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2886B1 -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 - Google Patents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2886B1
KR101392886B1 KR1020120143190A KR20120143190A KR101392886B1 KR 101392886 B1 KR101392886 B1 KR 101392886B1 KR 1020120143190 A KR1020120143190 A KR 1020120143190A KR 20120143190 A KR20120143190 A KR 20120143190A KR 101392886 B1 KR101392886 B1 KR 101392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aint
lane
opening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3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홍범
조형오
Original Assignee
(주)라인테크
조형오
이홍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라인테크, 조형오, 이홍범 filed Critical (주)라인테크
Priority to KR1020120143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28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2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2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25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characterised by flow controlling means, e.g. valves, located proximate the out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작이 편리하고 돌출차선이 시공되는 위치에서 작업의 간섭요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며 돌출차선의 높이를 임의로 설정한 후 시공할 수 있어 시공의 다양성 및 우수한 시공성을 제공하도록, 상부가 개구되어 일정량의 도료를 유입한 후 저류시킬 수 있도록 저장공간을 구비하고 하부 한쪽에는 상기 저장공간에 저류된 도료를 배출가능하게 복수의 배출구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배출구를 통해 도료의 배출 여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본체의 하측에서 상기 배출구를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배출조정부와; 상기 본체의 한쪽 벽면에 접하도록 설치되고 노면에 돌출차선을 생성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배출조정부에 연동하여 상기 배출구를 상하로 개폐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배출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배출조정부는 상기 배출구에 접하도록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배출구를 개폐토록 전후로 슬라이딩 왕복운동가능하며 양쪽 측단에는 측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의 연결축을 구비하는 제1개폐플레이트와, 상기 제1개폐플레이트의 연결축에 결합하도록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의 반대쪽에는 유동홀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 상에 힌지 결합하여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링크부재와, 상기 링크부재의 유동홀에 한쪽 끝단이 끼움 결합하고 상기 제1개폐플레이트가 전후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링크부재를 향해 신장운동하는 제1구동실린더를 포함하는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 {Automatic Construction Apparatus for Projection Type Traffic Lane Painting}
본 발명은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의 노면에 돌출된 차선을 시공할 때 간단한 구조를 이루는 동시에 자동으로 구동하여 조작이 편리하고, 돌출차선이 시공되는 위치에서 작업의 간섭요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며, 돌출차선의 높이를 임의로 설정한 후 시공할 수 있어 시공의 다양성 및 우수한 시공성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노면에는 차량의 주행방향을 분리하도록 도로의 중심선 상에 중앙선을 도색하여 표시하고, 차량 간의 주행 구간을 분리하기 위한 주행차선을 도색하여 표시하며, 그 외에도 사람들의 횡단지역임을 표시하는 횡단보도 등 다양한 형태의 차선을 규정한 후 시공하고 있다. 나아가 최근에는 주행중 차선을 이탈하여 운전하거나 졸음운전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차선에 요철과 같이 돌출된 형태를 갖는 이탈방지차선이나 졸음방지차선 즉 별도의 돌출차선을 시공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차선의 도색은 도료를 압축하여 분사하는 형태의 시공방법과, 도료를 용융시켜서 노면에 흘려 융착하는 형태의 시공방법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각 도로의 노면에 시공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차선 시공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차선 시공장치와 관련하여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특허청의 공고실용신안공보 제1657호(1995.03.11.)에는 대차 상에 페인트통과 이를 가열하기 위한 가스버너 및 가스통이 탑재된 융착식 차선 도색기에 있어서, 상기한 페인트통의 하부 일측에 설치된 게이트의 하측방으로 저류실을 형성하고, 이 저류실의 바닥 통로 상에 개폐판을 배치함과 아울러 상기한 개폐판의 일단부를, 중간부가 축에 의해 축 지지된 엘보우의 일단부로 축 이음하고, 상기한 엘보우의 타측 단장공에는 개폐손잡이에서 분지된 링크의 자유단부를 끼워 맞추고, 상기한 저류실의 일측방에 통상의 가스버너를 비치하여 구성됨에 따라 단시간에 용융된 페인트를 얻을 수 있게 하여 작업의 능률화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식 차선 도색기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청의 공개특허공보 제10704호(1999.02.18.)에는 대차에 손잡이 및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가이드봉이 설치되어 있으며, 도료용융탱크와 이를 가열하는 연료로서 가스통 및 반사체탱크가 설치되고, 상기 도료용융탱크에 설치되는 게이트를 통하여 흘러나오는 도료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의 하부에 도료살포부를 설치하고, 상기 도료살포부의 후방에 반사체살포부를 설치하여 구동부에 의하여 구동되는 융착식 차선 도색기에 있어서, 상기 도료살포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구동부에 따라 회전하는 브러쉬롤 및 공급롤에 의하여 요철이 있는 노면이나 평활하지 않는 노면에 도료를 분사시켜 도포함과 동시에 상기 도포된 도료위에 반사체살포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구동부에 따라 회전하는 한 쌍의 브러쉬롤에 의하여 반사체를 살포하여 상기 도료가 응고되기 전에 침적됨에 따라 고착율 및 반사효과가 양호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식 차선 도색기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에서 공고실용신안공보 제1657호 및 공개특허공보 제10704호의 경우에는 양자 모두 일반적인 평평한 차선 즉 주행차선이나 중앙선 등의 차선에만 시공이 가능할 뿐 돌출차선과 같은 특수한 차선을 시공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한 종래기술인 공고실용신안공보 제1657호와 공개특허공보 제10704호는 모두 작업시 개폐손잡이나 레버 등을 작업자가 직접 수동으로 조작하여 시공장치를 운전하기 때문에 조작이 번거로워 작업이 불편함은 물론 장치의 조작이 복잡하여 시공작업이 어려우며 전문적인 작업인력만이 사용할 수 있어 작업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단순히 차선을 융착하는 시공만으로는 차선에 대한 운전자의 시야 확보가 주간주행에만 용이할 뿐 야간 주행시 차선이 잘 보이지 않아 사고를 일으킬 위험이 있으며, 이에 따라 야간에도 차선으로부터 차량의 주행을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도록 차량의 전조등 빛을 양호하게 반사시키는 빛 반사입자인 글라스비드 입자를 차선시공시 도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기술 중에서 공고실용신안공보 제1657호의 경우에는 단순히 차선의 융착 시공만이 가능하여 글라스비드를 도포하기 위한 별도의 도포장비를 통한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로우며 인건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가 있고, 반면 상기한 종래기술 중에서 공개특허공보 제10704호의 경우에는 반사체를 브러쉬의 구동력에 의해서만 살포하여 도료 내에 침투하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 시공장치는 모두 대차나 수동차량에 고정 설치된 구조로서 작업자가 직접 밀어 이동하는 수작업으로 시공되므로 소량의 작업에만 가능할 뿐 고속도로와 같이 방대한 작업량을 요하는 시공장소에는 작업 자체가 힘들고 시공공기가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 돌출형 차선을 시공하기 위한 장치로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특허청의 등록특허공보 제1036179호(2011.05.16.)와 같은 기술을 들 수 있다.
상기 등록특허공보 제1036179호는 차선을 도색하는 평면상 차선 도색용 바스켓과 평면상 차선 도색용 바스켓을 통해 도색된 차선의 상부면 상에 일정간격으로 점점이 돌출 형성되는 돌출형 차선을 도색하는 돌출형 차선 도색용 바스켓을 동일선상 전후로 구성하여 도색차량의 기동에 따른 평면상의 차선과 그 상부면에 돌출형의 차선을 동시에 도색할 수 있도록 하는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돌출형 차선 도색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등록특허공보 제1036179호는 복잡한 구성으로부터 제조상의 어려움이 발생함은 물론 시공장치의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도료를 정해진 면적의 구멍으로만 일정하게 토출하여 항상 동일한 높이를 갖는 돌출차선만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그 높이가 극히 한정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시공장치 중에는 도료를 배출하여 돌출차선이 시공되는 구성의 위치에 별도의 다른 구성(예를 들면 도료를 배출하기 위해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구성 등)을 장착하였으나, 이는 작업자의 시야를 가려 돌출차선이 시공되는 상황을 확인하기 어려움은 물론 시공작업 자체가 어려워 시공성이 저하되고, 돌출차선의 생성에 간섭이 될 우려가 큰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노면에 돌출차선을 시공하여 운행 중인 차량의 제동시 차륜의 슬립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운전자의 졸음운전을 효율적으로 방지하고, 돌출차선을 시공하기 위해 도료의 배출이 자동으로 구동되도록 구성하므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도료가 배출되는 개구 면적의 높이를 가변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 시공장소에 따라 다양한 높이의 돌출차선을 시공가능하여 시공의 실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돌출차선이 시공되는 위치에서 작업에 간섭될 수 있는 구성을 제거하므로, 시공이 진행되는 작업상황에 대해 작업자의 시야를 확보하여 작업이 용이하고 돌출차선이 생성되는 시공과정에 간섭요소를 최소화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수동식 차량이나 자동식 차량에 용이하게 결합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 소량 및 대량 작업과 같은 시공종류에 따라 탄력적으로 교체 적용하여 작업이 용이하고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는 상부가 개구되어 일정량의 도료를 유입한 후 저류시킬 수 있도록 저장공간을 구비하고 하부 한쪽에는 상기 저장공간에 저류된 도료를 배출가능하게 복수의 배출구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배출구를 통해 도료의 배출 여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본체의 하측에서 상기 배출구를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배출조정부와; 상기 본체의 한쪽 벽면에 접하도록 설치되고 노면에 돌출차선을 생성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배출조정부에 연동하여 상기 배출구를 상하로 개폐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배출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배출조정부는 상기 배출구에 접하도록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배출구를 개폐토록 전후로 슬라이딩 왕복운동가능하며 양쪽 측단에는 측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의 연결축을 구비하는 제1개폐플레이트와, 상기 제1개폐플레이트의 연결축에 결합하도록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의 반대쪽에는 유동홀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 상에 힌지 결합하여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링크부재와, 상기 링크부재의 유동홀에 한쪽 끝단이 끼움 결합하고 상기 제1개폐플레이트가 전후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링크부재를 향해 신장운동하는 제1구동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에는 도료가 배출되는 하부 양쪽 측면에 설치되고 시공작업에 따른 이동과정에서 하단이 노면에 접하여 작업을 안내하도록 완만한 곡면의 접촉면이 형성되는 가이드부재를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의 한쪽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되어 노면 상에 형성된 돌출차선을 향해 글라스비드를 분사가능하게 구성되는 비드분사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비드분사부는 코팅제인 글라스비드를 공급가능하게 형성되는 공급라인과, 상기 공급라인 상에 상기 배출구로부터 돌출차선이 생성되는 개수만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되고 노면을 향해 글라스비드를 분사가능하게 구비되는 분사노즐로 구성한다.
상기 제2배출조정부는 상기 배출구가 구비된 상기 본체의 벽면에 한쪽 면이 접하도록 위치하고 상하 수직으로 슬라이딩 왕복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개폐플레이트와,상기 제2개폐플레이트의 상부에 한쪽 끝단이 연결 결합하여 서로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개폐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제2구동실린더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배출조정부에는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도료로부터 돌출차선의 시공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의 개도(개구 면적)를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높이조절수단이 구성된다.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제2배출조정부 상에 하단이 연결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본체 상에 수직으로 연장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며 외주연 상에 수나사가 형성되는 앵커볼트부재와, 상기 앵커볼트부재 상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본체에 면 접촉하는 고정너트부재와, 상기 고정너트부재의 하측에 서로 거리를 두고 위치하고 상기 앵커볼트부재 상에 상하로 이동가능하여 상기 고정너트부재와의 거리를 조절하는 조절너트부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배출조정부의 제1개폐플레이트 상에 설치되고 상기 배출구를 향해 전후로 슬라이딩운동가능하여 복수의 배출구 중에서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의 개폐 여부를 조절하는 도료잠금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도료잠금부는 상기 제1개폐플레이트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배출구에 개폐가능하게 접하는 잠금블록과, 상기 제1개폐플레이트 상에 고정 설치되고 암나사가 구비되는 너트부재와, 상기 너트부재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잠금블록의 한쪽에 연결되어 상기 잠금블록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잠금볼트부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를 탈착할 수 있도록 연결하고 조작에 따라 방향을 설정하여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에 설치되고 내부에 도료를 저류한 후 교반될 수 있도록 교반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호퍼의 상단에 도료를 공급가능하게 위치하는 도료탱크와, 상기 도료탱크의 하부에 설치되고 도료가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가열하는 가열버너와, 상기 가열버너에 연료를 공급가능하게 연결되는 연료통과, 상기 이동수단에 설치되고 내부에 글라스비드를 수용하며 글라스비드를 공급가능하게 연결되는 글라스비드탱크와, 상기 제1배출조정부 및 상기 제2배출조정부에 각각 일정한 압력의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컴프레셔와, 상기 에어컴프레셔의 에어압 및 상기 도료탱크, 상기 가열버너, 상기 글라스비드탱크의 전반적인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이동수단은 손잡이 및 방향조절을 위한 가이드봉을 구비하고 작업자가 손으로 운전하며 장비를 탑재가능하게 형성된 수동식 차량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이동수단은 원동기를 동력원으로 사용하여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주행가능하게 형성된 자동식 차량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이동수단과 상기 본체 간에는 서로 결합관계를 유지하거나 분리하여 교체가능한 구조를 이룰 수 있게 상호 연결하는 체결수단을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에 의하면 도로에 돌출차선을 시공하여 차량의 제동시 슬립현상을 방지하고 고속도로와 같이 장시간 운행시 운전자의 졸음운전을 효율적으로 방지하여 교통안전사고 발생률 및 인명피해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돌출차선의 시공으로 야간 운행시 운전자로부터 차선에 대한 시인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우천시 운전자가 차선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는 도료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자동으로 개폐토록 구성하므로 작업자의 장비조작이 편리하고 시공작업이 용이하여 작업자에 대한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는 제1배출조정부를 돌출차선이 시공되는 배출구와는 반대편의 본체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하므로 작업자의 시야를 확보하여 작업이 용이하면서도 정확한 시공을 도모하고 돌출차선이 생성되는 위치에 별다른 간섭요소를 배제하여 시공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는 돌출차선의 시공에 필요한 모든 구성이 각 위치에서 간단한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하므로 장치의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비용을 절감하여 가격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는 도료가 배출되는 배출구의 개구 면적을 자유롭게 가변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 장소 및 목적에 따라 적절한 높이의 돌출차선을 다양하게 시공가능하여 차선시공의 실효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시공품질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는 본체 상에 구비된 복수의 배출구 중에서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설정가능하게 도료잠금부를 구성하므로 하나의 본체로부터 돌출차선의 개수 및 배열을 다양하게 시공하여 시공품질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는 체결수단을 구성하므로 시공장치를 자유롭게 탈착한 후 교체할 수 있어 시공분량 및 장소에 따라 이동수단의 종류를 달리 적용하고, 이는 작업이 용이함은 물론 작업효율을 높이며 시공공기를 대폭 단축하고 이동수단에 다른 형태의 시공장치를 탄력적으로 적용하여 다양하게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높이조절수단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1배출조정부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2배출조정부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의 (a),(b),(c)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를 사용하여 시공된 돌출차선을 나타내는 시공사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수단의 제1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수단의 제2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본 발명은 상부가 개구되어 일정량의 도료를 유입한 후 저류시킬 수 있도록 저장공간을 구비하고 하부 한쪽에는 상기 저장공간에 저류된 도료를 배출가능하게 복수의 배출구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배출구를 통해 도료의 배출 여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본체의 하측에서 상기 배출구를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배출조정부와; 상기 본체의 한쪽 벽면에 접하도록 설치되고 노면에 돌출차선을 생성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배출조정부에 연동하여 상기 배출구를 상하로 개폐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배출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배출조정부는 상기 배출구에 접하도록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배출구를 개폐토록 전후로 슬라이딩 왕복운동가능하며 양쪽 측단에는 측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의 연결축을 구비하는 제1개폐플레이트와, 상기 제1개폐플레이트의 연결축에 결합하도록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의 반대쪽에는 유동홀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 상에 힌지 결합하여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링크부재와, 상기 링크부재의 유동홀에 한쪽 끝단이 끼움 결합하고 상기 제1개폐플레이트가 전후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링크부재를 향해 신장운동하는 제1구동실린더를 포함하는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도료가 배출되는 하부 양쪽 측면에 설치되고 시공작업에 따른 이동과정에서 하단이 노면에 접하여 작업을 안내하도록 완만한 곡면의 접촉면이 형성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한쪽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되어 노면 상에 형성된 돌출차선을 향해 글라스비드를 분사가능하게 구성되는 비드분사부를 더 포함하는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드분사부는 코팅제인 글라스비드를 공급가능하게 형성되는 공급라인과, 상기 공급라인 상에 상기 배출구로부터 돌출차선이 생성되는 개수만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되고 노면을 향해 글라스비드를 분사가능하게 구비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배출조정부는 상기 배출구가 구비된 상기 본체의 벽면에 한쪽 면이 접하도록 위치하고 상하 수직으로 슬라이딩 왕복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개폐플레이트와,상기 제2개폐플레이트의 상부에 한쪽 끝단이 연결 결합하여 서로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개폐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제2구동실린더를 포함하는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배출조정부에는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도료로부터 돌출차선의 시공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의 개도(개구 면적)를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는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제2배출조정부 상에 하단이 연결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본체 상에 수직으로 연장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며 외주연 상에 수나사가 형성되는 앵커볼트부재와, 상기 앵커볼트부재 상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본체에 면 접촉하는 고정너트부재와, 상기 고정너트부재의 하측에 서로 거리를 두고 위치하고 상기 앵커볼트부재 상에 상하로 이동가능하여 상기 고정너트부재와의 거리를 조절하는 조절너트부재를 포함하는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배출조정부의 제1개폐플레이트 상에 설치되고 상기 배출구를 향해 전후로 슬라이딩운동가능하여 복수의 배출구 중에서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의 개폐 여부를 조절하는 도료잠금부를 더 포함하는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료잠금부는 상기 제1개폐플레이트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배출구에 개폐가능하게 접하는 잠금블록과, 상기 제1개폐플레이트 상에 고정 설치되고 암나사가 구비되는 너트부재와, 상기 너트부재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잠금블록의 한쪽에 연결되어 상기 잠금블록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잠금볼트부재를 포함하는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를 탈착할 수 있도록 연결하고 조작에 따라 방향을 설정하여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에 설치되고 내부에 도료를 저류한 후 교반될 수 있도록 교반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호퍼의 상단에 도료를 공급가능하게 위치하는 도료탱크와, 상기 도료탱크의 하부에 설치되고 도료가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가열하는 가열버너와, 상기 가열버너에 연료를 공급가능하게 연결되는 연료통과, 상기 이동수단에 설치되고 내부에 글라스비드를 수용하며 글라스비드를 공급가능하게 연결되는 글라스비드탱크와, 상기 제1배출조정부 및 상기 제2배출조정부에 각각 일정한 압력의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컴프레셔와, 상기 에어컴프레셔의 에어압 및 상기 도료탱크, 상기 가열버너, 상기 글라스비드탱크의 전반적인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수단은 손잡이 및 방향조절을 위한 가이드봉을 구비하고 작업자가 손으로 운전하며 장비를 탑재가능하게 형성된 수동식 차량으로 구성하는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수단은 원동기를 동력원으로 사용하여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주행가능하게 형성된 자동식 차량으로 구성하는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수단과 상기 본체 간에는 서로 결합관계를 유지하거나 분리하여 교체가능한 구조를 이룰 수 있게 상호 연결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차선 시공장치의 일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10)와, 제1배출조정부(120)와, 제2배출조정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1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가 개구된 상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로 일정량의 도료를 유입한 후 저류시킬 수 있도록 내부에 도료를 수용가능한 저장공간(111)을 구비한다.
상기 본체(110)의 하부 한쪽에는 상기 저장공간(111)에 저류된 도료를 바깥쪽 즉 도로의 노면을 향해 배출가능하게 배출구(113)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113)는 상기 본체(110)의 고정된 위치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배출구(113)는 상기 본체(110) 상에 복수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배출구(113)는 상기 본체(110)의 하부에 폭 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2~3개로 구비토록 구성한다.
상기 배출구(113)는 도로의 노면에 시공하고자하는 돌출차선의 형상 및 크기를 반영하여 형성하되 시공할 돌출차선 중 최대한 큰 크기의 돌출차선에 상응하는 높이로 형성한다.
상기 본체(110)의 저장공간(111)은 상기 배출구(113)가 구비된 아래쪽으로 갈수록 점점 협소한 공간을 이룬다. 즉 상기 본체(110)의 저장공간(111)에 저류된 도료가 상기 배출구(113)를 향해 안내될 수 있도록 한쪽 면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10)에는 도료가 배출되는 하부 즉 상기 배출구(113)가 구비된 상기 본체(110)의 하부 양쪽 측면에는 시공작업에 따른 이동과정에서 하단이 노면에 접하여 작업을 안내하도록 완만한 곡면의 접촉면이 형성되는 가이드부재(115)가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완만한 곡면을 갖는 가이드부재(115)를 구성하게 되면, 작업중 노면이 울퉁불퉁하게 솟은 구간에서도 원활한 이동을 도모하여 지속적으로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본체(110)의 한쪽에는 글라스비드를 분사가능하게 비드분사부(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비드분사부(150)는 노면 상에 글라스비드를 분사하도록 상기 배출구(113)가 형성된 상기 본체(110)의 한쪽에 위치한다. 즉 상기 비드분사부(150)는 상기 배출구(113)로부터 배출되어 형성되는 돌출차선을 향해 글라스비드를 분사하여 코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비드분사부(150)는 상기 본체(110)의 한쪽으로 지지브라켓(155)에 의해 연장된 위치상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공급라인(151)과 분사노즐(153)로 구성된다.
상기 공급라인(151)은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코팅제인 글라스비드를 공급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공급라인(151)은 상기 분사노즐(153)에 상응하는 개수로 구비하여 연결 설치된다.
상기 공급라인(151)에는 글라스비드가 소정의 에어압과 함께 공급되어 돌출차선을 향해 강하게 분사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분사노즐(153)은 상기 공급라인(151)을 통해 공급되는 글라스비드를 돌출차선이 생성된 노면을 향해 분사가능하게 위치하는 것으로, 분사방향이 하향지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분사노즐(153)은 일정한 각도(30~60°)로 기울어져 경사지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사노즐(153)은 상기 공급라인(151) 상에 연결 결합한 구조를 이루고, 돌출차선이 생성되는 상기 배출구(113)의 개수만큼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된다.
상기 제1배출조정부(120)는 상기 본체(110)의 배출구(113)를 통해 배출되는 도료의 배출 여부를 제어할 수 있게 상기 본체(110)의 하측에서 상기 배출구(113)를 1차적으로 개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1배출조정부(12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에서 상기 배출구(113)의 하부를 여닫도록 개폐하는 것으로서, 제1개폐플레이트(121)와 링크부재(123) 및 제1구동실린더(125)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개폐플레이트(121)는 상기 배출구(113)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113) 상에 접촉가능하게 위치하고 상기 본체(110)의 하부에 결합하여 전후로 슬라이딩 왕복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개폐플레이트(121)는 상기 배출구(113)에 접하는 한쪽 하단이 상기 배출구(113)를 향해 연장하여 상기 배출구(113)의 하면을 폐쇄가능하도록 연장단(127)을 구비한다.
상기 제1개폐플레이트(121)에서 상기 배출구(113)에 접하는 한쪽에는 상기 본체(110)의 저장공간(111)으로부터 상기 배출구(113)를 향해 도료가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경사로(128)가 형성된다.
상기 경사로는 상기 제1개폐플레이트(121) 상에 움푹 패인 홈 형태로 형성되며 경사진 면을 형성한다.
상기 제1개폐플레이트(121)에서 상기 배출구(113)와 접하는 반대편의 양쪽 측단에는 측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의 연결축(122)을 구비한다. 즉 상기 제1개폐플레이트(121)가 전후로 이동될 수 있게 상기 연결축(122)에 상기 링크부재(123)의 한쪽이 연결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링크부재(123)는 상기 제1개폐플레이트(121)와 상기 제1구동실린더(125)의 사이에서 상호 연결하여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개폐플레이트(121)의 연결축(122)에 결합하도록 한쪽에 연결홈(123a)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123a)의 반대쪽에는 상기 제1구동실린더(125)의 한쪽이 연결되도록 유동홀(123b)이 형성된 구조를 이룬다.
상기 연결홈(123a)은 상기 제1개폐플레이트(121)의 연결축(122)을 수용하여 연결된 구조를 이루고 상기 유동홀(123b)은 상기 제1구동실린더(125)의 한쪽을 수용하여 연결된 구조를 이루되 상기 연결홈(123a) 및 상기 유동홀(123b)은 수용한 상태에서 일정범위로 유동가능하게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한다.
상기 링크부재(123)는 소정의 각도(둔각)를 이루며 굽어진 부메랑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링크부재(123)의 굽어진 위치에서 상기 본체(110) 상에 힌지 결합하여 회전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1구동실린더(125)는 상기 제1개폐플레이트(121)가 전후 자동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1구동실린더(125)는 상기 본체(110)의 상부 한쪽(상기 배출구(113)의 반대편)에 고정 설치되고 로드가 상하 수직으로 신장운동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상기 제1구동실린더(125)는 상기 링크부재(123)를 향해 상하로 신장운동하여 상기 링크부재(123)의 회전운동을 도모한다.
상기 제1구동실린더(125)는 로드의 한쪽 끝단이 상기 링크부재(123)의 유동홀(123b)에 끼움 결합하여 연결된다.
상기 제2배출조정부(130)는 상기 제1배출조정부(120)에 연동하여 상기 배출구(113)를 상하로 개폐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배출구(113)로부터 배출되는 도료에 의해 노면에 돌출차선을 생성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배출조정부(130)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의 한쪽 벽면에 접하여 상기 본체(110)의 배출구(113)를 상하로 개폐하는 것으로서, 제2개폐플레이트(131)와 제2구동실린더(1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개폐플레이트(131)는 판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110) 상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하 수직으로 슬라이딩 왕복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2개폐플레이트(131)는 상기 본체(110)의 한쪽 벽면 즉 상기 배출구(113)가 구비된 벽면에 접하도록 위치한다.
상기 제2구동실린더(133)는 상기 본체(110)의 한쪽(상기 제1구동실린더(125)의 반대쪽) 상부에 브라켓(134)을 통해 상측으로 연장된 위치상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제2구동실린더(133)는 상기 제2개폐플레이트(131)를 승강시키도록 상기 제2개폐플레이트(131)의 동일수직선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구동실린더(133)의 로드 한쪽 끝단이 상기 제2개폐플레이트(131)의 상부에 연결 결합된 구조를 이룬다.
또한 상기 제2배출조정부(130)에는 상기 배출구(113)로 배출되는 도료로부터 돌출차선의 시공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113)의 개도(개구 면적)를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높이조절수단(140)을 구성한다.
상기 높이조절수단(140)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배출조정부(130)의 제2개폐플레이트(131)가 상하로 작동가능한 이동범위를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앵커볼트부재(141)와 고정너트부재(143) 및 조절너트부재(145)로 구성된다.
상기 앵커볼트부재(141)는 상기 제2배출조정부(130)의 상기 제2개폐플레이트(131) 상에 하단이 연결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토록 설치된다.
상기 앵커볼트부재(141)는 상기 본체(110) 상에 수직으로 연장하여 위치하되 상기 본체(110)에 형성된 홀을 통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앵커볼트부재(141)는 상기 제2개폐플레이트(131)의 상하 이동과 동일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앵커볼트부재(141)에는 외주연 상에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수나사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너트부재(143) 및 상기 조절너트부재(145)는 각각 암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앵커볼트부재(141) 상에 나사 결합하여 설치된다.
상기 고정너트부재(143)는 상기 앵커볼트부재(141)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본체(110)에 면 접촉된 상태로 위치한다.
상기 조절너트부재(145)는 상기 고정너트부재(143)의 하측에 서로 거리를 두고 위치한다. 즉 상기 조절너트부재(145)는 상기 앵커볼트부재(141) 상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고정너트부재(143)와의 거리를 조절하므로 상기 제2개폐플레이트(131)의 작동거리를 설정하여 돌출차선의 높이를 가변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높이조절수단(140)은 상기 제2배출조정부(130)의 제2구동실린더(133)를 중심으로 양쪽 대칭된 구조를 이루며 2개가 한 쌍을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의 작동관계를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발명의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100)를 시공할 도로의 노면으로 이동한 후 전원스위치(도면에 미도시)를 조작하여 시공작업을 개시한다. 이때, 상기 시공장치(100)는 본체(110)의 저장공간(111)에 도료를 지속적으로 투입하면서 작업을 진행하되 상기 본체(110)의 가이드부재(115) 하단이 노면 상에 접촉하도록 위치시킨 후 시공한다.
여기서 제1배출조정부(120)와 제2배출조정부(130)는 순서에 따라 본체(110)의 배출구(113)를 자동으로 개폐하며 작업을 진행하게 되는데, 상기 제1배출조정부(120)의 작동을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1구동실린더(125)에 제어신호가 전달되어 상향이동하면 링크부재(123)가 힌지 결합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개폐플레이트(121)가 후방으로 이동되므로 상기 본체(110)의 저장공간(111)에서 도료가 상기 배출구(113)를 향해 배출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배출구(113)를 향해 배출되는 도료로부터 노면에 돌출차선을 형성토록 시공함에는 제2배출조정부(130)가 일정한 패턴에 따라 작동하여 상기 배출구(113)를 개폐하므로 일정한 규격의 돌출차선을 시공하게 된다. 즉 상기 제2배출조정부(130)의 작동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2구동실린더(133)에 신호가 전달되어 동력이 인가되면 제2개폐플레이트(131)가 상향이동되면서 상기 본체(110)의 배출구(113)를 개방하므로 돌출차선의 형상대로 도료를 배출하고, 상기 제2구동실린더(133)의 의해 상기 제2개폐플레이트(131)가 하향이동되면서 상기 본체(110)의 배출구(113)를 폐쇄하므로 도료의 배출을 정지하는 동시에 일정한 형상의 돌출차선이 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2배출조정부(130)는 상기 제2구동실린더(133)를 규칙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제2개폐플레이트(131)에 의한 상기 배출구(113)의 개폐를 계속해서 반복하므로 도 7의 (a),(b)에서처럼 일정한 크기 및 형상의 돌출차선을 시공하게 된다.
나아가 노면에 시공되는 돌출차선에는 비드분사부(150)의 분사노즐(153)로부터 글라스비드가 강한 압력으로 분사되어 돌출차선 내에 침투되므로 도 7의 (c)에서처럼 야간에도 우수한 시인성을 갖는 돌출차선이 시공된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에 의하면, 도로에 돌출차선을 시공하여 차량의 제동시 슬립현상을 방지하고 고속도로와 같이 장시간 운행시 운전자의 졸음운전을 효율적으로 방지하여 교통안전사고 발생률 및 인명피해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돌출차선의 시공으로 야간 운행시 운전자로부터 차선에 대한 시인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우천시 운전자가 차선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도료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자동으로 개폐토록 구성하므로 작업자의 장비조작이 편리하고 시공작업이 용이하여 작업자에 대한 작업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배출조정부를 돌출차선이 시공되는 배출구와는 반대편의 본체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하므로 작업자의 시야를 확보하여 작업이 용이하면서도 정확한 시공을 도모하고 돌출차선이 생성되는 위치에 별다른 간섭요소를 배제하여 시공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돌출차선의 시공에 필요한 모든 구성이 각 위치에서 간단한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하므로 장치의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비용을 절감하여 가격경쟁력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도료가 배출되는 배출구의 개구 면적을 자유롭게 가변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 장소 및 목적에 따라 적절한 높이의 돌출차선을 다양하게 시공가능하여 차선시공의 실효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시공품질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에서 복수의 배출구(113) 중에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113)의 개폐 여부를 조절하는 도료잠금부(16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도료잠금부(160)는 상기 제1배출조정부(120)의 제1개폐플레이트(121) 상에 설치된다. 즉 상기 도료잠금부(160)는 상기 제1개폐플레이트(121)에서 상기 배출구(113)를 향해 전후로 슬라이딩운동가능하게 위치하는 것으로서, 잠금블록(161)과 너트부재(163) 및 잠금볼트부재(165)로 구성된다.
상기 잠금블록(161)과 너트부재(163) 및 잠금볼트부재(165)는 각각 상기 배출구(113)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상기 배출구(113)와 동일한 개수로 구성된다.
상기 잠금블록(161)은 상기 배출구(113)에 상응하는 크기 및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개폐플레이트(121)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배출구(113)에 개폐가능하게 접촉한다. 즉 상기 잠금블록(161)은 상기 배출구(113)에 끼워지도록 접하여 상기 배출구(113)를 폐쇄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너트부재(163)는 상기 제1개폐플레이트(121) 상에 고정 설치되고 암나사가 구비된다.
상기 잠금볼트부재(165)는 상기 너트부재(163)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잠금블록(161)의 한쪽에 연결된다. 즉 상기 잠금볼트부재(165)의 한쪽 끝단은 상기 잠금블록(161)의 한쪽 면에 접하여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잠금볼트부재(165)는 상기 잠금블록(161)을 전후로 이동시킨다.
예를 들면, 상기 잠금볼트부재(165)는 상기 너트부재(163)에 나사 결합하여 회전에 따라 전후로 직선운동하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한 다른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하면, 본체 상에 구비된 복수의 배출구 중에서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설정가능하게 구성하므로 하나의 본체로부터 돌출차선의 개수 및 배열을 다양하게 시공하여 시공품질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일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공장치(100)를 장착하여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이동수단(10)과, 도료를 저류하는 도료탱크(20)와, 상기 도료를 가열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열버너(30) 및 연료통(40)과, 글라스비드를 공급가능하게 구비되는 글라스비드탱크(50) 및 에어컴프레셔(60)와, 조작가능하게 구비되는 컨트롤러(7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수단(10)은 상기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100)를 탈착할 수 있도록 연결하고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시공방향을 설정하여 이동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이동수단(10)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자가 직접 이동하며 작업을 행하는 형태로서, 작업자가 손으로 운전하는 수동식 차량(10a)으로 구성한다.
상기 이동수단(10)에는 장비(도료탱크(20), 가열버너(30), 연료통(40), 글라스비드탱크(50), 에어컴프레셔(60), 컨트롤러(70) 등)를 탑재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수동식 차량(10a)에 따른 상기 이동수단(10)은 손으로 운전가능하게 손잡이 및 방향조절을 위한 가이드봉(13)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이동수단(10)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자의 운행에 따라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자동식 차량(10b)으로 구성한다.
상기 자동식 차량(10b)에 따른 상기 이동수단(10)은 원동기를 동력원으로 사용하여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주행하게 된다.
상기 자동식 차량(10b)으로는 소량작업에도 적용이 용이한 트랙터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이동수단(10)과 상기 시공장치(100)의 본체(110) 간에는 서로 결합관계를 유지하거나 분리하여 교체가능한 구조를 이룰 수 있게 상호 연결하는 체결수단(1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체결수단(170)을 구성하게 되면, 시공장치(100)를 자유롭게 탈착한 후 교체할 수 있어 시공분량 및 장소에 따라 이동수단(10)의 종류를 달리 적용하므로 작업이 용이함은 물론 작업효율을 높이며 시공공기를 대폭 단축하고 이동수단(10)에 다른 형태의 시공장치(100)를 탄력적으로 적용하여 다양하게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도료탱크(20)는 상기 이동수단(10)에 설치되고 내부에 도료를 일정량만큼 저류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도료탱크(20)에는 내부에 저류된 도료를 지속적으로 교반할 수 있게 교반유닛(25)을 구비한다.
상기 도료탱크(20)로부터 도료가 배출되는 유출구(27)에 상기 시공장치(100)의 본체(110)가 위치하도록 한다. 즉 상기 본체(110)의 상단에 도료를 공급가능하게 위치한다.
상기 가열버너(30)는 상기 도료탱크(20)의 하부에 설치된다. 즉 상기 가열버너(30)는 상기 도료탱크(20)를 가열하여 도료가 굳어버리지 않게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비한다.
상기 연료통(40)은 상기 이동수단(10)에 위치하고 상기 가열버너(30)에 연료(가스)를 공급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글라스비드탱크(50)는 상기 이동수단(10)에 설치되고 내부에 글라스비드를 수용한다.
상기 글라스비드탱크(50)는 상기 비드분사부(150)의 공급라인(151)에 글라스비드를 공급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에어컴프레셔(60)는 상기 제1배출조정부(120) 및 상기 제2배출조정부(130), 상기 비드분사부(150)에 각각 일정한 압력의 에어를 공급한다. 즉 상기 에어컴프레셔(60)는 상기 제1배출조정부(120)의 제1구동실린더(125)가 구동될 수 있게 동력원인 에어를 공급하고, 상기 제2배출조정부(130)의 제2구동실린더(133)가 구동될 수 있도록 에어를 공급하며, 상기 비드분사부(150)에 공급되는 글라스비드가 상기 분사노즐(153)을 통해 강하게 분사될 수 있도록 에어를 공급한다.
상기와 같이 에어컴프레셔(60)를 구성하게 되면, 글라스비드를 보다 강하게 분사시킬 수 있어 요철의 도료 내부로 글라스비드의 강제침투를 도모하여 시공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컨트롤러(70)는 상기 시공장치(100)의 전반적인 전원이나 구동을 제어할 수 있게 작업자로부터 조작가능한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컨트롤러(70)는 상기 에어컴프레셔(60)의 작동 여부와 함께 에어압을 제어가능하고, 상기 도료탱크(20)나 가열버너(30)의 작동 여부 및 상기 글라스비드탱크(50)의 작동 등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한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일실시예 및/또는 다른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등록청구범위와 명세서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이동수단 10a : 수동식 차량 10b : 자동식 차량
13 : 가이드봉 20 : 도료탱크 25 : 교반유닛
27 : 유출구 30 : 가열버너 40 : 연료통
50 : 글라스비드탱크 60 : 에어컴프레셔 70 : 컨트롤러
100 : 시공장치 110 : 본체 111 : 저장공간
113 : 배출구 115 : 가이드부재 120 : 제1배출조정부
121 : 제1개폐플레이트 122 : 연결축 123 : 링크부재
123a : 연결홈 123b : 유동홀 125 : 제1구동실린더
127 : 연장단 128 : 경사로 130 : 제2배출조정부
131 : 제2개폐플레이트 133 : 제2구동실린더 134 : 브라켓
140 : 높이조절수단 141 : 앵커볼트부재 143 : 고정너트부재
145 : 조절너트부재 150 : 비드분사부 151 : 공급라인
153 : 분사노즐 155 : 지지브라켓 160 : 도료잠금부
161 : 잠금블록 163 : 너트부재 165 : 잠금볼트부재
170 : 체결수단

Claims (13)

  1. 상부가 개구되어 일정량의 도료를 유입한 후 저류시킬 수 있도록 저장공간을 구비하고 하부 한쪽에는 상기 저장공간에 저류된 도료를 배출가능하게 복수의 배출구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배출구를 통해 도료의 배출 여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본체의 하측에서 상기 배출구를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배출조정부와;
    상기 본체의 한쪽 벽면에 접하도록 설치되고 노면에 돌출차선을 생성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배출조정부에 연동하여 상기 배출구를 상하로 개폐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배출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배출조정부는 상기 배출구에 접하도록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배출구를 개폐토록 전후로 슬라이딩 왕복운동가능하며 양쪽 측단에는 측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의 연결축을 구비하는 제1개폐플레이트와, 상기 제1개폐플레이트의 연결축에 결합하도록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의 반대쪽에는 유동홀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 상에 힌지 결합하여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링크부재와, 상기 링크부재의 유동홀에 한쪽 끝단이 끼움 결합하고 상기 제1개폐플레이트가 전후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링크부재를 향해 신장운동하는 제1구동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2배출조정부는, 상기 배출구가 구비된 상기 본체의 벽면에 한쪽 면이 접하도록 위치하고 상하 수직으로 슬라이딩 왕복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개폐플레이트와, 상기 제2개폐플레이트의 상부에 한쪽 끝단이 연결 결합하여 서로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개폐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제2구동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배출조정부에는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도료로부터 돌출차선의 시공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의 개구 면적을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제2배출조정부 상에 하단이 연결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본체 상에 수직으로 연장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며 외주연 상에 수나사가 형성되는 앵커볼트부재와, 상기 앵커볼트부재 상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본체에 면 접촉하는 고정너트부재와, 상기 고정너트부재의 하측에 서로 거리를 두고 위치하고 상기 앵커볼트부재 상에 상하로 이동가능하여 상기 고정너트부재와의 거리를 조절하는 조절너트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도료가 배출되는 하부 양쪽 측면에 설치되고 시공작업에 따른 이동과정에서 하단이 노면에 접하여 작업을 안내하도록 완만한 곡면의 접촉면이 형성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한쪽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되어 노면 상에 형성된 돌출차선을 향해 글라스비드를 분사가능하게 구성되는 비드분사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비드분사부는, 코팅제인 글라스비드를 공급가능하게 형성되는 공급라인과, 상기 공급라인 상에 상기 배출구로부터 돌출차선이 생성되는 개수만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되고 노면을 향해 글라스비드를 분사가능하게 구비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출조정부의 제1개폐플레이트 상에 설치되고 상기 배출구를 향해 전후로 슬라이딩운동가능하여 복수의 배출구 중에서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의 개폐 여부를 조절하는 도료잠금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도료잠금부는, 상기 제1개폐플레이트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배출구에 개폐가능하게 접하는 잠금블록과, 상기 제1개폐플레이트 상에 고정 설치되고 암나사가 구비되는 너트부재와, 상기 너트부재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잠금블록의 한쪽에 연결되어 상기 잠금블록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잠금볼트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를 탈착할 수 있도록 연결하고 조작에 따라 방향을 설정하여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에 설치되고 내부에 도료를 저류한 후 교반될 수 있도록 교반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의 상단에 도료를 공급가능하게 위치하는 도료탱크와, 상기 도료탱크의 하부에 설치되고 도료가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가열하는 가열버너와, 상기 가열버너에 연료를 공급가능하게 연결되는 연료통과, 상기 이동수단에 설치되고 내부에 글라스비드를 수용하며 글라스비드를 공급가능하게 연결되는 글라스비드탱크와, 상기 제1배출조정부 및 상기 제2배출조정부에 각각 일정한 압력의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컴프레셔와, 상기 에어컴프레셔의 에어압 및 상기 도료탱크, 상기 가열버너, 상기 글라스비드탱크의 전반적인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손잡이 및 방향조절을 위한 가이드봉을 구비하고 작업자가 손으로 운전하며 장비를 탑재가능하게 형성된 수동식 차량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원동기를 동력원으로 사용하여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주행가능하게 형성된 자동식 차량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과 상기 본체 간에는 서로 결합관계를 유지하거나 분리하여 교체가능한 구조를 이룰 수 있게 상호 연결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
KR1020120143190A 2012-12-11 2012-12-11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 KR101392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3190A KR101392886B1 (ko) 2012-12-11 2012-12-11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3190A KR101392886B1 (ko) 2012-12-11 2012-12-11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2886B1 true KR101392886B1 (ko) 2014-05-09

Family

ID=50893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3190A KR101392886B1 (ko) 2012-12-11 2012-12-11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288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6175A (ko) * 2014-08-04 2016-02-15 최주연 우천형 돌출 스프레이 차선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90025275A (ko) * 2017-09-01 2019-03-11 이유정 도포식 졸음방지 시공장치
KR20190025279A (ko) * 2017-09-01 2019-03-11 이유정 졸음방지 시설물 시공장치
KR20200011756A (ko) * 2018-07-25 2020-02-04 고경민 실링 가이드 장치
KR102147789B1 (ko) 2020-03-26 2020-08-25 (주)라인테크 돌출차선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돌출차선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9331B2 (ja) * 1993-09-21 1996-12-04 信号器材株式会社 新規・再生両用道路標示塗布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218758Y1 (ko) * 2000-10-25 2001-04-02 하스라인주식회사 차선도포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9331B2 (ja) * 1993-09-21 1996-12-04 信号器材株式会社 新規・再生両用道路標示塗布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218758Y1 (ko) * 2000-10-25 2001-04-02 하스라인주식회사 차선도포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6175A (ko) * 2014-08-04 2016-02-15 최주연 우천형 돌출 스프레이 차선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662506B1 (ko) * 2014-08-04 2016-10-05 최주연 우천형 돌출 스프레이 차선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90025275A (ko) * 2017-09-01 2019-03-11 이유정 도포식 졸음방지 시공장치
KR20190025279A (ko) * 2017-09-01 2019-03-11 이유정 졸음방지 시설물 시공장치
KR102112110B1 (ko) * 2017-09-01 2020-05-18 주식회사 형제이엔지 도포식 졸음방지 시공장치
KR102112111B1 (ko) * 2017-09-01 2020-06-04 주식회사 형제이엔지 졸음방지 시설물 시공장치
KR20200011756A (ko) * 2018-07-25 2020-02-04 고경민 실링 가이드 장치
KR102100685B1 (ko) 2018-07-25 2020-04-16 고경민 실링 가이드 장치
KR102147789B1 (ko) 2020-03-26 2020-08-25 (주)라인테크 돌출차선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돌출차선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2886B1 (ko)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
EP0807714B1 (en) Vehicle towed apparatus for striping of roads
KR100721510B1 (ko)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시공법
CN100590263C (zh) 路面整修机
KR101252655B1 (ko) 돌출차선표시용 시공장치
KR100930075B1 (ko) 콤팩트화된 동력식 노면 표시 도색장치
KR101524746B1 (ko) 5 내지 45cm 폭의 횡단보도 도색이 가능한 광폭 가변형 노면표시장비용 도색모듈
KR101273438B1 (ko) 횡단보도용 차선도색장치
KR101025279B1 (ko) 승강식 도료분사장치가 구성된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
KR100501992B1 (ko) 차선도색차량
KR101483848B1 (ko) 차선 도색용 도료용융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선 도색기
KR101252657B1 (ko) 돌출형 차선 시공장치
KR100700037B1 (ko) 전동식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
KR101329801B1 (ko) 반자동식 차선 도색장치
KR101493778B1 (ko) 스프레드 노즐형 차선 시공장치
KR101133570B1 (ko) 선명도를 향상시킨 차선 및 상기 선명도를 향상시킨 차선의 스프레이 융착식 선명도향상차선 도색장치와 선명도향상차선 도색방법
KR100400820B1 (ko) 차선도포기
KR101662463B1 (ko) 다기능을 갖는 차선도색 시공방법
KR101112778B1 (ko) 비드분사각 조절용 반사갓을 구비한 차선도포기
KR101747370B1 (ko) 융착식 차선 도색장치
JP2007303219A (ja) アスファルトフィニッシャにおけるアスファルト乳剤散布装置
KR200218758Y1 (ko) 차선도포기
CN206752262U (zh) 一种应用于沥青路面冷再生技术的石灰方格撒布车
CN108708263B (zh) 一种自驱型的双组份智能道路划线设备与划线方法
KR101549354B1 (ko) 차선 도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