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9191B1 - 이액형 상온 경화형 차선 도색장치 - Google Patents

이액형 상온 경화형 차선 도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9191B1
KR101979191B1 KR1020190021646A KR20190021646A KR101979191B1 KR 101979191 B1 KR101979191 B1 KR 101979191B1 KR 1020190021646 A KR1020190021646 A KR 1020190021646A KR 20190021646 A KR20190021646 A KR 20190021646A KR 101979191 B1 KR101979191 B1 KR 101979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ing
gear member
liquid
paint
l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1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승빈
Original Assignee
(주)마루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마루건설 filed Critical (주)마루건설
Priority to KR1020190021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91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 E01C23/22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by spraying
    • B01F13/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60Safety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등에 장착되어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여서 도로면 상에 차선을 도색하는 이액형 상온 경화형 차선 도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주제 저장탱크와 경화제 저장탱크로 나누어 구성하며, 혼합기에서 주제와 경화제를 다단(多段)으로 혼합하여 주제와 경화제를 고르게 혼합하며 승강 작동판을 상하로 이동하면서 주제와 경화제의 토출입구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도색작업 중 이액형 도료 분사 작업이 일정시간 이상 중단되거나 대기중이더라도 가열 없이도 상온(常溫)에서도 도색작업을 할 수 있음은 물론 종전과 같이 분사노즐 내부에 이액형 도료 일부가 잔류하여 굳어버리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단의 혼합기를 구비하여서 주제 토출 슬릿과 경화제 토출 슬릿을 통해서 토출되는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기에서 다단(多段)으로 혼합(mixing)한 후, 혼합한 이액형 도료를 도로면 상에 곧바로 도색함으로써, 이액형 도료를 더욱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으며, 이액형 도료의 점성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도색 품질을 높일 수 있으며, 차선 도막의 두께 조절은 물론 차선 도막을 요철이나 물결모양 등으로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차선 도막의 두께가 충분하여 글라스 비드의 이탈률이 낮아서 우천 또는 야간 운전시, 운전자의 시인성을 높여서 더욱 안전한 차량운행을 실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액형 상온 경화형 차선 도색장치{TRAFFIC LANE PAINTING DEVICE WITH TWO LIQUID TYPE}
본 발명은 차량 등에 장착되어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여서 도로면 상에 차선을 도색하는 이액형 상온 경화형 차선 도색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융착 스프레이 방식이 아닌 토출 방식(낙하 방식)으로 도색하되, 주제 저장탱크와 경화제 저장탱크를 나누어 구성하여 혼합기에서 주제와 경화제를 다단(多段)으로 혼합하면서 상온(常溫)에서 차선 도색작업을 하도록 함으로써, 차선 도막의 두께 조절은 물론 졸음방지용의 요철이나 물결 모양 등으로 차선 도막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차선 도막의 두께가 충분하여 글라스 비드(glass bead)의 이탈률을 감소시켜서 우천 또는 야간 운전시 운전자의 시인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이액형 상온 경화형 차선 도색장치에 관한 것이다.
교통사고는 층간소음, 도시홍수 등과 더불어 국민의 일상생활 속에 상존하는 대표적인 사회문제 중 하나이다.
특히, 야간 교통사고 사망자수는 연간 교통사고 사망자수의 50% 이상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으며, 주·야간 교통량 비중을 감안 시 야간 교통사고 위험도가 주간의 약 3배에 달한다.
이에 정부는 국가 교통안전관련 최상위 계획인 교통안전기본계획(제7차, `12~`16)을 통해 야간 교통사고 사망자수 50% 감소를 추진목표로 설정한 바 있다.
운전자는 도로 주행 중 필요한 정보의 90% 이상을 시각을 통해서 획득한다. 특히, 야간 도로의 시각환경은 교통사고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야간 도로를 주행중인 운전자는 도로조명 및 차량 전조등에 의지하여 전방의 위험 상황과 진행해야 할 경로를 파악한다. 무조명 도로 구간에서는 차량 전조등(하향등)이 유일한 시각환경 확보 수단이나 차량 전조등 도달거리는 50~60m에 불과하여 정지시거가 확보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서 전방 위험물 충돌사고 및 설치 후 급속한 반사성능의 저하로 전조등 도달거리 내에서도 확인이 어려운 차선으로 인한 도로 이탈 사고 위험이 상존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았을 때, 무조명 구간은 야간 도로환경에서 매우 열악한 환경임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고속도로나 국도 및 지방도 등의 포장도로에는 상호 반대 차선의 차량의 중앙을 가르는 중앙선이나 차량의 진행구간을 구분하는 차로 선인 주행 차선이 도색된다.
중앙선이나 주행 차선 등의 차선은 운전자로 하여금 주행 방향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안전운행을 유도하는 기준선으로, 차선은 차량의 안전운행을 유도하는 기준이 되므로 시각적으로 인지되는 시인성이 대단히 중요하다. 이처럼 차선에 대한 중요성이 인식되면서부터 차선의 도색방법에 대한 새로운 방법들이 연구되고 실제로도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야간 운전시, 시각환경 확보를 위한 대표적 사회 기반시설인 도로 조명의 경우, 고가의 설치 운영비로 노면표시 중에서 차선은 도로교통의 안전과 원활한 소통을 도모하고 야간에 도로의 선형 및 운전자의 시선유도를 위한 가장 기본적인 시설 노면표시의 성능 향상을 위한 다양한 기법이 도입되고 있으나, 내구성 확보에 한계가 존재한다.
야간 우천시, 운전자의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우천형 글라스 비드를 사용하고 있으나, 초기 우천시 휘도는 우수한 반면 교통량에 따른 탈락률이 매우 높아 제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종래의 차선 도색 기술로는 돌가루(CaCO3)와 수지 및 안료를 사용하는 방법과, 스프레이를 사용하여 일반 페인트를 도색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도색방법들은 도료가 경화되면서 표면이 매끄러운 방수 피막을 형성함으로써, 노면(路面)의 물이 빠져나가지 못하고 노면에 그대로 고이게 되어 주행 중인 차량의 타이어 표면과 수막현상을 유발하여 안전 운행에 위험요소가 될 뿐만 아니라 우천 또는 야간 운전시, 운전자의 시인성을 감소시키는 결정적인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물 빠짐이나 운전자의 시인성 및 차선을 벗어나는 경우,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돌출형의 차선을 시공하는 방법이 제공되기도 한다.
한편, 종래의 차선 도색장치는 도료를 도로면 상에 도포하기 위한 도포수단과, 이 도포수단을 탑재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수단(혹은 운반수단)으로 구성된다.
차선 도색장치는 도료가 저장된 이동수단을 작업자가 일일이 끌고 다니면서 도로면 상에 도료를 도포하였으나, 항시 차량이 운행되는 도로상에서 수작업에 의해 도색 작업을 하는 것은 인력 낭비는 물론 교통 체증이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보다 용이하게 차선을 도색할 수 있는 수단으로, 차선 도색장치가 탑재된 도색 차량을 통해 이액형의 도료를 도로면 상에 토출방식으로 토출시켜 차선을 도색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종래의 차선 도색장치가 탑재된 도색차량의 경우, 용융된 도료를 스프레이 분사하는 도료 분사노즐의 구성이 용융된 도료의 분사시, 단순히 압축된 도료를 스프레이 분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도로면 상에 분사된 도료의 점도가 저하되어 도로면과 분사된 도료 상호 간의 접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즉, 용융된 도료는 도료 분사노즐을 통해 가열되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도료 분사노즐 내부에서 어느 정도 냉각됨으로써, 점성이 저하되어 도로면과의 접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 특허 공개번호 제10-2010-0056591호에는 "가열수단을 갖는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용 도료 분사노즐"이 개시(開示)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공개 특허는 가열수단을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므로 제작비용이 상승하고 가열수단을 이용하여 가열하기 위한 대기시간이 발생하기 때문에 도색작업이 지연되고 도색 공사기간이 늘어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돌출형 차선의 도색 방법은 평면상의 차선을 도색한 후 처음으로 돌아가 평면상의 차선 상부면에 돌출형 차선을 도색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먼저 도색된 평면상의 차선 상부면에 돌출형 차선을 작업하기 위해서는 고도의 숙련된 작업을 필요하는 문제가 있음은 물론, 실제로 평면상의 차선과 그 상부의 돌출형 차선이 서로 어긋나게 도색되는 경우가 허다할 뿐만 아니라, 도색이 균일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평면상의 차선과 돌출형 차선을 분리하여 작업하기 때문에 시공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 특허 등록번호 제10-1036179호에는 전방 측에 평면상의 차선을 도색할 수 있는 평면상 차선 도색용 바스켓을 설치하고 후방 측에는 선행되는 평면상의 차선 상부면에 돌출형 차선을 동시에 도색할 수 있는 돌출형 차선 도색용 바스켓을 동일 선상의 전후로 설치하는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돌출형 차선 도색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공개 특허는 전방 측에 평면상 차선 도색용 바스켓이 설치되고 후방 측에는 돌출형 차선 도색용 바스켓을 구비하여야 하므로, 제작비용이 상승하고, 도색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이액형 차선 도색장치는,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여서 이액형 도료를 만들고, 그 혼합한 이액형 도료를 1개의 이액형 도료탱크 안에 저장하는 구조이므로 도색작업 중 이액형 도료 분사 작업이 일정시간 이상 중단되면, 이액형 도료탱크 내의 이액형 도료가 경화되어 이액형 도료가 분사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분사노즐 내부에 잔류하는 이액형 도료 일부가 흘러나와서 차선 위로 떨어져서 차선 도색이 불량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이액형 차선 도색장치는 대부분 스프레이 방식이므로 스프레이 특성상 이액형 도료의 도막 두께를 두껍게 하기가 어렵고, 시공성이 떨어짐은 물론 그 도막 두께가 너무 얇아서 이액형 도료 내의 글라스 비드(glass bead)가 도색작업 이후에 쉽게 이탈되는 정도(이하, 이탈률이라 함)가 높아서 운전자의 시인성이 현저하게 낮아져서 운전 안전성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국내 공개특허 제10-2010-0056591호 국내 등록번호 제10-1036179호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융착 스프레이 방식이 아닌 토출 방식으로 차선을 도색하되, 주제 저장탱크와 경화제 저장탱크를 별개로 나누어 구성하며, 주제와 경화제의 토출량을 각각 조절하고 그 주제와 경화제를 다단(多段)으로 혼합(mixing)하면서 별도의 가열 없이도 상온(常溫)에서 차선 도색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선 도막의 두께 조절은 물론 졸음방지용의 요철(凹凸)이나 물결모양 등으로 차선 도막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차선 도막의 두께를 충분히 두껍게 하여 글라스 비드의 이탈률을 대폭 낮추어 운전자의 시인성을 높여서 더욱 안정한 운전을 도모할 수 있는 이액형 상온 경화형 차선 도색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 작동판을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주제 저장탱크의 주제 토출 슬릿과 경화제 저장탱크의 경화제 토출 슬릿을 선택적으로 개방하거나 차단하여서 주제와 경화제의 토출 및 혼합을 제어함으로써, 도색작업 중 이액형 도료 분사 작업이 일정시간 이상 중단되더라도 별도의 가열 없이도 상온(常溫)에서도 도색작업을 할 수 있음은 물론 종전과 같이 분사노즐 내부에 이액형 도료 일부가 잔류하여 굳어버리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이액형 상온 경화형 차선 도색장치를 제공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액형 상온 경화형 차선 도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액형 상온 경화형 차선 도색장치는 이동수단(또는 운반수단), 예를 들어, 차량에 장착되며, 차선 도색용 이액형 도료를 도로면 상에 토출시켜서 차선을 도색하는 이액형 차선 도색장치로서, 주제를 저장하는 주제 저장탱크와 경화제를 저장하는 경화제 저장탱크로 나누어져 구성되며, 상기 주제 저장탱크의 하면에는 주제 토출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경화제 저장탱크의 하면에는 경화제 토출 슬릿이 형성되는 호퍼; 상기 주제 저장탱크와 상기 경화제 저장탱크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주제 토출 슬릿과 상기 경화제 토출 슬릿을 개폐시키기 위한 승강 작동판; 상기 승강 작동판을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 작동판 구동부; 상기 호퍼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마운팅 브래킷; 상기 마운팅 브래킷에 설치되며, 상기 주제 토출 슬릿과 상기 경화제 토출 슬릿을 통해서 토출되는 주제와 경화제를 다단(多段)으로 혼합(mixing)한 후, 혼합한 이액형 도료를 도로면 상에 토출시켜서 차선을 도색하기 위한 혼합기(mixer); 상기 혼합기를 구동하기 위한 혼합기 구동유닛: 및 도색작업 중 이액형 도료 분사 작업이 일정시간 이상 중단되는 경우, 상기 혼합기 내부에 잔존하는 이액형 도료가 차선 위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액형 도료 낙하방지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혼합기(mixer)는 상기 마운팅 브래킷에 치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주제 토출 슬릿과 상기 경화제 토출 슬릿 하방에 위치하여, 상기 주제 토출 슬릿과 상기 경화제 토출 슬릿을 통해서 유입되는 주제와 경화제를 일차로 혼합하는 한 쌍의 제1차 혼합 기어부재; 상기 마운팅 브래킷에 치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차 혼합 기어부재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차 혼합 기어부재에서 일차적으로 혼합된 이액형 도료를 재차 혼합하는 한 쌍의 제2차 혼합 기어부재; 및 상기 제1차 혼합 기어부재와 상기 제2차 혼합 기어부재 사이에 치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1차 혼합 기어부재와 상기 제2차 혼합 기어부재가 서로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1차 혼합 기어부재의 회전력을 상기 제2차 혼합 기어부재에 전달하며, 상기 제1차 혼합 기어부재를 통과한 이액형 도료를 상기 제2차 혼합 기어부재로 가이드하는 한 쌍의 중계 기어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차 혼합 기어부재와 상기 제2차 혼합 기어부재는 모두 혼합된 이액형 도료를 하방으로 이송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혼합기 구동유닛은 상기 제1차 혼합 기어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마운팅 브래킷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및 그 구동모터를 호퍼에 고정하는 고정 브래킷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액형 도료 낙하방지 수단은 상기 마운팅 브래킷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낙하방지 차단판; 및 상기 낙하방지 차단판을 선택적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차 혼합 기어부재는 상기 마운팅 브래킷에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혼합기 구동유닛에 의해서 회전하는 혼합용 구동 샤프트; 상기 혼합용 구동 샤프트의 끝단에 설치되는 구동 기어부; 상기 마운팅 브래킷에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혼합용 구동 샤프트와 치합되는 혼합용 피동 샤프트; 및 상기 혼합용 피동 샤프트의 끝단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 기어부와 치합되는 피동 기어부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중계 기어부재는 상기 마운팅 브래킷에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차 혼합 기어부재를 통과한 이액형 도료를 상기 제2차 혼합 기어부재에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샤프트; 및 상기 제1차 혼합 기어부재와 상기 제2차 혼합 기어부재가 서로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가이드 샤프트의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기어부와 상기 피동 기어부 사이에 치합되는 중계 기어부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2차 혼합 기어부재는 상기 마운팅 브래킷에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중계 기어부재에 의해 가이드 된 이액형 도료를 재차 혼합하기 위한 혼합용 샤프트; 및 상기 혼합용 샤프트의 끝단에 설치되며, 상기 중계 기어부에 치합되는 피동 기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제 저장탱크와 경화제 저장탱크로 나누어 구성하며, 주제와 경화제의 토출량을 각각 제어하고, 혼합기에서 주제와 경화제를 다단(多段)으로 혼합하여 주제와 경화제가 고르게 혼합하도록 하며, 승강 작동판을 상하로 이동하면서 주제와 경화제의 토출입구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도색작업 중 이액형 도료 분사 작업이 일정시간 이상 중단되더라도 가열 없이도 상온(常溫)에서도 도색작업을 할 수 있음은 물론 종전과 같이 분사노즐 내부에 이액형 도료 일부가 잔류하여 굳어버리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단의 혼합기를 구비하여서 주제 토출 슬릿과 경화제 토출 슬릿을 통해서 토출되는 주제와 경화제의 토출량을 제어하고 그 주제와 경화제를 다단(多段)으로 혼합(mixing)한 후, 혼합한 이액형 도료를 도로면 상에 곧바로 도색함으로써, 이액형 도료를 더욱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으며, 이액형 도료의 점성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도색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액형 도료 낙하방지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종래 분사노즐 내부에 잔류하는 이액형 도료 일부가 누출되어 차선 위로 떨어져서 차선 도색이 불량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융착식 스프레이 방식이 아닌 토출 방식으로 하되, 승강 작동판의 높이 및 혼합기 구동부를 이용하여서 이액형 도료의 토출량을 제어함으로써, 차선 도막의 두께 조절은 물론 차선 도막을 요철이나 물결모양 등으로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차선 도막의 두께가 충분하여 글라스 비드의 이탈률을 낮추어 우천 또는 야간 운전시, 운전자의 시인성을 높여서 더욱 안전한 차량운행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액형 도료를 스프레이 방식이 아닌 토출 방식(낙하 방식)이므로 평면상의 차선 도색작업과 돌출형의 차선 도색작업을 별도로 하지 않고 동시에 할 수가 있어서 도색 작업성이 개선되고, 신속한 도색작업을 통해서 교통 체증을 방지하고, 차선 도색작업 공기를 대폭 단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액형 상온 경화형 차선 도색장치를 구비하는 이액형 상온 경화형 차선 도색차량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이액형 상온 경화형 차선 도색장치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이액형 상온 경화형 차선 도색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호퍼 내부와 혼합기와 이액형 도료 낙하방지 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이액형 상온 경화형 차선 도색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로서, 주제 토출 슬릿과 경화제 토출 슬릿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이액형 상온 경화형 차선 도색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로서, 주제 토출 슬릿과 경화제 토출 슬릿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혼합기 및 이액형 도료 낙하방지 수단을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도 8의 저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혼합기를 도시한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호퍼 위에 주제 주입탱크와 경화제 주입탱크가 연결 설치된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
차선 도료란, 유동 상태로 도로의 표면에 도포되면서 얇은 층으로 되고 시간이 흐름에 따라 도로면 상에 고착한 채로 고화되어 방부, 녹슬음 방지, 착색, 광내기 등의 성능을 가지며, 연속상으로 도로 표면을 도포하는데 사용되는 석유화학 물질을 말한다.
주제는 경화 시에, 도막 물성의 50~80%를 차지하며, 경화제는 주제에 있는 -OH기와 반응하는 -NCO기를 가지고 있는 Polyisocyanate를 말한다. 경화제는 주제와 반응하여 도막 내부적으로 가교(Cross-Link)가 일어나며, 도막이 경화되어 도막을 단단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액형 상온 경화형 차선 도색장치를 구비하는 이액형 상온 경화형 차선 도색차량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이액형 상온 경화형 차선 도색장치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이액형 상온 경화형 차선 도색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호퍼 내부와 혼합기와 이액형 도료 낙하방지 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이액형 상온 경화형 차선 도색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로서, 주제 토출 슬릿과 경화제 토출 슬릿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이액형 상온 경화형 차선 도색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로서, 주제 토출 슬릿과 경화제 토출 슬릿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혼합기 및 이액형 도료 낙하방지 수단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저면도이다.
위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액형 상온 경화형 차선 도색장치(1)는 이동 및 운반 수단인 차량(10:도 1 참조)에 장착되며, 차선 도색용 이액형 도료를 도로면 상에 토출 방식으로 토출시켜서 상온에서 차선을 도색하는 이액형 차선 도색장치로서, 주제 저장탱크(110)와 경화제 저장탱크(120)를 나누어 구성하되, 혼합기(500)에서 주제와 경화제를 다단(多段)으로 혼합하며 승강 작동판(200)을 상하로 이동하면서 주제와 경화제의 토출 슬릿(111,121)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도색작업 중 이액형 도료 분사 작업이 일정시간 이상 중단되거나 대기 중이더라도 가열 없이도 상온(常溫)에서도 도색작업을 할 수 있음은 물론 종전과 같이 분사노즐 내부에 이액형 도료 일부가 잔류하여 굳어버리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액형 상온 경화형 차선 도색장치(1)는 다단의 혼합기(500)를 구비하여서, 주제 토출 슬릿(111)과 경화제 토출 슬릿(121)을 통해서 토출되는 주제와 경화제를 다단(多段)으로 혼합(mixing)한 후, 혼합한 이액형 도료를 도로면 상에 곧바로 도색함으로써, 이액형 도료를 더욱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으며, 이액형 도료의 점성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도색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액형 상온 경화형 차선 도색장치(1)는 이액형 도료 낙하방지 수단(700)을 구비함으로써, 종래 분사노즐 내부에 잔류하는 이액형 도료 일부가 누출되어 차선 위로 떨어져서 차선 도색이 불량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액형 상온 경화형 차선 도색장치(1)는 융착식 스프레이 방식이 아닌 토출 방식으로 하되, 승강 작동판(200)의 높이 및 혼합기 구동부(600)를 이용하여서 이액형 도료의 토출량을 제어함으로써 차선 도막의 두께 조절은 물론 졸음방지용의 요철이나 물결모양 등으로 차선 도막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차선 도막의 두께가 충분하여 글라스 비드의 이탈률이 낮아서 우천 또는 야간 운전시, 운전자의 시인성을 높여서 더욱 안전한 차량운행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액형 상온 경화형 차선 도색장치는 토출 방식이므로 평면상의 차선 도색작업과 돌출형의 차선 도색작업을 별도로 하지 않고 동시에 할 수가 있어서 도색 작업성이 개선되고, 차선 도색작업 공시기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액형 상온 경화형 차선 도색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위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액형 상온 경화형 차선 도색장치는 주제 저장탱크(110)와 경화제 저장탱크(120)로 나누어진 호퍼(100); 이액형 도료를 선택적으로 토출하기 위한 승강 작동판(200); 승강 작동판(200)을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 작동판 구동부(300); 호퍼(100)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마운팅 브래킷(400); 주제와 경화제를 다단(多段)으로 혼합(mixing)한 후, 혼합한 이액형 도료를 도로면 상에 토출시켜서 차선을 도색하기 위한 혼합기(mixer)(500); 혼합기 구동유닛(600): 및 이액형 도료 낙하방지 수단(7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액형 상온 경화형 차선 도색장치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호퍼(100)는 주제를 저장하는 주제 저장탱크(110)와 경화제를 저장하는 경화제 저장탱크(120)로 나누어져 구성되며, 주제 저장탱크(110)의 하면에는 주제 토출 슬릿(111)이 형성되고, 경화제 저장탱크(120)의 하면에는 경화제 토출 슬릿(121)이 형성된다.
즉, 호퍼(100) 안에 주제 저장탱크(110)와 경화제 저장탱크(120)가 함께 형성되지만, 격막(130)에 의해서 주제 저장탱크(110)와 경화제 저장탱크(120)가 각각 나누어져 구획된다.
격막(130)에는 주제 토출 슬릿(111)과 연통하는 연통슬릿(131)과 경화제 토출 슬릿(121)과 통하는 연통슬릿(132)이 각각 형성된다.
호퍼(100)의 상부에는 호퍼(100)의 개구(opening)를 차단하기 위한 호퍼 커버(101)가 설치되고, 그 호퍼 커버(101)에는 주입구(102)가 형성될 수 있다.
주입구(102)를 통해서 주제 저장탱크(110) 안에는 글라스 비드를 혼합한 주제를 주입하고, 경화제 저장탱크(120) 안에는 글라스 비드를 혼합한 경화제를 주입한다.
또한, 승강 작동판(200)은 주제 저장탱크(110)와 경화제 저장탱크(120) 사이, 즉 격막(130) 상부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선택적으로 주제 토출 슬릿(111)과 경화제 토출 슬릿(121)을 개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승강 작동판(200)은 2중 구조로 구성되는데, 하나는 연통슬릿(131)에 삽입되고, 다른 하나는 다른 연통슬릿(132)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승강 작동판(200)은 승강 작동판 구동부(300)에 의해서 승강(up or down)할 수 있는데, 승강 작동판 구동부(300)는 호퍼(100)에 고정 브래킷(310)이 고정 설치되고, 그 고정 브래킷(310)에 유압 실린더와 같은 액추에이터(320)가 설치될 수 있다. 승강 작동판(200)의 힌지부(210)에는 액추에이터(320)가 연결 설치된다.
승강 작동판 구동부(300)는 승강 작동판(2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승강 작동판(200)의 높이 조절에 의하여 주제 토출 슬릿(111)과 경화제 토출 슬릿(121)의 열림 정도(개도)가 조정되므로, 주제 토출 슬릿(111)과 경화제 토출 슬릿(121)을 통해서 토출되는 주제와 경화제의 토출량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마운팅 브래킷(400)은 호퍼(100)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마운팅 브래킷(400)을 호퍼(100)의 하부에 결합하는 방식은, 볼트나 스크류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방식 또는 마운팅 브래킷(400)을 호퍼(100)의 하부에 슬라이드 체결방식, 억지끼움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혼합기(mixer)(500)는 마운팅 브래킷(400)에 설치되며, 주제 토출 슬릿(111)과 경화제 토출 슬릿(121)을 통해서 토출되는 주제와 경화제를 다단(多段), 예를 들어 3단으로 혼합(mixing)하는 역할을 하며, 혼합한 이액형 도료를 도로면 상에 토출시켜서 차선을 도색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도색작업 중 이액형 도료 분사 작업이 일정시간 이상 중단되거나 대기중에 있는 경우, 혼합기(500) 내부에 잔존하는 이액형 도료가 차선 위로 누출되어 도색 작업한 차선을 불량하게 만드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이액형 도료 낙하방지 수단(7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액형 도료 낙하방지 수단(700)은 마운팅 브래킷(400)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낙하방지 차단판(710); 및 낙하방지 차단판(710)을 선택적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720)를 포함한다. 액추에이터(720)는 고정 브래킷(730)에 의해서 마운팅 브래킷(400)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힌지(740)에 의해서 낙하방지 차단판(710)에 연결 설치된다.
낙하방지 차단판(710)은 마운팅 브래킷(400)의 양측면에 형성된 가이드슬릿(750)을 따라 수평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바, 낙하방지 차단판(710)의 양측면은 가이드슬릿(750) 안에 끼워지며, 가이드슬릿(750)은 마운팅 브래킷(400)의 내측면에 형성된 장홈을 의미한다. 낙하방지 차단판(710)의 상면에는 홈(711)이 형성되어 낙하된 도료가 모이도록 하고, 그 도료가 도로상에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7 참조).
한편,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혼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혼합기(mixer)(500)는 3단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한 쌍의 제1차 혼합 기어부재(510), 한 쌍의 제2차 혼합 기어부재(520), 및 한 쌍의 중계 기어부재(530)를 포함한다.
우선, 한 쌍의 제1차 혼합 기어부재(510)는 마운팅 브래킷(400)에 치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주제 토출 슬릿(111)과 경화제 토출 슬릿(121) 하방에 위치하여, 주제 토출 슬릿(111)과 경화제 토출 슬릿(121)을 통해서 유입되는 주제와 경화제를 일차로 혼합한다.
또한, 한 쌍의 제2차 혼합 기어부재(520)는 마운팅 브래킷(400)에 치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차 혼합 기어부재(510)의 하부에 위치하여 제1차 혼합 기어부재(510)에서 일차적으로 혼합된 이액형 도료를 재차 혼합한다.
또한, 한 쌍의 중계 기어부재(530)는 제1차 혼합 기어부재(510)와 제2차 혼합 기어부재(520) 사이에 치합되어 설치되며, 제1차 혼합 기어부재(510)와 제2차 혼합 기어부재(520)가 서로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1차 혼합 기어부재(510)의 회전력을 제2차 혼합 기어부재(520)에 전달하며, 제1차 혼합 기어부재(510)를 통과한 이액형 도료를 제2차 혼합 기어부재(520)로 가이드 한다.
또한, 제1차 혼합 기어부재(510)와 제2차 혼합 기어부재(520)는 모두 혼합된 이액형 도료를 하방으로 이송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1차 혼합 기어부재(510)는 마운팅 브래킷(400)에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혼합기 구동유닛(600)에 의해서 회전하는 혼합용 구동 샤프트(511); 혼합용 구동 샤프트의 끝단에 설치되는 구동 기어부(512); 마운팅 브래킷(400)에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혼합용 구동 샤프트(511)와 치합되는 혼합용 피동 샤프트(513); 혼합용 피동 샤프트(513)의 끝단에 설치되며, 구동 기어부(512)와 치합되는 피동 기어부(514)를 포함한다.
또한, 중계 기어부재(530)는 마운팅 브래킷(400)에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차 혼합 기어부재(510)를 통과한 이액형 도료를 제2차 혼합 기어부재(520)에 가이드 하기 위한 한 쌍의 가이드 샤프트(531); 및 제1차 혼합 기어부재(510)와 제2차 혼합 기어부재(520)가 서로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가이드 샤프트(531)의 끝단에 설치되어 구동 기어부(512)와 피동 기어부(514) 사이에 치합되는 한 쌍의 중계 기어부(532)를 포함한다.
또한, 제2차 혼합 기어부재(520)는 마운팅 브래킷(400)에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계 기어부재(530)에 의해 가이드 된 이액형 도료를 재차 혼합하기 위한 한 쌍의 혼합용 샤프트(521); 혼합용 샤프트(521)의 끝단에 설치되며, 중계 기어부(532)에 치합되는 한 쌍의 피동 기어부(522)를 포함한다.
또한, 혼합기 구동유닛(600)은 제1차 혼합 기어부재(510)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마운팅 브래킷(400)에 설치된다. 혼합기 구동유닛(600)은 혼합기(500)를 구동할 수 있는데, 마운팅 브래킷(400)에 고정 브래킷(610)이 고정 설치되고, 그 고정 브래킷(610)에 구동모터(620)가 설치될 수 있다. 커플러(630)는 구동모터(620)의 회전축을 후술하는 구동 기어부(512)에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이액형 상온 경화형 차선 도색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호퍼(100)의 주제 저장탱크(110) 안에는 글라스 비드를 혼합한 주제를 주입하고, 경화제 탱크(120) 안에는 글라스 비드를 혼합한 경화제를 주입할 수 있다. 차선 도색작업을 하기 이전에 승강 작동판(200)은 하강하여 주제 토출 슬릿(111)과 경화제 토출 슬릿(121)을 차단한다. 주제 토출 슬릿(111)과 경화제 토출 슬릿(121)의 차단에 의하여 주제와 경화제는 토출되지 않는다.
차선 도색작업을 시작하는 경우, 승강 작동판 구동부(300)의 액추에이터(320)에 의해서 승강 작동판(200)은 상승한다. 이때, 주제 토출 슬릿(111)과 경화제 토출 슬릿(121)이 개방되어 주제와 경화제가 토출되며, 토출된 주제와 경화제는 혼합기(500)에서 혼합된다. 혼합기(500)는 혼합기 구동유닛(600)의 구동모터(620)에 의해서 주제와 경화제를 다단으로 혼합한 후, 토출시켜서 도로면 상에 차선 도색을 한다. 승강 작동판 구동부(300)는 승강 작동판(2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승강 작동판(200)의 높이 조절에 의하여 주제 토출 슬릿(111)과 경화제 토출 슬릿(121)의 열림 정도(개도)가 조절됨으로써, 주제 토출 슬릿(111)과 경화제 토출 슬릿(121)을 통해서 토출되는 주제와 경화제의 토출량이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제1실시 예의 혼합기를 참조하여 혼합과정을 설명한다.
위 도면을 참조하면, 제1실시 예의 혼합기(mixer)(500)는 3단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한 쌍의 제1차 혼합 기어부재(510), 한 쌍의 제2차 혼합 기어부재(520), 및 한 쌍의 중계 기어부재(530)는 일련의 치합구조에 의해서 맞물려 회전하면서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도록 한다.
우선, 혼합기 구동유닛(600)의 구동모터(620)에 의해서 구동 기어 부(512)가 회전하면, 동시에 혼합용 구동 샤프트(511)가 회전한다. 동시에 구동 기어부(512)와 치합되는 피동 기어부(514)가 회전하면, 혼합용 피동 샤프트(513)가 회전한다. 혼합용 구동 샤프트(511)와 혼합용 피동 샤프트(513)가 치합되어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주제 토출 슬릿(111)과 경화제 토출 슬릿(121)을 통해서 유입되는 주제와 경화제를 일차적으로 혼합한다.
한 쌍의 중계 기어부재(530)는 제1차 혼합 기어부재(510)와 제2차 혼합 기어부재(520) 사이에 치합되어 설치되는데, 제1차 혼합 기어부재(510)와 제2차 혼합 기어부재(520)가 서로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1차 혼합 기어부재(510)의 회전력을 제2차 혼합 기어부재(520)에 전달하며, 제1차 혼합 기어부재(510)를 통과한 이액형 도료를 제2차 혼합 기어부재(520)로 가이드 한다.
그 다음, 제2차 혼합 기어부재(520)는 중계 기어부(532)에 치합되는 한 쌍의 피동 기어부(522)가 회전하면, 한 쌍의 혼합용 샤프트(521)가 치합되어 화살표 방향을 회전하면서 일차적으로 혼합한 주제와 경화제를 재차 혼합한다.
제2차 혼합 기어부재(520)에 의해 혼합된 이액형 도료는 도출되어 차선을 도색하는 데, 작업자는 차량 속도와 혼합기 구동부(600)의 구동모터(620) 회전수를 제어하여 차선 도막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구동모터(620) 회전수를 낮추고 차량(10)을 고속으로 하여 차선 도막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게 할 수 있으며(제1모드), 그 반대로 하여서 차선 도막의 두께를 두껍게 할 수 있다(제2모드).
또한, 차선 도막은 평판형태는 물론 상기 제1모드와 제2모드를 혼용하여서 졸음방지용의 요철형태나 물결 모양형태 등으로 다양하게 할 수 있다.
혼합기 구동유닛(600)의 구동모터(620)의 고속 및 저속에 따라 이액형 도료의 토출량이 많거나 적게 토출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수의 고속 또는 저속은 상대적인 회전수(rpm)를 의미한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혼합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 그리고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혼합기(mixer)(500')는 5단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한 쌍의 제1차 혼합 기어부재(510), 한 쌍의 제2차 혼합 기어부재(520), 한 쌍의 중계 기어부재(530), 제1보조 중계 기어(540), 및 제2보조 중계 기어(550)를 포함한다.
동도면에서는 제1실시 예의 혼합기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제1보조 중계 기어(540), 및 제2보조 중계 기어(550) 이외의 구성은 제1실시 예의 혼합기와 동일하다.
우선, 한 쌍의 제1차 혼합 기어부재(510)는 마운팅 브래킷(400)에 치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주제 토출 슬릿(111)과 경화제 토출 슬릿(121) 하방에 위치하여, 주제 토출 슬릿(111)과 경화제 토출 슬릿(121)을 통해서 유입되는 주제와 경화제를 일차로 혼합한다.
또한, 한 쌍의 제2차 혼합 기어부재(520)는 마운팅 브래킷(400)에 치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차 혼합 기어부재(510)의 하부에 위치하여 제1차 혼합 기어부재(510)에서 일차적으로 혼합된 이액형 도료를 재차 혼합한다.
또한, 한 쌍의 중계 기어부재(530)는 제1차 혼합 기어부재(510)와 제2차 혼합 기어부재(520) 사이에 치합되어 설치되며, 제1차 혼합 기어부재(510)와 제2차 혼합 기어부재(520)가 서로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1차 혼합 기어부재(510)의 회전력을 제2차 혼합 기어부재(520)에 전달하며, 제1차 혼합 기어부재(510)를 통과한 이액형 도료를 제2차 혼합 기어부재(520)로 가이드한다.
또한, 제1보조 중계 기어(540)는 제1차 혼합 기어부재(510)와 중계 기어부재(530) 사이에 치합되며, 제2보조 중계 기어(550)는 중계 기어부재(530)와 제2차 혼합 기어부재(520) 사이에 치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치열 배치구조에 의해서 제1차 혼합 기어부재(510)와 제2차 혼합 기어부재(520)는 물론 중계 기어부재(530)도 제1차 혼합 기어부재(510)와 동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이액형 도료를 더욱 안전하게 가이드할 수 있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호퍼 위에 주제 주입탱크와 경화제 주입탱크가 연결 설치된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100)의 상부에는 주제 주입탱크(113)와 경화제 주입탱크(123)가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즉, 주제 저장탱크(110) 위에는 주제 주입 저장탱크(113)가 연결 설치되고, 경화제 저장탱크(120) 위에는 경화제 주입 저장탱크(123)가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주제 주입 저장탱크(113)에는 혼합용 팬(115)과 글라스 비드 주입관(116)이 설치될 수 있으며, 경화제 주입 저장탱크(123)에는 혼합용 팬(125)과 글라스 비드 주입관(126)이 설치될 수 있다. 글라스 비드를 공급하기 위한 보조 글라스 비드 탱크(114,124)는 주제 주입탱크(113)와 경화제 주입탱크(123)에 연결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제 저장탱크와 경화제 저장탱크로 나누어 구성하며, 주제와 경화제를 다단(多段)으로 혼합하며 승강 작동판을 상하로 이동하면서 주제와 경화제의 토출입구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도색작업 중 이액형 도료 분사 작업이 일정시간 이상 중단되더라도 가열 없이도 상온(常溫)에서도 도색작업을 할 수 있음은 물론 종전과 같이 분사노즐 내부에 이액형 도료 일부가 잔류하여 굳어버리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단의 혼합기를 구비하여서 주제 토출 슬릿과 경화제 토출 슬릿을 통해서 토출되는 주제와 경화제를 다단(多段)으로 혼합(mixing)한 후, 혼합한 이액형 도료를 도로면 상에 곧바로 도색함으로써, 이액형 도료를 더욱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으며, 이액형 도료의 점성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도색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액형 도료 낙하방지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종래 분사노즐 내부에 잔류하는 이액형 도료 일부가 누출되어 차선 위로 떨어져서 차선 도색이 불량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융착식 스프레이 방식이 아닌 토출 방식으로 하되, 승강 작동판의 높이 및 혼합기 구동부를 이용하여서 이액형 도료의 토출량을 제어함으로써 차선 도막의 두께 조절은 물론 졸음운전 방지의 요철이나 물결모양 등으로 차선 도막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차선 도막의 두께가 충분하여 글라스 비드의 이탈률이 낮아서 우선 또는 야간 운전시, 운전자의 시인성을 높여서 더욱 안전한 차량운행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액형 도료를 융착식 스프레이 방식이 아닌 토출 방식(낙하방식)이므로 평면상의 차선 도색작업과 돌출형의 차선 도색작업을 별도로 하지 않고 동시에 할 수가 있어서 도색 작업성이 개선되고, 신속한 도색작업을 통해서 교통 체증을 방지하고, 차선 도색작업 공기를 대폭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차선 도막의 폭이나 두께 또는 평판형, 요철형, 물결형 등은 물론 차선 종류나 도색 작업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글라스비드 뿐만 아니라 금강사, 플라스틱메디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혼합기의 기어배열은 3단, 5단 뿐만 아니라 그 이상으로 변경 가능하며,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 및 액추에이터는 다른 동력수단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1차 혼합 기어부재(510)와, 제2차 혼합 기어부재(520)와, 중계 기어부재의 기어 치비는 2:1:2, 3:1:3, 1:2:1 등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1: 이액형 상온 경화형 차선 도색장치
10: 이동수단(도색차량)
11: 도료 탱크
12: 글라스 비드 탱크
100: 호퍼
110: 주제 저장탱크
120: 경화제 저장탱크
111: 주제 토출 슬릿
121: 경화제 토출 슬릿
200: 승강 작동판
300: 승강 작동판 구동부
400: 마운팅 브래킷
500: 혼합기
510: 제1차 혼합 기어부재
512: 구동 기어부
513: 혼합용 피동 샤프트
514: 피동 기어부
520: 제2차 혼합 기어부재
521: 혼합용 샤프트
522: 피동 기어부
530: 중계 기어부재
540: 제1보조 중계 기어
550: 제2보조 중계 기어
531: 가이드 샤프트
532: 중계 기어부
600: 혼합기 구동유닛
700: 이액형 도료 낙하방지 수단
710: 낙하방지 차단판
720: 액추에이터
730: 고정 브래킷
740: 힌지

Claims (5)

  1. 이동수단(10)에 장착되며, 차선 도색용 이액형 도료를 도로면 상에 토출시켜서 차선을 도색하는 이액형 차선 도색장치로서,
    주제를 저장하는 주제 저장탱크(110)와 경화제를 저장하는 경화제 저장탱크(120)로 나누어져 구성되며, 상기 주제 저장탱크(110)의 하면에는 주제 토출 슬릿(111)이 형성되고, 상기 경화제 저장탱크(120)의 하면에는 경화제 토출 슬릿(121)이 형성되는 호퍼(100);
    상기 주제 저장탱크(110)와 상기 경화제 저장탱크(120)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주제 토출 슬릿(111)과 상기 경화제 토출 슬릿(121)을 개폐시키기 위한 승강 작동판(200);
    상기 승강 작동판(200)을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 작동판 구동부(300);
    상기 호퍼(100)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마운팅 브래킷(400);
    상기 마운팅 브래킷(400)에 설치되며, 상기 주제 토출 슬릿(111)과 상기 경화제 토출 슬릿(121)을 통해서 토출되는 주제와 경화제를 다단(多段)으로 혼합(mixing)한 후, 혼합한 이액형 도료를 도로면 상에 토출시켜서 차선을 도색하기 위한 혼합기(mixer)(500);
    상기 혼합기(500)를 구동하기 위한 혼합기 구동유닛(600): 및
    차선 도색작업 중 이액형 도료 분사 작업이 일정시간 이상 중단되는 경우, 상기 혼합기(500) 내부에 잔존하는 이액형 도료가 차선 위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액형 도료 낙하방지 수단(700);을 포함하되,

    상기 혼합기(mixer)(500)는
    상기 마운팅 브래킷(400)에 치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주제 토출 슬릿(111)과 상기 경화제 토출 슬릿(121) 하방에 위치하여, 상기 주제 토출 슬릿(111)과 상기 경화제 토출 슬릿(121)을 통해서 유입되는 주제와 경화제를 일차로 혼합하는 한 쌍의 제1차 혼합 기어부재(510);
    상기 마운팅 브래킷(400)에 치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차 혼합 기어부재(51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차 혼합 기어부재(510)에서 일차적으로 혼합된 이액형 도료를 재차 혼합하는 한 쌍의 제2차 혼합 기어부재(520); 및
    상기 제1차 혼합 기어부재(510)와 상기 제2차 혼합 기어부재(520) 사이에 치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1차 혼합 기어부재(510)와 상기 제2차 혼합 기어부재(520)가 서로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1차 혼합 기어부재(510)의 회전력을 상기 제2차 혼합 기어부재(520)에 전달하며, 상기 제1차 혼합 기어부재(510)를 통과한 이액형 도료를 상기 제2차 혼합 기어부재(520)로 가이드하는 한 쌍의 중계 기어부재(530);를 포함하는 이액형 상온 경화형 차선 도색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 혼합 기어부재(510)와 상기 제2차 혼합 기어부재(520)는 모두 혼합된 이액형 도료를 하방으로 이송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액형 상온 경화형 차선 도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액형 도료 낙하방지 수단(700)은
    상기 마운팅 브래킷(400)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낙하방지 차단판(710); 및
    상기 낙하방지 차단판(710)을 선택적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720);를 포함하는 이액형 상온 경화형 차선 도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 혼합 기어부재(510)는
    상기 마운팅 브래킷(400)에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혼합기 구동유닛(600)에 의해서 회전하는 혼합용 구동 샤프트(511);
    상기 혼합용 구동 샤프트의 끝단에 설치되는 구동 기어부(512);
    상기 마운팅 브래킷(400)에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혼합용 구동 샤프트(511)와 치합되는 혼합용 피동 샤프트(513); 및
    상기 혼합용 피동 샤프트(513)의 끝단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 기어부(512)와 치합되는 피동 기어부(514);를 포함하며,

    상기 중계 기어부재(530)는
    상기 마운팅 브래킷(400)에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차 혼합 기어부재(510)를 통과한 이액형 도료를 상기 제2차 혼합 기어부재(520)에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샤프트(531); 및
    상기 제1차 혼합 기어부재(510)와 상기 제2차 혼합 기어부재(520)가 서로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가이드 샤프트(531)의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기어부(512)와 상기 피동 기어부(514) 사이에 치합되는 중계 기어부(532);를 포함하며,

    상기 제2차 혼합 기어부재(520)는
    상기 마운팅 브래킷(400)에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중계 기어부재(530)에 의해 가이드된 이액형 도료를 재차 혼합하기 위한 혼합용 샤프트(521); 및
    상기 혼합용 샤프트(521)의 끝단에 설치되며, 상기 중계 기어부(532)에 치합되는 피동 기어부(522);를 포함하는 이액형 상온 경화형 차선 도색장치.

KR1020190021646A 2019-02-25 2019-02-25 이액형 상온 경화형 차선 도색장치 KR101979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646A KR101979191B1 (ko) 2019-02-25 2019-02-25 이액형 상온 경화형 차선 도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646A KR101979191B1 (ko) 2019-02-25 2019-02-25 이액형 상온 경화형 차선 도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9191B1 true KR101979191B1 (ko) 2019-05-17

Family

ID=66678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1646A KR101979191B1 (ko) 2019-02-25 2019-02-25 이액형 상온 경화형 차선 도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91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82309A (zh) * 2019-12-25 2020-04-10 吴晓茉 一种防水涂料及其加工装置与生产工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1812A (ja) * 1998-06-17 2000-01-07 Daia Co Ltd 路面表示線塗布装置
JP2004204619A (ja) * 2002-12-26 2004-07-22 Sekisui Jushi Co Ltd 人工芝の粒状物散布装置
KR20100056591A (ko) 2008-11-20 2010-05-28 유한회사 삼신기업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용 도료분사노즐
KR101036179B1 (ko) 2008-12-23 2011-05-23 유한회사 삼신기업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돌출형 차선 도색장치
KR101648800B1 (ko) * 2015-10-02 2016-08-18 김민우 정량 혼합장치를 구비하는 차선 도색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1812A (ja) * 1998-06-17 2000-01-07 Daia Co Ltd 路面表示線塗布装置
JP2004204619A (ja) * 2002-12-26 2004-07-22 Sekisui Jushi Co Ltd 人工芝の粒状物散布装置
KR20100056591A (ko) 2008-11-20 2010-05-28 유한회사 삼신기업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용 도료분사노즐
KR101036179B1 (ko) 2008-12-23 2011-05-23 유한회사 삼신기업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돌출형 차선 도색장치
KR101648800B1 (ko) * 2015-10-02 2016-08-18 김민우 정량 혼합장치를 구비하는 차선 도색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82309A (zh) * 2019-12-25 2020-04-10 吴晓茉 一种防水涂料及其加工装置与生产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0075B1 (ko) 콤팩트화된 동력식 노면 표시 도색장치
KR102216624B1 (ko) 돌출부 일체형 융착식 우천형 차선도색 시공장비와 이를 활용한 시공방법
KR101985697B1 (ko) 이액형 상온 경화형 차선 도색차량 및 그 차선 도색차량을 이용한 차선 도색방법
KR102032209B1 (ko) 자주식 상온경화형 더블 컴포넌트 도트 도색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및 차선도색 시공방법
KR101524746B1 (ko) 5 내지 45cm 폭의 횡단보도 도색이 가능한 광폭 가변형 노면표시장비용 도색모듈
KR101709545B1 (ko) 차선도료 균일 토출용 디퓨저 노즐
KR101979191B1 (ko) 이액형 상온 경화형 차선 도색장치
KR101454634B1 (ko) 복합 융착식 차선도색장치
KR20100073465A (ko)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돌출형 차선 도색장치
KR100501992B1 (ko) 차선도색차량
KR20190007592A (ko) 차선 자동 도색장치
KR101648800B1 (ko) 정량 혼합장치를 구비하는 차선 도색 장치 및 방법
JP3999770B2 (ja) 塗装装置および塗装方法
CA2730631C (en) Reflective substrate surface system, reflective assembly, and methods of improving the visibility of a substrate surface
EP3519508B1 (en) Compositions for road or floor markings
KR101473169B1 (ko) 이액형 차선 도색장치
KR101509321B1 (ko) 3차원적인 입체 기능성 차선을 시공하기 위한 포장도로의 차선 도색장치
KR101662463B1 (ko) 다기능을 갖는 차선도색 시공방법
KR20190051449A (ko) 차선 도색용 분사장비
KR101054789B1 (ko) 차선표시 시설장비
JP2796782B2 (ja) 道路表面処理剤および道路表面処理構造と道路表面処理装置
KR200427777Y1 (ko) 횡단보도를 포함한 노면 표시와 미끄럼 방지부를 시공하는장치
KR200361657Y1 (ko) 순간 경화 차선도색이 가능한 차량 탑재용 차선 도색장치와 이를 이용한 도색차량
KR20100093190A (ko) 인젝션노즐을 이용한 미끄럼방지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US344349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marking strips to highways and the li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