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8873B1 - 고휘도 우천형 비드 건을 갖는 융착식 스프레이 차선 도색장치 - Google Patents

고휘도 우천형 비드 건을 갖는 융착식 스프레이 차선 도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8873B1
KR101108873B1 KR1020110007130A KR20110007130A KR101108873B1 KR 101108873 B1 KR101108873 B1 KR 101108873B1 KR 1020110007130 A KR1020110007130 A KR 1020110007130A KR 20110007130 A KR20110007130 A KR 20110007130A KR 101108873 B1 KR101108873 B1 KR 101108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rightness
beads
bead
bead gu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7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보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풍
김보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풍, 김보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풍
Priority to KR1020110007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88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8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8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163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marking-out the location of the markings; Guiding or steering devices for marking apparatus, e.g. s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1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글라스 비드와 우천형 비드를 7:3으로 혼합하여 도색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강우시에도 반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휘도 우천형 비드 건을 갖는 융착식 스프레이 차선 도색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주요 구성은 페인트를 용융하여 공급하는 용융탱크를 구비하고, 이 용융탱크에 공급된 페인트를 도로에 살포하여 차선을 그리는 도색 장치에 있어서, 글라스 비드와 고휘도 우천형 비드가 각각 저장되는 저장탱크; 상기 각 저장탱크와 연결되는 Y자형 투입구; 상부체와 본체 그리고 하부체가 순차적으로 조립되고, 상기 투입구는 하부체에 연결되어 비드가 공급되도록 하는 비드 건; 상기 상부체에 컴프레셔와 연결되는 공기 유입관을 구비하고, 본체의 내측 중앙에 위치하는 공기 분사관과 상기 공기 유입관을 유도관으로 연결하여 공기가 분사되도록 하는 에어 공급부; 상기 에어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역류시켜 비드의 분사를 차단하는 에어 차단부; 로 구성된 기술적인 특징을 갖는 것으로 달성된다.

Description

고휘도 우천형 비드 건을 갖는 융착식 스프레이 차선 도색장치{APPARATUS FOR PAINTING TRAFFIC LANE SPRAY THERMOPANE TYPE HAVING A HIGH INTENSITY RAINY BEAD GUN}
본 발명은 고휘도 우천형 비드 건을 갖는 융착식 스프레이 차선 도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글라스 비드와 우천형 비드를 7:3으로 혼합하여 도색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강우시에도 반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휘도 우천형 비드 건을 갖는 융착식 스프레이 차선 도색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글라스 비드와 고휘도 우천형 비드가 혼합된 혼합 비드의 분사시 공기압을 이용하여 도로에 깊숙이 비드가 박히도록 하여 차선의 수명을 연장하고 그에 따른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고휘도 우천형 비드 건을 갖는 융착식 스프레이 차선 도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는 차량의 주행 방향에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차선이 그려져 있다.
이러한 차선은 도색 장치에 의해 황색, 흰색 혹은 한 줄이나 두 줄의 실선, 점선으로 그려지며, 보통 아스팔트나 시멘트에 경화제를 포함하고 있는 페인트를 융착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차선 도색 방법 중 하나인 융착식 도색은 페인트 가루를 융해기에서 200℃ 도까지 증기압으로 끓여 녹인 다음 도색 장치로 살포하여 도자기처럼 굳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이때 사용되는 도색 장치는 수동식과 차량 탑재형이 있다.
국내 특허 제346416호의 도색 장치는 수동식 도색장치의 일 예이다.
이 장치는 작업자에 의해 운전되는 차량의 전면에 설치되며 도색제를 살포하기 위해 하부에 슬릿이 설치된 도색제 살포용기를 구비하고, 이 도색제 살포용기의 슬릿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기와, 상기 살포되는 도색재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배출량 조절기를 구비하여 도색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여기에 상기 살포용기의 슬릿 하부에 설치되어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면서 배출되는 도색제를 바닥에 흩뿌려 불규칙한 요철을 형성하는 침봉과, 상기 침봉에 의해 도색된 요철형 차선 상에 글라스 비드를 살포하기 위한 글라스 비드 살포기가 갖추어진 구성이다.
또한, 상기 글라스 비드 살포기에 글라스 비드를 공급하기 위한 글라스 비드 저장용기로 이루어진 도색부와, 상기 침봉과 글라스 비드 살포기 및 구동바퀴에 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구동모터와, V벨트로 이루어진 동력전달수단 및 차선의 방향을 측정하는 차선 방향 측정대가 갖추어진 구성이다.
그런데 이러한 수동식 도색 장치는 도색 작업이 작업자에 의해 수작업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숙련공이 아니면 작업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융착식의 특성상 건조 시간은 빠르지만 작업 속도가 느린 단점이 있으며, 침봉을 이용하여 요철을 형성하고 글라스 비드를 분사한다고는 하지만 우천시에는 반사율이 급격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다른 실시 예로, 국내 특허 721510호의 장치는 차량 저면에 도색장치를 장착하여 필요시에 인출하여 도색 작업을 자동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 장치는 도료 탱크와 글라스 비드탱크가 탑재된 차량의 양측에 설치되어 이동하면서 도로에 차선을 그리는 융착식 도색 차량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을 구비하고, 이 가이드레일에 결합되어 차량의 횡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 프레임이 갖추어져 있다.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의 하측에 힌지핀을 구비한 링크에 의해 연결되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의 하측에 수직프레임으로 연결되어 도료 분사기와 글라스비드분사기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되는 프레임; 상기 도료탱크와 연결되도록 프레임의 하측에 고정되는 도료분사노즐과, 이 도료분사노즐의 상측에 결합되는 도료분사 실린더로 구성된 도료분사기; 그리고 상기 도료분사기의 후방에 위치되며 글라스비드탱크와 연결되도록 프레임에 결합되는 글라스비드분사노즐 및 이 글라스 비드 분사노즐의 상측에 결합되는 글라스 비드 분사실린더가 갖추어진 구성이다.
그런데 이러한 도색 장치는 차량을 운전하며 자동으로 차선을 그릴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강우시에는 단순 글라스 비드만으로 반사 성능을 높일 수 없어 사고의 위험이 있으며, 근래 사용되는 우천형 비드를 살포하는 기능이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전의 종래 기술과 마찬가지로 글라스 비드가 아스팔트 혹은 시멘트에 박히지 않아 쉽게 이탈하게 됨으로써 보수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 상기의 도색 장치로는 미끄럼 방지가 어려운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글라스 비드와 고휘도 우천형 비드를 동시에 분사할 수 있는 비드 건을 구비하여 우천시에도 반사 효율을 극대화시켜 차량의 안전 운행이 가능하도록 하며, 미끄럼 방지할 수 있는 고휘도 우천형 비드 건을 갖는 융착식 스프레이 차선 도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글라스 비드와 고휘도 우천형 비드를 혼합하여 도로에 분사하되, 공기압을 이용하여 이들 혼합 비드가 아스팔트 혹은 시멘트 깊숙이 박혀 안정적으로 결합하도록 함과 아울러 차선의 수명을 연장하여 경제적인 이득을 얻을 수 있는 고휘도 우천형 비드 건을 갖는 융착식 스프레이 차선 도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되어 이동하며 정확한 동작으로 비드의 분사 및 차단이 가능하여 도색 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는 도색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페인트를 용융하여 공급하는 용융탱크를 구비하고, 이 용융탱크에 공급된 페인트를 도로에 살포하여 차선을 그리는 도색 장치에 있어서, 글라스 비드와 고휘도 우천형 비드가 각각 저장되는 저장탱크; 상기 각 저장탱크와 연결되는 Y자형 투입구; 상부체와 본체 그리고 하부체가 순차적으로 조립되고, 상기 투입구는 하부체에 연결되어 비드가 공급되도록 하는 비드 건; 상기 상부체에 컴프레셔와 연결되는 공기 유입관을 구비하고, 본체의 내측 중앙에 위치하는 공기 분사관과 상기 공기 유입관을 공기 유도관으로 연결하여 공기가 분사되도록 하는 에어 공급부; 상기 에어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역류시켜 비드의 분사를 차단하는 에어 차단부; 로 구성된 기술적인 특징을 갖는 것으로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비드 건의 본체와 상부체를 연결하는 "ㄷ"형 유도관을 구비하되, 이 유도관의 상단은 상부체와 구비된 공기 유입관과 연결되고 하부는 본체에 구비된 공기 분사관과 연결된 에어 공급부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본체에 구비된 공기 분사관과 연결되어 운전자의 신호에 따라 개방되어 유도관에서 공급된 공기를 역류시켜 에어 공급관의 주입공에 흡입력이 발생하도록 하는 에어 차단부가 구비된 것으로 달성된다.
본 발명은 첫째, 글라스 비드와 고휘도 우천형 비드를 7:3으로 혼합하여 강우시에도 반사율을 향상시켜 차량의 안전 운행을 가능하게 하는 발명이다.
둘째, 본 발명의 도색 장치는 글라스 비드와 고휘도 우천형 비드를 혼합하여 분사하되 공기압을 이용하여 이 혼합 비드가 도로 깊숙이 박혀 단단히 굳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선의 수명을 연장하고 그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의 도색장치는 공기압 조절부를 구비하여 혼합 비드의 분사 및 차단이 정확한 발명이다.
넷째, 본 발명의 도색 장치는 차량에 탑재된 상태로 이동하고, 분사 및 차단이 정확하여 도색 작업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색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색 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색 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색 장치의 일부를 분리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색 장치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색 장치의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색 장치의 요부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색 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선단에 도료를 분사하는 살포기(22)가 도시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도색 장치는 융착식 도색 방법을 응용하는 것으로, 글라스 비드와 고휘도 우천형 비드의 살포 이전에 용융 탱크(20)로부터 공급된 페인트를 도로에 1차 살포한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색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색 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색 장치의 일부를 분해한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색 장치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색 장치의 확대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색 장치의 요부 확대도를 나타낸 것이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도색 장치(10)는 차량에 탑재되어 차량의 이동과 함께 도료 그리고 혼합 비드가 순차적으로 분사되어 도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식이나 경우에 따라서 작업자에 의해 도색이 이루어지는 수동식 도색 차량에도 탑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강우시에도 반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우천형 고휘도 비드로 우천형 고휘도 수용성 차선 페인트가 사용된다.
도면에서 본 발명의 도색 장치(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용융 상태의 페인트가 도색될 수 있도록 용융탱크(20)와 용융된 페인트를 살포하는 살포기(22)가 구비되어 1차 도색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 다음, 여기에 각 저장 탱크(30)에서 공급된 비드를 Y자형 투입구(40)를 통해 비드 건(100)에 공급하고, 에어 공급부(200)를 이용하여 분사하며, 에어 차단부(300)를 이용하여 차단하고, 분사 효율을 향상시키는 가이드 부재(400)가 구비된 구성이다.
저장 탱크(30)
상기 저장 탱크(30)는 글라스 비드와 고휘도 우천형 비드를 각각 저장하여 공급하는 것으로, 2개의 탱크는 경우에 따라서 그 크기를 달리한다.
이는 글라스 비드와 고휘도 우천형 비드의 혼합 비율을 7:3으로 하고 있기 때문인데, 이들 비드의 혼합 비율이 7:3인 것은 각 비드에 혼합된 성분 즉 유리의 입자 및 포함량이 다르기 때문이다.
고휘도 우천형 비드의 경우 글라스 비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유리 입자가 크고 혼합량이 많아 고휘도 우천형 비드의 혼합 비율을 높이는 경우 비드 건(100)에서 원활하게 분사되지 않을 우려가 있고, 반대로 너무 낮은 경우 반사 성능을 높인다는 취지에서 벗어날 우려가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반복적인 실험을 통해 글라스 비드 7: 고휘도 우천형 비드 3의 비율로 혼합했을 때 분사 성능은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우천시 반사 성능은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글라스 비드가 저장되는 글라스 비드 저장 탱크(32)와 고휘도 우천형 비드가 저장되는 저장 탱크(34)의 크기는 혼합되는 비율에 따라 크기를 달리하여 구비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각 저장 탱크(32)(34)의 모양은 원형, 사각 등에 구애되지 않으며 차량에 안정적으로 탑재될 수 있는 것이면 가능하다.
투입구(40)
상기 투입구(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Y자형으로 구성되어 후술하는 하부체(140)의 확관부(142)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상단 Y자형 투입부(42) 각각이 상술한 고휘도 우천형 저장 탱크(32)와 글라스 비드 저장 탱크(34)와 연결되는 각 비드가 투입 공급되도록 하되, 하단에서 혼합된 상태로 다음에 설명되는 비드건(100)의 본체(120)에 공급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비드 건(100)
본 발명의 핵심 기술인 상기 비드 건(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등분 혹은 4등분으로 분할 구성되며, 본체(120)와 이 본체(120)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체(60) 그리고 본체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체(14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20)와 상부체(60)는 나사결합 방식으로 조립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억지끼워맞춤 혹은 키(key)에 의한 조립 방식도 가능하며, 일체형으로 가공될 수도 있다.
상기 상부체(60)의 상단에는 후술하는 컴프레셔(220)와 연결되는 공기 유입관(62)이 구비되고, 하부체(140)는 내부가 중공된 상태로 연결판(160)에 의해 본체(120)에 연결 고정된다.
상기 하부체(140)는 하부에 상광하협의 확관부(142)를 가지며, 그 내측으로 에어 공급부(200)의 공기 분사관(260)이 위치하고, 외측면에 요홈이 구비된다.
상기 요홈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20)와 하부체(140)가 각각에 형성되며, 또한 이들 요홈(102)(104) 각각에는 보울트 삽입공(102a)(140a)형성된 구성으로, 여기에 연결판(160)이 맞대어져 보울트를 체결하는 것으로 조립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하부체(140)의 저면에는 후술하는 비드 가이드 부재(400)가 체결되는 나사부(144)가 갖추어진 구성이다.

에어 공급부(200)
에어 공급부(200)는 컴프레셔(220)에서 공급된 공기를 이용하여 비드 건(100)의 내부에 공급되는 글라스 비드와 고휘도 우천형 비드가 고속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컴프레셔(220)와 이 공기를 유도하여 공급하는 공기 유도관(240) 그리고,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 분사관(260)으로 구성된다.
상기 공기 분사관(260)은 본체(120)의 중앙을 관통하여 조립되고, 하부는 본체에서 돌출되어 상기 하부체(140)의 내측 중공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하단부에 상기 하부체(140)와 마찬가지로 확관부를 구비하여 맞춤형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공기 분사관(260)의 내측 중앙에는 공기가 주입되는 주입공(262)이 구비되어 이를 통해 압축된 공기가 주입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한편, 상기 공기 유도관(24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체(60)에 구비된 공기 유입관(62)과 본체(120)의 중앙에 설치된 공기 분사관(260)을 연결하는 것으로, 공기 유입관(62)에서 공급된 공기를 공기 분사관(260)으로 유도하여 공기가 분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공기 유도관(240)은 "ㄷ" 형상으로 구비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 예이고 공기 유입관과 공기 분사관(260)을 직결하여 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방식도 있다.
에어 차단부 (300)
에어 차단부(300)는 비드 건(100)의 본체(120)에 위치한다.
이 에어 차단부(300)는 몇 가지 실시 예가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역류 현상을 이용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도색장치(10)는 글라스 비드와 고휘도 우천형 비드가 본체(120)의 확관부(142)에 연결된 투입구(40)를 통해 공급될 때 에어 공급부(200)에서 공급된 공기압을 이용하여 이들 혼합 비드를 분사공급하되, 분사가 끝나면 상기 에어 차단부(300)에 구비된 차단 노즐(320)을 개방하여 이를 통해 공기를 역류시켜 분사를 차단시키는 것이다.
다시 말해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 노즐(320)로 바이패스 즉 빼냄으로써 비드의 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에어 차단부(300)는 일방향성 밸브 혹은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운전자 혹은 작업자가 전기적인 신호를 보내면 이들이 작동하여 에어를 차단함과 아울러, 컴프레셔(220)의 동작을 멈추게 하는 것이다.
가이드부 (400)
가이드부(4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삼각형으로 구성된 전면 및 후면(420) 사이에 간격을 두고, 이들 전후면판(420) 사이에 가이드편(440)을 두어 이들 사이로 혼합 비드가 분사되도록 하는 것으로, 분사되는 혼합 비드가 넓게 그리고 정확한 위치에 분사되도록 한다.
다음은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차량의 트레일러에 각 탱크(30)가 탑재되고, 비드 건(100)과 살포기(22)는 차량의 저부에 위치하여 도로에 페인트와 비드가 살포되도록 하는 것이다.
먼저, 차량의 운전자는 차선을 그리고자 하는 위치까지 차량을 이동시켜 스위치를 ON시키면 본 발명의 장치(10) 앞에 위치한 살포기(22)가 용융 탱크(20)에서 자유 낙하 방식으로 공급된 페인트를 도로에 살포한다.
1차 페인트 살포가 이루어진 다음, 본 발명을 구성하는 컴프레셔(220)가 동작하고, 각 탱크 즉 고휘도 우천형 비드의 저장 탱크(32)와 글라스 비드 저장 탱크(34)가 개방되어 투입구(40)에 비드를 공급한다.
각 비드는 자유 낙하 방식으로 공급되며 비드 건(100)의 본체 확관부(142)에 도달함과 동시에 에어 공급된다.
상기 압축 공기는 에어 공급부(200)의 컴프레셔(220)에서 공급된 공기가 분사되는 것으로, 상기 컴프레셔(220)의 공기는 상부체(60)에 구비된 공기 유입관(62)과 공기 유도관(240)을 통해 공기 분사관(260)으로 공급되고, 이 공기 분사관(260)에서 압축 공기가 분사되어 확관부(142)에 도달한 혼합 비드를 강제 토출시키는 것이다.
물론 이들 비드는 가이드 부(400)를 따라 도로 깊숙히 파고들어 응고됨으로써 그 수명이 연장된다.
한편, 차선 도색이 완성되면, 운전자는 또 다른 스위치를 가동하고, 이 신호에 따라 차단 노즐(320)이 개방된다.
차단 노즐(320)이 개방되면, 컴프레셔에서 공급되는 공기는 이 차단 노즐(320)로 유입되고, 동시에 공기 분사관(260)의 주입공(262) 상부에서 역으로 흡입력이 발생하여 비드의 투입이 차단되는 것이다.
10 : 도색 장치 20 : 용융 탱크
30, 32 : 비드 탱크 100 : 비드 건
120 : 본체 140 : 하부체
160 : 연결판 200 : 에어 공급부
220 : 컴프레셔 240 : 공기 유도관
260 : 공기 분사관 300 : 에어 차단부
320 : 차단 노즐 400 : 가이드 부

Claims (6)

  1. 페인트를 용융하여 공급하는 용융탱크를 구비하고, 이 용융탱크에 공급된 페인트를 도로에 살포하여 차선을 그리는 도색 장치에 있어서,
    글라스 비드와 고휘도 우천형 비드가 각각 저장되는 저장탱크;
    상기 각 저장탱크와 연결되는 Y자형 투입구;
    상부체와 본체 그리고 하부체가 순차적으로 조립되고, 상기 투입구는 하부체에 연결되어 비드가 공급되도록 하는 비드 건;
    상기 상부체에 컴프레셔와 연결되는 공기 유입관을 구비하고, 본체의 내측 중앙에 위치하는 공기 분사관과 상기 공기 유입관을 공기 유도관으로 연결하여 공기가 분사되도록 하는 에어 공급부;
    상기 에어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역류시켜 비드의 분사를 차단하는 에어 차단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휘도 우천형 비드 건을 갖는 융착식 스프레이 차선 도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 건은 본체의 상부에 컴프레셔와 연결되는 공기 유입관을 갖는 상부체가 나사 결합으로 조립되고, 본체의 하부에 확관부를 갖는 하부체가 조립되도록 하되, 이 하부체에 가이드부가 조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휘도 우천형 비드 건을 갖는 융착식 스프레이 차선 도색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진 전, 후면 사이에 가이드편을 두어 이들 사이로 글라스 비드와 고휘도 우천형 비드가 도로에 분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휘도 우천형 비드 건을 갖는 융착식 스프레이 차선 도색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공급부는 비드 건의 본체와 상부체를 연결하는 "ㄷ"형 공기 유도관을 구비하되, 상기 공기 유도관의 상단은 상부체와 구비된 공기 유입관과 연결되고 하부는 본체에 구비된 공기 분사관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휘도 우천형 비드 건을 갖는 융착식 스프레이 차선 도색장치.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차단부는 본체와 연결되는 차단 노즐을 구비하며 운전자의 신호에 따라 상기 차단 노즐이 개방되어 공기 유도관에 공급된 공기를 역류시켜 공기 분사관의 주입공에서 역으로 흡입력이 발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휘도 우천형 비드 건을 갖는 융착식 스프레이 차선 도색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차단부는 일방향성 밸브 또는 솔레노이드를 사용하여 공기 분사관의 주입공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휘도 우천형 비드 건을 갖는 융착식 스프레이 차선 도색장치.
KR1020110007130A 2011-01-25 2011-01-25 고휘도 우천형 비드 건을 갖는 융착식 스프레이 차선 도색장치 KR101108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130A KR101108873B1 (ko) 2011-01-25 2011-01-25 고휘도 우천형 비드 건을 갖는 융착식 스프레이 차선 도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130A KR101108873B1 (ko) 2011-01-25 2011-01-25 고휘도 우천형 비드 건을 갖는 융착식 스프레이 차선 도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8873B1 true KR101108873B1 (ko) 2012-01-31

Family

ID=45614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7130A KR101108873B1 (ko) 2011-01-25 2011-01-25 고휘도 우천형 비드 건을 갖는 융착식 스프레이 차선 도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88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0665B1 (ko) * 2017-01-26 2017-11-23 (유) 한빛글로벌 차선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102056474B1 (ko) * 2019-07-31 2019-12-16 최성호 고성능 노면표시용 융착 스프레이 차선 도색장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3460A (ko) * 2001-12-31 2002-02-20 최장선 융착식 차선도색차량
KR100346415B1 (en) 2001-09-20 2002-08-21 Gungyo Co Ltd Uneven traffic lane painting device and traffic lane painting method using same
KR20030061657A (ko) * 2002-01-15 2003-07-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에틸렌 제조용 촉매 및 이를 이용한 에틸렌 제조방법
KR20100059113A (ko) * 2008-11-26 2010-06-04 유한회사 삼신기업 선명한 차선 도색구조를 갖는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6415B1 (en) 2001-09-20 2002-08-21 Gungyo Co Ltd Uneven traffic lane painting device and traffic lane painting method using same
KR20020013460A (ko) * 2001-12-31 2002-02-20 최장선 융착식 차선도색차량
KR20030061657A (ko) * 2002-01-15 2003-07-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에틸렌 제조용 촉매 및 이를 이용한 에틸렌 제조방법
KR20100059113A (ko) * 2008-11-26 2010-06-04 유한회사 삼신기업 선명한 차선 도색구조를 갖는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0665B1 (ko) * 2017-01-26 2017-11-23 (유) 한빛글로벌 차선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102056474B1 (ko) * 2019-07-31 2019-12-16 최성호 고성능 노면표시용 융착 스프레이 차선 도색장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57273A (en) Apparatus for marking a surface
KR100721510B1 (ko)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시공법
KR101351307B1 (ko) 도로의 차선도색장치
KR101483848B1 (ko) 차선 도색용 도료용융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선 도색기
US8308394B2 (en) Vacuum-operated material transfer system and method
KR102071866B1 (ko) 듀얼구동 제어 및 3축 제어를 이용한 자동 차선도장장치
KR101771587B1 (ko) 분사각 조절이 가능한 이액형 차선도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공법
KR101965160B1 (ko) 차선 자동 도색장치
KR101252655B1 (ko) 돌출차선표시용 시공장치
KR101108873B1 (ko) 고휘도 우천형 비드 건을 갖는 융착식 스프레이 차선 도색장치
KR100501992B1 (ko) 차선도색차량
KR101392886B1 (ko)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
KR101344370B1 (ko) 이액형 돌출차선도색장치 및 돌출차선도색공법
KR100984646B1 (ko) 비드분사조절기를 구비한 차선도포기
KR101133570B1 (ko) 선명도를 향상시킨 차선 및 상기 선명도를 향상시킨 차선의 스프레이 융착식 선명도향상차선 도색장치와 선명도향상차선 도색방법
KR101493778B1 (ko) 스프레드 노즐형 차선 시공장치
KR102170443B1 (ko) 차선 도색용 분사장비
KR101279431B1 (ko) 수동식 차선 도색장치
KR20130059955A (ko) 차선 도색장치
KR101662463B1 (ko) 다기능을 갖는 차선도색 시공방법
KR101554451B1 (ko) 소형차선도색차량
KR101112778B1 (ko) 비드분사각 조절용 반사갓을 구비한 차선도포기
KR101058489B1 (ko) 인젝션노즐을 이용한 미끄럼방지 시공장치
KR102085865B1 (ko) 차선 도색용 분사장비
KR101387584B1 (ko) 도료 및 경화제를 정밀하게 혼합할 수 있는 혼합 파이프를 포함하는 차선 도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선 도색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