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4641B1 - 미끄럼방지 시공장치 - Google Patents

미끄럼방지 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4641B1
KR101404641B1 KR1020120069042A KR20120069042A KR101404641B1 KR 101404641 B1 KR101404641 B1 KR 101404641B1 KR 1020120069042 A KR1020120069042 A KR 1020120069042A KR 20120069042 A KR20120069042 A KR 20120069042A KR 101404641 B1 KR101404641 B1 KR 101404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slit
weight
uni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9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1455A (ko
Inventor
김용선
Original Assignee
(주) 로드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로드테크 filed Critical (주) 로드테크
Priority to KR1020120069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4641B1/ko
Publication of KR20140001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4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4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1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08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roughening or patterning; for removing the surface down to a predetermined depth high spots or material bonded to the surface, e.g. markings; for maintaining earth roads, clay courts or like surfaces by means of surface working tools, e.g. scarifiers, levelling bl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료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도료공급밸브 및 살포부를 포함하여 도로표면에 요철을 형성하는 미끄럼방지 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방지 시공장치는 도료공급 밸브를 구비하여 도로 표면에 미끄럼방지용 요철을 균일하게 살포할 수 있으며, 또한, 도료 살포량을 시공시간이나 원하는 두께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끄럼방지 시공장치는 에어 콤프레셔나 에어탱크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장치의 구조가 간단하므로 이동성 및 작업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미끄럼방지 시공장치{Non slip prevention constru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미끄럼방지 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도료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도료공급밸브 및 살포부를 포함하여 도로표면에 요철을 불규칙적으로 형성하는 미끄럼방지 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교통수단의 발달, 특히 자동차의 발달과 보급으로 도로의 기능이 점점 더 확대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자동차 운행 중 일어나는 사고를 예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기능중 하나인데, 예를 들면, 자동차 과속이나 눈이나 비에 젖은 도로면 상에서 차량의 미끄러짐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는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운전자의 시인성을 높이고, 차량이 도로의 노면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로의 내리막 또는 커브에 미끄럼방지 시설을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하여 차량의 타이어와 노면간의 마찰계수를 높여 미끄럼방지 시설구역을 지나는 운전자로 하여금 감속 운행을 유도함은 물론, 요철을 주어 차량이 속도에 의해 미끄러지거나 균형을 잃지 않도록 하여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있다.
한편, 종래 미끄럼방지 시공은 침봉을 이용하여 바닥 포장재를 흩뿌리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바닥 포장재의 과다 토출로 둔덕이 형성되는 문제가 발생함은 물론, 미끄럼방지 시공장치의 연속적인 도포시 줄눈이 생기는 문제로 인하여 바닥 포장재의 손실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도료가 균일하게 토출되지 못하여 표면에 경사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미끄럼방지 시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료 살포량을 제어할 수 있는 미끄럼방지 시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성이 좋고 효율적인 미끄럼방지 시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호퍼 구조로서 그 하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형태로 배출부가 형성된 도료 공급부 ; 상기 도료공급부 배출부 하단에 부착되어 도료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도료공급밸브로서, 상기 밸브는 원통형 본체 및 여기에 삽입되어 개폐기능을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 및 상기 도료공급부에 하부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도료공급부 및 밸브를 통해 하방으로 떨어지는 도료를 흩뿌려 도포하는 살포부를 포함하는 미끄럼방지 시공장치에 관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방지 시공장치는 도료공급 밸브를 구비하여 도로 표면에 미끄럼방지용 요철을 균일하게 살포할 수 있으며, 또한, 도료 살포량을 시공시간이나 원하는 두께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끄럼방지 시공장치는 에어 콤프레셔나 에어탱크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장치의 구조가 간단하므로 이동성 및 작업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은 미끄럼방지 포장면의 폭에 맞는 슬릿이 형성된 제어부를 선정하여 시공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효율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구현예인 미끄럼방지 시공장치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시공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도료공급밸브의 분해개략도이다.
도 4는 상기 도료공급밸브의 걔폐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다른 형상의 임펠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하기의 설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 예를 기술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층의 두께(또는 높이) 또는 다른 층과의 비율에 비하여 다소 과장되게 표현된 것일 수 있으며, 그 의미는 후술하는 관련 기재의 구체적 취지에 비추어 바르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적층 구조는 예시적인 의미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이 이러한 특정 적층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에" 또는 "위에"라는 표현은 상대적인 위치 개념을 언급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바, 언급된 층에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이 직접적으로 존재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사이에 다른 층(중간층) 또는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존재할 수 있고, 또한 언급된 층과의 관계에서 상부에 존재하기는 하나 언급된 층의 표면(특히, 입체적 형상을 갖는 표면)을 완전히 덮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로 "직접적으로"라는 표현을 사용하지 않는 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대적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하측에", "하부에" 또는 "아래에"라는 표현 역시 특정 층(요소)과 다른 층(요소) 사이의 위치에 대한 상대적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구현예인 미끄럼방지 시공장치의 개략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상기 시공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미끄럼방지 시공장치는 도료공급부(10), 도료공급밸브(20) 및 살포부(30)를 포함한다.
상기 도료공급부(10)는 상부의 폭이 넓고 하부의 상대적으로 좁은 호퍼 구조이다. 상기 도료공급부(10)의 하부는 도료가 배출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된다. 즉, 도료공급부(10)의 하단은 슬릿형태의 배출부(11)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부(11) 폭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2~20mm, 바람직하게는 5~15mm일 수 있다.
상기 배출부(11)의 길이는 원하는 미끄럼방지 시설물의 폭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400~600mm 정도가 될 수 있다.
상기 도료공급부(10)는 공급된 도료를 혼합시킴과 동시에 굳지 않게 하는 혼합부(미도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부는 상기 배출부(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슬라이딩하는 로드(ROD) 및 상기 로드를 슬라이딩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료공급밸브(20)는 상기 도료공급부 배출부(11)하단에 부착되어 도료의 공급량을 조절한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도료공급밸브(20)의 분해개략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도료공급밸브(20)는 원통형 본체(21) 및 그 안에 삽입되어 개폐기능을 하는 제어부(22)를 포함한다. 상기 원통형 본체 및 제어부는 각각 상하 통공된 슬릿(211, 22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슬릿(211, 221)의 폭이 상기 배출부(11)의 폭과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릿(211, 221)은 그 폭이 서로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릿의 길이와 폭은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슬릿의 폭이 2~12mm가 될 수 있다.
상기 슬릿(211, 221)의 길이는 서로 일치하지 않을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제어부 슬릿(221)의 길이가 원통형 본체보다 작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슬릿의 길이가 다른 다수의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들을 적절히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슬릿의 길이가 다른 제어부(22)를 필요에 따라 사용하여 배출되는 도료의 폭을 임의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원통형 본체의 슬릿(211) 길이가 400~600mm 정도가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의 슬릿(221) 길이는 100~600mm가 될 수 있으며, 미끄럼방지 포장면의 폭에 따라 임의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2)가 상기 본체(21)에 삽입되어 도료공급밸브(20)를 형성한다. 상기 제어부(22)에는 일단에 레버(222) 형성된다. 상기 도료공급밸브(20)는 상기 슬릿(211, 221)들이 일치되면 이들 슬릿을 통해 도료가 배출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 도료공급밸브(20)의 걔폐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의 a는 상기 슬릿(211, 221)들이 일치되어 밸브가 열린 것을 보여주고, b는 상기 제어부(22)가 회전되면 슬릿(211)이 차단됨을 보여준다. 상기 제어부(22)의 레버(222)를 회전시켜 따라 슬릿(211)의 차단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료공급밸브(20)는 제어부(22)를 통해 슬릿의 크기를 조절하여 배출되는 도료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살포부(30)는 상기 도료공급부에 하부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도료공급부 및 밸브를 통해 하방으로 떨어지는 도료를 임펠러의 회전력에 의해 흩뿌려 도포한다. 상기 살포부(30)는 회전축(31), 여기에 2개 이상의 날개로 형성된 임펠러(32) 및 이를 회전시키는 구동부(33)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아래로 떨어지는 도료가 회전하는 임펠러에 부딪혀 전방으로 흩뿌려 도포되는 방식을 사용한다. 상기 살포부(30)의 회전축은 도료 낙하지점보다 다소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임펠러는 날개를 2개 이상 구비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8개이다.
상기 임펠러 날개들은 소정 간격으로 홀이 형성될 수도,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홀의 형상, 크기 및 개수는 임의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의 날개에 형성된 홀 부분에서는 도료가 뿌려지지 않으므로, 홀이 있는 영역과 홀이 없는 영역에 의해 뿌려지는 도료의 양들이 달라지므로 요철 형성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임펠러는 각 날개의 동일한 위치에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2와 다른 형상을 가지는 임펠러(32')를 나타낸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임펠러에는 상기 홀이 인접 날개와 어긋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의 임펠러(32')는 임펠러의 홀이 인접 날개와 어긋나게 형성되어 있어 임펠러(32)보다 좀 더 균일하게 도료를 도포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33)는 엔진 및 감속기어를 포함하여 상기 임펠러를 원하는 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료공급밸브(20)를 통해 도포되는 도료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임펠러의 강한 회전력을 이용하여 도료를 직접 때려 바닥면에 미끄럼방지 요철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에어컴프레셔 등의 장비가 없으므로 가볍고 작업이 용이한 미끄럼방지 시공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끄럼방지 포장면의 폭에 맞는 슬릿(221)이 형성된 제어부를 선정하여 시공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효율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 도료공급 밸브를 사용하여 뿌려지는 도료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도료에는 이액형, 3액형 도료를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가능한 도료는 주제 100중량부 대비 경화제 1~10중량부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주제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중량부 대비 반응모노머 50~150중량부, 반응촉매 1~20중량부, 유기이소시아네이트 10~30중량부, 실리카 50~200중량부 및 착색안료 50~10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분자량이 12,000 ~ 17,000되도록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주제는 상기 경화 반응시 고분자 중합 반응에 참가하고, 또한 이소시아네이트와 우레탄 반응을 하는 반응 모노머를 포함한다. 상기 반응 모노머는 도료 조성물의 작업성 조정 및 제품의 경도를 조정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반응모노머로는 메틸 메탈크릴레이트(Methyl metacrylate, MMA),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acrylate) 및 BAM(Butyl acrylate monomer) 중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반응촉매로는 DMA(dimethyl aniline)와 Co-octate(코발트옥테이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DMA와 Co-octate를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 이소시아네이트기는 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디(비스)페닐이소시아네이트, 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클로로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α,α'-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비스(싸이클로헥실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싸이클로헥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1,2-;1,3-;또는 1,4-)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도료에 대해서는 한국 특허공개 10-2011-0030995호를 참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 도로공급부 20 : 도료공급밸브
30: 살포부

Claims (4)

  1. 호퍼 구조로서 그 하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형태로 배출부가 형성된 도료 공급부(10) ;
    상기 도료공급부 배출부 하단에 부착되어 도료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도료공급밸브(20); 및
    상기 도료공급부 하부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도료공급부 및 도료공급 밸브를 통해 하방으로 떨어지는 도료를 흩뿌려 도포하는 살포부(30)를 포함하는 미끄럼방지 시공장치로서,
    상기 도료공급 밸브(20)는 상하 통공된 슬릿(21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원통형 본체(21) 및 여기에 삽입되고 회전가능한 원통형 제어부(22)를 하나 이상 구비하고, 상기 원통형 제어부(22)는 상하 통공된 슬릿(221)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일단에는 레버(222)를 구비하고,
    상기 원통형 본체에 형성된 슬릿(211)과 제어부에 형성된 슬릿(221)의 폭이 서로 일치하고,
    상기 원통형 본체에 형성된 슬릿(211)의 길이가 400~600mm이고,
    상기 장치는 슬릿(221)의 길이가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원통형 제어부(22)를 구비하고, 상기 원통형 제어부 슬릿(221)의 길이는 100~600mm이고,
    상기 장치는 상기 슬릿(221)이 형성된 상기 원통형 제어부(22)를 회전시켜 상기 원통형 본체에 형성된 슬릿(211)의 폭을 제어하고,
    상기 장치는 상기 슬릿(221)의 길이가 다른 제어부를 사용하여 상기 원통형 본체에 형성된 슬릿(211)의 길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 시공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포부는 회전축, 여기에 2개 이상의 날개가 형성된 임펠러 및 이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 시공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는 주제 100중량부 대비 경화제 1~10중량부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주제는 불포하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중량부 대비 반응모노머 50~150중량부, 반응촉매 1~20중량부, 유기이소시아네이트 10~30중량부, 실리카 50~200중량부 및 착색안료 50~10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 시공장치.
KR1020120069042A 2012-06-27 2012-06-27 미끄럼방지 시공장치 KR101404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042A KR101404641B1 (ko) 2012-06-27 2012-06-27 미끄럼방지 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042A KR101404641B1 (ko) 2012-06-27 2012-06-27 미끄럼방지 시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455A KR20140001455A (ko) 2014-01-07
KR101404641B1 true KR101404641B1 (ko) 2014-06-17

Family

ID=50138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9042A KR101404641B1 (ko) 2012-06-27 2012-06-27 미끄럼방지 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464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3605B1 (ko) * 2015-07-29 2018-11-30 주식회사 시명 차선도색기용 비드분사장치
KR102165634B1 (ko) 2020-03-06 2020-10-14 주식회사 평강산업개발 노면 미끄럼 방지 페인트 포설장비
KR102189689B1 (ko) 2020-03-13 2020-12-17 이금선 노면 미끄럼 방지 페인트 포설장비
KR20210010102A (ko) 2019-07-19 2021-01-27 주식회사 시명 도로면의 미끄럼방지 요철 형성용 롤러구조체
KR20220055660A (ko) 2020-10-27 2022-05-04 경 곤 김 노면 미끄럼 방지 페인트 분사장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16279A (zh) * 2018-05-11 2018-10-30 芜湖市黄山松工业地坪新材料有限公司 工业地坪施工的撒布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0995A (ko) * 2009-09-18 2011-03-24 (주) 로드테크 도막형성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도로 표시용 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10009583U (ko) * 2010-04-02 2011-10-10 장선건설 (주) 도로의 미끄럼방지층 도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0995A (ko) * 2009-09-18 2011-03-24 (주) 로드테크 도막형성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도로 표시용 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10009583U (ko) * 2010-04-02 2011-10-10 장선건설 (주) 도로의 미끄럼방지층 도포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3605B1 (ko) * 2015-07-29 2018-11-30 주식회사 시명 차선도색기용 비드분사장치
KR20210010102A (ko) 2019-07-19 2021-01-27 주식회사 시명 도로면의 미끄럼방지 요철 형성용 롤러구조체
KR102165634B1 (ko) 2020-03-06 2020-10-14 주식회사 평강산업개발 노면 미끄럼 방지 페인트 포설장비
KR102189689B1 (ko) 2020-03-13 2020-12-17 이금선 노면 미끄럼 방지 페인트 포설장비
KR20220055660A (ko) 2020-10-27 2022-05-04 경 곤 김 노면 미끄럼 방지 페인트 분사장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455A (ko) 2014-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4641B1 (ko) 미끄럼방지 시공장치
US1031647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ng the application of friction-modifying coatings
AU2018100401B4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ng the application of friction-modifying coatings
US1193300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ng the application of friction-modifying coatings
KR102189689B1 (ko) 노면 미끄럼 방지 페인트 포설장비
KR100804765B1 (ko) 이액형 재료를 사용한 미끄럼방지 시설물의 시공방법
US2011009750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xing and feeding solid matter and binder
KR101582594B1 (ko) 도포식 노면 미끄럼방지 시공장치
CA3138636C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ng the application of friction-modifying coatings
KR200427777Y1 (ko) 횡단보도를 포함한 노면 표시와 미끄럼 방지부를 시공하는장치
KR102112111B1 (ko) 졸음방지 시설물 시공장치
CA2996411C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ng the application of friction-modifying coatings
WO2010030848A2 (en)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for applying friction-modifying coatings
KR102546529B1 (ko) 노면 미끄럼 방지 페인트 분사장비
KR102165634B1 (ko) 노면 미끄럼 방지 페인트 포설장비
KR20190025275A (ko) 도포식 졸음방지 시공장치
JP2001323409A (ja) 散布式表面処理作業車
JP4619340B2 (ja) ニート工法及びそれに用いる自走式ニート施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