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165Y1 - 도로의 미끄럼방지층 도포장치 - Google Patents

도로의 미끄럼방지층 도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165Y1
KR200462165Y1 KR2020100003433U KR20100003433U KR200462165Y1 KR 200462165 Y1 KR200462165 Y1 KR 200462165Y1 KR 2020100003433 U KR2020100003433 U KR 2020100003433U KR 20100003433 U KR20100003433 U KR 20100003433U KR 200462165 Y1 KR200462165 Y1 KR 2004621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p
discharge
paint
slip material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34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9583U (ko
Inventor
권기상
Original Assignee
장선건설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선건설 (주) filed Critical 장선건설 (주)
Priority to KR20201000034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165Y1/ko
Publication of KR201100095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5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1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16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1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 E01C19/16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for applying or spreading liquid materials, e.g. bitumen slurries
    • E01C19/17Application by spraying or thro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미끄럼방지층 도포장치는 미끄럼방지 도료를 저장하는 도료저장수단과; 상기 도료저장수단에서 배출되는 도료를 살포하는 도료살포수단과; 상기 도료살포수단에서 배출되는 도료가 균등하게 살포되게 상기 도료살포수단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엔진장치부와; 상기 도료저장수단과 도료살포수단과 엔진장치부가 장착되고 상기 미끄럼방지층 도포장치가 이동가능하게 하는 이동프레임부로 구성되고, 상기 도료살포수단은 상기 미끄럼방지재가 일시 체류하는 호퍼와, 상기 미끄럼방지재저장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미끄럼방지재를 상기 호퍼로 이송하는 슈트와, 상기 호퍼에 체류되는 미끄럼방지재를 살포하는 살포장치부로 구성되며, 상기 살포장치부는 실제 살포를 시행하는 살포축과 상기 살포축에 삽입되어 상기 엔진장치부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을 벨트로 상기 살포축으로 전달하는 살포축풀리와 상기 회전축이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하는 베어링부로 구성되고,상기 살포축의 길이 방향으로는 4개의 살포판이 원주에 균등하게 형성되며, 상기 살포판에는 상기 미끄럼방지재가 통과하고 살포를 균등하게 해주는 다수 개의 미끄럼방지재 통과홀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미끄럼방지층 도포장치이다.
본 고안은 미끄럼방지재 살포량을 조절하기 쉽고, 미끄럼방지재저장부에서 배출되는 미끄럼방지재를 살포장치로 바닥에 터는 방식으로 균일하게 오톨도톨하게 형성시켜 미끄럼방지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미끄럼방지재를 균일하게 도포시키는 살포장치와, 살포된 미끄럼방지재 위에 반사물질을 일정량 뿌릴 수 있게 하여 미끄럼방지도료와 반사물질이 골고루 혼합된 상태에서 미끄럼방지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야간에 식별력을 높여, 미끄럼방지도료의 미끄럼방지성능을 대폭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로의 미끄럼방지층 도포장치{Spread Apparatus for Nonskid-Layer on the Road}
본 고안은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도료를 노면에 도포하는데 사용되는 도로의 미끄럼방지층 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미끄럼방지층 도포장치는 미끄럼방지 도료를 저장하는 도료저장수단과; 상기 도료저장수단에서 배출되는 도료를 살포하는 도료살포수단과; 상기 도료살포수단에서 배출되는 도료가 균등하게 살포되게 상기 도료살포수단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엔진장치부와; 상기 도료저장수단과 도료살포수단과 엔진장치부가 장착되고 상기 미끄럼방지층 도포장치가 이동가능하게 하는 이동프레임부로 구성되고, 상기 도료살포수단은 상기 미끄럼방지재가 일시 체류하는 호퍼와, 상기 미끄럼방지재저장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미끄럼방지재를 상기 호퍼로 이송하는 슈트와, 상기 호퍼에 체류되는 미끄럼방지재를 살포하는 살포장치부로 구성되며, 상기 살포장치부는 실제 살포를 시행하는 살포축과 상기 살포축에 삽입되어 상기 엔진장치부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을 벨트로 상기 살포축으로 전달하는 살포축풀리와 상기 회전축이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하는 베어링부로 구성되고,상기 살포축의 길이 방향으로는 4개의 살포판이 원주에 균등하게 형성되며, 상기 살포판에는 상기 미끄럼방지재가 통과하고 살포를 균등하게 해주는 다수 개의 미끄럼방지재 통과홀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도로의 미끄럼방지층 도포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하게 되는 도로의 급경사지대 또는 급커브지대에는 차량의 타이어와 노면과의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차량의 미끄럼방지용 도료를 일정간격으로 도포하므로써 차속을 미리 감속시키지 못해 발생하게 되는
각종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미끄럼방지용 도료는 열경화성 수지를 바인더로 하고 요변제로 변성우레아 용액과 미끄럼방지 골재로 실리카 샌드를 첨가하여 제조되므로써, 노면도포시 수지층 표면에 조도(profile)를 형성하여 상기 조도에 의해서 1차로 미끄럼을 방지하고, 수지층의 내부와 표면에 함유된 실리카 샌드에 의해서 2차로 미끄럼을 방지하여 미끄럼방지 성능이 우수할 뿐 아니라 장기간 사용하여도 도로에서 탈락되거나 균열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미끄럼방지용 도료는 도포하고자 하는 노면의 이물질을 파워툴(power tool), 클리닝 브러쉬(cleaning brush) 등으로 완전히 제거한 후 도포장치를 이용하여 미끄럼방지용 도료를 노면에 도포한 다음 롤러를 사용하여 표면조도를 형성시키고, 상온에서 20~ 30분 동안 경화시킴으로써 시공을 완료하게 되는데, 이때 롤러를 사용하여 표면거칠기 형성작업을 진행하게 되면 수지내 혼합된 충진재, 실리카 샌드가 수지 경화시 부여되는 요변성(thixotropy)에 의해 표면에 산형태의 조도를 형성하게 되며, 이렇게 형성된 조도에 의해 미끄럼저항성이 더욱 향상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미끄럼방지용 도료를 노면에 도포할 경우에는 우선 한 명의 작업자가 고온의 용융상태로 저장된 미끄럼방지용 도료를 일정량씩 배출시키면서 노면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 기존의 도포장치를 이용하여 노면상에 미끄럼방지용 도료를 도포한 후, 이어서 다른 작업자가 별도로 구비된 롤러를 이용하여 도포장치에 의해 노면에 도포된 미끄럼방지용 도료를 평탄화시키면서 표면의 조도를 형성시키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므로, 작업이 대단히 번거로울뿐 아니라 도포장치를 이용한 도포작업과 롤러를 이용한 평탄화 및 표면조도형성 작업이 별도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작업에 필요한 인원이 증대되어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겨울철과 같이 기온이 낮을 경우에는 도포작업시 도포장치에 저장된 미끄럼방지용 도료속에 포함된 열경화성 수지의 경화가 촉진되어 도료가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게 되므로 서둘러 작업을 해야 하거나 작업시마다 별도의 가열수단을 이용하여 도포장치에 저장된 미끄럼방지용 도료를 데워가면서 작업을 해야 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차가운 노면상에 도포된 미끄럼방지용 도료가 경화되기 전에 롤러를 이용한 평탄화 및 표면조도형성작업도 서둘러 진행해야 하므로 노면에 도포된 미끄럼방지용 도료의 표면전체에 균일한 표면조도가 형성되지 못하여 도료의 미끄럼방지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기존 미끄럼방지층의 시공작업시 발생하는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도료저장부의 도료 살포량을 조절하기 쉽고 배출되는 도료를 오톨도톨하게 살포하되 균일하게 도포시키는 살포장치와, 미끄럼방지재가 살포된 도로 위에 반사물질을 일정량 균일하게 살포하는 장치를 구비하여 야간에 식별도 잘될 수 있는 효과적인 미끄럼방지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 도로의 미끄럼방지층 도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도로의 미끄럼방지층 도포장치는 미끄럼방지 도료를 저장하는 도료저장수단과; 상기 도료저장수단에서 배출되는 도료를 살포하는 도료살포수단과; 상기 도료살포수단에서 배출되는 도료가 균등하게 살포되게 상기 도료살포수단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엔진장치부와; 상기 도료저장수단과 도료살포수단과 엔진장치부가 장착되고 상기 미끄럼방지층 도포장치를 이동가능하게 하는 이동프레임부로 구성된다.
상기 도료저장수단은 미끄럼방지재를 저장하는 미끄럼방지재저장부와; 살포된 상기 미끄럼방지재 위에 살포하여 빛이 반사되게 하는 반사물질을 저장하는 반사물질저장부로 구성되고, 상기 미끄럼방지재저장부는 상면이 개구되고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는 역사각뿔 형상으로 최하단부에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에는 미끄럼방지재의 배출의 양을 조절하거나 배출을 차단하는 제1배출개폐장치가 형성되고, 상기 제1배출개폐장치는 일측이 상기 미끄럼방지재저장부의 배출구에 힌지로 결합되어 상기 배출구를 여닫을 수 있는 제1배출조절판과, 상기 제1배출조절판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조절판의 여닫히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판 열림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조절판 열림부재는 상기 제1배출조절판의 열림의 정도를 조정하는 브레이크와, 상기 브레이크의 조정에 의해 상기 제1배출조절판의 열림 정도를 조정하고 상기 브레이크를 놓았을 때는 상기 제1배출조절판이 스프링의 힘으로 닫히게 하는 용수철과, 상기 브레이크와 용수철이 연결된 제1배출조절판의 조절판 열림부재 연결바와 연결해주는 연결선으로 구성되고,상기 미끄럼방지재저장부의 후면에는 상기 미끄럼방지재저장부의 각도를 조정하여 상기 미끄럼방지재저장부의 내부 크리닝이나 잔여 도료를 배출할 때 사용되어지는 각도조절링크가 형성되고, 상기 미끄럼방지재저장부의 하부는 상기 각도조절링크에 의해 회전될 때 상기 미끄럼방지재저장부가 회전될 수 있게 상기 이동프레임부에 볼트 결합되는 회전부가 형성된다.
상기 반사물질저장부는 상부에 개폐할 수 있게 두껑이 있는 직육면체 형상이고 하부는 배출이 용이하도록 중앙으로 경사지며 최하부에 배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에는 배출량을 조정하는 배출량조절판과, 상기 배출부을 개폐하는 제2배출개폐장치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량조절판에는 10.0~20.0 mm 간격으로 3.0~7.0 mm 직경의 10개 이상의 반사물질배출홀이 형성되어, 상기 반사물질배출홀로 상기 반사물질의 배출되며, 상기 제2배출개폐장치는 상기 배출부를 여닫을 수 있는 제2배출개폐판과, 상기 제2배출개폐판에 연결되어 상기 제2배출개폐판을 여닫는 개폐판 열림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도료살포수단은 상기 미끄럼방지재가 일시 체류하는 호퍼와, 상기 미끄럼방지재저장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미끄럼방지재를 상기 호퍼로 이송하는 슈트와, 상기 호퍼에 체류되는 미끄럼방지재를 살포하는 살포장치부로 구성된다.
상기 호퍼의 하부에는 상기 미끄럼방지재가 배출되는 호퍼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호퍼배출구에는 배출량을 조정하는 호퍼배출개도 조정장치가 형성되며, 상기 호퍼배출개도 조정장치는 일측이 상기 호퍼배출구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되는 호퍼배출조절판과 상기 호퍼배출조절판의 개도를 조절하는 제2조절판 열림부재 구성되고, 상기 제2조절판 열림부재는 상기 호퍼배출조절판의 열림의 정도를 조정하는 브레이크와, 상기 브레이크의 조정에 의해 상기 호파배출조절판의 열림 정도를 조정하고 상기 브레이크를 놓았을 때는 상기 호퍼배출조절판이 스프링의 힘으로 닫히게 하는 용수철과, 상기 브레이크와 용수철이 연결된 상기 호퍼배출조절판의 조절판 열림부재 연결바와 연결해주는 연결선으로 구성된다.
상기 살포장치부는 실제 살포를 시행하는 살포축과 상기 살포축에 삽입되어 상기 엔진장치부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을 벨트로 상기 살포축으로 전달하는 살포축풀리와 상기 살포축이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하는 베어링부로 구성되고, 상기 살포축의 길이 방향으로는 4개의 살포판이 원주에 균등하게 형성되며, 상기 살포판에는 상기 미끄럼방지재가 통과하고 살포를 균등하게 해주는 10개 이상의 미끄럼방지재 통과홀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엔진장치부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부과 상기 엔진부에 원료를 공급하는 연료통과 상기 엔진부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을 상기 살포축의 살포축풀리로 벨트에 의해 전달하는 엔진풀리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프레임은 상기 도료저장수단과 도료살포수단과 엔진장치부가 장착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미끄럼방지층 도포장치를 이동시킬 때 사용하는 밀대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미끄럼방지층 도포장치를 원활하게 움직이게 하는 이동바퀴부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바퀴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앞측에 설치되는 2개의 제1이동바퀴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중간측에 설치되는 2개의 제2이동바퀴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뒤측에 설치되는 2개의 제3이동바퀴로 구성되는 구조이다.
상술한 구조인 도로의 미끄럼방지층 도포장치로 본 고안의 해결하려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미끄럼방지재 살포량을 조절하기 쉽고, 미끄럼방지재저장부에서 배출되는 미끄럼방지재를 살포장치로 바닥에 터는 방식으로 균일하게 오톨도톨하게 형성시켜 미끄럼방지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미끄럼방지재를 균일하게 도포시키는 살포장치와, 살포된 미끄럼방지재 위에 반사물질을 일정량 뿌릴 수 있게 하여 미끄럼방지도료와 반사물질이 골고루 혼합된 상태에서 미끄럼방지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야간에 식별력을 높여, 미끄럼방지도료의 미끄럼방지성능을 대폭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의 미끄럼방지충 도포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의 미끄럼방지충 도포장치의 전체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의 미끄럼방지충 도포장치의 전체 후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의 미끄럼방지충 도포장치의 미끄럼방지재저장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의 미끄럼방지충 도포장치의 미끄럼방지재저장부의 제1배출개폐장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의 미끄럼방지충 도포장치의 미끄럼방지재저장부의 각도조절링크 상세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의 미끄럼방지충 도포장치의 반사물질저장부 상세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의 미끄럼방지충 도포장치의 반사물질저장부의 배출부 배출량 조정장치의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의 미끄럼방지충 도포장치의 살포장치부의 호파배출개도 조정장치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의 미끄럼방지충 도포장치의 살포장치부의 살포축 상세도
먼저, 본 고안의 구체적인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본 고안에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의 미끄럼방치층 도포장치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의 미끄럼방지충 도포장치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의 미끄럼방지충 도포장치의 전체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의 미끄럼방지충 도포장치의 전체 후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의 미끄럼방지충 도포장치의 미끄럼방지재저장부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의 미끄럼방지충 도포장치의 미끄럼방지재저장부의 제1배출개폐장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의 미끄럼방지충 도포장치의 미끄럼방지재저장부의 각도조절링크 상세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의 미끄럼방지충 도포장치의 반사물질저장부 상세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의 미끄럼방지충 도포장치의 반사물질저장부의 배출부 배출량 조정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의 미끄럼방지충 도포장치의 살포장치부의 호파배출개도 조정장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의 미끄럼방지충 도포장치의 살포장치부의 살포축 상세도이다.
도 1, 도2 또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본 고안의 미끄럼방지층 도포장치는 대별하면 미끄럼방지 도료를 저장하는 도료저장수단(1)과; 상기 도료저장수단(1)에서 배출되는 도료를 살포하는 도료살포수단(2)과; 상기 도료살포수단(2)에서 배출되는 도료가 균등하게 살포되게 상기 도료살포수단(2)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엔진장치부(3)와; 상기 도료저장수단(1)과 도료살포수단(2)과 엔진장치부(3)가 장착되고 상기 미끄럼방지층 도포장치를 이동가능하게 하는 이동프레임부(4)로 구성된다.
상기 도료저장수단(1)은 미끄럼방지재를 저장하는 미끄럼방지재저장부(11)와; 살포된 상기 미끄럼방지재 위에 살포하여 빛이 반사되게 하는 반사물질을 저장하는 반사물질저장부(12)로 구성된다.
상기 미끄럼방지재저장부(11)에 저장되는 미끄럼방지재는 이액형으로 약간의 반죽이 된 상태로 점도가 있다.
상기 도료살포수단(2)은 상기 미끄럼방지재가 일시 체류하는 호퍼(21)와, 상기 미끄럼방지재저장부(11)에서 배출되는 상기 미끄럼방지재를 상기 호퍼(21)로 이송하는 슈트(22)와, 상기 호퍼(21)에 체류되는 미끄럼방지재를 살포하는 살포장치부(23)로 구성된다.
상기 살포장치부(23)는 실제 살포를 시행하는 살포축(231)과 상기 살포축(231)에 삽입되어 상기 엔진장치부(3)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을 벨트(34)로 상기 살포축(231)으로 전달하는 살포축풀리(232)와 상기 살포축(231)이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하는 베어링부(233)로 구성되고, 상기 살포축(231)의 길이 방향으로는 4개의 살포판(2311)이 원주에 균등하게 형성되며, 상기 살포판(2311)에는 상기 미끄럼방지재가 통과하고 살포를 균등하게 해주는 10개 이상의 미끄럼방지재 통과홀(23111)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엔진장치부(3)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부(31)과 상기 엔진부(31)에 원료를 공급하는 연료통(32)과 상기 엔진부(31)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을 상기 살포축(231)의 살포축풀리(232)로 벨트(34)에 의해 전달하는 엔진풀리(33)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프레임(4)은 상기 도료저장수단(1)과 도료살포수단(2)과 엔진장치부(3)가 장착되는 베이스프레임(41)과, 상기 미끄럼방지층 도포장치를 이동시킬 때 사용하는 밀대(42)와, 상기 베이스프레임(41)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미끄럼방지층 도포장치를 원활하게 움직이게 하는 이동바퀴부(43)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바퀴부(43)는 상기 베이스프레임(41)의 앞측에 설치되는 2개의 제1이동바퀴(431)와, 상기 베이스프레임(41)의 중간측에 설치되는 2개의 제2이동바퀴(432)와, 상기 베이스프레임(41)의 뒤측에 설치되는 2개의 제3이동바퀴(433)로 구성되는 구조이다.
상기 제1이동바퀴(431)에는 상기 미끄럼방지층 도포장치가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키는 스토퍼(4311)와, 세워둘 때나 운전 중일 때 또는 높낮이가 있는 도로에서의 작업시 상기 제1이동바퀴(431)의 높이조절을 할 수 있는 나사식 조절기구(4312)가 형성되며, 상기 제3이동바퀴(433)에는 경사진 길에서 가속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발로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풋브레이크(4331)가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엔진장치부(3)와 이동프레임(4)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본 고안에서는 생략한다.
본 고안의 상기 미끄럼방지층 도포장치는 약간의 반죽이 된 상태의 이액형 미끄럼방지재를 상기 엔진부(3)에서 발생시키는 회전력을 상기 벨트(34)로 상기 살포장치부(23)의 살포축(231)에 전달하여 살포축의 회전에 의해 살포판(2311)으로 뿌려준다. 상기 살포판(2311)에 형성된 미끄럼방지재 통과홀(23111)에 빠져나가면서 바닥을 치는 듯이 도포하며 오톨도톨하게 도포가 되며 오톨도톨하게 되어야만 미끄럼방지층으로서 효과가 있다.
그냥 롤러도 도포하면 매끄럽게 되기 때문에 미끄럼방지 효과가 많이 축소되므로 오톨도톨하게 도포하는 것이 본 고안의 핵심이다.
상기 반사물질저장부(12)에는 반사물질인 글라스비드(유리알갱이)를 사용하고 상기 미끄럼방지재 위에 반사물질을 뿌리는 구조이다.
상기 반사물질저장부(12)가 있는 앞측에 설치되는 제1이동바퀴는 세워둘 때와 운전 중일 때 또는 높낮이가 있는 도로에서의 작업시를 구분하여 높이조절이 될 수 있는 상기 나사식 조절기구(4312)가 부착된다.
작업자는 상기 밀대(42) 쪽에서 상기 밀대(42)를 밀면서 작업하므로 상기 제3이동바퀴(433)에는 경사진 길에서 가속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발로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풋브레이크(4331)가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미끄럼방지재저장부(11)는 상면이 개구되고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는 역사각뿔 형상으로 최하단부에는 배출구(11a)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11a)에는 미끄럼방지재의 배출의 양을 조절하거나 배출을 차단하는 제1배출개폐장치(111)가 형성된다.
상기 제1배출개폐장치(111)는 일측이 상기 미끄럼방지재저장부(11)의 배출구(11a)에 힌지(11111)로 결합되어 상기 배출구(11a)를 여닫을 수 있는 제1배출조절판(1111)과, 상기 제1배출조절판(1111)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조절판(1111)의 여닫히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판 열림부재(1112)로 구성된다.
상기 제1배출조절판(1111)에는 상기 제1배출조절판(1111)이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하는 힌지(11111)과, 상기 조절판 열림부재(1112)와 연결해주는 조절판 열림부재 연결바(11113)과, 필요시 수동으로 열 수 있는 수동개폐손잡이(11112)가 형성된다.
상기 제1배출조절판(1111)에는 도 9에 붉은 원으로 확대표시되어 있는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자재량 조절부(211112)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재저장부(11)의 하부는 각도조절링크(112)에 의해 회전될 때 상기 미끄럼방지재저장부(11)가 회전될 수 있게 상기 이동프레임부(4)에 볼트 결합되는 회전부(113)가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제1배출개폐장치(111)는 일측이 상기 미끄럼방지재저장부(11)의 배출구(11a)에 힌지(11111)로 결합되어 상기 배출구(11a)를 여닫을 수 있는 제1배출조절판(1111)과, 상기 제1배출조절판(1111)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조절판(1111)의 여닫히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판 열림부재(1112)로 구성된다.
상기 조절판 열림부재(1112)는 상기 제1배출조절판(1111)의 열림의 정도를 조정하는 브레이크(11121)와, 상기 브레이크(11121)의 조정에 의해 상기 제1배출조절판(1111)의 열림 정도를 조정하고 상기 브레이크(11121)를 놓았을 때는 상기 제1배출조절판(1111)이 스프링의 힘으로 닫히게 하는 용수철(11122)과, 상기 브레이크(11121)와 용수철(11122)이 연결된 제1배출조절판(1111)의 조절판 열림부재 연결바(11113)와 연결해주는 연결선(11123)으로 구성된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미끄럼방지재저장부(11)의 후면에는 상기 미끄럼방지재저장부(11)의 각도를 조정하여 상기 미끄럼방지재저장부(11)의 내부 크리닝이나 잔여 도료를 배출할 때 사용되어지는 각도조절링크(112)가 형성된다.
상기 각도조절링크(112)는 상기 미끄럼방지재저장부(11)의 상기 회전부(113)를 축으로 하여 상기 미끄럼방지재저장부(11)의 뒷면에 중앙에 부착된 상단바(1121)와 상기 이동프레임부(4)에 부착된 수직바(1122)로 구성된다.
상기 상단바(1121)에는 상기 수직바(1122)에 결합된 볼트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2개 이상의 상단바 오픈홀(11211)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바(1122)에는 상기 상단바(1121)와 결합된 볼트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2개 이상의 수직바 오픈홀(11221)이 형성된다.
상기 미끄럼방지재저장부(11)의 경사각도는 상기 상단바 오픈홀(11211)와 상기 수직바 오픈홀(11221)에 볼트 결합하여 상기 상단바(1121)와 상기 수직바(1122)의 결합 길이에 의해 조절된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반사물질저장부(12)는 직육면체 형상이고 하부는 배출이 용이하도록 중앙으로 경사지며 최하부에 배출부(121)가 형성되며, 상부에 개폐할 수 있게 두껑(123)은 도 7에서는 생략되었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배출부(121)에는 배출량을 조정하는 배출량조절판(1211)과, 상기 배출부(121)을 개폐하는 제2배출개폐장치(1212)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량조절판(1211)에는 10.0~20.0 mm 간격으로 3.0~7.0 mm 직경의 10개 이상의 반사물질배출홀(12111)이 형성되어, 상기 반사물질배출홀(12111)로 상기 반사물질이 배출된다.
상기 배출량조절판(1211)은 상하 이중으로 설치하여 하부 배출량조절판은 고정시키고 상부 배출량조절판은 이동할 수 있게 하여 완전히 겹쳐질 때는 제일 많이 통과하고 겹치는 정도에 따라 배출되는 양을 조정할 수도 있으며, 상부 배출량조절판은 볼트의 조이는 깊이로 조정할 수 있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배출개폐장치(1212)는 상기 배출부(121)를 여닫을 수 있는 제2배출개폐판(12121)과, 상기 제2배출개폐판(12121)에 연결되어 상기 제2배출개폐판(12121)을 여닫는 개폐판 열림부재(12122)로 구성된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반사물질저장부(12)의 배출부(121)의 제2배출개폐장치(1212)는 상기 배출부(121)를 여닫을 수 있는 제2배출개폐판(12121)과, 상기 제2배출개폐판(12121)에 연결되어 상기 제2배출개폐판(12121)을 여닫는 개폐판 열림부재(12122)로 구성된다.
상기 제2배출개폐판(12121)에는 개폐할 수 있게 하는 힌지(121211)와 양측 선단에는 연결바(121212)가 형성되어 일측은 스프링(121213)으로 연결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개폐판 열림부재(12122)에 연결되어 상기 제2배출개폐판(12121)은 평상시는 상기 스프링(121213)의 힘으로 닫혀 있으며, 상기 개폐판 열림부재(12122)는 상기 미끄럼방지재저장부(11)에 볼트 결합되고 일정각도로 회전 가능한 제1바(121221)와, 일측은 상기 반사물질저장부(12)의 제2배출개폐판(12121)에 고정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제1바(121221)에 볼트로 고정되는 제2바(121222)로 구성된다.
상기 제1바(121221)에는 상기 제2바(121222)에 결합된 볼트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2개의 제1바 오픈홀(1212211)과, 상부 선단에는 상기 제2배출개폐판(12121)을 개폐하기 위하여 밀고 당길 수 있는 손잡이(1212212)가 형성된다.
상기 제2바(121222)의 상기 미끄럼방지재저장부(11) 쪽 선단에는 상기 제1바(121221)와 결합된 볼트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2개의 제2바 오픈홀(121222)이 형성된다.
상기 밀대(42) 앞에 서서 작업 시 상기 제1바(121221)를 밀어주면 상기 제2배출개폐판(12121)이 열리고 상기 제1바(121221)를 당겨주면 상기 제2배출개폐판(12121)이 닫힌다. 작업을 하지 않을 시는 상기 제2배출개폐판(12121)은 평상시는 상기 스프링(121213)의 힘으로 닫혀 있다.
도 9에 도시 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도료살포수단(2)은 상기 미끄럼방지재가 일시 체류하는 호퍼(21)와, 상기 미끄럼방지재저장부(11)에서 배출되는 상기 미끄럼방지재를 상기 호퍼(21)로 이송하는 슈트(22)와, 상기 호퍼(21)에 체류되는 미끄럼방지재를 살포하는 살포장치부(23)로 구성된다.
상기 호퍼(21)의 하부에는 상기 미끄럼방지재가 배출되는 호퍼배출구(211)가 형성되고, 상기 호퍼배출구(211)에는 배출량을 조정하는 호퍼배출개도 조정장치(2111)가 형성되며, 상기 호퍼배출개도 조정장치(2111)는 일측이 상기 호퍼배출구(211)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되는 호퍼배출조절판(21111)과 상기 호퍼배출조절판(21111)의 개도를 조절하는 제2조절판 열림부재(21112) 구성된다.
상기 호퍼배출조절판(21111)에는 상기 호퍼(21)의 본체와 결합하여 개폐할 수 있게 하는 힌지(211111)와, 상기 제2조절판 열림부재(21112)의 용수철(211122)와 연결할 수 있게 하는 조절판 열림부재 연결바(211113)과, 미끄럼방지재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자재량조절부(211112)가 형성된다.
상기 자재량조절부(211112)는 상기 호퍼(21)의 본체에 고정용접되는 자재량조절바(211112a)와, 상기 자재량조절바(211112a)에 형성된 나사홀에 결합되어 상기 호퍼배출조절판(21111)의 개도를 조정할 수 있는 자재량조절볼트(211112b)로 구성된다.
상기 자재량조절볼트(211112b)를 조아서 깊이 들어가면 상기 호퍼배출조절판(21111)이 적게 열려 배출량이 적어지고 상기 자재량조절볼트(211112b)를 풀어 볼트가 나오면 상기 호퍼배출조절판(21111)이 많이 열려서 배출량이 많아진다.
상기 제2조절판 열림부재(21112)는 상기 호퍼배출조절판(21111)의 열림의 정도를 조정하는 브레이크(211121)와, 상기 브레이크(211121)의 조정에 의해 상기 호파배출조절판(21111)의 열림 정도를 조정하고 상기 브레이크(211121)를 놓았을 때는 상기 호퍼배출조절판(21111)이 스프링의 힘으로 닫히게 하는 용수철(211122)과, 상기 브레이크(11121)와 용수철(11122)이 연결된 상기 호퍼배출조절판(21111)의 조절판 열림부재 연결바(211113)와 연결해주는 연결선(211123)으로 구성된다.
도 10 및 도2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살포장치부(23)는 실제 살포를 시행하는 살포축(231)과 상기 살포축(231)에 삽입되어 상기 엔진장치부(3)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을 벨트(34)로 상기 살포축(231)으로 전달하는 살포축풀리(232)와 상기 회전축이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하는 베어링부(233)로 구성된다.
상기 살포축(231)의 길이 방향으로는 4개의 살포판(2311)이 원주에 균등하게 형성되며, 상기 살포판(2311)에는 상기 미끄럼방지재가 통과하고 살포를 균등하게 해주는 다수 개의 미끄럼방지재 통과홀(23111)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미끄럼방지재 통과홀(23111)은 원형이며, 직경은 20~40mm이고, 상기 미끄럼방지재 통과홀(23111)과 상기 미끄럼방지재 통과홀(23111)과의 간격이 5~10mm인 구조이다.
약간의 반죽이 된 상태의 이액형 미끄럼방지재를 상기 엔진부(3)에서 발생시키는 회전력을 상기 벨트(34)로 상기 살포장치부(23)의 살포축(231)에 전달하여 살포축의 회전에 의해 살포판(2311)으로 뿌려준다.
상기 살포판(2311)에 형성된 미끄럼방지재 통과홀(23111)에 빠져나가면서 바닥을 치는 듯이 도포하며 오톨도톨하게 도포가 되며 오톨도톨하게 되어야만 미끄럼방지층으로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미끄럼방지재 살포량을 조절하기 쉽고, 미끄럼방지재저장부에서 배출되는 미끄럼방지재를 살포장치로 바닥에 터는 방식으로 균일하게 오톨도톨하게 형성시켜 미끄럼방지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미끄럼방지재를 균일하게 도포시키는 살포장치와, 살포된 미끄럼방지재 위에 반사물질을 일정량 뿌릴 수 있게 하여 미끄럼방지도료와 반사물질이 골고루 혼합된 상태에서 미끄럼방지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야간에 식별력을 높여, 미끄럼방지도료의 미끄럼방지성능을 대폭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1 : 도료저장수단 11 : 미끄럼방지재저장부
11a : 배출구 111 : 제1배출개폐장치
1111 : 제1배출조절판 11111 : 힌지
11112 : 수동개폐손잡이 11113 : 조절판 열림부재 연결바
1112 : 조절판 열림부재 11121 : 브레이크
11122 : 용수철 11123 : 연결선
112 : 각도조절링크 1121 : 상단바
11211 : 상단바 오픈홀 1122 : 수직바
11221 : 수직바 오픈홀 113 : 회전부
12 : 반사물질저장부 121 : 배출부
1211 : 배출량조절판 12111 : 반사물질배출홀
1212 : 제2배출개폐장치 12121 : 제2배출개폐판
121211 : 힌지 121212 : 연결바
121213 : 스프링 12122 : 개폐판 열림부재
121221 : 제1바 1212211 : 제1바 오픈홀
1212212 : 손잡이 121222 : 제2바
1212221 : 제2바 오픈홀 123 : 두껑
2 : 도료살포수단 21 : 호퍼
211 : 호퍼배출구 2111 : 호퍼배출개도 조정장치
21111 : 호퍼배출조절판 211111 : 힌지
211112 : 자재량조절부 211112a : 자재량조절바
211112b : 자재량조절볼트 211113 : 조절판 열림부재 연결바
21112 : 제2조절판 열림부재 211121 : 브레이크
211122 : 용수철 211123 : 연결선
22 : 슈트 23 : 살포장치부
231 : 살포축 2311 : 살포판
23111 : 미끄럼방지재 통과홀 232 : 살포축풀리
233 : 베어링부
3 : 엔진장치부 31 : 엔진부
32 : 연료통 33 : 엔진풀리
34 : 벨트
4 : 이동프레임부 41 : 베이스프레임
411 : 미끄럼방지재저장부 지대대 42 : 밀대
43 : 이동바퀴부 431 : 제1이동바퀴
4311 : 스토퍼 4312 : 나사식 조절기구
432 : 제2이동바퀴 433 : 제3이동바퀴
4331 : 풋브레이크

Claims (4)

  1.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도료를 노면에 도포하는데 사용되는 도로의 미끄럼방지층 도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층 도포장치는 미끄럼방지 도료를 저장하는 도료저장수단(1)과;
    상기 도료저장수단(1)에서 배출되는 도료를 살포하는 도료살포수단(2)과;
    상기 도료살포수단(2)에서 배출되는 도료가 균등하게 살포되게 상기 도료살포수단(2)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엔진장치부(3)와;
    상기 도료저장수단(1)과 도료살포수단(2)과 엔진장치부(3)가 장착되고 상기 미끄럼방지층 도포장치를 이동가능하게 하는 이동프레임부(4)로 구성되고,
    상기 도료저장수단(1)은 미끄럼방지재를 저장하는 미끄럼방지재저장부(11)와;
    살포된 상기 미끄럼방지재 위에 살포하여 빛이 반사되게 하는 반사물질을 저장하는 반사물질저장부(12)로 구성되며,
    상기 미끄럼방지재저장부(11)는 상면이 개구되고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는 역사각뿔 형상으로 최하단부에는 배출구(11a)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11a)에는 미끄럼방지재의 배출의 양을 조절하거나 배출을 차단하는 제1배출개폐장치(111)가 형성되며,
    상기 제1배출개폐장치(111)는 일측이 상기 미끄럼방지재저장부(11)의 배출구(11a)에 힌지(11111)로 결합되어 상기 배출구(11a)를 여닫을 수 있는 제1배출조절판(1111)과, 상기 제1배출조절판(1111)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조절판(1111)의 여닫히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판 열림부재(1112)로 구성되고,
    상기 조절판 열림부재(1112)는 상기 제1배출조절판(1111)의 열림의 정도를 조정하는 브레이크(11121)와, 상기 브레이크(11121)의 조정에 의해 상기 제1배출조절판(1111)의 열림 정도를 조정하고 상기 브레이크(11121)를 놓았을 때는 상기 제1배출조절판(1111)이 스프링의 힘으로 닫히게 하는 용수철(11122)과, 상기 브레이크(11121)와 용수철(11122)이 연결된 제1배출조절판(1111)의 조절판 열림부재 연결바(11113)와 연결해주는 연결선(11123)으로 구성되며,
    상기 미끄럼방지재저장부(11)의 후면에는 상기 미끄럼방지재저장부(11)의 각도를 조정하여 상기 미끄럼방지재저장부(11)의 내부 크리닝이나 잔여 도료를 배출할 때 사용되어지는 각도조절링크(112)가 형성되고,
    상기 미끄럼방지재저장부(11)의 하부는 상기 각도조절링크(112)에 의해 회전될 때 상기 미끄럼방지재저장부(11)가 회전될 수 있게 상기 이동프레임부(4)에 볼트 결합되는 회전부(113)가 형성되며,
    상기 반사물질저장부(12)는 상부에 개폐할 수 있게 두껑(123)이 있는 직육면체 형상이고 하부는 배출이 용이하도록 중앙으로 경사지며 최하부에 배출부(121)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121)에는 배출량을 조정하는 배출량조절판(1211)과, 상기 배출부(121)를 개폐하는 제2배출개폐장치(1212)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량조절판(1211)에는 10.0~20.0 mm 간격으로 3.0~7.0 mm 직경의 10개 이상의 반사물질배출홀(12111)이 형성되어, 상기 반사물질배출홀(12111)로 상기 반사물질이 배출되고,
    상기 제2배출개폐장치(1212)는 상기 배출부(121)를 여닫을 수 있는 제2배출개폐판(12121)과, 상기 제2배출개폐판(12121)에 연결되어 상기 제2배출개폐판(12121)을 여닫는 개폐판 열림부재(12122)로 구성되며,
    상기 도료살포수단(2)은 상기 미끄럼방지재가 일시 체류하는 호퍼(21)와, 상기 미끄럼방지재저장부(11)에서 배출되는 상기 미끄럼방지재를 상기 호퍼(21)로 이송하는 슈트(22)와, 상기 호퍼(21)에 체류되는 미끄럼방지재를 살포하는 살포장치부(23)로 구성되고,
    상기 호퍼(21)의 하부에는 상기 미끄럼방지재가 배출되는 호퍼배출구(211)가 형성되고,
    상기 호퍼배출구(211)에는 배출량을 조정하는 호퍼배출개도 조정장치(2111)가 형성되며,
    상기 호퍼배출개도 조정장치(2111)는 일측이 상기 호퍼배출구(211)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되는 호퍼배출조절판(21111)과 상기 호퍼배출조절판(21111)의 개도를 조절하는 제2조절판 열림부재(21112)로 구성되고,
    상기 제2조절판 열림부재(21112)는 상기 호퍼배출조절판(21111)의 열림의 정도를 조정하는 브레이크(211121)와, 상기 브레이크(211121)의 조정에 의해 상기 호퍼배출조절판(21111)의 열림 정도를 조정하고 상기 브레이크(211121)를 놓았을 때는 상기 호퍼배출조절판(21111)이 스프링의 힘으로 닫히게 하는 용수철(211122)과, 상기 브레이크(11121)와 용수철(11122)이 연결된 상기 호퍼배출조절판(21111)의 조절판 열림부재 연결바(211113)와 연결해주는 연결선(211123)으로 구성되며,
    상기 살포장치부(23)는 실제 살포를 시행하는 살포축(231)과 상기 살포축(231)에 삽입되어 상기 엔진장치부(3)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을 벨트(34)로 상기 살포축(231)으로 전달하는 살포축풀리(232)와 상기 살포축(231)이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하는 베어링부(233)로 구성되고,
    상기 살포축(231)의 길이 방향으로는 4개의 살포판(2311)이 원주에 균등하게 형성되며,
    상기 살포판(2311)에는 상기 미끄럼방지재가 통과하고 살포를 균등하게 해주는 10개 이상의 미끄럼방지재 통과홀(23111)이 형성되고,
    상기 엔진장치부(3)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부(31)과 상기 엔진부(31)에 원료를 공급하는 연료통(32)과 상기 엔진부(31)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을 상기 살포축(231)의 살포축풀리(232)로 벨트(34)에 의해 전달하는 엔진풀리(33)로 구성되며,
    상기 이동프레임(4)은 상기 도료저장수단(1)과 도료살포수단(2)과 엔진장치부(3)가 장착되는 베이스프레임(41)과, 상기 미끄럼방지층 도포장치를 이동시킬 때 사용하는 밀대(42)와, 상기 베이스프레임(41)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미끄럼방지층 도포장치를 원활하게 움직이게 하는 이동바퀴부(43)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바퀴부(43)는 상기 베이스프레임(41)의 앞측에 설치되는 2개의 제1이동바퀴(431)와, 상기 베이스프레임(41)의 중간측에 설치되는 2개의 제2이동바퀴(432)와, 상기 베이스프레임(41)의 뒤측에 설치되는 2개의 제3이동바퀴(433)로 구성되는 구조인 도로의 미끄럼방지층 도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링크(112)는 상기 미끄럼방지재저장부(11)의 상기 회전부(113)를 축으로 하여 상기 미끄럼방지재저장부(11)의 뒷면 중앙에 부착된 상단바(1121)와 상기 이동프레임부(4)에 부착된 수직바(1122)로 구성되며,
    상기 상단바(1121)에는 상기 수직바(1122)에 결합된 볼트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2개 이상의 상단바 오픈홀(11211)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바(1122)에는 상기 상단바(1121)와 결합된 볼트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2개 이상의 수직바 오픈홀(11221)이 형성되며,
    상기 미끄럼방지재저장부(11)의 경사각도는 상기 상단바 오픈홀(11211)와 상기 수직바 오픈홀(11221)에 볼트 결합하여 상기 상단바(1121)와 상기 수직바(1122)의 결합 길이에 의해 조절되고,
    상기 제2배출개폐판(12121)에는 개폐할 수 있게 하는 힌지(121211)와 양측 선단에는 연결바(121212)가 형성되어 일측은 스프링(121213)으로 연결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개폐판 열림부재(12122)에 연결되어 상기 제2배출개폐판(12121)은 평상시는 상기 스프링(121213)의 힘으로 닫혀 있으며,
    상기 개폐판 열림부재(12122)는 상기 미끄럼방지재저장부(11)에 볼트 결합되고 일정각도로 회전 가능한 제1바(121221)와, 일측은 상기 반사물질저장부(12)의 제2배출개폐판(12121)에 고정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제1바(121221)에 볼트로 고정되는 제2바(121222)로 구성되고,
    상기 제1바(121221)에는 상기 제2바(121222)에 결합된 볼트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2개의 제1바 오픈홀(1212211)과, 상부 선단에는 상기 제2배출개폐판(12121)을 개폐하기 위하여 밀고 당길 수 있는 손잡이(1212212)가 형성되며,
    상기 제2바(121222)의 상기 미끄럼방지재저장부(11) 쪽 선단에는 상기 제1바(121221)와 결합된 볼트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2개의 제2바 오픈홀(121222)이 형성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미끄럼방지층 도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바퀴(431)에는 상기 미끄럼방지층 도포장치가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키는 스토퍼(4311)와, 세워둘 때나 운전 중일 때 또는 높낮이가 있는 도로에서의 작업시 상기 제1이동바퀴(431)의 높이조절을 할 수 있는 나사식 조절기구(4312)가 형성되며,
    상기 제3이동바퀴(433)에는 경사진 길에서 가속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발로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풋브레이크(4331)가 형성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미끄럼방지층 도포장치
  4. 삭제
KR2020100003433U 2010-04-02 2010-04-02 도로의 미끄럼방지층 도포장치 KR2004621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433U KR200462165Y1 (ko) 2010-04-02 2010-04-02 도로의 미끄럼방지층 도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433U KR200462165Y1 (ko) 2010-04-02 2010-04-02 도로의 미끄럼방지층 도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583U KR20110009583U (ko) 2011-10-10
KR200462165Y1 true KR200462165Y1 (ko) 2012-08-28

Family

ID=45596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3433U KR200462165Y1 (ko) 2010-04-02 2010-04-02 도로의 미끄럼방지층 도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16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641B1 (ko) * 2012-06-27 2014-06-17 (주) 로드테크 미끄럼방지 시공장치
KR101329801B1 (ko) * 2013-01-17 2013-11-15 (주) 세광상사 반자동식 차선 도색장치
KR101582594B1 (ko) * 2013-12-26 2016-01-05 (주)태산도장건설 도포식 노면 미끄럼방지 시공장치
KR102189689B1 (ko) * 2020-03-13 2020-12-17 이금선 노면 미끄럼 방지 페인트 포설장비
KR102546529B1 (ko) * 2020-10-27 2023-06-21 경 곤 김 노면 미끄럼 방지 페인트 분사장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4318A (ja) 1998-08-05 2000-02-22 Seitoo Kk 滑り止め面舗装の施工方法並びにその装置
KR100563803B1 (ko) 2005-12-21 2006-03-28 주식회사 경우엔지니어링 유색성 도로 포장재를 이용하는 도로 포장 방법 및 그 장치
KR200423508Y1 (ko) 2006-04-21 2006-08-09 주식회사 경풍 융착식 도로면 미끄럼 방지층 도포장치
JP2008196291A (ja) 2007-02-09 2008-08-28 Sagami Road:Kk 自走式路面滑止舗装施工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4318A (ja) 1998-08-05 2000-02-22 Seitoo Kk 滑り止め面舗装の施工方法並びにその装置
KR100563803B1 (ko) 2005-12-21 2006-03-28 주식회사 경우엔지니어링 유색성 도로 포장재를 이용하는 도로 포장 방법 및 그 장치
KR200423508Y1 (ko) 2006-04-21 2006-08-09 주식회사 경풍 융착식 도로면 미끄럼 방지층 도포장치
JP2008196291A (ja) 2007-02-09 2008-08-28 Sagami Road:Kk 自走式路面滑止舗装施工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583U (ko) 2011-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2165Y1 (ko) 도로의 미끄럼방지층 도포장치
US1031647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ng the application of friction-modifying coatings
KR100930075B1 (ko) 콤팩트화된 동력식 노면 표시 도색장치
US7137214B2 (en) Snow removal machine with system for applying a surface treatment material
US8308394B2 (en) Vacuum-operated material transfer system and method
KR102189689B1 (ko) 노면 미끄럼 방지 페인트 포설장비
US2023004759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ng the Application of Friction-Modifying Coatings
KR101404641B1 (ko) 미끄럼방지 시공장치
KR101509321B1 (ko) 3차원적인 입체 기능성 차선을 시공하기 위한 포장도로의 차선 도색장치
KR101058489B1 (ko) 인젝션노즐을 이용한 미끄럼방지 시공장치
KR101252657B1 (ko) 돌출형 차선 시공장치
CA3138636C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ng the application of friction-modifying coatings
KR102112111B1 (ko) 졸음방지 시설물 시공장치
KR102112110B1 (ko) 도포식 졸음방지 시공장치
KR101582594B1 (ko) 도포식 노면 미끄럼방지 시공장치
KR101494456B1 (ko) 차량바퀴의 미끄럼방지제 살포장치
KR102546529B1 (ko) 노면 미끄럼 방지 페인트 분사장비
CA299641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ng the application of friction-modifying coatings
AU2012261637A1 (en) Smoothing Device
KR200264287Y1 (ko) 수동식 요철형 차선 도색장치
WO201800003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road surface markings
JP2001271309A (ja) 散布式表面処理作業車
KR102165634B1 (ko) 노면 미끄럼 방지 페인트 포설장비
JPH11350415A (ja) 散布式表面処理作業車
JP5770231B2 (ja) 路面塗装施工法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路面塗装施工装置用骨材散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