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2778B1 - 비드분사각 조절용 반사갓을 구비한 차선도포기 - Google Patents

비드분사각 조절용 반사갓을 구비한 차선도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2778B1
KR101112778B1 KR1020100026206A KR20100026206A KR101112778B1 KR 101112778 B1 KR101112778 B1 KR 101112778B1 KR 1020100026206 A KR1020100026206 A KR 1020100026206A KR 20100026206 A KR20100026206 A KR 20100026206A KR 101112778 B1 KR101112778 B1 KR 101112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d
reflector
injection
fixing
nozzle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6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7051A (ko
Inventor
최장세
최장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산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산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산기계
Priority to KR1020100026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2778B1/ko
Publication of KR20110107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7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2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2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166Means for dispensing particulate material on to freshly applied markings or into the marking material after discharge thereof, e.g. reflective beads, grip-improving part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 E01C23/22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by spraying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의 차선이나 지시선 및 표시선과 같은 각종 도로표시선을 일정한 폭과 높이를 가지도록 도포하되, 도포 된 도료 상면에 빛 반사체를 동시에 분사하도록 하는 비드분사각 조절용 반사갓을 구비한 차선도포기에 관한 것으로서,
비드분사건(1)은, 실린더(2)의 내부를 분할하여 가압실(3)과 혼합실(4) 및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공(5)을 형성하며, 가압실(3)에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압력과, 코일스프링(5)의 탄성으로 전진 및 복귀하는 조절피스톤(6)과, 이 조절피스톤(6)과 연결되는 원추형의 니들헤드(8)를 구비한 니들(7)을 연결하여 구성한 1차 비드분사량 조절수단;과,
상기 혼합실(4)의 일단에 원추형의 분사배출공(11)을 구비한 노즐헤드(10)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하되, 상기 노즐헤드(10)는, 실린더(2)의 혼합실(4)로 진출입하면서 분사배출공(11)과 니들헤드(8)의 거리를 조절하도록 구성한 2차 비드분사량 조절수단;과,
상기 노즐헤드(10) 분사배출공(11)의 외주연에는, 분사배출공(11)을 통해 분사되는 비드가 충돌되어 반사되는 반사각조절기능과, 분사되는 비드의 반사 폭을조절할 수 있는 제1반사판(21)과 제2반사판(22)으로 구성되는 비드반사갓(20)을 구비하고, 이 비드반사갓(20)은 고정볼트(23)와 고정너트(24)로 상하회동가능하게 고정프레임(25)의 연장된 고정부(26)에 장착하여 구성한 비드반사각 조절수단;을 구성하여서 된 비드분사각 조절용 반사갓을 구비한 차선도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비드분사각 조절용 반사갓을 구비한 차선도포기{Beads can adjust the angle of the collision plate collisions that formed the subject lane}
본 발명은 도로의 차선이나 지시선 및 표시선과 같은 각종 도로표시선을 일정한 폭과 높이를 가지도록 도포하되, 도포 된 도료 상면에 빛 반사체를 동시에 분사하도록 하는 차선도포기에 있어서, 도포 되는 도로표시선의 상면에 빛 반사체인 비드의 분사량과, 분사되는 분사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비드분사각 조절용 반사갓을 구비한 차선도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면에는 다양한 형태의 차선이나 표시선 및 지시선과 같은 각종 도로표시선을 형성하여, 보행자나 운전자가 안전하게 보행하거나 주행하도록 보조하고 있다.
상기한 도로표시선은 주간뿐만 아니라 야간에도 식별할 수 있게 형성되어야 하므로, 도포재료로서 형광물질이 함유된 도포재료를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형광물질이 함유된 도포재료의 경우, 주행하는 차량에 의해 도로표시선의 표면에 이물질이 덮이게 되고, 이에 의해 야간에 충분한 식별력을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로표시선을 도포할 때 빛을 반사할 수 있는 물체 즉, 미세한 입자 형태의 유릿가루나 형광물질이 함유된 유리가루(이하에서 "비드"라 통칭함)를 도로표시선 상면에 흡착시켜 차량의 전조등이나 가로등의 빛을 반사토록 하여 더욱 선명하게 표시하도록 하는 수단이 제안되어 적용되고 있는 것이다.
상기한 비드를 도로면에 도료를 도포함과 동시에 도료 표면에 분사하여 응고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도료를 도로면에 분사시켜 주는 비드분사조절기는, 특허등록 제10-0400820호의 차선도포기에서 유리입자 분사건이라는 명칭으로 공지된 기술로 서술되어 있다.
상기한 선행기술에 나타난 비드분사건에 장착된 반사갓은, 분사건과 일체로 구성되고, 정해진 각도와 폭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로에 도포되는 도로표시선의 폭이 변경되는 경우, 전체 도로표시선에 비드를 분하지 못하고. 한정된 폭으로만 도포하여야 하는 한계가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한 선행기술에 적용된 비드분사건은, 비드분사건을 통해 분사되는 비드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단순히 분사건에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을 조절하는 수단만 사용되고 있는 것이어서, 정밀한 분사량의 조절이 어려운 단점도 발생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비드분사건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비드분사건을 통해 배출되는 비드의 배출폭을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드를 분사량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 압축공기의 공급압력 조절을 통한 수단에 더하여, 더욱 미세한 수치까지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는 비드분사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통상의 차선도포기에 장착되는 비드분사건에 분사되는 비드의 양을 조절하는 비드분사 조절수단을 1차와 2차로 구분하여 조절토록 하며, 분사되는 비드가 충돌하도록 된 비드반사갓의 각도와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분사되는 비드의 양을 정밀하게 조절하고, 반사된 비드의 충돌에 의한 분사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은, 비드분사건의 실린더를 통해 분사되는 비드의 양을 2차에 걸쳐 정밀하게 조절하여 분사할 수 있으므로, 전체 차선에 균일한 양으로 비드를 도포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균일한 비드의 도포는, 야간에 라이트에 의해 반사되는 반사량이 일정하게 이루어지므로,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고 선명하게 표시해주는 효과와, 최적의 양을 선택하여 조절 및 분사함으로써 소모되는 비드의 양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도포되는 차선의 폭에 따라 비드의 분사폭도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므로, 차선에 따라 각기 다른 비드분사건을 장착하여야 하는 불편함도 해소하는 특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비드분사건이 결합되는 통상의 차선도포기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주요부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조립단면도이고, 도 4는 노즐헤드 조절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의 비드반사갓의 작동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b는 주요부 확대도이고, 도 6은 비드반사갓의 각조를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낸 일부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시도이다.
압축기(100), 엔진(101), 도료저장탱크(102), 비드저장통(103)이 장착된 선반프레임(104)과, 이 선반프레임(104)의 저면에 장착된 이동바퀴(105)와, 선반프레임(104)의 진행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운전손잡이(106)를 구비한 운반수단;,
상기 엔진(101)과 연결된 클러치와 브레이크를 구비한 이동수단;,
상기 도료저장탱크(102)와 연결되고 가열장치가 내장되며, 개폐작동을 위한 개폐핸들로 구성되는 도색장치(107)를 구비한 도색수단;,
상기 압축기(100)와 비드저장통(103)이 연결되어 공급되는 실린더(2)와, 이 실린더(2)에 압축기(100)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공급양을 조정하여 분사량을 조절하는 분사노즐로 구성된 비드분사건(1)을 구비한 비드분사수단; 으로 구성되는 통상의 차선도포기에 있어서,
상기 비드분사수단을 구성하는 비드분사건(1)는은
실린더(2)의 내부를 분할하여 가압실(3)과 혼합실(4) 및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공(5)을 형성하며, 가압실(3)에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압력과, 코일스프링(5)의 탄성으로 전진 및 복귀하는 조절피스톤(6)과, 이 조절피스톤(6)과 연결되는 원추형의 니들헤드(8)를 구비한 니들(7)을 연결하여 구성한 1차 비드분사량 조절수단;과,
상기 혼합실(4)의 일단에 원추형의 분사배출공(11)을 구비한 노즐헤드(10)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하되,
상기 노즐헤드(10)는, 실린더(2)의 혼합실(4)로 진출입하면서 분사배출공(11)과 니들헤드(8)의 거리를 조절하도록 구성한 2차 비드분사량 조절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노즐헤드(10) 분사배출공(11)의 외주연에는, 분사배출공(11)을 통해 분사되는 비드가 충돌되어 반사되는 반사각조절기능과, 분사되는 비드의 반사 폭을조절할 수 있는 제1반사판(21)과 제2반사판(22)으로 구성되는 비드반사갓(20)을 구비하고, 이 비드반사갓(20)은 고정볼트(23)와 고정너트(24)로 상하회동가능하게 고정프레임(25)의 연장된 고정부(26)에 장착하여 구성한 비드반사각 조절수단;을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노즐헤드(10)는, 외주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고정홈(12)을 일정한 간격으로 요입 형성하고, 이 고정홈(12)의 반대되는 지점에는 길이방향으로 키홀(15)을 형성하며,
상기 노즐헤드(10)가 결합되는 실린더(2)에는, 상기 고정홈(12)의 직 상방에 나사결합공(9)을 형성하여, 손잡이부(13)를 구성한 고정나사(14)를 나사 결합하여 노즐헤드(10)의 고정홈(12)에 삽입 고정되도록 하고, 실린더(2)의 반대되는 지점에는 키(16)를 형성하고, 상기 노즐헤드(10)의 키홀(15)에 결합함으로써 노즐헤드 (10)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홈(12)은 사각요홈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삼각형상의 톱니형 고정홈(12')으로 연속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비드반사갓(20)은, 삼각형상의 제1반사판(21)과 제2반사판(22)으로 분할 형성하여 꼭지점 부분에 결합공(21')(22')을 형성하여 회동가능하게 체결핀(27)으로 고정하며, 상기 제1반사판(21) 꼭지점 부분을 연장하여 고정공(29')을 관통한 연장프레임(29)을 형성한다.
상기 제1반사판(21)의 꼭지점에 근접하고, 측단부에 근접한 지점에 조정나사핀(30)을 기립 설치하며,
상기 제2반사판(22)에는 상기 조정나사핀(30)과 일치하는 지점에 원호상의 슬라이드홀(32)을 관통 형성하여, 상기 조정나사핀(30)이 삽입되도록 하며, 이 조정나사핀(30)에는 너트를 구비한 체결캡(33)을 결합하여, 상기 제1반사판(21)과 제2반사판(22)을 밀착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비드반사갓(20)은 반원형으로 구성된 고정프레임(25)(25') 한 쌍으로 노즐헤드(10)에 결합되며, 비드반사갓(2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26)를 각각 돌출 형성하며, 이 고정부(26)에 비드반사갓(20)의 연장프레임(29)을 고정볼트(23)와 고정너트(24)로 고정하며, 고정프레임(25)의 다른 쪽 단부에는 체결볼트(23')와 체결너트(24')를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26')를 형성하여 노즐헤드(10)에 장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노즐헤드(10)에 고정되는 비드반사갓(20)의 위치는, 제2반사판(22)에 형성된 슬라이드홀(32)이 분사배출공(11)의 상측에 위치하여, 분사되는 비드가 상기 슬라이드홀(32)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위치로 설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한다.
처음에 실린더(2)의 가압실(3)에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조절을 통한 1차 비드분사량 조절수단에 의해 노즐헤드(10)의 분사배출공(11)으로 배출되는 비드분사량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1차 비드분사량 조절수단은 첨부 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실(3)에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조절을 통해 니들(7)을 전진시키거나 후진시켜, 니들헤드(8)의 외주연부와 분사배출공(11)의 내주면 간격을 조절하여 비드분사량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2차 비드분사량 조절수단은, 실린더(2)의 혼합실(4)에 장착된 노즐헤드(10)의 길이 조절을 통한 비드의 분사량을 조절하게 되는바, 실린더(2)에 나사결합된 고정나사(14)를 풀어 노즐헤드(10)의 상면에 형성된 고정홈(12)에서 이탈시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조정한다.
이어서 노즐헤드(10)를 실린더(2)의 혼합실(4) 내부로 밀어넣거나 빼내어 니들헤드(8)와 노즐헤드(10)의 내부에 형성된 분사배출공(11)의 간격을 조절하여 비드 분사량을 조정하는 것이다.
노즐헤드(10)를 실린더(2)의 혼합실(4)에 밀어 넣거나 뺄 때, 노즐헤드(10)에 형성된 키홀(15)과 혼합실(4)의 내벽 선단에 형성된 키(16)에 의해 회전동작이 배제되고, 수평작동만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노즐헤드(10)의 간격조절이 완료되면, 실린더(2)의 나사결합공(9)에 결합된 고정나사(14)를 조여 끝 부분이 고정홈(12)에 긴밀하게 결합되도록 나사 결합하여 노즐헤드(10)를 견고하게 고정하면 조절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나사(14)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고정홈(12)은 사각형으로 균일한 간격일 이루면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각각의 고정홈(12)에 상기 고정나사(14)의 끝 부분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노즐헤드(10)의 진출입 조절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고정나사(14)에 의한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각각의 고정홈(12)에 숫자를 표시함으로써 조절길이에 따른 분사량을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홈(12')을 삼각형상으로 구성하면, 각 고정홈(12') 사이의 간격이 더욱 조밀하게 형성되어, 노즐헤드(10)의 조절길이를 세밀하게 할 수 있는 특징을 나타낸다.
이어서 노즐헤드(10)의 분사배출공(11) 상부측에 결합된 비드반사갓(20)의 폭을 조절하여 비드의 분사폭을 조정하게 되는데, 먼저 제1반사판(21)과 제2반사판(22)을 고정하고 있는 체결캡(33)을 풀어 고정상태를 해제한 다음, 제1반사판(21)을 회동시켜 전체적인 비드반사갓(20)의 폭을 조절하는 것이다.
즉, 조절나사핀(30)에 결합된 체결캡(33)을 풀어 회동가능한 상태로 만들고, 이어서 제1반사판(21)과 제2반사판(22)을 양측으로 당기거나 서로 밀어넣어 간격을 조절하고, 조절이 완료된 후에는 체결캡(33)를 조여 고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1반사판(21)에 돌출 고정된 조절나사핀(30)은 제2반사판(22)에 관통형성된 슬라이드홀(32)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므로 안정적인 조절이 가능해진다.
상기 비드반사갓(20)은 한 쌍의 고정프레임(25)(25') 상단부에 형성된 고정부(26)에 연장프레임(29)을 고정볼트(23)와 고정너트(24)로 회동 조절이 가능하게 고정하고 있는바, 고정너트(24)의 조임 상태를 느슨하게 풀어준 후, 비드반사갓(20)을 상하로 회동하여 경사각(θ)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비드반사갓(20)의 경사가 노즐헤드(10)의 분사방향과 최소한 100° 이상의 경사각(θ)을 유지하여야 하는데, 이 경사각(θ)의 크기에 따라 반사되는 비드의 반사 폭이 결정되게 된다.
즉, 경사각(θ)이 커질수록 반사 폭도 증가하고, 경사각(θ)이 90°에 근접할수록 반사 폭이 좁아지게 된다.
동일한 조건에서 도로의 표면과 비드분사건(1)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분사되는 비드의 폭은 넓어지게 되며, 지면과 가까울수록 분사 폭은 좁아지게 됨은 당연한 것이다.
1; 비드분사건, 2; 실린더, 3; 강바실, 4; 혼합실, 5; 코일스프링, 6; 조절피스톤, 7; 니들, 8; 니들헤드, 9; 나사결합공, 10; 노즐헤드, 11; 분사배출공, 12; 고정홈, 13; 손잡이부, 14; 고정나사, 15; 키홀, 16; 키, 20; 비드반사갓, 21; 제1반사편, 22; 제2반사편, 23; 고정볼트, 24; 고정너트, 25,25'; 고정프레임, 26,26'; 고정부, 27; 체결편, 29; 연결프레임, 30; 조정나사핀, 31; 슬라이드홀, 33; 체결캡

Claims (4)

  1. 압축기, 엔진, 도료저장탱크, 비드저장통이 장착된 선반프레임과, 이 선반프레임의 저면에 장착된 이동바퀴와, 선반프레임의 진행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운전손잡이를 구비한 운반수단;,
    상기 엔진과 연결된 클러치와 브레이크를 구비한 이동수단;,
    상기 도료저장탱크와 연결되고 가열장치가 내장되며, 개폐작동을 위한 개폐핸들로 구성되는 도색장치를 구비한 도색수단;,
    상기 압축기와 비드저장통이 연결되어 공급되는 실린더와, 이 실린더에 압축기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공급양을 조정하여 분사량을 조절하는 분사노즐로 구성된 비드분사건을 구비한 비드분사수단; 으로 구성되는 통상의 차선도포기에 있어서,
    상기 비드분사수단을 구성하는 비드분사건(1)은,
    실린더(2)의 내부를 분할하여 가압실(3)과 혼합실(4) 및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공(5)을 형성하며, 가압실(3)에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압력과, 코일스프링(5)의 탄성으로 전진 및 복귀하는 조절피스톤(6)과, 이 조절피스톤(6)과 연결되는 원추형의 니들헤드(8)를 구비한 니들(7)을 연결하여 구성한 1차 비드분사량 조절수단;과,
    상기 혼합실(4)의 일단에 원추형의 분사배출공(11)을 구비한 노즐헤드(10)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하되, 상기 노즐헤드(10)는, 실린더(2)의 혼합실(4)로 진출입하면서 분사배출공(11)과 니들헤드(8)의 거리를 조절하도록 구성한 2차 비드분사량 조절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노즐헤드(10) 분사배출공(11)의 외주연에는, 분사배출공(11)을 통해 분사되는 비드가 충돌되어 반사되는 반사각조절기능과, 분사되는 비드의 반사 폭을조절할 수 있는 제1반사판(21)과 제2반사판(22)으로 구성되는 비드반사갓(20)을 구비하고, 이 비드반사갓(20)은 고정볼트(23)와 고정너트(24)로 상하회동가능하게 고정프레임(25)의 연장된 고정부(26)에 장착하여 구성한 비드반사각 조절수단;을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드분사각 조절용 반사갓을 구비한 차선도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헤드(10)는, 외주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고정홈(12)을 일정한 간격으로 요입 형성하고, 이 고정홈(12)의 반대되는 지점에는 길이방향으로 키홀(15)을 형성하며,
    상기 노즐헤드(10)가 결합되는 실린더(2)에는, 상기 고정홈(12)의 직 상방에 나사결합공(9)을 형성하여, 손잡이부(13)를 구성한 고정나사(14)를 나사 결합하여 노즐헤드(10)의 고정홈(12)에 삽입 고정되도록 하고, 실린더(2)의 반대되는 지점에는 키(16)를 형성하여, 상기 노즐헤드(10)의 키홀(15)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노즐헤드 (10)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드분사각 조절용 반사갓을 구비한 차선도포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반사갓(20)은, 삼각형상의 제1반사판(21)과 제2반사판(22)으로 분할 형성하여 꼭지점 부분에 결합공(21')(22')을 형성하여 회동가능하게 체결핀(27)으로 고정하며, 상기 제1반사판(21) 꼭지점 부분을 연장하여 고정공(29')을 관통한 연장프레임(29)을 형성하며, 상기 제1반사판(21)의 꼭지점에 근접하고, 측단부에 근접한 지점에 조정나사핀(30)을 기립 설치하고, 상기 제2반사판(22)에는 상기 조정나사핀(30)과 일치하는 지점에 원호상의 슬라이드홀(32)을 관통 형성하여, 상기 조정나사핀(30)이 삽입되도록 하며, 이 조정나사핀(30)에는 너트를 구비한 체결캡(33)을 결합하여, 상기 제1반사판(21)과 제2반사판(22)을 밀착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드분사각 조절용 반사갓을 구비한 차선도포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반사갓(20)은, 반원형으로 구성된 고정프레임(25)(25') 한 쌍으로 노즐헤드(10)에 결합되도록 하되, 비드반사갓(2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26)(26')를 각각 돌출 형성하고, 이 고정부(26)(26') 사이에 비드반사갓(20)의 연장프레임(29)을 고정볼트(23)와 고정너트(24)로 고정하여, 비드반사갓(20) 장착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드분사각 조절용 반사갓을 구비한 차선도포기.


KR1020100026206A 2010-03-24 2010-03-24 비드분사각 조절용 반사갓을 구비한 차선도포기 KR101112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206A KR101112778B1 (ko) 2010-03-24 2010-03-24 비드분사각 조절용 반사갓을 구비한 차선도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206A KR101112778B1 (ko) 2010-03-24 2010-03-24 비드분사각 조절용 반사갓을 구비한 차선도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7051A KR20110107051A (ko) 2011-09-30
KR101112778B1 true KR101112778B1 (ko) 2012-03-13

Family

ID=44956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6206A KR101112778B1 (ko) 2010-03-24 2010-03-24 비드분사각 조절용 반사갓을 구비한 차선도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27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2821B1 (ko) * 2017-09-11 2019-02-28 탱크테크 주식회사 고압 미분무수 화재 진압 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191B1 (ko) * 2016-03-23 2019-11-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화합물, 유기 광전자 소자 및 표시 장치
CN108716182B (zh) * 2018-04-11 2020-07-17 浙江后花园园林工程有限公司 一种市政道路施工装置及施工方法
CN111424519B (zh) * 2020-04-28 2020-10-13 三门鸿喏科技有限公司 一种工程道路标线清洗补线无人车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4835A (en) * 1972-04-15 1976-06-22 Ludwig Eigenmann Device for forming marking stripes on road surfaces
US4012247A (en) * 1975-01-27 1977-03-15 Ludwig Eigenmann Method and devices for road surface marking
KR200438965Y1 (ko) 2007-01-03 2008-03-12 허을순 분사각의 가변이 가능한 분무기용 노즐헤드
KR100930075B1 (ko) 2008-10-01 2009-12-08 (주)선광라인 콤팩트화된 동력식 노면 표시 도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4835A (en) * 1972-04-15 1976-06-22 Ludwig Eigenmann Device for forming marking stripes on road surfaces
US4012247A (en) * 1975-01-27 1977-03-15 Ludwig Eigenmann Method and devices for road surface marking
KR200438965Y1 (ko) 2007-01-03 2008-03-12 허을순 분사각의 가변이 가능한 분무기용 노즐헤드
KR100930075B1 (ko) 2008-10-01 2009-12-08 (주)선광라인 콤팩트화된 동력식 노면 표시 도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2821B1 (ko) * 2017-09-11 2019-02-28 탱크테크 주식회사 고압 미분무수 화재 진압 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7051A (ko) 2011-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2778B1 (ko) 비드분사각 조절용 반사갓을 구비한 차선도포기
US7850101B2 (en) Line marking apparatus
US20090087263A1 (en) Reflective Material Dispenser
EP1888842B1 (en) Highway marking sphere dispensing apparatus
JP4939314B2 (ja) 道路の雪氷の除去方法と雪氷除去装置
CN103691592B (zh) 一种树杆电线杆涂白机
US8702342B2 (en) Multi-application apparatus, methods and surface markings
KR100984646B1 (ko) 비드분사조절기를 구비한 차선도포기
KR20080112694A (ko) 차선과 차선 도색 방법 및 차량용 차선 도색 장치
KR101483848B1 (ko) 차선 도색용 도료용융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선 도색기
KR101482224B1 (ko) 차선 도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설 및 보수 차선 도색 공법
KR101493912B1 (ko) 스프레이를 이용한 라인 도색장치
KR101392886B1 (ko)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
KR101368458B1 (ko) 차선 폭을 일정하게 도색 할 수 있는 차선 도색 장치 및 방법
CA2730631C (en) Reflective substrate surface system, reflective assembly, and methods of improving the visibility of a substrate surface
KR101329801B1 (ko) 반자동식 차선 도색장치
KR101252657B1 (ko) 돌출형 차선 시공장치
KR101497043B1 (ko) 비드 혼합 및 미끄럼방지를 위한 도로용 차선 도색 방법 및 그 장치
KR102116032B1 (ko) 스프레드차선 및 돌출차선 복합 시공 시스템
KR101387584B1 (ko) 도료 및 경화제를 정밀하게 혼합할 수 있는 혼합 파이프를 포함하는 차선 도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선 도색 방법
KR101150715B1 (ko) 이액형 차선 도색장치
US6511259B1 (en) Particle dispenser with fluid assist to control particle velocity for use on a moving vehicle
KR101566659B1 (ko) 외부 혼합식 차선도색공법
KR101554451B1 (ko) 소형차선도색차량
KR101660213B1 (ko) 차선의 시인성이 확보되는 차선도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