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2209B1 - 자주식 상온경화형 더블 컴포넌트 도트 도색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및 차선도색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자주식 상온경화형 더블 컴포넌트 도트 도색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및 차선도색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2209B1
KR102032209B1 KR1020190024342A KR20190024342A KR102032209B1 KR 102032209 B1 KR102032209 B1 KR 102032209B1 KR 1020190024342 A KR1020190024342 A KR 1020190024342A KR 20190024342 A KR20190024342 A KR 20190024342A KR 102032209 B1 KR102032209 B1 KR 102032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ble component
self
dot
supply unit
static mix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4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세준
김보석
Original Assignee
김보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보석 filed Critical 김보석
Priority to KR1020190024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22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2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2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 E01C23/22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by spra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ime, or sequence, of deliv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20Arrangements for agitating the material to be sprayed, e.g. for stirring, mixing or homogenising
    • B05B15/25Arrangements for agitating the material to be sprayed, e.g. for stirring, mixing or homogenising using moving elements, e.g. rotating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50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 B05B15/55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using cleaning fluids
    • B05B15/555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using cleaning fluids discharged by cleaning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4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with pumps fo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6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the delivery being related to the movement of a vehicle, e.g. the pump being driven by a vehicle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8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 B05B9/0805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comprising a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811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comprising a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comprising air supplying means actuated by the operator to pressurise or compress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66Transmission of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 E01C23/20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by applying fusible particulate material to the surface, e.g. by means of a gaseous st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AREA)

Abstract

하부에 바퀴가 구비되어 자체적인 이동이 가능한 자주식 프레임(12)과; 엔진에 의해 작동되어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공기압축기(2)와; 유리구슬과 석영모래가 포함된 도색용 기본재료와 경화제를 혼합하여 더블 컴포넌트 도료를 생성하는 스태틱믹서(5)와; 상기 자주식 프레임(12)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스태틱믹서(5)에서 공급되는 더블 컴포넌트 도료를 지면으로 분사하는 도트노즐(11)과; 상기 스태틱믹서(5)로 도색용 기본재료를 공급하는 기본재료 공급부와(8); 상기 스태틱믹서(5)로 경화제를 공급하는 경화제 공급부(6)와; 상기 도트노즐(11)에 의해 분사된 더블 컴포넌트 도료에 유리구슬을 살포하는 유리구슬 살포기(7)와; 상기 도트노즐(11)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제를 공급하는 세척제 공급부(9)와; 상기 유리구슬 살포기(7)로 유리구슬을 공급하는 유리구슬 공급부(3)와; 상기 경화제 공급부(6)에서 공급되는 경화제의 양을 계량하는 경화제 검측부(10)와; 상기 공기압축기(2)에서 생성된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각종 밸브를 제어하는 공압제어시스템(1)과; 상기 자주식 프레임(12)을 이동시키기 위한 프레임 자주시스템과 유리구슬 살포기(7)를 제어하는 전자제어시스템(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주식 상온경화형 더블 컴포넌트 도트 도색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및 차선도색 시공방법{Self-Propelles Double Component Dot Coater Cured at Room Tempera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Non-Slip Traffic Lane using It}
본 발명은 자주식 상온경화형 더블 컴포넌트 도트 도색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및 차선도색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에 차선을 도색하는데 사용되며 도색에 필요한 기본재료와 경화제를 혼합한 컴포넌트를 분사한 후 유리구슬을 추가로 분사하여 더블 컴포넌트로 이루어진 점상돌기가 형성되도록 함과 아울러 스스로 이동이 가능하여 도로에 차선을 도색하기에 적합한 자주식 상온경화형 더블 컴포넌트 도트 도색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및 차선도색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차선은 교통안전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므로, 차선에 사용되고 있는 도료은 아래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첫째, 차량과 행인들이 교통규칙을 잘 지키도록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을 정도로 명확해야 한다.
둘째, 복잡한 도로 상황과 악천후시에도 분명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셋째, 사고발생율을 줄일 수 있도록 눈에 잘보여야 함은 물론 진동음과 감속기능을 구비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 도로의 차선에 사용되는 도료는 페인트 도막이 단단해야 하고, 지면과의 점착력이 강해야 하며, 건조과정이 짧고 내구성이 강해야 한다. 또한, 내마모성과 내수성, 알칼리에 대한 내부식성 및 내후성이 우수해야 한다. 그리고, 야간 반사성능과 미끄럼방지기능과 배수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진동신호등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다
한편,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도로의 차선에 사용되는 도료 제품에도 큰 변화가 있다.
1세대 도료인 용매형 도료는 수명이 짧고 시공 과정에서 유독물질이 노출되는 단점이 있다. 2세대 도료인 가열 용해형 도료는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을 정도로 1세대 도료에 비해 수명이 긴 장점이 있지만, 고온 가열과정이 필요하여 시공시 에너지가 많이 소모되고 그 효능과 그다지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3세대 도료인 물용해형 도료는 생태친화적인 장점이 있지만 지면과의 점착력이 낮고 내마모성이 좋지 않아 수명이 짧을 뿐 아니라 기후와 온도의 영향을 많이 받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 개발된 4세대 도료인 콜드몰딩형 도료는, 두터운 필름 아크릴산을 도로 차선에 적용한 것으로, 반응형 노면에 사용되는 2조식 차선용 도료이며, 공장의 생산과 가공을 거쳐 A조와 B조를 따로 포장한 후 시공시 조성물 A와 조성물 B를 전용설비를 통해 98:2 또는 1:1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콜드몰딩형 도료는 차선을 형성한 후 화학반응을 통해 응결 및 건조시킨 다음 유리구슬을 뿌려 줌으로써 일정 이상의 미끄럼방지 기능과 반사기능을 구비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상돌기가 일정하게 배열된 점상돌기형 차선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콜드몰딩형 도료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면과의 점착력이 우수하다. 화학반응을 일으키기 전의 분자량이 작아 차선을 형성한 후 중합반응이 일어나기 전에 우수한 침투력을 가지게 되므로, 조성물 A와 조성물 B가 차선 위에서 중합반응을 통해 응고되는 과정에서 차선과 지면이 견고하게 점착된다.
둘째, 내마모성이 우수하다. 조성물 A와 조성물 B가 중합반응을 통해 그물상태의 분자결합구조를 이루어, 도료 속의 개개의 구성성분들을 일체형으로 결합시켜 분자량이 큰 고분자 재료로 변화되므로 내마모성이 향상된다.
셋째, 내후성이 우수하다. 차선의 저온상태에서 단열되지 않고 고온상태에서도 연화되지 않으며, 사용시 노화현상이 거의 없이 두 구성성분이 중합반응을 통해 그물상태의 결합구조를 가진 분자량이 큰 고분자 재료를 형성하게 되고, 새로 결합된 분자들의 활성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적합한 두께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특성들로 인해 중합반응을 통해 형성된 페인트 도막은 견고할 뿐만 아니라 지면 및 유리구슬과의 점착력도 아주 강하게 된다. 따라서, 내압력성과 내마모성, 내수성, 알칼리내성 및 내후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밤 또는 비가 내리는 상황에서도 지면에서 도드라진 점 상태로 되어 있는 균일한 결합상태를 이루어 반사성능과 미끄럼방지 성능 및 배수성과 진동계시 성능이 우수하다. 그리고, 시공속도가 빠르고 생태친화적인 특징으로 인해 전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내구성을 구비한 차선용 페인트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이외에도 차선의 선형과 시공방법에 따차 차선용 도료는 스크래치 도료, 진동스크래치 도료, 스프레이 도료, 스리코트식 도료, 도트식 도료 등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그리고, 서로 다른 차선도료나 서로 다른 차선의 선형에는 그 용도에 따라 시공설비가 달라지게 된다.
한편, 도시도로에서 행인들이 도로를 횡단하기 위해서는 횡단보도가 필요하다. 하지만, 횡단보도는 행인이나 자전거가 강우로 인해 노면이 미끄러워 넘어질 수 있는 상황을 고려해야 하므로, 스프레이 도료나 스크래치 도료 등을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횡단보도의 설치에 적합한 더블 컴포넌트 도트 코터를 개발한 바 있다. 즉, 더블 컴포넌트로 이루어진 차선용 도료를 노면에 일정 간격으로 분사함으로써 야간 반사성능과 미끄럼방지 성능이 우수한 점상돌기형 차선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더블 컴포넌트 도트 코터는 차량 탑재형으로 고속도로와 같이 길이가 긴 도로에 차선을 시공하는데에는 적합하지만, 도시도로의 횡단보도와 같이 길이가 짧고 시공 간격이 좁은 차선을 형성하는데는 적합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즉, 종래의 탑재식 더블 컴포넌트 도트 코터는 트럭에 탑재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전용 운전기사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큰 외형으로 인해 좁은 도로에서 영활하게 움직이지 않아 도시도로의 횡단보도를 시공하는데 적합하지 않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71587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의 탑재식 더블 컴포넌트 도트 코터의 외형을 축소하고 자체 이동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도시도로의 횡단보도의 시공에 적합한 자주식 상온경화형 더블 컴포넌트 도트 도색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및 차선도색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주식 상온경화형 더블 컴포넌트 도트 도색장치는, 하부에 바퀴가 구비되어 자체적인 이동이 가능한 자주식 프레임과; 엔진에 의해 작동되어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공기압축기와; 유리구슬과 석영모래가 포함된 도색용 기본재료와 경화제를 혼합하여 더블 컴포넌트 도료를 생성하는 스태틱믹서와; 상기 자주식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스태틱믹서에서 공급되는 더블 컴포넌트 도료를 지면으로 분사하는 도트노즐과; 상기 스태틱믹서로 기본재료를 공급하는 기본재료 공급부와; 상기 스태틱믹서로 경화제를 공급하는 경화제 공급부와; 상기 도트노즐에 의해 분사된 더블 컴포넌트 도료에 유리구슬을 살포하는 유리구슬 살포기와; 상기 도트노즐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제를 공급하는 세척제 공급부와; 상기 유리구슬 살포기로 유리구슬을 공급하는 유리구슬 공급부와; 상기 경화제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경화제의 양을 계량하는 경화제 검측부와; 상기 공기압축기에서 생성된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각종 밸브를 제어하는 공압제어시스템과; 상기 자주식 프레임을 이동시키기 위한 프레임 자주시스템과 유리구슬 살포기를 제어하는 전자제어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자주식 상온경화형 더블 컴포넌트 도트 도색장치에 따르면, 상기 공압제어시스템은 세척제가 스태틱믹서에 공급되도록 상기 세척제 공급부에 압축공기를 제공함과 아울러 도색용 기본재료가 스태틱믹서에 공급되도록 상기 기본재료 공급부에 압축공기를 제공하며, 더블 컴포넌트 도료가 지면으로 분사되도록 상기 도트노즐에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자주식 상온경화형 더블 컴포넌트 도트 도색장치에 따르면, 상기 전자제어시스템은 기본재료 공급부의 기본재료 공급을 제어하는 격막밸브와 경화제의 공급을 위한 기어펌프 및 도트노즐의 작동을 제어하는 고주파 전자밸브에 전기신호를 보내 이들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자주식 상온경화형 더블 컴포넌트 도트 도색장치에 따르면, 상기 도트노즐은 스태틱믹서에서 공급되는 더블 컴포넌트 도료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더블 컴포넌트 도료가 배출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배출공과, 상기 저장부와 배출공의 내측 단부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공과, 상기 공압제어시스템을 통해 공급된 압축공기가 배출공으로 분출되어 상기 연결공에 음압이 형성되도록 상기 배출공의 상측에 형성되는 공기분출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자주식 상온경화형 더블 컴포넌트 도트 도색장치에 따르면, 상기 경화제 공급부는 브리시리스 드라이버에 의해 작동되는 브러시리스 모터에 연결된 기어펌프를 통해 스태틱믹서에 경화제를 공급하되, 유량스위치에 의해 계량되어 상기 스태틱믹서에 경화제가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자주식 상온경화형 더블 컴포넌트 도트 도색장치에 따르면, 상기 경화제 공급부는 기어펌프와 유량스위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스태틱믹서가 정지된 경우 기어펌프를 통해 공급되는 경화제를 경화제 공급부로 되돌려보내는 에어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자주식 상온경화형 더블 컴포넌트 도트 도색장치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 자주시스템은 엔진에 의해 작동되는 공기압축기에 자주식 프레임의 차축을 컨베이어, 벨트, 체인 중 어느 하나로 연결하여 자주식 프레임을 구비한 차체를 운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자주식 상온경화형 더블 컴포넌트 도트 도색장치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및 차선도색 시공방법은, 체에 구비된 엔진과 공기압축기 및 스태틱믹서를 포함한 장비의 상태를 검사하는 준비단계와; 기본재료와 경화제와 세척제의 상태를 점검하여 기본재료 공급부와 경화제 공급부 및 세척제 공급부에 각각 투입하는 원료공급 단계와; 엔진을 시동한 후 각 장치의 작동상태와 경화제 및 도트노즐을 통해 배출되는 컴포넌트의 상태를 확인하는 시운전 단계와; 시운전이 완료되면 차체를 시공 위치로 이동시킨 후 차선을 시공하는 시공단계와; 차선의 시공이 모두 완료되면 도트노즐을 세척하고 기본재료 공급부와 경화제 공급부 및 세척제 공급부를 모두 비운 후 세척하는 마무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자주식 상온경화형 더블 컴포넌트 도트 도색장치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및 차선도색 시공방법에 따르면, 상기 시공단계는 엔진을 이용하여 공기압축기를 작동시킨 후 공기압축기에 연결된 자주식 프레임을 구비한 차체를 도색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공기압축기에서 생성된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격막밸브와 기어펌프를 작동시키고 공압제어시스템을 통해 밸브들을 제어하여 스태틱믹서에 기본재료와 경화제 및 세척제를 각각 공급한 후 혼합시킴으로써 더블 컴포넌트 도료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스태틱믹서로부터 공급되는 더블 컴포넌트 도료를 도트노즐을 통해 노면에 분사하여 점상돌기가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 점상돌기가 경화되기 전에 전자제어시스템에서 유리구슬 살포기를 제어하여 점상돌기에 유리구슬을 살포하여 더블 컴포넌트형 점상돌기가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 차선의 도색이 완료될 때까지 차체를 일정정도 이동시킨 후 더블 컴포넌트 도료를 노면에 분사하고 유리구슬을 살포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단계와; 차선의 도색이 완료되면 상기 공압제어시스템을 통해 밸브들을 제어하여 상기 스태틱믹서에서 더블 컴포넌트 도료가 도트노즐로 공급되지 않도록 차단하고 상기 공압제어시스템을 통해 세척제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제를 이용하여 상기 도트노즐을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주식 상온경화형 더블 컴포넌트 도트 도색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및 차선도색 시공방법은 자체적으로 이동하면서 지면에 더블 컴포넌트 도료로 이루어진 점상돌기를 형성하여 차선을 시공하게 되므로 도시도로에 미끄럼방지 기능과 야간 반사기능을 구비한 횡단보도를 적합하게 시공할 수 있게 되고 그로 인해 야간이나 우천시에도 사람이나 자전거가 횡단보도를 통과하면서 미끄러지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상온경화형 더블 컴포넌트 도트 도색장치가 도시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자주식 상온경화형 더블 컴포넌트 도트 도색장치에 형성되는 점상돌기형 차선이 도시된 참고도.
도 3은 본 발명의 자주식 상온경화형 더블 컴포넌트 도트 도색장치의 작동 계통도.
도 4는 본 발명의 자주식 상온경화형 더블 컴포넌트 도트 도색장치에서 경화제의 공급 형태를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자주식 상온경화형 더블 컴포넌트 도트 도색장치에서 경화제의 회수 형태를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트노즐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자주식 상온경화형 더블 컴포넌트 도트 도색장치에서 세척제와 기본재료 및 경화제의 공급경로를 나타낸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자주식 상온경화형 더블 컴포넌트 도트 도색장치에서 도트노즐의 세척을 위한 세척제의 공급경로를 나타낸 참고도.
도 9는 본 발명의 자주식 상온경화형 더블 컴포넌트 도트 도색장치에서 도트노즐의 세척을 위한 밸브장치를 모듈화한 모습을 나타낸 참고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구슬 살포기의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자주식 상온경화형 더블 컴포넌트 도트 도색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및 차선도색 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상온경화형 더블 컴포넌트 도트 도색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자주식 상온경화형 더블 컴포넌트 도트 도색장치에 형성되는 점상돌기형 차선이 도시된 참고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자주식 상온경화형 더블 컴포넌트 도트 도색장치의 작동 계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자주식 상온경화형 더블 컴포넌트 도트 도색장치에서 경화제의 공급 형태를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자주식 상온경화형 더블 컴포넌트 도트 도색장치에서 경화제의 회수 형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트노즐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자주식 상온경화형 더블 컴포넌트 도트 도색장치에서 세척제와 기본재료 및 경화제의 공급경로를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자주식 상온경화형 더블 컴포넌트 도트 도색장치에서 도트노즐의 세척을 위한 세척제의 공급경로를 나타낸 참고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자주식 상온경화형 더블 컴포넌트 도트 도색장치에서 도트노즐의 세척을 위한 밸브장치를 모듈화한 모습을 나타낸 참고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구슬 살포기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상온경화형 더블 컴포넌트 도트 도색장치는 도 1과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바퀴가 구비되어 자체적인 이동이 가능한 자주식 프레임(12)과; 엔진에 의해 작동되어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공기압축기(2)와; 유리구슬과 석영모래가 포함된 도색용 기본재료와 경화제를 혼합하여 더블 컴포넌트 도료를 생성하는 스태틱믹서(5)와; 상기 자주식 프레임(12)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스태틱믹서(5)에서 공급되는 더블 컴포넌트 도료를 지면으로 분사하는 도트노즐(11)과; 상기 스태틱믹서(5)로 도색용 기본재료를 공급하는 기본재료 공급부와(8); 상기 스태틱믹서(5)로 경화제를 공급하는 경화제 공급부(6)와; 상기 도트노즐(11)에 의해 분사된 더블 컴포넌트 도료에 유리구슬을 살포하는 유리구슬 살포기(7)와; 상기 도트노즐(11)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제를 공급하는 세척제 공급부(9)와; 상기 유리구슬 살포기(7)로 유리구슬을 공급하는 유리구슬 공급부(3)와; 상기 경화제 공급부(6)에서 공급되는 경화제의 양을 계량하는 경화제 검측부(10)와; 상기 공기압축기(2)에서 생성된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각종 밸브를 제어하는 공압제어시스템(1)과; 상기 자주식 프레임(12)을 이동시키기 위한 프레임 자주시스템과 유리구슬 살포기(7)를 제어하는 전자제어시스템(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자주식 상온경화형 더블 컴포넌트 도트 도색장치는 기존의 탑재형 더블 컴포넌트 도트 코터와는 달리 스스로 이동하면서 노면에 차선을 도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상기 프레임 자주시스템은 엔진에 의해 작동되는 공기압축기(2)에 자주식 프레임(12)의 차축을 컨베이어, 벨트, 체인 중 어느 하나로 연결하여 자주식 프레임(12)을 구비한 차체를 운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프레임 자주시스템은 자체중량이 가볍고 장소 이동이 편리하며, 운행 속도를 쉽게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프레임 자주시스템은 뒷차축에 웜기어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차량의 속도를 적절하게 제어하도록 한다. 웜기어 장치를 사용함에 따라 큰 전동비를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차체를 평온하게 움직이면서 소음을 줄일 수 있게 되는데 이는 웜과 웜휠의 맞물림이 지속적이고 맞물리는 치륜의 이빨 수가 많기 때문이다. 또한, 웜기어 장치는 자동잠금 기능을 구비하여 역방향으로의 동력전달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물론, 웜의 나선각을 형성하는 기어 사이의 당량마찰각이 큰 수치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자동 잠금이 해제될 수도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웜휠로부터 웜기어로의 동력전달만 가능할 뿐 웜기어로부터 웜휠로의 동력전달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웜기어장치의 큰 전동비를 이용하여 차체의 이동속도를 대폭 늦출 수 있음은 물론 모터의 전기 사용량을 줄여 배터리의 사용시간이 증가하게 되고 내리막길에서 하락현상을 극복할 수 있게 되어 경사면에서도 시공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엔진을 이용하여 공기압축기(2)와 스태틱 드라이버(Static Dirver)를 구동하고, 스태틱 드라이버에 체인휠 등의 동력전달장치를 연결하여 차체에 구비된 바퀴를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운행할 수도 있다. 이 방식의 경우 스태틱 드라이버의 토션이 크고 일정한 등판능력을 구비하며 낮은 경사면에서도 시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본체의 중량과 설비의 외형이 커지고 운행속도의 제어가 힘들고 제조비용과 부속품 가공의 정밀도가 높아 가격이 비싼 단점도 있다.
또한, 엔진을 동력원으로 하여 공기압축기(2)와 유압 전동시스템을 구동하고, 유압 전동시스템을 이용하여 설비의 운행이 필요한 구동설비를 움직일 수도 있다. 이 방식은 무단변속이 가능하고 유압에 의한 토션이 크고 낮은 경사면에서도 시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하나의 엔진으로 공기압축기(2)와 유압 전동시스템을 동시에 구동해야 함에 따라 엔진의 출력이 커야 하고 오일탱크로 인해 설비의 자체중량이 커짐은 물론 설비 제조의 원가가 대폭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공압제어시스템(1)은 도 3과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제가 스태틱믹서(5)에 공급되도록 상기 세척제 공급부(9)에 압축공기를 제공함과 아울러 도색용 기본재료가 스태틱믹서(5)에 공급되도록 상기 기본재료 공급부(8)에 압축공기를 제공하며, 더블 컴포넌트 도료가 지면으로 분사되도록 상기 도트노즐(11)에 압축공기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자제어시스템(4)은 기본재료 공급부(8)의 기본재료 공급을 제어하는 격막밸브와 경화제의 공급을 위한 기어펌프 및 도트노즐의 작동을 제어하는 고주파 전자밸브에 전기신호를 보내 이들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상기 경화제 공급부(6)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리시리스 드라이버에 의해 작동되는 브러시리스 모터에 연결된 기어펌프를 통해 스태틱믹서(5)에 경화제를 공급하되, 유량스위치에 의해 계량되어 상기 스태틱믹서(5)에 경화제가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더블 컴포넌트 도료는 기본재료와 경화제가 특정 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즉, 시공과정에서는 기본재료와 경화제가 98:2의 비율로 배합되는데, 경화제의 양이 많으면 혼합 후 도료의 화학반응에 필요한 시간이 짧아져 도료의 유동성이 저하하고, 이로 인해 점상돌기의 형상이 제대로 나타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도트노즐(7)이 응고물에 의해 막힐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 경화제의 양이 적을 경우에는 도트노즐(7)을 통해 분사되는 도료가 잘 건조되지 않아 차량들의 정상적인 운행이 힘들어지고 지면과의 점착력이 저하하게 된다. 따라서, 브러시리스 모터에 연결된 기어펌프를 통해 경화제를 스태틱믹서(5)로 공급하고, 유량스위치를 이용하여 그 양을 계량하여 정확한 양의 경화제만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경화제의 유량이 적고 점착도가 크기 때문에 저장시간이 길면 경화제가 침전되어 결정체가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유량스위치는 매우 정밀해야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원하는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독일 EEG사의 유량스위치를 사용하였으나, 기어펌프로 인해 경화제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유량스위치가 막히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기어펌프는 대부분 회전수가 5000rpm 정도이고, 대부분 PEEK인 고분자의 특정재료로 만들어져 액체 내에 이물질이 존재하면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는다. 하지만, 중국산 경화제는 침전물과 결정체가 혼입되는 것을 피할 수 없어 기어펌프의 기어가 손상됨으로써, 기어펌프의 출수량이 저하되고 경화제의 흐름량이 적어지거가 출수가 불가능하게 되어 기본재료의 압력이 경화제의 압력보다 커지게 된다. 이로 인해 기본재료가 경화제 공급부로 들어갈 수 있고, 유량 스위치의 내부에서 경화제가 응고되어 막히는 사고가 초래될 수 있다. 물론, 침전물과 결정체가 없는 경화제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가격이 매우 높아질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기어펌프를 작동시키는 브러시리스 모터의 최고 회전속도를 출수유량과 압력을 만족시키는 상황에서 50% 이상 줄임으로써 기어펌프의 기어 소음과 손상을 줄이는 방법을 사용하고, 경화제 공급부(6)에 여과망을 설치하여 이물질의 혼입을 차단함과 아울러 에어밸브를 설치하였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화제 공급부(6)의 기어펌프와 유량스위치 사이에 에어밸브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스태틱믹서(5)가 정지된 경우 기어펌프를 통해 공급되는 경화제를 경화제 공급부(6)로 되돌려보내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스태틱믹스의 수송관의 직경을 줄여 경화제의 흐름속도를 빠르게 함으로써 기본재료가 역류하는 현상을 방지하였다.
또한, 상기 도트노즐(11)은 점상돌기로 이루어진 차선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로서, 150㎜ 규격과 200㎜ 규격의 두 종류로 이루어진다. 이 두 종류는 주로 도로의 차선과 도시도로의 횡단보도의 시공에 사용된다. 이때, 상기 도트노즐(1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태틱믹서(5)에서 공급되는 더블 컴포넌트 도료가 저장되는 저장부(11a)와, 더블 컴포넌트 도료가 배출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배출공(11b)과, 상기 저장부(11a)와 배출공(11b)의 내측 단부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공(11c)과, 상기 공압제어시스템(1)을 통해 공급된 압축공기가 배출공(11b)으로 분출되어 상기 연결공(11c)에 음압이 형성되도록 상기 배출공(11b)의 상측에 형성되는 공기분출공(11d)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트노즐(11)은 스태틱믹서(5)에 연결된 노즐바디에 18개가 구비되는데, 한 줄에 9개씩 교차형으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저장부(11a)에 더블 컴포넌트 도료가 채워진 후 상기 연결공(11c)을 통해 흘러나올 때, 상기 공기분출공(11d)을 통해 압축공기가 분출되어 더블 컴포넌트 도료가 압축공기와 함께 상기 배출공(11b)을 통해 지면으로 배출되어 점상돌기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공(11c)이 저장부(11a)의 중간이나 아래쪽에서 연결될 경우 더블 컴포넌트 도료가 상기 배출공의 상부에 도달하지 못한 상태에서 배출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일부 도트노즐(11)에서는 더블 컴포넌트 도료의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상기 도트노즐(11)의 위치에 따라 점상돌기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공(11c)은 저장부(11a)의 더블 컴포넌트 도료가 넘쳐 흐를 수 있도록 상기 저장부(11a)의 상측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한편, 시공이 완료된 후에도 상기 도트노즐(11)이나 스태틱믹서(5)에 더블 컴포넌트 도료가 남아 있으면, 더블 컴포넌트 도료가 경화되어 상기 도트노즐(11)이나 스태틱믹서(5)가 막힐 수 있으므로, 세척제를 이용하여 세척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제 공급부(9)에서 공급되는 세척제를 제3밸브(V3)를 통해 상기 스태틱믹서(5)에도 공급함으로써 스태틱믹서(5)에 더블 컴포넌트 도료가 잔류하지 않도록 스태틱믹서(50를 세척한다. 그리고, 상기 세척제 공급부(9)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제를 분배밸브에서 제5밸브(V5)와 제6밸브(V6)를 통해 도트노즐(11)로 공급하고, 제8밸브(V8)를 통해서 고주파 전자밸브에 연결되는 관로에도 세척제를 공급한다. 이에 따라, 상기 도트노즐(11)에 남아 있는 더블 컴포넌트 도료를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차선 시공시에는 제1, 2, 3, 5, 6, 8 밸브(V1, V2, V3, V5, V6, V8)를 모두 닫은 상태에서 제4밸브(V4)와 제7밸브(V7)를 개방하여 시공하고, 차선 시공이 완료되어 도트노즐(11)을 세척하는 경우에는 제1, 4, 5, 7 밸브(V1, V4, V5, V7)는 닫고 제2밸브(V2)와 제5밸브(V5) 또는 제8밸브(V)를 열거나 제3밸브(V3)를 열어 도트노즐(11)과 스태틱믹스(5)를 씻어내는 것이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도트노즐(11)과 스태틱믹스(5)의 세척이 완료되면, 상기 제2, 4, 5 밸브(V2, V4, V5)를 닫고, 제1밸브(V1)와 제6밸브(V6) 또는 제8밸브(V8)를 열거나 제7밸브(V7)를 열어 압축공기를 도트노즐(11)에 공급함으로써 찌꺼기를 완전히 제거한다. 이러한 도트노즐(11)의 세척 작업은 시공이 끝난 후는 물론 시공 중에도 필요하며, 하루의 시공작업이 끝나면 반드시 도트노즐(11)을 일일이 분해하고 청소해야 한다.
한편, 저장부(11a)와 배출공(11b), 연결공(11c) 및 공기분출공(11d)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도트노즐(11)을 동시에 세척하기 위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부(11a)에 각각 세척제 및 압축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제1밸브(V1)와 제3밸브(V3)를 연결하고, 상기 공기분출공(11d)으로 세척제 및 압축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제2밸브(V2)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제1밸브(V1) 또는 제3밸브(V3)를 통해 공급되는 세척제 및 공기를 이용하여 다수의 도트노즐(11)에 구비된 저장부(11a)와 연결공(11c)을 동시에 세척하고, 상기 제2밸브(V2)를 통해 공급되는 세척제 및 공기를 각 도트노즐(11)의 공기분출공(11d)에 동시에 공급함으로써 각 도트노즐(11)의 공기분출공(11d) 및 배출공(11b)을 세척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식의 경우 상기 제2밸브(V2)를 통해 공급되는 세척수의 양이 한정되어 배출공을 충분히 세척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한 번에 다수의 도트노즐(11)을 동시에 세척함에 따라 세척 압력이 저하되어 충분한 세척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수의 도트노즐(11)을 모듈화한 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부(11a)측으로는 4개의 밸브(V1, V2, V3, V4)를 연결하고, 상기 공기분출공(11d)에는 각각 밸브(V5~V22)를 연결함으로써 세척제 및 압축공기가 각 도트노즐(11)의 공기분출공(11d)에 독립적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도트노즐(11)을 독립적으로 세척할 수 있게 되어 세척압력을 충분히 확보한 상태로 세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유리구슬 살포기(7)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리구슬 공급부(3)에서 공급된 유리구슬을 안내하는 유리구슬 가이드(72)와, 유리구슬을 일정량씩 낙하시키도록 상기 유리구슬 가이드(72)의 측부에 배치되는 공급롤러(71)와, 낙하되는 유리구슬을 전방으로 살포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급롤러(71)의 하부에 배치되며 회전체(73a)와 복수의 회전날개(73b)로 이루어진 살포선풍기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공급롤러(71)와 살포 선풍기(73)는 엔진 등의 구동수단으로부터 회전력을 직접 전달받아 회전될 수도 있고, 상기 회전날개(73b)가 지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살포선풍기(73)를 지면에 내려놓고 상기 회전체(73a)와 공급롤러(71)를 체인 등으로 연결하여 차체의 이동에 따라 회전되는 상기 살포선풍기(73)에 의해 상기 공급롤러(71)가 회전되면서 유리구슬이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자주식 상온경화형 더블 컴포넌트 도트 도색장치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및 차선도색 시공방법은, 차체에 구비된 엔진과 공기압축기(2) 및 스태틱믹서(5)를 포함한 장비의 상태를 검사하는 준비단계와; 기본재료와 경화제와 세척제의 상태를 점검하여 기본재료 공급부(8)와 경화제 공급부(6) 및 세척제 공급부(9)에 각각 투입하는 원료공급 단계와; 엔진을 시동한 후 각 장치의 작동상태와 경화제 및 도트노즐(11)을 통해 배출되는 컴포넌트의 상태를 확인하는 시운전 단계와; 시운전이 완료되면 차체를 시공 위치로 이동시킨 후 차선을 시공하는 시공단계와; 차선의 시공이 모두 완료되면 도트노즐(11)을 세척하고 기본재료 공급부(8)와 경화제 공급부(6) 및 세척제 공급부(9)를 모두 비운 후 세척하는 마무리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준비단계는 엔진을 검사하고 공기압축기(2) 등의 기계유가 정상적인지를 검사하고,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하여 전압계 등의 측정장치에 의해 측정된 수치가 정상적인지를 검사한다. 구체적으로, 엔진을 작동시킨 후 각 조작버븐을 눌러 공기압축기(2)와 스태틱믹서(5)의 작동 상태를 검사하고, 상기 경화제 공급부(6)의 기어펌프에 연결된 브러시리스 모터의 작동상태와 압축공기의 압력, 안전계시, 고주파전자밸브, 격막밸브 및 공압제어부(1)에 의해 작동되는 복수의 밸브에 대항 정상작동 여부 및 각 배관의 접속상태와 밀봉부재의 공기누설 상황을 검사한다.
상기 원료공급 단계는 기본재료와 경화제 및 세척수의 품질을 검사한 후 이를 각 공급부에 투입하는 단계이다.
기본재료를 구성하는 도료는 도료공급상에서 구매하지만, 유통과정에서 석영사와 유리구슬 등이 침전될 수 있으므로,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한 후 투입한다. 이때, 기본재료의 점착도를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은 당연하며, 이는 기본재료의 점착도가 점상돌기형 차선의 형태를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점착도가 낮으면 점상돌기의 점이 커지게 되고 성형효과가 나쁘며 두드러짐이 약하고 시공 과정에서 더블 컴포넌트 도료가 흘러나오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점착도가 높으면 성형효과가 좋고 두드러짐이 강하지만 덤의 크기가 작고 외형의 미관이 나빠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기본재료를 경화제 공급부(6)에 투입할 때에는 꽉 채우지 않고 압축공기의 출구보다 낮은 높이까지만 채우는 것이 바람지하다. 구체적으로, 압축공기의 출구보다 대략 4㎜ 정도 낮은 위치까지만 채워야 하는데, 이보다 높게 되면 시공시 또는 이동 과정에서 기본재료가 압축공기의 출구를 막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경화제는 본드 형상의 액체로서 결정체나 침전물이 없고 이물질이 포함되지 않아야 하며, 필요시 여과망을 이용하여 여과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경화제 역시 압축공기의 출구보다 대략 4㎜ 정도 낮은 위치까지만 채우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세척제는 휘발성이 좋으며 과일향이 나는 무색의 초산메틸(CH3COOC2H5)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휘발성이 좋은 가연성 액체인 무색의 자일렌(C8H10)을 사용할 수도 있다. 초산메틸의 독성이 자일렌에 비해 작고 자일렌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비싸지만 자일렌의 용해력이 더 우수하다. 다만, 세척제를 투입할 때에는 화기 등을 주의해야 하며, 투입 후에도 덮개를 덮어 완전히 밀폐하고 배관에서의 누설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상기 시운전 단계는 엔진을 가동하여 공기압축기(2)를 통해 압축공기를 생산한 후, 공압제어부(1)에서 각 장치와 밸브 등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작동상태를 점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시공단계는 엔진을 이용하여 공기압축기(2)를 작동시킨 후 공기압축기(2)에 연결된 자주식 프레임(12)을 구비한 차체를 도색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공기압축기(2)에서 생성된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격막밸브와 기어펌프를 작동시키고 공압제어시스템(1)을 통해 밸브들을 제어하여 스태틱믹서(5)에 기본재료와 경화제 및 세척제를 각각 공급한 후 혼합시킴으로써 더블 컴포넌트 도료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스태틱믹서(5)로부터 공급되는 더블 컴포넌트 도료를 도트노즐(11)을 통해 노면에 분사하여 점상돌기가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 점상돌기가 경화되기 전에 전자제어시스템(4)에서 유리구슬 살포기(7)를 제어하여 점상돌기에 유리구슬을 살포하여 더블 컴포넌트형 점상돌기가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 차선의 도색이 완료될 때까지 차체를 일정정도 이동시킨 후 더블 컴포넌트 도료를 노면에 분사하고 유리구슬을 살포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단계와; 차선의 도색이 완료되면 상기 공압제어시스템(1)을 통해 밸브들을 제어하여 상기 스태틱믹서(5)에서 더블 컴포넌트 도료가 도트노즐(11)로 공급되지 않도록 차단하고 상기 공압제어시스템(1)을 통해 세척제 공급부(9)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제를 이용하여 상기 도트노즐(11)을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발명의 설명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공압제어시스템
2...공기압축기
3...유리구슬 공급부
4...전자제어시스템
5...스태틱믹서
6...경화제 공급부
7...유리구슬 살포기
71...공급롤러
72...유리구슬 가이드
73...살포선풍기
73a...회전체
73b...회전날개
8...기본재료 공급부
9...세척제 공급부
10...경화제 검측부
11...도트노즐
11a...저장부
11b...배출공
11c...연결공
11d...공기분출공
12...자주식 프레임

Claims (9)

  1. 하부에 바퀴가 구비되어 자체적인 이동이 가능한 자주식 프레임(12)과;
    엔진에 의해 작동되어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공기압축기(2)와;
    유리구슬과 석영모래가 포함된 도색용 기본재료와 경화제를 혼합하여 더블 컴포넌트 도료를 생성하는 스태틱믹서(5)와;
    상기 자주식 프레임(12)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스태틱믹서(5)에서 공급되는 더블 컴포넌트 도료를 지면으로 분사하는 도트노즐(11)과;
    상기 스태틱믹서(5)로 도색용 기본재료를 공급하는 기본재료 공급부와(8);
    상기 스태틱믹서(5)로 경화제를 공급하는 경화제 공급부(6)와;
    상기 도트노즐(11)에 의해 분사된 더블 컴포넌트 도료에 유리구슬을 살포하는 유리구슬 살포기(7)와;
    상기 도트노즐(11)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제를 공급하는 세척제 공급부(9)와;
    상기 유리구슬 살포기(7)로 유리구슬을 공급하는 유리구슬 공급부(3)와;
    상기 경화제 공급부(6)에서 공급되는 경화제의 양을 계량하는 경화제 검측부(10)와;
    상기 공기압축기(2)에서 생성된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각종 밸브를 제어하는 공압제어시스템(1)과;
    상기 자주식 프레임(12)을 이동시키기 위한 프레임 자주시스템과 유리구슬 살포기(7)를 제어하는 전자제어시스템(4);을 포함하며,
    상기 도트노즐(11)은 스태틱믹서(5)에서 공급되는 더블 컴포넌트 도료가 저장되는 저장부(11a)와, 더블 컴포넌트 도료가 배출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배출공(11b)과, 상기 저장부(11a)와 배출공(11b)의 내측 단부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공(11c)과, 상기 공압제어시스템(1)을 통해 공급된 압축공기가 배출공(11b)으로 분출되어 상기 연결공(11c)에 음압이 형성되도록 상기 배출공(11b)의 상측에 형성되는 공기분출공(11d)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상온경화형 더블 컴포넌트 도트 도색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 공급부(6)는 브리시리스 드라이버에 의해 작동되는 브러시리스 모터에 연결된 기어펌프를 통해 스태틱믹서(5)에 경화제를 공급하되, 유량스위치에 의해 계량되어 상기 스태틱믹서(5)에 경화제가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상온경화형 더블 컴포넌트 도트 도색장치.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 공급부(6)는 기어펌프와 유량스위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스태틱믹서(5)가 정지된 경우 기어펌프를 통해 공급되는 경화제를 경화제 공급부(6)로 되돌려보내는 에어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상온경화형 더블 컴포넌트 도트 도색장치.
  7. 삭제
  8. 제1항,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자주식 상온경화형 더블 컴포넌트 도트 도색장치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및 차선도색 시공방법에 있어서,
    차체에 구비된 엔진과 공기압축기(2) 및 스태틱믹서(5)를 포함한 장비의 상태를 검사하는 준비단계와;
    기본재료와 경화제와 세척제의 상태를 점검하여 기본재료 공급부(8)와 경화제 공급부(6) 및 세척제 공급부(9)에 각각 투입하는 원료공급 단계와;
    엔진을 시동한 후 각 장치의 작동상태와 경화제 및 도트노즐(11)을 통해 배출되는 컴포넌트의 상태를 확인하는 시운전 단계와;
    시운전이 완료되면 차체를 시공 위치로 이동시킨 후 차선을 시공하는 시공단계와;
    차선의 시공이 모두 완료되면 도트노즐(11)을 세척하고 기본재료 공급부(8)와 경화제 공급부(6) 및 세척제 공급부(9)를 모두 비운 후 세척하는 마무리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시공단계는 엔진을 이용하여 공기압축기(2)를 작동시킨 후 공기압축기(2)에 연결된 자주식 프레임(12)을 구비한 차체를 도색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공기압축기(2)에서 생성된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격막밸브와 기어펌프를 작동시키고 공압제어시스템(1)을 통해 밸브들을 제어하여 스태틱믹서(5)에 기본재료와 경화제 및 세척제를 각각 공급한 후 혼합시킴으로써 더블 컴포넌트 도료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스태틱믹서(5)로부터 공급되는 더블 컴포넌트 도료를 도트노즐(11)을 통해 노면에 분사하여 점상돌기가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
    점상돌기가 경화되기 전에 전자제어시스템(4)에서 유리구슬 살포기(7)를 제어하여 점상돌기에 유리구슬을 살포하여 더블 컴포넌트형 점상돌기가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
    차선의 도색이 완료될 때까지 차체를 일정정도 이동시킨 후 더블 컴포넌트 도료를 노면에 분사하고 유리구슬을 살포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단계와;
    차선의 도색이 완료되면 상기 공압제어시스템(1)을 통해 밸브들을 제어하여 상기 스태틱믹서(5)에서 더블 컴포넌트 도료가 도트노즐(11)로 공급되지 않도록 차단하고 상기 공압제어시스템(1)을 통해 세척제 공급부(9)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제를 이용하여 상기 도트노즐(11)을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 및 차선도색 시공방법.


  9. 삭제
KR1020190024342A 2019-02-28 2019-02-28 자주식 상온경화형 더블 컴포넌트 도트 도색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및 차선도색 시공방법 KR102032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342A KR102032209B1 (ko) 2019-02-28 2019-02-28 자주식 상온경화형 더블 컴포넌트 도트 도색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및 차선도색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342A KR102032209B1 (ko) 2019-02-28 2019-02-28 자주식 상온경화형 더블 컴포넌트 도트 도색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및 차선도색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2209B1 true KR102032209B1 (ko) 2019-10-17

Family

ID=68424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4342A KR102032209B1 (ko) 2019-02-28 2019-02-28 자주식 상온경화형 더블 컴포넌트 도트 도색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및 차선도색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220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46754A (zh) * 2020-04-29 2020-06-30 北京朋禹利明文化有限公司 一种安全性高的环保型五金喷漆机
CN111359798A (zh) * 2020-04-09 2020-07-03 福建省大康源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甲醛消除用药液雾化装置
CN111420830A (zh) * 2020-03-31 2020-07-17 河北复朗施纳米科技有限公司 一种纳米铝活性增强涂层的喷涂设备
CN112791887A (zh) * 2020-12-30 2021-05-14 欧万友 一种道路桥梁防水涂料喷涂设备
CN113914187A (zh) * 2021-11-11 2022-01-11 泰安市众升智能电子有限公司 一种道路桥梁用交通标志线划线设备
CN114011599A (zh) * 2021-11-13 2022-02-08 台州市庆丰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高射程静电喷雾器
KR102525886B1 (ko) * 2022-08-11 2023-04-25 이종석 하도 프라이머 및 미끄럼 방지 도료를 동시 포설 가능한 미끄럼 방지 피복층 시공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0708B1 (ko) * 2015-04-06 2015-11-20 (유) 이성안전건설 이액형 차선 도색장치
KR101771587B1 (ko) 2016-10-11 2017-08-25 이병철 분사각 조절이 가능한 이액형 차선도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공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0708B1 (ko) * 2015-04-06 2015-11-20 (유) 이성안전건설 이액형 차선 도색장치
KR101771587B1 (ko) 2016-10-11 2017-08-25 이병철 분사각 조절이 가능한 이액형 차선도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공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20830A (zh) * 2020-03-31 2020-07-17 河北复朗施纳米科技有限公司 一种纳米铝活性增强涂层的喷涂设备
CN111420830B (zh) * 2020-03-31 2021-05-07 河北复朗施纳米科技有限公司 一种纳米铝活性增强涂层的喷涂设备
CN111359798A (zh) * 2020-04-09 2020-07-03 福建省大康源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甲醛消除用药液雾化装置
CN111346754A (zh) * 2020-04-29 2020-06-30 北京朋禹利明文化有限公司 一种安全性高的环保型五金喷漆机
CN111346754B (zh) * 2020-04-29 2021-09-21 肇庆市端州区海宇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安全性高的环保型五金喷漆机
CN112791887A (zh) * 2020-12-30 2021-05-14 欧万友 一种道路桥梁防水涂料喷涂设备
CN113914187A (zh) * 2021-11-11 2022-01-11 泰安市众升智能电子有限公司 一种道路桥梁用交通标志线划线设备
CN114011599A (zh) * 2021-11-13 2022-02-08 台州市庆丰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高射程静电喷雾器
CN114011599B (zh) * 2021-11-13 2022-05-13 台州市庆丰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高射程静电喷雾器
KR102525886B1 (ko) * 2022-08-11 2023-04-25 이종석 하도 프라이머 및 미끄럼 방지 도료를 동시 포설 가능한 미끄럼 방지 피복층 시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2209B1 (ko) 자주식 상온경화형 더블 컴포넌트 도트 도색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및 차선도색 시공방법
US6206607B1 (en) Environmental porous pavement construc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avement construction
US6102613A (en) Environmental porous paving material and pavement construction, environmental porous pavement mixing machine for mixing environmental porous pavement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porous material and constructions
KR101570708B1 (ko) 이액형 차선 도색장치
CN110735371B (zh) 一种耐候性彩色树脂罩面及其制备方法
US2009018121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Retroflective Device
CN204059132U (zh) 一种表面自结纹的彩色防滑路面
KR101648800B1 (ko) 정량 혼합장치를 구비하는 차선 도색 장치 및 방법
CN111074729A (zh) 一种双组分等体积比路面材料的一体化智能施工车
KR100760584B1 (ko) 차량을 이용한 초속경 도로 미끄럼 방지제 도포장치 및방법
JP2005046838A (ja) 塗装装置および塗装方法
CN109356014A (zh) 玻璃珠播撒系统、点涂设备及控制方法
CN112030840A (zh) 一种全自动坑洞探测补料划线车
CN215800806U (zh) 一种抗滑封层洒布车
US5971657A (en) Paving machine for forming porous pavement construction
WO2017168380A1 (en) Compositions for road or floor markings
CN110354725A (zh) 一种用于道路施工的移动式涂料搅拌机
CN109356013A (zh) 自走式双组份点涂设备及其用途和点涂方法
CN214831675U (zh) 一种水泥净浆洒布车
CN209428928U (zh) 一种点涂设备中的点涂喷头系统
KR101979191B1 (ko) 이액형 상온 경화형 차선 도색장치
CN209584808U (zh) 一种玻璃珠播撒系统及含其的自走式双组份点涂设备
CN209428929U (zh) 一种基料和固化剂供给系统及含其自走式双组份点涂设备
CN112726319A (zh) 基于彩浆耐磨材料的水泥混凝土基面的施工方法
CN215714425U (zh) 同步喷洒砂子与乳化沥青涂料的撒布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