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3778B1 - 스프레드 노즐형 차선 시공장치 - Google Patents

스프레드 노즐형 차선 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3778B1
KR101493778B1 KR20140138844A KR20140138844A KR101493778B1 KR 101493778 B1 KR101493778 B1 KR 101493778B1 KR 20140138844 A KR20140138844 A KR 20140138844A KR 20140138844 A KR20140138844 A KR 20140138844A KR 101493778 B1 KR101493778 B1 KR 101493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nozzle
lane
tank
sp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38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오
Original Assignee
태광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259376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49377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태광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태광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20140138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37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3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3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 E01C23/22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by spra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05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mounted on vehicles or designed to apply a liquid on a very large surface, e.g. on the road, on the surface of large contai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1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 E01C19/16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for applying or spreading liquid materials, e.g. bitumen slurries
    • E01C19/17Application by spraying or thro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Repair (AREA)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차선을 효율적으로 시공함은 물론 노즐로부터 도료를 정량토출토록 개폐하여 시공 전후의 도표 흘림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을 제공하도록, 차량에 도료믹서탱크 및 글라스비드탱크, 히팅수단을 구비한 후 노면에 도료를 도포하여 차선을 시공하는 차선 시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한쪽에 고정 설치되고 내부에 일정량의 도료를 수용하여 저장가능한 도료수용공간을 구비하고, 하부에는 노면에 대응하여 상기 도료수용공간에 저류된 도료를 배출시킬 수 있게 좌우 횡 방향으로 길게 연장하여 개구된 토출구가 형성되는 도료탱크와; 상기 도료탱크의 토출구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노면을 향해 도료를 도포가능한 스프레드노즐을 구비하는 노즐바와; 상기 도료탱크의 양쪽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 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에 로드가 길이방향으로 신장하여 상하 직선왕복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과 상기 노즐바의 일단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구동수단의 상하 직선운동을 상기 노즐바의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링크부재와; 상기 구동수단의 상하 구동패턴을 위한 신호를 입력하여 설정가능하되 설정된 입력신호에 따라 차선의 길이나 두께를 탄력적으로 시공할 수 있게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패턴에 대한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프레드 노즐형 차선 시공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프레드 노즐형 차선 시공장치 {Spread Nozzle Type Lane Painting Constru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스프레드 노즐형 차선 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선 폭이 규정된 노즐을 교체적용한 후 도료를 도포방식으로 시공하여 다양한 형태의 차선을 효율적으로 시공함은 물론 노즐로부터 도료를 정량토출토록 개폐하여 시공 전후의 도표 흘림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스프레드 노즐형 차선 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선은 도로에서 차량을 일렬로 안전하면서도 원활하게 통행시키기 위해 차량을 수용하기 충분한 간격을 두고 띠 모양으로 표시토록 시공하는 것으로서, 도로 위에 그려진 규칙인 만큼 그 모양과 색깔 등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함축하고 있으며, 차선의 의미에 맞게 황색 및 백색, 청색의 색깔과 함께 실선 및 점선의 모양으로 도로의 노면에 표시토록 시공하게 된다.
예를 들면 차선은 도로에 차량의 주행방향을 서로 분리하기 위하여 도로의 중심선 상에 2중 황색실선으로 도색 표시(중앙선)하고, 주행차량에 대한 차로와 차로를 구분하되 차로간에 진로변경의 방향이 제한되는 구간을 백색실선으로 경계를 도색 표시(일반주행차선)하거나, 차로간에 진로변경과 진입이 허용되는 구간을 백색점선으로 경계를 도색 표시(추월차선)하게 된다.
이러한 차선은 도로의 노면에 주간은 물론 야간 또는 우천시까지 운전자의 차선 식별이 용이할 수 있게 도료를 사용하여 도색시공하는 차선 시공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차선 시공장치는 차량이 이동하는 주행노면을 따라 자동으로 도료를 분사 및 살포하는 장치이고, 다양한 종류나 색상의 도료를 이용하거나 열가소성 수지를 용융하여 살포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나아가 차선의 시인성 향상을 위하여 빛의 반사율이 뛰어난 비드(bead)를 차선 위에 살포하여 차량의 전조등에 의한 조명 빛이 반사됨에 따른 재귀반사율을 이용하여 운전자는 차선을 육안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게 차선 시공장치를 사용하여 시공하게 된다.
그런데 기존의 차선 시공장치는 도료가 담긴 이동수단을 작업자가 일일이 끌고 다니면서 도로의 노면에 도료를 도포하였으나, 항시 차량이 지나다니는 도로에서 수작업에 의한 차선을 시공함에는 교통체증이나 사고의 위험성을 초래하고, 작업이 늦어 시공공기가 길어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721510호(2007.05.17.)에는 도료탱크와 글라스비드탱크가 탑재된 차량의 양측에 설치되어 이동하면서 도로에 차선을 그리는 융착식 도색차량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이 가이드레일에 결합되어 차량의 횡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프레임과, 이 슬라이딩프레임의 하측에 힌지핀을 구비한 링크에 의해 연결되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의 하측에 수직프레임으로 연결되어 도료분사기와 글라스비드분사기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되는 프레임; 상기 도료탱크와 연결되도록 프레임의 하측에 고정되는 도료분사노즐과, 이 도료분사노즐의 상측에 결합되는 도료분사실린더로 구성된 도료분사기; 이 도료분사기의 후방에 위치되며 글라스비드탱크와 연결되도록 프레임에 결합되는 글라스비드분사노즐과, 이 글라스비드분사노즐의 상측에 결합되는 글라스비드분사실린더로 구성된 글라스비드분사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수작업에 따른 위험성을 방지하고 신속하게 작업을 진행하도록 이루어지는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279431호(2013.06.21.)에는 황색도색제 또는 백색도색제가 저장된 도색제 용기와, 상기 도색제 용기의 도색제를 펌핑하는 도색제 펌핑장치와, 상기 도색제 펌핑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도색제의 이송 압력을 조절하는 도색제 압력조절탱크를 구비한 도색제 공급장치와; 도색제와 혼합되는 경화제가 저장된 경화제 용기와, 상기 경화제 용기의 경화제를 펌핑하는 경화제 펌핑장치와, 상기 경화제 펌핑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경화제의 이송 압력을 조절하는 경화제 압력조절탱크를 구비한 경화제공급장치와; 도색제와 경화제가 이송된 통로를 세척하는 세척제가 저장된 세척제 용기와, 상기 세척제 용기의 세척제를 펌핑하는 세척제 펌핑장치를 구비한 세척제 공급장치와; 상기 도색제 공급장치, 상기 경화제 공급장치 및 상기 세척제 공급장치로부터 이송된 도색제, 경화제 및 세척제를 공급 및 단속하는 공급밸브장치와; 상기 공급밸브장치로부터 유입된 세척제가 이송되고, 상기 공급밸브장치로부터 유입된 도색제와 경화제가 혼합되는 믹싱장치와; 상기 믹싱장치로부터 토출된 도색제 및 세척제가 분사되는 분사건과; 상기 도색제 공급장치, 상기 경화제 공급장치, 상기 세척제 공급장치, 상기 공급밸브장치, 상기 믹싱장치 및 상기 분사건이 설치되어 작업자가 끌거나 밀어 이동시킬 수 있는 수동이동차;를 포함하되, 상기 공급밸브장치와 상기 믹싱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도색제, 경화제 및 세척제가 역류되지 않도록 역류방지밸브를 구비하여 구성됨에 따라 장치의 구성이 매우 단순하며 도색재료 간의 혼합이 잘 이뤄지며 도료의 역류를 방지하는 수동식 차선 도색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 중 등록특허공보 제1279431호의 경우에는 수동으로 이동하여 차선을 시공하기 때문에 여전히 사고위험성과 함께 작업이 곤란하고, 시공공기가 상당히 지연된다는 문제가 있다. 반면 종래 등록특허공보 제721510호는 기존 도로주행에 따른 이동을 목적으로 하는 차량에 장착된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차량의 시속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려움은 물론 작업자가 위치한 차량의 운전석에서 차선시공의 작업위치에 대한 시야가 확보되지 않아 작업성 및 시공품질이 현저히 떨어지고, 시공장소가 좁은 도로나 복잡한 도로인 경우 작업이 불가함은 물론 차량진입이 원활하지 못하여 작업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 시공장치의 경우에는 도료를 단순히 분사하는 스프레이방식을 적용하여 시공하기 때문에 도료를 분사하는 시공시작시점이나 도료분사를 정지하는 시공종료시점에서 도료가 불필요하게 낙하하는 흘림 현상이 발생하여 시공 주변환경이 불필요하게 오염됨은 물론 시공 작업성과 시공품질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한 종래 시공장치는 도료를 항상 무분별하게 분사하여 시공하기 때문에 시공을 위한 이동속도에 따라 노면 상의 도료분사량에 차이가 생겨 작업 후 시공품질이 떨어지고, 차선의 도막 두께를 설정조절하여 시공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항상 일정한 양의 도료를 단순히 분사하여 차선을 시공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실선의 차선이 아닌 추월선과 같은 점선의 차선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작업자의 측량작업을 거쳐 도로의 노면 상에 시공할 부위를 선형마킹한 후 도료를 도색함에 따라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시공공기가 늦어짐은 물론 작업성이 떨어지고, 전문적인 작업인력과 함께 많은 인력을 요하여 인건비가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선 폭에 맞게 도료를 도포할 수 있게 규정된 노즐과 함께 노즐의 일정한 구동패턴을 설정한 후 도료를 도포할 수 있도록 노즐의 개폐를 제어하므로, 차선시공의 시작시점과 종료시점에서 도료의 흘림 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일정한 넓이의 차선을 시공가능하여 우수한 시공품질을 도모하고, 다양한 형태의 차선(실선차선 및 점선차선)을 탄력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 스프레드 노즐형 차선 시공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차선 시공을 위해 도료가 도포되는 스프레드노즐의 개수와 폭이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의 노즐바를 착탈가능하여 교체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하므로, 차선 폭을 탄력적으로 시공가능함은 물론 다중차선을 일괄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 스프레드 노즐형 차선 시공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로 노면을 향한 노즐의 개폐 개도를 조절구동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차선을 일정한 도막 두께로 시공가능함은 물론 차선의 도막 두께를 탄력적으로 설정하여 시공할 수 있는 스프레드 노즐형 차선 시공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스프레드 노즐형 차선 시공장치는, 차량에 도료믹서탱크 및 글라스비드탱크, 히팅수단을 구비한 후 노면에 도료를 도포하여 차선을 시공하는 차선 시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한쪽에 고정 설치되고 내부에 일정량의 도료를 수용하여 저장가능한 도료수용공간을 구비하고, 하부에는 노면에 대응하여 상기 도료수용공간에 저류된 도료를 배출시킬 수 있게 좌우 횡 방향으로 길게 연장하여 개구된 토출구가 형성되는 도료탱크와; 상기 도료탱크의 토출구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노면을 향해 도료를 도포가능한 스프레드노즐을 구비하는 노즐바와; 상기 도료탱크의 양쪽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 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에 로드가 길이방향으로 신장하여 상하 직선왕복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과 상기 노즐바의 일단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구동수단의 상하 직선운동을 상기 노즐바의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링크부재와; 상기 구동수단의 상하 구동패턴을 위한 신호를 입력하여 설정가능하되 설정된 입력신호에 따라 차선의 길이나 두께를 탄력적으로 시공할 수 있게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패턴에 대한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도료탱크에는 측벽면 내에 매설되고 도료가 수용된 상기 도료수용공간을 가열할 수 있도록 발열하는 히팅부재을 구비한다.
상기 도료탱크의 토출구에는 상기 노즐바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공과, 상기 가이드공의 일단에 완만하게 경사져 상기 토출구를 향한 도료의 배출을 안내하는 경사가이드면을 형성한다.
상기 노즐바는 외주연 상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스프레드노즐을 구비하되 상기 도료탱크로부터 착탈가능한 구조로 교체할 수 있는 교체형으로 구성한다.
상기 노즐바는 상기 스프레드노즐의 개수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의 차선을 선택적으로 시공할 수 있게 교체가능하고, 상기 스프레드노즐의 폭 길이에 따라 서로 다른 넓이의 차선을 선택적으로 시공할 수 있게 교체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프레드노즐은 상기 노즐바의 외주연 상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홈형을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스프레드노즐은 상기 노즐바 상에 일방향으로 관통된 구조를 갖는 관통형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구동수단 중 로드의 신장길이에 따른 유동범위를 설정제어한 후 상기 도료탱크의 토출구에 대응하여 상기 스프레드노즐의 개폐 여부에 따른 개도를 조절구동하므로 상기 토출구를 통한 도료의 배출량을 제어가능하게 구성한다.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구동수단의 수직직선운동에 따른 상하 왕복구동 주기에 대한 시간을 설정 입력받고, 상기 구동수단의 설정주기에 따른 시간을 감지한 후 상기 제어부에 감지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구동수단을 자동제어할 수 있게 구비되는 주기감지부를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를 감지하고 상기 주기감지부의 설정주기에 따른 시간을 자동조절할 수 있게 상기 구동수단의 상하 왕복구동 주기를 탄력적으로 제어가능한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차속감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1개 이상의 스프레드노즐이 구비된 상기 노즐바를 지지하되 상기 노즐바를 좌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되는 사이드유동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사이드유동수단은 상기 도료탱크의 한쪽에 구비되고 상기 노즐바의 일단에 연결 결합하되 상기 구동수단을 지지하는 유동브라켓과, 상기 도료탱크 상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유동브라켓이 전후 직선왕복운동가능하게 동력을 전달하는 실린더부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료탱크의 외부에 설치되고 차선을 상호 일정한 간격을 두고 시공할 수 있도록 노면에 우선적으로 시공한 차선을 향해 기준점을 표시하기 위한 광원을 조사하는 지시포인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드 노즐형 차선 시공장치에 의하면 노즐바의 규격화된 스프레드노즐에 의해 도료를 스프레드방식으로 도포하므로, 도료의 정량토출에 따른 동일한 넓이규격의 차선을 시공하여 차선의 시공품질을 향상시킴은 물론 도료도포에 따른 시공 전후로 도료의 흘림 없이 시공 주변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하면서 우수한 시공작업성이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노즐바를 일정한 구동패턴으로 설정한 후 자동제어하므로, 실선차선은 물론 점선차선까지 일률적으로 시공가능하여 작업공정을 축소함은 물론 시공공기를 단축하고 인건비는 낮추면서 작업성은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드 노즐형 차선 시공장치는 스프레드노즐의 개수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의 차선을 선택적으로 시공할 수 있게 노즐바를 교체가능하므로, 중앙선과 같은 다중차선을 일괄적으로 시공하여 작업이 매우 간편함은 물론 작업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드 노즐형 차선 시공장치는 스프레드노즐의 폭 길이에 따라 서로 다른 넓이의 차선을 선택적으로 시공할 수 있게 노즐바를 교체가능하므로, 다양한 폭의 차선을 탄력적으로 시공가능하여 차선시공의 다양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드 노즐형 차선 시공장치는 도료탱크의 토출구에 대응하여 스프레드노즐의 개폐 여부에 따른 개도를 조절구동토록 구성하므로, 토출구를 통한 도료의 배출량을 제어가능하여 일정한 도막 두께를 갖는 차선시공으로 시공품질을 향상시키고, 시공환경에 따라 도막 두께를 탄력적으로 시공할 수 있어 차선의 기능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드 노즐형 차선 시공장치에 의하면 노즐의 개폐 주기에 대해 설정한 후 자동제어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작업이 매우 편리하고 다양한 형태의 차선을 일률적으로 시공할 수 있어 차선의 시공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노즐 개폐 주기를 차량의 주행속도에 따라 탄력적으로 자동제어하므로, 일정한 길이 및 간격의 점선차선을 시공하여 시공품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드 노즐형 차선 시공장치에 의하면 우선 시공한 차선을 향해 기준점을 표시하기 위한 광원을 조사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차선 간에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시공하여 시공품질을 향상시킴은 물론 시공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시공공기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차량장착된 전체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차량장착된 전체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노즐바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도 7의 (a),(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서로 다른 개수의 스프레드노즐을 구비한 노즐바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노즐바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본 발명은 차량에 도료믹서탱크 및 글라스비드탱크, 히팅수단을 구비한 후 노면에 도료를 도포하여 차선을 시공하는 차선 시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한쪽에 고정 설치되고 내부에 일정량의 도료를 수용하여 저장가능한 도료수용공간을 구비하고, 하부에는 노면에 대응하여 상기 도료수용공간에 저류된 도료를 배출시킬 수 있게 좌우 횡 방향으로 길게 연장하여 개구된 토출구가 형성되는 도료탱크와; 상기 도료탱크의 토출구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노면을 향해 도료를 도포가능한 스프레드노즐을 구비하는 노즐바와; 상기 도료탱크의 양쪽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 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에 로드가 길이방향으로 신장하여 상하 직선왕복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과 상기 노즐바의 일단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구동수단의 상하 직선운동을 상기 노즐바의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링크부재와; 상기 구동수단의 상하 구동패턴을 위한 신호를 입력하여 설정가능하되 설정된 입력신호에 따라 차선의 길이나 두께를 탄력적으로 시공할 수 있게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패턴에 대한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프레드 노즐형 차선 시공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료탱크에는 측벽면 내에 매설되고 도료가 수용된 상기 도료수용공간을 가열할 수 있도록 발열하는 히팅부재을 포함하는 스프레드 노즐형 차선 시공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료탱크의 토출구에는 상기 노즐바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공과, 상기 가이드공의 일단에 완만하게 경사져 상기 토출구를 향한 도료의 배출을 안내하는 경사가이드면을 포함하는 스프레드 노즐형 차선 시공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노즐바는 외주연 상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스프레드노즐을 구비하되 상기 도료탱크로부터 착탈가능한 구조로 교체할 수 있는 교체형으로 이루어지는 스프레드 노즐형 차선 시공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노즐바는 상기 스프레드노즐의 개수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의 차선을 선택적으로 시공할 수 있게 교체가능하고, 상기 스프레드노즐의 폭 길이에 따라 서로 다른 넓이의 차선을 선택적으로 시공할 수 있게 교체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스프레드 노즐형 차선 시공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프레드노즐은 상기 노즐바의 외주연 상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홈형을 이루는 스프레드 노즐형 차선 시공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프레드노즐은 상기 노즐바 상에 일방향으로 관통된 구조를 갖는 관통형으로 이루어지는 스프레드 노즐형 차선 시공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구동수단 중 로드의 신장길이에 따른 유동범위를 설정제어한 후 상기 도료탱크의 토출구에 대응하여 상기 스프레드노즐의 개폐 여부에 따른 개도를 조절구동하므로 상기 토출구를 통한 도료의 배출량을 제어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스프레드 노즐형 차선 시공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구동수단의 수직직선운동에 따른 상하 왕복구동 주기에 대한 시간을 설정 입력받고, 상기 구동수단의 설정주기에 따른 시간을 감지한 후 상기 제어부에 감지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구동수단을 자동제어할 수 있게 구비되는 주기감지부를 포함하는 스프레드 노즐형 차선 시공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를 감지하고 상기 주기감지부의 설정주기에 따른 시간을 자동조절할 수 있게 상기 구동수단의 상하 왕복구동 주기를 탄력적으로 제어가능한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차속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스프레드 노즐형 차선 시공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1개 이상의 스프레드노즐이 구비된 상기 노즐바를 지지하되 상기 노즐바를 좌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되는 사이드유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스프레드 노즐형 차선 시공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이드유동수단은 상기 도료탱크의 한쪽에 구비되고 상기 노즐바의 일단에 연결 결합하되 상기 구동수단을 지지하는 유동브라켓과, 상기 도료탱크 상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유동브라켓이 전후 직선왕복운동가능하게 동력을 전달하는 실린더부재를 포함하는 스프레드 노즐형 차선 시공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료탱크의 외부에 설치되고 차선을 상호 일정한 간격을 두고 시공할 수 있도록 노면에 우선적으로 시공한 차선을 향해 기준점을 표시하기 위한 광원을 조사하는 지시포인터를 더 포함하는 스프레드 노즐형 차선 시공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드 노즐형 차선 시공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드 노즐형 차선 시공장치의 일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면에 도료를 도포하여 차선을 시공하는 차선 시공장치로서, 차량(C)에 도료믹서탱크(1) 및 글라스비드탱크(3), 히팅수단(5)을 구비하여 차선을 시공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스프레드 노즐형 차선 시공장치의 일실시예는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료탱크(10)와, 노즐바(20)와, 구동수단(30)과, 링크부재(40)와, 제어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도료믹서탱크(1) 및 글라스비드탱크(3)는 각각 상기 차량(C)에 설치되고, 상기 도료믹서탱크(1)에는 내부에 일정량의 도료를 저류시킨 상태에서 교반이 이뤄질 수 있게 믹싱구동하며, 상기 글라스비드탱크(3)에는 일정량의 글라스비드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비한다.
상기 도료믹서탱크(1)에서는 상기 도료탱크(10)를 향해 도료를 공급가능하게 구성한다. 즉 별도의 공급라인을 통해 상기 도료믹서탱크(1)와 상기 도료탱크(10)가 상호 연통된 구조를 이루어 상기 도료믹서탱크(1)로부터 상기 도료탱크(10)에 지속적인 도료공급이 이뤄질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히팅수단(5)은 상기 도료믹서탱크(1)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도료믹서탱크(1)에 열을 가하여 도료가 굳어버리지 않게 상기 도료믹서탱크(1) 내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비한다.
상기 글라스비드탱크(3)에 수용된 글라스비드의 경우 차선을 향해 글라스비드를 분사할 수 있는 비드분사노즐(7)을 구성한다. 즉 상기 비드분사노즐(7)은 상기 도료탱크(1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글라스비드탱크(3)로부터 글라스비드를 공급받아 분사하되 상기 도료탱크(10)로부터 노면에 도포시공된 차선 위에 글라스비드를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차량(C)은 상기 도료믹서탱크(1) 및 글라스비드탱크(3), 히팅수단(5) 등의 구성들을 지지가능한 대차형태를 갖는 소형의 차량으로 이루어지고, 한쪽에 작업자가 탑승하여 운행될 수 있도록 좌석 및 조향기기가 구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차량(C)은 원동기 즉 소형의 엔진을 동력원으로 사용하여 주행가능한 구조를 이루되 항시 일정한 저속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소형의 대차형태를 갖는 차량구조로 구성하게 되면, 작업자의 사고위험성을 예방하면서 시공공기를 단축가능하고, 저속의 주행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함은 물론 작업자의 작업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시야가 확보되어 작업성 및 시공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도료탱크(1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차량(C)의 한쪽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차량(C)을 기준으로 한쪽 측방의 연장된 위치상에 구비토록 구성한다.
상기 도료탱크(1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 및 좌우 사방이 밀폐된 벽면을 이루되 상면은 개방가능한 구조를 갖는 상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노즐바(20) 및 상기 구동수단(30)이 장착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상기 도료탱크(10)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도료믹서탱크(1)로부터 도료를 공급받아 내부에 일정량의 도료를 수용한 후 저장가능한 도료수용공간(11)을 구비한다.
상기 도료탱크(10)에는 상기 도료수용공간(11)을 가열할 수 있는 히팅부재(17)를 구성한다. 즉 상기 히팅부재(17)는 상기 도료탱크(10)의 측벽면 내에 매설되고 상기 도료수용공간(11)에 수용된 도료를 일정한 온도로 유지할 수 있게 가열가능한 발열구조로 구성한다.
상기 도료탱크(10)의 하부에는 노면에 대응하여 상기 도료수용공간(11)에 저류된 도료를 배출시킬 수 있게 개구된 토출구(13)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13)는 상기 도료탱크(10)의 하부에 좌우 횡 방향으로 길게 연장하여 개구된 구조를 이룬다.
상기 토출구(13)에는 상기 노즐바(20)가 끼움 결합하여 위치한다. 즉 상기 도료탱크(10)의 토출구(13)에는 상기 노즐바(2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공(14)을 형성한다.
상기 도료탱크(10)의 토출구(13)에는 상기 가이드공(14)의 일단에 완만하게 경사져 상기 토출구(13)를 향한 도료의 배출을 안내하는 경사가이드면(15)을 형성한다. 나아가 상기 도료탱크(10)의 내부인 상기 도료수용공간(11)의 바닥면은 상기 토출구(13)를 향해 내측으로 완만하게 경사진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즐바(20)는 상기 도료탱크(10)의 도료수용공간(11)을 개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노즐바(20)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환봉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료탱크(10)의 토출구(13) 상에 위치하되 상기 가이드공(14)에 면 접촉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노즐바(20)에는 노면을 향해 도료를 도포가능한 구조를 갖는 스프레드노즐(21)을 구비한다.
상기 노즐바(20)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주연 상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스프레드노즐(21)을 구비토록 구성한다.
상기 노즐바(20)는 상기 도료탱크(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착탈가능한 구조로서, 상기 도료탱크(10) 상에 설치된 상기 노즐바(20)를 교체할 수 있는 교체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노즐바(20)는 교체형을 이루되 상기 스프레드노즐(21)의 개수(예를 들면 1~2개)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의 차선을 선택적으로 시공할 수 있게 교체가능한 구조를 이룬다. 예를 들면, 도 7의 (a)에서처럼 상기 노즐바(20) 상에 1개의 스프레드노즐(21)을 구비하여 일반적인 단일차선을 시공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도 7의 (b)에서처럼 상기 노즐바(20) 상에 2개의 스프레드노즐(21)을 구비하여 다중차선(예를 들면 중앙선)을 시공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스프레드노즐(21)의 개수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의 차선을 선택적으로 시공할 수 있게 노즐바(20)를 교체가능한 구조로 구성하면, 중앙선과 같은 다중차선을 일괄적으로 시공하여 작업이 매우 간편함은 물론 작업시간을 대폭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노즐바(20)는 교체형을 이루되 상기 스프레드노즐(21)의 폭 길이를 다양하게 규격화하여 시공현장에 따라 서로 다른 넓이의 차선을 선택적으로 시공할 수 있게 교체가능한 구조를 이룬다.
상기와 같이 스프레드노즐(21)의 폭 길이에 따라 서로 다른 넓이의 차선을 선택적으로 시공할 수 있게 노즐바(20)를 교체가능한 구조로 구성하면, 다양한 폭의 차선을 탄력적으로 시공가능하여 차선시공의 다양성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스프레드노즐(21)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노즐바(20)의 외주연 상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홈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프레드노즐(21)은 상기 노즐바(20)의 외주연 상에 전체 둘레를 기준으로 2/3~3/5의 둘레영역을 이루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 스프레드노즐(21)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노즐바(20) 상에 일방향으로 관통된 구조를 갖는 관통형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관통형의 상기 스프레드노즐(21)에 있어서도 상기 노즐바(20) 상에 복수 개를 구비토록 구성하고,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의 차선을 선택적으로 시공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동수단(30)은 상기 노즐바(20)에 동력을 인가하여 상기 노즐바(20) 중 상기 스프레드노즐(21)의 개폐 여부를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구동수단(30)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도료탱크(10)의 외부 양쪽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 면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구조로 설치된다. 즉 상기 구동수단(30)은 상기 도료탱크(10)의 한쪽 면에만 구비토록 구성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토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도료탱크(10)의 양쪽 면 모두에 구비토록 구성하여 상기 노즐바(20)를 보다 안전하게 구동시킬 수 있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구동수단(30)은 하단에 로드(31)가 길이방향으로 신장하여 상하 직선왕복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상기 구동수단(30)은 상기 도료탱크(10) 상에 결합한 힌지를 중심으로 자연히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링크부재(40)는 상기 구동수단(30)과 상기 노즐바(20)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구동수단(30)에서 로드(31)의 상하 직선운동을 상기 노즐바(20)의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링크부재(40)는 한쪽이 상기 노즐바(20)의 일단에 고정상태를 유지토록 연결 결합하고, 상기 링크부재(40)의 반대쪽은 상기 구동수단(30)의 로드(3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 결합하여 상기 구동수단(30)의 로드(31)가 연장하여 직선이동하는 길이만큼 상기 노즐바(20)가 회전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구동수단(30)을 작동시키기 위한 설정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구동수단(30)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구동수단(30)의 상하 구동패턴을 위한 신호를 입력하여 설정가능하게 구성하고, 작업자로부터 설정된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30)의 구동패턴에 대한 제어신호를 인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어부(50)에서는 작업자가 조작판(도면에 미도시)을 이용하여 설정정보를 입력함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30)을 수동으로 구동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50)에서는 작업자로부터 설정된 입력신호에 따라 차선의 길이나 두께를 탄력적으로 시공할 수 있게 상기 구동수단(30)의 구동패턴에 대한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구동수단(30)을 자동으로 구동시키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50)에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노즐바(20)의 개폐 여부를 위한 상기 구동수단(30)의 설정 주기에 따른 시간을 감지하는 주기감지부(60)를 구비토록 구성한다.
상기 주기감지부(60)는 상기 구동수단(30)의 수직직선운동에 따른 상하 왕복구동 주기에 대한 시간을 설정 입력받고, 상기 구동수단(30)의 설정주기에 따른 시간을 감지한 후 상기 제어부(50)에 감지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구동수단(30)을 자동제어할 수 있게 구비된다.
예를 들면, 상기 구동수단(30)의 구동 주기에 대한 시간을 5초로 설정입력하면, 상기 주기감지부(60)에서 5초의 시간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50)에 감지신호를 전달함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30)이 5초의 시간 간격으로 상측 또는 하측으로 로드(31)가 직선이동하게 상기 제어부(50)로부터 제어신호를 인가하므로 차선의 시공길이를 설정제어하여 탄력적인 길이의 차선을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주기감지부(60)는 일반적인 전자기기 등에 사용되는 타이머(timer)의 구조를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노즐바(20)의 개폐 주기에 대해 설정한 후 자동제어할 수 있게 주기감지부(60)를 구성하게 되면, 작업이 매우 편리하고 다양한 형태의 차선을 일률적으로 시공할 수 있어 차선의 시공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50)에는 상기 차량(C)의 주행속도를 감지하는 차속감지부(7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차속감지부(70)는 작업중 상기 차량(C)의 주행속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50)로부터 상기 주기감지부(60)의 설정주기에 따른 시간을 자동조절함으로 상기 구동수단(30)의 상하 왕복구동 주기를 탄력적으로 제어한다.
예를 들면 상기 주기감지부(60)에 설정주기에 따른 시간이 5초로 설정되어 있어도 상기 차속감지부(70)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가 평균보다 빠르면 상기 제어부(50)에서 해당 차속을 감안하여 상기 구동수단(30)의 구동 주기를 설정주기인 5초보다 앞당겨 구동토록 제어하고, 상기 차속감지부(70)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차량(C)의 주행속도가 평균속도보다 늦으면 상기 제어부(50)에서 해당 차속을 감안하여 상기 구동수단(30)의 구동 주기를 설정주기인 5초보다 늦춰 구동토록 제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노즐바(20) 개폐 주기를 차량의 주행속도에 따라 탄력적으로 자동제어할 수 있게 차속감지부(70)를 구성하게 되면, 일정한 길이 및 간격이 유지된 점선차선을 시공하여 시공품질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50)에서는 상기 구동수단(30) 중 로드(31)의 신장길이에 따른 유동범위를 설정제어한 후 상기 도료탱크(10)의 토출구(13)에 대응하여 상기 스프레드노즐(21)의 개폐 여부에 따른 개도를 조절구동하므로 상기 토출구(13)를 통한 도료의 배출량을 제어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상기 구동수단(30)의 로드(31)가 최대한 길게 신장하도록 상기 제어부(50)를 통해 제어하는 경우 상기 노즐바(20)의 회전각도가 커져 상기 스프레드노즐(21)이 상기 토출구(13)를 대응하여 완전히 개방됨에 따라 도료의 배출량이 많도록 제어하고, 상기 구동수단(30)의 로드(31)가 최대신장길이보다 짧게 신장토록 상기 제어부(50)를 통해 제어하는 경우 상기 노즐바(20)의 회전각도가 작아 상기 스프레드노즐(21)이 상기 토출구(13)를 대응하여 부분적으로만 개방됨에 따라 도료의 배출량이 줄도록 제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도료탱크(10)의 토출구(13)에 대응하여 스프레드노즐(21)의 개폐 여부에 따른 개도를 조절구동토록 구성하게 되면, 토출구(13)를 통한 도료의 배출량을 제어가능하여 일정한 도막 두께를 갖는 차선시공으로 시공품질을 향상시키고, 시공환경에 따라 도막 두께를 탄력적으로 시공할 수 있어 차선의 기능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드 노즐형 차선 시공장치에 의하면 노즐바의 규격화된 스프레드노즐에 의해 도료를 스프레드방식으로 도포하므로, 도료의 정량토출에 따른 동일한 넓이규격의 차선을 시공하여 차선의 시공품질을 향상시킴은 물론 도료도포에 따른 시공 전후로 도료의 흘림 없이 시공 주변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하면서 우수한 시공작업성이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노즐바를 일정한 구동패턴으로 설정한 후 자동제어하므로, 실선차선은 물론 점선차선까지 일률적으로 시공가능하여 작업공정을 축소함은 물론 시공공기를 단축하고 인건비는 낮추면서 작업성은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드 노즐형 차선 시공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1개 이상의 스프레드노즐(21)이 구비된 상기 노즐바(20)를 지지하되 상기 노즐바(20)를 좌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되는 사이드유동수단(8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사이드유동수단(80)은 상기 도표탱크(1)의 한쪽 측면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유동브라켓(81)과, 상기 노즐바(20)를 슬라이딩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생성시키는 실린더부재(83)로 구성한다.
상기 유동브라켓(81)은 상기 노즐바(20)의 일단에 연결 결합하고 상기 구동수단(30)을 장착지지토록 구성한다.
상기 실린더부재(83)는 상기 도료탱크(10) 상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유동브라켓(81)이 전후 직선왕복운동가능하게 일단이 신장운동하여 동력을 전달한다.
상기에서 도료탱크(10)의 토출구(13)는 상기 도료탱크(10)의 하면에 부분적으로 형성하여 상기 스프레드노즐(21)이 대응하여 위치함에 따라 도료를 토출시킬 수 있게 구성한다. 즉 상기 노즐바(20)가 상기 사이드유동수단(80)에 의해 좌우로 직선운동하되 상기 노즐바(20)의 스프레드노즐(21)이 상기 토출구(13)에 대응하여 위치한 경우에만 도료를 토출하도록 구성한다.
상기에서 구동수단(30)은 상기 도료탱크(10)의 한쪽 측면에 구비토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일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드 노즐형 차선 시공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선을 상호 일정한 간격을 두고 시공할 수 있도록 노면에 우선적으로 시공한 차선을 향해 기준점을 표시하기 위한 광원을 조사하는 지시포인터(9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시포인터(90)는 상기 도료탱크(10)의 외부에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도료탱크(10)의 외부 측면이나 전후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상기 지시포인터(90)를 설치하고 상기 지시포인터(90)로부터 조사된 광원에 의한 기준점이 상기 차량(C)에 탑승한 후 운행중인 작업자의 시야로부터 원활하게 확보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지시포인터(90)는 기준점인 광원이 조사될 위치를 설정가능하게 상기 도료탱크(10) 상에 소정의 각도범위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시포인터(90)는 적색이나 녹색 등의 색감 있는 광원을 조사하는 구조로서, 일반적인 빔포인터나 레이저포인터와 동일한 구조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상기한 또 다른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하면, 우선 시공한 차선을 향해 기준점을 표시하기 위한 광원을 조사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차선 간에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시공하여 시공품질을 향상시킴은 물론 시공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시공공기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일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드 노즐형 차선 시공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등록청구범위와 명세서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 도료믹서탱크 3 : 글라스비드탱크 5 : 히팅수단
7 : 비드분사노즐 10 : 도료탱크 11 : 도료수용공간
13 : 토출구 14 : 가이드공 15 : 경사가이드면
17 : 히팅부재 20 : 노즐바 21 : 스프레드노즐
30 : 구동수단 31 : 로드 40 : 링크부재
50 : 제어부 60 : 주기감지부 70 : 차속감지부
80 : 사이드유동수단 81 : 유동브라켓 83 : 실린더부
90 : 지시포인터

Claims (13)

  1. 차량에 도료믹서탱크 및 글라스비드탱크, 히팅수단을 구비한 후 노면에 도료를 도포하여 차선을 시공하는 차선 시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한쪽에 고정 설치되고 내부에 일정량의 도료를 수용하여 저장가능한 도료수용공간을 구비하고, 하부에는 노면에 대응하여 상기 도료수용공간에 저류된 도료를 배출시킬 수 있게 좌우 횡 방향으로 길게 연장하여 개구된 토출구가 형성되는 도료탱크와;
    상기 도료탱크의 토출구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노면을 향해 도료를 도포가능한 스프레드노즐을 구비하는 노즐바와;
    상기 도료탱크의 양쪽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 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에 로드가 길이방향으로 신장하여 상하 직선왕복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과 상기 노즐바의 일단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구동수단의 상하 직선운동을 상기 노즐바의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링크부재와;
    상기 구동수단의 상하 구동패턴을 위한 신호를 입력하여 설정가능하되 설정된 입력신호에 따라 차선의 길이나 두께를 탄력적으로 시공할 수 있게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패턴에 대한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프레드 노즐형 차선 시공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료탱크에는 측벽면 내에 매설되고 도료가 수용된 상기 도료수용공간을 가열할 수 있도록 발열하는 히팅부재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프레드 노즐형 차선 시공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료탱크의 토출구에는 상기 노즐바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공과, 상기 가이드공의 일단에 완만하게 경사져 상기 토출구를 향한 도료의 배출을 안내하는 경사가이드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프레드 노즐형 차선 시공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바는, 외주연 상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스프레이드노즐을 구비하되 상기 도료탱크로부터 착탈가능한 구조로 교체할 수 있는 교체형으로 이루어지는 스프레드 노즐형 차선 시공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노즐바는, 상기 스프레드노즐의 개수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의 차선을 선택적으로 시공할 수 있게 교체가능하고, 상기 스프레드노즐의 폭 길이에 따라 서로 다른 넓이의 차선을 선택적으로 시공할 수 있게 교체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스프레드 노즐형 차선 시공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드노즐은, 상기 노즐바의 외주연 상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홈형을 이루어지는 스프레드 노즐형 차선 시공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드노즐은, 상기 노즐바 상에 일방향으로 관통된 구조를 갖는 관통형으로 이루어지는 스프레드 노즐형 차선 시공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구동수단 중 로드의 신장길이에 따른 유동범위를 설정제어한 후 상기 도료탱크의 토출구에 대응하여 상기 스프레드노즐의 개폐 여부에 따른 개도를 조절구동하므로 상기 토출구를 통한 도료의 배출량을 제어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스프레드 노즐형 차선 시공장치.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구동수단의 수직직선운동에 따른 상하 왕복구동 주기에 대한 시간을 설정 입력받고, 상기 구동수단의 설정주기에 따른 시간을 감지한 후 상기 제어부에 감지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구동수단을 자동제어할 수 있게 구비되는 주기감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프레드 노즐형 차선 시공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를 감지하고 상기 주기감지부의 설정주기에 따른 시간을 자동조절할 수 있게 상기 구동수단의 상하 왕복구동 주기를 탄력적으로 제어가능한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차속감지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프레드 노즐형 차선 시공장치.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1개 이상의 스프레드노즐이 구비된 상기 노즐바를 지지하되 상기 노즐바를 좌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되는 사이드유동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프레드 노즐형 차선 시공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유동수단은, 상기 도료탱크의 한쪽에 구비되고 상기 노즐바의 일단에 연결 결합하되 상기 구동수단을 지지하는 유동브라켓과, 상기 도료탱크 상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유동브라켓이 전후 직선왕복운동가능하게 동력을 전달하는 실린더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프레드 노즐형 차선 시공장치.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탱크의 외부에 설치되고 차선을 상호 일정한 간격을 두고 시공할 수 있도록 노면에 우선적으로 시공한 차선을 향해 기준점을 표시하기 위한 광원을 조사하는 지시포인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프레드 노즐형 차선 시공장치.
KR20140138844A 2014-10-15 2014-10-15 스프레드 노즐형 차선 시공장치 KR101493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38844A KR101493778B1 (ko) 2014-10-15 2014-10-15 스프레드 노즐형 차선 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38844A KR101493778B1 (ko) 2014-10-15 2014-10-15 스프레드 노즐형 차선 시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3778B1 true KR101493778B1 (ko) 2015-02-16

Family

ID=52593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38844A KR101493778B1 (ko) 2014-10-15 2014-10-15 스프레드 노즐형 차선 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377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6412A (ko) * 2015-09-24 2017-04-03 경 곤 김 차선도색기용 도료분사장치
CN110863433A (zh) * 2019-11-29 2020-03-06 盐城市朱庄城市开发建设有限公司 一种桥梁施工用道路桥梁打点装置
CN111395136A (zh) * 2020-06-03 2020-07-10 潍坊宏图环保设备有限公司 环保型道路自动监控维修移动器
CN111608061A (zh) * 2020-06-06 2020-09-01 林法平 一种道路桥梁用路面画线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2094A (ko) * 2000-10-25 2002-05-03 하용천 차선도포기
KR20040093813A (ko) * 2003-04-30 2004-11-09 하스라인기계건설 주식회사 휴대용 선도포기
KR20140113778A (ko) * 2013-03-13 2014-09-25 (주)선광라인 차선 도색용 도료용융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선 도색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2094A (ko) * 2000-10-25 2002-05-03 하용천 차선도포기
KR20040093813A (ko) * 2003-04-30 2004-11-09 하스라인기계건설 주식회사 휴대용 선도포기
KR20140113778A (ko) * 2013-03-13 2014-09-25 (주)선광라인 차선 도색용 도료용융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선 도색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6412A (ko) * 2015-09-24 2017-04-03 경 곤 김 차선도색기용 도료분사장치
KR101878703B1 (ko) * 2015-09-24 2018-07-16 김경곤 차선도색기용 도료분사장치
CN110863433A (zh) * 2019-11-29 2020-03-06 盐城市朱庄城市开发建设有限公司 一种桥梁施工用道路桥梁打点装置
CN111395136A (zh) * 2020-06-03 2020-07-10 潍坊宏图环保设备有限公司 环保型道路自动监控维修移动器
CN111395136B (zh) * 2020-06-03 2020-09-25 徐磊 环保型道路自动监控维修移动器
CN111608061A (zh) * 2020-06-06 2020-09-01 林法平 一种道路桥梁用路面画线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5002B1 (ko) 스프레드 노즐 선택이 가능한 복합식 차선 시공장치
KR101493778B1 (ko) 스프레드 노즐형 차선 시공장치
KR101709545B1 (ko) 차선도료 균일 토출용 디퓨저 노즐
KR100721510B1 (ko)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시공법
WO2007018362A1 (en) Road line-marking vehicle
KR100930075B1 (ko) 콤팩트화된 동력식 노면 표시 도색장치
KR100968910B1 (ko) 철도차량의 외부표면 도료 자동도포 장치
KR101036179B1 (ko)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돌출형 차선 도색장치
KR101252655B1 (ko) 돌출차선표시용 시공장치
KR101161144B1 (ko) 이액형 돌출차선도색장치 및 그 돌출차선도색공법
KR100501992B1 (ko) 차선도색차량
KR100817609B1 (ko) 차량용 차선 도색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차선 도색 방법
KR20100056592A (ko) 승강식 도료분사장치가 구성된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
KR102105480B1 (ko) 차선도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방법
KR101329801B1 (ko) 반자동식 차선 도색장치
KR101392886B1 (ko)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
KR101133570B1 (ko) 선명도를 향상시킨 차선 및 상기 선명도를 향상시킨 차선의 스프레이 융착식 선명도향상차선 도색장치와 선명도향상차선 도색방법
JP2019060220A (ja) 車路誘導線施工装置及び方法
KR102116032B1 (ko) 스프레드차선 및 돌출차선 복합 시공 시스템
KR101344370B1 (ko) 이액형 돌출차선도색장치 및 돌출차선도색공법
KR101841144B1 (ko) 차선도색장치의 도료 분사노즐 시스템
KR101279431B1 (ko) 수동식 차선 도색장치
KR101383163B1 (ko) 도로 주행차선이 선명하게 부각되게 하는 분사구조를 갖는 도색차량의 차선도색장치 및 차선도색공법
KR102140946B1 (ko) 디퓨저 홀이 형성된 차선시공용 스프레이 노즐
KR100760261B1 (ko) 노면용 문자도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6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0002137;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200716

Effective date: 20210514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0002491;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200814

Effective date: 20210514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200003734;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10610

Effective date: 20220513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200003390;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210526

Effective date: 20220513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300010319; JUDGMENT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220530

Effective date: 20220915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0001893;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20704

Effective date: 20221102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30000087;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221012

Effective date: 20230113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5000017;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230223

Effective date: 2023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