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3570B1 - 선명도를 향상시킨 차선 및 상기 선명도를 향상시킨 차선의 스프레이 융착식 선명도향상차선 도색장치와 선명도향상차선 도색방법 - Google Patents

선명도를 향상시킨 차선 및 상기 선명도를 향상시킨 차선의 스프레이 융착식 선명도향상차선 도색장치와 선명도향상차선 도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3570B1
KR101133570B1 KR1020100099764A KR20100099764A KR101133570B1 KR 101133570 B1 KR101133570 B1 KR 101133570B1 KR 1020100099764 A KR1020100099764 A KR 1020100099764A KR 20100099764 A KR20100099764 A KR 20100099764A KR 101133570 B1 KR101133570 B1 KR 101133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lane
main lane
visibility
pa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9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광성
정봉성
Original Assignee
대동안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안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안전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9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35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3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3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163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marking-out the location of the markings; Guiding or steering devices for marking apparatus, e.g. s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1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 E01C19/16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for applying or spreading liquid materials, e.g. bitumen slur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 E01C23/22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by spray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Repair (AREA)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선의 양측 가장자리에 시인성도료를 도색하여 선명도를 향상시킨 차선; 선명도를 향상시킨 차선을 도색시키는 스프레이 융착식 차선도색장치; 스프레이 융착식 선명도차선도색장치의 차선도색장치와 시인성도색장치를 이용하여 선명도를 향상시킨 차선을 도색하는 선명도차선도색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메인차선도료의 가장자리에 시인성도료를 도색하여 주므로써, 메인차선도료를 도로와 명확하게 구분되도록 하고, 메인차선도료의 식별력을 향상시키되 특히 야간과 우천시 식별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주행 중에 운전자의 시야를 명확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옆 차선을 침범하거나 옆 차선을 주행하는 차량과 근접되어 안전운전을 방해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명도를 향상시킨 차선 및 상기 선명도를 향상시킨 차선의 스프레이 융착식 선명도향상차선 도색장치와 선명도향상차선 도색방법{A Traffic Lane and A Painting Apparatus and Painting Method of it}
본 발명은 선명도를 향상시킨 차선 및 상기 선명도향상차선의 스프레이 융착식 선명도향상차선 도색장치와 선명도향상차선 도색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로에 도료를 일정한 폭과 길이로 도색하여 중앙선 또는 주행차선과 같은 차선을 도색하는 스프레이 융착식 차선도색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선을 분사시키는 차선도색장치에는 차선의 양측 가장자리에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 도색하므로서 선명도를 향상시킨 차선과; 선명도를 향상시킨 차선을 도색하는 스프레이 융착식 차선도색장치와; 스프레이 융착식 선명도 차선도색장치의 차선도색장치와 시인성 도색장치를 이용하여 선명도를 향상시킨 차선을 도색하는 선명도 차선도색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특히 콘크리트 포장도로는 한낮에 강열한 햇빛이나 우천시 차선이 잘 보이지 않으므로서 운전자로 하여금 피로감을 증폭시켜 안전운행에 큰 위험성을 유발시키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차선이 더욱더 잘 보일 수 있도록 백색차선에 검정색 차선의 테두리를 도색해주므로서 보다 더 차선의 시인성을 향상시켜 주어 운전자로 하여금 안전운행을 도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도로의 차선(車線)은 자동차 도로에 주행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그어 놓은 선을 일컫는 것으로서, 포장도로(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에는 차량의 주행을 구획하는 중앙선과 차량의 주행 구간을 분리하기 위한 주행차선 및 차도와 보도를 구분하기 위한 보행선(이하 '차선'으로 통칭함) 등을 도색하게 된다.
이러한 차선은 운전자로 하여금 주행방향을 식별토록 하여 안전운행을 유도하는 기준선으로서 시각적으로 인지되는 시인성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들 차선의 도색은 일정량의 페인트를 도로상에 분사하여 선을 도색하면서 진행되는데, 차선을 도색하기 위해서는 페인트를 분사시키는 페인트분사장치 (수단)와, 상기 페인트분사장치(수단)를 탑재할 수 있는 이동수단을 구비한다.
페인트를 도포하는 장치(방법)으로는 페인트가 담긴 페인트분사장치(수단)를 작업자가 일일이 끌고 다니면서 도로의 표면상에 페인트를 수동으로 도포하는 수동도포방법(장치)과, 페인트분사장치(수단)를 차량에 탑재하여 자동으로 도포하는 자동도포장치(수단)가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도로에 도색 되는 종래의 차선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5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의 차선은 아스팔트 도로 또는 콘크리트 도로에 단순히 메인차선도료(310)만을 도색하므로, 메인차선도료(310)의 가장자리가 도로와 명확하게 구분되지 못하여 식별력이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고, 특히 야간과 우천시에는 식별력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메인차선도료(310)의 식별력이 떨어지게 되면, 주행 중에 시야를 명확하게 확보할 수 없으며, 뿐만 아니라 옆 차선을 침해하거나 옆 차선을 주행하는 차량과 근접되어 안전운전을 방해하는 위험을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개선한 선명도를 향상시킨 차선 및 상기 선명도를 향상시킨 차선의 스프레이 융착식 선명도향상차선 도색장치와 선명도향상차선 도색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로에 도료를 일정한 폭과 길이로 도색하여 중앙선 또는 주행차선과 같은 차선을 도색하여주는 스프레이 융착식 차선도색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선을 분사시키는 차선도색장치에는 차선의 양측 가장자리에 시인성을 도색하여 선명도를 향상시킨 차선과; 선명도를 향상시킨 차선을 도색시키는 스프레이 융착식 선명도향상차선 도색장치와; 스프레이 융착식 선명도차선도색장치의 차선도색장치와 시인성도색장치를 이용하여 선명도를 향상시킨 차선을 도색하는 선명도향상차선 도색방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인차선도료의 가장자리에 시인성도료를 도색하여 주므로서, 차선을 도로와 명확하게 구분되도록 하고, 차선의 식별력을 향상시키되 특히 야간과 우천시 식별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주행 중에 운전자의 시야를 명확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옆 차선을 침해하거나 옆 차선을 주행하는 차량과 근접되어 안전운전을 방해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선명도를 향상시킨 차선 및 상기 선명도향상차선의 스프레이 융착식 선명도향상차선 도색장치와 선명도향상차선 도색방법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소정의 폭과 길이로 도포되는 메인차선도료의 양측에 색상이 다른 선명도향상도료를 도색하여 도로의 차선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메인차선도료의 양측 가장자리에 분사 도포되는 다른 색상의 선명도향상도료는 시인성도료를 메인차선도료의 양측과 인접하는 가장자리가 중첩되게 도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명도향상차선(300)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상기 및 기타 목적은,
소정의 폭과 길이로 도포되는 메인차선도료의 양측에 색상이 다른 선명도향상도료를 도색하여 도로의 차선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메인차선도료를 먼저 도색하고,
상기 먼저 도색된 메인차선도료의 양측에는 선명도향상도료로서 시인성도료를 메인차선도료의 양측과 인접하는 가장자리가 중첩되게 후에 분사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명도향상차선 도포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상기 및 기타 목적은,
소정의 폭과 길이로 도포되는 메인차선도료의 양측에 색상이 다른 도료를 도색하여 도로의 차선을 형성함에 있어서;
선명도향상도료로서 한 쌍의 시인성도료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켜 나란하게 먼저 분사 도포하고,
상기 먼저 나란하게 도포된 한 쌍의 시인성도료의 사이에는 메인차선도료를 양측 가장자리가 상기 각 시인성도료의 내측 단부와 중첩되도록 후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명도향상차선 도포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상기 및 기타 목적은,
도료탱크와 글라스비드탱크가 탑재된 이동장치의 양측에 설치되어 이동하면서 도로에 메인차선도료를 분사하여 도색하는 스프레이 융착식 차선도색장치와, 상기 스프레이 융착식 차선도색장치에 의해 도색된 메인차선도료의 양측에 색상이 다른 선명도향상도료를 분사 도색하는 선명도향상도료분사기를 이동장치에 탑재한 차선도색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에 탑재되는 선명도향상도료분사기는, 상기 메인차선도료의 양측에 신인성도료를 분사 도색시키는 시인성분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융착식 선명도향상차선 도색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또 다른 상기 및 기타 목적은,
메인차선도료탱크와 글라스비드탱크가 탑재된 이동장치, 상기 이동장치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어 이동장치의 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프레임, 상기 메인차선도료탱크와 연결되고 프레임의 하측에 고정되는 메인차선도료분사노즐, 상기 메인차선도료분사노즐의 상측에 도료분사실린더가 결합되는 메인차선도료분사기, 메인차선도료의 양측에 색상이 다른 선명도향상도료를 분사 도색하는 선명도향상도료분사기, 상기 메인차선도료의 양측에 분사 도색되는 선명도향상도료가 충진된 선명도향상도료탱크, 상기 메인차선도료분사기의 후방에 위치하고 글라스비드탱크와 연결되도록 프레임에 결합되는 글라스비드분사노즐, 상기 글라스비드분사노즐의 상측에 결합되는 글라스비드분사실린더로 구성된 글라스비드분사기로 구성되는 스프레이 융착식 도색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명도향상도료탱크는 시인성도료가 충진되는 시인성도료탱크인 것과;
상기 선명도향상도료분사기는 시인성도료탱크와 연결되고, 메인차선도료의 양측에 시인성도료를 도포시키는 시인성도료분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융착식 선명도향상차선 도색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선명도를 향상시킨 차선 및 상기 선명도향상차선의 스프레이 융착식 선명도차선도색장치와 선명도차선도색방법은,
차선의 양측 가장자리에 시인성을 도색하여 선명도를 향상시킨 차선과; 선명도를 향상시킨 차선을 도색한 스프레이 융착식 차선도색장치와; 스프레이 융착식 선명도차선도색장치의 차선도색장치와 시인성도색장치를 이용하여 선명도를 향상시킨 차선을 도색하는 선명도차선도색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메인차선도료의 가장자리에 시인성도료를 인접하는 단부가 중첩되도록 도색하여 줌으로서, 메인차선도료를 도로와 명확하게 구분되도록 하고, 메인차선도료의 식별력을 향상시키되 특히 야간과 우천시 식별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주행 중에 운전자의 시야를 명확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옆 차선을 침범하거나 옆 차선을 주행하는 차량과 근접되어 안전운전을 방해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명도향상차선도색장치를 차량의 측면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선명도향상차선도색장치를 발췌하여 보인 측면도와 정면도.
도 3a와 도 3b 및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선명도향상차선도색장치에 의해 선명도향상차선을 도색하는 과정을 보인 예시도.
도 5a와 도 5b 및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선명도향상차선도색장치에 의해 도색작업을 진행하는 방법을 각각 보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선명도향상차선도색장치에 의해 선명도향상차선을 도색하는 과정을 보인 선명도향상차선도색공정도.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명도향상차선도색장치(200)를 차선도색차선도색차량(100)의 측면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선명도향상차선도색장치(200)를 발췌하여 보인 측면도와 정면도이며, 도 3a와 도 3b 및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선명도향상차선도색장치(200)에 의해 선명도향상차선(300)을 도색하는 과정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5a와 도 5b 및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선명도향상차선도색장치(200)에 의해 도색작업을 진행하는 방법을 각각 보인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선명도향상차선도색장치(200)에 의해 선명도향상차선을 도색하는 과정을 보인 선명도향상차선도색공정도(400)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명도향상차선도색장치(200)는 도 1과 도 2a 내지 도 4b에 예시된 바와 같이 구성(형성)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선명도향상차선도색장치(200)는, 이동장치에 탑재되는데, 이동장치로서는 도면에 예시된 차선도색차량(100)을 비롯하여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동력장치에 의해 이동할 수 있도록 된 견인장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선명도향상차선도색장치(200)를 차선도색차량(100)에 탑재한 상태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선명도향상차선도색장치(200)는 적재부(110)가 구비된 차선도색차량(100)의 양 측면에 장착(탑재)하여 차선도색작업을 자동으로 진행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차선도색차량(100)의 적재부(110)에는 황색과 백색의 각 도료탱크(120), 글라스비드탱크(130), 도료를 가온시키는 용해기(140), 에어컴프레셔(150) 및 도료와 글라스비드의 분사압을 일으키는 펌프(160) 등을 탑재하였고, 상기 차선도색차량(100)의 그 전방에는 가이드(101)를 설치하여 노면의 차선 구획선에 따라 차선도색차량(100)의 진행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차선도색차량(100)에 탑재되는 장비들은 통상의 기술이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차선도색차량(100)의 적재부(110)에 탑재되는 기존의 장치 외에, 상기 황색 또는 백색의 색상과 대비될 수 있는 색상의 페인트를 충진할 수 있는 시인성도료탱크(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구비하였다.
특히, 상기 적재부(110)의 양측 저면에는 가이드레일(111)을 설치하였고, 상기 가이드레일(111)에는 선명도향상차선도색장치(200)를 설치하되, 선명도향상차선도색장치(200)가 차선도색차량(100)의 횡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설치하였다.
즉, 상기 선명도향상차선도색장치(200)는 도 1과 도 2a 및 도 2b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111)에는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도색장치틀을 설치하였는데, 이 도색장치틀에는 전방과 후방에는 공기분사기(260)와 글라스비드분사장치(290)를 설치하였다.
상기 공기분사기(260)는 에어컴프레셔(150)와 연계시켜 도색작업을 진행하기 전에 도로의 바닥면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주므로서 도색되는 도료가 도로면에 안정적이고 완전하게 융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글라스비드분사장치(290)는 도로에 도색되는 도료 위에 글라스비드를 살포하여주는 장치로서, 글라스비드에 의해 차량이 슬립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야간 등에는 차량의 불빛에 반사되도록 하여 운전자들에게 식별력을 부여해 줄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글라스비드분사장치(290)는, 메인차선도료분사기(270)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지지프레임틀(240)의 후단에 고정 결합되는 글라스비드분사노즐(291)과, 이 글라스비드분사노즐(291)의 상측에 결합되는 글라스비드분사실린더(292)와, 상기 글라스비드분사노즐(291)의 하단에는 소정의 곡률반경으로 만곡 형성된 비산방지판(293)을 설치하였다.
상기 비산방지판(293)은 글라스비드가 토출될 때에 글라스비드가 외부로 비산 되는 것을 방지하여 도로에 도포된 차선의 도료 위에 정확하게 투하되도록 유도하게 된다.
상기 도색장치틀은 다음과 같이 형성(구성)하였다.
가이드레일(111)에 설치되어 차량의 외측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프레임(210), 이 슬라이딩프레임(210)의 하측에서 슬라이딩프레임(210)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연결프레임(220), 상기 슬라이딩프레임(210)과 연결프레임(220)을 연결하는 링크(230), 상기 연결프레임(220)의 하측에는 수직프레임(50)에 의해 지지프레임틀(240)을 설치하였다.
상기 슬라이딩프레임(210)과 연결프레임(220)은 한 쌍의 링크(230)에 의해 축(231)으로 연결하여 슬라이딩프레임(210)에 대해 연결프레임(22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지지프레임틀(240)에는 메인차선도료분사기(270)를 중앙에 설치하였고, 상기 메인차선도료분사기(270)의 양측에는 메인차선분사기(270)에 의해 도색된 메인차선도료(310)의 양측에 색상이 다른 시인성도료(320)를 분사 도색하는 시인성도료분사기(280)를 각각 동일 선상에 설치하였다.
상기 메인차선도료분사기(270)는, 지지프레임틀(240)에 고정 결합되는 메인차선도료분사노즐(271)과, 이 메인차선도료분사노즐(271)의 상측에 결합되어 메인차선도료분사노즐(271)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도료분사실린더(272)와, 상기 메인차선도료분사노즐(271)에 압력을 가하여 도료가 원활하게 분사되도록 하는 압축탱크(273)로 구성하였다.
상기 시인성도료분사기(280)는, 지지프레임틀(240)에 고정 결합되는 시인성도료분사노즐(281)과, 이 시인성도료분사노즐(281)의 상측에 결합되어 시인성도료분사노즐(281)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시인성도료분사실린더(282)와, 상기 시인성도료분사노즐(281)에 압력을 가하여 시인성도료가 원활하게 분사되도록 하는 압축탱크(283)로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는 수동조절레버를 설치하여 작업자가 메인차선도료분사기(270)와 시인성분사기(280)의 높낮이를 동시에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선명도향상차선도색장치(200)를 이용하여 선명도향상차선(300)을 도색하는 방법(공정)을 설명한다.,
상기 선명도향상차선(300)을 도색하는 방법(공정)은, 본 발명에 따른 선명도향상차선도색장치(200)를 차선도색차량(100)에 탑재한 상태에서 실시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선명도향상차선도색장치(200)를 이용하여 선명도향상차선(300)을 도색하는 공정(방법)을 보인 선명도향상차선도색공정도(400)이다.
상기 선명도향상차선도색공정도(400)는, 메인차선도료분사단계(410)와 선명도향상도료로서 시인성도료를 분사시키는 시인성도료분사단계(420) 및 글라스비드분사단계(430)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메인차선도료분사단계(410)는 다음과 같이 실시된다.
차선도색차량(100)의 적재부(110)에 탑재된 도료탱크(120)로부터 제공되는 도료를 도료탱크(120)의 일측에 설치된 용해기(140)를 이용하여 가온시키는 메인차선도료가온단계(411); 에어컴프레셔(150)와 연계된 공기분사기(260)에 의해 공기를 분사시켜 노면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주는 공기분사단계(412); 차선도색차량(100)이 주행하면서 도로상에 메인차선도료를 분사하는 메인차선도료분사단계(413);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차선도료분사단계(413)에는 메인차선도료(310)를 노면에 분사할 때 작업자가 수동조절레버(290)를 조작하여 메인차선도료분사기(270)의 높낮이를 수동으로 조절하는 메인차선도료분사기 높이조절단계(414)를 더 포함한다.
또 상기에서 시인성도료분사단계(420)는 다음과 같이 실시된다.
차선도색차량(100)의 적재부(110)에 탑재된 시인성도료탱크(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로부터 제공되는 시인성도료를 시인성도료탱크의 일측에 설치된 용해기(140)를 이용하여 가온시키는 시인성도료가온단계(421); 에어컴프레셔(150)와 연계된 공기분사기(260)에 의해 공기를 분사시켜 노면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주는 공기분사단계(422); 차선도색차량(100)이 주행하면서 도로상에 분사시킨 메인차선도료의 양측 가장자리에 시인성도료(320)를 분사하는 시인성도료분사단계(423);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에어컴프레셔(150)와 연계된 공기분사기(260)에 의해 공기를 분사시켜 노면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주는 공기기분사단계(422)는, 메인차선도료분사단계(410)의 공기분사단계(412)와 동일 및 동시에 실시되어 중복되는 것이므로 생략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시인성도료분사단계(423)에는 시인성도료(310)를 노면에 분사할 때 작업자가 수동조절레버(290)를 조작하여 시인성도료분사기(280)의 높낮이를 수동으로 조절하는 시인성도료분사기 높이조절단계(424)를 더 포함한다.
상기의 시인성도료분사단계(423)에서 수동조절레버(290)를 조작하여 시인성도료분사기(280)의 높낮이를 수동으로 조절하는 시인성도료분사기 높이조절단계(424)는, 메인차선도료분사단계(410)의 메인차선도료분사기 높이조절단계(414)와 동일 및 동시에 실시되어 중복되는 것이므로 생략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메인차선도료분사단계(410)와 시인성도료분사단계(420)에 의해 메인차선도료(310)와 시인성도료(320)를 분사 도포할 때에는, 도 5a 내지 도 5c에 예시된바 같이 메인차선도료(310)를 먼저 도색한 후에 연이어서 시인성도료(320)를 메인차선도료(310)의 양측 가장자리에 도색하는 것(방법)과, 도 6a 내지 도 6c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시인성도료(320)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시켜 먼저 도색한 후에 상기 시인성도료(320)의 사이에 메인차선도료(310)를 도포하는 것(방법)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전자의 방법으로 도색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메인차선도료분사단계(410)와 시인성도료분사단계(420)에 의해 메인차선도료(310)와 시인성도료(320)를 분사 도색시키고, 연이어 도색포되는 메인차선도료(310)와 시인성도료(320)의 위에 글라스비드(295)를 분사시키는 글라스비드분사단계(430)를 실시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선명도향상차선도색공정도(400)에 의거하여 선명도향상차선도색장치(200)를 이용한 선명도향상차선(300)을 도색하는 공정(방법)을 완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명도향상차선도색공정도(400)에 의거하여 선명도향상차선도색장치(200)를 이용한 선명도향상차선(300)을 도색하는 과정은 도 5a 및 도 5b(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차선도색차량(100)의 가이드레일(111)로부터 슬라이딩프레임(210)을 외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도색작업을 위한 준비과정을 완료한다.
차선도색차량(100)은 가이드(101)를 따라 차선 폭을 적절히 조절하면서 전방으로 주행한다.
그 후, 스프레이플라스틱 메인차선도료(310)가 저장된 메인차선도료탱크(120)를 일정 온도로 가열하여 백색 또는 황색의 메인차선도료(310)가 메인차선도료분사기(270)로 흘러 차선 도색에 적합하도록 용융하고, 동시에 선명도향상도료인 시인성도료(320)가 저장된 시인성도료탱크(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일정 온도로 가열하여 상기 메인차선도료(310)와 색상이 대비되는 검정색 또는 군청색 등의 시인성도료(320)가 시인성도료분사기(280)로 흘러 시인성 도색에 적합하도록 용융한다.
한편, 차량이 주행할 때에 에어컴프레셔(150)가 작동하여 공기분사기(260)로부터 차선 도색을 위한 도로에 공기를 강력하게 분사시켜 도로에 얹혀져 있거나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날려 제거하여 주며, 이와 같이 도로에 공기를 강력하게 분사시켜 도로에 얹혀져 있거나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도로를 깨끗하게 유지시켜 주면 메인차선도료(310) 및 시인성도료(320)를 도로에 안정적이면서 완전하게 도색시킬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메인차선도료탱크(120)로부터 도료공급관을 통해 흘러가는 용융된 백색 또는 황색의 메인차선도료(310)는 메인차선도료분사노즐(271)을 통해 도 3a 및 도 3b와 도 6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도로상에 분사되고, 이와 동시에 시인성도료탱크(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로부터 시인성도료공급관을 통해 흘러가는 용융된 검정색 또는 군청색의 시인성도료(320)가 시인성도료분사노즐(281)을 통해 도 4a와 도 4b 및 도 5b 및 도 5c에 예시된 바와 같이 먼저 분사되는 메인차선도료(310)의 양측 가장자리(도로상)에 분사된다.
상기 메인차선도료(310)의 양측 가장자리(도로상)에 분사되는 시인성도료(320)는 메인차선도료(310)와 상호 인접하는 가장자리가 서로 중첩되도록 분사도포한다.
연이어 글라스비드탱크(130)에 충진되어 있는 글라스비드(295)가 글라스비드공급관을 경유하여 글라스비드분사노즐(291)을 통해 도로에 분사 도포된 메인차선도료(310)과 시인성도료(320)의 위에 뿌려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도로에 도색하는 메인차선도료(310)는 가장자리에 도색되는 시인성도료(320)에 의해 선명하게 구별되므로, 운전자는 선명도향상차선(300)을 명확하게 식별 확인할 수 있고, 안전운전에 만전을 기할 수 있다.
특히, 메인차선도료(310)과 시인성도료(320)의 위에 뿌려진 글라스비드(295)가 야간 등에는 차량의 헤드라이트 또는 가로등에 의해 반사되어 선명도향상차선(300)을 명확하게 나타내므로, 운전자는 야간에도 선명도향상차선(300)을 명확하게 식별 확인할 수 있고, 글라스비드(295)는 우기 또는 동절기에 타이어가 슬립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운전에 만전을 기할 수 있다.
100 ; 차량 110 ; 적재부 111 ; 가이드레일
120 ; 메인차선도료탱크 130 ; 글라스비드탱크 140 ; 용해기
150 ; 에어컴프레셔 160 ; 펌프 170 ; 콘트롤박스
200 ; 선명도향상차선 도색장치부 210 ; 슬라이딩프레임
230 ; 링크 231 ; 힌지핀 240 ; 지지프레임
250 ; 수직프레임 260 ; 공기분사기 270 ; 메인차선도료분사기
280: 시인성도료분사기 281: 시인성도료분사노즐 290 ; 글라스비드분사기
300 ; 선명도향상차선 310 ; 메인차선도료 320 ; 시인성도료

Claims (9)

  1. 소정의 폭과 길이로 도포되는 메인차선도료의 양측에 색상이 다른 선명도향상도료를 도색하여 도로의 차선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메인차선도료의 양측 가장자리에 분사 도포되는 다른 색상의 선명도향상도료는 시인성도료를 메인차선도료의 양측과 인접하는 가장자리가 각각 중첩되게 도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명도를 향상시킨 차선.
  2. 삭제
  3. 소정의 폭과 길이로 도포되는 메인차선도료의 양측에 색상이 다른 선명도향상도료를 도색하여 도로의 차선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메인차선도료를 먼저 도색하고,
    상기 먼저 도색된 메인차선도료의 양측에는 선명도향상도료로서 시인성도료를 메인차선도료의 양측과 인접하는 가장자리가 중첩되게 후에 분사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명도향상차선 도포방법.
  4. 소정의 폭과 길이로 도포되는 메인차선도료의 양측에 색상이 다른 도료를 도색하여 도로의 차선을 형성함에 있어서;
    선명도향상도료로서 한 쌍의 시인성도료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켜 나란하게 먼저 분사 도포하고,
    상기 먼저 나란하게 도포된 한 쌍의 시인성도료의 사이에는 메인차선도료를 양측 가장자리가 상기 각 시인성도료의 내측 단부와 중첩되도록 후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명도향상차선 도포방법.
  5. 도료탱크와 글라스비드탱크가 탑재된 이동장치의 양측에 설치되어 이동하면서 도로에 메인차선도료를 분사하여 도색하는 스프레이 융착식 차선도색장치와, 상기 스프레이 융착식 차선도색장치에 의해 도색된 메인차선도료의 양측에 색상이 다른 선명도향상도료를 분사 도색하는 선명도향상도료분사기를 이동장치에 탑재한 차선도색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에 탑재되는 선명도향상도료분사기는, 상기 메인차선도료의 양측에 신인성도료를 분사 도색시키는 시인성분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융착식 선명도향상차선 도색장치.
  6. 메인차선도료탱크와 글라스비드탱크가 탑재된 이동장치, 상기 이동장치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어 이동장치의 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프레임, 상기 메인차선도료탱크와 연결되고 프레임의 하측에 고정되는 메인차선도료분사노즐, 상기 메인차선도료분사노즐의 상측에 도료분사실린더가 결합되는 메인차선도료분사기, 메인차선도료의 양측에 색상이 다른 선명도향상도료를 분사 도색하는 선명도향상도료분사기, 상기 메인차선도료의 양측에 분사 도색되는 선명도향상도료가 충진된 선명도향상도료탱크, 상기 메인차선도료분사기의 후방에 위치하고 글라스비드탱크와 연결되도록 프레임에 결합되는 글라스비드분사노즐, 상기 글라스비드분사노즐의 상측에 결합되는 글라스비드분사실린더로 구성된 글라스비드분사기로 구성되는 스프레이 융착식 도색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명도향상도료탱크는 시인성도료가 충진되는 시인성도료탱크인 것과;
    상기 선명도향상도료분사기는 시인성도료탱크와 연결되고, 메인차선도료의 양측에 시인성도료를 도포시키는 시인성도료분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융착식 선명도향상차선 도색장치.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메인차선도료의 양측에 시인성도료를 도포시키는 시인성도료분사기는;
    지지프레임틀에 고정 결합되고, 메인차선도료분사노즐의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시인성도료분사노즐;
    상기 시인성도료분사노즐의 상측에 결합되어 시인성도료분사노즐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시인성도료분사실린더;
    상기 시인성도료분사노즐에 압력을 가하여 시인성도료가 원활하게 분사되도록 하는 압축탱크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융착식 선명도향상차선 도색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메인차선도료분사노즐의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시인성도료분사노즐은;
    상기 한 쌍의 시인성도료분사노즐은 메인차선도료분사노즐의 전방 또는 후방 양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융착식 선명도향상차선 도색장치.
  9. 삭제
KR1020100099764A 2010-10-13 2010-10-13 선명도를 향상시킨 차선 및 상기 선명도를 향상시킨 차선의 스프레이 융착식 선명도향상차선 도색장치와 선명도향상차선 도색방법 KR101133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764A KR101133570B1 (ko) 2010-10-13 2010-10-13 선명도를 향상시킨 차선 및 상기 선명도를 향상시킨 차선의 스프레이 융착식 선명도향상차선 도색장치와 선명도향상차선 도색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764A KR101133570B1 (ko) 2010-10-13 2010-10-13 선명도를 향상시킨 차선 및 상기 선명도를 향상시킨 차선의 스프레이 융착식 선명도향상차선 도색장치와 선명도향상차선 도색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3570B1 true KR101133570B1 (ko) 2012-04-04

Family

ID=46143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9764A KR101133570B1 (ko) 2010-10-13 2010-10-13 선명도를 향상시킨 차선 및 상기 선명도를 향상시킨 차선의 스프레이 융착식 선명도향상차선 도색장치와 선명도향상차선 도색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357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163B1 (ko) 2013-07-23 2014-04-15 (주)선화건설 도로 주행차선이 선명하게 부각되게 하는 분사구조를 갖는 도색차량의 차선도색장치 및 차선도색공법
KR101573489B1 (ko) * 2015-01-28 2015-12-02 주식회사 태강이앤아이 주차장 바닥 시공을 위한 스마트 작업 차량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101913666B1 (ko) * 2018-04-06 2018-10-31 이경식 돌출형 스프레이 차선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057064B1 (ko) 2019-08-02 2020-01-22 최대열 스프레이 융착식 선명도 향상 차선 도색장치
KR102131068B1 (ko) 2019-06-12 2020-07-08 주식회사 라인건설 차선 도색용 도료 분사장치 및 도색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27281A (en) * 1996-03-13 2000-02-22 Neuling; William V. Articulated tractor-paint striper system for two-layer striping
JP2003155706A (ja) * 2001-11-21 2003-05-30 Daiichi Fashion Service:Kk 道路標示、該道路標示の施工に用いる塗布装置、並びに道路標示シー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27281A (en) * 1996-03-13 2000-02-22 Neuling; William V. Articulated tractor-paint striper system for two-layer striping
JP2003155706A (ja) * 2001-11-21 2003-05-30 Daiichi Fashion Service:Kk 道路標示、該道路標示の施工に用いる塗布装置、並びに道路標示シート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163B1 (ko) 2013-07-23 2014-04-15 (주)선화건설 도로 주행차선이 선명하게 부각되게 하는 분사구조를 갖는 도색차량의 차선도색장치 및 차선도색공법
KR101573489B1 (ko) * 2015-01-28 2015-12-02 주식회사 태강이앤아이 주차장 바닥 시공을 위한 스마트 작업 차량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101913666B1 (ko) * 2018-04-06 2018-10-31 이경식 돌출형 스프레이 차선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131068B1 (ko) 2019-06-12 2020-07-08 주식회사 라인건설 차선 도색용 도료 분사장치 및 도색방법
KR102057064B1 (ko) 2019-08-02 2020-01-22 최대열 스프레이 융착식 선명도 향상 차선 도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1510B1 (ko)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시공법
KR101133570B1 (ko) 선명도를 향상시킨 차선 및 상기 선명도를 향상시킨 차선의 스프레이 융착식 선명도향상차선 도색장치와 선명도향상차선 도색방법
KR101025279B1 (ko) 승강식 도료분사장치가 구성된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
KR102010244B1 (ko) 도로용 차선표시 테이프와 이를 이용한 차선표시방법
KR102216624B1 (ko) 돌출부 일체형 융착식 우천형 차선도색 시공장비와 이를 활용한 시공방법
KR101036179B1 (ko)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돌출형 차선 도색장치
US20120253612A1 (en) Mobile pothole patching machine
KR101709545B1 (ko) 차선도료 균일 토출용 디퓨저 노즐
US20110182664A1 (en) Sealant deploying apparatus and method
KR102057064B1 (ko) 스프레이 융착식 선명도 향상 차선 도색장치
KR101483848B1 (ko) 차선 도색용 도료용융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선 도색기
KR101025280B1 (ko) 선명한 차선 도색구조를 갖는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
KR20020013460A (ko) 융착식 차선도색차량
KR101392886B1 (ko)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
KR101383163B1 (ko) 도로 주행차선이 선명하게 부각되게 하는 분사구조를 갖는 도색차량의 차선도색장치 및 차선도색공법
KR101344370B1 (ko) 이액형 돌출차선도색장치 및 돌출차선도색공법
KR102116032B1 (ko) 스프레드차선 및 돌출차선 복합 시공 시스템
KR101662463B1 (ko) 다기능을 갖는 차선도색 시공방법
KR101252657B1 (ko) 돌출형 차선 시공장치
KR101662506B1 (ko) 우천형 돌출 스프레이 차선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200050147A (ko) 차량용 제설제 살포기를 활용한 다목적 청소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40946B1 (ko) 디퓨저 홀이 형성된 차선시공용 스프레이 노즐
KR102140947B1 (ko) 이분 연속구동형 돌출차선 시공장치
US8382394B1 (en) Device for applying reflective paint to roadside barriers
KR20080003833U (ko) 차선 도포 구조 및 도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