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0261B1 - 노면용 문자도색장치 - Google Patents

노면용 문자도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0261B1
KR100760261B1 KR1020040022006A KR20040022006A KR100760261B1 KR 100760261 B1 KR100760261 B1 KR 100760261B1 KR 1020040022006 A KR1020040022006 A KR 1020040022006A KR 20040022006 A KR20040022006 A KR 20040022006A KR 100760261 B1 KR100760261 B1 KR 100760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surface
paint
reflector
uni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2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6581A (ko
Inventor
지정근
Original Assignee
지정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정근 filed Critical 지정근
Priority to KR1020040022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0261B1/ko
Publication of KR20050096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6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0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0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 E01C23/22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by spraying
    • E01C23/222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by spraying specially adapted for automatic spraying of interrupted, individual or variable mark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8Elements representing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료저장탱크 및 반사체탱크가 구비되어 문자 또는 도형을 노면에 살포하는 노면용 문자도색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수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하측에는 바퀴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임의의 문자 또는 도형을 입력하여 그에 대응되는 키입력신호를 출력하는 키입력부와, 상기 본체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도료저장탱크와 상기 반사체탱크에 수용된 도료를 노면에 분사하는 분사부와, 상기 분사부를 왕복운동하도록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과, 상기 키입력부의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본체의 하측에 횡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분사부가 연결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분사부와 고정 결합된 위치이동부재와, 상기 위치이동부재의 일부를 감싸면서 상기 가이드부의 양측 상단에 설치된 제1ㆍ제2회전체와, 한 쌍의 상기 제1ㆍ제2회전체 중 어느 하나의 회전체에 결합되고, 상기 분사부를 횡 방향으로 위치 이동시키는 제1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분사부가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도색장치를 이동시키지 않고 정지된 상태에서 노면에 문자를 살포할 수 있다.
노면, 도색, 살포, 반사체, 도료, 글라스비드

Description

노면용 문자도색장치{apparatus for painting letters on road surface}
도 1은 종래의 수동식 차선도색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노면용 문자도색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노면용 문자도색장치의 구동수단을 사시도로 도시한 제 1실시예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구동수단의 저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구동수단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노면용 문자도색장치의 구동수단을 사시도로 도시한 제 2실시예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구동수단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구동수단의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문자도색장치 202,204 : 프레임
206 : 공간부 208 : 바퀴
210 : 본체 212 : 키입력부
213 : 모니터 214 : 제어부
220 : 구동수단즐 221 : 분사부
221a : 분사노즐 221b : 반사체분사노즐
222 : 돌기 223 : 가이드부
224a : 제 1회전체 224b : 제 2회전체
225 : 위치이동부재 226a,226b : 고정부재
227 : 차동기어 227a,227a' : 이동부재, 종동기어
227b : 구동기어 227c : 아암
227d : 중심축 228a, 228b : 안내부재
M1,M2 : 모터 230 : 조향부
232 : 손잡이 240 : 수용부
241 : 도료저장탱크 242 : 반사체탱크
243 : 연료통 244 : 공기압축기
245 : 전원장치 246 : 가열부
본 발명은 노면용 문자도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분사부가 횡방향으로 왕복운동되면서 도료와 반사체가 분사되고, 종방향으로 분사부가 이동되도록 하여 도색장치가 정지된 상태에서 노면에 도료를 살포하여 문양을 마킹하는 노면용 문자도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이동하는 도로에는 주행방향을 분리하기 위하여 도로의 중간부에 도색되는 중앙분리선과, 차종에 따라 분리시키도록 하는 차선이 도색된다. 이때, 몇가지 규칙에 따라서 중앙분리선은 황색으로, 차선은 흰색으로 이루어진 한줄이나 두줄의 실선과 점선으로 각각 표시되고 있다.
도로에는 이러한 차선과 더불어 진행방향을 나타낼 때는 화살표로 표시하고, 전방에 횡단보도가 있음을 알리기 위해서는 마름모의 형상으로 표시한다.
또한, "일방통행", "학교앞", "천천히" 와 같은 각종 문자와 기호를 도로위에 표시하게 되고, 주행속도를 제한 할 때는 숫자로 표시하고 있다.
이렇게 도로에 표시된 차선과 각종 문자와 기호는 일정량의 도료(페인트)를 도로상에 살포하고, 그 위에 글라스비드(이하, "반사체"라 함)를 살포하여 야간에 이동하는 차량의 불빛으로부터 반사되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횡단보도 또는 안전지대와 같은 국부적인 차선을 도색하거나 문자 및 기호등을 도색하기 위한 수동식 차선도색기를 나타낸 것이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288099호를 참조하면, 이러한 종래의 차선도색기는, 손잡이(10), 바퀴(20), 도료저장탱크(30), 반사체탱크(40) 및 연료통(50)이 구비된 대차(100)와, 상기 대차(100)의 전방 하부에 설치되어 도료저장탱크(30)에 저장된 도료를 노면에 살포하는 도료살포부(60)와, 상기 도료저장탱크(30)의 온도를 높여주는 가열부(70)와, 상기 도료살포부(60)의 후방에 설치되어 반사체탱크(40)에 저장된 반사체를 살포하는 반사체살포부(80)로 구성된다.
상기 도료저장탱크(30)의 하측에는 가열부(70)가 설치되어 연료통(50)으로부 터 가스를 공급받아 도료를 노면에 살포할 수 있게 도료저장탱크(30)의 온도를 높여주며, 외주연 일측으로 조작레버(32)가 구비된 게이트(31)가 설치되어 도료의 출입을 단속한다.
상기 도료살포부(60)의 일측에는 축핀(65)이 설치되어 엘보우(63)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엘보우(63)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개폐판(62)이 도료살포부(60)의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엘보우(63)의 타단부에는 장공(63a)이 형성되어 도료살포부(60)의 개폐레버(62)와 결합된 링크(64)의 자유단부(64a)가 끼워진다.
이와같이, 구성된 차선도색기는 도료저장탱크(30)의 일측에 설치된 게이트(31)의 조작레버(32)를 작동시키면 도료가 도료살포부(60)에 모이게 되고, 도료살포부(60)에 연결된 개폐레버(61)를 조작하면 도료살포부(60)의 바닥면에 설치된 개폐관(62)이 개방되어 도료가 노면에 살포되며, 이때 도료살포부(60)의 후방에 설치된 반사체살포부(80)에서 반사체를 살포하여 차선을 완성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차선도색기는 선으로 이루어진 차선은 매우 용이하게 작업이 가능하였으나, 문자나 그림, 그리고 기호와 같은 도색작업에는 적합하지 못했다. 따라서, 작업자는 도색용 로울러나 붓 등의 수동용 도구를 이용하여 작업을 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숙련도에 의해서 그 품질이 결정되고, 일정한 품질의 작업이 되지 않기 때문에 작업속도도 매우 느린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소형의 도색차량을 이용하여 문자나 그림, 기호등을 도로위에 표시할 경우 불규칙한 크기로 살포되었고, 정확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주변에 묻게되는 도 색의 도료를 별도에 장비로 제거해야되는 문제점도 동반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색장치가 정지된 상태에서 도료를 살포하여 문양을 마킹하는 노면용 문자도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노면용 문자도색장치의 또 다른 목적은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문자 또는 도형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도록 정확하게 살포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노면용 문자도색장치는, 도료저장탱크 및 반사체탱크가 구비되어 노면을 이동하면서 도료를 분사하는 노면용 문자도색장치에 있어서, 다수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하측에는 바퀴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임의의 문자 또는 도형을 입력하여 그에 대응되는 키입력신호를 출력하는 키입력부; 상기 본체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도료저장탱크와 상기 반사체탱크에 수용된 도료를 노면에 분사하는 분사부; 상기 분사부를 왕복운동하도록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 상기 키입력부의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본체의 하측에 횡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분사부가 연결되는 가이드부; 상기 분사부와 고정 결합된 위치이동부재; 상기 위치이동부재의 일부를 감싸면서 상기 가이드부의 양측 상단에 설치된 제1ㆍ제2회전체; 한 쌍의 상기 제1ㆍ제2회전체 중 어느 하나의 회전체에 결합되고, 상기 분사부를 횡 방향으로 위치 이동시키는 제1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노면용 문자도색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도료저장탱크와 연결되어 도료를 분사하는 분사노즐; 및 상기 분사노즐과 인접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반사체탱크와 연결된 반사체분사노즐;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노면용 문자도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ㆍ제2회전체는 풀리로 이루어지고, 상기 위치이동부재는 타이밍벨트로 구비된다.
본 발명의 노면용 문자도색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본체의 하측에 설치되고, 랙기어가 형성된 안내부재; 상기 랙기어와 맞물리고, 중심부는 상기 가이드부가 연결되는 피니언기어; 상기 피니언기어와 맞물리는 주동기어; 및 상기 주동기어에 구동력을 인가하고, 상기 가이드부를 전ㆍ후방향으로 위치 이동시키는 제2구동모터;가 포함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 상기 도면들에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첨부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노면용 문자도색장치(200)는 다수개의 프레임(202,204)을 수평, 수직으로 연결하여 결합되는 본체(210)와, 이 본체(210)에 구비되는 키입력부(212), 제어부(214), 도료저장탱크(241), 반사체탱크(242), 분사부(221)가 구비된 구동수단(220)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상기 본체(210)의 양측 전방과 후방에는 각각 바퀴(208)가 고정결합된다. 상기 바퀴(208)는 동력원(미도시)과 연결되어 주행되고, 노면과의 마찰계수를 갖도록 하여 미끄러짐 없이 이동되 수 있도록 고무재질의 바퀴가 사용된다. 또한, 상기 바퀴(208)는 굴삭기와 같은 궤도바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궤도바퀴를 사용할 경우 도색장치(200)가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도료 분사시에는 정확하게 살포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210)의 후방에는 별도의 공간부(206)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공간부(206) 내부에는 주행을 하기 위한 동력원과 제어부(214) 등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공간부(206) 내지 상기 본체(210)에는 조향부(230)가 결합되고, 이 조향부(230)에는 손잡이(232)를 결합하여 수동으로 도색장치(200)를 조작할 수 있으며, 핸들 또는 조작레버로 구비하여 자동으로 조작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공간부(206) 상측에는 상기 제어부(214)와 연결되는 키입력부(212)와 모니터(213)가 구비된다. 상기 키입력부(212)는 도로에 마킹할 문자 또는 도형 등의 문양을 입력하고, 상기 도색장치(200)를 구동하기 위한 선택적인 조작을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 키입력부(212)에 입력된 각종 신호를 상기 모니터(213)에서 표시되도록 하여 작업자의 작업수행을 원활하게 한다.
즉, 상기 제어부(214)는 노면에 마킹하고자 하는 각종 문양을 모니터(213)와 키입력부(212)를 이용하여 생성, 저장, 편집하여 후술되는 분사부(221)를 동작시켜 작업을 수행하는 일을 한다.
한편, 상기 본체(210)에는 상부가 개방된 수용부(240)가 구비된다. 상기 수용부(240) 일측에는 도료저장탱크(241)와 반사체탱크(242), 연료통(243)과 공기압축기(244), 그리고 가열부(246)와 전원장치(245) 등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도료저장탱크(241)는 황색, 청색, 백색 등의 도료 중 어느 하나가 저장되어 있으며, 도로에 마킹하고자 하는 도료저장탱크(241)를 선택하여 사용시 교체되도록 한다. 또한, 이 도료저장탱크(241)는 상기 가열부(246)와 연결되어 도료의 온도를 상승시켜 도로에 도료를 살포할 때, 정상적으로 마킹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반사체탱크(242)는 글라스비드(Glass Beads;미세한 유리구슬)가 저장된 것으로, 야간에 이동하는 차량의 불빛으로부터 반사되는 글라스비드를 도로에 마킹된 도료 위에 살포한다.
상기 연료통(243)은 상기 가열부(246)로 가스를 공급해주고, 상기 공기압축기(244)는 상기 도료저장탱크(241)에 저장된 도료와 상기 반사체탱크(242)에 저장된 글라스비드가 분사부(221)를 통해 살포되는 양을 조절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원장치(245)는 상기 제어부(214), 상기 키입력부(212), 상기 공기압축기(244), 상기 도색장치(200)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제공하는 장치로 소형의 내연기관 발전기를 사용하거나 전지를 이용할 수 있다.
첨부된 도 3내지 도 5는 본 발명인 노면용 문자도색장치에 구비되는 구동수단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구동수단(220)은 전술한 수용부(240)의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구동수단(220)에는 분사부(221)와 모터(M1), 가이드부(223)와 회전체(224a,224b), 그리고 위치이동부재(225)가 포함된다.
상기 분사부(221)는 적어도 3개의 분사노즐(221a,221b)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분사부(221)의 가운데 위치한 분사노즐(221a)은 도료저장탱크(241)와 연결되어 도료가 분사되고, 이 분사노즐(221a) 양측에 위치되는 노즐은 반사체분사노즐(221b)로써, 반사체탱크(242)에 저장된 글라스비드가 분사되는 것이다. 또한, 이 분사부(221)의 외측에는 돌기(222)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222)에는 횡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는 상기 가이드부(223)가 삽입된다.
상기 가이드부(223)는 도색장치(200)에서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양 끝단은 본체(210)에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이 가이드부(223)는 단면이 원형이거나 길이방향으로 요홈을 갖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사부(221)의 측면에는 각각 고정부재(226a,226b)가 구비된다. 이 고정부재(226a,226b)에는 상기 위치이동부재(225)가 연결되어진다. 상기 위치이동부재(225)는 벨트나 와이어, 또는 체인등으로 구성되어 양측 끝단이 각각 상기 고정부재(226a,226b)에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위치이동부재(225)는 상기 제 1회전체(224a)와 상기 제 2회전체(224b)와 상호 연결된다.
즉, 상기 제 1회전체(224a)와 상기 제 2회전체(224b)는 상기 가이드부(223)의 양측 끝단 상부에 각각 위치되고, 상기 위치이동부재(225)가 상기 제 1회전체(224a)와 상기 제 2회전체(224b)의 외측 일부를 감싸면서 상기 위치이동부 재(225)의 끝단이 상기 분사부(221)에 구비된 고정부재(226a,226b)에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회전체(224a)와 상기 제 2회전체(224b) 중 어느 하나의 회전체(224a,224b) 중심에는 모터(M1)의 회전축과 결합된다. 이 모터(M1)는 정회전과 역회전이 가능하다.
첨부된 도 6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노면용 문자도색장치에 구비되는 구동수단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구동수단(220)은 전술한 제 1실시예에서 구비된 위치이동부재(225), 모터(M1), 분사부(221), 제 1회전체(224a)와 제 2회전체(224b)를 모두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고 제 2실시예에서 새롭게 구비되는 구성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분사부(221)가 삽입되는 가이드부(223)의 양측 끝단에는 이동부재(227a,227a')가 결합된다. 상기 이동부재(227a,227a')는 외주면에 기어(gear)가 형성된 피니언(pinion)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227a,227a')의 하측과 치합되도록 안내부재(228a,228b)가 구비된다.
상기 안내부재(228a,228b)는 도색장치(200)의 전방에서 후방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되어 상기 도색장치(200)의 측부에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안내부재(228a,228b)는 상기 이동부재(227a,227a')와 맞물리도록 래크(rack)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이동부재(227a,227a')들 중 어느 한 이동부재(227a,227a')를 차 동기어(227)로 설치한다. 즉, 상기 이동부재(227a,227a')는 종동기어(227a)의 수단을 갖고, 이와 맞물리도록 구동기어(227b)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구동기어(227b)와 상기 종동기어(227a)의 중심축(227d)이 아암(227c)으로 연결된다. 상기 구동기어(227b)의 중심축(227d)은 모터(M2)와 연결되며, 모터(M2)의 회전력에 의해서 상기 구동기어(227b)가 정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종동기어(227a)는 상기 구동기어(227b)의 역방향으로 회전되며, 종동기어(227a)의 회전으로 인해 안내부재(228a,228b)를 따라 이동부재(227a,227a')가 위치를 이동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노면용 문자도색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노면에 문자 또는 도형과 같은 문양을 마킹하고자 하는 위치로 노면용 문자도색장치(200)를 이동시킨다. 이때, 작업자는 수동으로 도색장치(200)를 옮길 수 있으며, 전원장치(245)로 인해 바퀴(208)에 동력이 전달되고 조향부(230)를 조작하여 위치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도색장치(200)를 이동하면서 가열부(246)를 통해 도료저장탱크(241)에 저장된 도료의 온도를 높여준다.
노면에 도료와 반사체를 살포할 준비가 끝나게 되면 작업자는 키입력부(212)에 문자의 종류와 크기, 또는 도형 등의 다양한 문양을 입력한다. 이러한 입력에 따라 그 신호가 제어부(214)에 전달되고, 제어부(214)에서는 구동수단(220)를 동작시킨다. 따라서, 구동수단(220)에 구비된 분사부(221)는 가이드부(223)를 따라 왕복운동을 전개하면서 도료와 반사체를 노면에 분사한다. 이때, 문자도색장치(200) 는 정지한 후 분사부(221)가 이동되어 문양의 일부분을 살포하고, 다시 문자도색장치가 후방으로 이동된 후 상기 분사부(221)가 이동되어 나머지 부분을 살포한다. 즉, 이와 같은 방법은 문자도색장치(200)가 위치이동되어 분사부에서 순차적으로 문양을 마킹하는 것이다.
그러나, 제 2실시예에서와 같이 구비된 문자도색장치(200)는 도색장치(200)가 이동을 하지 않고 정지된 상태에서 분사부(221)가 횡방향으로 왕복운동을 전개한다. 그리고, 상기 분사부(221)가 전방에서부터 후방까지 종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도료와 반사체를 살포하게 되는 것이다. 즉, 도색장치(200)는 정지되어 있고, 분사부(221)가 횡방향으로 왕복되면서 종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되어 도료와 반사체를 살포한다. 따라서, 보다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노면에 문양을 마킹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인 노면용 문자도색장치로 인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노면에 살포할 문자 또는 도형등 문양이 키입력부를 통해 제어부에 전달되고, 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에서는 분사부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으로 인해 신속하고 정확하게 노면에 문자 또는 도형을 마킹할 수 있다.
둘째, 분사부에는 도료를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반사체를 분사하는 반사체분사노즐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노면에 살포되는 도료와 반사체를 동시에 살포할 수 있다.
셋째, 구동수단에는 분사부가 가이드부에 삽입되고, 이 분사부의 일측은 제 1회전체와 제 2회전체를 연결하는 위치이동부재에 고정결합되며, 제 1회전체에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모터가 설치됨으로써, 모터의 정/역회전 방향에 따라 위치이동부재가 횡방향으로 이동되어 분사부가 가이드를 따라 왕복 운동될 수 있다.
넷째, 위치이동부재를 와이어로 구성할 경우 비용이 절감되고 중량이 감소되는 잇점이 있으며, 벨트와 체인으로 구성할 경우 보다 정확한 왕복 운동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가이드부의 양측 끝단에 기어가 형성된 이동부재가 모터와 결합되고, 이 이동부재와 치합되는 안내부재가 종방향으로 설치됨으로써, 분사부가 종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섯째, 이동부재를 피니언으로 구성하고, 안내부재를 래크로 구성하여 래크 가 피니언을 따라 종방향으로 진행됨으로써, 문자 또는 도형을 보다 정확하게 살포할 수 있다. 또한, 분사부가 횡방향으로 왕복운동을 전개하면서 종방향으로 점차 진행되어 도색장치를 움직이지 않고도 문양을 노면에 살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노면용 문자도색장치는 분사부에서 도료와 반사체를 동시에 분사할 수 있으며, 분사부가 횡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면서 도료와 반사체를 분사하고, 이 분사부가 점차적으로 종방향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도색장치를 이동시키지 않고 정지된 상태에서 노면에 문자 또는 도형을 살포할 수 있다. 그러므로, 매우 신속하고 정확하게 문양을 노면에 분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인 노면용 문자도색장치의 구성 및 작용은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의거하여 도시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9)

  1. 도료저장탱크 및 반사체탱크가 구비되어 노면을 이동하면서 도료를 분사하는 노면용 문자도색장치에 있어서,
    다수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하측에는 바퀴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임의의 문자 또는 도형을 입력하여 그에 대응되는 키입력신호를 출력하는 키입력부;
    상기 본체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도료저장탱크와 상기 반사체탱크에 수용된 도료를 노면에 분사하는 분사부;
    상기 분사부를 왕복운동하도록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
    상기 키입력부의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본체의 하측에 횡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분사부가 연결되는 가이드부;
    상기 분사부와 고정 결합된 위치이동부재;
    상기 위치이동부재의 일부를 감싸면서 상기 가이드부의 양측 상단에 설치된 제1ㆍ제2회전체;
    한 쌍의 상기 제1ㆍ제2회전체 중 어느 하나의 회전체에 결합되고, 상기 분사부를 횡 방향으로 위치 이동시키는 제1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용 문자도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도료저장탱크와 연결되어 도료를 분사하는 분사노즐; 및
    상기 분사노즐과 인접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반사체탱크와 연결된 반사체분사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노면용 문자도색장치.
  3. 삭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ㆍ제2회전체는 풀리로 이루어지고, 상기 위치이동부재는 타이밍벨트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노면용 문자도색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본체의 하측에 설치되고, 랙기어가 형성된 안내부재;
    상기 랙기어와 맞물리고, 중심부는 상기 가이드부가 연결되는 피니언기어;
    상기 피니언기어와 맞물리는 주동기어; 및
    상기 주동기어에 구동력을 인가하고, 상기 가이드부를 전ㆍ후방향으로 위치 이동시키는 제2구동모터;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노면용 문자도색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40022006A 2004-03-31 2004-03-31 노면용 문자도색장치 KR100760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2006A KR100760261B1 (ko) 2004-03-31 2004-03-31 노면용 문자도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2006A KR100760261B1 (ko) 2004-03-31 2004-03-31 노면용 문자도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6581A KR20050096581A (ko) 2005-10-06
KR100760261B1 true KR100760261B1 (ko) 2007-09-19

Family

ID=37276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2006A KR100760261B1 (ko) 2004-03-31 2004-03-31 노면용 문자도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026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489B1 (ko) * 2009-02-16 2011-08-24 유한회사 삼신기업 인젝션노즐을 이용한 미끄럼방지 시공장치
KR101239192B1 (ko) * 2012-08-29 2013-03-05 안신영 차선 도색장치 및 시공방법
KR101486555B1 (ko) * 2012-11-15 2015-01-26 (주)태용로드앤키즈랜드 도로용 입체컬러 문양 도포장치
KR101630391B1 (ko) 2015-05-14 2016-06-14 (주)라인테크 노면표시용 문자 도색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654B1 (ko) * 2011-06-28 2013-07-2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로면 크랙실링 장치
KR101218494B1 (ko) * 2011-06-28 2013-01-03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로면 크랙실링 장치
WO2015147469A1 (ko) * 2014-03-28 2015-10-01 휴먼코리아 주식회사 건물 내외 표면의 인쇄 시공장치
CN105369726B (zh) * 2014-08-11 2017-10-20 上海向彤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划线机和一种智能划线车
KR102086367B1 (ko) * 2017-10-25 2020-03-09 유한회사 드림위즈 미끄럼방지문양 형성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489B1 (ko) * 2009-02-16 2011-08-24 유한회사 삼신기업 인젝션노즐을 이용한 미끄럼방지 시공장치
KR101239192B1 (ko) * 2012-08-29 2013-03-05 안신영 차선 도색장치 및 시공방법
KR101486555B1 (ko) * 2012-11-15 2015-01-26 (주)태용로드앤키즈랜드 도로용 입체컬러 문양 도포장치
KR101630391B1 (ko) 2015-05-14 2016-06-14 (주)라인테크 노면표시용 문자 도색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6581A (ko) 2005-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4204B2 (en) Apparatus for painting traffic marks on road surface
KR100760261B1 (ko) 노면용 문자도색장치
KR101565002B1 (ko) 스프레드 노즐 선택이 가능한 복합식 차선 시공장치
KR100721510B1 (ko)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시공법
KR100706100B1 (ko) 도로 표식 도색 차량
KR101002255B1 (ko) 차량 장착형 도로표시장치
KR101975515B1 (ko) 로봇타입의 도로표식을 페인팅 하는 장치
KR102071866B1 (ko) 듀얼구동 제어 및 3축 제어를 이용한 자동 차선도장장치
KR101351307B1 (ko) 도로의 차선도색장치
KR100968910B1 (ko) 철도차량의 외부표면 도료 자동도포 장치
KR101965160B1 (ko) 차선 자동 도색장치
KR100501992B1 (ko) 차선도색차량
CN101368363A (zh) 电脑控制全自动道路标识作业车
KR101595462B1 (ko) 차선, 횡단보도, 문자기호의 미끄럼방지 도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 공법
KR101493778B1 (ko) 스프레드 노즐형 차선 시공장치
KR101054789B1 (ko) 차선표시 시설장비
US2026678A (en) Pavement marking machine
CN113235384A (zh) 一种具有快速干燥结构的道路桥梁用路面划线装置
KR101630391B1 (ko) 노면표시용 문자 도색장치 및 방법
KR200403852Y1 (ko) 도로 표식 도색 차량
JP3147350B2 (ja) 車両教習路
KR20100059519A (ko) 도로 노면 도색 장치
CN212742144U (zh) 一种道路标线自动划线机
KR102140946B1 (ko) 디퓨저 홀이 형성된 차선시공용 스프레이 노즐
KR102539513B1 (ko) 자동화된 차선 도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