케 하는 이동부; 상기 몸체부의 측판에 결합되어 손잡이 역할을 하는 핸들부; 상기 몸체부의 홈부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토록 결합되는 것으로, 'ㄷ'자 형상의 상부판과 판 형상의 하부판이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ㅁ'자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은 마주보는 중앙부에 구멍이 형성되는 머리부; 및, 상기 머리부의 상부판과 하부판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 고정되는 스프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몸체부는 상기 하판의 하부개구부에 한 쪽 모서리가 전방을 향하는 삼각형 형상의 단면으로 구성되는 가이드부가 상기 하부개구부 단면 내에 더 형성되고, 상기 스프레이의 선단에는 직사각형 단면의 구멍이 형성된 분사용캡이 결합되고, 상기 스프레이의 선단에는 직사각형 단면의 구멍이 형성된 분사용캡이 결합되고, 상기 분사용캡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상기 머리부의 하부판 구멍 위로 결착부가 결합되어, 상기 스프레이의 선단이 상기 하부판의 결착부에 고정되며, 상기 머리부의 상부판 일측에는 용수철 내에 결합된 지지봉이 와이어의 일단과 연결되는 누름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와이어의 타단은 상기 핸들부에 형성된 레버부와 연결되어, 상기 레버부가 가압됨으로써 상기 와이어를 통해 상기 누름수단이 상기 스프레이를 하방으로 눌러 상기 스프레이 내의 액체가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프레이를 이용한 라인 도색장치{Line painting apparatus using the spray}
본 발명은 차선이나 안전선 등의 라인(Line)을 도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프레이를 이용하여 라인을 일정한 폭으로 도색하는 것은 물론, 스프레이의 높낮이가 조절됨으로써 다양한 폭의 라인을 도색할 수 있는 스프레이를 이용한 라인 도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행로나 주차장 등에는 일정한 영역으로 구획되어 차선이나 보행선과 같은 선들이 도포되어 주차 차량이나 사람들의 통행영역을 확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보행로나 주차장 등에 선을 도포할 때에는 주로 안료 스프레이 캔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직접 도포하거나 별도의 차선도포장치 등을 이용하여 도포하고 있다.
상기 차선도포장치는 휠이 구비된 주행 가능한 대차형태로 이루어지고, 이동시에는 전동모터나 소형엔진과 같은 구동원에 의해 이동되면서 저장된 도료액을 일정한 두께와 폭으로 도포하면서 식별가능하게 영역을 구획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에서 전자의 방법으로 선의 도포작업을 행하려면 해당영역에만 도포될 수 있게 별도의 마스킹 테입 등을 부착하여야 하므로 도포작업에 난이하고 과다한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도료액이 균일하게 분사되지 못하여 만족할 만한 도포 품질을 얻을 수 없다. 더욱이, 다양한 모양의 선을 도포하려면 매번 마스킹테입을 재세팅하여야 하기 때문에 만족할만한 작업성을 기대하기 어렵다.
그리고, 상기에서 후자의 방법은 차선도포장치의 무게가 무거울 뿐만 아니라 본체의 크기가 대형이므로 주차장이나 인도 등과 같이 협소한 공간에서는 만족할 만한 작업성을 기대하기 어렵다. 게다가, 상기 도포장치는 신규의 차선만을 도포하는 구조이므로, 이미 도포된 선들의 부분적인 보수시에는 만족할 만한 도포기능을 구현하지 못하므로 그 구조상 다양한 작업환경에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연구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작업 장소에 제한을 받지 않고 다양한 폭의 라인(Line)을 일정하게 도색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은 장치에 결합된 스프레이의 높낮이가 조절되고 스프레이 분사 노즐에 직사각형 단면의 구멍이 형성된 분사용캡이 결합됨으로써 라인 폭을 일정하고도 다양하게 도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를 이용한 라인 도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선, 안전선 등의 라인을 도색하는 장치에서, 판 부재가 서로 결합한 직육면체 형상으로, 상판과 하판에는 일단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면이 천공된 상ㆍ하부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상ㆍ하부개구부가 위치된 양측 측판에는 일정 높이만큼 소정의 폭으로 절개된 홈부가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측판 저면에 결합되어 회전 이동을 가능케 하는 이동부; 상기 몸체부의 측판에 결합되어 손잡이 역할을 하는 핸들부; 상기 몸체부의 홈부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토록 결합되는 것으로, 'ㄷ'자 형상의 상부판과 판 형상의 하부판이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ㅁ'자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은 마주보는 중앙부에 구멍이 형성되는 머리부; 및, 상기 머리부의 상부판과 하부판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 고정되는 스프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몸체부는 상기 하판의 하부개구부에 한 쪽 모서리가 전방을 향하는 삼각형 형상의 단면으로 구성되는 가이드부가 상기 하부개구부 단면 내에 더 형성되고, 상기 스프레이의 선단에는 직사각형 단면의 구멍이 형성된 분사용캡이 결합되고, 상기 분사용캡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상기 머리부의 하부판 구멍 위로 결착부가 결합되어, 상기 스프레이의 선단이 상기 하부판의 결착부에 고정되며, 상기 머리부의 상부판 일측에는 용수철 내에 결합된 지지봉이 와이어의 일단과 연결되는 누름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와이어의 타단은 상기 핸들부에 형성된 레버부와 연결되어, 상기 레버부가 가압됨으로써 상기 와이어를 통해 상기 누름수단이 상기 스프레이를 하방으로 눌러 상기 스프레이 내의 액체가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를 이용한 라인 도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직사각형 단면 형상의 구멍이 형성된 분사용캡이 스프레이에 결합되고, 상기 스프레이는 장치와 결합된 상태로 높낮이가 조절됨으로써 라인을 다양하고도 일정한 폭으로 도색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은 몸체부의 앞 부분에 결합된 머리부가 볼트결합 또는 탄성 걸림결합으로 상하 조절이 되는데, 이러한 머리부에 스프레이가 고정됨으로써 분사되는 높이가 조절되어 다양한 폭으로 라인을 도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프레이 앞에 결합된 분사용캡의 구멍이 라인을 직사각형태로 분사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일정한 폭으로 라인 도색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둘째, 본 발명은 그 구조가 간단하고 경량일 뿐만 아니라 일체의 전기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물리적인 힘에 의해서만 가압 동작되는 구조이므로 장소에 제한을 받지 않고 용이하게 도포작업을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 및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를 이용한 라인 도색장치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물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500)를 이용한 라인 도색장치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물 사진이다.
본 발명은 스프레이(500)를 이용하여 차선, 안전선 등의 라인을 도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차선, 안전선 등의 라인을 도색하는 장치에서, 판 부재가 서로 결합한 직육면체 형상으로, 상판(120)과 하판(140)에는 일단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면이 천공된 상ㆍ하부개구부(120a, 140a)가 마련되고, 상기 상ㆍ하부개구부(120a, 140a)가 위치된 양측 측판(160)에는 일정 높이만큼 소정의 폭으로 절개된 홈부(160a)가 형성되는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의 측판(160) 저면에 결합되어 회전 이동을 가능케 하는 이동부(200); 상기 몸체부(100)의 측판(160)에 결합되어 손잡이 역할을 하는 핸들부(300); 상기 몸체부(100)의 홈부(160a)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토록 결합되는 것으로, 'ㄷ'자 형상의 상부판(420)과 판 형상의 하부판(440)이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ㅁ'자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판(420)과 하부판(440)은 마주보는 중앙부에 구멍이 형성되는 머리부(400); 및, 상기 머리부(400)의 상부판(420)과 하부판(440)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 고정되는 스프레이(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스프레이(500)의 선단에는 직사각형 단면의 구멍이 형성된 분사용캡(600)이 결합되고, 상기 분사용캡(60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상기 머리부(400)의 하부판(440) 구멍 위로 결착부(460)가 결합되어, 상기 스프레이(500)의 선단이 상기 하부판(440)의 결착부(460)에 고정되며, 상기 머리부(400)의 상부판(420) 일측에는 용수철(720) 내에 결합된 지지봉(740)이 와이어(W)의 일단과 연결되는 누름수단(700)이 구비되되, 상기 와이어(W)의 타단은 상기 핸들부(300)에 형성된 레버부(320)와 연결되어, 상기 레버부(320)가 가압됨으로써 상기 와이어(W)를 통해 상기 누름수단(700)이 상기 스프레이(500)를 하방으로 눌러 상기 스프레이(500) 내의 액체가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몸체부(100)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인 도색장치의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 도 1에서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몸체부(100)는 상판(120), 하판(140), 4개의 측판(160)이 결합된 형태로 구성되는데, 각각의 판재는 볼트 또는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몸체부(100)를 직육면체의 형상을 일실시예로 제시하고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때, 몸체부(100)는 상판(120)의 일부분에 작업 중에도 다수 개의 스프레이(500)를 실어 나를 수 있는 저장부(18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의 상판(120)에는 다수 개의 저장부(180)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라인을 도색하는 작업 중에 스프레이(500) 교체로 인한 시간 소요를 단축시켜 줄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0)는 하판(140)의 하부개구부(140a)에는 한 쪽 모서리가 전방을 향하는 삼각형 형상의 단면으로 구성되는 가이드부(142)가 상기 하부개구부(140a) 단면 내에 더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42)는 도색될 라인이 정확한 위치에서 형성되는 지를 확인시켜주는 역할을 하며, 상판(120)과 하판(140)에 형성된 상ㆍ하부개구부(120a, 140a)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14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의 단면으로 구성되고, 일측 모서리가 전방을 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도색될 라인의 중심과 모서리의 선단 위치를 맞춤으로써 정확하고 일정한 폭의 라인이 도색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몸체부(100)의 하판(140)은 지면과 맞닿는 이동부(200)의 하단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성되되, 하판(140) 아래로 몸체부(100)의 하부를 둘러싸는 형태의 바람막이부(800)가 더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바람막이부(800)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몸체부(100)의 4개 측판(160)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는 작업될 바닥이 고르지 못하거나 걸림턱이 형성된 경우 몸체부(100)의 하판(140)이 이동부(200)의 하단과 일정 간격 이격됨으로써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데, 이때 바람막이부(800)는 스프레이(500)를 분사하여 라인을 도색할 경우 그 이격된 공간을 통하여 바람이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바람막이부(800)는 바람에 의해 스프레이(500)에서 분사되는 액체가 퍼지지 않도록 하여, 깨끗한 라인이 형성되도록 해주는 것이다. 이러한 바람막이부(800)는 고무 또는 우레탄 등의 탄성이 있는 소재가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부(200)는 몸체부(100)의 양측에 결합되어 몸체부(100)를 이동시켜주는 바퀴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이동부(200)는 몸체부(100)의 하부를 관통하는 강봉의 일단에 결합되되, 풀림방지너트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이동부(200)를 통해 몸체부(100)가 움직일 때, 이동부(200)와 몸체부(100) 간의 유동이 형성된다면 흔들림이 발생하여 라인이 일정하지 않게 도색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핸들부(300)는 몸체부(100)를 움직이는 손잡이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도 1과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하부프레임(340)과 상부프레임(360)이 전체적으로 Y자 형태로 결합되되, 각각 힌지(hinge)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비작업시 하부프레임(340)과 상부프레임(360)을 접거나 분해하여 부피를 작게 함으로써 포장 및 운반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도와준다.
머리부(40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ㅁ'자 단면으로 구성되어 몸체부(100)의 전면에 결합되는데, 도 5에 도시된 'ㄷ'자 단면의 상부판(420)과 도 6에 도시된 판 상의 하부판(440)이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몸체부(100)의 전방 측면에 형성된 홈부(160a)를 통하여 상부판(420)과 하부판(440)이 결합된다.
또한 머리부(400)는 측면이 몸체부(100)의 홈부(160a)와 너트 또는 탄성 걸림으로 결합되어 높낮이가 조절되고, 머리부(400)의 높낮이가 조절됨에 따라 적용되는 라인 폭의 치수가 몸체부(100)의 홈부(160a) 옆에 표시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판(420)과 하부판(440)이 몸체부(100)의 홈부(160a)를 통하여 결합될 수 있는데, 너트를 조이거나 푸는 방법 또는 단면 차이를 이용한 탄성 걸림방법(일명 '빠찌링')을 이용하여 머리부(400)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때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의 홈부(160a) 옆에는 치수가 표시될 수 있는데, 이는 머리부(400)의 높낮이에 따라 도색되는 라인의 폭을 적어놓은 것이다. 자세히 말해서 머리부(400)의 상부판(420)과 하부판(440)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스프레이(500)가 삽입 고정되는데, 상술한 방법을 통하여 머리부(400)의 높낮이가 조절됨에 따라 스프레이(500)의 높낮이도 변하게 되며, 그리하여 스프레이(500)를 통하여 하방으로 분사되는 액체의 각도가 달라짐으로써 도색되는 라인의 폭이 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단면 차이를 이용한 탄성걸림방법이 이용되는 머리부(400)는 상하로 높낮이가 조절될 경우 가장자리를 따라 가이드 홈이 형성됨으로써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즉, 몸체부(100)에 끼워지는 가이드 홈을 따라 머리부(400)가 탄성걸림으로 상하 이동됨으로써 흔들림 없이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머리부(400)는 몸체부(100)에 형성된 단턱에 의해 정해진 높이에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스프레이(500)의 액체가 분사되는 노즐부분에는 직사각형 단면의 구멍이 형성된 분사용캡(600)이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되도록 머리부(400)의 하부판(440)에 형성된 구멍 위로 결착부(460)가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스프레이(500)의 분사용캡(600)과 머리부(400)의 결착부(460)는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령형상의 단면으로 구성되되, 분사용캡(600)에 형성된 직사각형 단면의 구멍은 길이방향이 몸체부(100)의 폭방향과 평행하도록 스프레이(500)의 분사용캡(600)이 머리부(400)의 결착부(46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는 분사용캡(600)을 통하여 스프레이(500)의 액체가 분사될 때, 그 액체가 작은 직사각형의 구멍을 통하여 분사됨으로써 사각형의 라인이 도색되는 것이고,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직사각형 구멍의 단면 중 길이방향이 몸체부(100)의 폭방향과 평행하도록 맞춰짐으로써 일직선의 라인이 도색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머리부(400)의 상부판(420) 위로는 누름수단(700)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누름수단(700)은 지지봉(740)과 용수철(720)로 구성된다.
누름수단(700)은 용수철(720) 내에 지지봉(740)이 결합된 형태로 와이어(W)의 일단과 연결되는데, 와이어(W)의 타단이 핸들부(300)에 형성된 레버부(320)와 연결되고, 이러한 레버부(320)가 손으로 가압됨으로써 와이어(W)가 링크절 운동되어 누름수단(700)을 하방으로 움직이게 해준다. 레버부(320)는 오토바이나 자전거 등의 브레이크나 클러치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때 누름수단(700)의 일단은 스프레이(500) 단부 위에 걸쳐지도록 준비되어야 한다. 즉 스프레이(500) 단부 위에 걸쳐진 누름수단(700)이 레버부(320)에 의해 밑으로 당겨지면 스프레이(500)를 압축시킴으로써 노즐을 통하여 액체가 분사되고 라인이 도색되는 것이다. 이러한 누름수단(700)은 도 4에서 바람직한 예시로 도시되었는데, 이때 누름수단(700)은 지지봉(740)이 ㄱ자 단면의 형상으로 구성되고 지지봉(740)이 용수철(720)에 의해 제자리로 탄성 회복될 수 있다. 자세히 말해서 ㄱ자 형상의 지지봉(740)의 수평부분이 스프레이(500)의 단부 위로 걸쳐지고 수직부분은 용수철(720) 내에 구성되는데, 지지봉(740)의 회전을 통하여 스프레이(500) 교체가 이루어진 후 용수철(720)에 의해 지지봉(740)의 수평부분이 자동으로 스프레이(500)의 단부 위로 걸쳐지게 되는 것이다. 이는 용수철(720) 자체의 성질로 상하 탄성회복은 물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수철(720)의 양단이 클립에 의해 고정되어 좌우로 탄성회복이 이루어짐으로써 스프레이(500) 설치 후 자동으로 지지봉(740)의 수평부분이 스프레이(500)의 후단에 거취 되는 것이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수단(700)과 와이어(W)의 타단은 너트로 결합된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누름수단(700)의 높이가 적절하지 못한 경우 너트를 풀거나 조여서 와이어(W)를 조절함으로써 누름수단(70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치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W: 와이어 100: 몸체부
120: 상판 120a: 상부개구부
140: 하판 140a: 하부개구부
142: 가이드부 160: 측판
160a: 홈부 180: 저장부
200: 이동부 300: 핸들부
320: 레버부 340: 하부프레임
360: 상부프레임 400: 머리부
420: 상부판 440: 하부판
460: 결착부 500: 스프레이
600: 분사용캡 700: 누름수단
720: 용수철 740: 지지봉
800: 바람막이부(미도시부호)

Claims (9)

  1. 차선, 안전선 등의 라인을 도색하는 장치에서,
    판 부재가 서로 결합한 직육면체 형상으로, 상판(120)과 하판(140)에는 일단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면이 천공된 상ㆍ하부개구부(120a, 140a)가 마련되고, 상기 상ㆍ하부개구부(120a, 140a)가 위치된 양측 측판(160)에는 일정 높이만큼 소정의 폭으로 절개된 홈부(160a)가 형성되는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의 측판(160) 저면에 결합되어 회전 이동을 가능케 하는 이동부(200);
    상기 몸체부(100)의 측판(160)에 결합되어 손잡이 역할을 하는 핸들부(300);
    상기 몸체부(100)의 홈부(160a)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토록 결합되는 것으로, 'ㄷ'자 형상의 상부판(420)과 판 형상의 하부판(440)이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ㅁ'자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판(420)과 하부판(440)은 마주보는 중앙부에 구멍이 형성되는 머리부(400); 및,
    상기 머리부(400)의 상부판(420)과 하부판(440)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 고정되는 스프레이(5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몸체부(100)는 상기 하판(140)의 하부개구부(140a)에 한 쪽 모서리가 전방을 향하는 삼각형 형상의 단면으로 구성되는 가이드부(142)가 상기 하부개구부(140a) 단면 내에 더 형성되고,
    상기 스프레이(500)의 선단에는 직사각형 단면의 구멍이 형성된 분사용캡(600)이 결합되고, 상기 분사용캡(60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상기 머리부(400)의 하부판(440) 구멍 위로 결착부(460)가 결합되어, 상기 스프레이(500)의 선단이 상기 하부판(440)의 결착부(460)에 고정되며,
    상기 머리부(400)의 상부판(420) 일측에는 용수철(720) 내에 결합된 지지봉(740)이 와이어(W)의 일단과 연결되는 누름수단(700)이 구비되되, 상기 와이어(W)의 타단은 상기 핸들부(300)에 형성된 레버부(320)와 연결되어, 상기 레버부(320)가 가압됨으로써 상기 와이어(W)를 통해 상기 누름수단(700)이 상기 스프레이(500)를 하방으로 눌러 상기 스프레이(500) 내의 액체가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를 이용한 라인 도색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몸체부(100)는,
    상기 상판(120)의 일부분에 작업 중에도 다수 개의 스프레이(500)를 실어 나를 수 있는 저장부(18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를 이용한 라인 도색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몸체부(100)의 하판(140)은 지면과 맞닿는 상기 이동부(200)의 하단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하판(140) 아래로 상기 몸체부(100)의 하부를 둘러싸는 형태의 바람막이부(800)가 더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를 이용한 라인 도색장치.
  4. 삭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이동부(200)는 상기 몸체부(100)의 하부를 관통하는 강봉의 일단에 결합되되, 풀림방지너트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를 이용한 라인 도색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핸들부(300)는 한 쌍의 하부프레임(340)과 상부프레임(360)이 전체적으로 Y자 형태로 결합되되, 각각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를 이용한 라인 도색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머리부(400)는 측면이 몸체부(100)의 홈부(160a)와 너트 또는 탄성 걸림으로 결합되어 높낮이가 조절되고, 상기 머리부(400)의 높낮이가 조절됨에 따라 적용되는 라인 폭의 치수가 상기 몸체부(100)의 홈부(160a) 옆에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를 이용한 라인 도색장치.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스프레이(500)의 분사용캡(600)과 머리부(400)의 결착부(460)는 아령형상의 단면으로 구성되되, 상기 분사용캡(600)에 형성된 직사각형 단면의 구멍은 길이방향이 몸체부(100)의 폭방향과 평행하도록 상기 스프레이(500)의 분사용캡(600)이 상기 머리부(400)의 결착부(46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를 이용한 라인 도색장치.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누름수단(700)은 지지봉(740)이 ㄱ자 단면의 형상으로 구성되되,
    상기 지지봉(740)이 용수철(720)에 의해 제자리로 탄성 회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를 이용한 라인 도색장치.
KR20140095778A 2014-07-28 2014-07-28 스프레이를 이용한 라인 도색장치 KR101493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95778A KR101493912B1 (ko) 2014-07-28 2014-07-28 스프레이를 이용한 라인 도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95778A KR101493912B1 (ko) 2014-07-28 2014-07-28 스프레이를 이용한 라인 도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3912B1 true KR101493912B1 (ko) 2015-02-16

Family

ID=52593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95778A KR101493912B1 (ko) 2014-07-28 2014-07-28 스프레이를 이용한 라인 도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391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51388A (zh) * 2018-08-15 2018-12-07 深圳市粤通建设工程有限公司 道路养护剂喷涂装置
KR101933910B1 (ko) * 2017-05-18 2019-01-02 송현엘앤씨 주식회사 스프레이 타입 라인 도색 장치
WO2021010500A1 (ko) * 2019-07-12 2021-01-21 송현엘앤씨 주식회사 스프레이를 이용한 안전선 도색 장치
KR102243008B1 (ko) * 2020-07-31 2021-04-21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텍코오트 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텍코오트 포설방법
KR102262776B1 (ko) * 2020-09-28 2021-06-09 이명승 래커 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3813A (ko) * 2003-04-30 2004-11-09 하스라인기계건설 주식회사 휴대용 선도포기
KR101081696B1 (ko) * 2011-07-28 2011-11-09 서정규 라인 표시장치
KR20110137706A (ko) * 2010-06-17 2011-12-23 서정규 라인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3813A (ko) * 2003-04-30 2004-11-09 하스라인기계건설 주식회사 휴대용 선도포기
KR20110137706A (ko) * 2010-06-17 2011-12-23 서정규 라인 표시장치
KR101081696B1 (ko) * 2011-07-28 2011-11-09 서정규 라인 표시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3910B1 (ko) * 2017-05-18 2019-01-02 송현엘앤씨 주식회사 스프레이 타입 라인 도색 장치
CN108951388A (zh) * 2018-08-15 2018-12-07 深圳市粤通建设工程有限公司 道路养护剂喷涂装置
CN108951388B (zh) * 2018-08-15 2021-06-01 深圳市粤通建设工程有限公司 道路养护剂喷涂装置
WO2021010500A1 (ko) * 2019-07-12 2021-01-21 송현엘앤씨 주식회사 스프레이를 이용한 안전선 도색 장치
CN113840962A (zh) * 2019-07-12 2021-12-24 松贤L&C株式会社 利用喷涂器的安全线涂装装置
KR102243008B1 (ko) * 2020-07-31 2021-04-21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텍코오트 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텍코오트 포설방법
KR102262776B1 (ko) * 2020-09-28 2021-06-09 이명승 래커 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3912B1 (ko) 스프레이를 이용한 라인 도색장치
EP2152973B1 (en) Line striper with automatic layout
KR100721510B1 (ko)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시공법
KR101351307B1 (ko) 도로의 차선도색장치
US7850101B2 (en) Line marking apparatus
US8702342B2 (en) Multi-application apparatus, methods and surface markings
KR101870435B1 (ko) 액체 분사 장치
KR101482224B1 (ko) 차선 도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설 및 보수 차선 도색 공법
KR101595462B1 (ko) 차선, 횡단보도, 문자기호의 미끄럼방지 도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 공법
WO2018020203A1 (en) Ground printers
CA2854843C (en) Automated paint application system
KR101025280B1 (ko) 선명한 차선 도색구조를 갖는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
US9422679B1 (en) Glass bead dispensing apparatus convertible between hand-held and mounted to a walk-behind pavement line striper
KR101383163B1 (ko) 도로 주행차선이 선명하게 부각되게 하는 분사구조를 갖는 도색차량의 차선도색장치 및 차선도색공법
US7021860B1 (en) Stripe layout assembly
KR20150096054A (ko) 차선 페인트 도색 비드 가압장치
KR101112778B1 (ko) 비드분사각 조절용 반사갓을 구비한 차선도포기
KR101870434B1 (ko) 액체 분사 장치
KR200433471Y1 (ko) 차량탑재용 도색장치
US9522406B2 (en) Portable paint shield
KR20110117448A (ko) 가드레일 페인팅머시인
CA2561929A1 (en) Multiple aerosol dispensing apparatus
JP5989441B2 (ja) 塗装装置
KR101250755B1 (ko) 원뿔절단형 블록을 적용한 과속방지턱 시공장치
KR102278245B1 (ko)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 도포가 가능한 도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