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2657B1 - 돌출형 차선 시공장치 - Google Patents

돌출형 차선 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2657B1
KR101252657B1 KR1020120143189A KR20120143189A KR101252657B1 KR 101252657 B1 KR101252657 B1 KR 101252657B1 KR 1020120143189 A KR1020120143189 A KR 1020120143189A KR 20120143189 A KR20120143189 A KR 20120143189A KR 101252657 B1 KR101252657 B1 KR 101252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e
main body
paint
opening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3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홍범
조형오
Original Assignee
(주)라인테크
조형오
이홍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라인테크, 조형오, 이홍범 filed Critical (주)라인테크
Priority to KR1020120143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26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2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2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25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characterised by flow controlling means, e.g. valves, located proximate the out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의 노면에 일정한 간격의 돌출된 차선을 시공하여 차량의 제동시 차륜의 슬립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돌출차선의 높이를 임의로 설정한 후 시공할 수 있어 시공의 다양성 및 우수한 시공성을 도모하도록, 일정량의 도료를 유입하여 저류시킬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된 저류공간을 구비하고 하부 한쪽에는 상기 저류공간에 저류된 도료를 배출가능하도록 배출구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연결 결합하고 상기 배출구의 하측을 개폐하여 상기 저류공간으로부터 도료의 배출 여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배출제어부와; 상기 본체의 한쪽 벽면에서 상기 배출구를 상하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지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의 차선을 생성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돌출차선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차선생성부에는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도료로부터 차선의 시공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의 개도(개구 면적)를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는 돌출형 차선 시공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돌출형 차선 시공장치{Projection Type Traffic Lane Painting Constru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돌출형 차선 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의 노면에 일정한 간격의 돌출된 차선을 시공하여 차량의 제동시 차륜의 슬립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돌출차선의 높이를 임의로 설정한 후 시공할 수 있어 시공의 다양성 및 우수한 시공성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돌출형 차선 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노면에는 차량의 주행방향을 분리하도록 도로의 중심선 상에 중앙선을 도색하여 표시하고, 차량 간의 주행 구간을 분리하기 위한 주행차선을 도색하여 표시하며, 그 외에도 사람들의 횡단지역임을 표시하는 횡단보도 등 다양한 형태의 차선을 규정한 후 시공하고 있다. 나아가 최근에는 주행중 차선을 이탈하여 운전하거나 졸음운전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차선에 요철과 같이 돌출된 형태를 갖는 이탈방지차선이나 졸음방지차선 즉 별도의 돌출차선을 시공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차선의 도색은 도료를 압축하여 분사하는 형태로 시공하는 방법과, 도료를 용융시켜서 노면에 흘려 융착하는 형태로 시공하는 방법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각 도로의 노면에 시공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차선 시공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차선 시공장치와 관련하여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특허청의 공고실용신안공보 제1657호(1995.03.11.)에는 대차 상에 페인트통과 이를 가열하기 위한 가스버너 및 가스통이 탑재된 융착식 차선 도색기에 있어서, 상기한 페인트통의 하부 일측에 설치된 게이트의 하측방으로 저류실을 형성하고, 이 저류실의 바닥 통로 상에 개폐판을 배치함과 아울러 상기한 개폐판의 일단부를, 중간부가 축에 의해 축 지지된 엘보우의 일단부로 축 이음하고, 상기한 엘보우의 타측 단장공에는 개폐손잡이에서 분지된 링크의 자유단부를 끼워 맞추고, 상기한 저류실의 일측방에 통상의 가스버너를 비치하여 구성됨에 따라 단시간에 용융된 페인트를 얻을 수 있게 하여 작업의 능률화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식 차선 도색기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청의 공개특허공보 제10704호(1999.02.18.)에는 대차에 손잡이 및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가이드봉이 설치되어 있으며, 도료용융탱크와 이를 가열하는 연료로서 가스통 및 반사체탱크가 설치되고, 상기 도료용융탱크에 설치되는 게이트를 통하여 흘러나오는 도료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의 하부에 도료살포부를 설치하고, 상기 도료살포부의 후방에 반사체살포부를 설치하여 구동부에 의하여 구동되는 융착식 차선 도색기에 있어서, 상기 도료살포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구동부에 따라 회전하는 브러쉬롤 및 공급롤에 의하여 요철이 있는 노면이나 평활하지 않는 노면에 도료를 분사시켜 도포함과 동시에 상기 도포된 도료위에 반사체살포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구동부에 따라 회전하는 한 쌍의 브러쉬롤에 의하여 반사체를 살포하여 상기 도료가 응고되기 전에 침적됨에 따라 고착율 및 반사효과가 양호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식 차선 도색기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에서 공고실용신안공보 제1657호 및 공개특허공보 제10704호의 경우에는 양자 모두 일반적인 평평한 차선의 시공에만 가능할 뿐 돌출차선과 같은 특수한 차선을 시공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단순히 차선을 융착하는 시공만으로는 차선에 대한 운전자의 시야 확보가 주간주행에만 용이할 뿐 야간 주행시 차선이 잘 보이지 않아 사고를 일으킬 위험이 있으며, 이에 따라 야간에도 차선으로부터 차량의 주행을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도록 차량의 전조등 빛을 양호하게 반사시키는 빛 반사입자인 글라스비드 입자를 차선시공시 도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기술 중에서 공고실용신안공보 제1657호의 경우에는 단순히 차선의 융착 시공만이 가능하여 글라스비드를 도포하기 위한 별도의 도포장비를 통한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로우며 인건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가 있고, 반면 상기한 종래기술 중에서 공개특허공보 제10704호의 경우에는 반사체를 브러쉬의 구동력에 의해서만 살포하여 도료 내에 침투하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 시공장치는 모두 대차나 수동차량에 고정 설치된 구조로서 작업자가 직접 밀어 이동하는 수작업으로 시공되므로 소량의 작업에만 가능할 뿐 고속도로와 같이 방대한 작업량을 요하는 시공장소에는 작업 자체가 힘들고 시공공기가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 돌출형 차선을 시공하기 위한 장치로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특허청의 등록특허공보 제1036179호(2011.05.16.)와 같은 기술을 들 수 있다.
상기 등록특허공보 제1036179호는 차선을 도색하는 평면상 차선 도색용 바스켓과 평면상 차선 도색용 바스켓을 통해 도색된 차선의 상부면 상에 일정간격으로 점점이 돌출 형성되는 돌출형 차선을 도색하는 돌출형 차선 도색용 바스켓을 동일선상 정후로 구성하여 도색차량의 기동에 따른 평면상의 차선과 그 상부면에 돌출형의 차선을 동시에 도색할 수 있도록 하는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돌출형 차선 도색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등록특허공보 제1036179호는 복잡한 구성으로부터 제조상의 어려움이 발생하게 되고, 도료를 정해진 면적의 구멍으로만 일정하게 토출하여 항상 동일한 높이를 갖는 돌출차선만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그 높이가 극히 한정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노면에 돌출차선을 시공하여 운행 중인 차량의 제동시 차륜의 슬립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운전자의 졸음운전을 효율적으로 방지하고, 도료가 배출되는 개구 면적의 높이를 가변설정할 수 있어 시공장소에 따라 다양한 높이의 돌출차선을 시공하므로 시공의 실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돌출형 차선 시공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수동식 차량이나 자동식 차량에 용이하게 결합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 소량 및 대량 작업과 같은 시공종류에 따라 탄력적으로 교체 적용하여 작업이 용이하고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돌출형 차선 시공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돌출형 차선 시공장치는 일정량의 도료를 유입하여 저류시킬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된 저류공간을 구비하고 하부 한쪽에는 상기 저류공간에 저류된 도료를 배출가능하도록 배출구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연결 결합하고 상기 배출구의 하측을 개폐하여 상기 저류공간으로부터 도료의 배출 여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배출제어부와; 상기 본체의 한쪽 벽면에서 상기 배출구를 상하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지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의 차선을 생성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돌출차선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차선생성부에는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도료로부터 차선의 시공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의 개도(개구 면적)를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에는 도료가 배출되는 하부 양쪽 측면에 설치되고 시공작업에 따른 이동과정에서 하단이 노면에 접하여 작업을 안내하도록 완만한 곡면의 접촉면이 형성되는 가이드부재를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의 한쪽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되어 노면 상에 형성된 돌출차선을 향해 글라스비드를 분사가능하게 구성되는 비드분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비드분사부는 코팅제인 글라스비드를 공급가능하게 형성되는 공급라인과, 상기 공급라인 상에 상기 배출구로부터 돌출차선이 생성되는 개수만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되고 노면을 향해 글라스비드를 분사가능하게 구비되는 분사노즐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출제어부는 상기 본체의 하부에 전후로 슬라이딩 왕복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한쪽이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도록 접하며 반대편 양쪽 측단에는 돌기축을 구비하는 제1개폐플레이트와, 상기 제1개폐플레이트의 돌기축에 한쪽이 연결 결합하도록 연결홈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홈의 반대쪽에는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 상에 힌지축으로 연결되어 소정 각도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링크부재와, 상기 링크부재의 장공에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가능하게 연결축이 끼움 결합하고 사용자로부터 도료의 배출 여부 및 배출량을 설정하여 조작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손잡이로 이루어진다.
상기 돌출차선생성부는 상기 배출구가 구비된 벽면에 접하도록 상기 본체 상에 위치하고 상하로 슬라이딩 왕복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개폐플레이트와, 상기 제2개폐플레이트의 동일수직선상에 위치하여 한쪽 끝단이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2개폐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구동실린더로 구성한다.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돌출차선생성부 상에 한쪽이 연결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본체 상에 수직으로 연장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며 외주연 상에 수나사가 형성되는 앵커볼트부재와, 상기 앵커볼트부재 상에 고정 설치되고 상측에서 상기 본체에 면 접촉하는 고정너트부재와, 상기 고정너트부재의 하측에 서로 거리를 두고 위치하고 상기 앵커볼트부재 상에 상하로 이동가능하여 상기 고정너트부재와의 거리를 조절하는 조절너트부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돌출형 차선 시공장치를 탈착할 수 있도록 연결하고 조작에 따라 방향을 설정하여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에 설치되고 내부에 도료를 저류한 후 교반될 수 있도록 교반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호퍼의 상단에 도료를 공급가능하게 위치하는 도료탱크와, 상기 도료탱크의 하부에 설치되고 도료가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가열하는 가열버너와, 상기 가열버너에 연료를 공급가능하게 연결되는 연료통과, 상기 이동수단에 설치되고 내부에 글라스비드를 수용하며 글라스비드를 공급가능하게 연결되는 글라스비드탱크와, 상기 돌출차선생성부에 일정한 압력의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컴프레셔와, 상기 에어컴프레셔의 에어압 및 상기 도료탱크, 상기 가열버너, 상기 글라스비드탱크의 전반적인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이동수단은 손잡이 및 방향조절을 위한 가이드봉을 구비하고 작업자가 손으로 운전하며 장비를 탑재가능하게 형성된 수동식 차량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이동수단은 원동기를 동력원으로 사용하여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주행가능하게 형성된 자동식 차량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이동수단과 상기 본체 간에는 서로 결합관계를 유지하거나 분리하여 교체가능한 구조를 이룰 수 있게 상호 연결하는 체결수단을 구성하다.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차선 시공장치에 의하면, 도로의 노면에 돌출차선을 용이하게 시공하여 차량의 제동시 차륜의 슬립현상 및 운전자의 졸음운전을 방지하므로 안전사고 발생률을 낮추고 인명피해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돌출차선의 시공으로 야간 운행시 운전자로부터 차선에 대한 시인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우천시 운전자가 차선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차선 시공장치는 배출구의 개구 면적을 자유롭게 가변하여 설정한 후 시공하므로 장소 및 목적에 따라 적절한 높이의 돌출차선을 다양하게 시공가능함은 물론 시공의 실효성을 대폭 향상시키고 우수한 품질의 시공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차선 시공장치는 수동식 차량 또는 자동식 차량에 탈착가능한 체결수단을 구성하여 시공장치를 자유롭게 탈착한 후 교체할 수 있으므로 시공분량 및 장소에 따라 이동수단의 종류를 달리 적용하여 작업이 용이함은 물론 작업효율을 높이며 시공공기를 대폭 단축하고 이동수단에 다른 형태의 시공장치를 탄력적으로 적용하여 다양하게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차선 시공장치는 강력한 에어 압력에 의해 글라스비드를 보다 강하게 분사시킬 수 있어 돌출차선의 도료 내부로 글라스비드의 강제침투를 도모하므로 시공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높이조절수단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배출제어부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돌출차선생성부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수단의 제1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수단의 제2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본 발명은 일정량의 도료를 유입하여 저류시킬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된 저류공간을 구비하고 하부 한쪽에는 상기 저류공간에 저류된 도료를 배출가능하도록 배출구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연결 결합하고 상기 배출구의 하측을 개폐하여 상기 저류공간으로부터 도료의 배출 여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배출제어부와; 상기 본체의 한쪽 벽면에서 상기 배출구를 상하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지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의 차선을 생성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돌출차선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차선생성부에는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도료로부터 차선의 시공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의 개도(개구 면적)를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는 돌출형 차선 시공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도료가 배출되는 하부 양쪽 측면에 설치되고 시공작업에 따른 이동과정에서 하단이 노면에 접하여 작업을 안내하도록 완만한 곡면의 접촉면이 형성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돌출형 차선 시공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한쪽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되어 노면 상에 형성된 돌출차선을 향해 글라스비드를 분사가능하게 구성되는 비드분사부를 더 포함하는 돌출형 차선 시공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드분사부는 코팅제인 글라스비드를 공급가능하게 형성되는 공급라인과, 상기 공급라인 상에 상기 배출구로부터 돌출차선이 생성되는 개수만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되고 노면을 향해 글라스비드를 분사가능하게 구비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돌출형 차선 시공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제어부는 상기 본체의 하부에 전후로 슬라이딩 왕복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한쪽이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도록 접하며 반대편 양쪽 측단에는 돌기축을 구비하는 제1개폐플레이트와, 상기 제1개폐플레이트의 돌기축에 한쪽이 연결 결합하도록 연결홈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홈의 반대쪽에는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 상에 힌지축으로 연결되어 소정 각도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링크부재와, 상기 링크부재의 장공에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가능하게 연결축이 끼움 결합하고 사용자로부터 도료의 배출 여부 및 배출량을 설정하여 조작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손잡이를 포함하는 돌출형 차선 시공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차선생성부는 상기 배출구가 구비된 벽면에 접하도록 상기 본체 상에 위치하고 상하로 슬라이딩 왕복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개폐플레이트와, 상기 제2개폐플레이트의 동일수직선상에 위치하여 한쪽 끝단이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2개폐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구동실린더를 포함하는 돌출형 차선 시공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돌출차선생성부 상에 한쪽이 연결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본체 상에 수직으로 연장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며 외주연 상에 수나사가 형성되는 앵커볼트부재와, 상기 앵커볼트부재 상에 고정 설치되고 상측에서 상기 본체에 면 접촉하는 고정너트부재와, 상기 고정너트부재의 하측에 서로 거리를 두고 위치하고 상기 앵커볼트부재 상에 상하로 이동가능하여 상기 고정너트부재와의 거리를 조절하는 조절너트부재를 포함하는 돌출형 차선 시공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돌출형 차선 시공장치를 탈착할 수 있도록 연결하고 조작에 따라 방향을 설정하여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에 설치되고 내부에 도료를 저류한 후 교반될 수 있도록 교반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호퍼의 상단에 도료를 공급가능하게 위치하는 도료탱크와, 상기 도료탱크의 하부에 설치되고 도료가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가열하는 가열버너와, 상기 가열버너에 연료를 공급가능하게 연결되는 연료통과, 상기 이동수단에 설치되고 내부에 글라스비드를 수용하며 글라스비드를 공급가능하게 연결되는 글라스비드탱크와, 상기 돌출차선생성부에 일정한 압력의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컴프레셔와, 상기 에어컴프레셔의 에어압 및 상기 도료탱크, 상기 가열버너, 상기 글라스비드탱크의 전반적인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돌출형 차선 시공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수단은 손잡이 및 방향조절을 위한 가이드봉을 구비하고 작업자가 손으로 운전하며 장비를 탑재가능하게 형성된 수동식 차량으로 구성하는 돌출형 차선 시공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수단은 원동기를 동력원으로 사용하여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주행가능하게 형성된 자동식 차량으로 구성하는 돌출형 차선 시공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수단과 상기 본체 간에는 서로 결합관계를 유지하거나 분리하여 교체가능한 구조를 이룰 수 있게 상호 연결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돌출형 차선 시공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차선 시공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차선 시공장치의 일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10)와, 배출제어부(120)와, 돌출차선생성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1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가 개구된 상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작업에 사용될 도료를 일정량 유입하여 저류시킬 수 있도록 내부가 빈 공간인 저류공간(111)을 구비한다.
상기 본체(110)의 상부에는 개구된 상태로부터 폐쇄가능하도록 덮개(도면에 미도시)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본체(110)의 저류공간(111)에 유입된 도료에 이물질이 침투하거나 도료가 쉽게 굳어버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닫을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덮개(도면에 미도시)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본체(110)의 하부 한쪽에는 상기 저류공간(111)에 저류된 도료를 배출가능하도록 배출구(113)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113)는 도로의 노면에 시공하고자하는 돌출차선의 형상 및 크기를 반영하여 형성한다.
상기 배출구(113)는 상기 본체(110) 상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복수로 구비된다. 즉 상기 배출구(113)는 상기 본체(110)로부터 배출되는 위치에서 폭 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2개 또는 3개로 구비토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본체(110)에서 도료가 배출되는 하부 즉 상기 배출구(113)가 구비된 상기 본체(110)의 하부 양쪽 측면에는 시공작업에 따른 이동과정에서 하단이 노면에 접하여 작업을 안내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부재(115)가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부재(115)는 작업시 노면에 접하는 접촉면이 완만한 곡면을 갖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완만한 곡면을 갖는 가이드부재(115)를 구성하게 되면, 노면이 울퉁불퉁하게 솟은 구간에서도 원활하게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본체의 한쪽에는 글라스비드를 분사가능하게 비드분사부(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비드분사부(150)는 노면 상에 글라스비드를 분사하도록 상기 배출구(113)가 형성된 상기 본체(110)의 후방에 위치한다. 즉 상기 비드분사부(150)는 상기 배출구(113)로부터 배출되어 형성되는 돌출차선을 향해 글라스비드를 분사하여 코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비드분사부(150)는 상기 본체(110)의 한쪽으로 지지브라켓(155)에 의해 연장된 위치상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공급라인(151)과 분사노즐(153)로 구성된다.
상기 공급라인(151)은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코팅제인 글라스비드를 공급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공급라인(151)은 외부로부터 글라스비드를 이송하여 공급가능하게 적어도 1개 이상이 연결 설치된다.
상기 공급라인(151)에는 글라스비드가 공급되되 소정의 에어압과 함께 글라스비드가 공급되어 강하게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분사노즐(153)은 노면을 향해 글라스비드를 분사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 분사노즐(153)은 상기 본체(110)의 배출구(113)로부터 배출되어 노면에 시공되는 돌출차선을 향해 글라스비드를 분사가능하게 하향지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분사노즐(153)은 일정한 각도(30~60°)로 기울어져 경사지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사노즐(153)은 상기 공급라인(151) 상에 돌출차선이 생성되는 상기 본체(110)의 배출구(113)의 개수만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본체(110)로부터 2개의 돌출차선을 시공하기 위해 상기 배출구(113)의 개수가 2개인 경우, 상기 분사노즐(153)도 그에 상응하게 2개를 구비토록 구성한다.
상기 배출제어부(120)는 상기 본체(110)의 저류공간(111)으로부터 도료의 배출 여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113)의 하측을 개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배출제어부(12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의 하부에 즉 상기 본체(110)에서 상기 배출구(113)가 형성된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배출구(113)를 여닫도록 개폐하는 것으로서, 제1개폐플레이트(121)와 링크부재(123) 및 개폐손잡이(126)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개폐플레이트(121)는 판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110)의 하부에 결합하여 전후로 슬라이딩 왕복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개폐플레이트(121)는 한쪽이 상기 배출구(113)에 접촉하여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개폐플레이트(121)는 상기 배출구(113)에 접하는 한쪽 하단이 상기 배출구(113)의 하측을 폐쇄토록 접할 수 있게 연장 형성되는 연장단(127)을 구비한다.
상기 연장단(127)의 상면에는 상기 배출구(113)와 동일수직선상으로 소정의 높이를 갖는 결속돌기(128)를 구비하여 상기 배출구(113)에 연결관계를 유지할 수 있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개폐플레이트(121)의 한쪽(상기 배출구(113)에 접하는 쪽) 상측에는 상기 본체(110)의 저류공간(111)으로부터 상기 배출구(113)를 향해 도료가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경사로(129)가 형성된다.
상기 경사로(129)는 홈 형태로 형성되고, 소정의 각도(40~60°)로 경사진 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개폐플레이트(121)에서 반대편(상기 배출구(113)의 반대편) 양쪽 측단에는 돌기축(122)을 구비한다. 즉 상기 제1개폐플레이트(121)가 전후로 슬라이딩 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돌기축(122)을 통해 상기 링크부재(123)와 연결 결합한다.
상기 링크부재(123)는 "ㄱ"형상 즉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수평 바(123a)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수직 바(123b)를 구비한 구조를 이루고, 상기 본체(110) 상에 힌지축(C)으로 연결되어 소정 각도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링크부재(123)는 상기 개폐손잡이(126)로부터 수평 바(123a)의 한쪽을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힌지축(C)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수직 바(123b)의 하단이 후방으로 이동하므로 상기 제1개폐플레이트(121)를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링크부재(123)는 상기 개폐손잡이(126)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개폐플레이트(121)가 이동될 수 있도록 상호 연결한다. 즉 상기 링크부재(123)는 상기 제1개폐플레이트(121)의 돌기축(122)에 한쪽이 연결 결합하도록 연결홈(124)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홈(124)의 반대쪽에는 상기 개폐손잡이(126)의 한쪽 끝단이 결합하여 서로 연결된 관계를 유지하도록 장공(125)이 형성된다.
상기에서 연결홈(124)은 상기 링크부재(123)의 수직으로 연장된 수직 바(123b) 하단에 상기 제1개폐플레이트(121)의 돌기축(122)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장공(125)은 상기 링크부재(123)의 수평으로 연장된 수평 바(123a) 상에 상기 개폐손잡이(126)의 한쪽을 수용한 후 일정한 유동범위를 이룰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한다.
상기 개폐손잡이(126)는 상기 본체(110)의 한쪽에서 상측으로 길게 연장하여 사용자로부터 조작가능한 구조로 구성된다. 즉 상기 개폐손잡이(126)는 사용자로부터 도료의 배출 여부 및 배출량을 설정하여 조작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개폐손잡이(126)는 상기 링크부재(123)에 연결되어 상기 개폐손잡이(126)의 조작에 따라 상기 링크부재(123)가 작동될 수 있도록 결합한다. 즉 상기 개폐손잡이(126)는 상기 링크부재(123)의 장공(125)에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가능하게 연결축(126a)이 끼움 결합하여 구성된다.
상기 개폐손잡이(126)는 상기 본체(110) 상에 고정된 지지대(126b)에 끼워져 사용자로부터 누름 조작가능한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돌출차선생성부(130)는 상기 본체(110)의 배출구(113)를 통해 배출되는 도료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의 차선을 생성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돌출차선생성부(130)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의 한쪽 벽면에서 상기 배출구(113)를 상하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2개폐플레이트(131)와 구동실린더(1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개폐플레이트(131)는 판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110) 상에 위치하여 상하로 슬라이딩 왕복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2개폐플레이트(131)는 상기 본체(110)의 한쪽 벽면 즉 상기 배출구(113)가 구비된 벽면에 접하도록 위치한다.
상기 구동실린더(133)는 상기 본체(110)의 한쪽 상부에 브라켓(134)에 의해 상측으로 연장된 위치상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구동실린더(133)는 상기 제2개폐플레이트(131)를 승강시키도록 동력을 인가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제2개폐플레이트(131)의 동일수직선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개폐플레이트(131)의 로드 한쪽 끝단이 연결되도록 상기 제2개폐플레이트(131)의 동일수직선상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돌출차선생성부(130)에는 상기 배출구(113)로 배출되는 도료로부터 차선(돌출차선)의 시공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113)의 개도(개구 면적)를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높이조절수단(140)을 구성한다.
상기 높이조절수단(140)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돌출차선생성부(130)의 제2개폐플레이트(131)가 상하로 작동가능한 유격을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앵커볼트부재(141)와 고정너트부재(143) 및 조절너트부재(145)로 구성된다.
상기 앵커볼트부재(141)는 하단이 상기 돌출차선생성부(130)의 제2개폐플레이트(131) 상에 한쪽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토록 연결된다.
상기 앵커볼트부재(141)는 수직으로 길게 연장하여 상기 본체(110)에 구비된 홀 상에 위치하도록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앵커볼트부재(141)는 상기 돌출차선생성부(130)의 구동실린더(133)에 의해 상기 제2개폐플레이트(131)가 상하로 이동하는 경우 동일하게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앵커볼트부재(141)에는 외주연 상에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수나사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너트부재(143) 및 상기 조절너트부재(145)는 상기 앵커볼트부재(141) 상에 나사 결합하여 설치된다.
상기 고정너트부재(143)는 상기 앵커볼트부재(141) 상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본체(110) 상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본체(110)에 면 접촉하여 위치한다.
상기 조절너트부재(145)는 상기 고정너트부재(143)의 하측에 서로 거리를 두고 위치한다. 즉 상기 조절너트부재(145)와 상기 고정너트부재(143)와의 거리만큼 상기 돌출차선생성부(130)의 제2개폐플레이트(131)가 상하로 이동된다.
상기 조절너트부재(145)는 상기 앵커볼트부재(141) 상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조절너트부재(145)를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고정너트부재(143)와의 거리를 조절하므로 상기 제2개폐플레이트(131)가 상하로 이동되는 범위를 설정가능하다.
상기 고정너트부재(143) 및 상기 조절너트부재(145)는 각각 복수로 구비하여 상기 앵커볼트부재(141)의 상하 이동에 의한 상기 본체(110)와의 접촉으로부터 상기 고정너트부재(143) 및 상기 조절너트부재(145)가 미동하지 못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수단(140)은 상기 돌출차선생성부(130)의 구동실린더(133)를 중심으로 양쪽 대칭된 구조를 이루면 2개를 한 쌍으로 구비토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돌출형 차선 시공장치의 작동관계를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발명의 돌출형 차선 시공장치로부터 시공할 도로의 노면 위치로 이동한 후 시공작업을 개시하는바, 상기 시공장치는 본체(110)의 저류공간(111)에 도료를 지속적으로 투입하면서 작업을 진행하되 상기 본체(110)의 가이드부재(115)가 하단이 노면 상에 접촉하도록 위치시킨 후 시공한다.
이후 사용자는 배출제어부(120)를 조작하여 상기 본체(110)의 배출구(113)를 1차로 개방하는데, 상기 배출제어부(120)의 작동을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작업을 시작하는 시점에서 사용자가 개폐손잡이(126)를 잡은 후 아래로 밀어 누르면 링크부재(123)의 수평 바(123a)는 한쪽이 하향하면서 힌지축(C)을 중심으로 회전하므로 상기 링크부재(123)의 수직 바(123b)를 힌지축(C)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링크부재(123)의 회전으로부터 제1개폐플레이트(121)가 후방으로 이동하므로 상기 본체(110)의 저류공간(111)에서 도료가 상기 배출구(113)를 향해 배출가능한 준비상태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10)의 배출구(113)로부터 도료를 배출하여 노면에 돌출차선을 시공함에는 돌출차선생성부(130)가 순서에 따라 작동하여 상기 배출구(113)를 개폐하므로 일정한 규격의 돌출차선을 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돌출차선생성부(130)의 작동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배출구(113)의 한쪽에 접촉상태로 위치한 제2개폐플레이트(131)는 구동실린더(133)로부터 인가되는 동력에 의해 상향이동하여 상기 본체(110)의 배출구(113)를 개방하므로 도료를 배출하되 상기 구동실린더(133)에 의해 상기 제2개폐플레이트(131)가 하향이동하여 상기 본체(110)의 배출구(113)를 폐쇄하므로 도료의 배출을 막음에 따라 일정한 형상의 돌출차선이 시공된다.
여기서 상기 돌출차선생성부(130)는 상기 구동실린더(133)의 규칙적인 작동에 의해 상기 제2개폐플레이트(131)의 개폐 여부를 반복작동시키므로 일률적인 돌출차선을 계속해서 시공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차선 시공장치에 의하면, 도로의 노면에 돌출차선을 용이하게 시공하여 차량의 제동시 차륜의 슬립현상 및 운전자의 졸음운전을 방지하므로 안전사고 발생률을 낮추고 인명피해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돌출차선의 시공으로 야간 운행시 운전자로부터 차선에 대한 시인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우천시 운전자가 차선을 용이하게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배출구의 개구 면적을 자유롭게 가변하여 설정한 후 시공하므로 장소 및 목적에 따라 적절한 높이의 돌출차선을 다양하게 시공가능함은 물론 시공의 실효성을 대폭 향상시키고 우수한 품질의 시공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차선 시공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공장치(100)를 장착하여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이동수단(10)과, 도료를 저류하는 도료탱크(20)와, 상기 도료를 가열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열버너(30) 및 연료통(40)과, 글라스비드를 공급가능하게 구비되는 글라스비드탱크(50) 및 에어컴프레셔(60)와, 조작가능하게 구비되는 컨트롤러(7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수단(10)은 상기 돌출형 차선 시공장치(100)를 탈착할 수 있도록 연결하고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시공방향을 설정하여 이동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이동수단(10)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자가 직접 이동하며 작업을 행하는 형태로서, 작업자가 손으로 운전하는 수동식 차량(10a)으로 구성한다.
상기 이동수단(10)에는 장비(도료탱크(20), 가열버너(30), 연료통(40), 글라스비드탱크(50), 에어컴프레셔(60), 컨트롤러(70) 등)를 탑재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수동식 차량(10a)에 따른 상기 이동수단(10)은 손으로 운전가능하게 손잡이 및 방향조절을 위한 가이드봉(13)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이동수단(10)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자의 운행에 따라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자동식 차량(10b)으로 구성한다.
상기 자동식 차량(10b)에 따른 상기 이동수단(10)은 원동기를 동력원으로 사용하여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주행하게 된다.
상기 자동식 차량(10b)으로는 소량작업에도 적용이 용이한 트랙터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이동수단(10)과 상기 시공장치(100)의 본체(110) 간에는 서로 결합관계를 유지하거나 분리하여 교체가능한 구조를 이룰 수 있게 상호 연결하는 체결수단(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체결수단(160)을 구성하게 되면, 시공장치(100)를 자유롭게 탈착한 후 교체할 수 있어 시공분량 및 장소에 따라 이동수단(10)의 종류를 달리 적용하므로 작업이 용이함은 물론 작업효율을 높이며 시공공기를 대폭 단축하고 이동수단(10)에 다른 형태의 시공장치(100)를 탄력적으로 적용하여 다양하게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도료탱크(20)는 상기 이동수단(10)에 설치되고 내부에 도료를 일정량만큼 저류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도료탱크(20)에는 내부에 저류된 도료를 지속적으로 교반할 수 있게 교반유닛(25)을 구비한다.
상기 도료탱크(20)로부터 도료가 배출되는 유출구(27)에 상기 시공장치(100)의 본체(110)가 위치하도록 한다. 즉 상기 본체(110)의 상단에 도료를 공급가능하게 위치한다.
상기 가열버너(30)는 상기 도료탱크(20)의 하부에 설치된다. 즉 상기 가열버너(30)는 상기 도료탱크(20)를 가열하여 도료가 굳어버리지 않게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비한다.
상기 연료통(40)은 상기 이동수단(10)에 위치하고 상기 가열버너(30)에 연료(가스)를 공급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글라스비드탱크(50)는 상기 이동수단(10)에 설치되고 내부에 글라스비드를 수용한다.
상기 글라스비드탱크(50)는 상기 비드분사부(150)의 공급라인(151)에 글라스비드를 공급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에어컴프레셔(60)는 상기 돌출차선생성부(130)와 상기 비드분사부(150)에 각각 일정한 압력의 에어를 공급한다. 즉 상기 에어컴프레셔(60)는 상기 돌출차선생성부(130)의 구동실린더(133)가 구동될 수 있게 동력원인 에어를 공급하고, 상기 비드분사부(150)에 공급되는 글라스비드가 상기 분사노즐(153)을 통해 강하게 분사될 수 있도록 에어를 공급한다.
상기와 같이 에어컴프레셔(60)를 구성하게 되면, 글라스비드를 보다 강하게 분사시킬 수 있어 요철의 도료 내부로 글라스비드의 강제침투를 도모하여 시공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컨트롤러(70)는 상기 시공장치(100)의 전반적인 전원이나 구동을 제어할 수 있게 작업자로부터 조작가능한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컨트롤러(70)는 상기 에어컴프레셔(60)의 작동 여부와 함께 에어압을 제어가능하고, 상기 도료탱크(20)나 가열버너(30)의 작동 여부 및 상기 글라스비드탱크(50)의 작동 등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차선 시공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등록청구범위와 명세서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이동수단 10a : 수동식 차량 10b : 자동식 차량
13 : 가이드봉 20 : 도료탱크 25 : 교반유닛
27 : 유출구 30 : 가열버너 40 : 연료통
50 : 글라스비드탱크 60 : 에어컴프레셔 70 : 컨트롤러
100 : 시공장치 110 : 본체 111 : 저류공간
113 : 배출구 115 : 가이드부재 120 : 배출제어부
121 : 제1개폐플레이트 122 : 돌기축 123 : 링크부재
123a : 수평 바 123b : 수직바 124 : 연결홈
125 : 장공 126 : 개폐손잡이 126a : 연결축
126b : 지지대 127 : 연장단 128 : 결속돌기
129 : 경사로 130 : 돌출차선생성부 131 : 제2개폐플레이트
133 : 구동실린더 134 : 브라켓 140 : 높이조절수단
141 : 앵커볼트부재 143 : 고정너트부재 145 : 조절너트부재
150 : 비드분사부 151 : 공급라인 153 : 분사노즐
155 : 지지브라켓 160 : 체결수단 C : 힌지축

Claims (11)

  1. 일정량의 도료를 유입하여 저류시킬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된 저류공간을 구비하고 하부 한쪽에는 상기 저류공간에 저류된 도료를 배출가능하도록 배출구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연결 결합하고 상기 배출구의 하측을 개폐하여 상기 저류공간으로부터 도료의 배출 여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배출제어부와;
    상기 본체의 한쪽 벽면에서 상기 배출구를 상하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지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의 차선을 생성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돌출차선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차선생성부에는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도료로부터 차선의 시공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의 개도(개구 면적)를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에는 도료가 배출되는 하부 양쪽 측면에 설치되고 시공작업에 따른 이동과정에서 하단이 노면에 접하여 작업을 안내하도록 완만한 곡면의 접촉면이 형성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배출제어부는, 상기 본체의 하부에 전후로 슬라이딩 왕복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한쪽이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도록 접하며 반대편 양쪽 측단에는 돌기축을 구비하는 제1개폐플레이트와, 상기 제1개폐플레이트의 돌기축에 한쪽이 연결 결합하도록 연결홈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홈의 반대쪽에는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 상에 힌지축으로 연결되어 소정 각도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링크부재와, 상기 링크부재의 장공에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가능하게 연결축이 끼움 결합하고 사용자로부터 도료의 배출 여부 및 배출량을 설정하여 조작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손잡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돌출차선생성부는, 상기 배출구가 구비된 벽면에 접하도록 상기 본체 상에 위치하고 상하로 슬라이딩 왕복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개폐플레이트와, 상기 제2개폐플레이트의 동일수직선상에 위치하여 한쪽 끝단이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2개폐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구동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돌출차선생성부 상에 한쪽이 연결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본체 상에 수직으로 연장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며 외주연 상에 수나사가 형성되는 앵커볼트부재와, 상기 앵커볼트부재 상에 고정 설치되고 상측에서 상기 본체에 면 접촉하는 고정너트부재와, 상기 고정너트부재의 하측에 서로 거리를 두고 위치하고 상기 앵커볼트부재 상에 상하로 이동가능하여 상기 고정너트부재와의 거리를 조절하는 조절너트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돌출형 차선 시공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한쪽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되어 노면 상에 형성된 돌출차선을 향해 글라스비드를 분사가능하게 구성되는 비드분사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돌출형 차선 시공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비드분사부는, 코팅제인 글라스비드를 공급가능하게 형성되는 공급라인과, 상기 공급라인 상에 상기 배출구로부터 돌출차선이 생성되는 개수만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되고 노면을 향해 글라스비드를 분사가능하게 구비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돌출형 차선 시공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형 차선 시공장치를 탈착할 수 있도록 연결하고 조작에 따라 방향을 설정하여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에 설치되고 내부에 도료를 저류한 후 교반될 수 있도록 교반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호퍼의 상단에 도료를 공급가능하게 위치하는 도료탱크와, 상기 도료탱크의 하부에 설치되고 도료가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가열하는 가열버너와, 상기 가열버너에 연료를 공급가능하게 연결되는 연료통과, 상기 이동수단에 설치되고 내부에 글라스비드를 수용하며 글라스비드를 공급가능하게 연결되는 글라스비드탱크와, 상기 돌출차선생성부에 일정한 압력의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컴프레셔와, 상기 에어컴프레셔의 에어압 및 상기 도료탱크, 상기 가열버너, 상기 글라스비드탱크의 전반적인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돌출형 차선 시공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손잡이 및 방향조절을 위한 가이드봉을 구비하고 작업자가 손으로 운전하며 장비를 탑재가능하게 형성된 수동식 차량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형 차선 시공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원동기를 동력원으로 사용하여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주행가능하게 형성된 자동식 차량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형 차선 시공장치.
  11. 삭제
KR1020120143189A 2012-12-11 2012-12-11 돌출형 차선 시공장치 KR101252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3189A KR101252657B1 (ko) 2012-12-11 2012-12-11 돌출형 차선 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3189A KR101252657B1 (ko) 2012-12-11 2012-12-11 돌출형 차선 시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2657B1 true KR101252657B1 (ko) 2013-04-09

Family

ID=48442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3189A KR101252657B1 (ko) 2012-12-11 2012-12-11 돌출형 차선 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265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8563B1 (ko) 2014-01-03 2015-09-01 슈프림이앤씨 주식회사 방수시트 연결용 도포기
KR102147789B1 (ko) 2020-03-26 2020-08-25 (주)라인테크 돌출차선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돌출차선 시공방법
KR102216624B1 (ko) * 2020-04-07 2021-02-17 (주)태산마스타 돌출부 일체형 융착식 우천형 차선도색 시공장비와 이를 활용한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0704A (ko) * 1997-07-18 1999-02-18 홍상연 융착식 차선 도색기
KR20000074168A (ko) * 1999-05-18 2000-12-05 하용천 차선위치에 돌출부를 형성하는 장치
KR101025279B1 (ko) * 2008-11-20 2011-03-29 유한회사 삼신기업 승강식 도료분사장치가 구성된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0704A (ko) * 1997-07-18 1999-02-18 홍상연 융착식 차선 도색기
KR20000074168A (ko) * 1999-05-18 2000-12-05 하용천 차선위치에 돌출부를 형성하는 장치
KR101025279B1 (ko) * 2008-11-20 2011-03-29 유한회사 삼신기업 승강식 도료분사장치가 구성된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8563B1 (ko) 2014-01-03 2015-09-01 슈프림이앤씨 주식회사 방수시트 연결용 도포기
KR102147789B1 (ko) 2020-03-26 2020-08-25 (주)라인테크 돌출차선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돌출차선 시공방법
KR102216624B1 (ko) * 2020-04-07 2021-02-17 (주)태산마스타 돌출부 일체형 융착식 우천형 차선도색 시공장비와 이를 활용한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0075B1 (ko) 콤팩트화된 동력식 노면 표시 도색장치
KR101036179B1 (ko)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돌출형 차선 도색장치
KR101392886B1 (ko)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
KR100721510B1 (ko)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시공법
KR101524746B1 (ko) 5 내지 45cm 폭의 횡단보도 도색이 가능한 광폭 가변형 노면표시장비용 도색모듈
KR101273438B1 (ko) 횡단보도용 차선도색장치
KR101252657B1 (ko) 돌출형 차선 시공장치
KR101252655B1 (ko) 돌출차선표시용 시공장치
KR101709545B1 (ko) 차선도료 균일 토출용 디퓨저 노즐
KR101483848B1 (ko) 차선 도색용 도료용융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선 도색기
KR101025279B1 (ko) 승강식 도료분사장치가 구성된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
KR100501992B1 (ko) 차선도색차량
KR20190007592A (ko) 차선 자동 도색장치
KR101329801B1 (ko) 반자동식 차선 도색장치
KR101133570B1 (ko) 선명도를 향상시킨 차선 및 상기 선명도를 향상시킨 차선의 스프레이 융착식 선명도향상차선 도색장치와 선명도향상차선 도색방법
KR100984646B1 (ko) 비드분사조절기를 구비한 차선도포기
KR20020032094A (ko) 차선도포기
KR101112778B1 (ko) 비드분사각 조절용 반사갓을 구비한 차선도포기
KR200462165Y1 (ko) 도로의 미끄럼방지층 도포장치
KR20130059955A (ko) 차선 도색장치
KR101557044B1 (ko) 분사식으로 융착도료를 도색할 수 있는 소형 자주식 차선 도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선 도색 공법
KR101747370B1 (ko) 융착식 차선 도색장치
CN214219307U (zh) 一种道路路面养护装置
KR200317724Y1 (ko) 살수차량용 분사노즐의 구동구조
KR200433471Y1 (ko) 차량탑재용 도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