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0946B1 - 디퓨저 홀이 형성된 차선시공용 스프레이 노즐 - Google Patents

디퓨저 홀이 형성된 차선시공용 스프레이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0946B1
KR102140946B1 KR1020190053590A KR20190053590A KR102140946B1 KR 102140946 B1 KR102140946 B1 KR 102140946B1 KR 1020190053590 A KR1020190053590 A KR 1020190053590A KR 20190053590 A KR20190053590 A KR 20190053590A KR 102140946 B1 KR102140946 B1 KR 102140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nozzle
lane
spray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3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오
Original Assignee
태광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광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태광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90053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09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0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0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 E01C23/22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by spra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 E01C23/20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by applying fusible particulate material to the surface, e.g. by means of a gaseous st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의 노면에 차선도료를 균일한 분산압력으로 토출하여 전체적으로 차선 폭이 일정한 차선을 효율적으로 시공함을 제공하도록, 도료탱크의 하부에 장착하여 차선도료를 노면을 향해 토출 분사하는 차선시공용 스프레이 노즐에 있어서, 상기 도료탱크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고 내측에 횡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회전가이드로를 형성하며, 상기 회전가이드로의 상단에 상기 도료탱크와 연통하게 형성된 도료유입공 및 상기 회전가이드로의 하단에 형성된 도료토출구를 구비하는 노즐하우징과; 상기 노즐하우징의 회전가이드로 내 결합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노즐하우징의 상기 도료토출구를 개폐할 수 있게 구성하는 노즐바;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바는, 외주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차선도료를 외곽경로로 토출 분사하는 외곽분사홈과, 상기 외곽분사홈 상에 상하 수직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차선도료의 토출압력을 분산 분사하는 디퓨저홀을 포함하는 디퓨저 홀이 형성된 차선시공용 스프레이 노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디퓨저 홀이 형성된 차선시공용 스프레이 노즐 {Spray Nozzle for Traffic Lane Construction with Diffuser Hole}
본 발명은 디퓨저 홀이 형성된 차선시공용 스프레이 노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의 노면에 차선도료를 균일한 분산압력으로 토출하여 전체적으로 차선 폭이 일정한 차선을 효율적으로 시공하는 것이 가능한 디퓨저 홀이 형성된 차선시공용 스프레이 노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선은 차량의 주행방향 및 주행간격 등의 식별을 위하여 띠 모양으로 표시토록 도로에 시공되는 것으로서, 도로 위에 그려진 규칙인 만큼 그 모양과 색깔 등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함축하고 있으며, 차선의 의미에 맞게 황색 및 백색, 청색 등의 색깔로 구분하여 표시하고 그 모양도 실선 또는 점선 등으로 구분하여 노면에 표시토록 시공하게 된다.
예를 들면 차선은 도로에 차량의 주행방향을 서로 분리하기 위하여 도로의 중심선 상에 2중 황색실선으로 도색 표시(중앙선)하고, 주행차량에 대한 차로와 차로를 구분하되 차로간에 진로변경의 방향이 제한되는 구간을 백색실선으로 경계를 도색 표시(일반주행차선)하거나, 차로간에 진로변경과 진입이 허용되는 구간을 백색점선으로 경계를 도색 표시(추월차선)하게 된다. 나아가 차선에는 도로를 보행자가 횡단할 수 있는 영역으로 횡단 보도를 도색 표시하되 일반주행차선에 비해 폭이 넓게 도색하여 표시하고 있다.
이러한 차선은 도로의 노면에 주간은 물론 야간 또는 우천시까지 운전자의 차선 식별이 용이할 수 있게 도료를 사용하여 도색시공하는 차선 시공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차선 시공장치는 차량이 이동하는 주행노면을 따라 자동으로 도료를 분사 및 살포할 수 있게 제작된 장치로서, 다양한 종류나 색상의 도료를 이용하거나 열가소성 수지를 용융하여 띠 형상으로 살포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나아가, 차선 시공장치에는 차선의 시인성 향상을 위하여 빛의 반사율이 뛰어난 글라스 비드(bead)를 차선 위에 살포하므로 차량의 전조등에 의한 조명 빛의 재귀반사를 이용하여 운전자는 차선을 육안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게 시공하게 된다.
그런데 기존의 차선 시공장치는 도료가 담긴 이동수단을 작업자가 일일이 끌고 다니면서 도로의 노면에 도료를 도포하였으나, 항시 차량이 지나다니는 도로에서 수작업에 의한 차선을 시공함에는 교통체증이나 사고의 위험성을 초래하고, 작업속도가 늦어 시공공기가 길어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721510호(2007.05.17.)에는 도료탱크와 글라스비드탱크가 탑재된 차량의 양측에 설치되어 이동하면서 도로에 차선을 그리는 융착식 도색차량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이 가이드레일에 결합되어 차량의 횡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프레임과, 이 슬라이딩프레임의 하측에 힌지핀을 구비한 링크에 의해 연결되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의 하측에 수직프레임으로 연결되어 도료분사기와 글라스비드분사기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되는 프레임; 상기 도료탱크와 연결되도록 프레임의 하측에 고정되는 도료분사노즐과, 이 도료분사노즐의 상측에 결합되는 도료분사실린더로 구성된 도료분사기; 이 도료분사기의 후방에 위치되며 글라스비드탱크와 연결되도록 프레임에 결합되는 글라스비드분사노즐과, 이 글라스비드분사노즐의 상측에 결합되는 글라스비드분사실린더로 구성된 글라스비드분사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수작업에 따른 위험성을 방지하고 신속하게 작업을 진행하도록 이루어지는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56591호(2010.05.28.)에는 용융된 도료를 도로면 상에 분사하는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의 도료분사노즐에 있어서, 상기 도료분사노즐은 내부에 일정공간이 형성되어지되 상부 일측에는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압축공기 유입구가 형성된 실린더 유닛; 상기 실린더 유닛의 하부에 설치되어지되 상하로 관통된 중심에 내통되도록 용융된 도료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도료 유입구와 상기 도료 유입구와는 격리되어지되 가열된 압축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가열압축공기 유입구 및 상기 가열압축공기의 유출이 이루어지는 가열압축공기 노즐이 형성된 도료공급유닛; 상기 도료공급유닛의 하부에 설치되어지되 도로면으로 도료의 분사가 이루어지는 도료분사구가 형성된 도료분사유닛; 상기 도료공급유닛과 도료분사유닛 사이에 설치되어지되 상하로 관통된 노즐공의 개폐에 의해 상기 도료공급유닛을 통해 유입된 도료가 상기 도료분사유닛의 도료분사구로 분사되도록 하는 라운드 노즐; 상기 실린더 유닛의 내부 일측에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상기 실린더 유닛의 압축공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어 상기 라운드 노즐을 개폐시키는 도료제어 피스톤 유닛; 및 상기 실린더 유닛의 내부 타측에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상기 도료제어 피스톤 유닛의 승강작용에 의해 동일방향으로 작동되어 상기 도료공급유닛의 가열압축공기 노즐을 개폐시키는 가열압축공기 제어 피스톤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도로면과의 도료 접착성이 보다 향상되어 차선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용 도료분사노즐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들은 모두 단순한 개폐조작에 의하여 도료를 낙하 도포하는 분사노즐구조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소정의 폭을 갖는 차선시공에 노즐로부터 도료를 무분별하게 단순 분사하여 도료의 분사압력이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과 함께 불균일한 도료분사시공을 유발하고, 그에 따른 차선의 시공품질이 현저히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KR 등록특허공보 제10-0721510호 (2007.05.17.) KR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56591호 (2010.05.2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선 폭에 대응된 도료의 분사과정에서 노즐 자체적인 디퓨저 구조를 조성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도료를 균일한 분산압력으로 분사하면서 차선의 시공성 및 시공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디퓨저 홀이 형성된 차선시공용 스프레이 노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외곽 및 수직 방향으로 도료를 흘려 일괄적으로 토출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도료의 초기 토출 신속성을 도모함과 동시에 차선의 시공품질을 보다 높일 수 있는 디퓨저 홀이 형성된 차선시공용 스프레이 노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디퓨저 홀이 형성된 차선시공용 스프레이 노즐은 도료탱크의 하부에 장착하여 차선도료를 노면을 향해 토출 분사하는 차선시공용 스프레이 노즐에 있어서, 상기 도료탱크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고 내측에 횡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회전가이드로를 형성하며, 상기 회전가이드로의 상단에 상기 도료탱크와 연통하게 형성된 도료유입공 및 상기 회전가이드로의 하단에 형성된 도료토출구를 구비하는 노즐하우징과; 상기 노즐하우징의 회전가이드로 내 결합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노즐하우징의 상기 도료토출구를 개폐할 수 있게 구성하는 노즐바;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바는, 외주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차선도료를 외곽경로로 토출 분사하는 외곽분사홈과, 상기 외곽분사홈 상에 상하 수직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차선도료의 토출압력을 분산 분사하는 디퓨저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노즐바의 외곽분사홈에는 일단에 외측으로 확장 경사지게 형성하는 유도경사면을 구비한다.
상기 노즐바의 디퓨저홀은, 상기 노즐하우징의 도료유입공에 대응하여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노즐바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구비하여 차선도료를 1차 분산시키는 복수 개의 상부분산홀과, 상기 상부분산홀에 연통하여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노즐바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장방형으로 차선도료를 2차 분산시키는 하부슬릿홀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도료탱크 상에 고정 설치하고 상기 노즐바에 회전력을 인가하도록 구동하는 개폐구동수단을 구성한다.
상기 개폐구동수단은, 상기 도료탱크 상에 설치되고 로드가 신장운동하여 구동하되 상기 로드의 선단에 래크부재를 구비하는 구동실린더와, 상기 노즐바의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실린더의 래크부재에 맞물려 상기 구동실린더의 직선운동에 따른 동력을 상기 노즐바의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피니언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퓨저 홀이 형성된 차선시공용 스프레이 노즐에 의하면 노면에 차선도료를 노즐의 외곽경로방향과 함께 수직방향으로 일괄적 토출 분사하게 구성하므로 도료의 초기 분사가 신속하면서 차선도료의 충분한 분사유량을 확보하고, 노즐의 폭 방향에 대응하여 차선도료의 토출압력을 분산시키므로 도료의 분사압력이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한 채 균일한 압력으로 도료를 분사하여 차선의 시공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디퓨저 홀이 형성된 차선시공용 스프레이 노즐은 차선도료의 분사압력에 대해 노즐 자체적으로 반복해서 도료 분산을 유도하므로, 시공장치의 전체적인 크기를 최소화하면서 장치의 제작비용을 절감하고, 차선시공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노즐바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노즐바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노즐바를 나타내는 저면도.
본 발명은 도료탱크의 하부에 장착하여 차선도료를 노면을 향해 토출 분사하는 차선시공용 스프레이 노즐에 있어서, 상기 도료탱크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고 내측에 횡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회전가이드로를 형성하며, 상기 회전가이드로의 상단에 상기 도료탱크와 연통하게 형성된 도료유입공 및 상기 회전가이드로의 하단에 형성된 도료토출구를 구비하는 노즐하우징과; 상기 노즐하우징의 회전가이드로 내 결합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노즐하우징의 상기 도료토출구를 개폐할 수 있게 구성하는 노즐바;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바는, 외주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차선도료를 외곽경로로 토출 분사하는 외곽분사홈과, 상기 외곽분사홈 상에 상하 수직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차선도료의 토출압력을 분산 분사하는 디퓨저홀을 포함하는 디퓨저 홀이 형성된 차선시공용 스프레이 노즐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디퓨저 홀이 형성된 차선시공용 스프레이 노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디퓨저 홀이 형성된 차선시공용 스프레이 노즐의 일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료탱크(T)의 하부에 장착하여 차선도료를 노면을 향해 토출 분사하는 차선시공용 스프레이 노즐(N)에 있어서, 노즐하우징(10)과, 노즐바(20)와, 개폐구동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노즐하우징(10)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도료탱크(T)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고, 내측에 상기 노즐바(20)를 지지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노즐하우징(10)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도료탱크(T) 내 도료가 노면을 향해 토출가능한 토출경로를 형성하는 구조로서, 회전가이드로(11) 및 도료유입공(13), 도료토출구(15)를 형성한다.
상기 회전가이드로(11)는 상기 노즐하우징(10)의 내측에 횡 방향으로 연장하여 관통 형성된다.
상기 회전가이드로(11)는 내측에 상기 노즐바(20)를 수용한 채 상기 노즐바(20)의 회전운동을 면 접촉상태로 지지할 수 있게 형성한다.
상기 도료유입공(13)은 상기 회전가이드로(11)의 상단에 상기 도료탱크(T)와 연통하여 형성하므로, 상기 도료탱크(T)의 차선도료가 자연히 유입될 수 있는 유입경로를 이룬다.
상기 도료토출구(15)는 상기 회전가이드로(11)의 하단에 형성되어 노면을 향한 최종적인 차선도료의 토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형성한다. 즉, 상기 도료탱크(T)로부터 상기 도료유입공(13)으로 유입된 차선도료는 상기 노즐바(20)의 개폐 제어 여부에 따라 상기 회전가이드로(11)를 거쳐 상기 도료토출구(15)를 통해 차선도료가 최종적으로 노면에 분사된다.
상기 도료토출구(15)는 상기 노즐바(20)의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장방형을 이룬다.
상기 노즐바(20)는 상기 노즐하우징(10)을 향해 공급되는 차선도료의 토출 유무를 제어함과 동시에 차선도료를 분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노즐바(2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형의 단면형상을 갖으며 좌우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환봉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노즐바(20)는 상기 노즐하우징(10)의 회전가이드로(11) 내 결합하고, 상기 개폐구동수단(3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노즐바(20)는 도 4에서처럼 상기 회전가이드로(11) 내 상기 개폐구동수단(30)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노즐하우징(10)의 상기 도료토출구(15)를 개폐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노즐바(20)는 두 가지 유형의 토출 경로를 형성한다. 즉, 상기 노즐바(20)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선도료를 외곽경로로 유도하는 외곽분사홈(21)과, 차선도료를 수직방향을 향한 경로로 유도하는 디퓨저홀(25)을 형성한다.
상기 외곽분사홈(21)은 상기 도료유입공(13)으로 유입된 차선도료가 상기 노즐바(20)의 외곽 둘레를 따라 흐를 수 있게 유도하는 구조로서, 상기 노즐바(20)의 외주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홈 형태로 구성한다.
상기 외곽분사홈(21)은 상기 노즐바(20)의 외주연 상에 전체 둘레를 기준으로 1/2~2/3의 둘레영역을 이루도록 형성한다.
상기 외곽분사홈(21)에는 상기 노즐바(20)의 외주연과 경계를 이루는 일단에 외측으로 확장 경사지게 형성하는 유도경사면(22)을 형성한다.
상기 유도경사면(22)은 상기 노즐바(20)의 회전작용에 이은 상기 도료토출구(15)의 개방시 상기 외곽분사홈(21)으로부터 도료가 원활하게 토출될 수 있게 안내한다.
상기 유도경사면(22)은 상기 외곽분사홈(21)의 일단에서 상기 노즐바(20)의 회전중심점을 기준으로 40~50°의 경사각(α)을 이루게 형성한다.
상기 디퓨저홀(25)은 상기 노즐바(20) 상에 상기 외곽분사홈(21)과는 구분된 차선도료의 토출 경로를 이룬다.
상기 디퓨저홀(25)은 상기 외곽분사홈(21) 상에 상하 수직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즉 도 4에서처럼 상기 외곽분사홈(21)으로 진입한 차선도료가 상기 외곽분사홈(21)을 따라 외곽경로로 흐름과 동시에 상기 디퓨저홀(25)을 통해 수직 직선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형성한다.
상기 디퓨저홀(25)은 차선도료를 수직으로 토출하여 분사하되 차선 폭에 대응하여 차선도료의 토출압력을 고르게 분산 분사하도록 형성한다.
상기 디퓨저홀(25)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선도료를 수직방향으로 토출하여 분사하되 두 차례의 순차적인 단계를 거쳐 차선도료를 분산 분사할 수 있는 구조로서, 상부분산홀(26) 및 하부슬릿홀(27)을 형성한다.
상기 상부분산홀(26)은 상기 노즐바(20) 상에 상기 노즐하우징(10)의 도료유입공(13)에 대응하여 상부에 형성한다.
상기 상부분산홀(26)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노즐바(20)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연속적으로 배열배치된 구조를 이루어 차선도료에 대한 1차적 토출압력을 분산시킨다.
상기 하부슬릿홀(27)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부분산홀(26)의 하부에 연통하여 차선도료를 2차 분산시킬 수 있게 형성한다. 즉, 상기 하부슬릿홀(27)은 상기 상부분산홀(26)에 연속해서 차선도료를 분산시킬 수 있는 구조로서, 상기 하부슬릿홀(27)은 상기 상부분산홀(26)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상단에 단턱을 형성하므로 차선도료를 분산 분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하부슬릿홀(27)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노즐바(20)의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장방형을 이룬다.
상기 개폐구동수단(30)은 상기 노즐하우징(10)의 도료토출구(15)를 통한 도료의 분사 유무를 제어할 수 있게 상기 노즐바(20)를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개폐구동수단(3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도료탱크(T) 상에 고정 설치하고 상기 노즐바(20)에 회전력을 인가하도록 구동하는 구성으로서, 래크부재(33)를 구비한 구동실린더(31) 및 피니언부재(35)를 구비한다.
상기 구동실린더(31)는 상기 도료탱크(T) 상에 설치되고 로드(32)가 신장운동하여 구동한다. 즉, 상기 구동실린더(31)의 로드(32)가 신장운동하여 상기 로드(32)의 선단에 구비된 래크부재(33)를 위치 이동시키므로, 상기 래크부재(33)와 맞물린 상기 피니언부재(35)를 회전시키도록 구동한다.
상기 피니언부재(35)는 상기 노즐바(20)의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실린더(31)의 래크부재(33)에 맞물려 상기 노즐바(20)를 회전가능하게 형성한다. 즉, 상기 구동실린더(31)의 직선운동에 따른 동력을 상기 노즐바(20)의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므로, 상기 노즐바(20)의 좌우 회전방향에 따른 상기 도료토출구(15)의 개폐 여부를 제어한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디퓨저 홀이 형성된 차선시공용 스프레이 노즐에 의하면 노면에 차선도료를 노즐의 외곽경로방향과 함께 수직방향으로 일괄적 토출 분사하게 구성하므로 도료의 초기 분사가 신속하면서 차선도료의 충분한 분사유량을 확보하고, 노즐의 폭 방향에 대응하여 차선도료의 토출압력을 분산시키므로 도료의 분사압력이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한 채 균일한 압력으로 도료를 분사하여 차선의 시공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차선도료의 분사압력에 대해 노즐 자체적으로 반복해서 도료 분산을 유도하므로, 시공장치의 전체적인 크기를 최소화하면서 장치의 제작비용을 절감하고, 차선시공효율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디퓨저 홀이 형성된 차선시공용 스프레이 노즐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명세서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T : 도료탱크 N : 노즐
10 : 노즐하우징 11 : 회전가이드로
13 : 도료유입공 15 : 도료토출구
20 : 노즐바 21 : 외곽분사홈
22 : 유도경사면 25 : 디퓨저홀
26 : 상부분산홀 27 : 하부슬릿홀
30 : 개폐구동수단 31 : 구동실린더
33 : 래크부재 35 : 피니언부재
α : 유도경사면 경사각

Claims (5)

  1. 도료탱크의 하부에 장착하여 차선도료를 노면을 향해 토출 분사하는 차선시공용 스프레이 노즐에 있어서,
    상기 도료탱크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고 내측에 횡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회전가이드로를 형성하며, 상기 회전가이드로의 상단에 상기 도료탱크와 연통하게 형성된 도료유입공 및 상기 회전가이드로의 하단에 형성된 도료토출구를 구비하는 노즐하우징과;
    상기 노즐하우징의 회전가이드로 내 결합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노즐하우징의 상기 도료토출구를 개폐할 수 있게 구성하는 노즐바;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바는, 외주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차선도료를 외곽경로로 토출 분사하는 외곽분사홈과, 상기 외곽분사홈 상에 상하 수직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차선도료의 토출압력을 분산 분사하는 디퓨저홀을 포함하며,
    상기 노즐바의 외곽분사홈에는 일단에 외측으로 확장 경사지게 형성하는 유도경사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노즐바의 디퓨저홀은, 상기 노즐하우징의 도료유입공에 대응하여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노즐바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구비하여 차선도료를 1차 분산시키는 복수 개의 상부분산홀과, 상기 상부분산홀에 연통하여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노즐바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장방형으로 차선도료를 2차 분산시키는 하부슬릿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퓨저 홀이 형성된 차선시공용 스프레이 노즐.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탱크 상에 고정 설치하고 상기 노즐바에 회전력을 인가하도록 구동하는 개폐구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퓨저 홀이 형성된 차선시공용 스프레이 노즐.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개폐구동수단은, 상기 도료탱크 상에 설치되고 로드가 신장운동하여 구동하되 상기 로드의 선단에 래크부재를 구비하는 구동실린더와, 상기 노즐바의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실린더의 래크부재에 맞물려 상기 구동실린더의 직선운동에 따른 동력을 상기 노즐바의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피니언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퓨저 홀이 형성된 차선시공용 스프레이 노즐.
KR1020190053590A 2019-05-08 2019-05-08 디퓨저 홀이 형성된 차선시공용 스프레이 노즐 KR102140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590A KR102140946B1 (ko) 2019-05-08 2019-05-08 디퓨저 홀이 형성된 차선시공용 스프레이 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590A KR102140946B1 (ko) 2019-05-08 2019-05-08 디퓨저 홀이 형성된 차선시공용 스프레이 노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0946B1 true KR102140946B1 (ko) 2020-08-04

Family

ID=72048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3590A KR102140946B1 (ko) 2019-05-08 2019-05-08 디퓨저 홀이 형성된 차선시공용 스프레이 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09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83873A (zh) * 2021-12-13 2022-03-15 深圳市柯瑞玛科技有限公司 环保节能雾化器及降噪空气净化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510B1 (ko) 2006-06-13 2007-05-23 대동안전주식회사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시공법
KR20100056591A (ko) 2008-11-20 2010-05-28 유한회사 삼신기업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용 도료분사노즐
KR101565002B1 (ko) * 2015-06-16 2015-11-02 태광엔지니어링(주) 스프레드 노즐 선택이 가능한 복합식 차선 시공장치
KR20160141332A (ko) * 2015-05-30 2016-12-08 맹기남 스티로폼 냉각용 물분사 노즐
KR101834198B1 (ko) * 2017-06-09 2018-03-05 태광엔지니어링(주) 차선도색장치의 도료 분사노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510B1 (ko) 2006-06-13 2007-05-23 대동안전주식회사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시공법
KR20100056591A (ko) 2008-11-20 2010-05-28 유한회사 삼신기업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용 도료분사노즐
KR20160141332A (ko) * 2015-05-30 2016-12-08 맹기남 스티로폼 냉각용 물분사 노즐
KR101565002B1 (ko) * 2015-06-16 2015-11-02 태광엔지니어링(주) 스프레드 노즐 선택이 가능한 복합식 차선 시공장치
KR101834198B1 (ko) * 2017-06-09 2018-03-05 태광엔지니어링(주) 차선도색장치의 도료 분사노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83873A (zh) * 2021-12-13 2022-03-15 深圳市柯瑞玛科技有限公司 环保节能雾化器及降噪空气净化器
CN114183873B (zh) * 2021-12-13 2023-04-28 深圳市柯瑞玛科技有限公司 环保节能雾化器及降噪空气净化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5002B1 (ko) 스프레드 노즐 선택이 가능한 복합식 차선 시공장치
KR101709545B1 (ko) 차선도료 균일 토출용 디퓨저 노즐
KR100721510B1 (ko)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시공법
WO2007018362A1 (en) Road line-marking vehicle
KR101524746B1 (ko) 5 내지 45cm 폭의 횡단보도 도색이 가능한 광폭 가변형 노면표시장비용 도색모듈
KR101454634B1 (ko) 복합 융착식 차선도색장치
KR102116032B1 (ko) 스프레드차선 및 돌출차선 복합 시공 시스템
KR102140946B1 (ko) 디퓨저 홀이 형성된 차선시공용 스프레이 노즐
KR101025279B1 (ko) 승강식 도료분사장치가 구성된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
KR101965160B1 (ko) 차선 자동 도색장치
KR101493778B1 (ko) 스프레드 노즐형 차선 시공장치
KR20060083532A (ko) 차량용 차선 도색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차선 도색 방법
KR101252655B1 (ko) 돌출차선표시용 시공장치
KR102057064B1 (ko) 스프레이 융착식 선명도 향상 차선 도색장치
KR101392886B1 (ko)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
KR101133570B1 (ko) 선명도를 향상시킨 차선 및 상기 선명도를 향상시킨 차선의 스프레이 융착식 선명도향상차선 도색장치와 선명도향상차선 도색방법
KR101841144B1 (ko) 차선도색장치의 도료 분사노즐 시스템
KR101383163B1 (ko) 도로 주행차선이 선명하게 부각되게 하는 분사구조를 갖는 도색차량의 차선도색장치 및 차선도색공법
KR101662463B1 (ko) 다기능을 갖는 차선도색 시공방법
KR102140947B1 (ko) 이분 연속구동형 돌출차선 시공장치
EP2227369B1 (de) Extrusionsblas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unststoffbehältern
KR101279431B1 (ko) 수동식 차선 도색장치
KR101344370B1 (ko) 이액형 돌출차선도색장치 및 돌출차선도색공법
KR101985697B1 (ko) 이액형 상온 경화형 차선 도색차량 및 그 차선 도색차량을 이용한 차선 도색방법
US20180030678A1 (en) Strip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