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6591A -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용 도료분사노즐 - Google Patents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용 도료분사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6591A
KR20100056591A KR1020080115465A KR20080115465A KR20100056591A KR 20100056591 A KR20100056591 A KR 20100056591A KR 1020080115465 A KR1020080115465 A KR 1020080115465A KR 20080115465 A KR20080115465 A KR 20080115465A KR 20100056591 A KR20100056591 A KR 20100056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compressed air
unit
spray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5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찬
이종화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삼신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삼신기업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삼신기업
Priority to KR1020080115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6591A/ko
Publication of KR20100056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65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1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 E01C19/21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for simultaneously but separately applying liquid material and granular or pulverulent material, e.g. bitumen and grit, with or without spreading ; for filling grooves and gritting the fi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 E01C23/20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by applying fusible particulate material to the surface, e.g. by means of a gaseous st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Nozzles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용 도료분사노즐에 관한 것으로, 용융된 도료를 도로면 상에 분사하는 도료 분사노즐로 투입된 도료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을 더 구성하여 점도가 일정하게 유지된 도료의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로면과 이에 분사된 도료의 접착성이 보다 향상되어 도색된 차선의 수명이 연장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도료분사노즐은 상부 일측에는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압축공기 유입구가 형성된 실린더 유닛; 실린더 유닛의 하부에 설치되어지되 용융된 도료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도료 유입구와 도료 유입구와는 격리되어지되 가열된 압축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가열압축공기 유입구 및 가열압축공기의 유출이 이루어지는 가열압축공기 노즐이 형성된 도료공급유닛; 도료공급유닛의 하부에 설치되어지되 도료의 분사가 이루어지는 도료분사구가 형성된 도료분사유닛; 도료공급유닛과 도료분사유닛 사이에 설치되어지되 노즐공의 개폐에 의해 도료공급유닛을 통해 유입된 도료가 도료분사유닛의 도료분사구로 분사되도록 하는 라운드 노즐; 실린더 유닛의 내부 일측에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실린더 유닛의 압축공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어 라운드 노즐을 개폐시키는 도료제어 피스톤 유닛; 및 실린더 유닛의 내부 타측에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도료제어 피스톤 유닛의 승강작용에 의해 동일방향으로 작동되어 도료공급유닛의 가열압축공기 노즐을 개폐시키는 가열압축공기 제어 피스톤 유닛으로 이루어진다.
융착식, 도색차량, 분사노즐, 도료, 차선, 도색

Description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용 도료분사노즐{Painting spray nozzle}
본 발명은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용 도료분사노즐에 관한 것으로, 용융된 도료를 도로면 상에 분사하는 도료 분사노즐로 투입된 도료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을 더 구성하여 점도가 일정하게 유지된 도료의 분사가 이루어질 수 한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용 도료분사노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라는 것은 운반수단으로 사용자가 편리를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 그 목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하에 자동차는 단순한 운반수단의 차원을 넘어 자신의 생활은 물론, 사회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필수적인 요소로 자동차가 차지하는 비중은 날로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사회적인 흐름을 타고 자동차 보유대수는 계속적으로 증가하여 우리의 경우도 이미 1,000만대를 넘어선지 오래되었다.
한편, 자동차의 보유대수로는 우리의 경우도 이미 선진국 대열에 진입하였으나, 인구수에 비례하여 자동차 사고는 세계 1위의 불명예를 안고 있으며, 우리의 경우에는 교통신호 위반이나 차선 위반에 따른 사고 또한 다반사로 발생하는 경우가 선진국에 비해 많다고 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고속도로나 국도 및 지방도 등 의 포장도로에는 상호 반대 차선의 차량의 중앙을 가르는 중앙선이나 차량의 진행구간을 구분하는 차로선인 주행차선이 도색되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중앙선이나 주행차선 등의 차선은 운전자로 하여금 주행방향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안전운행을 유도하는 기준선으로, 이러한 차선은 차량의 안전운행을 유도하는 기준이 되므로 시각적으로 인지되는 시인성이 대단히 중요하다 할 수가 있다. 이처럼 차선에 대한 중요성이 인식되면서부터 차선의 도색방법에 대한 새로운 방법들이 연구되고 실제로도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한편, 차선을 도색하기 위한 장치는 도료를 도로면 상에 도포하기 위한 도포수단과 이 도포수단을 탑재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구성되어진다. 이러한 차선도색장치는 도료가 저장된 이동수단을 작업자가 일일이 끌고 다니면서 도로면 상에 도료를 도포하였으나 항시 차량이 운행되는 도로상에서 수작업에 의해 도색작업을 하는 것은 인력낭비는 물론 교통체증이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가운데 보다 용이하게 차선을 도색할 수 있는 수단으로 차선도색장치가 탑재된 도색차량을 통해 용융된 도료를 도로면 상에 도포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따른 차선도색장치가 탑재된 도색차량의 경우 용융된 도료를 스프레이 분사하는 도료 분사노즐의 구성이 용융된 도료의 분사시 단순히 압축된 도료를 스프레이 분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도로면에 분사된 도로의 점도가 저하되어 도로면과 분사된 도료의 접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즉, 용융된 도료는 도료 분사노즐을 통해 가열되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도료 분 사노즐 내부에서 어느 정도 냉각됨으로써 점성이 저하되어 도로면과의 접착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용융된 도료를 도로면 상에 분사하는 도료 분사노즐로 투입된 도료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을 더 구성하여 점도가 일정하게 유지된 도료의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로면과 이에 분사된 도료의 접착성이 보다 향상되어 도색된 차선의 수명이 연장되도록 한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용 도료 분사노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용융된 도료를 도로면 상에 분사하는 도료 분사노즐로 투입된 용융도료를 분사시 투입된 용융도료와는 다른 경로를 통해 투입되는 압축된 가열공기를 통해 용융도료의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로면 상의 아스팔트 틈새 깊숙이 용융도료의 도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용융된 도료를 도로면 상에 분사하는 도료 분사노즐로 투입된 용융도료를 분사시 투입된 용융도료와는 다른 경로를 통해 투입되는 압축된 가열공기를 통해 용융도료의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포가 이루어질 위치상의 도료면에 있는 먼지 등이 분사되는 압력에 의해 청소가 이루어져 더욱 깨끗한 차선의 도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용 도료분사노즐은 용융된 도료를 도로면 상에 분사하는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의 도료분사노즐에 있어서, 도료분사노즐은 내부에 일정공간이 형성되어지되 상부 일측에는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압축공기 유입구가 형성된 실린더 유닛; 실린더 유닛의 하부에 설치되어지되 상하로 관통된 중심에 내통되도록 용융된 도료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도료 유입구와 도료 유입구와는 격리되어지되 가열된 압축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가열압축공기 유입구 및 가열압축공기의 유출이 이루어지는 가열압축공기 노즐이 형성된 도료공급유닛; 도료공급유닛의 하부에 설치되어지되 도로면으로 도료의 분사가 이루어지는 도료분사구가 형성된 도료분사유닛; 도료공급유닛과 도료분사유닛 사이에 설치되어지되 상하로 관통된 노즐공의 개폐에 의해 도료공급유닛을 통해 유입된 도료가 도료분사유닛의 도료분사구로 분사되도록 하는 라운드 노즐; 실린더 유닛의 내부 일측에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실린더 유닛의 압축공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어 라운드 노즐을 개폐시키는 도료제어 피스톤 유닛; 및 실린더 유닛의 내부 타측에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도료제어 피스톤 유닛의 승강작용에 의해 동일방향으로 작동되어 도료공급유닛의 가열압축공기 노즐을 개폐시키는 가열압축공기 제어 피스톤 유닛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실린더 유닛은 중심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지되 일측에는 도료제어 피스톤 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압축공기 유입구가 형성되어 중심의 관통구와 내통되어진 구조의 실린더 베이스; 실린더 베이스의 상부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실린더 파이프; 실린더 파이프의 상부에 구성되어 실린더 유닛의 헤드를 구성하는 실린더 헤드; 실린더 베이스의 하부에 구성되는 실린더 홀더; 및 실린더 홀더의 하부에 설치되어 도료제어 피스톤 유닛과 가열압축공기 제어 피스톤 유닛을 상하의 수직선상으로 가이드 하는 한편 실린더 베이스와 실린더 홀더가 이루는 내부공간의 기밀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피스톤 홀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도료공급유닛에는 열매체유가 유동되어 가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열매체유 유로; 열매체유 유로에 열매체유의 유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열매체유 유입구; 및 열매체유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어 열매체유 유로를 경유하는 과정에서 도료공급유닛을 가열한 후 열매체유가 배출되는 열매체유 배출구로 이루어진 도료가열수단이 더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료분사유닛은 도료의 분사가 이루어지는 도료분사구가 중심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지되 상단은 라운드 노즐의 하부에 이격 설치되어 가열압축공기 분사간극이 형성되도록 하여 도료공급유닛의 가열압축공기 노즐을 통해 하부로 유출된 가열압축공기가 가열압축공기 분사간극을 통해 도료분사구로 분사되면서 도료의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분무노즐; 분무노즐의 외주에 결합되어 라운드 노즐과 분무노즐 및 도료공급유닛이 이루는 경계상에 가열압축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노즐홀더; 및 분무노즐과 노즐홀더를 결합 고정시키는 캡너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도료제어 피스톤 유닛은 실린더 유닛의 내부 일측에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일정길이의 피스톤 로드; 피스톤 로드의 하단에 일직선상으로 연결되는 일정길이의 니들 스템; 니들 스템의 하단에 구성되어 라운드 노즐의 중심을 개폐시키는 니들 포인트; 피스톤 로드의 상부측인 실린더 파이프 내측에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실린더 베이스의 압축공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어 피스톤 로드를 승강시키는 피스톤; 및 피스톤의 상부측인 실린더 파이프 내측에 설치되어 피스톤을 상시 하부로 가압하는 방향으로 그 탄성력이 작용하는 가압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가열압축공기 제어 피스톤 수단은 실린더 유닛의 내부 타측에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일정길이의 에어밸브 니들; 에어밸브 니들이 상부측에 설치되어지되 에어밸브 니들이 관통되도록 설치되는 니들 캡; 니들 캡의 상부면과의 사이에 일정한 갭(G)이 형성되도록 에어밸브 니들의 상단부에 나사결합되는 스토퍼 너트; 피스톤 로드와 니들 캡을 연결하여 피스톤 로드의 승강시 에어밸브 니들이 동시에 동일방향으로 작동되도록 하는 연결간; 에어밸브 니들의 하단에 구성되어지되 가열압축공기 노즐을 개폐시키는 에어밸브 니들 포인트; 니들 캡 하부측의 에어밸브 니들 외주면 상에 설치된 지지턱; 및 니들 캡과 지지턱 사이에 설치되어지되 가열압축공기 노즐을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상시 그 탄성력이 작용되어 에어밸브 니들을 하향 가압되도록 하는 탄성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니들 캡과 스토퍼 너트 사이의 일정한 갭(G)의 형성에 의해 도료제어 피스톤 수단과 가열압축공기 제어 피스톤 수단의 승강작용은 시차를 두고 동일방향으로 승강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료분사유닛의 하부측 외주면 상에 결합 고정되어지되 도료분사유닛을 통해 도로면으로 분사되는 도료의 분사폭을 제한하는 도료분사폭 제한편이 양측에 일정길이 하향으로 형성된 도료분사 가이드부재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융된 도료를 도로면 상에 분사하는 도료 분사노즐로 투입된 도료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을 더 구성하여 점도가 일정하게 유지된 도료의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로면과 이에 분사된 도료의 접착성이 보다 향상되어 도색된 차선의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발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용융된 도료를 도로면 상에 분사하는 도료 분사노즐로 투입된 용융도료를 분사시 투입된 용융도료와는 다른 경로를 통해 투입되는 압축된 가열공기를 통해 용융도료의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로면 상의 아스팔트 틈새 깊숙이 용융도료의 도포가 이루어진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용융된 도료를 도로면 상에 분사하는 도료 분사노즐로 투입된 용융도료를 분사시 투입된 용융도료와는 다른 경로를 통해 투입되는 압축된 가열공기를 통해 용융도료의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포가 이루어질 위치상의 도료면에 있는 먼지 등이 분사되는 압력에 의해 청소가 이루어져 보다 깨끗한 차선의 도색이 이루어진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용 도료분사노즐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도료분사노즐이 적용되는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을 보인 측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도료분사노즐이 적용되는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을 보인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용 도료분사노즐을 보인 정면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용 도료분사노즐을 보인 평면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용 도료분사노즐의 작용 전 상태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용 도료분사노즐의 작용 후 상태를 보인 단면 구성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도료분사노즐을 설명하기에 앞서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의 구조를 설명하면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색차량(10)의 적재함에는 압축공기를 발생시키는 에어컴프레셔(20), 도료와 글라스비드의 분사압을 발생시키는 펌프(30), 열매체유를 가열시키는 가열보일러(40), 도료가 저장된 도료저장탱크(50), 장치 전반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패널(60), 글라스비드가 저장된 글라스비드 탱크(70) 및 도료와 글라스비드의 분사가 이루어져 도로면 상에 도색을 하는 도료분사장치(80)가 탑재되어 구성되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도색차량(10)은 가열보일러(40)의 가동을 통해 열매체유를 가열하여 순환시키는 가운데 도료저장탱크(50)에 저장된 도료를 일정한 점도가 유지되도록 가열 용융시켜 도색차량(10)을 이동시키면서 도로면 상에 도료 와 글라스비드를 분사하여 차선을 도색하게 된다. 이때, 도료와 글라스비드는 도색차량의 하부 양측에 설치된 도료분사장치(80)를 구성하는 도료분사노즐(100)과 글라스비드 분사노즐(도면번호 부여하지 않음)을 통해 도로면 상에 분사되어 차선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도료분사장치(80)를 구성하는 도료분사노즐(100)과 글라스비드 분사노즐을 통해 도로면 상에 분사되는 도료와 글라스비드의 분사압은 펌프(30)를 통해 발생되어지고, 에어컴프레셔(20)는 도료분사노즐(82)에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도료분사노즐(100)의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도 3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료의 분사가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도료분사노즐(100)은 실린더 유닛(110), 도료공급유닛(120), 도료분사유닛(130), 라운드 노즐(140), 도료제어 피스톤 유닛(150) 및 가열압축공기 제어 피스톤 유닛(16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용 도료분사노즐(100)은 실린더 유닛(110)의 내부로 유입된 압축공기에 의해 도료제어 피스톤 유닛(150) 및 가열압축공기 제어 피스톤 유닛(160)이 상향으로 작동되어 라운드 노즐(140)의 개방과 가열압축공기 노즐(123)의 개방이 이루어지면 가열압축공기 유입구(122)를 통해 유입된 가열압축공기에 의해 라운드 노즐(140)을 경유하여 도료분사유닛(130)으로 유입된 도료의 분사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도료분사노즐(100)을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실린더 유닛(110)은 압축공기의 유입을 통해 후술하는 도료제어 피스톤 유닛(150) 및 가열압축공기 제어 피스톤 유닛(160)의 승강동작을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실린더 유닛(110)은 도 3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일정공간이 형성되어지되 상부 일측에는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압축공기 유입구(111a)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실린더 유닛(110)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실린더 유닛(110)은 중심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지되 일측에는 도료제어 피스톤 유닛(150)을 제어하기 위한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압축공기 유입구(111a)가 형성되어 중심의 관통구와 내통되어진 구조의 실린더 베이스(111), 실린더 베이스(111)의 상부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실린더 파이프(112), 실린더 파이프(112)의 상부에 구성되어 실린더 유닛(110)의 헤드를 구성하는 실린더 헤드(113), 실린더 베이스(111)의 하부에 구성되는 실린더 홀더(114) 및 실린더 홀더(114)의 하부에 설치되어 도료제어 피스톤 유닛(150)과 가열압축공기 제어 피스톤 유닛(160)을 상하의 수직선상으로 가이드 하는 한편 실린더 베이스와 실린더 홀더(114)가 이루는 내부공간의 기밀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피스톤 홀더(115, 116)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실린더 베이스(111), 실린더 파이프(112), 실린더 헤드(113) 및 피스톤 홀더(115, 116)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실린더 유닛(110)의 내부는 일정크기의 공간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도료의 분사를 제어하기 위한 도료제어 피스톤 유닛(150)과 가열된 압축공기를 제어하기 위한 가열압축공기 제어 피스톤 유닛(160)이 그 내부에 상하로 승강동작될 수 있도록 양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도료분사노즐(100)을 구성하는 도료공급유닛(120)은 도료저장탱크(50)로부터 공급되어 유입되는 도료를 후술하는 도료분사유닛(130)으로 공급하기 위함은 물론 내부로 공급된 도료를 가열하여 일정한 점도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도료공급유닛(120)은 도 3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관통된 중심에 내통되도록 용융된 도료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도료 유입구(121)와 도료 유입구(121)와는 격리되어지되 가열된 압축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가열압축공기 유입구(122) 및 가열압축공기의 유출이 이루어지는 가열압축공기 노즐(123)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실린더 유닛(110)의 하부에 설치되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도료공급유닛(120)은 도료저장탱크(50)로부터 공급되어 유입된 도료를 상하로 관통된 중심부를 통해 하부측의 도료분사유닛(130)으로 압력분사되어진다. 이때, 도료공급유닛(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도료는 펌프(30)에 의해 공급되므로 도료공급유닛(120)으로부터 도료분사유닛(130)으로 유출시 일정한 압력하에서 유출되어진다.
그리고, 가열압축공기 유입구(122)를 통해 유입된 가열압축공기는 도료분사유닛(130)으로 유출되는 도료를 가열압축된 공기를 통해 강하게 분사하기 위한 것으로, 이 가열압축공기는 가열압축공기 노즐(123)의 개방에 의해 도료분사유닛(130)으로 분사되어 도료분사유닛(130)으로 유출되는 도료를 도로면 상에 분사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의 도료공급유닛(120)에서는 도료와 가열압축공기는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분사됨을 알 수 있다. 즉, 유입된 도료는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료공급유닛(120)의 중심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관통구를 통해 도료분사유닛(130)으로 압력분사됨을 알 수 있고, 가열압축공기 유입구(122)를 통해 유입된 가열압축공기는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압축공기 노즐(123)을 통해 압력분사되어 후술하는 라운드 노즐(140)의 하단부를 통해 도료분사유닛(130)의 내부로 분사됨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열압축공기를 통해 도료의 압력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료분사유닛(130)을 통해 도로면 상에 분사되는 도료는 도로면에 분사되는 순간까지 가열 용융되어 일정한 점도가 유지된 상태로 분사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이처럼 가열압축공기를 통해 도료를 압력분사하게 되면 분사되는 압력에 의해 도로면 아스팔트 깊숙이 박혀있는 이물질이나 먼지 등이 날려지게 되므로 도로면 상에 도색되는 차선은 매우 깨끗한 상태로 도색되어진다. 즉, 가열압축공기를 통해 도료를 압력분사하게 됨으로써 도색할 위치의 도로면을 청소하는 기능을 부가적으로 얻을 수가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도료공급유닛(120)에는 열매체유가 유동되어 가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열매체유 유로(124), 열매체유 유로(124)에 열매체유의 유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열매체유 유입구(125) 및 열매체유 유입구(125)를 통해 유입되어 열매체유 유로(124)를 경유하는 과정에서 도료공급유닛(120)을 가열한 후 열매체유가 배출되는 열매체유 배출구(126)로 이루어진 도료가열수단이 더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도료공급유닛(120) 상에 더 구성된 도료가열수단은 가열보일러(40)를 통해 일정한 온도로 가열되어 공급되는 열매체유를 열매체유 유 로(124)와 열매체유 유입구(125) 및 열매체유 배출구(126)를 통해 도료공급유닛(120)을 계속적으로 가열함으로써 도료공급유닛(120)의 내부로 공급 유입된 도료가 상시 용융된 상태로 일정한 점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료분사노즐(100)을 구성하는 도료분사유닛(130)은 가열 용융된 도료를 도로면 상에 분사하여 일정한 모양의 차선을 도색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도료분사유닛(130)은 도 3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료공급유닛(120)의 하부에 설치되어지되 도로면으로 도료의 분사가 이루어지는 도료분사구(131a)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도료분사유닛(13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료분사유닛(130)은 도료의 분사가 이루어지는 도료분사구(131a)가 중심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지되 상단은 라운드 노즐(140)의 하부에 이격 설치되어 가열압축공기 분사간극(131b)이 형성되도록 하는 한편 도료공급유닛(120)의 가열압축공기 노즐(123)을 통해 하부로 유출된 가열압축공기가 가열압축공기 분사간극(131b)을 통해 도료분사구(131a)로 분사되면서 도료의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분무노즐(131), 분무노즐(131)의 외주에 결합되어 라운드 노즐(140)과 분무노즐(131) 및 도료공급유닛(120)이 이루는 경계상에 가열압축공기 유로(132a)를 형성하는 노즐홀더(132) 그리고 분무노즐(131)과 노즐홀더(132)를 결합 고정시키는 캡너트(133)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도료분사유닛(130)은 도료공급유닛(120)의 하부에 결합시 분무노즐(131) 상단면과 라운드 노즐(140) 하단면 사이에 일정한 간 극으로 형성된 가열압축공기 분사간극(131b)이 형성되도록 설치된다. 이처럼 형성된 가열압축공기 분사간극(131b)을 통해서는 가열압축공기 노즐(123)을 통해 하부로 유출된 가열압축공기가 유출되어 도료분사구(131a)로 분사되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도료분사노즐(100)을 구성하는 라운드 노즐(140)은 후술하는 도료제어 피스톤 유닛(150)의 승강작용에 의해 개폐되어 도료공급유닛(120)으로 유입된 도료가 도료분사유닛(130)으로 공급 및 차단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라운드 노즐(140)은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료공급유닛(120)의 중심부 상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관통구의 하단면과 도료분사유닛(130)의 도료분사구(131a) 상단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하로 관통된 노즐공(142)의 개폐에 의해 도료공급유닛(120)을 통해 유입된 도료가 도료분사유닛(130)의 도료분사구(131a)로 유출 분사되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라운드 노즐(140)의 노즐공(142)이 개방되어 도료공급유닛(120)을 통해 유입된 도료가 도료분사유닛(130)의 도료분사구(131a)로 유출 분사되는 경우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라운드 노즐(140) 하단면과 도료분사유닛(130)의 상단면 사이에 형성되는 가열압축공기 분사간극(131b)을 통해 가열압축공기가 도료분사유닛(130)의 도료분사구(131a)로 유입되어 도료와 함께 분사된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도료분사노즐(100)을 구성하는 도료제어 피스톤 유닛(150)은 앞서 기술한 라운드 노즐(140)의 노즐공(142) 상부를 개폐하여 도료공급유닛(120)의 내부로 유입된 도료가 라운드 노즐(140)을 통해 도료분사유닛(130)으로 유출 및 차단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도료제어 피스톤 유닛(150)은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유닛(110)의 내부 일측에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실린더 유닛(110)의 압축공기 유입구(111a)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어 라운드 노즐(140)을 개폐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도료제어 피스톤 유닛(15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실린더 유닛(110)의 내부 일측에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일정길이의 피스톤 로드(151), 피스톤 로드(151)의 하단에 일직선상으로 연결되는 일정길이의 니들 스템(152), 니들 스템(152)의 하단에 구성되어 라운드 노즐(140)의 중심을 개폐시키는 니들 포인트(153), 피스톤 로드(151)의 상부측인 실린더 파이프(112) 내측에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실린더 베이스(111)의 압축공기 유입구(111a)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어 피스톤 로드(151)를 승강시키는 피스톤(154) 및 피스톤(154)의 상부측인 실린더 파이프(112) 내측에 설치되어 피스톤(154)을 상시 하부로 가압하는 방향으로 그 탄성력이 작용하는 가압스프링(155)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도료제어 피스톤 유닛(15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실린더 유닛(110)의 압축공기 유입구(111a)를 통해 압축공기가 실린더 유닛(110)의 내부로 유입되면 실린더 유닛(110)의 내부에 압력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피스톤(154)이 가압스프링(155)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상승하게 된다. 이처럼 피스톤(154)의 상승에 따라 피스톤(154)의 중심에 상하로 일정길이 결합된 피스톤 로드(151)와 니들 스템(152) 역시 상승하게 되고, 결국 라운드 노즐(140)의 노즐공(142)을 폐쇄하고 있는 니들 포인트(153)가 노즐공(142)으로부터 이격되어 노즐공(142)을 개방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는 도료의 분사가 이루어지는 상태이다.
물론, 실린더 유닛(110)의 내부에 설치되 도료제어 피스톤 유닛(150)의 피스톤(154)을 상승시키는 압축공기의 압력이 제거되면 피스톤(154)의 상부에 설치되어 하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스프링(155)의 복원력이 되살아나 피스톤(154)은 가압스프링(155)의 복원력에 의해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피스톤 로드(151)와 니들 스템(152) 역시 하강하게 되어 결국에는 니들 스템(152)의 하단에 구성된 니들 포인트(153)에 의해 라운드 노즐(140)의 노즐공(142)이 폐쇄되어진다. 이러한 상태는 도료의 분사가 차단된 상태이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가열압축공기 제어 피스톤 유닛(160)은 도료공급유닛(120)에 구성된 가열압축공기 노즐(123)을 개폐시켜 도료의 분사시 가열압축공기에 의한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가열압축공기 제어 피스톤 유닛(160)은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유닛(110)의 내부 타측에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도료제어 피스톤 유닛(150)의 승강작용에 의해 동일방향으로 작동되어 도료공급유닛(120)의 가열압축공기 노즐(123)을 개폐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가열압축공기 제어 피스톤 유닛(16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가열압축공기 제어 피스톤 수단(160)은 실린더 유닛(110)의 내부 타측에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일정길이의 에어밸브 니들(161), 에어밸브 니들(161)이 상부측에 설치되어지되 에어밸브 니들(161)이 관통되도록 설치되는 니들 캡(162), 니들 캡(162)의 상부면과의 사이에 일정한 갭(G)이 형성되도록 에어밸브 니들(161)의 상단부에 나사결합되는 스토퍼 너트(163), 피스톤 로드(151)와 니들 캡(162)을 연결하여 피스톤 로드(151)의 승강시 에어밸브 니들(161)이 동시에 동일방향으로 작동되도록 하는 연결간(164), 에어밸브 니들(161)의 하단에 구성되어지되 가열압축공기 노즐(123)을 개폐시키는 에어밸브 니들 포인트(165), 니들 캡(162) 하부측의 에어밸브 니들(161) 외주면 상에 설치된 지지턱(166) 및 니들 캡(162)과 지지턱(166) 사이에 설치되어지되 가열압축공기 노즐(123)을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상시 그 탄성력이 작용되어 에어밸브 니들(161)을 하향 가압되도록 하는 탄성스프링(167)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가열압축공기 제어 피스톤 유닛(16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앞서 설명한 도료제어 피스톤 유닛(150)의 피스톤(154)이 상승에 따라 피스톤 로드(151)가 상승하게 하게 되면 피스톤 로드(151)에 연결간(164)을 통해 연결된 니들 캡(162)이 피스톤 로드(111)의 상승분만큼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에어밸브 니들(161)의 상승이 이루어지면서 결국, 가열압축공기 노즐(123)을 폐쇄하고 있는 에어밸브 니들 포인트(165)가 가열압축공기 노즐(123)로부터 떨어져 가열압축공기 노즐(123)의 개방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태는 가열압축공기의 유출이 이루어지는 상태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가열압축공기 제어 피스톤 유닛(160)을 구성하는 니들 캡(162)의 상부면과 니들 캡(162)을 관통한 에어밸브 니들(161)의 상단에 구성된 스토퍼 너트(163)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의 갭(G)이 형성되어 있어 니들 캡(162)의 상승시 니들 캡(162)의 상부면과 스토퍼 너트(163) 사이의 갭(G)에 상쇄된 후에야 에어밸브 니들(161)의 상승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가열압축공기 제어 피스톤 유닛(160)에서와 같이 니들 캡(162)과 스토퍼 너트(163) 사이의 일정한 갭(G)의 형성함으로써 도료제어 피스톤 수단(150)과 가열압축공기 제어 피스톤 수단(160)의 승강작용은 갭(G)에 의한 시차를 두고 동일방향으로 승강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도료분사노즐(100)에는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료분사유닛(130)의 하부측 외주면 상에 결합 고정되어지되 도료분사유닛(130)을 통해 도로면으로 분사되는 도료의 분사폭을 제한하는 도료분사폭 제한편(172)이 양측에 일정길이 하향으로 형성된 도료분사 가이드부재(170)가 더 구성되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도료분사 가이드부재(170)는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료분사유닛(130)의 분무노즐(131) 상에 도료분사폭 제한편(172)이 양측에 일정길이 하향으로 형성된 도료분사 가이드부재(170)를 결합 고정시킴으로써 도료분사유닛(110)으로부터 분사되는 도료의 퍼짐 및 도료의 분사폭을 제한하여 설계에 의한 차선의 모양대로 도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료분사노즐(100)은 도료공급유닛(120)을 열매체유를 통해 상시 가열되도록 함으로써 도료공급유닛(120)으로 유입된 도료의 응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도료의 분사시 가열압축공기를 통해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도로면의 이물질이나 먼지의 청소는 물론, 도로면 상에 분사되어 도료의 융 착이 이루어지는 순간까지 가열압축공기를 통해 도료의 가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작은 입자로 무화된 도료에 의해 도로면 침투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보다 뚜렷한 차선의 도색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도료분사노즐이 적용되는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을 보인 측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도료분사노즐이 적용되는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을 보인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용 도료분사노즐을 보인 정면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용 도료분사노즐을 보인 평면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용 도료분사노즐의 작용 전 상태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용 도료분사노즐의 작용 후 상태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도료분사노즐 110. 실린더 유닛
120. 도료공급유닛 130. 도료분사유닛
140. 라운드 노즐 150. 도료제어 피스톤 유닛
160. 가열압축공기 제어 피스톤 유닛 170. 도료분사 가이드부재

Claims (8)

  1. 용융된 도료를 도로면 상에 분사하는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의 도료분사노즐에 있어서,
    상기 도료분사노즐은 내부에 일정공간이 형성되어지되 상부 일측에는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압축공기 유입구가 형성된 실린더 유닛;
    상기 실린더 유닛의 하부에 설치되어지되 상하로 관통된 중심에 내통되도록 용융된 도료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도료 유입구와 상기 도료 유입구와는 격리되어지되 가열된 압축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가열압축공기 유입구 및 상기 가열압축공기의 유출이 이루어지는 가열압축공기 노즐이 형성된 도료공급유닛;
    상기 도료공급유닛의 하부에 설치되어지되 도로면으로 도료의 분사가 이루어지는 도료분사구가 형성된 도료분사유닛;
    상기 도료공급유닛과 도료분사유닛 사이에 설치되어지되 상하로 관통된 노즐공의 개폐에 의해 상기 도료공급유닛을 통해 유입된 도료가 상기 도료분사유닛의 도료분사구로 분사되도록 하는 라운드 노즐;
    상기 실린더 유닛의 내부 일측에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상기 실린더 유닛의 압축공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어 상기 라운드 노즐을 개폐시키는 도료제어 피스톤 유닛; 및
    상기 실린더 유닛의 내부 타측에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상기 도료제어 피스톤 유닛의 승강작용에 의해 동일방향으로 작동되어 상기 도료공급유닛 의 가열압축공기 노즐을 개폐시키는 가열압축공기 제어 피스톤 유닛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용 도료분사노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유닛은 중심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지되 일측에는 상기 도료제어 피스톤 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압축공기 유입구가 형성되어 중심의 관통구와 내통되어진 구조의 실린더 베이스;
    상기 실린더 베이스의 상부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실린더 파이프;
    상기 실린더 파이프의 상부에 구성되어 상기 실린더 유닛의 헤드를 구성하는 실린더 헤드;
    상기 실린더 베이스의 하부에 구성되는 실린더 홀더; 및
    상기 실린더 홀더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도료제어 피스톤 유닛과 가열압축공기 제어 피스톤 유닛을 상하의 수직선상으로 가이드 하는 한편 상기 실린더 베이스와 실린더 홀더가 이루는 내부공간의 기밀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피스톤 홀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용 도료분사노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공급유닛에는 열매체유가 유동되어 가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열매체유 유로;
    상기 열매체유 유로에 열매체유의 유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열매체유 유입구; 및
    상기 열매체유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열매체유 유로를 경유하는 과정 에서 상기 도료공급유닛을 가열한 후 상기 열매체유가 배출되는 열매체유 배출구로 이루어진 도료가열수단이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용 도료분사노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분사유닛은 상기 도료의 분사가 이루어지는 도료분사구가 중심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지되 상단은 상기 라운드 노즐의 하부에 이격 설치되어 가열압축공기 분사간극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도료공급유닛의 가열압축공기 노즐을 통해 하부로 유출된 가열압축공기가 상기 가열압축공기 분사간극을 통해 상기 도료분사구로 분사되면서 도료의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분무노즐;
    상기 분무노즐의 외주에 결합되어 상기 라운드 노즐과 분무노즐 및 도료공급유닛이 이루는 경계상에 가열압축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노즐홀더; 및
    상기 분무노즐과 노즐홀더를 결합 고정시키는 캡너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용 도료분사노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제어 피스톤 유닛은 상기 실린더 유닛의 내부 일측에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일정길이의 피스톤 로드;
    상기 피스톤 로드의 하단에 일직선상으로 연결되는 일정길이의 니들 스템;
    상기 니들 스템의 하단에 구성되어 상기 라운드 노즐의 중심을 개폐시키는 니들 포인트;
    상기 피스톤 로드의 상부측인 상기 실린더 파이프 내측에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상기 실린더 베이스의 압축공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어 상기 피스톤 로드를 승강시키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의 상부측인 상기 실린더 파이프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을 상시 하부로 가압하는 방향으로 그 탄성력이 작용하는 가압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용 도료분사노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압축공기 제어 피스톤 수단은 상기 실린더 유닛의 내부 타측에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일정길이의 에어밸브 니들;
    상기 에어밸브 니들이 상부측에 설치되어지되 상기 에어밸브 니들이 관통되도록 설치되는 니들 캡;
    상기 니들 캡의 상부면과의 사이에 일정한 갭(G)이 형성되도록 상기 에어밸브 니들의 상단부에 나사결합되는 스토퍼 너트;
    상기 피스톤 로드와 니들 캡을 연결하여 상기 피스톤 로드의 승강시 상기 에어밸브 니들이 동시에 동일방향으로 작동되도록 하는 연결간;
    상기 에어밸브 니들의 하단에 구성되어지되 상기 가열압축공기 노즐을 개폐시키는 에어밸브 니들 포인트;
    상기 니들 캡 하부측의 에어밸브 니들 외주면 상에 설치된 지지턱; 및
    상기 니들 캡과 지지턱 사이에 설치되어지되 상기 가열압축공기 노즐을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상시 그 탄성력이 작용되어 상기 에어밸브 니들을 하향 가압되도 록 하는 탄성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용 도료분사노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캡과 스토퍼 너트 사이의 일정한 갭(G)의 형성에 의해 상기 도료제어 피스톤 수단과 가열압축공기 제어 피스톤 수단의 승강작용은 시차를 두고 동일방향으로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용 도료분사노즐.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분사유닛의 하부측 외주면 상에 결합 고정되어지되 상기 도료분사유닛을 통해 도로면으로 분사되는 도료의 분사폭을 제한하는 도료분사폭 제한편이 양측에 일정길이 하향으로 형성된 도료분사 가이드부재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용 도료분사노즐.
KR1020080115465A 2008-11-20 2008-11-20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용 도료분사노즐 KR201000565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465A KR20100056591A (ko) 2008-11-20 2008-11-20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용 도료분사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465A KR20100056591A (ko) 2008-11-20 2008-11-20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용 도료분사노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6591A true KR20100056591A (ko) 2010-05-28

Family

ID=42280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5465A KR20100056591A (ko) 2008-11-20 2008-11-20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용 도료분사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56591A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876B1 (ko) * 2010-07-15 2011-02-08 김보석 고휘도 차선도색장치
KR101524746B1 (ko) * 2014-10-15 2015-06-01 대동안전주식회사 5 내지 45cm 폭의 횡단보도 도색이 가능한 광폭 가변형 노면표시장비용 도색모듈
KR101709545B1 (ko) 2016-09-01 2017-02-24 태광엔지니어링(주) 차선도료 균일 토출용 디퓨저 노즐
CN109322235A (zh) * 2018-11-15 2019-02-12 南通威而多专用汽车制造有限公司 道路标线热熔喷枪
KR20190033801A (ko) 2017-09-22 2019-04-01 경 곤 김 횡단 보도용 도색장비 및 도색방법
KR20190051449A (ko) 2017-11-07 2019-05-15 경 곤 김 차선 도색용 분사장비
KR101979191B1 (ko) 2019-02-25 2019-05-17 (주)마루건설 이액형 상온 경화형 차선 도색장치
KR101985697B1 (ko) 2019-02-25 2019-06-04 (주)마루건설 이액형 상온 경화형 차선 도색차량 및 그 차선 도색차량을 이용한 차선 도색방법
KR20190064861A (ko) 2017-12-01 2019-06-11 경 곤 김 차선 도색용 분사장비
KR102140946B1 (ko) 2019-05-08 2020-08-04 태광엔지니어링(주) 디퓨저 홀이 형성된 차선시공용 스프레이 노즐
KR20200111949A (ko) 2019-03-20 2020-10-05 김현정 노면 표시용 도색기
KR102216624B1 (ko) 2020-04-07 2021-02-17 (주)태산마스타 돌출부 일체형 융착식 우천형 차선도색 시공장비와 이를 활용한 시공방법
KR20210044398A (ko) 2019-10-15 2021-04-23 경 곤 김 노면표시 페인트 분사장비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876B1 (ko) * 2010-07-15 2011-02-08 김보석 고휘도 차선도색장치
KR101524746B1 (ko) * 2014-10-15 2015-06-01 대동안전주식회사 5 내지 45cm 폭의 횡단보도 도색이 가능한 광폭 가변형 노면표시장비용 도색모듈
KR101709545B1 (ko) 2016-09-01 2017-02-24 태광엔지니어링(주) 차선도료 균일 토출용 디퓨저 노즐
KR20190033801A (ko) 2017-09-22 2019-04-01 경 곤 김 횡단 보도용 도색장비 및 도색방법
KR20190051449A (ko) 2017-11-07 2019-05-15 경 곤 김 차선 도색용 분사장비
KR20190064861A (ko) 2017-12-01 2019-06-11 경 곤 김 차선 도색용 분사장비
CN109322235A (zh) * 2018-11-15 2019-02-12 南通威而多专用汽车制造有限公司 道路标线热熔喷枪
CN109322235B (zh) * 2018-11-15 2024-03-15 南通威而多专用汽车制造有限公司 道路标线热熔喷枪
KR101979191B1 (ko) 2019-02-25 2019-05-17 (주)마루건설 이액형 상온 경화형 차선 도색장치
KR101985697B1 (ko) 2019-02-25 2019-06-04 (주)마루건설 이액형 상온 경화형 차선 도색차량 및 그 차선 도색차량을 이용한 차선 도색방법
KR20200111949A (ko) 2019-03-20 2020-10-05 김현정 노면 표시용 도색기
KR102140946B1 (ko) 2019-05-08 2020-08-04 태광엔지니어링(주) 디퓨저 홀이 형성된 차선시공용 스프레이 노즐
KR20210044398A (ko) 2019-10-15 2021-04-23 경 곤 김 노면표시 페인트 분사장비
KR102216624B1 (ko) 2020-04-07 2021-02-17 (주)태산마스타 돌출부 일체형 융착식 우천형 차선도색 시공장비와 이를 활용한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56591A (ko)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용 도료분사노즐
KR100721510B1 (ko)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시공법
KR101025279B1 (ko) 승강식 도료분사장치가 구성된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
CN205088614U (zh) 一种车载智能洒水系统及智能洒水车
KR101252655B1 (ko) 돌출차선표시용 시공장치
KR101483848B1 (ko) 차선 도색용 도료용융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선 도색기
CN211954687U (zh) 一种模拟智能网联汽车雨天气象环境行驶的试车道
KR100501992B1 (ko) 차선도색차량
KR101133570B1 (ko) 선명도를 향상시킨 차선 및 상기 선명도를 향상시킨 차선의 스프레이 융착식 선명도향상차선 도색장치와 선명도향상차선 도색방법
US10040430B2 (en) Enhanced vehicle wiper blade system
KR101029604B1 (ko) 반사판 세정시스템을 구비한 과속방지턱
KR101392886B1 (ko)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
CN106223252A (zh) 一种市政道路自动洒水除霾系统及其方法
KR102116032B1 (ko) 스프레드차선 및 돌출차선 복합 시공 시스템
KR101721428B1 (ko) 사이드미러 에어와이퍼
CN208594462U (zh) 一种车载沥青洒布设备的液压伸缩式喷洒臂
CN204383418U (zh) 一种汽车前大灯清洗装置
KR101557044B1 (ko) 분사식으로 융착도료를 도색할 수 있는 소형 자주식 차선 도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선 도색 공법
KR20200141747A (ko) 미세먼지 및 도시열섬 저감을 위한 분사 시스템
KR102140946B1 (ko) 디퓨저 홀이 형성된 차선시공용 스프레이 노즐
CN109989325A (zh) 一种高速公路施工用路面养护洒水装置
KR20160137036A (ko) 아스팔트 살포 장치
KR20200050147A (ko) 차량용 제설제 살포기를 활용한 다목적 청소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11744B1 (ko) 핫멜트 도포장치용 분사노즐
KR101108873B1 (ko) 고휘도 우천형 비드 건을 갖는 융착식 스프레이 차선 도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