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4861A - 차선 도색용 분사장비 - Google Patents

차선 도색용 분사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4861A
KR20190064861A KR1020170164136A KR20170164136A KR20190064861A KR 20190064861 A KR20190064861 A KR 20190064861A KR 1020170164136 A KR1020170164136 A KR 1020170164136A KR 20170164136 A KR20170164136 A KR 20170164136A KR 20190064861 A KR20190064861 A KR 20190064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torage box
painting
lane
pa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4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5865B1 (ko
Inventor
경 곤 김
Original Assignee
경 곤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 곤 김 filed Critical 경 곤 김
Priority to KR1020170164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5865B1/ko
Publication of KR20190064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4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 E01C23/22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by spra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인트는 물론 글라스 비드 등과 같은 도색용 소재를 보다 효율적으로 분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차선 도색용 분사장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페인트나 비드를 공급하기 위한 소재 저장박스와, 이 저장박스의 내측 하단부에 배치되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어 소재의 공급여부를 조절하기 위한 함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저장박스 및 하우징 사이에는 유통로가 형성됨과 동시에 저장박스의 하측 선단부에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함체는 하우징 내에서 수직으로 승,하강하면서 저장박스의 토출구를 차단하거나 개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함체 내에는 파이프를 통해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소재가 저장박스의 토출구 측으로 하향 분사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구성요소가 간단하여 장비 제작은 물론 작업시의 취급이 간편하고, 종전과 같이 값비싼 대형 장비를 이용할 필요없어 시공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도색부분의 폭이나 두께를 일률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도색용 소재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선 도색용 분사장비{SPRAYING DEVICE FOR PAINTING TRAFFIC LANE}
본 발명은 차도의 노면(路面)에 구획되는 표시선을 도색하기 위한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페인트(Paint)는 물론 글라스 비드(Glass bead) 등과 같은 도색용 소재를 보다 효율적으로 분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차선 도색용 분사장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 도로에는 교통에 대한 경계나 안내를 목적으로 노면에 표시를 하여 질서를 유지하게 되며, 특히 안전에 따른 차선 도색을 통하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차량이 통행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표시된다.
즉, 차선의 경우 도로의 중앙에 표시되어 주행방향을 분리하기 위한 중앙선이나 차로를 구분하기 위한 주행선으로 크게 구분되며, 이 밖에도 갓길이나 횡단 보도선, 주차선 등이 도색된다.
차선의 도색작업은, 수동식 마킹장비를 이용하여 직접 도로 상에 차선을 도색하기도 하였으나 작업 진행의 신속성 결여로 인한 공사기간의 장기화를 초래하기 때문에 근래 들어 자동으로 차선을 도색할 수 있는 여러 장비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도로 노면의 차선 도색장비와 관련하여, 등록특허 제0346415호, 제0346416호 등의 공보에는 이액형 도료를 사용하는 차선도색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장치는 주제와 경화제를 배합기 등에서 혼합한 후에 스프레이건 등을 통해 분사하면서 차선을 도색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할 경우에 경화제에 의해 스프레이건 내부에서 도료가 굳어버리기 때문에 연속 도색작업에 상당한 어려움을 초래하게 된다.
또, 공개특허 제2010-0056591호 공보에는 도색 차량용 도료분사노즐에 대해 개시되어 있으나 이 경우에는 압축공기에 의해 분사되는 페인트가 확산되어 넓게 분산됨에 따라 차선에 도포되는 두께가 얇고 도료가 차선폭 밖으로 퍼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한편, 도로 표시선을 도색할 때 빛을 반사시킬 수 있는 미세한 입자형태의 유리가루(통상 "비드"라 칭함)를 표시선의 도료 상면에 흡착시킴으로써 차량의 전조등이나 가로등의 빛을 반사시켜 선명하게 표출되도록 하는 수단이 제안되어 있다.
즉, 등록특허 제1389296호나 제1389297호 공보에 개시된 「차선 도색기용 비드분사장치」의 경우, 회전 밸브 및 임펠러의 회전 속도를 맞추기 어려워 각 블레이드 사이의 수용부로 비드를 균일하게 공급하지 못함으로써 도색된 차선으로 뿌려지는 비드의 양이 일정하지 않고, 또 케이스 하부의 개구부가 넓게 형성되어 도료가 칠해진 부분 이외의 부분으로 비드가 비산되어 낭비되는 단점이 있다.
통상의 노면 표시용 도색장비에 있어서는, 융착식 도료가 비교적 좁은 폭으로 배출됨에 따라 통상의 차선과 같은 노면 표시선을 도색하는 데에는 유용한 면이 있으나 횡단 보도 표시선과 같이 비교적 넓은 폭의 노면 표시선을 도색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색된 부분과 이음부분이 일치되도록 조정하면서 도색장비를 3∼4회 왕복 주행하여 도색해야만 한다.
따라서, 도색작업에 상당한 노동력과 시간이 소요됨은 물론 노면 표시선들이 서로 겹쳐져서 부분적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차량 주행에 의해 영향을 주게 되고, 또 도색되지 않는 빈 공간이 생겨 다시 작업을 행해야 함은 물론 노면 형상에 관계없이 균일하게 도포할 수 없다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공개특허 제2010-0056591호(2010.05.28 공개) -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용 도료분사노즐. 공개특허 제2013-0011576호(2013.01.30 공개) - 횡단 보도용 차선도색장치. 등록특허 제0400820호(2003.09.24 등록) - 차선 도포기. 등록특허 제1524746호(2015.05.26 등록) - 5 내지 45cm 폭의 횡단 보도 도색이 가능한 광폭 가변형 노면표시 장비용 도색모듈. 등록특허 제1595462호(2016.02.12 등록) - 차선, 횡단 보도, 문자기호의 미끄럼방지 도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 공법.
본 발명의 목적은 소재 저장박스로부터 공급되는 페인트나 비드 등의 도색용 소재를 일정 압력으로 분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균일한 도색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소재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선 도색용 분사장비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반 구성을 간단히 하여 장비 자체의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작업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어 차선 도색에 가장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차선 도색용 분사장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선 도색용 분사장비는, 페인트나 비드를 공급하기 위한 소재 저장박스와, 이 저장박스의 내측 하단부에 배치되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어 소재의 공급여부를 조절하기 위한 함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저장박스 및 하우징 사이에는 유통로가 형성됨과 동시에 저장박스의 하측 선단부에 유출구 및 토출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함체는 하우징 내에서 수직으로 승,하강하면서 저장박스의 토출구를 차단하거나 개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함체 내에는 파이프를 통해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소재가 저장박스의 토출구 측으로 하향 분사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함체의 상단부 양측에는 안내봉이 설치되어 하우징에 수평으로 장착된 격벽의 구멍을 통해 조립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함체 내에는 통공을 갖는 타공판이 설치되어 파이프를 통해 공급되는 에어를 저장박스의 토출구 측으로 분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선 도색용 분사장비의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는, 차도의 노면에 구획되는 표시선들을 도색하기 위한 차선 도색용 분사장비에 있어서, 페인트나 비드를 공급하기 위한 소재 저장박스와, 이 저장박스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소재를 펌핑 공급하는 작동유닛과, 이 작동유닛으로부터 소재를 받아 공급하기 위한 중계박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계박스의 일측에는 하우징 및 함체가 각각 구비됨과 동시에 하우징과의 사이에 유통로가 형성되어 소재를 하측 선단부에 형성된 유출구 및 토출구 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함체는 하우징 내에서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수직으로 승,하강하면서 중계박스의 유출구를 차단하거나 개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 상기 작동유닛은 소재 저장박스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케이싱 내에 날개편을 갖는 회전체가 장착되어 이루어지고 이 회전체는 케이싱의 중심에서 일측으로 치우쳐 설치되며, 상기 함체의 상단부에는 안내봉이 설치되어 하우징에 수평으로 장착된 격벽의 구멍을 통해 조립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차선 도색용 분사장비는, 구성요소가 매우 간단하여 장비 제작은 물론 작업시의 취급이 간편하고, 종전과 같이 값비싼 대형 장비를 이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시공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외부로 분출되는 소재의 양을 적절히 조절하여 도색부분의 폭이나 두께를 일률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승,하강 구동수단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작동하는 함체를 이용하여 저장박스로부터 도색용 소재가 누출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선 도색용 분사장비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2는 분사장비를 정면에서 본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분사장비의 단면도,
도 4는 저장박스로부터 소재가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함체가 하강하여 저장박스가 차단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지만 이들이 갖는 특정 구조 및 기능은 하나의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선 도색용 분사장비는 크게 페인트나 비드를 공급하기 위한 소재 저장박스(10)와, 이 저장박스의 내측 하단부에 배치되는 하우징(20)과, 이 하우징(20)의 내부에 장착되어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이동하는 함체(3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소재 저장박스(10)의 상단부 일측에는 페인트나 비드 등의 소재를 선택적으로 투입하기 위한 관로(11)가 장착되어 있으며, 대략 중앙부에는 브라켓(12) 상에 고정 설치되는 실린더(13)가 구비되어 있다.
또, 상기 저장박스(10)는 하부로 향해 내측으로 경사진 측벽(14a,14b) 및 수직벽으로 이루어져 끝단부에 유출구(15a)를 가짐에 따라 도색용 소재가 자중에 의해 하측 선단부에 형성된 토출구(15b) 측으로 하향 이동할 수 있다.
각 도면에서는 저장박스(10)로부터 토출구(15b) 측까지 일체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토출구(15b) 부분을 분리하여 간단히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경우, 토출구(15b)의 개방 폭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게 되므로 분출되는 소재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은 저장박스(10) 내의 양측에 유통로(21a,21b)를 갖도록 고정 설치됨과 동시에 상단부에는 구멍(23a)을 갖는 격벽(22)이 수평으로 가설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13)의 로드(Lod)가 끼워지는 유통관(23b)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함체(30)는 하우징(20) 내에서 수직으로 승,하강하면서 저장박스(10)의 유출구(15a)를 차단하거나 개방시킬 수 있게 되며, 함체(30)의 상단부 양측에는 안내봉(31a)이 설치되어 하우징(20)에 형성된 격벽(22)의 구멍(23a)을 통해 조립된다.
상기 함체(30) 내에는 다수의 통공(33a)을 갖는 타공판(32)이 설치되어 파이프(34)를 통해 공급되는 에어를 이용하여 저장박스(10)의 토출구(15b) 측으로 소재가 하향 분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파이프(34)를 통해 공급되는 에어의 경우 도시하지 않은 통상의 콤프레셔(Compressor)의 작동에 의해 제공할 수 있는 것이며, 이 에어는 함체(30) 내로 유입됨과 동시에 타공판(32)에 형성된 통공(33a)을 통해 하향 분사된다.
상기 함체(30)의 상단부 중앙에는 실린더(13)의 로드가 결속되어 함체(30)를 승,하강 작동시킴에 따라 저장박스(10)의 토출구(15b)를 개폐할 수 있게 되며, 이 실린더(13)의 작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공지의 제어수단에 의해 함체(30) 내부로 에어를 공급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34)의 경우, 함체(30)의 승,하강 동작과 함께 연동할 수 있도록 저장박스(10) 및 하우징(20)에 형성된 장공(16a,24a)을 개재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차선의 도색작업을 위하여 실린더(13)를 작동시키게 되면 로드에 의해 함체(30)가 승강 이동함과 동시에 저장박스(10)의 유출구(15a)를 개방상태로 유지한다.
이어서, 저장박스(10)로부터 소재가 유통로(21a,21b)를 따라 하향 공급되어 유출구(15a) 및 토출구(15b) 측으로 흘러내리게 되고, 이 때 콤프레셔의 작동에 의해 생성된 에어는 파이프(34)를 통해 함체(30)의 내측으로 유입됨과 동시에 타공판(32) 측으로 하향 분사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저장박스(10) 및 하우징(20) 사이의 유통로(21a,21b) 측으로 흘러내린 페인트 혹은 비드 등의 도색용 소재는 에어 압력에 의해 토출구(15b) 측으로 분사되면서 도로 표면에 차선 도색작업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예에서는 하우징(20) 내에서 승,하강하는 함체(30)의 경우, 실린더(13)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작동하도록 구성한 예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함체(30)의 측벽에 축을 연결시킨 상태에서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캠(Cam)의 회전력을 이용하거나 혹은 수동방식으로 함체(30)를 승,하강 작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 에어 공급을 행하지 않고 소재를 펌핑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이 변형예에서는 페인트나 비드를 공급하기 위한 소재 저장박스(40)와, 이 저장박스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소재를 펌핑 공급하는 작동유닛(50)과, 이 작동유닛으로부터 소재를 받아 공급하기 위한 중계박스(60)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소재 저장박스(40)의 상단부에는 페인트나 비드 등과 같은 도색용 소재를 선택적으로 투입하기 위한 관로(41a)가 장착되어 있는 동시에 하측 선단부에는 케이싱(41b)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작동유닛(50)은 소재 저장박스(40)에 형성된 케이싱(41b) 내에 날개편(51b)을 갖는 회전체(51a)가 장착되어 구성되고, 이 회전체(51a)는 케이싱(41b)의 중심에서 일정 간극(a)을 두고 한쪽으로 치우쳐 설치된 상태에서 모터(도시 생략)의 구동시에 회전된다.
도색용 소재는 케이싱(41b)의 하단부 일측에 형성된 유입관(41c)을 통해 중계박스(60)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중계박스(60)의 일측에는 하우징(61) 및 함체(62)가 각각 구비됨과 동시에 하우징(61)과의 사이에 유통로(63a)가 형성되어 소재를 하측 선단부에 형성된 유출구(64a) 및 토출구(64b) 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함체(62)는 하우징(61) 내에서 실린더(65)의 작동에 의해 수직으로 승,하강하면서 중계박스(60)의 유출구(64a)를 차단하거나 개방시킬 수 있게 되며, 상기 함체(62)의 상단부에는 안내봉(66a)이 설치되어 하우징(61)에 수평으로 장착된 격벽(67a)의 구멍(67b)을 통해 조립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차선의 도색작업을 위하여 실린더(65)를 작동시키게 되면 로드에 의해 함체(62)가 승강 이동함과 동시에 저장박스(40)의 유출구(64a)를 개방상태로 유지한다.
이어서, 도시하지 않은 모터의 구동에 의해 작동유닛(50)을 구성하는 회전체(51a) 및 날개편(51b)의 회전함에 따라 소재를 유입관(41c)을 거쳐 중계박스(60) 측으로 이송시킴과 동시에 유통로(63a)를 따라 하향 공급되어 유출구(15a) 및 토출구(15b) 측으로 흘러내리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저장박스(10) 및 하우징(20) 사이의 유통로(63a) 측으로 흘러내린 페인트 혹은 비드 등의 도색용 소재는 작동유닛(50)의 펌핑 압력에 의해 토출구(15b) 측으로 분사되면서 도로 표면에 차선 도색작업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선 도색용 분사장비는, 구성요소가 매우 간단하여 장비 제작은 물론 작업시의 취급이 간편하고, 종전과 같이 값비싼 대형 장비를 이용할 필요없어 시공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외부로 분출되는 소재의 양을 적절히 조절하여 도색부분의 폭이나 두께를 일률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승,하강 구동수단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작동하는 함체를 이용하여 저장박스로부터 도색용 소재가 누출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10: 소재 저장박스 11: 관로
12: 브라켓 13: 실린더
14a,14b: 측벽 15a: 유출구
15b: 토출구 16a: 장공
20: 하우징 21a,21b: 유통로
22: 격벽 23a: 구멍
23b: 유통관 24a: 장공
30: 함체 31a: 안내봉
32: 타공판 33a: 통공
34: 파이프 40: 소재 저장박스
41a: 관로 41b: 케이싱
41c: 유입관 50: 작동유닛
51a: 회전체 51b: 날개편
60: 중계박스 61: 하우징
62: 함체 63a: 유통로
64a: 유출구 64b: 토출구
65: 실린더 66a: 안내봉
67a: 격벽 67b: 구멍

Claims (6)

  1. 차도의 노면에 구획되는 표시선들을 도색하기 위한 차선 도색용 분사장비에 있어서,
    페인트나 비드를 공급하기 위한 소재 저장박스(10)와, 이 저장박스의 내측 하단부에 배치되는 하우징(20)과, 이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어 소재의 공급여부를 조절하기 위한 함체(3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저장박스(10) 및 하우징(20) 사이에는 유통로(21a,21b)가 형성됨과 동시에 저장박스(10)의 하측 선단부에 유출구(15a) 및 토출구(15b)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함체(30)는 하우징(20) 내에서 수직으로 승,하강하면서 저장박스(10)의 유출구(15a)를 차단하거나 개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함체(30) 내에는 파이프(34)를 통해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소재가 저장박스(10)의 토출구(15b) 측으로 하향 분사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도색용 분사장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30)의 상단부 양측에는 안내봉(31a)이 설치되어 하우징(20)에 수평으로 장착된 격벽(22)의 구멍(23a)을 통해 조립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도색용 분사장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30) 내에는 통공(33a)을 갖는 타공판(32)이 설치되어 파이프(34)를 통해 공급되는 에어를 저장박스(10)의 토출구(15b) 측으로 분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도색용 분사장비.
  4. 차도의 노면에 구획되는 표시선들을 도색하기 위한 차선 도색용 분사장비에 있어서,
    페인트나 비드를 공급하기 위한 소재 저장박스(40)와, 이 저장박스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소재를 펌핑 공급하는 작동유닛(50)과, 이 작동유닛으로부터 소재를 받아 공급하기 위한 중계박스(60)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계박스(60)의 일측에는 하우징(61) 및 함체(62)가 각각 구비됨과 동시에 하우징과의 사이에 유통로(63a)가 형성되어 소재를 하측 선단부에 형성된 유출구(64a) 및 토출구(64b) 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함체(62)는 하우징(61) 내에서 실린더(65)의 작동에 의해 수직으로 승,하강하면서 중계박스(60)의 유출구(64a)를 차단하거나 개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도색용 분사장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닛(50)은 소재 저장박스(40)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케이싱(41a) 내에 날개편(51b)을 갖는 회전체(51a)가 장착되어 이루어짐과 동시에 이 회전체는 케이싱의 중심에서 일측으로 치우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도색용 분사장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62)의 상단부에는 안내봉(66a)이 설치되어 하우징(61)에 수평으로 장착된 격벽(67a)의 구멍(67b)을 통해 조립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도색용 분사장비.
KR1020170164136A 2017-12-01 2017-12-01 차선 도색용 분사장비 KR102085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136A KR102085865B1 (ko) 2017-12-01 2017-12-01 차선 도색용 분사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136A KR102085865B1 (ko) 2017-12-01 2017-12-01 차선 도색용 분사장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861A true KR20190064861A (ko) 2019-06-11
KR102085865B1 KR102085865B1 (ko) 2020-03-06

Family

ID=66847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4136A KR102085865B1 (ko) 2017-12-01 2017-12-01 차선 도색용 분사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58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4817A (ko) * 2022-04-08 2023-10-17 유한회사 이성기업 도료의 온도 유지가 뛰어난 자주식 도료 분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6314B1 (ko) * 2022-02-23 2022-12-09 유한회사 이성기업 도료의 균일정압배출이 가능한 자주식 도료 배출 장치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820B1 (ko) 2000-10-25 2003-10-10 하스라인기계건설 주식회사 차선도포기
JP2008545914A (ja) * 2005-06-09 2008-12-18 ポッターズ インダストリ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公道マーキング球供給装置
KR20100056591A (ko) 2008-11-20 2010-05-28 유한회사 삼신기업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용 도료분사노즐
KR100970874B1 (ko) * 2010-03-25 2010-07-16 주식회사 뉴젠 비데의 관장용 노즐
KR20130011576A (ko) 2011-07-22 2013-01-30 주식회사 진산기계 횡단보도용 차선도색장치
KR101252655B1 (ko) * 2012-12-11 2013-04-09 (주)라인테크 돌출차선표시용 시공장치
KR101524746B1 (ko) 2014-10-15 2015-06-01 대동안전주식회사 5 내지 45cm 폭의 횡단보도 도색이 가능한 광폭 가변형 노면표시장비용 도색모듈
KR101595462B1 (ko) 2015-10-21 2016-02-18 (주)우암건설 차선, 횡단보도, 문자기호의 미끄럼방지 도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 공법
KR20160115597A (ko) * 2015-03-27 2016-10-06 주식회사 시명 차선도색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820B1 (ko) 2000-10-25 2003-10-10 하스라인기계건설 주식회사 차선도포기
JP2008545914A (ja) * 2005-06-09 2008-12-18 ポッターズ インダストリ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公道マーキング球供給装置
KR20100056591A (ko) 2008-11-20 2010-05-28 유한회사 삼신기업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용 도료분사노즐
KR100970874B1 (ko) * 2010-03-25 2010-07-16 주식회사 뉴젠 비데의 관장용 노즐
KR20130011576A (ko) 2011-07-22 2013-01-30 주식회사 진산기계 횡단보도용 차선도색장치
KR101252655B1 (ko) * 2012-12-11 2013-04-09 (주)라인테크 돌출차선표시용 시공장치
KR101524746B1 (ko) 2014-10-15 2015-06-01 대동안전주식회사 5 내지 45cm 폭의 횡단보도 도색이 가능한 광폭 가변형 노면표시장비용 도색모듈
KR20160115597A (ko) * 2015-03-27 2016-10-06 주식회사 시명 차선도색기
KR101595462B1 (ko) 2015-10-21 2016-02-18 (주)우암건설 차선, 횡단보도, 문자기호의 미끄럼방지 도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 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4817A (ko) * 2022-04-08 2023-10-17 유한회사 이성기업 도료의 온도 유지가 뛰어난 자주식 도료 분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5865B1 (ko) 2020-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2255B1 (ko) 차량 장착형 도로표시장치
KR20190064861A (ko) 차선 도색용 분사장비
WO2017186970A1 (en) Mobile mark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rking a ground surface
CN103691592B (zh) 一种树杆电线杆涂白机
CA2437292A1 (en) Spray gun with improved pre-atomization fluid mixing and breakup
KR101709545B1 (ko) 차선도료 균일 토출용 디퓨저 노즐
KR20190051449A (ko) 차선 도색용 분사장비
KR101493778B1 (ko) 스프레드 노즐형 차선 시공장치
KR102116032B1 (ko) 스프레드차선 및 돌출차선 복합 시공 시스템
KR101279431B1 (ko) 수동식 차선 도색장치
KR20130059955A (ko) 차선 도색장치
CN211463586U (zh) 一种防喷嘴堵塞的风送式喷雾机
TWI583461B (zh) Nozzle and metal die casting machine with the nozzle
KR102149650B1 (ko) 차선 도색용 페인트 분사장치
CN2741670Y (zh) 渐变色自动喷涂机
KR20060104642A (ko) 도료분사장치
KR101892665B1 (ko) 차선 도색용 페인트 분사장치
KR102217894B1 (ko) 노면 표시용 도색기
KR101931054B1 (ko) 풍압저항력이 향상된 2액형 도료 차선도색장치
KR102140946B1 (ko) 디퓨저 홀이 형성된 차선시공용 스프레이 노즐
KR101554451B1 (ko) 소형차선도색차량
CN218951926U (zh) 一种公路施工用划线设备
KR102138236B1 (ko) 횡단 보도용 도색장비
KR101108873B1 (ko) 고휘도 우천형 비드 건을 갖는 융착식 스프레이 차선 도색장치
KR102375742B1 (ko) 노면표시 페인트 분사장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