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5742B1 - 노면표시 페인트 분사장비 - Google Patents

노면표시 페인트 분사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5742B1
KR102375742B1 KR1020190127464A KR20190127464A KR102375742B1 KR 102375742 B1 KR102375742 B1 KR 102375742B1 KR 1020190127464 A KR1020190127464 A KR 1020190127464A KR 20190127464 A KR20190127464 A KR 20190127464A KR 102375742 B1 KR102375742 B1 KR 102375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valve
painting
unit
divi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7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4398A (ko
Inventor
경 곤 김
정종수
Original Assignee
경 곤 김
정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 곤 김, 정종수 filed Critical 경 곤 김
Priority to KR1020190127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5742B1/ko
Publication of KR20210044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4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5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 E01C23/22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by spra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통에 담긴 페인트를 고르게 분출시켜 도색할 수 있도록 구성된 노면표시 페인트 분사장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노면에 구획되는 표시선을 도색하기 위한 노면표시 페인트 분사장비에 있어서, 페인트 저장통과, 이 페인트 저장통의 하단부에 연이어 배치되어 있는 배출유닛과, 이 배출유닛으로부터 페인트의 공급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분사유닛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페인트 저장통은 사각통의 하부가 호퍼형으로 구성됨과 동시에 하부 끝단에 토출구를 갖는 플랜지 및 페인트를 채워넣기 위한 공급관이 구비되고, 상기 배출유닛은 원통형 하우징 내에 모터의 가동에 의해 회전하는 축 및 이 축의 외주면에 날개를 갖도록 구성된 임펠러가 배치되며, 상기 분사유닛은 리니어모터의 구동에 의해 수평으로 왕복이동하는 랙기어 및 이 랙기어에 맞물려 정,역 회동하는 피니언을 포함하여 케이싱 내에서 작동하도록 구성된 밸브로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노면표시 페인트 분사장비 {Spray device for painting traffic lane}
본 발명은 노면(路面)에 구획되는 각종 표시선을 도색하기 위한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장통에 담긴 페인트를 고르게 분출시켜 도색할 수 있도록 구성한 노면표시 페인트 분사장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 도로에는 교통에 대한 경계나 안내를 목적으로 노면에 표시를 행하여 질서를 유지하게 되며, 특히 안전에 따른 차선 도색에 의해 정해진 규칙에 따라 차량이 통행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표시된다.
즉, 차선의 경우 도로의 중앙에 표시되어 주행방향을 분리하기 위한 중앙선이나 차로를 구분하기 위한 주행선으로 크게 구분되며, 이 밖에도 갓길이나 횡단 보도선, 주차선 등이 도색된다.
차선의 도색작업은, 수동식 마킹장비를 이용하여 직접 도로 상에 차선을 도색하기도 하였으나 작업 진행의 신속성 결여로 인한 공사기간의 장기화를 초래하기 때문에 근래 들어 자동으로 차선을 도색할 수 있는 여러 장비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도로 노면의 차선 도색장비와 관련하여, 등록특허 제0346415호, 제0346416호 등의 공보에는 이액형 도료를 사용하는 차선도색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장치는 주제와 경화제를 배합기 등에서 혼합한 후에 스프레이건 등을 통해 분사하면서 차선을 도색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할 경우에 경화제에 의해 스프레이건 내부에서 도료가 굳어버리기 때문에 연속 도색작업에 상당한 어려움을 초래하게 된다.
또, 공개특허 제2010-0056591호 공보에는 도색 차량용 도료분사노즐에 대해 개시되어 있으나 이 경우에는 압축공기에 의해 분사되는 페인트가 확산되어 넓게 분산됨에 따라 차선에 도포되는 두께가 얇고 도료가 차선폭 밖으로 퍼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한편, 도로 표시선을 도색할 때 빛을 반사시킬 수 있는 미세한 입자형태의 유리가루(통상 "비드"라 칭함)를 표시선의 도료 상면에 흡착시킴으로써 차량의 전조등이나 가로등의 빛을 반사시켜 선명하게 표출되도록 하는 수단이 제안되어 있다.
즉, 등록특허 제1389296호나 제1389297호 공보에 개시된 「차선 도색기용 비드분사장치」의 경우, 회전 밸브 및 임펠러의 회전 속도를 맞추기 어려워 각 블레이드 사이의 수용부로 비드를 균일하게 공급하지 못함으로써 도색된 차선으로 뿌려지는 비드의 양이 일정하지 않고, 또 케이스 하부의 개구부가 넓게 형성되어 도료가 칠해진 부분 이외의 부분으로 비드가 비산되어 낭비되는 단점이 있다.
통상의 노면 표시용 도색장비에 있어서는, 융착식 도료가 비교적 좁은 폭으로 배출됨에 따라 통상의 차선과 같은 노면 표시선을 도색하는 데에는 유용한 면이 있으나 횡단 보도 표시선과 같이 비교적 넓은 폭의 노면 표시선을 도색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색된 부분과 이음부분이 일치되도록 조정하면서 도색장비를 3∼4회 왕복 주행하여 도색해야만 한다.
따라서, 도색작업에 상당한 노동력과 시간이 소요됨은 물론 노면 표시선들이 서로 겹쳐져서 부분적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차량 주행에 의해 영향을 주게 되고, 또 도색되지 않는 빈 공간이 생겨 다시 작업을 행해야 함은 물론 노면 형상에 관계없이 균일하게 도포할 수 없다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공개특허 제2010-0056591호(2010.05.28 공개) -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용 도료분사노즐. 공개특허 제2013-0011576호(2013.01.30 공개) - 횡단 보도용 차선도색장치. 등록특허 제0400820호(2003.09.24 등록) - 차선 도포기. 등록특허 제1524746호(2015.05.26 등록) - 5 내지 45cm 폭의 횡단 보도 도색이 가능한 광폭 가변형 노면표시 장비용 도색모듈. 등록특허 제1595462호(2016.02.12 등록) - 차선, 횡단 보도, 문자기호의 미끄럼방지 도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 공법.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문제를 고려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페인트 저장통으로부터 분사유닛을 통해 분출되는 페인트를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도색부분의 폭이나 두께를 균일하게 할 수 있는 노면표시 페인트 분사장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페인트 저장통으로부터 분사유닛을 분할 구성함으로써 2개의 실선이나 점선을 동시에 도색할 수 있는 노면표시 페인트 분사장비를 제공함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비의 제반 구성을 간단히 하여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작업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어 차선 도색에 가장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노면표시 페인트 분사장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노면에 구획되는 표시선을 도색하기 위한 노면표시 페인트 분사장비에 있어서, 페인트 저장통과, 이 페인트 저장통의 하단부에 연이어 배치되어 있는 배출유닛과, 이 배출유닛으로부터 페인트의 공급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분사유닛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페인트 저장통은 사각통의 하부가 호퍼형으로 구성됨과 동시에 하부 끝단에 토출구를 갖는 플랜지 및 페인트를 채워넣기 위한 공급관이 구비되고, 상기 배출유닛은 원통형 하우징 내에 모터의 가동에 의해 회전하는 축 및 이 축의 외주면에 날개를 갖도록 구성된 임펠러가 배치되며, 상기 분사유닛은 리니어모터의 구동에 의해 수평으로 왕복이동하는 랙기어 및 이 랙기어에 맞물려 정,역 회동하는 피니언을 포함하여 케이싱 내에서 작동하도록 구성된 밸브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출유닛을 구성하는 하우징 내에는 제1 및 제2분할룸이 각각 양분되어 있는 동시에 이들 분할룸에는 임펠러가 분할 설치된 상태에서 커플링에 의해 상호 결속되어 하나의 모터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페인트 저장통의 바닥면 중앙에는 융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융기부를 중심으로 토출구가 각각 양측으로 분기되어 하나의 통 내에서 페인트를 나누어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삭제
또, 상기 제1 및 제2분할룸의 저면에는 페인트를 각각으로 분사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구획룸을 구비하며, 이들 구획룸 내에는 각각의 리니어모터의 구동에 의해 정,역 회동하는 밸브가 장착되어 페인트의 공급 여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노면표시 페인트 분사장비는, 페인트가 분사유닛을 통해 분출되는 과정에서 토출폭이 줄어들거나 또는 페인트의 중간 부분이 찢어지는 것처럼 비는 공간이 발생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페인트 저장통으로부터 분사유닛을 분할 구성함에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2개의 실선이나 점선을 동시에 도색할 수 있어 작업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구성요소가 매우 간단하여 장비 제작은 물론 작업시의 취급이 간편하고, 종전과 같이 값비싼 대형 장비를 이용할 필요없어 시공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등록특허 제1858445호의 차선 도색용 페인트 분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노면표시 페인트 분사장비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종단면 구성도,
도 8은 도 6의 횡단면 구성도,
도 9는 리니어모터 및 밸브의 연동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10의 (a)∼(c)는 2개의 선이 노면에 표시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지만 이들이 갖는 특정 구조 및 기능은 하나의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본 발명이 적용되는 바람직한 예로서 본 출원인이 앞서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는 특허 제1858445호에 개시된 관련기술을 발췌하여 설명하고, 또한 이에 따른 문제점을 도출한 후에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후술하고자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차선도색용 페인트 분사장치는 밸브(10)와 호퍼(20)가 결합된 것으로서, 밸브(10)의 상부 플랜지(11)와 호퍼(20)의 하부 플랜지(21)가 결합되어 밸브(10)가 개방되었을 때, 호퍼(20)의 페인트가 밸브(10)를 통해 토출된다.
밸브(10)는 밸브 하우징(110)의 중공부에 밸브 회전체(120)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며, 원통형으로 형성된 밸브 하우징(110)의 둘레면에 상부 유입구(111)와 하부 토출구(112)가 상하로 대응되게 형성되고, 원통형으로 형성된 밸브 회전체(120)에 상부 유입구(121)와 하부 배출구(122)가 상하로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호퍼(20)는 모서리가 하부로 향하도록 눕혀진 삼각기둥 형상을 이루어 내부에 페인트가 채워지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하부 토출구(211)가 형성된 하단부에 하부 플랜지(21)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부면(22)에 공급관(212)이 연결된다.
상기 밸브 하우징(110)에 대해 밸브 회전체(120)가 상대 회전하여 밸브 회전체(120)의 상부 유입구(121)와 하부 배출구(122)가 밸브 하우징(110)의 상부 유입구(111)와 하부 토출구(112)에 일치되면 개방 상태로 되고, 밸브 회전체(120)에 의해 밸브 하우징(110)의 상부 유입구(111)와 하부 토출구(112)가 막히면 닫힌 상태로 된다.
밸브 회전체(120)의 중공부에 기어펌핑 원통체(130)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개방 상태일 때 기어펌핑 원통체(130)가 회전함에 따라 페인트가 기어펌핑 원통체(130)에 의해 밸브 하우징(110)의 하부 토출구(112)에서 균일하게 펴진 상태로 토출된다.
상기 밸브(10)는 밸브 하우징(110)의 양 단부에 우측 마개(113)와 좌측 마개(115)가 각각 결합되며, 밸브 회전체(120)의 우측단에 캡(123)이 결합되고, 밸브 회전체(120)의 타단에 작동 샤프트(126)가 형성된다.
캡(123)의 받침 축돌기(124)가 우측 마개(113)의 센터구멍(114)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밸브 회전체(120)의 샤프트(126)가 좌측 마개(115)의 축구멍(116)을 회전 가능하게 관통하며, 샤프트(126)에 조절레버(140)의 일단이 직각으로 연결되고, 조절레버(140)의 타단에 실린더(150)의 커넥팅 로드(152)가 수직으로 연결된다.
기어펌핑 원통체(130)의 둘레에 다수개의 치차(133)가 형성되고, 기어펌핑 원통체(130)의 우측 회전축(131)이 캡(123)의 축구멍(125)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하며, 기어펌프 원통체(130)의 좌측 받침축(132)이 밸브 회전체(120)의 좌측단에 형성된 축받침홈(127)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기어펌핑 원통체(130)의 우측 회전축(131)으로 모터(160)의 동력이 전달된다.
이에 따라, 밸브(10)는 실린더(150)에 의해 밸브 회전체(120)가 각회전됨으로써, 밸브 회전체(120)에 의해 밸브 하우징(110)이 열리거나 닫히게 되고, 밸브 하우징(110)이 개방되었을 때, 모터(160)에 의해 기어펌핑 원통체(130)가 회전하게 됨으로써, 페인트가 기어펌핑 원통체(130)에 의해 밸브 하우징(110)의 하부 토출구(112)에서 토출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다른 예의 차선 도색용 페인트 분사장치는, 밸브(30)의 상부 플랜지(31)와 호퍼(40)의 하부 플랜지(41)가 결합되어 밸브(30)가 개방되었을 때 호퍼(40)의 페인트가 밸브(30)를 통해 토출된다.
호퍼(40)의 내부에 기어펌프(410)가 장착되어 기어펌프(410)가 밸브(30)의 상부에 배치되고, 밸브(10)는 호퍼(40)에 결합되는 밸브 하우징(310)과 밸브 하우징(310)의 중공부에 밸브 회전체(320)로 구성되며, 원통형으로 형성된 밸브 하우징(310)의 둘레면에 상부 유입구(311)와 하부 토출구(312)가 상하로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고, 원통형으로 형성된 밸브 회전체(320)에 밸브구멍(321)이 형성된다.
상기 밸브 하우징(310)에 대해 밸브 회전체(320)가 상대 회전하여 밸브 회전체(320)의 밸브구멍(321)이 밸브 하우징(310)의 상부 유입구(311)와 하부 토출구(312)에 일치되면 개방 상태가 되고, 밸브 회전체(320)에 의해 밸브 하우징(310)의 상부 유입구(311)와 하부 토출구(312)가 막히면 닫힌 상태로 된다.
밸브(10)가 개방 상태일 때 기어펌프(410)가 구동됨에 따라 호퍼(40)의 페인트가 기어 펌프(410)에 의해 밸브(30)를 통해 균일하게 토출된다.
도 4를 참조하면, 기어펌프(410)는 호퍼(40)의 좌측 경사면(42)과 우측 경사면(43)에 제1펌프 케이싱(411)과 제2펌프 케이싱(412)이 장착되어 제1펌프 케이싱(411)과 제2펌프 케이싱(412) 사이에 상부 흡입구(413)와 하부 토출구(414)가 형성되며, 제1펌프 케이싱(411)에 제1기어펌핑 원통체(415)가 배치되고, 제2펌프 케이싱(412)에 제2기어펌핑 원통체(416)가 배치되어 제1기어펌핑 원통체(415)와 제2기어펌핑 원통체(416)가 연동되며, 제1기어펌핑 원통체(415)로 모터(도시하지 않음)의 동력이 전달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기어펌프(410)는 호퍼(40)의 어느 한 경사면(42')에 펌프 케이싱(411')이 장착되어 이 펌프 케이싱(411')이 호퍼(40)의 반대편 경사면(43') 쪽으로 개방되고, 펌프 케이싱(411')에 기어펌핑 원통체(412')가 배치되어 이 기어펌핑 원통체(412')가 반대편 경사면(43')에 밀착됨으로써, 기어펌핑 원통체(412')에 의해 호퍼(40) 내의 페인트가 밸브(30)로 공급되는 것이 제어된다.
상기 기어펌프(410)는 하나의 기어펌핑 원통체(412')에 의해 호퍼(40)의 페인트가 밸브(30)로 제공되기 때문에 펌핑압은 없고, 호퍼(40)의 페인트가 폭방향으로 균일하게 펴진 상태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밸브 회전체(320)에 의해 밸브 하우징(310)이 열리거나 닫히게 되고, 밸브 하우징(310)이 개방되었을 때 기어펌프(410)가 구동됨으로써, 호퍼(40)의 페인트가 기어펌프(410)에 의해 밸브(30)를 통해 토출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에 있어서는 기어펌핑 원통체(130)에 의해 페인트가 밸브 하우징(110)의 하부 토출구(112)에서 토출될 때 페인트가 하부 토출구(112)의 폭(W1)과 일치되도록 하고자 한 것이지만, 도 3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폭(W2)이 줄어들거나 또는 페인트의 중간 부분이 찢어지는 것처럼 비는 공간(SP)이 발생하는 현상에서 확실하게 벗어날 수 없다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한편, 첨부된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노면표시 페인트 분사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각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페인트 저장통(50)과, 이 페인트 저장통의 하단부에 연이어 배치되어 있는 배출유닛(60)과, 이 배출유닛(60)으로부터 페인트의 공급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분사유닛(7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페인트 저장통(50)은 사각통의 하부가 호퍼형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페인트가 채워지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하부 끝단에 토출구(51)를 갖는 플랜지(52)가 형성됨과 동시에 페인트를 채워넣기 위한 공급관(53)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배출유닛(60)은 원통형 하우징(61)의 상단부에 플랜지(62a)가 형성되어 페인트 저장통(50)의 플랜지(52)와 볼트(63)로 체결되고, 페인트를 하향 유통시키기 위한 유입구(64a) 및 유출구(64b)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하우징(61) 내에는 모터(65)에 의해 회전하는 축(66a)의 외주면에 날개(66b)를 갖도록 구성된 임펠러(67)가 배치된다.
이에 따라, 모터(65)의 가동시에 하우징(61) 내의 임펠러(67)가 회전하면서 페인트 저장통(50)으로부터 소정량의 페인트를 분사유닛(70) 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분사유닛(70)은 리니어모터(71)의 구동에 의해 수평으로 왕복이동하는 랙기어(72) 및 이 랙기어(72)의 평면부에 형성된 치차에 맞물려 정,역 회동하는 피니언(73)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분사유닛(70)은 원통형 케이싱(74)의 상단부에 플랜지(75)가 형성되어 배출유닛(60)을 구성하는 하우징(61)의 하부 플랜지(62b)에 볼트(76)로 체결되며, 케이싱(74) 내에 경사 유통구(77a)를 갖는 밸브(78)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리니터모터(71)의 가동시에 밸브(78)가 회동하면서 배출유닛(60)을 통해 제공되는 소정량의 페인트를 지면을 향해 고르게 분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인트 저장통(50)의 내측 바닥면 중앙에 융기부(54)가 형성되어 있고, 이 융기부(54)를 중심으로 토출구(55a,55b)가 각각 양측으로 분기되어 하나의 통 내에서 페인트를 나누어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배출유닛(60)을 구성하는 원통형 하우징(61) 내에는 페인트 저장통(50)에 형성된 각각의 토출구(55a,55b)로부터 페인트를 유도하기 위한 제1 및 제2분할룸(68a,68b)을 구비하며, 이들 분할룸(68a,68b)에는 축(66a)과 날개(66b)로 이루어진 임펠러(67)가 양분되어 커플링(69)에 의해 상호 결속됨에 따라 하나의 모터(65)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분사유닛(70)을 구성하는 원통형 케이싱(74)에는 제1 및 제2구획룸(79a,79b)을 양측으로 분할 형성하여 배출유닛(60)의 분할룸(68a,68b)과 상호 일치하도록 배치함으로써 페인트를 각각으로 지면을 향해 분출시킬 수 있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구획룸(79a,79b) 내에는 각각의 리니어모터(71)의 가동에 의해 케이싱(74) 내에서 회동하는 밸브(78)가 장착되어 페인트의 공급 여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배출유닛(60)을 구성하는 모터(65)의 가동시에 원통형 하우징(61) 내의 임펠러(67)가 회전하면서 페인트 저장통(50)으로부터 소정량의 페인트를 분사유닛(70)의 토출구(55a,55b)를 통해 양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리니어모터(71)에 의해 랙기어(72) 및 피니언(73)이 작동하여 각각의 밸브(78)가 회동시킴에 따라 배출유닛(60)을 통해 제공되는 소정량의 페인트를 지면을 향해 양분하여 고르게 분출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도 10의 (a)∼(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유닛(60) 및 분사유닛(70)을 분할하여 구성한 경우 각각의 리니어모터(71)를 제어함으로써 소정 간격을 두고 2개의 실선(S1)을 동시에 도색하거나 혹은 실선(S1) 및 점선(S2)을 동시에 도색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노면표시 페인트 분사장비는, 페인트가 분사유닛을 통해 분출되는 과정에서 토출폭이 줄어들거나 또는 페인트의 중간 부분이 찢어지는 것처럼 비는 공간이 발생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페인트 저장통으로부터 분사유닛을 분할 구성함에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2개의 실선이나 점선을 동시에 도색할 수 있어 작업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구성요소가 매우 간단하여 장비 제작은 물론 작업시의 취급이 간편하고, 종전과 같이 값비싼 대형 장비를 이용할 필요없어 시공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50: 페인트 저장통 51: 토출구
52: 플랜지 53a: 공급관
54: 융기부 55a,55b: 토출구
60: 배출유닛 61: 하우징
62a,62b: 플랜지 63: 볼트
64a: 유입구 64b: 유출구
65: 모터 66a: 축
66b: 날개 67: 임펠러
68a: 제1분할룸 68b: 제2분할룸
69: 커플링 70: 분사유닛
71: 리니어모터 72: 랙기어
73: 피니언 74: 케이싱
75: 플랜지 76: 볼트
77a: 경사 유통구 78: 밸브
79a: 제1구획룸 79b: 제2구획룸

Claims (4)

  1. 노면에 구획되는 표시선을 도색하기 위한 노면표시 페인트 분사장비에 있어서,
    페인트 저장통(50)과, 이 페인트 저장통의 하단부에 연이어 배치되어 있는 배출유닛(60)과, 이 배출유닛(60)으로부터 페인트의 공급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분사유닛(7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페인트 저장통(50)은 사각통의 하부가 호퍼형으로 구성됨과 동시에 하부 끝단에 토출구(51)를 갖는 플랜지(52) 및 페인트를 채워넣기 위한 공급관(53)이 구비되고,
    상기 배출유닛(60)은 원통형 하우징(61) 내에 모터(65)의 가동에 의해 회전하는 축(66a) 및 이 축의 외주면에 날개(66b)를 갖도록 구성된 임펠러(67)가 배치되며,
    상기 분사유닛(70)은 리니어모터(71)의 구동에 의해 수평으로 왕복이동하는 랙기어(72) 및 이 랙기어에 맞물려 정,역 회동하는 피니언(73)을 포함하여 케이싱(74) 내에서 작동하도록 구성된 밸브(78)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출유닛(60)을 구성하는 하우징(61) 내에는 제1 및 제2분할룸(68a,68b)이 각각 양분되어 있는 동시에 이들 분할룸에는 임펠러(67)가 분할 설치된 상태에서 커플링(69)에 의해 상호 결속되어 하나의 모터(65)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표시 페인트 분사장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인트 저장통(50)의 바닥면 중앙에는 융기부(54)가 형성되어 있고, 이 융기부를 중심으로 토출구(55a,55b)가 각각 양측으로 분기되어 하나의 통 내에서 페인트를 나누어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표시 페인트 분사장비.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분할룸(68a,68b)의 저면에는 페인트를 각각으로 분사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구획룸(79a,79b)을 구비하며, 이들 구획룸 내에는 각각의 리니어모터(71)의 구동에 의해 정,역 회동하는 밸브(78)가 장착되어 페인트의 공급 여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표시 페인트 분사장비.
KR1020190127464A 2019-10-15 2019-10-15 노면표시 페인트 분사장비 KR102375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464A KR102375742B1 (ko) 2019-10-15 2019-10-15 노면표시 페인트 분사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464A KR102375742B1 (ko) 2019-10-15 2019-10-15 노면표시 페인트 분사장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4398A KR20210044398A (ko) 2021-04-23
KR102375742B1 true KR102375742B1 (ko) 2022-03-17

Family

ID=75738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7464A KR102375742B1 (ko) 2019-10-15 2019-10-15 노면표시 페인트 분사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574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1144B1 (ko) * 2017-06-09 2018-03-22 태광엔지니어링(주) 차선도색장치의 도료 분사노즐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3577B2 (ja) * 1994-08-08 2000-05-22 生物系特定産業技術研究推進機構 散布機
JPH08113370A (ja) * 1994-10-17 1996-05-07 Shohei Senda 粉粒体計量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粉粒体供給装置
KR100400820B1 (ko) 2000-10-25 2003-10-10 하스라인기계건설 주식회사 차선도포기
KR20100056591A (ko) 2008-11-20 2010-05-28 유한회사 삼신기업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용 도료분사노즐
KR101273438B1 (ko) 2011-07-22 2013-06-11 주식회사 진산기계 횡단보도용 차선도색장치
KR101524746B1 (ko) 2014-10-15 2015-06-01 대동안전주식회사 5 내지 45cm 폭의 횡단보도 도색이 가능한 광폭 가변형 노면표시장비용 도색모듈
KR101595462B1 (ko) 2015-10-21 2016-02-18 (주)우암건설 차선, 횡단보도, 문자기호의 미끄럼방지 도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 공법
KR101858445B1 (ko) * 2016-11-03 2018-05-17 주식회사 시명 차선 도색용 페인트 분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1144B1 (ko) * 2017-06-09 2018-03-22 태광엔지니어링(주) 차선도색장치의 도료 분사노즐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4398A (ko) 2021-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40566A (en) Captive mixing cap arrangement for multiple chamber container
KR101555524B1 (ko) 이액형 차선도색시스템
US3795364A (en) Apparatus for applying high viscosity mixture of reactive components
US5203507A (en) Air powered sprayer for dispensing material slurries
KR101570708B1 (ko) 이액형 차선 도색장치
KR102170443B1 (ko) 차선 도색용 분사장비
KR101965160B1 (ko) 차선 자동 도색장치
US4714179A (en) Positive displacement paint pushout apparatus
KR101824053B1 (ko) 이액형 문자 또는 기호 도색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색방법
CN104619424A (zh) 排气组件及包括所述排气组件的贮存器
KR102375742B1 (ko) 노면표시 페인트 분사장비
KR101858445B1 (ko) 차선 도색용 페인트 분사장치
KR102085865B1 (ko) 차선 도색용 분사장비
CN209124296U (zh) 一种旋转胶枪
KR102217894B1 (ko) 노면 표시용 도색기
CN112337667A (zh) 一种喷油防锈装置
US3622126A (en) Mixing rotor for plastic gun
KR101942046B1 (ko) 차선 도색용 페인트 분사장치
WO2005012140B1 (en) A spray applicator
KR102138236B1 (ko) 횡단 보도용 도색장비
KR101389297B1 (ko) 차선도색기용 비드분사장치
KR101549570B1 (ko) 이액형 노면표지용 도료 시공방법
CN208362877U (zh) 一种高压输送喷涂装置
CN208362878U (zh) 一种低压输送喷涂装置
KR102286650B1 (ko) 유리알 도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