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2463B1 - 다기능을 갖는 차선도색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다기능을 갖는 차선도색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2463B1
KR101662463B1 KR1020150183519A KR20150183519A KR101662463B1 KR 101662463 B1 KR101662463 B1 KR 101662463B1 KR 1020150183519 A KR1020150183519 A KR 1020150183519A KR 20150183519 A KR20150183519 A KR 20150183519A KR 101662463 B1 KR101662463 B1 KR 101662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ing
paint
mode
compressor
su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3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재
Original Assignee
이우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재 filed Critical 이우재
Priority to KR1020150183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24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2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2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166Means for dispensing particulate material on to freshly applied markings or into the marking material after discharge thereof, e.g. reflective beads, grip-improving part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 E01C23/22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by spra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돌출 다기능을 갖는 차선 도색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선의 종류에 따라 일직선의 보통 차선과, 규칙형상화된 입체형 도색 차선을 반복 작업하거나, 비규칙형상화된 입체형 도색 차선을 사용자의 간단한 선택으로 하나의 도색 장치에서 여러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시공 방법은, (a) 시작 전원이 연결되면 평면라인 도색모드와, 입체형 정형 도색모드, 입체형 비정형 도색모드 중 어느 한 작업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b) 비드와 경화제를 펌프(50)에 의해 믹서기(60)로 공급되도록 하여 혼합시키는 단계;
(c) 상기 (a)단계에서 띠형 평면라인 도색모드가 선택되면, 평면 띠형 도료저장탱크(10)를 개방하여 믹서기(60)로 공급되도록 하고, 콤프레셔(2)로부터 공급 압력을 저압으로 일정하게 제어하는 단계;
(d) 상기 (a)단계에서 입체형 정형 도색모드가 선택되면, 돌출 도색용 페인트탱크(20)를 개방하여 믹서기(60)로 공급되도록 하고, 콤프레셔(2)로부터 공급 압력을 고압으로 일정시간 공급과 정지를 반복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e) 상기 (a)단계에서 입체형 비정형 도색모드가 선택되면, 돌출 도색용 페인트탱크(20)를 개방하여 믹서기(60)로 공급되도록 하고, 콤프레셔(2)로부터 공급 압력을 저압과 고압 사이를 불규칙하게 반복시키고, 그 공급시간도 불규칙하게 공급과 정지를 제어하는 단계;
(f) 비드와 경화제 및 상기 (c), (d), (e)단계에 의해 선택된 해당 페인트가 혼합된 상태로 다수개의 노즐구멍(71)들이 노면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노즐(70)을 통해 도로위에 평면라인 도색과, 입체형 정형 도색 및 입체형 비정형 도색 중 어느 한 모드로 도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기능을 갖는 차선도색 시공방법{Painted method with a multi-lane construction}
본 발명은 다기능을 갖는 차선도색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선의 종류에 따라 일직선의 보통 띠형 차선과, 규칙형상화 된 입체형 도색 차선을 반복 작업하거나, 비규칙형상화 된 입체형 도색 차선을 사용자의 간단한 선택으로 하나의 도색 장치에서 여러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도로에 형성되는 중앙선이나 주행차선 등의 차선은 운전자로 하여금 차량의 주행방향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안전운행을 유도하는 기준선으로서, 이러한 차선은 차량의 안전운행을 유도하는 기준이 되므로 시각적으로 인지되는 시인성이 대단히 중요하다.
차선을 도색하기 위한 장치는 도료를 도로면 상에 도포하기 위한 도포수단과 이 도포수단을 탑재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수단으로 구성되어 진다.
이러한 차선 도색 장치는 도료가 저장된 이동수단을 작업자가 일일이 끌고 다니면서 도로면 상에 도료를 도포하기도 하고, 최근에는 인력낭비 및 교통체증, 교통사고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차선 도색장치가 탑재된 도색차량을 통해 용융된 도료를 도로면 상에 도포하고 있다.
도색차량을 이용하여 도로에 황색의 띠형 중앙선, 차량의 진행구간을 구분하는 백색이 띠형 주행차선이 기본적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띠형의 차선은 야간 운전시 차선 식별과, 우천시의 차선 식별을 위해 작은 유리알로 된 비드가 혼합된다.
띠형 중앙선 및 띠형 주행차선의 경우 일반 페인트를 이용해 노면 위에 거의 평면적으로 도색하는 것으로, 운전자의 시각적 판단에 의한 주의 의미만 갖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운전 위험성이 높은 산악 도로나 톨게이트 입구에는 졸음방지와 차선 이탈방지의 경고를 위하여 입체형 차선을 도색하고 있다.
: 국내 등록특허 제10-1161144호(등록일자 2012년 6월 25일) : 국내 등록특허 10-1036179호(등록일자 2011년05월16일)
종래, 띠형 중앙선 및 띠형 주행차선과 같은 평면형 도색장치와 규칙형상(모양이 규칙적으로 일정한) 또는 비규칙형상(모양이 비규칙적으로 일정하지 않은)의 입체형 도색 장치가 용도에 맞춰 따로 기계를 제작하여 차량에 탑재한 후 시공하고 있다.
따라서, 필요한 용도에 맞춰 바로 신속하게 작업 용도를 교체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장비 교체를 위해 많은 작업 시간이 소요되고 인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각각의 용도에 맞는 장비를 구비해야 하므로 시공자의 경우 장비의 보관 및 유지 관리가 어렵고 많은 경제적인 피해를 입는 등의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평면적인 띠형 차선과, 규칙형상화 된 입체형 도색 차선 및 비규칙형상화 된 입체형 도색 차선을 사용자의 간단한 선택으로 하나의 도색 장치에서 여러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을 갖는 차선 도색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성이 우수하고, 시공자로 하여금 제품의 구입비 절감은 물론, 관리 유지 보수비와 인력 낭비를 줄여 경제적인 이익을 줄 수 있도록 한 다기능을 갖는 차선 도색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도색 방법은,
(a) 시작 전원이 연결되면 평면라인 도색모드와, 입체형 정형 도색모드, 입체형 비정형 도색모드 중 어느 한 작업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b) 비드와 경화제를 펌프(50)에 의해 믹서기(60)로 공급되도록 하여 혼합시키는 단계;
(c) 상기 (a)단계에서 띠형 평면라인 도색모드가 선택되면, 평면 띠형 도료저장탱크(10)를 개방하여 믹서기(60)로 공급되도록 하고, 콤프레셔(2)로부터 공급 압력을 저압으로 일정하게 제어하는 단계;
(d) 상기 (a)단계에서 입체형 정형 도색모드가 선택되면, 돌출 도색용 페인트탱크(20)를 개방하여 믹서기(60)로 공급되도록 하고, 콤프레셔(2)로부터 공급 압력을 고압으로 일정시간 공급과 정지를 반복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e) 상기 (a)단계에서 입체형 비정형 도색모드가 선택되면, 돌출 도색용 페인트탱크(20)를 개방하여 믹서기(60)로 공급되도록 하고, 콤프레셔(2)로부터 공급 압력을 저압과 고압 사이를 불규칙하게 반복시키고, 그 공급시간도 불규칙하게 공급과 정지를 제어하는 단계;
(f) 비드와 경화제 및 상기 (c), (d), (e)단계에 의해 선택된 해당 페인트가 혼합된 상태로 다수개의 노즐구멍(71)들이 노면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노즐(70)을 통해 도로위에 평면라인 도색과, 입체형 정형 도색 및 입체형 비정형 도색 중 어느 한 모드로 도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도색 차량에 장치가 탑재된 상태에서 작업하고자 하는 모드 선택으로 일직선의 보통 차선과, 규칙형상화된 입체형 도색 차선을 반복 작업하거나, 비규칙형상화된 입체형 도색 차선을 각각 바로 바로 작업할 수가 있다.
따라서, 작업성이 우수하고, 시공자로 하여금 제품의 구입비 절감은 물론, 관리 유지 보수비와 인력 낭비를 줄여 경제적인 이익을 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치가 차선 도색 차량에 탑재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노즐의 구성을 보인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규칙형상화된 입체형 도색 차선을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비규칙형상화된 입체형 도색 차선을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모드별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도색용 차량(3)의 주행시 띠형 차선을 도색해주도록 하는 띠형 차선 도색수단과, 입체형 차선을 도색해주도록 하는 입체형 차선 도색수단과, 도색된 차선상에 유리알 비드를 살포해주도록 하는 비드 살포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띠형 차선 도색수단은 황색 또는 백색의 도료가 각각의 평면 도료저장탱크(10)로부터 공급라인을 통해 띠형 도료가 노즐(70)로부터 노면에 공급되게 한다.
황색 또는 백색 중에 선택된 색상의 도색제는 믹서기(60)에서 경화제와 믹싱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노즐(70)에서 토출, 분사되면서 도로상에 띠형 차선도색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띠형 차선도색에 이용되는 페인트는 평면 도료저장탱크(10)에 저장되는데, 그 점도가 입체형 도료저장탱크(20)에 담겨지는 페인트에 비해 낮은 MMA계열 페인트를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동절기시 이송중의 도색제를 가열하여 도색제의 점성을 낮춰주는 가열기와 이송펌프에 의해 고압 정밀하게 이송되는 도색제의 압력을 최적화하기 위한 압력조절탱크 및 이송관을 개폐하는 개폐밸브 등이 구비되는 것은 통상적이다.
또한 상기 입체형 차선 도색수단은 콘트롤러(4)의 제어에 의해 도색제가 일정한 모양의 규형, 또는 불규칙한 모양의 비규형으로 노면으로부터 일정두께로 돌출되게 노즐(70)에 의해 토출된다.
이 입체형 차선은 졸음방지나 차선 이탈방지 경고를 위해 톨게이트 입구 주변과 산악지역 등에 주로 작업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색장치가 도색용 차량(3)에 탑재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2는 정면도로서, 모드선택 스위치부(1)와, 콤프레셔(2) 그리고 콤프레셔(2)의 공급 압력 제어와 각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러(4)가 탑재된다.
그리고, 입체형 도료저장탱크(20)가 1개 또는 2개 탑재되고, 일반 페인트로 점도가 비교적 낮은 띠형 평면 띠형 도료저장탱크(10)가 별도로 탑재되어 있다.
입체형 도료저장탱크(20) 및 평면 띠형 도료저장탱크(10)에는 비드탱크(30)와 경화제탱크(40)로부터 비드와 경화제가 필요 비율로 믹서기(60)로 공급된 후 노즐(70)에서 노면을 향해 각각 해당 도료를 분출하여 노면에 도색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경화제탱크(40)는 별도의 펌프(50)와 연결되어 펌프(50) 압력에 의해 적정 비율로 공급된다.
노즐(70)은 도 3에서와 같이 다수개의 노즐구멍(71)들이 노면을 향하도록 뚫어져, 콘트롤러(4)의 제어에 의해 공급되는 콤프레셔(2)의 압력에 따라 도료의 분사상태를 각각 다르게 조절할 수가 있는 것이다.
즉, 작업자가 모드선택 스위치부(1)의 선택에 따라 콘트롤러(4)의 제어로 콤프레셔(2)의 압력 및 송출 간격을 조절하여 입체형 도료저장탱크(20)로부터 노즐(70)의 노즐구멍(71)으로 분출되는 도료 상태를 띠형과, 규칙형상 및 및 비규칙형상으로 각각 도색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각종 도색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노즐(70) 및 도료 공급관의 내부에는 도료가 남겨지게 되는데, 이를 바로 제거하지 않게 되면 막히거나 통로가 좁아져서 다음에 정상적인 도색 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도색 작업이 끝난 다음에는 바로 세척하는 과정이 매우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노즐(70)과 도료 공급관들을 세척하기 위해 세척제용기(80)로부터 펌프(50) 또는 콤프레셔(2)의 작동으로 세척제공급관(81)을 통해 세척제가 공급되도록 하여 세척이 이루어지게 한다.
통상 세척제로는 신너를 사용하게 된다.
이 세척제공급관(81)과 에어공급관(82)은 노즐(70)에 연결되는 도료공급관에 접속되어, 세척액과 고압의 에어가 공급되면, 도료공급관 내부의 이물질이 노즐구멍(71)을 통해 배출되면서 관청소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세척제를 통한 세척이 1차 완료된 후에는 다시 상기 콤프레셔(2)로부터 에어공급관(82)을 통해 고압으로 노즐(70)과 도료 공급관을 세척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세척제와 고압의 에어를 통해 2차에 걸친 세척작업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노즐(70)과 도료 공급관을 깨끗이 세척할 수가 있는 데, 필요에 따라서는 세척제와 고압의 에어중 어느 하나만을 선택하여 세척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도 6은 본 발명의 모드별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즉, 본 발명은 전원 스위치를 연결하는 것에 의해 시작된다.
시작 전원이 모든 장치에 연결되면 콤프레셔(2) 그리고 콤프레셔(2)의 공급 압력 제어와 각 밸브의 개폐 등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러(4)가 가동된 후 작업자는 수행해야 할 작업 모드를 모드선택 스위치부(1)에서 선택하게 된다.
이때, 비드탱크(30)와 경화제탱크(40)도 개방하여 펌프(50)로 믹서기(60)에서 비드와 경화제가 미리 혼합되도록 한다.
모드선택 스위치부(1)는 평면라인 도색모드와, 입체형 정형 도색모드, 입체형 비정형 도색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스위치가 분리되어 있다.
모드선택 스위치부(1)에서 작업자가 띠형 평면라인 도색모드가 선택되면, 콘트롤러(4)에 의해 평면 띠형 도료저장탱크(10)를 개방하여 믹서기(60)로 공급되도록 하고, 콤프레셔(2)로부터 공급 압력을 저압으로 일정하게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콤프레셔(2)의 공급 압력 제어로 믹서기(60)에서 비드 및 경화제와 라인도색용 페인트가 혼합된 상태로 노즐(70)을 통해 노면으로 라인도색용 페인트를 일정하게 토출하게 된다.
여기서, 콘트롤러(4)에 의해 콤프레셔(2)로부터 공급 압력을 돌출 도색용 페인트의 공급압력에 비하여 저압으로 일정하게 공급하게 되므로써, 각 노즐구멍(71)을 통해 동일한 양의 페인트들이 일정한 양으로 분출되는 것에 의해 노면으로부터 도색 두께가 얇으면서도 일정한 띠 모양의 차선이 그려질 수 있는 것이다.
또, 모드선택 스위치부(1)에서 작업자가 입체형 정형 도색모드가 선택되면 돌출 도색용 페인트탱크(20)를 개방하여 믹서기(60)로 공급되도록 하고, 콤프레셔(2)로부터 공급 압력을 고압으로 일정시간 공급과 정지를 반복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돌출 도색용 페인트는 라인도색용 페인트에 비하여 점도가 더 높은 페인트로 콤프레셔(2)의 공급 압력이 순간적으로 강하고 짧게 공급과 정지가 반복되는 것에 의해 도 4의 평면도와 같이 노즐구멍(71)의 형상 및 간격에 맞춰서 일정한 형상, 즉 규칙적인 형상으로 도색되는 것이다.
도 4에서는 예로서 원형 도트 형상을 도시하고 있으나, 노즐구멍(71)의 형상에 따라 다이야몬드형이나 기타 다양한 형상으로 반복 성형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와 같이 도트식으로 페인트가 노면에 반복적으로 도색되면, 비교적 도료의 두께가 노면으로부터 높게 입체 형상으로 성형되므로 타이어가 접촉될 때 미세 진동과 소음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졸음방지나 차선이탈 방지 경고 효과를 얻을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모드선택 스위치부(1)에서 작업자가 입체형 비정형 도색모드가 선택되면 돌출 도색용 페인트탱크(20)를 개방하여 믹서기(60)로 공급되도록 하고, 콤프레셔(2)로부터 공급 압력을 저압과 고압 사이를 불규칙하게 반복시키고, 그 공급시간도 불규칙하게 공급과 정지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점도가 높은 돌출 도색용 페인트를 콤프레셔(2)의 공급 압력이 순간적으로 강하고 짧게 공급과 정지가 불규칙하게 반복되는 것에 의해 도 5의 평면도와 같이 다수개의 노즐구멍(71)으로부터 분출되는 도료는 형상이 일정하지 않은 비정형 상태로 다양한 형상과 모양으로 분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불규칙하게 형상과 크기, 높이가 다양하게 돌출 도색용 페인트가 노면에 공급되면 타이어가 접촉될 때 불규칙한 미세 진동과 소음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졸음방지나 차선이탈 방지 경고 효과를 강하게 얻을 수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돌출 도색용 페인트를 포함한 평면 띠형 도색용 페인트에는 비드와 경화제를 펌프(50)에 의해 적정 비율로 믹서기(60)에서 혼합시킨 후, 다수개의 노즐구멍(71)들이 노면을 향하고 있는 노즐(70)을 통해 도로위에 도색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노즐(70)은 도 1에서와 같이 도색용 차량(3)의 양쪽에 각각 구비하여 필요한 노즐(70)을 개방하여 상기와 같은 도색작업을 수행하게 하므로써, 도색용 차량(30)의 주행 방향을 바꾸지 않고도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시공된 입체형 도색라인은 우천시에도 잠기지 않고 수면 위로 돌출되므로 어떠한 상황에서와 시인성이 우수하고, 안전 운전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어 있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로의 다양한 형태의 도색 기술에 적용된다. 특히, 평면 띠형도색과 입체형 규칙적인 형상의 도트방식이나 불규칙적인 형상의 도색작업이 간단한 작업 선택으로 수행될 수 있는 기술에 적용된다.
1 - 스위치부 2 - 콤프레셔
3 - 도색용 차량 4 - 콘트롤러
10 - 평면 띠형 도료저장탱크 20 - 돌출 도색용 페인트탱크
30 - 비드탱크 40 - 경화제탱크
50 - 펌프 60 - 믹서기
70 - 노즐 71 - 노즐구멍
80 - 세척제용기 81 - 세척액공급관
82 - 에어공급관

Claims (3)

  1. 삭제
  2. (a) 시작 전원이 연결되면 평면라인 도색모드와, 입체형 정형 도색모드, 입체형 비정형 도색모드 중 어느 한 작업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b) 비드와 경화제를 펌프(50)에 의해 믹서기(60)로 공급되도록 하여 혼합시키는 단계;
    (c) 상기 (a)단계에서 띠형 평면라인 도색모드가 선택되면, 평면 띠형 도료저장탱크(10)를 개방하여 믹서기(60)로 공급되도록 하고, 콤프레셔(2)로부터 공급 압력을 저압으로 일정하게 제어하는 단계;
    (d) 상기 (a)단계에서 입체형 정형 도색모드가 선택되면, 돌출 도색용 페인트탱크(20)를 개방하여 믹서기(60)로 공급되도록 하고, 콤프레셔(2)로부터 공급 압력을 고압으로 일정시간 공급과 정지를 반복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e) 상기 (a)단계에서 입체형 비정형 도색모드가 선택되면, 돌출 도색용 페인트탱크(20)를 개방하여 믹서기(60)로 공급되도록 하고, 콤프레셔(2)로부터 공급 압력을 저압과 고압 사이를 불규칙하게 반복시키고, 그 공급시간도 불규칙하게 공급과 정지를 제어하는 단계;
    (f) 비드와 경화제 및 상기 (c), (d), (e)단계에 의해 선택된 해당 페인트가 혼합된 상태로 다수개의 노즐구멍(71)들이 노면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노즐(70)을 통해 도로위에 평면라인 도색과, 입체형 정형 도색 및 입체형 비정형 도색 중 어느 한 모드로 도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 다기능을 갖는 차선 도색 시공방법.

  3. 삭제
KR1020150183519A 2015-12-22 2015-12-22 다기능을 갖는 차선도색 시공방법 KR101662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519A KR101662463B1 (ko) 2015-12-22 2015-12-22 다기능을 갖는 차선도색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519A KR101662463B1 (ko) 2015-12-22 2015-12-22 다기능을 갖는 차선도색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2463B1 true KR101662463B1 (ko) 2016-10-05

Family

ID=57153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3519A KR101662463B1 (ko) 2015-12-22 2015-12-22 다기능을 갖는 차선도색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246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55375A (zh) * 2018-06-01 2018-11-06 魏浩峰 一种智能化道路施工装置
KR102222101B1 (ko) * 2020-07-27 2021-03-02 김명환 돌출형 차선 도색장치
KR102539513B1 (ko) * 2022-09-15 2023-06-01 진영천 자동화된 차선 도색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1514A (ja) * 1996-04-26 1997-11-11 Yanagisawa Kimi 道路区画線およびその施工方法ならびに施工装置
KR101036179B1 (ko) 2008-12-23 2011-05-23 유한회사 삼신기업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돌출형 차선 도색장치
KR101161144B1 (ko) 2011-11-21 2012-06-29 (주)선화건설 이액형 돌출차선도색장치 및 그 돌출차선도색공법
KR101344370B1 (ko) * 2013-04-23 2013-12-24 (주)선화건설 이액형 돌출차선도색장치 및 돌출차선도색공법
KR101528245B1 (ko) * 2014-12-11 2015-06-11 (주)선화건설 이액형 차선도색장치 및 차선도색공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1514A (ja) * 1996-04-26 1997-11-11 Yanagisawa Kimi 道路区画線およびその施工方法ならびに施工装置
KR101036179B1 (ko) 2008-12-23 2011-05-23 유한회사 삼신기업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돌출형 차선 도색장치
KR101161144B1 (ko) 2011-11-21 2012-06-29 (주)선화건설 이액형 돌출차선도색장치 및 그 돌출차선도색공법
KR101344370B1 (ko) * 2013-04-23 2013-12-24 (주)선화건설 이액형 돌출차선도색장치 및 돌출차선도색공법
KR101528245B1 (ko) * 2014-12-11 2015-06-11 (주)선화건설 이액형 차선도색장치 및 차선도색공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55375A (zh) * 2018-06-01 2018-11-06 魏浩峰 一种智能化道路施工装置
KR102222101B1 (ko) * 2020-07-27 2021-03-02 김명환 돌출형 차선 도색장치
KR102539513B1 (ko) * 2022-09-15 2023-06-01 진영천 자동화된 차선 도색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5002B1 (ko) 스프레드 노즐 선택이 가능한 복합식 차선 시공장치
KR101662463B1 (ko) 다기능을 갖는 차선도색 시공방법
US3057273A (en) Apparatus for marking a surface
KR101709545B1 (ko) 차선도료 균일 토출용 디퓨저 노즐
KR101161144B1 (ko) 이액형 돌출차선도색장치 및 그 돌출차선도색공법
KR100977998B1 (ko) 차선 도색장치
KR100817609B1 (ko) 차량용 차선 도색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차선 도색 방법
KR102105480B1 (ko) 차선도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방법
US10364537B2 (en) Constructing apparatus and method of guide line for road
KR100501992B1 (ko) 차선도색차량
KR101483848B1 (ko) 차선 도색용 도료용융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선 도색기
KR101392886B1 (ko)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
KR101493778B1 (ko) 스프레드 노즐형 차선 시공장치
KR101383163B1 (ko) 도로 주행차선이 선명하게 부각되게 하는 분사구조를 갖는 도색차량의 차선도색장치 및 차선도색공법
KR101344370B1 (ko) 이액형 돌출차선도색장치 및 돌출차선도색공법
JP2005046838A (ja) 塗装装置および塗装方法
KR101528245B1 (ko) 이액형 차선도색장치 및 차선도색공법
KR101279431B1 (ko) 수동식 차선 도색장치
KR102170443B1 (ko) 차선 도색용 분사장비
KR102116032B1 (ko) 스프레드차선 및 돌출차선 복합 시공 시스템
KR101133570B1 (ko) 선명도를 향상시킨 차선 및 상기 선명도를 향상시킨 차선의 스프레이 융착식 선명도향상차선 도색장치와 선명도향상차선 도색방법
KR101747370B1 (ko) 융착식 차선 도색장치
KR101578547B1 (ko) 친환경 세척, 부착물 제거 및 페인트 제거장치
KR102140946B1 (ko) 디퓨저 홀이 형성된 차선시공용 스프레이 노즐
JP2010024791A (ja) 移動式接着剤適用装置及び該装置を利用したアスファルト舗装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