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6650B1 - 유리알 도포장치 - Google Patents

유리알 도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6650B1
KR102286650B1 KR1020190118743A KR20190118743A KR102286650B1 KR 102286650 B1 KR102286650 B1 KR 102286650B1 KR 1020190118743 A KR1020190118743 A KR 1020190118743A KR 20190118743 A KR20190118743 A KR 20190118743A KR 102286650 B1 KR102286650 B1 KR 102286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rod
glass
supply pipe
air supply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8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6596A (ko
Inventor
이성일
유봉식
김형원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이성기업
유한회사 현대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이성기업, 유한회사 현대하이테크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이성기업
Priority to KR1020190118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6650B1/ko
Publication of KR20210036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6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 E01C23/20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by applying fusible particulate material to the surface, e.g. by means of a gaseous st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알 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 중공형으로 형성되되, 상부에는 가압부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분사부를 형성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장착되어 상기 가압부와 연결되는 제1 공기공급관; 상기 바디부에 장착되어 상기 분사부와 연결되는 제2 공기공급관; 상기 바디부 상단에 구비되어 유리알이 투입되는 관로를 형성하는 유리알 투입관; 상기 유리알 투입관과 연통되며 상기 가압부와 분사부를 구획하도록 바디부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1 공기공급관으로부터 전달되는 공압의 조절에 의해 상/하로 유동하며, 하단에는 상기 분사부와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분사홀을 형성하는 피스톤로드; 상기 피스톤로드 상단에 구비되어 피스톤로드를 하방으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 및 상기 피스톤로드 하단에 구비되어 피스톤로드가 하측에 위치할 경우에 상기 분사부의 분사구를 밀폐하는 밀폐노즐을 포함하는 유리알 도포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유리알 도포장치{Glass spray}
본 발명은 유리알 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료와 빛 반사체인 유리알을 동시에 분사하도록 하는 차선도포기에 사용되는 유리알 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면에는 다양한 형태의 차선이나 표시선 및 지시선과 같은 각종 도로표시선을 형성하여, 보행자나 운전자가 안전하게 보행하거나 주행하도록 보조하고 있다.
상기한 도로표시선은 주간뿐만 아니라 야간에도 식별할 수 있게 형성되어야 하므로, 종래에는 형광물질이 함유된 도포재료를 도포하여 사용함으로써 야간식별 등이 가능하게 했다.
그러나, 상기한 형광물질이 함유된 도포재료의 경우, 주행하는 차량에 의해 도로표시선의 표면에 이물질이 덮이게 되고, 이에 의해 야간에 충분한 식별력을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발생하곤 하였다.
이에 따라, 도로표시선을 도포할 때 빛을 반사할 수 있는 물체 즉, 미세한 입자 형태의 유리가루나 형광물질이 함유된 유리가루(이하 “유리알”이라 통칭함)를 도로표시선 상면에 흡착시켜 차량의 전조등이나 가로등의 빛을 반사토록 하여 더욱 선명하게 표시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유리가루를 도포하기 위한 종래의 유리알 도포장치는 분사량과 분사압력 등의 제어가 어렵고, 난분사성이 강하여 유리알이 원하는 위치에 정확히 안착할 수 없어 반사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구조가 복합하도록 형성되어 무게가 무거운 단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조립 및 유지보수가 불편하고 사용이 힘든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 분사량과 분사압력 등의 제어가 용이하며, 난분사성이 적어 유리알을 원하는 위치에 정확히 안착시킴으로써 반사효율을 높이고, 더욱이 구조를 단순하게 하여 조립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며 무게를 절감한 유리알 도포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리알 도포장치는, 중공형으로 형성되되, 상부에는 가압부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분사부를 형성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장착되어 상기 가압부와 연결되는 제1 공기공급관; 상기 바디부에 장착되어 상기 분사부와 연결되는 제2 공기공급관; 상기 바디부 상단에 구비되어 유리알이 투입되는 관로를 형성하는 유리알 투입관; 상기 유리알 투입관과 연통되며 상기 가압부와 분사부를 구획하도록 바디부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1 공기공급관으로부터 전달되는 공압의 조절에 의해 상/하로 유동하며, 하단에는 상기 분사부와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분사홀을 형성하는 피스톤로드; 상기 피스톤로드 상단에 구비되어 피스톤로드를 하방으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 및 상기 피스톤로드 하단에 구비되어 피스톤로드가 하측에 위치할 경우에 상기 분사부의 분사구를 밀폐하는 밀폐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디부는, 내부로 상기 가압부를 마련하되 일측에는 상기 제1 공기공급관이 장착되며, 상단에는 상기 유리알 투입관이 구비되고 하단에는 상기 피스톤로드와 밀착되도록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밀착부를 마련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 하단으로 결합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피스톤로드와 밀착되도록 제1 밀착부의 내주면과 동일 직경의 내주면을 갖는 제2 바디; 상기 연장부 외주면의 외측 방향으로 이격거리를 갖도록 상기 제2 바디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2 공기공급관이 장착되되, 하단에는 상기 연장부와 밀착되도록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공기유동홀을 형성하는 제2 밀착부를 마련하는 제3 바디 및 상기 제3 바디 하단으로 결합되며 내부로 상기 분사부를 마련하는 제4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로드는, 하측으로 유동될 경우에 상기 제1 밀착부에 걸림되도록, 상단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단차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홀은, 아치형으로 형성되되 3개가 마련되어 120°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 하단에 소정의 각도로 결합되어 분사되는 유리알을 확산시키는 확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확산부는, 상협하광의 상판; 상기 상판의 하측으로 이격거리를 형성하는 상협하광의 하판 및 상기 상판과 하판의 이격거리 사이의 측면부를 밀폐하는 2개의 측면판을 포함하며, 상기 상판과 하판 중 하나에는 상기 바디부 하단에 부착되기 위한 경사절곡부를 형성하며, 다른 하나에는 상기 바디부와 연통되기 위한 연통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개의 측면판은 모터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어 확산부의 확산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리알 도포장치는, 2개의 공기공급관의 공기 조절을 통해, 분사량, 분사압력 등을 쉽게 제어할 수 있으며, 특히 유리알 분사가 신속하고 원하는 위치에 정확히 이루어지도록 하여 차선의 반사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리알 도포장치는, 간단한 구조로써 상기 기술을 실현하므로 조립 및 유지보수가 간편하고, 무게절감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리알 도포장치는, 피스톤로드가 일정 범위 내에서 균일한 유동범위를 형성할 수 있으며, 가압부와 분사부로 공급되는 각각의 공압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기밀성이 보장되어 작동이 항시 일정하게 이루어지며, 이로 인해 작동효율이 좋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리알 도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리알 도포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3a는 도 1의 유리알 도포장치의 폐쇄 상태를 A-A' 단면을 통해 바라본 도면이며, 도 3b는 개방 상태를 A-A' 단면을 통해 바라본 도면이다.
도 4의 (a)는 도 1의 유리알 도포 장치의 일 구성인 피스톤로드의 사시도이며, (b)는 (a)의 평면도이다.
도 5은 도 1의 유리알 도포 장치의 일 구성인 제3 바디의 상세도이다.
도 은 도 1의 유리알 도포장치의 일 구성인 바디부와 유리알 투입관의 결합을 B-B' 단면을 통해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유리알 도포 장치의 일 구성인 확산관의 분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리알 도포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리알 도포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유리알 도포장치의 분해도이고, 도 3a는 도 1의 유리알 도포장치의 폐쇄 상태를 A-A' 단면을 통해 바라본 도면이며, 도 3b는 개방 상태를 A-A' 단면을 통해 바라본 도면이다.
또한, 도 4의 (a)는 도 1의 유리알 도포 장치의 일 구성인 피스톤로드의 사시도이며, (b)는 (a)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유리알 도포 장치의 일 구성인 제3 바디의 상세도이고, 도 6은 도 1의 유리알 도포장치의 일 구성인 바디부와 유리알 투입관의 결합을 B-B' 단면을 통해 바라본 도면이고,
먼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리알 도포장치는 바디부(100), 제1 공기공급관(200), 제2 공기공급관(300), 유리알 투입관(400), 피스톤로드(500), 탄성부재(600), 밀폐노즐(7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디부(100)는 중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에는 가압부(101)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분사부(102)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가압부(101)는 후술하는 피스톤로드(500)를 공기를 공급하여 가압하는 공간이며, 분사부(102)는 피스톤로드(500)를 통해 분사되는 유리알과 공급되는 공기를 혼합하여 외부로 분사하는 공간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바디부(100)의 하단에는 분사부(102)와 연통되는 분사구(102a)가 마련될 수 있으며, 피스톤로드(500)를 통과하는 유리알은 분사부(102)로 공급되는 공기와 혼합된 상태로 분사구(102a)를 통과하여 외부로 분사될 수 있다.
또한, 바디부(100)는 차선도포기(미도시)에 수직 또는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이는, 도포되는 유리알이 자중에 의해 낙하하도록 하기 위함이며, 도료에 잘 안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바디부(100)의 일측에는 차선도포기와 연결할 수 있는 고정브라켓(150)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브라켓(150)은 바디부(100)의 사출 시 함께 사출되거나 용접되어 바디부(100)와 일체화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바디부(100)에 체결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다양한 구조의 차선도포기에 맞추어 각기 다른 고정브라켓(150)을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고정브라켓(150)의 형태 변경 또는 결합 위치 조절 등을 통해 바디부(100)는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유리알 분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한 바디부(100)는, 바람직하게는 제1 내지 제4 바디(110 내지 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4 바디(110 내지 14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1 공기공급관(200)는 바디부(100)에 장착되어 가압부(101)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공기공급관(300)는 바디부(100)에 장착되어 분사부(102)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압부(101)에서는 제1 공기공급관(200)로부터 전달 받은 공압을 통해 피스톤로드(500)의 가압이 이루어지며, 분사부(102)에서는 제2 공기공급관(300)로부터 전달 받은 공압을 통해 유리알을 분사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공기공급관(200)와 제2 공기공급관(300)는 컴프레셔가 함께 구비됨이 당연하다.
유리알 투입관(400)은 바디부(100) 상단에 구비되어 유리알이 투입되는 관로를 형성할 수 있고, 피스톤로드(500)는 유리알 투입관(400)과 연통되도록 바디부(1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유리알 투입관(400)을 통해 투입되는 유리알은 그 관로를 따라 연통된 피스톤로드(500)까지 낙하하면서 바디부(100)의 하부에 위치한 분사부(102)까지 도달할 수 있다.
또한, 피스톤로드(500)는 가압부(101)와 분사부(102)를 구획하도록 바디부(1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즉, 가압부(101)와 분사부(102)는 피스톤로드(500)에 의해 서로 분할된 공간으로 형성되며, 이로 인해, 제1 공기공급관(200)로부터 공급되는 공압과 제2 공기공급관(300)로부터 공급되는 공압이 서로 간섭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해, 피스톤로드(500)는 가압부(101)로부터 분사부(102)까지 이를 길이를 형성하며, 피스톤로드(500)의 중단부는 바디부(100)의 내주면과 밀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피스톤로드(500)는 제1 공기공급관(200)로부터 전달되는 공압의 조절에 의해 상/하로 유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피스톤로드(500)의 상/하 유동에 따라 상술한 분사구(102a)를 개폐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아울러, 피스톤로드(500)는 하단에 상기 분사부(102)와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분사홀(510)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유리알 투입관(400)으로 통해 피스톤로드(500)로 낙하하는 유리알은 분사홀(510)을 통과하여 분사부(102)까지 도달하는 것이다.
이때, 분사홀(5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가 마련되어 120°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아치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분사홀(510)은, 낙하하는 유리알을 균일하게 분산시켜 분사부(102)에서 제2 공기공급관(300)의 공급 공기와 편중된 혼합을 방지하며, 결국 균일한 분사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분사홀(510)의 형태는 바람직한 예시로써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낙하하는 유리알의 균일 분산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기만 하면 무관하다.
탄성부재(600)는 피스톤로드(500)의 상단에 구비되어 피스톤로드(500)가 상방으로 유동할 시에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며, 피스톤로드(500)가 하방으로 유동할 시에는 복귀력을 형성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피스톤로드(500)는 제1 공기공급관(200)로부터 공급되는 공압에 의해 상방으로 유동하되, 제1 공기공급관(200)로부터 공급되는 공압이 중단되면 자중에 의해 낙하할 수 있는데, 상방으로 유동할 시에는 바디부(100) 상단에 위치한 유리알 투입관(400)과의 충돌을 방지하고,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유동할 시에는 탄성부재(600)의 도움을 받아 원위치로 신속한 복귀가 가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공기공급관(200)의 공기 공급 제어만으로 피스톤로드(500)의 동작을 원활하게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밀폐노즐(700)은 피스톤로드(500)의 하단에 구비되어 피스톤로드(500)가 하측에 위치할 경우에 분사구(102a)를 밀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피스톤로드(500)와 밀폐노즐(700)의 결합 길이는 피스톤로드(500)가 자중 및 탄성부재(600)의 복귀력에 의해 최하측으로 이동하였을 경우에 분사구(102a)를 밀폐하기까지의 길이를 형성하는데, 피스톤로드(500)가 상방으로 이동하였을 경우에는 밀폐노즐(700)과 분사구(102a)간의 유격이 발생되므로 분사부(102)에서 공기와 혼합된 유리알이 토출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밀폐노즐(700)은 안정적인 밀폐를 위해 피스톤로드(500)의 하단 중심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밀폐노즐(700)과 같이 피스톤로드(500)의 하단에 형성되는 상술한 분사홀(510)은 밀폐노즐(700) 둘레를 따라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제조 공정 등을 고려하여 피스톤로드(500)와 밀폐노즐(700)이 각각의 개별품으로서 서로 결합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피스톤로드(500)와 밀폐노즐(700)은 일체를 이루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상기한 구성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리알 도포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먼저 차선 도색을 위한 도료와 함께 도포하기 위한 유리알을 유리알 투입관(400)으로 공급하면, 유리알은 유리알 투입관(400)과 피스톤로드(500)의 연통길이를 따라 낙하되고, 분사홀(510)을 통과하여 분사부(102)에 도달할 수 있다.
이때, 분사부(102)에 유리알이 도달하기 시작하거나 어느 정도 채워진 상태에서 제2 공기공급관(300)으로부터 공기 공급을 시작하면, 분사부(102)에 도달한 유리알과 제2 공기공급관(300)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혼합될 수 있다.
이후, 유리알과 제2 공기공급관(300)의 공급 공기의 혼합이 시작되거나 어느 정도 혼합이 이루어진 순간 제1 공기공급관(200)으로부터 가압부(101)로 공기 공급을 시작하면, 가압부(101)에 도달되는 공압에 의해 피스톤로드(500)는 상방으로 밀려나고 이와 동시에 분사구(102a)를 폐쇄하고 있던 밀폐노즐(700)도 함께 상방으로 밀려남에 따라 분사구(102a)와 유격을 형성함으로써, 분사구(102a)는 개방되고 분사부(102)의 유리알은 제2 공기공급관(300)으로부터 공급되는 공압에 의해 분사구(102a)로 신속히 분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동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리알 도포장치는, 제1 공기공급관(200)과 제2 공기공급관(300)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조절을 통해, 유리알 분사량, 분사압력 등을 쉽게 제어할 수 있으며, 특히 유리알 분사가 신속하고 원하는 위치에 정확히 이루어지도록 하여 차선의 반사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리알 도포장치는, 간단한 구조로써 상기 기술을 실현하므로 조립 및 유지보수가 간편하고, 무게절감을 달성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리알 도포장치의 각 구성들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바디부(100)는 제1 내지 제4 바디(110 내지 140)가 조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바디(110)는 내부로 가압부(101)를 마련할 수 있고, 일측에는 제1 공기공급관(200)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제1 공기공급관(200)는 제1 바디(110) 길이에 대해 수직으로 장착됨이 바람직하고, 피스톤로드(500)는 제1 바디(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해야하므로, 토출구가 상측을 향하도록 제1 공기공급관(200)와 가압부(101)를 연통하는 연통로(111)는 'ㄴ'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바람직한 형태로써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기의 공급이 원활한 범위 내에서 직선의 경사로를 형성하거나 'ㄷ'자 형태 등 다양한 연통로를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제1 바디(110)는 상단에는 유리알 투입관(400)이 구비되고, 하단에는 피스톤로드(500)와 밀착되도록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밀착부(112)를 마련할 수 있다. 즉, 제1 공기공급관(200)에 의해 분사부(102)로 공급되는 공기는 제1 밀착부(112)와 피스톤로드(500)간의 밀착으로 인해 하방으로 유출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제1 밀착부(112)와 피스톤로드(500)간에 기밀력을 더 높이기 위해 제1 밀착부(112)에는 제1 링삽입부(113)가 마련되어 오링이 삽입될 수도 있다.
제2 바디(120)는 체결부(121)와 연장부(122)를 포함하여 제1 바디(110)의 하단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부(121)는 제1 바디(110)의 외주면과 동일한 직경의 외주면으로 형성되고, 제1 밀착부(112)의 내주면과 동일한 직경의 내주면으로 형성되며, 제1 바디(110)의 체결홀(115)과 동일한 개수, 간격의 체결홀(125)을 포함하여 제1 바디(110)와 체결될 수 있다.
즉,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20)는 동일한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결속되는 구조일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20)를 체결하는 체결부재(미도시)는 제1 바디(110) 상단에 마련되는 유리알 투입관(400)도 함께 체결하도록 유리알 투입관(400)부터 체결이 시작될 수 있다.
또한, 연장부(122)는 체결부(121)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 즉, 체결부(121)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연장부(122)는 체결부(121)의 외주면보다 작은 직경의 외주면을 형성하되 내주면은 체결부(121)의 내주면과 동일할 수 있다.
즉, 체결부(121)와 연장부(1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 바디(120)의 내주면은 제1 밀착부(112)의 내주면과 동일 직경의 내주면을 가져 피스톤로드(500)와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공기공급관(200)에 의해 분사부(102)로 공급되는 공기는 하방으로 더욱 유출되지 않을 수 있으며, 분사부(102)로 유입되는 공기와 차단될 수 있다.
한편, 제2 바디(120)도 기밀성을 높이도록 피스톤로드(500)와 접하는 접면에 오링을 마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연장부(122)에 마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장부(122)에는 오링이 삽입될 제2 링삽입부(123)가 마련될 수 있다.
제3 바디(130)는 제2 바디(120)의 연장부(122)의 외측 방향으로 이격거리를 갖도록 제2 바디(120)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제3 바디(130)는 연장부(122)의 외측을 둘러 감싸는 링형 또는 원통형의 형태의 바디로서 제2 바디(120)의 연장부(122)와는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소정의 공간(131)을 마련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공간(131)은 공기가 유동될 공간(이하, '공기유동로'라 함)으로써, 제3 바디(130)는 제2 공기공급관(300)가 장착될 수 있으며, 제2 공기공급관(300)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는 제3 바디(130)와 연장부(122)와의 이격으로 형성된 공기유동로(131)로 유동하여 분사부(102)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제3 바디(130)는 연장부(122)와 이격되어도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하단에 연장부(122)와 밀착되도록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밀착부(132)를 마련할 수 있다.
제2 밀착부(132)는 제3 바디(130)가 연장부(122)와의 유격으로 인해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밀착부(132)의 형성으로 인해 공기유동로(131)가 밀폐되어 공기유동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 밀착부(132)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공기유동홀(133)을 형성할 수 있다.
공기유동홀(133)은 그 개수와 간격, 크기 등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동일한 간격으로써 마련될 수 있다. 즉, 3개의 공기유동홀(133)을 마련할 시에는 120˚간격마다 마련되는 것이다.
한편으론, 공기유동홀(133)은 제2 공기공급관(300)와 거리가 가까울수록 작은 직경을 형성하며, 거리가 멀수록 큰 직경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공기공급관(300)가 연결되는 위치 기준으로, 0˚에서 180˚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커지는 형태이며, 180˚에서 360˚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작아지는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공기유동홀(133)의 형태는 제2 공기공급관(300)가 가까워 공기압력이 센 공기유동홀(133)의 직경을 작게 하고 제2 공기공급관(300)가 먼 공기압력이 비교적 약한 공기유동홀(133)의 직경을 크게 하여 공압의 편차를 줄인 형태로서, 분사부(102)로 배출되는 공압을 균일하게 형성하도록 할 수가 있다.
한편, 제3 바디(130)와 연장부(122)와도 기밀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밀착부분인 제3 바디(130)의 제2 밀착부(132)와 대응되는 연장부(122)의 위치로 제3 링삽입부(124)를 형성하고 제3 링삽입부(124)에 오링이 삽입될 수 있다.
즉, 연장부(122)에는 피스톤로드(500) 및 제2 밀착부(132)와 기밀하기 위한 오링이 2개 마련될 수 있는 것이다.
제4 바디(140)는 제3 바디(130)의 하단으로 결합되며 내부로 분사부(102)를 마련할 수 있다. 즉, 제4 바디(140)의 내부로는 밀폐노즐(700)이 결합된 피스톤로드(500)의 하단이 위치되며, 피스톤로드(500)의 상하 유동에 따라 함께 유동되는 밀폐노즐(700)의 유동공간이 마련된다.
여기서, 제4 바디(140) 내부로 형성되는 분사부(102)는 단부로 갈수록 내주면의 직경이 좁게 형성되어 하단에서 밀폐노즐(700)의 직경과 일치하거나 밀폐노즐(70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분사구(102a)를 형성하며, 이로 인해 개방 시에는 벤츄리 구조에 의해 유리알을 퍼트리도록 할 수 있고, 폐쇄시에는 밀폐노즐(700)에 의한 밀폐효율이 높을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제1 내지 제4 바디(110 내지 140)는 각기 개별 바디로 형성되어 결합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두 일 몸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부분적으로 일 몸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 내지 제4 바디(110 내지 140)가 모두 일 몸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제1 및 제2 바디(110, 120)가 하나의 일 몸체, 제3 및 제4 바디(130, 140)가 다른 하나의 일 몸체로 형성되어 서로 조립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 바디(110 내지 130)가 하나의 일 몸체로 형성되어 제4 바디(140)와 조립되거나, 제2 내지 제4 바디(120 내지 140)가 하나의 일 몸체로 형성되어 제1 바디(110)와 조립될 수도 있다.
이처럼, 각각의 바디의 조합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바디부(100)의 상단에 구비되는 유리알 투입관(400)은 소정의 직경의 유리알 투입부(410)와, 유리알 투입부(410)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체결홀(425)을 형성하는 결속부(420)와, 결속부(420)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되 바디부(100)의 제1 바디(110)의 내주면보다 작은 직경을 형성하여 제1 바디(110)의 내부로 삽입되며, 바람직하게는 피스톤로드(500) 와 연통되도록 피스톤로드(500) 내부까지 삽입되는 삽입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결속부(420)는 바디부(100)의 상단을 이루는 제1 바디(110)의 외주면과 동일한 직경의 외주면을 형성하며, 제1 바디(110)의 체결홀(115)과 동일한 개수와 간격의 체결홀(425)을 형성하여 동일한 체결부재에 의해 제1 바디(110)와 결속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알 투입관(400)과 제1 바디(110)는 동일한 체결부재(미도시)를 공유하도록 형성되며, 공유되는 체결부재는 제2 내지 제4 바디(120 내지 140) 중 어느 하나까지 공유 체결되도록 길이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3 바디(130)와 제4 바디(140)에도 제1 바디(110) 또는 유리알 투입관(400)의 체결홀(115, 425)과 동일한 개수와 간격의 체결홀(135, 145)이 형성될 수도 있다.
삽입부(430)는 제1 바디(110)의 내주면 보다는 작은 직경을 형성하되, 바람직하게는 탄성부재(600)가 장착될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제1 바디(110)와는 밀착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삽입부(430)의 외주면과 제1 바디(110)의 내주면 사이에는 유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삽입부(430)에도 제4 링삽입부(435)가 마련되어 오링이 삽입될 수 있고, 피스톤로드(500)와의 기밀성을 높일 수 있다.
피스톤로드(500)는 제1 밀착부(112) 및 제3 바디(130)의 내주면과 밀착되는 외주면을 갖되, 상단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단차부(520)를 형성할 수 있다. 단차부(520)는 피스톤로드(500)의 외주면보다 더 큰 직경을 형성하도록 하여 피스톤로드(500)가 하측으로 유동될 경우에 제1 밀착부(112)에 걸림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단차부(520)가 제1 밀착부(112)와 마주함으로써 피스톤로드(500)의 하방 이동을 일정길이만큼 제한하는 스토퍼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단차부(520)에도 제5 링삽입부(525)가 마련되어 오링이 삽입될 수 있고, 제1 바디(110)와의 기밀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리알 도포장치는, 피스톤로드(500)가 일정 범위 내에서 균일한 유동범위를 형성할 수 있으며, 가압부(101)와 분사부(102)로 공급되는 각각의 공압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기밀성이 보장되어 작동이 항시 일정하게 이루어지며, 이로 인해 작동효율이 좋을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리알 도포장치는, 바디부(100) 하단에 소정의 각도로 결합되어 분사되는 유리알을 확산시키는 확산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유리알 도포 장치의 일 구성인 확산관의 분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확산부(800)는 상판(810), 하판(820) 및 측면판(8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판(810)과 하판(820)은 각각 상협하광의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서로 측면에서 바라보는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으로 이격거리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측면판(830)은 2개가 마련되어 각각 상판(810)과 하판(820)의 이격거리 사이의 측면부를 밀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측면부는 상협하광 구조의 상판(810)과 하판(820)의 측면부 길이를 따라 경사지게 설치되며, 확산부(800)는 상판(810), 하판(820), 측면판(830)의 조립을 통해 전면과 후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확산부(800)는 바디부(100)의 하단에 바디부(100) 또는 지면과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결합되므로, 결합된 형태를 기준으로 상단과 하단이 개방되어 유리알이 확산부(800)의 면적을 따라 확산되어 분사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판(810)과 하판(820) 중 하나에는 바디부(100) 하단에 부착되기 위한 경사절곡부(815)를 형성할 수 있다. 즉, 경사절곡부(815)를 통해 바디부(100)에 부착되어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판(810)과 하판(820) 중 경사절곡부(815)를 형성한 것을 제외한 다른 하나에는 바디부(100)와 연통되기 위한 연통홀(825)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판(810) 또는 하판(820) 중 연통홀(825)이 형성되는 판은 분사구(102a) 일부까지 침투되도록 바디부(100) 하단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유리알이 확산부(800)의 배출구(바디부 결합 기준 하단) 외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판(810), 하판(820) 및 측면판(830)은 각각 최소 양측으로 관통홀(840a, 840b, 840c)을 마련하며, 양측 관통홀(840a, 840b, 840c)을 통해 동일한 결속부재(미도시)로 결속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결속부재(미도시)는 상판(810), 하판(820) 및 측면판(830)의 관통홀(840a, 840b, 840c)에 모두 수용되도록 결속하되, 측면판(830)과 키 결합 등으로 결합을 이루어 결속부재의 회전에 따라 측면판(830)이 일정 범위 내에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즉, 결속부재가 측면판(830)의 회전 축심을 이루어 측면판(830)을 회전시키는 구조로서, 측면판(830)을 회전시킴으로서 확산부(800)의 확산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원리로 상판(810), 하판(820) 및 측면판(830)의 관통홀(840a, 840b, 840c)에 공유되는 결속부재는 모터(미도시)와 연결될 수도 있다. 여기서, 모터의 구동을 통해 결속부재를 회전시켜 확산부(800)의 확산면적을 자동 또는 원격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한 확산부(800)는 보조결합구(850)를 더 포함하여 바디부(100)에 결합될 수도 있는데, 보조결합구(850)는 원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원형 단면에서 원주를 따라 복수의 수직면(855)이 마련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확산부(800) 결합 시에 복수의 수직면(855)으로 파지하여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고 파지가 용이할 수 있어 확산부(800)의 결합이 보다 용이할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0 : 바디부
101 : 가압부
102 : 분사부
102a : 분사구
110 : 제1 바디
111 : 연통로
112 : 제1 밀착부
113 : 제1 링삽입부
115 : 체결홀
120 : 제2 바디
121 : 체결부
122 : 연장부
123 : 제2 링삽입부
124 : 제3 링삽입부
125 : 체결홀
130 : 제3 바디
131 : 공기유동로
132 : 제2 밀착부
133 : 공기유동홀
135: 체결홀
140 : 제4 바디
145 : 체결홀
150 : 고정브라켓
200 : 제1 공기공급관
300 : 제2 공기공급관
400 : 유리알 투입관
410 : 유리알 투입부
420 : 결속부
425 : 체결홀
430 : 삽입부
435 : 제4 링삽입부
500 : 피스톤로드
510 : 분사홀
520 : 단차부
525 : 제5 링삽입부
600 : 탄성부재
700 : 밀폐노즐
800 : 확산부
810 : 상판
815 : 경사절곡부
820 : 하판
825 : 연통홀
830 : 측면판
840a, 840b, 840c : 관통홀
850 : 보조결합구
855 : 수직면

Claims (6)

  1. 중공형으로 형성되되, 상부에는 가압부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분사부를 형성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장착되어 상기 가압부와 연결되는 제1 공기공급관;
    상기 바디부에 장착되어 상기 분사부와 연결되는 제2 공기공급관;
    상기 바디부 상단에 구비되어 유리알이 투입되는 관로를 형성하는 유리알 투입관;
    상기 유리알 투입관과 연통되며 상기 가압부와 분사부를 구획하도록 바디부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1 공기공급관으로부터 전달되는 공압의 조절에 의해 상/하로 유동하며, 하단에는 상기 분사부와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분사홀을 형성하는 피스톤로드;
    상기 피스톤로드 상단에 구비되어 피스톤로드를 하방으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 및
    상기 피스톤로드 하단에 구비되어 피스톤로드가 하측에 위치할 경우에 상기 분사부의 분사구를 밀폐하는 밀폐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는,
    내부로 상기 가압부를 마련하되 일측에는 상기 제1 공기공급관이 장착되며, 상단에는 상기 유리알 투입관이 구비되고 하단에는 상기 피스톤로드와 밀착되도록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밀착부를 마련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 하단으로 결합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피스톤로드와 밀착되도록 제1 밀착부의 내주면과 동일 직경의 내주면을 갖는 제2 바디;
    상기 연장부 외주면의 외측 방향으로 이격거리를 갖도록 상기 제2 바디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2 공기공급관이 장착되되, 하단에는 상기 연장부와 밀착되도록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공기유동홀을 형성하는 제2 밀착부를 마련하는 제3 바디 및
    상기 제3 바디 하단으로 결합되며 내부로 상기 분사부를 마련하는 제4 바디를 포함하는 유리알 도포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로드는,
    하측으로 유동될 경우에 상기 제1 밀착부에 걸림되도록, 상단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단차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알 도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홀은,
    아치형으로 형성되되 3개가 마련되어 120°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알 도포장치.
  5. 중공형으로 형성되되, 상부에는 가압부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분사부를 형성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장착되어 상기 가압부와 연결되는 제1 공기공급관;
    상기 바디부에 장착되어 상기 분사부와 연결되는 제2 공기공급관;
    상기 바디부 상단에 구비되어 유리알이 투입되는 관로를 형성하는 유리알 투입관;
    상기 유리알 투입관과 연통되며 상기 가압부와 분사부를 구획하도록 바디부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1 공기공급관으로부터 전달되는 공압의 조절에 의해 상/하로 유동하며, 하단에는 상기 분사부와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분사홀을 형성하는 피스톤로드;
    상기 피스톤로드 상단에 구비되어 피스톤로드를 하방으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 및
    상기 피스톤로드 하단에 구비되어 피스톤로드가 하측에 위치할 경우에 상기 분사부의 분사구를 밀폐하는 밀폐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 하단에 소정의 각도로 결합되어 분사되는 유리알을 확산시키는 확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확산부는,
    상협하광의 상판;
    상기 상판의 하측으로 이격거리를 형성하는 상협하광의 하판 및
    상기 상판과 하판의 이격거리 사이의 측면부를 밀폐하는 2개의 측면판을 포함하며,
    상기 상판과 하판 중 하나에는 상기 바디부 하단에 부착되기 위한 경사절곡부를 형성하며, 다른 하나에는 상기 바디부와 연통되기 위한 연통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알 도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측면판은 모터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어 확산부의 확산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알 도포장치.
KR1020190118743A 2019-09-26 2019-09-26 유리알 도포장치 KR102286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743A KR102286650B1 (ko) 2019-09-26 2019-09-26 유리알 도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743A KR102286650B1 (ko) 2019-09-26 2019-09-26 유리알 도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596A KR20210036596A (ko) 2021-04-05
KR102286650B1 true KR102286650B1 (ko) 2021-08-05

Family

ID=75461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8743A KR102286650B1 (ko) 2019-09-26 2019-09-26 유리알 도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665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62026A (ja) * 2008-04-23 2009-11-12 Kanto Auto Works Ltd 液垂れ防止ノズル
KR100984646B1 (ko) * 2010-03-22 2010-10-01 주식회사 진산기계 비드분사조절기를 구비한 차선도포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62026A (ja) * 2008-04-23 2009-11-12 Kanto Auto Works Ltd 液垂れ防止ノズル
KR100984646B1 (ko) * 2010-03-22 2010-10-01 주식회사 진산기계 비드분사조절기를 구비한 차선도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596A (ko) 2021-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77906B2 (ja) 非円形ホーン状空気出口通路およびアパーチャを有する液体スプレーガン
EP1699564B1 (en) Liquid spray gun with manually rotatable frictionally retained air cap
RU2647738C2 (ru) Форсунки в сборе, системы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е способы
US5954273A (en) Spray assembly for high viscosity materials
US5203507A (en) Air powered sprayer for dispensing material slurries
CN105457777A (zh) 混合流喷嘴和控制系统
KR102286650B1 (ko) 유리알 도포장치
KR102170443B1 (ko) 차선 도색용 분사장비
KR101252655B1 (ko) 돌출차선표시용 시공장치
CN214864523U (zh) 喷涂浆料用的喷嘴结构及具有该结构的喷涂设备
KR101497043B1 (ko) 비드 혼합 및 미끄럼방지를 위한 도로용 차선 도색 방법 및 그 장치
KR101858445B1 (ko) 차선 도색용 페인트 분사장치
KR102085865B1 (ko) 차선 도색용 분사장비
KR101554451B1 (ko) 소형차선도색차량
KR101554450B1 (ko) 이액형 도료의 혼합기능이 부여되는 차선도색분사기기
CN104174532B (zh) 可移动的狭缝喷涂装置
KR102426763B1 (ko) 비산방지 가능한 스프레이건
CN107881885B (zh) 同步碎石封层车
KR101625296B1 (ko) 주제 및 경화제 비율의 정량 토출과 자동세척이 가능한 차선 도색장치
KR102217894B1 (ko) 노면 표시용 도색기
KR102375742B1 (ko) 노면표시 페인트 분사장비
KR101108873B1 (ko) 고휘도 우천형 비드 건을 갖는 융착식 스프레이 차선 도색장치
KR102138236B1 (ko) 횡단 보도용 도색장비
KR20230125962A (ko) 돌기형 차선 도색장치용 돌기 분출장치
CN115679789A (zh) 一种玻璃珠撒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