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2110B1 - 도포식 졸음방지 시공장치 - Google Patents

도포식 졸음방지 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2110B1
KR102112110B1 KR1020170111737A KR20170111737A KR102112110B1 KR 102112110 B1 KR102112110 B1 KR 102112110B1 KR 1020170111737 A KR1020170111737 A KR 1020170111737A KR 20170111737 A KR20170111737 A KR 20170111737A KR 102112110 B1 KR102112110 B1 KR 102112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wsiness
stirring
storage tank
discharge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1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5275A (ko
Inventor
이유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형제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형제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형제이엔지
Priority to KR1020170111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2110B1/ko
Publication of KR20190025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5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2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2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45Portable apparatus for preparing, or for preparing and applying to the road, compound liquid binders, e.g. emulsified bitumen, fluxed asphal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포식 졸음방지 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지제저장탱크 내부에 저장된 골재와 토르말린이 혼합된 친환경수지의 졸음방지제를 교반수단으로써 교반시키면서, 하부 영역에 구비된 방지제도포수단의 회전드럼으로 배출 낙하시킴에 따라 도로면의 요철부 생성에 따른 작업성이 향상되었으며, 또한 도로면으로 낙하되어 생성되는 요철부의 생성이 뚜렷하여 차량 바퀴와의 미끄럼 저항력을 높여 졸음을 방지하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도포식 졸음방지 시공장치{Anti-drowsiness application device}
본 발명은 도포식 졸음방지 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골재와 토르말린이 혼합된 친환경수지의 졸음방지제를 저장하여 교반수단으로 교반시키면서, 하부 영역 구비된 방지제도포수단의 회전드럼 영역으로 배출 낙하시켜 도로면에 요철부가 도포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상에 표시되는 각종 표시는 백색이나 황색 등의 특수 고형제와 그라스비드를 함께 끓이고, 교반하여 도포하는 방법으로 시공되며, 가마나 콤프레셔를 탑재한 복잡한 장비를 구비하여야 하고, 재료의 처리 조작이 복잡하고 작업시간과 인력이 많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방법으로 시공된 차선 표시는 도로면 상에 시인성은 좋으나 차량의 통행에 의해 쉽게 마모되고, 그라스비드가 도로와의 접착성이 약하여 쉽게 이탈이 이루어지며, 비나 눈이 올 때 물기에 의해 차바퀴와 노면 사이에 수막이 생겨 미끄러지기 때문에, 교통 사고가 일어날 위험성이 높게 되었다.
이와 같이 차가 노면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로의 내리막 차선이나 커브길에 미끄럼 방지부를 간격을 두고 다수개 설치하여 타이어와 노면간의 마찰계수를 높여 미끄럼 방지 설치 구역을 지나는 운전자로 여금 감속 운행을 유도함은 물론, 요철을 주어 자동차가 속도에 의해 미끄러지거나 균형을 잃지 않도록 함으로써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미끄럼 방지부를 시공하는 방법은 미끄럼 방지용 골재로서 제강 슬래그 또는 세라믹 골재를 사용하고, 이를 불소-에폭시 변성 수지나,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에폭시 접착제를 사용하여 노면에 곧바로 싱공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즉, 접착제를 노면에 도포하고 그 위에 골재를 뿌린 다음 롤러로 다진 미끄럼 방지층을 노면상부에 형성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은 방법은 에폭시 수지와 불소-에폭시 변성 수지가 온도의 영향을 받아 추운 동절기에는 시공이 불가능하였으며, 습도에 영향을 받아 습기가 많거나 이슬이 내리는 야간에는 작업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선행기술 등록특허 10-0804765호(발명의 명칭 : 이액형 재료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시설물의 시공방법)와 등록 실용 20-0427777호(고안의 명칭 : 횡단보도를 포함한 노면 표시와 미끄럼 방지부를 시공하는 장치)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선행기술중 등록특허 10-0804765호는 저장통 내부의 이형액 재료를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시킬 때, 원통형 회전체의 원형구멍을 통해 가압공급장치의 공기를 분출하여 이형액 재료를 연속적으로 흩뿌려 도로면에 요철형태의 미끄럼 방지 시설물을 시공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원통형 회전체의 원형구멍을 통해 분출되는 압축공기로써 이형액 재료를 흩뿌리기 때문에, 도로면에 형성되는 돌출면이 균일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그리고, 등록실용 20-0427777호는 이액형 재료를 저장하여 균일한 두께로 평면도포 되도록 배출구의 도로면이 도로면에 근접한 공급용기와, 상기 공급용기의 배출구 후위에 설치되고, 표면에 다수개의 돌기가 부착되고, 상기 돌기의 끝이 도로의 도로면에 닿아 주행시에 회전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그루빙 장치와, 상기 그루빙 장치의 후위에 설치되어 도로에 유착된 도장면에 비드를 고르게 공급시키는 비드공급장치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도로면 상에 저항계수가 높은 골재를 첨가한 이액형 재료를 평면 도포한 후, 그루빙 장치로 홈을 내고 비드를 뿌려 주는 방법으로 횡단보도를 포함한 노면 표시와 미끄럼 방지부를 시공하는 것으로, 이는 이액형 재료를 평면 도포하고, 이에 그루빙 장치로써 홈을 내고, 비드를 뿌려 주는 순서로 작업을 진행하게 됨에 따라 작업성이 저하되고, 미끄럼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이와 같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10-1582594호가 제공되었으나, 이는 미끄럼방지제가 도포수단의 회전날개 영역으로 배출되어 회전날개의 방지제유입홈으로 유입된 후, 유입요홈에 형성된 방지제낙하공을 통과하면서 도로면으로 떨어지게 됨에 따라 작업속도가 저하되었으며, 또한 도로면에 도포생성되는 요철부가 미미하여 차량 바퀴와의 미끄럼 저항력이 낮아 미끄럼 기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골재와 토르말린이 혼합된 친환경수지의 졸음방지제를 저장하여 교반수단으로 교반시키면서, 하부 영역에 구비된 방지제도포수단의 회전드럼 영역으로 배출 낙하시켜 도로면에 요철부가 도포 형성되도록 하여 차량 바퀴와 미끄럼 저항력을 높이도록 구성한 도포식 졸음방지 시공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 해결 수단은 이동바퀴가 구비된 받침테이블 상부에 장착되고, 휘발유로 동작되는 발전기와; 발전기 좌우측의 받침테이블 상부에 장착되어 발전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력을 감속하기 위한 제1,2감속모터와; 받침테이블의 후면에 구비된 전면프레임 상부 영역에 구비되고, 하부의 배출량조절수단에 의해 배출량이 조절되며, 제1감속모터의 회전력을 제1전달부재로써 전달받아 내부에 저장되는 졸음방지제를 교반시키기 위한 교반수단이 구비된 방지제저장탱크와; 방지제저장탱크 하부 영역의 전방테이블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2감속모터의 회전력을 제2전달부재로써 전달받아 졸음방지제가 하방으로 비산되어 도로면을 요철로 도포하기 위한 방지제도포수단으로 구성된 도포식 졸음방지 시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반수단은 상기 제1감속모터에 구비된 우측감속풀리와; 상기 우측감속풀리와 수직벨트로 연결되고, 받침테이블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수직으로 축설된 상부풀리와; 상기 상부풀리와 연결되고 단부에 수평베벨기어가 축설되어 기어박스 내부에 위치되는 연결회전축과, 수평베벨기어에 치합되도록 기어박스 내부에 수직으로 수직회전축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수직베벨기어로 이루어진 중간회전전달부재와; 상기 수직회전축 상부에 축설된 외측상부풀리와 상부벨트로써 연결되고, 방지제저장탱크의 커버 중앙 영역에 수직으로 축설되는 교반회전축 외주면에 수평으로 축설된 내측상부풀리와; 상기 교반회전축 하부에 축설되어 방지제저장탱크 내부의 졸음방지제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날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지제저장탱크 내부에 저장된 골재와 토르말린이 혼합된 친환경수지의 졸음방지제를 교반수단으로써 교반시키면서, 하부에 영역 구비된 방지제도포수단의 회전드럼으로 많은 량을 배출 낙하시킴에 따라 도로면의 요철부 생성에 따른 작업성이 향상되었으며, 또한 도로면으로 낙하되어 생성되는 요철부의 생성이 뚜렷하여 차량 바퀴와의 미끄럼 저항력을 높여 졸음을 방지하는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포식 졸음방지 시공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포식 졸음방지 시공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포식 졸음방지 시공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포식 졸음방지 시공장치의 교반수단을 도시한 구성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포식 졸음방지 시공장치의 배출량조절수단을 도시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포식 졸음방지 시공장치의 배출량조절수단을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포식 졸음방지 시공장치의 동작상태 구성도.
도 9는 도 8의 "A"부분의 확대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포식 졸음방지 시공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포식 졸음방지 시공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며,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포식 졸음방지 시공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포식 졸음방지 시공장치의 교반수단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포식 졸음방지 시공장치는 하부에 이동바퀴(1)가 구비된 받침테이블(3) 상부에 장착되고, 휘발유 등의 연료로 동작되는 발전기(10)와; 발전기(10) 좌우측의 받침테이블(3) 상부에 장착되어 발전기(1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력을 감속하기 위한 제1,2감속모터(20)(21)와; 받침테이블(3)의 후면에 구비된 전면프레임(5) 상부 영역에 구비되고, 하부의 배출량조절수단(70)에 의해 배출량이 조절되며, 제1감속모터(20)의 회전력을 제1전달부재(40)로써 전달받아 내부에 저장되는 졸음방지제를 교반시키기 위한 교반수단(50)이 구비된 방지제저장탱크(30)와; 방지제저장탱크(30) 하부 영역의 전면프레임(5)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2감속모터(21)의 회전력을 제2전달부재(80)로써 전달받아 배출되는 졸음방지제가 부딪히면서 하방으로 비산되어 도로면을 요철로 도포하기 위한 방지제도포수단(1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전달부재(40)는 발전기(10)에 구비된 외측풀리(42)와; 제1감속모터(20)에 구비된 후면감속풀리(44)와; 외측풀리(42)와 후면감속풀리(44) 사이에 연결되는 벨트(46)로 이루어진다.
상기 교반수단(50)은 제1감속모터(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연결축(51)과; 연결축(51)과 조인트로써 연결되고 단부에 수직베벨기어(52)가 축설되어 기어박스(53) 내부에 위치되는 연결회전축(54)과, 수직베벨기어(52)에 치합되도록 기어박스(53) 내부에 수직으로 수직회전축(55)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수평베벨기어(56)로 이루어진 중간회전전달부재(57)와; 수직회전축(55) 상부에 축설된 외측상부풀리(58)와 상부벨트(59)로써 연결되고, 방지재저장탱크(30)의 커버(31) 중앙 영역에 수직으로 축설되는 교반회전축(60) 외주면에 수평으로 축설된 교반축풀리(61)와; 교반회전축(60) 하부에 축설되어 방지재저장탱크(30) 내부의 졸음방지재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날개(62)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출량조절수단(70)은 방지제저장탱크(30) 하단에 연통되게 돌출되게 형성되고, 하단에 간격을 유지하여 배출구(71a)가 형성된 하부차단재(71)와; 하부차단재(71)의 전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하부차단재(71)와 연통되고 사각가이드공(72a)이 가이드돌부(72)와; 가이드돌부(72)의 사각가이드공(72a)과 연통되게 하부차단재(71) 내벽에 마주보게 고정되고, 가이드홈(73a)이 형성된 가이드레일(73)(74)과; 가이드돌부(72)의 사각가이드공(72a)과 가이드레일(73)(74)의 가이드홈(73a)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위치조절부재(80)에 선택적으로 걸려 배출공(71a)의 크기를 조절하여 졸음방지제의 하부배출을 조절하기 위한 배출량조절판(76)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배출량조절판(76)은 양단의 위치조절부재(80)에 선택적으로 걸리게 되어배출공(71a)의 크기를 조절하는 다수의 걸림조절홈(76a)이 형성된다.
상기 위치조절부재(80)는 사각가이드공(72a)과 연통되게 가이드돌부(72) 양단에 형성된 나사통공(82)과; 나사통공(82)의 선단에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어 배출량조절판(76)의 걸림홈(76a)이 선택적으로 걸리게 되는 잠금유지볼(84)과; 나사통공(82) 내부에 끼워지고, 선단이 잠금유지볼(84)에 고정되어 탄력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스프링(86)과; 나사통공(82)의 후단에 체결 고정되어 지지스프링(86)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볼트(88)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전달부재(90)는 발전기(10)에 구비된 내측풀리(91)와; 제2감속모터(21)에 구비된 후면감속풀리(92) 및 좌측감속풀리(93)와; 내측풀리(91)와 후면감속풀리(92) 사이에 연결되는 벨트(94)와; 제2감속모터(21)의 좌측감속풀리(93)와 방지제도포수단(100)에 구비된 풀리(95)와; 좌측감속풀리(93)와 방지제도포수단(100)의 풀리(95) 사이에 연결된 벨트(96)로 이루어진다.
상기 방지제도포수단(100)은 전면프레임(5) 하단 양측에 각각 고정된 한쌍의 고정브라켓(101)과; 고정브라켓(101) 사이에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일단에 축설된 풀리(95)와 벨트(96)로써 제2감속모터(2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수평회전장축(103) 양단에 장착되어 방지제저장탱크(30)로부터 배출되는 졸음방지제가 도로면으로 떨어져 도로면을 요철로 도포하기 위한 회전드럼(105)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방지제저장탱크(30) 하단의 배출량조절수단(70)은 회전드럼(103)의 전방 영역으로 위치되어 정회전(시계방향)하는 회전드럼(105)의 전방 영역으로 졸음방지제를 낙하시켜 도로면을 도포시키게 된다.
그리고, 회전드럼(105)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돌기부(105a)가 돌출 형성되어 도로면으로 도포되는 졸음방지제의 비산 범위를 넓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졸음방지제는 3호~5호사 골재와 토르말린이 혼합된 친환경수지를 사용하게 되고, BPN(Britishpendulum number)계수와 차량 하중을 고려하여 아스팔트를 보호할 수 있도록 3~4mm의 두께로 도포 시공하게 되어 차량의 바퀴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운전자의 졸음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도포식 졸음방지 시공장치에 대한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전면프레임(5)의 상부에 구비되는 방지제저장탱크(30) 하단의 하부차단재(71)에 형성된 배출구(71a)를 배출량조절판(76)으로써 완전히 차단한 다음, 방지제저장탱크(30) 내부에 3호~5호사 골재와 토르말린이 혼합된 친환경수지로 이루어진 적정량의 졸음방지제를 채우게 된다.
그 다음으로 작업자가 시공장치를 이동바퀴(1)로서 작업위치로 이동시켜 작업자가 직접 이동시키면서 시공작업을 하거나, 차량의 뒷부분에 장착하여 시공작업을 하게 된다.
이러한 시공작업은 발전기(10)를 동작시켜 발전기(10)의 동력을 제1,2감속모터(20)(21)로 전달하여 감속하게 되고, 제1,2감속모터(20)(21)의 감속된 회전력이 제1,2전달부재(40)(90)를 통해 교반수단(50)이 동작되어 방지제저장탱크(30) 내부의 졸음방지제를 교반하게 되고, 방지제도포수단(100)이 동작되어 배출량조절수단(70)을 통해 교반이 이루어진 졸음방지제가 방지제도포수단(100)으로 배출이 이루어져 도로면을 요철로 도포하게 된다.
즉, 발전기(10)의 동력이 외측풀리(42)와 전면감속풀리(44) 사이의 벨트(46)를 통해 제1감속모터(20)로 전달되어 회전력이 감속되고, 감속된 회전력이 연결축(51)과 연결회전축(54)을 통하여 기어박스(53) 내부의 수직베벨기어(52)로 전달되어 수직베벨기어(52)가 회전하게 되고, 수직베벨기어(52)에 치합된 수직베벨기어(56)가 회전하게 됨에 따라 수직회전축(55) 상부에 축설된 외측상부풀리(58)와 상부벨트(59)로써 연결되는 교반축풀리(61)가 회전하게 되고, 방지제저장탱크(30)의 커버(31) 수직으로 축설되는 교반회전축(60)이 회전하게 되며, 하부의 교반날개(62)가 회전하게 되어 졸음방지제를 교반시키게 된다.(도 3 및 도 4참조)
이와 동시에, 도 2에서와 같이 발전기(10)의 동력이 내측풀리(91)와 후면감속풀리(92) 사이의 벨트(94)를 통해 제2감속모터(21)로 전달되어 회전력이 감속되고, 감속된 회전력이, 좌측감속풀리(93)와 방지제도포수단(100)의 풀리(95) 사이의 벨트(96)를 통해 방지제도포수단(100)으로 전달되어 회전드럼(105)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방지제저장탱크(30) 하부의 배출량조절수단(70)을 구성하는 배출량조절판(76)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하부차단재(71)의 내부 간격를 조절하게 된다.
이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도 7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하부차단재(71)의 사각가이드공(72a)과 가이드레일(73)(74)의 가이드홈(73a)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출량조절판(76)을 전방으로 당기면, 배출량조절판(76)의 양측이 사각가이드공(72a)과 가이드홈(73a)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이동된 길이만큼 하부차단재(71)가 하방으로 노출됨에 따라, 하부차단재(71) 하단에 적정 간격을 유지하여 위치된 배출구(71a)를 통하여 졸음방지제가 회전하는 회전드럼(105) 영역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때, 배출량조절판(76)은 양단에 형성된 걸림조절홈(75a)이, 위치조절부재(80)를 구성하는 지지스프링(86)에 의해 지지되는 잠금유지볼(84)에 탄력적으로 결합되어 이동 길이를 유지시켜주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하는 회전드럼(105)의 전방 영역으로 졸음방지제가 떨어져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에 돌기부(105a)가 형성된 회전드럼(105)의 회전력과 자체의 지름(크기)에 의해 불규칙하게 비산되어 도로면을 울퉁불퉁하게 약 3~4mm의 두께로 도포 시공되어 미끄럼 저항력을 높이게 됨에 따라 차량의 미끄럼방지 및 운전자의 졸음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한 예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는 동일한 목적 및 효과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될 수 있을 것이다.
1 : 이동바퀴 3 : 받침테이블
5 : 전면프레임 20,21 : 제1,2감속모터
30 : 방지제저장탱크 31 : 커버
50 : 교반수단 51 : 연결축
52 : 수직베벨기어 53 : 기어박스
54 : 연결회전축 55 : 수직회전축
56 : 수평베벨기어 57 : 중간회전전달부재
58 : 외측상부풀리 59 : 상부벨트
60 : 교반회전축 61 : 교반축풀리
62 : 교반날개 70 : 배출량조절수단
71 : 하단차단재 71a : 배출구
72 : 가이드돌부 72a : 사각가이드공
73,74 : 가이드레일 73a : 가이드홈
76 : 배출량조절판 76a : 걸림조절홈
82 : 나사통공 84 : 잠금유지볼
86 : 지지스프링 88 : 지지볼트
100 : 방지제도포수단 101 : 고정브라켓
103 : 수평회전장축 105 : 회전드럼
105a : 돌기부

Claims (5)

  1. 받침테이블(3) 상부에 장착된 발전기(10)와; 발전기(10) 좌우측에 장착되어 발전기(10)의 회전력을 감속하는 제1,2감속모터(20)(21)와; 받침테이블(3)의 후면에 구비된 전면프레임(5) 상부 영역에 구비되고, 하부의 배출량조절수단(70)에 의해 배출량이 조절되며, 제1감속모터(2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저장되는 졸음방지제를 교반시키기 위한 교반수단(50)이 구비된 방지제저장탱크(30)와; 방지제저장탱크(30) 하부 영역의 전방테이블(3)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2감속모터(2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졸음방지제가 하방으로 비산되어 도로면을 요철로 도포하기 위한 방지제도포수단(100)으로 구성된 도포식 졸음방지 시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반수단(50)은
    상기 제1감속모터(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연결축(51)과;
    상기 연결축(51)과 조인트로써 연결되고 단부에 수직베벨기어(52)가 축설되어 기어박스(53) 내부에 위치되는 연결회전축(54)과, 수직베벨기어(52)에 치합되도록 기어박스(53) 내부에 수직으로 수직회전축(55)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수평베벨기어(56)로 이루어진 중간회전전달부재(57)와;
    상기 수직회전축(55) 상부에 축설된 외측상부풀리(58)와 상부벨트(59)로써 연결되고, 방지재저장탱크(30)의 커버(31) 중앙 영역에 수직으로 축설되는 교반회전축(60) 외주면에 수평으로 축설된 교반축풀리(61)와;
    상기 교반회전축(60) 하부에 축설되어 방지재저장탱크(30) 내부의 졸음방지재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날개(62)로 구성되되,
    상기 배출량조절수단(70)은
    상기 방지제저장탱크(30) 하단에 연통되게 형성되고, 하단에 간격을 유지하여 배출구(71a)가 형성된 하부차단재(71)와;
    상기 하부차단재(71)의 전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하부차단재(71)와 연통되고 사각가이드공(72a)이 가이드돌부(72)와;
    상기 가이드돌부(72)의 사각가이드공(72a)과 연통되게 하부차단재(71) 내벽에 마주보게 고정되고, 가이드홈(73a)이 형성된 가이드레일(73)(74)과;
    상기 사각가이드공(72a)과 가이드홈(73a)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위치조절부재(80)에 선택적으로 걸려 배출구(71a)의 크기를 조절하여 졸음방지제의 하부배출을 조절하기 위한 배출량조절판(76)으로 구성되며,
    상기 배출량조절판(76)은
    양단에 위치조절부재(80)에 선택적으로 걸리게 되어 배출공(71a)의 크기를 조절하는 다수의 걸림조절홈(76a)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조절부재(80)는
    상기 사각가이드공(72a)과 연통되게 가이드돌부(72) 양단에 형성된 나사통공(82)과;
    상기 나사통공(82)의 선단에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어 배출량조절판(76)의 걸림홈(76a)이 선택적으로 걸리게 되는 잠금유지볼(84)과;
    상기 나사통공(82) 내부에 끼워지고, 선단이 잠금유지볼(84)에 고정되어 탄력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스프링(86)과;
    상기 나사통공(82)의 후단에 체결 고정되어 지지스프링(86)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볼트(88)로 구성되고,
    상기 방지제도포수단(100)은
    상기 전면프레임(5) 하단 양측에 각각 고정된 한쌍의 고정브라켓(101)과;
    상기 고정브라켓(101) 사이에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외주면에 다수의 돌기부(105a)가 형성되며, 일단에 축설된 풀리(95)와 벨트(96)로써 제2감속모터(2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수평회전장축(103) 양단에 장착되어 방지제저장탱크(30)로부터 배출되는 졸음방지제가 도로면으로 떨어져 요철로 도포하기 위한 회전드럼(105)으로 구성되며,
    상기 배출량조절수단(70)의 배출구(71a)는 상기 회전드럼(105)의 전방측으로 졸음방지제를 경사지게 낙하시키고,
    상기 회전드럼(105)의 회전방향은 정회전(시계방향)하고 회전드럼(105)의 외주면에 다수의 돌기부(105a)가 반구형태로 형성되어 회전드럼(105)의 전방 영역으로 낙하되는 졸음방지제가 회전드럼(105)의 회전력과 반구형태의 다수의 돌기부(105a) 자체 지름에 의해 불규칙하게 비산되어 비산 범위가 넓어지도록 하며,
    상기 배출구(71a)는 상기 배출량조절판(76)으로부터 하부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되 상기 배출량조절판(76)과 상기 배출구(71a) 사이의 하부차단재(71) 벽면의 하부벽면은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졸음방지제는 3호 내지 5호사 골재와 토르말린이 혼합된 수지가 사용되며, BPN(Britishpendulum number)계수와 차량 하중을 고려하여 3mm 내지 4mm의 두께로 도포 시공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식 졸음방지 시공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111737A 2017-09-01 2017-09-01 도포식 졸음방지 시공장치 KR102112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737A KR102112110B1 (ko) 2017-09-01 2017-09-01 도포식 졸음방지 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737A KR102112110B1 (ko) 2017-09-01 2017-09-01 도포식 졸음방지 시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5275A KR20190025275A (ko) 2019-03-11
KR102112110B1 true KR102112110B1 (ko) 2020-05-18

Family

ID=65758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1737A KR102112110B1 (ko) 2017-09-01 2017-09-01 도포식 졸음방지 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21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44155A (zh) * 2019-04-30 2019-06-28 厦门合诚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桥梁维修加固的可移动式工作平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814Y1 (ko) * 2003-02-14 2003-05-16 박종문 비료 살포기의 유기질 비료 살포장치
KR101392886B1 (ko) * 2012-12-11 2014-05-09 (주)라인테크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438B1 (ko) * 2011-07-22 2013-06-11 주식회사 진산기계 횡단보도용 차선도색장치
KR101582594B1 (ko) * 2013-12-26 2016-01-05 (주)태산도장건설 도포식 노면 미끄럼방지 시공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814Y1 (ko) * 2003-02-14 2003-05-16 박종문 비료 살포기의 유기질 비료 살포장치
KR101392886B1 (ko) * 2012-12-11 2014-05-09 (주)라인테크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5275A (ko) 2019-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8737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a night-visible traffic stripe to a road
KR100930075B1 (ko) 콤팩트화된 동력식 노면 표시 도색장치
KR102112110B1 (ko) 도포식 졸음방지 시공장치
EP1159489B1 (en) Audible night-visible traffic stripe for a road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KR102189689B1 (ko) 노면 미끄럼 방지 페인트 포설장비
KR102333234B1 (ko) 도로의 박층 포장장치 및 박층 시공방법
KR20140001455A (ko) 미끄럼방지 시공장치
KR200462165Y1 (ko) 도로의 미끄럼방지층 도포장치
KR101509321B1 (ko) 3차원적인 입체 기능성 차선을 시공하기 위한 포장도로의 차선 도색장치
US6345931B1 (en) Aggregate material spreading mechanism
KR102112111B1 (ko) 졸음방지 시설물 시공장치
KR101582594B1 (ko) 도포식 노면 미끄럼방지 시공장치
KR200427777Y1 (ko) 횡단보도를 포함한 노면 표시와 미끄럼 방지부를 시공하는장치
US4280663A (en) Scattering apparatus
KR20100093190A (ko) 인젝션노즐을 이용한 미끄럼방지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CN110700177B (zh) 融雪剂撒布装置及具有其的融雪剂撒布车
JP2796782B2 (ja) 道路表面処理剤および道路表面処理構造と道路表面処理装置
CN207567713U (zh) 无动力牵引式融雪剂撒布车
CN210596944U (zh) 一种公路施工划线装置
KR101979191B1 (ko) 이액형 상온 경화형 차선 도색장치
JP2000104209A (ja) 散布式表面処理工法
KR102165634B1 (ko) 노면 미끄럼 방지 페인트 포설장비
KR200264287Y1 (ko) 수동식 요철형 차선 도색장치
CN220013530U (zh) 一种手推式融雪剂喷洒机
EP0307380B1 (en) Equipment for combined spreading of binder and aggregate for road cove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