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7044B1 - 분사식으로 융착도료를 도색할 수 있는 소형 자주식 차선 도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선 도색 공법 - Google Patents

분사식으로 융착도료를 도색할 수 있는 소형 자주식 차선 도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선 도색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7044B1
KR101557044B1 KR1020140084683A KR20140084683A KR101557044B1 KR 101557044 B1 KR101557044 B1 KR 101557044B1 KR 1020140084683 A KR1020140084683 A KR 1020140084683A KR 20140084683 A KR20140084683 A KR 20140084683A KR 101557044 B1 KR101557044 B1 KR 101557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lane
fused
bead
spr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4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원준
Original Assignee
(주)하이에코트래픽
(주)우암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에코트래픽, (주)우암건설 filed Critical (주)하이에코트래픽
Priority to KR1020140084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70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7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7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 E01C23/22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by spra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05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mounted on vehicles or designed to apply a liquid on a very large surface, e.g. on the road, on the surface of large contai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1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 E01C19/16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for applying or spreading liquid materials, e.g. bitumen slurries
    • E01C19/17Application by spraying or thro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1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 E01C19/20Apparatus for distributing, e.g. spreading, granular or pulverulent materials, e.g. sand, gravel, salt, dry b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Repair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소형화시키면서 용융 도료의 제조 및 저장시 화학적 변형 및 물리적 변형이 발생하지 않은 분사식으로 융착도료를 도색할 수 있는 소형 자주식 차선 도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선 도색 공법에 관한 것으로, 열전도 매체를 통해 용융 도료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융착 도료 저장부와 비드 및 융착 도료를 분사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차선 도색부와, 상기 차선 도색부에 탈, 부착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진 차량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차선 도색부 및 차량부를 소형으로 구성하되, 차량부에 착석부를 탈, 부착 가능한 형태로 형성하여 유지관리의 용이함 및 이동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고, 용융 도료의 저장 및 제조시 열전도 매체를 통한 중탕 형태로 용융 도료의 온도를 유지하여 도료의 화학적 변형 및 물리적 변형 없이 공급할 수 있으며, 용융 도료를 제조하는 원재료 용융수단을 원료를 공급하는 탱크와 전기를 생성하는 발전기를 일체로 형성하여 공간활용 및 전체적 구성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는 분사식으로 융착도료를 도색할 수 있는 소형 자주식 차선 도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선 도색 공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분사식으로 융착도료를 도색할 수 있는 소형 자주식 차선 도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선 도색 공법{apparatus for painting traffic lane and method for painting traffic lane}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소형화시키면서 용융 도료의 제조 및 저장시 화학적 변형 및 물리적 변형이 발생하지 않은 분사식으로 융착도료를 도색할 수 있는 소형 자주식 차선 도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선 도색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선 도색 장치는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이 이동하는 주행면을 따라 자동으로 도료를 분사 및 살포하는 장치를 의미하며, 다양한 종류의 도료를 이용하거나, 또는 열가소성 수지를 용융하여 살포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살포면의 시인성 향상을 위하여 빛의 반사율이 뛰어난 유리조각들로 이루어진 비드(bead)를 함께 살포하게 되는데, 이러한 비드는 우천 시 또는 야간에 주행하는 차량의 전조등에 의하여 빛을 반사하게 되고 이러한 재귀반사율을 이용하여 운전자는 차선을 육안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차선 도색 장치에 사용되는 도료는 별도의 에어콤프레셔(air-compressor)에서 가해지는 공기에 도료를 함께 혼합하여 분사하는 방식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때 스프레이 건(분사노즐)의 입구가 주행면을 향하도록 차량에 고정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기 설정된 분사 압력, 분사 순서, 분사 간격 및 분사 시간에 따라 도료를 분사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차선 도색 장치에 관해 살펴보면, 한국등록특허 제10-1035420호는 차선 다중 도색 장치와 이를 이용한 차선 도색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에 고정된 도료 분사부 및 글라스비드 분사부를 통해 도로에 도료 및 크기가 상이한 글라스 비드들을 적어도 한번 이상 분사하도록 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지며, 차량의 조명에 의한 글라스비드의 재귀반사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상술한 종래의 차선 도색 장치를 살펴보면, 도료 분사부 및 글라스비드 분사부는 상측 또는 하측방향으로 높낮이가 이동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차량에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은 차량의 속도가 일정한 경우에는 별 문제점이 없지만, 차량의 속도가 달라지는 경우에는 도색된 차선의 모양, 두께 및 크기가 일정하지 않게 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예를 들어, 주행면에서 상측으로 30cm 이격된 상태에 고정된 도료 분사부가 차량의 주행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도료를 분사를 한다고 가정하면, 압력부의 분사압력을 달리함으로써 도료의 분사량을 조절하여 살포되는 차선의 두께는 조절할 수 있지만 문제는 일정해야 하는 차선의 너비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이다.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하게 되면 차량의 정면으로부터 불어오는 바람에 의해 분사되는 도료의 가장자리는 바람에 흩날리게 된다. 분사되는 도료의 중심부는 압력에 의하여 어느 정도 직선으로 살포될 수 있지만, 중심부를 벗어난 가장자리는 압력이 약해 바람에 의해 흩날리면서 불규칙적인 형태로 도색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차선의 형태를 일정하게 도색하려면 차량의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반드시 가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368458호(2014.02.21.), "차선 폭을 일정하게 도색 할 수 있는 차선 도색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상기 대한민국등록특허의 경우 주제와 경화제로 이루어진 2액형의 도료에 의한 것이다.
또한, 상술한 대한민국등록특허의 경우 기존의 차량을 개조하여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지비용, 보관비용 및 이동시 발생하는 비용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분사식으로 융착도료를 도색할 수 있는 소형 자주식 차선 도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선 도색 공법은 차선 도색부 및 차량부를 소형으로 구성하되, 차량부에 착석수단을 탈, 부착 가능한 형태로 형성하여 유지관리의 용이함 및 이동의 편리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용융 도료의 저장 및 제조시 열전도 매체를 통한 중탕 형태로 용융 도료의 온도를 유지하여 도료의 화학적 변형 및 물리적 변형 없이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용융 도료를 제조하는 원재료 용융수단을 원료를 공급하는 탱크와 전기를 생성하는 발전기를 일체로 형성하여 공간활용 및 전체적 구성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차선 도색부 및 차량부를 소형으로 구성하되, 차량부에 착석수단을 탈, 부착 가능한 형태로 형성하여 유지관리의 용이함 및 이동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용융 도료의 저장 및 제조시 열전도 매체를 통한 중탕 형태로 용융 도료의 온도를 유지하여 도료의 화학적 변형 및 물리적 변형 없이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용융 도료를 제조하는 원재료 용융수단을 원료를 공급하는 탱크와 전기를 생성하는 발전기를 일체로 형성하여 공간활용 및 전체적 구성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사식으로 융착도료를 도색할 수 있는 소형 자주식 차선 도색 장치를 촬영한 사진.
도 2는 도 1을 다른 각도에서 촬영한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융착 도료 저장부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사식으로 융착도료를 도색할 수 있는 소형 자주식 차선 도색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다른 원재료 용융수단을 도시한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차선 도색을 위한 소형으로 이루어진 차선 도색부(50)와 상기 차선 도색부(50)를 운행하기 위해 차선 도색부(50)에 결합되어 있는 소형의 차량부(60)와 차선 도색부(50)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70) 및 차선 도색부(50)에서 이용하는 융착 도료를 용융하여 공급하기 위한 원재료 용융수단(80)으로 구성된다.
우선, 차선 도색부(50)에 대해 살펴보면,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융착 도료 저장부(10)는 차선 도색부(50)를 통해 차선 도색을 할 때에 소요되는 융착 도료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융착 도료를 저장하는 융착 도료 저장용기(11)가 구성되고, 이 융착 도료 저장용기(11)의 외측으로 열전도 매체(12)가 수납될 수있는 열전도 매체 저장용기(12)가 이중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상기 열전도 매체 저장용기(12)는 융착 도료 저장용기(11)의 측면 및 하부 전체를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열전도 매체 저장용기(12)에는 제1 열원 공급수단(13)이 연결되어 열전도 매체 저장용기(12)에 수납되어 있는 열전도 매체에 열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소형으로 제작되는 만큼 상기 제1 열원 공급수단(13)의 연료는 일상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가스통 형태의 가스저장부(13a)가 이용되며, 이 가스저장부(13a)의 가스를 매개로 열원을 공급할 수 있는 버너(13b)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융착 도료 저장부(10)의 융착도료 저장용기(11)에 수납되어 있는 융착 도료는 합성수지를 용융시켜 얻은 도료로서 일정 온도 이하가 되면 굳어지게 되어 사용이 불가하게 되기 때문에, 제1 열원 공급수단(13)에 의해 발생하는 열원은 융착 도료 저장용기(11) 내의 융착도료가 190 ∼ 210℃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열원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작동하며, 이때에, 융착 도료 저장용기(11) 내의 온도 유지는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융착 도료 저장용기(11) 내의 온도를 검지할 수 있는 수단을 더 구비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융착 도료 분사부(20)는 상기 융착 도료 저장부(10)에 저장되어 있는 융착 도료를 작업면에 분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작업면이 통상 하부면이므로, 노즐이 바닥면을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융착 도료 분사부(20)는 도 4에서와 같이 차선 도색부(50)의 일측면 또는 양 측면에 각각 1개소 이상씩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비드 분사부(40)는 비드 저장부(30)에 저장되어 있는 비드를 공급받아 융착 도료 분사부(20)를 통해 작업면에 분사되어 있는 융착 도료 표면에 비드를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비드 분사부(40)의 위치는 융착 도료 분사부(20) 보다 후미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비드 분사부(40)는 융착 도료 분사부(20)가 형성된 개수만큼 그 후미에 각각 1개소씩 형성될 수 있으며, 비드의 양을 더 많게 하거나 또는 다양한 색상의 비드를 형성하고자 할 경우에는 융착 도료 분사부(20)의 후미에 2개소 이상의 비드 분사부(40)를 형성해 하나의 융착 도료 분사부(20)에서 도색한 차선의 표면에 비드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차량부(60)는 상술한 차선 도색부(50)와 연결되어 차선 도색부(50)를 운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차선 도색부(50)와 결합하기 위한 프레임(61)과 운행이 가능하도록 바퀴(62)가 구성되어 있으며, 바퀴(62)를 구동하기 위한 엔진 형태의 동력수단(63)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차선 도색부(50)에 형성된 융착 도료 저장부(10)의 제1 열원 공급수단(13)에 포함되어 있는 가스 저장부(13a)를 수납하기 위한 가스 수납대(64)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부(70)는 상술한 차선 도색부(50)의 구성요소인 융착 도료 분사부(20), 비드 저장부(30)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70)는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융착 도료 분사부(20) 및 비드 분사부(40)의 높이, 분사각도, 분사압력, 분사량을 사용자가 셋팅한 값에 의해 차선의 두께, 폭을 조정하고, 차량부(60)와 연계되어 차량부(60)의 속도에 따라 상술한 융착 도료 분사부(20) 및 비드 분사부(40)의 높이, 분사각도, 분사압력, 분사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있다.
물론, 상기와 같은 제어부(70)에 의해 제어되는 융착 도료 분사부(20) 및 비드 분사부(40)에는 도면에서는 상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높이 조절을 위한 구성, 각도 조절을 위한 구성, 분사량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 분사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되어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원재료 용융수단(8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원재료 용융수단(80)은 도 5에서와 같이 차선 도색부(50)의 용착 도료 저장부(10)에 형성되어 있는 융착 도료 저장용기(11)에 수납되는 융용 도료를 용융시키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는 원재료를 수납하기 위한 프리히터(81)와 상기 프리히터(81)에 열원을 공급하기 위한 버너(82) 및 프리히터(81)에는 전원을 공급하고 버너(82)에는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 및 전원 공급수단(83)이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프리히터(81)는 융착용기(81a) 내에 수납된 원재료를 용융시키기 위해 원재료가 수납된 내측에 열전도 매체가 순환하는 제2 열전도 수납용기(81b)가 형성되어 중탕의 형태로 원재료를 용융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에, 상기 버너(82)를 통해 프리히터(81)의 융착용기(81a)로 전달되는 열원은 약 190 ∼ 230℃의 온도를 공급하여 융착용기(81a) 내의 원재료를 용융시킬 수 있도록 작동한다.
특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연료 및 전원 공급수단(83)은 통상의 발전기 형태로 구성되며, 이 발전기에는 별도의 연료통이 구비되어 버너(82)에 연료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원재료 용융수단(80)은 자주식으로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별도의 차량에 탑재하여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해 착석수단(90)이 더 구성된다.
상기 착석수단(90)은 도면에서는 상세히 도시되지 않았지만 홀에 축이 삽입되어 결합하되 레버를 통해 잠금 및 잠금해제가 가능한 연결수단(J)에 의해 차량부(60)에 탈, 부착 가능한 형태로 연결되는 통상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측으로 작업자가 앉을 수 있는 착석부(91)와 하측의 발판(92)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작업자가 착석부(91)에 앉았을 때에, 제어부(70)를 조작할 수 있을 정도의 위치에 착석이 이루어지도록 거리 및 높이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소형 자주식 차선 도색 장치의 작용효과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소형 자주식 차선 도색장치(100)는 차선 도색을 위해 도료 및 비드를 분사하는 소형의 차선 도색부(50)와 상기 차선 도색부(50)를 작업자가 운행할 수 있도록 소형의 차량부(60)에 탈, 부착되는 소형의 착석수단(90)이 구비되어 작업자가 이를 이용해 차선 도색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그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차선 도색부(50)에 형성된 융착 도료 저장부(10)의 융착도료 저장용기(11)에 수납된 융착도료를 분사하는 융착도료 분사부(20)와 비드 저장부(40)에 수납된 비드를 분사하는 비드 분사부(40)를 작업자가 제어부(70)를 조작하여 높이, 분사량, 분사각도, 분사량을 조절하면서 작업면에 도료 및 비드를 순차적으로 분사시킨다.
특히,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도료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를 용융시켜 얻은 도료이기 때문에 일정 온도를 유지하지 않을 경우 융착 도료가 융착 도료 저장용기(11) 내에서 굳어지게 되어 장비의 망실을 초래함은 물론 원활한 차선 도색 작업이 어렵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제1 열원 공급수단(13)을 통해 융착 도료 저장용기(11)내에 저장되어 있는 융착도료가 190 ∼ 210℃를 유지할 수 있도록 열원을 공급하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융착 도료 저장부(10)에서의 열원 공급은 융착 도료 저장용기(11)에 직접 열원을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융착 도료 저장용기(11) 외측에 열전도 매체가 수납되어 있는 열전도 매체 저장용기(12)와 제1 열원 공급수단(13)이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열전도 매체가 1차로 열원을 공급받은 후 이를 융착 도료 저장용기(11)로 전달하여 융착 도료가 굳는 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직접 열을 가하는 방식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융착 도료의 변색이나 물성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차선 도색부(50)와 차량부(60)는 소형으로 제작되어 있고, 특히, 차량부(60)에 착석수단(90)이 탈착 및 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융착 도료의 도색 및 비드의 분사 작업은 종래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되, 작업 현장에 투입시 운반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차선 도색부(50)에 형성된 융착 도료 저장부(10)의 융착 도료 저장용기(11)에 열원을 공급하는 제1 열원 공급수단(13)은 통상의 가스통 형태인 가스저장부(13a)를 열원의 재료로 이용하고, 이 가스저장부(13a)를 차량부(60)의 가스 수납대(64)에 탈, 부착 가능한 형태로 결합하여 소형화시켰기 때문에 전체적 구성의 소형화로 인한 운반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제어부(70)를 통해 차선 도색부(50)의 융착 도료 분사부(10)와 비드 분사부(40)의 분사각도, 높이, 분사량, 분사압력 등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가 설정하는 값에 따라 차선의 폭, 두께 및 차선의 간격 등을 조절할 수 있고, 특히, 차량부(60)의 속도에 따라 상술한 값을 모두 조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차선 도색부(50)의 융착 도료 저장부(10)에 형성된 융착도료 저장용기(11)에 저장되는 융착 도료를 제조하기 위한 원재료 용융수단(80)이 더 구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은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계열의 소재를 용융시켜 형성된 용융도료를 이용한다.
이러한, 원재료의 용융작업은 높은 온도를 가하여 작업이 이루어지는 만큼 용융시 열과 맞닿는 부분에서 원재료의 물성변화가 발생하거나 또는 원재료의 손상을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원재료를 용융하는 원재료 용융수단(80)을 중탕과 같은 형태로 열원을 공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의 원재료 용융수단(80)은 원재료가 저장되는 융착용기(81a)와 이 융착용기(81a)의 내측으로 열전도 매체가 수납될 수 있는 제2 열전도 수납용기(81b)로 이루어진 프리히터(81)를 구성하였으며, 이 프리히터(81)에 열을 공급하면서 원재료 용융수단(8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연료 및 전원 공급수단(83)을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융착용기(81a)에 저장되어 있는 원재료는 버너(82)에 의해 열원을 공급받는 제2 열전도 수납용기(81b)에 수납된 열전도 매체가 1차 가열이 이루어지면서 열원을 제차 융착용기(81a)로 전달하여 열원과의 직접적인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원재료의 물성변화가 발생하지 않음은 물로 원재료의 손상도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주식으로서 전체적인 구성을 소형화시킴으로써 이동이 수월하기 때문에 어떠한 환경에서도 적용이 가능하고, 융착 도료의 제작 및 제작 후 이를 분사하기 위해 저장할 때에 중탕 방식으로 용융 도료를 제조 및 저장할 수 있어 용융재료의 화학적 구성의 변화 및 손상 없이 이용하여 양질의 도색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명시한다.
50 : 차선 도색부
10 : 융착 도료 저장부
11 : 융착 도료 저장용기 12 : 열전도 매체 저장용기
13 : 제1 열원 공급수단 13a : 가스저장부 13b : 버너
20 : 융착 도료 분사부
30 : 비드 저장부
40 : 비드 분사부
60 : 차량부
61 : 프레임 62 : 바퀴 63 : 동력수단 64 : 가스 수납대
70 : 제어부
80 : 원재료 용융수단
81 : 프리히터 81a : 융착용기 81b : 제2 열전도 수납용기
82 : 버너
83 : 연료 및 전원 공급수단
90 : 착석수단
91 : 착석부 92 : 발판 J : 연결수단
100 : 소형 자주식 차선 도색 장치

Claims (10)

  1. 융착 도료를 저장하기 위한 융착 도료 저장용기(11)가 형성되고, 상기 융착도료 저장용기(11)의 외측에 형성되어 열전도 매체를 수납하기 위한 열전도 매체 저장용기(12)가 이중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열전도 매체 저장용기(12)에 열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 1 열원 공급수단(13)으로 구성된 융착 도료 저장부와(10),
    상기 융착 도료 저장부(10)에서 공급받은 도료를 분사하는 융착 도료 분사부(20)와,
    비드를 저장하는 비드 저장부(30)와,
    상기 비드 저장부(30)에서 비드를 공급받아 분사하는 비드 분사부(40)를 포함하는 차선 도색부(50)와;
    상기 차선 도색부(50)에 결합하는 프레임(61)과 차선 도색부(50)를 이동시킬 수 있는 동력수단(63) 및 바퀴(62)로 구성되는 차량부(60);
    상기 차선 도색부(5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70);로 이루어지며,
    상기 차선 도색부(50)의 융착 도료 저장부(10)에 형성된 제1 열원 공급수단(13)은 가스저장부(13a)에서 공급되는 매체를 이용하여 열전도 매체 저장용기(12)의 열전도 매체를 가열하는 버너(13b)로 구성되며, 열전도 매체의 온도가 190 ∼ 210℃를 유지하도록 제어부(70)를 통해 제어되고,
    상기 차량부(60)에는 연결수단(J)에 의해 탈, 부착이 가능하도록 착석부(91)와 발판(92)으로 구성된 착석수단(9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며,
    융착 도료를 용융하기 위해 원재료를 공급받아 용융시키기 위한 융착 용기(81a)가 형성되고, 상기 융착 용기(81a)의 원재료가 수납된 공간 내를 통과하되 열전도 매체를 수납하기 위한 제2 열전도 수납용기(81b)가 이중 구조로 이루어진 프리히터(81)와 상기 프리히터(81)에 형성된 제2 열전도 수납용기(81b)의 열전도 매체를 가열하기 위한 버너(82)와 상기 버너(82)에 연료를 공급하면서 프리히터(8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연료 및 전원 공급수단(83)으로 이루어진 용융수단(80)이 더 포함되되,
    원재료 용융수단(80)에서의 버너(82)는 융착 용기(81a)에 수납된 원재료가 190 ∼ 230℃의 온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작동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분사식으로 융착 도료를 도색할 수 있는 소형 자주식 차선 도색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선 도색부(50)의 융착 도료 분사부(20)와 비드 분사부(40)는 차선 도색부(50)의 일측면 또는 양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분사식으로 융착도료를 도색할 수 있는 소형 자주식 차선 도색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선 도색부(50)의 융착 도료 분사부(20)와 비드 분사부(40)는 차량부(60)의 이동방향으로 1개소 또는 그 이상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분사식으로 융착도료를 도색할 수 있는 소형 자주식 차선 도색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선 도색부(50)의 융착 도료 분사부(20)와 비드 분사부(40)는 2개소 이상의 차선 도색을 위해 차량부(60)의 이동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이격간격을 두고 2개소 이상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소형 자주식 차선 도색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70)는 차선 도색부(50)의 융착 도료 분사부(20)와 비드 분사부(40)의 높이, 분사각도, 분사압력, 분사량을 제어하여 차선의 폭, 도막의 두께, 길이를 제어할 수 있도록 작동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분사식으로 융착도료를 도색할 수 있는 소형 자주식 차선 도색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항, 제 3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소형 자주식 차선 도색 장치를 이용한 차선도색 공법에 있어서,
    중탕 방식으로 원재료를 용융할 수 있는 용융수단을 통해 원재료를 용융하기 위한 190 ∼ 230℃의 온도로 용융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용융된 융착 도료가 굳지 않는 온도 범위 내에서 저장하기 위해 190 ∼ 210℃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중탕 방식으로 열원을 공급받는 융착 도료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차선 도색부의 융착 도료 저장부 및 비드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융착 도료 및 비드를 차선에 분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분사식으로 융착도료를 도색할 수 있는 소형 자주식 차선 도색 장치를 이용한 차선 도색 공법.
KR1020140084683A 2014-07-07 2014-07-07 분사식으로 융착도료를 도색할 수 있는 소형 자주식 차선 도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선 도색 공법 KR101557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4683A KR101557044B1 (ko) 2014-07-07 2014-07-07 분사식으로 융착도료를 도색할 수 있는 소형 자주식 차선 도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선 도색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4683A KR101557044B1 (ko) 2014-07-07 2014-07-07 분사식으로 융착도료를 도색할 수 있는 소형 자주식 차선 도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선 도색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7044B1 true KR101557044B1 (ko) 2015-10-13

Family

ID=54348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4683A KR101557044B1 (ko) 2014-07-07 2014-07-07 분사식으로 융착도료를 도색할 수 있는 소형 자주식 차선 도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선 도색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704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9259B1 (ko) 2021-08-23 2022-06-15 조현우 차선 도색차량용 차선 안내장치
KR102539513B1 (ko) * 2022-09-15 2023-06-01 진영천 자동화된 차선 도색 장치
CN116716786A (zh) * 2023-06-15 2023-09-08 广东新粤交通投资有限公司 公路标线质量监测系统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075B1 (ko) * 2008-10-01 2009-12-08 (주)선광라인 콤팩트화된 동력식 노면 표시 도색장치
KR101054789B1 (ko) * 2011-01-05 2011-08-05 주식회사 알에스테크 차선표시 시설장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075B1 (ko) * 2008-10-01 2009-12-08 (주)선광라인 콤팩트화된 동력식 노면 표시 도색장치
KR101054789B1 (ko) * 2011-01-05 2011-08-05 주식회사 알에스테크 차선표시 시설장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9259B1 (ko) 2021-08-23 2022-06-15 조현우 차선 도색차량용 차선 안내장치
KR102539513B1 (ko) * 2022-09-15 2023-06-01 진영천 자동화된 차선 도색 장치
CN116716786A (zh) * 2023-06-15 2023-09-08 广东新粤交通投资有限公司 公路标线质量监测系统及方法
CN116716786B (zh) * 2023-06-15 2023-12-15 广东新粤交通投资有限公司 公路标线质量监测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5002B1 (ko) 스프레드 노즐 선택이 가능한 복합식 차선 시공장치
KR101557044B1 (ko) 분사식으로 융착도료를 도색할 수 있는 소형 자주식 차선 도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선 도색 공법
KR100721510B1 (ko)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시공법
KR101709545B1 (ko) 차선도료 균일 토출용 디퓨저 노즐
CN104203584A (zh) 用于印刷对象的方法
KR102071866B1 (ko) 듀얼구동 제어 및 3축 제어를 이용한 자동 차선도장장치
KR102216624B1 (ko) 돌출부 일체형 융착식 우천형 차선도색 시공장비와 이를 활용한 시공방법
KR101454634B1 (ko) 복합 융착식 차선도색장치
KR101483848B1 (ko) 차선 도색용 도료용융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선 도색기
JPH05168987A (ja) 液化被覆材で物体を被覆する装置
US10364537B2 (en) Constructing apparatus and method of guide line for road
KR20060083532A (ko) 차량용 차선 도색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차선 도색 방법
KR101392886B1 (ko)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
KR101482224B1 (ko) 차선 도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설 및 보수 차선 도색 공법
KR101632722B1 (ko) 차선폭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자주식 스프레이 방식의 차선 도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선 도색 공법
US20090272488A1 (en) Vehicle coating method and coating line
KR101368458B1 (ko) 차선 폭을 일정하게 도색 할 수 있는 차선 도색 장치 및 방법
KR20020013460A (ko) 융착식 차선도색차량
KR102116032B1 (ko) 스프레드차선 및 돌출차선 복합 시공 시스템
KR101493778B1 (ko) 스프레드 노즐형 차선 시공장치
KR101252657B1 (ko) 돌출형 차선 시공장치
KR101747370B1 (ko) 융착식 차선 도색장치
KR101662463B1 (ko) 다기능을 갖는 차선도색 시공방법
CN103103915A (zh) 车载式喷涂聚脲自动道路标线车
KR100708324B1 (ko) 수직 벽 방수시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