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0102A - 도로면의 미끄럼방지 요철 형성용 롤러구조체 - Google Patents

도로면의 미끄럼방지 요철 형성용 롤러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0102A
KR20210010102A KR1020190087557A KR20190087557A KR20210010102A KR 20210010102 A KR20210010102 A KR 20210010102A KR 1020190087557 A KR1020190087557 A KR 1020190087557A KR 20190087557 A KR20190087557 A KR 20190087557A KR 20210010102 A KR20210010102 A KR 20210010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surface
elastic spring
roller structure
forming
rotating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7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수
경 곤 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명
Priority to KR1020190087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0102A/ko
Publication of KR20210010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01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08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roughening or patterning; for removing the surface down to a predetermined depth high spots or material bonded to the surface, e.g. markings; for maintaining earth roads, clay courts or like surfaces by means of surface working tools, e.g. scarifiers, levelling blades
    • E01C23/085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roughening or patterning; for removing the surface down to a predetermined depth high spots or material bonded to the surface, e.g. markings; for maintaining earth roads, clay courts or like surfaces by means of surface working tools, e.g. scarifiers, levelling blades using power-driven tools, e.g. vibratory tools
    • E01C23/088Rotary tools, e.g. milling drums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 스프링에 장착된 다수의 회전원판을 이용하여 도로 표면에 요철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한 도로면의 미끄럼방지 요철 형성용 롤러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로면에 도포된 바닥재의 표면에 요철면을 형성하기 위한 도로면의 미끄럼방지 요철 형성용 롤러구조체로서, 하나의 축을 구성하는 탄성 스프링과, 이 탄성 스프링의 양측 끝단부에 장착되는 마감판과, 이 마감판 사이에 배치되도록 탄성 스프링에 연속해서 끼워져 고정되는 회전원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원판의 원주면에는 전 둘레에 걸쳐 돌출형의 압입날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양측면으로 간격유지를 위한 돌출면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탄성 스프링에 다단으로 분할 제작된 회전원판을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도로면에 대한 요철작업이 종료된 후 곧바로 분해하여 손쉽게 세척할 수 있어 종전에 비해 작업능률을 한층 높일 수 있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도로면의 미끄럼방지 요철 형성용 롤러구조체 {Roller device for forming rumble strip of road surface}
본 발명은 도로면에서 차량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에 관련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탄성스프링에 장착된 다수의 회전원판을 이용하여 도로 표면에 요철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한 도로면의 미끄럼방지 요철 형성용 롤러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사진 도로면이나 혹은 소정 제동력이 요구되는 구간은 눈이나 비로 인한 노면의 슬립현상을 억제함으로써 주행중인 차량의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도로의 내리막 또는 커브길에 미끄럼 방지재를 시공하여 차량 타이어와 노면간의 마찰계수를 높여줌에 따라 이 구역을 지나는 운전자로 하여금 감속 운행을 유도함은 물론 차량이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여 교통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통상, 도로의 미끄럼 방지를 위해서는 열가소성 수지 등의 바닥재 도료에 규사, 석영, 유리알(Bead), 보크사이트, 재강 슬러그 등과 같은 골재를 혼합한 후 레이커, 헤라 등을 이용하여 도로면에 도포하고 롤러 브러쉬에 의해 도로 표면에 요철면을 형성하고 있다.
즉, 롤러 브러쉬를 이용한 방식은 원통형 코어의 외측에 모피나 화학섬유, 천연섬유 등을 장착한 고정 파일을 이용하게 되며, 상기 원통형 코어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파일의 단부가 미끄럼 방지용 바닥재의 표면을 가압하여 평탄화 및 요철면을 형성한다.
그러나, 이러한 롤러 브러쉬는 파일에 도료와 골재가 응집되면서 빠르게 경화되는 현상으로 인해 도료와 골재가 파일에 달라붙어 고르게 분포되지 않고 균일한 두께로 도포되지 않기 때문에 미끄럼방지 바닥재의 도료가 과다 투입되어 공사비를 상승시키게 되며, 처음 사용한 바닥재 재료가 응집되지 않은 상태에서 롤러 브러쉬의 파일과 바닥재 표면이 계속 마찰됨에 따라 일정한 거칠기로 형성되지 않으므로 미관이 좋지 않고 미끄럼방지 효과가 떨어진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롤러 브러시의 경우 바닥재 내부의 기포제거와 도로 표면의 홈이나 틈새 등을 충진하기에 한계가 있어 탈락, 갈라짐, 마모 등의 결함이 발생되며, 천연섬유나 합성섬유 재질의 파일이 바닥재의 점성에 의해 탈락되어 버리므로 사용수명이 현저히 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도로면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장치와 관련하여, 국내 등록특허 제1404641호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형태로 배출부가 형성된 도료공급부, 이 도료공급부의 배출부 하단에 부착되어 도료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도료공급밸브, 이 도료공급부 하부에 이격되어 설치되어 도료공급부 및 도료공급 밸브를 통해 하방으로 떨어지는 도료를 흩뿌려 도포하는 살포부를 포함하는 미끄럼방지 시공장치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는 살포부를 구성하는 원통부에 다수의 구멍이 일렬로 천공된 임펠러가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페인트가 흩뿌려지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고, 또한 도로면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면을 형성할 수 없다는 기능상의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등록특허 제1404641호(2014.05.30 등록) - 미끄럼 방지 시공장치. 등록특허 제1501091호(2015.03.04 등록) - 도로용 바닥재의 미끄럼방지 요철 형성용 롤러장치. 등록특허 제1709267호(2017.02.16 등록) - 노면 요철시공용 전압툴 및 이를 이용한 노면 요철이 형성된 도로의 시공방법. 등록특허 제1832216호(2018.02.20 등록) - 도로면 미끄럼 방지홈 성형구.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제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탄성스프링에 배열된 회전원판의 롤링운동에 의해 도로면에 도포된 바닥재에 요철면을 형성할 수 있는 도로면의 미끄럼방지 요철 형성용 롤러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또, 본 발명은 작업 후에 회전원판이나 부속기구들을 손쉽게 분해하여 세척한 후 즉시 재 사용할 수 있는 도로면의 미끄럼방지 요철 형성용 롤러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로면에 도포된 바닥재의 표면에 요철면을 형성하기 위한 도로면의 미끄럼방지 요철 형성용 롤러구조체로서, 하나의 축을 구성하는 탄성 스프링과, 이 탄성 스프링의 양측 끝단부에 장착되는 마감판과, 이 마감판 사이에 배치되도록 탄성 스프링에 연속해서 끼워져 고정되는 회전원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원판의 원주면에는 전 둘레에 걸쳐 돌출형의 압입날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양 측면으로 간격유지를 위한 돌출면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회전원판의 돌출면에 요홈이 상호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인접하는 회전원판 끼리의 결속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회전원판의 양 단부에 장착되는 마감판을 작업용 손잡이를 갖는 지지대에 장착하거나 노면에 페인트를 분사시키기 위한 이송 대차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특징들에 의해, 본 발명은 탄성스프링을 하나의 축으로 하여 분할 제작된 다수의 회전원판을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도로면에 대한 요철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행할수 있는 것임은 물론 작업 종료후 곧바로 분해하여 손쉽게 세척할 수 있어 종전에 비해 작업능률을 한층 높일 수 있는 잇점을 가지게 된다,
도 1은 등록특허 제1501091호에 개시된 도포용 바닥재의 요철 형성용 롤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롤러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롤러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구조체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a, 도 5b는 회전원판의 일 예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단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롤러구조체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 7은 롤러구조체의 다른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a, 도 8b는 회전원판의 다른 예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단면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회전원판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 10은 롤러구조체가 작업 손잡이에 장착된 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롤러구조체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 측면도,
도 12는 롤러구조체의 롤링상태를 나타낸 개략 정면도,
도 13a, 도 13b는 도로면에 형성된 요철면의 형상을 예시한 도면,
도 14는 롤러구조체를 이송 대차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개략적인 측면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이들이 갖는 특정 구조 및 기능은 하나의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본 발명의 기술내용과 관련이 있는 하나의 예로서 등록특허 제1501091호에 개시된 공지기술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에 따른 문제점을 도출한 후에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후술하고자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포용 바닥재의 미끄럼방지 요철 형성용 롤러장치(100)는 몸체부(10)를 포함하여 요철 형성부(20) 및 회전축(30) 그리고 그립부(4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바닥재(M)는 경사로, 주차장, 보행자도로 등과 같이 미끄럼 방지 기능을 요구하는 대상면(K)의 표면에 도포하여 보행자의 낙상이나 차량의 교통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용융된 열가소성 합성수지 등에 규사, 석영, 유리, 재강 슬러그 등의 골재를 혼합 후 레이커, 헤라 등을 사용하여 대상면(K)에 도포한다.
상기 바닥재(M)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이하 MMA라 함)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접착제와 코팅제 및 페인팅용 바인더로서 활용될 수 있다. 대상면(K)에 MMA가 혼합된 바닥재(M)를 도포할 경우, 경화시간이 빨라 도로 등의 통제시간이 단축되어 불편함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접착력이 우수하여 대상면(K)에 깊숙히 침투하여 골재와 대상면(K) 간의 긴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MMA가 혼합된 바닥재(M)가 대상면(K)에 견고하게 밀착되면서 논슬립 효과가 보강되도록 바닥재(M)의 표면에 요홈(X)과 철부(Y)를 포함하는 논슬립 요철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몸체부(10)의 외면(13)에 요철 형성부(20)가 구비된 도포용 바닥재의 미끄럼방지 요철 형성용 롤러장치(100)가 제공된다.
대상면(K)의 상측에는 보행자 내지 차량의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MMA와 골재 등이 혼합된 바닥재(M)가 반고형 상태로 도포된다. 그리고 바닥재(M)가 도포된 대상면(K)의 상측으로 몸체부(10)가 안착된다. 이 때 몸체부(10)는 대상면(K)의 상측으로 회전이송되도록 내부에 중공부(11)가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가 회전 이송될 때 반고형 상태인 바닥재(M)의 표면을 가압하여 논슬립 요철면이 형성될 수 있도록 몸체부(10)의 외측면에 요철 형성부(20)가 구비된다. 이 요철 형성부(20)는 설정된 길이의 기둥형상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가압돌기(21)가 방사형으로 정렬된다.
상기 가압돌기(21)는 몸체부(10)의 외면(13)에 연결되는 내측단부(21a)와 바닥재(M)를 가압하는 외측단부(21b)를 포함하며, 이들 사이에는 설정 길이로 연장된 측면부(21c)가 형성된다. 내측단부(21a)의 단면과 외측단부(21b)의 단면은 동일한 형태 및 크기로 형성됨으로써 가압돌기(21)가 균일한 두께로 연장되는 각기둥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몸체부(10)에는 중공부(11)가 형성되어 회전축(30)이 중심을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회전축(30)은 몸체부(10)의 내면(12)과 매개하는 볼베어링(31)에 의해 연결되어 몸체부(10)가 회전축(30)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 때 볼베어링(31)은 화전축(30)과 몸체부(10)의 내면(12)을 안정적으로 매개하도록 몸체부(10)의 양단에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의 양단부에는 중공부(11)로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커버부(15)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30)의 양단부는 몸체부(1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버부(15)의 중앙부에는 회전축(30)의 양단부가 외측으로 노출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바닥재(M)가 도포된 대상면(K)의 상측으로 작업자가 그립부(40)를 쥔 상태로 이동함에 따라 몸체부(10)가 회전축(30)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요철 형성부(20)에 의해 가압돌기(21)의 외측단부(21b)가 바닥재(M)를 가압하면서 삽입된다.
즉, 상기 몸체부(10)의 회전방향에 따라 가압돌기(21)의 외측단부 일측(21d)이 바닥재(M)에 먼저 파고든 후, 몸체부(10)의 하중에 의해 가압돌기(21)의 외측단부(21b)가 대상면(K)의 표면으로 삽입됨에 따라 바닥재(M)에는 가압돌기(21)의 외측단부(21b) 형상과 대응되는 요홈(X)이 형성되고, 가압돌기(21)의 측면부(21c)로는 외측단부(21b)가 삽입된 부피에 대응하여 기존에 바닥재(M)가 도포된 높이보다 소폭 상승된 철부(Y)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의 회전에 의해 가압돌기(21)가 요홈(X)으로부터 빠져나올 때 가압돌기(21)의 외측단부 일측(21d)이 요홈(X)의 테두리면에 잔존하는 바닥재(M)를 철부(Y)의 상측으로 밀어내게 되므로 요철면의 거칠기가 개선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요철 형성부(20)의 각 가압돌기(21) 사이에 바닥재(M)가 충분히 잔존하도록 몸체부(10)를 바닥재(M)에 침전키신 후 대상면(K)에서 회전이송함으로써 바닥재(M)를 도포함과 동시에 논슬립 요철면이 형성되도록 작업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로부터 돌출된 회전축(30)의 양단부에는 그립부(40)가 연결되며, 이 그립부(40)는 손잡이부(41)와 연결부(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손잡이부(41)는 회전축(30)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작업자의 신장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조절부(41a)가 마련된다.
상기 손잡이부(41)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중공형 파이프로 이루어져 일측 파이프의 단부가 타측 파이프의 중공 내측으로 삽입되어 연결된다. 파이프들이 중첩되는 부분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구속부재를 체결함에 따라 손잡이부(41)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41)와 몸체부(10)는 연결부(42)에 의해 결속되며, 이 연결부(42)와 회전축(30)의 체결부(42a)는 용접 등에 의해 영구적으로 고정하고, 상기 그립부(40)와 몸체부(10)는 선택적으로 분리되도록 볼트로 체결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도포용 바닥재의 미끄럼방지 요철 형성용 롤러장치에 있어서는, 몸체부(10)와 요철 형성부(20)의 하중에 의해 가압돌기(21)의 외측단부(21b)가 반고형상태인 바닥재(M)의 상면을 가압함으로써 외측단부(21b)의 형상에 대응하는 요홈(X)이 형성된다.
하지만, 가압돌기(21)가 요홈(X)에서 빠져나올 때 테두리면에 잔존하는 바닥재(M)를 철부(Y)의 상측으로 밀어내게 됨은 물론 반고형 상태의 바닥재(M)가 응고되기 전에 요홈(X)으로 흘러내리게 되므로 논슬립 요철면의 경계가 불명확해짐에 따라 충분한 논슬립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더구나, 롤러장치(100)의 구조가 전반적으로 복잡하고, 작업이 완료된 후에 요철 형성부(20)를 구성하는 가압돌기(21)들 사이에 바닥재(M)에서 묻어나온 잔여물이 부착되어 완전히 응고되기 때문에 강력한 약품 처리를 통해 세척해야만 하는 등의 제거작업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첨부된 도 4 내지 도 15는 상술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에서의 문제를 고려하여 개발한 도로면의 미끄럼방지 요철 형성용 롤러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롤러구조체(50)는 하나의 탄성 스프링(51) 및 이 탄성 스프링(51)의 양측 끝단부에 각각 장착되는 마감판(55A,55B)과, 이들 마감판(55A,55B)의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회전원판(6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 스프링(51)은 하나의 기준 축을 이루게 됨과 동시에 충분한 탄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마감판(55A,55B)의 경우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져 바깥면 쪽에 돌출봉(5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마감판(55A,55B)에 탄성 스프링(51)의 양 끝단부가 끼워져 각각 해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도 5a, 도 5b에서와 같이, 상기 회전원판(60)의 중앙에는 원통공(61)이 형성되어 탄성 스프링(51)이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되고, 원주면의 전 둘레에 걸쳐 돌출형의 압입날(62)이 형성됨과 동시에 양 측면으로 각각의 간격유지를 위한 돌출면(63a,63b)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회전원판(60)의 양 끝단에는 돌출봉(56)이 형성된 마감판(55A,55B)이 장착되어 볼트(57)로 체결된다.
상기 회전원판(60)의 압입날(62)들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거나 혹은 서로 엇갈려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원판(60)을 탄성 스프링(51)에 끼워넣는 과정에서 압입날(62)의 골이 위치하는 부분과 인접하는 회전원판(60)의 골이 위치하는 부분에 따라 변경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7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회전원판(60)의 양측면에 형성된 돌출면(63a,63b)에는 다수의 치차형 요홈(64)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인접하는 회전원판(60)들을 상호 마주보는 상태로 결속이 가능해지며, 이에 따라 각각의 회전원판(60)은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동시에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첨부된 도 7은 상기 회전원판(60)의 돌출면(63a,63b)에 다수의 요홈(64)이 형성된 상태의 사시도로서, 도 4와 비교하여 회전원판(60)의 구조가 다를 뿐 나머지 구성들은 모두 동일한 형상을 갖추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상기 회전원판(60)을 포함한 각 구조물들의 경우 재질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 즉 금속이나 합성수지는 물론 고무류, 실리콘류 등으로 적절히 제작할 수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러구조체(50)는 작업 손잡이(T)로 연이어지는 통상의 지지대(65)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지지대(65)의 경우 자체 탄력을 이용하여 돌출봉(56)에 탈,부착하는 것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 도시하지 않은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작업 손잡이(T)로부터 연이어지는 지지대(65)에 롤러구조체(50)를 장착한 상태에서 도로 대상면(K)에 도포된 바닥재(M)에 요철면(Y)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즉, 바닥재(M)가 도포된 대상면(K)의 상측으로 롤러구조체(50)를 이송시킴에 따라 회전원판(60)의 압입날(62)이 반고형 상태의 바닥재(M)를 가압하면서 삽입된다.
따라서, 바닥재(M)에는 압입날(62)들의 형상에 대응되는 요철면(Y)을 형성하게 되고, 그 후에 반고형 상태인 바닥재(M)가 경화되면서 보행자나 차량의 이동시에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특히 우천시에 수막현상(水膜現象)이 생기는 것을 억제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율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이 때, 도 12 내지 13a,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원판(60)들은 탄성 스프링(51)에 끼워진 상태에서 각각이 개별적으로 탄력을 갖게 되므로, 도로 대상면(K)의 굴곡진 상태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롤링(rolling)이 일어나게 되고, 이로 인해 대상면(K)에는 불규칙한 형태의 요철면(Y)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원판(60)의 돌출면(63a,63b)에 요홈(64)이 형성된 경우에는 압입날(62)들의 위치를 변동시켜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각 압입날(62)들을 일렬로 배열하거나 혹은 압입날(62)들을 사이사이에 선택적으로 배열함에 따라 바닥재(M)에 형성되는 요철면(Y)의 형상이 정해질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롤러구조체(50)는 수동식 혹은 자동식으로 운전이 가능한 이송 대차(7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할 수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
즉, 통상의 페인트통(71) 및 호퍼(72)를 구비한 이송 대차(70)의 양측 하우징(73a,73b) 사이에 롤러구조체(50)를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한 상태에서 이송 대차(70)의 손잡이(T)를 잡고 수동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롤러구조체(50)를 구성하는 각각의 회전원판(60)들이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호퍼(72)로부터 페인트(P)가 흘러내리게 되고, 각 회전원판(60)의 압입날(62)에 원심력이 작용하면서 페인트(P)를 바깥쪽으로 뿌려내게 된다.
따라서, 도로에 페인트(P)가 울퉁불퉁하게 불규칙적으로 도포되어 차량이 노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로면 요철 형성용 롤러구조체에 있어서는, 탄성 스프링을 하나의 축으로 하여 분할 제작된 다수의 회전원판을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도로면에 대한 요철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행할수 있는 것임은 물론 작업 종료후 곧바로 분해하여 손쉽게 세척할 수 있어 종전에 비해 작업능률을 한층 높일 수 있는 잇점을 가지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과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50: 롤러구조체 51: 탄성 스프링
55A,55B: 마감판 56: 돌출봉
57: 볼트 60: 회전원판
61: 원통공 62: 압입날
63a,63b: 돌출면 64: 요홈
65: 지지대 70: 이송 대차
71: 페인트통 72: 호퍼
73a,73b: 하우징

Claims (3)

  1. 도로면에 도포된 바닥재의 표면에 요철면을 형성하기 위한 도로면의 미끄럼방지 요철 형성용 롤러구조체로서,
    하나의 축을 구성하는 탄성 스프링(51)과, 이 탄성 스프링의 양측 끝단부에 장착되는 마감판(55A,55B)과, 이 마감판 사이에 배치되도록 탄성 스프링에 연속해서 끼워져 고정되는 회전원판(60)으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원판(60)의 원주면에는 전 둘레에 걸쳐 돌출형의 압입날(62)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양 측면으로 간격유지를 위한 돌출면(63a,63b)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면의 미끄럼방지 요철 형성용 롤러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원판(60)의 돌출면(63a,63b)에 요홈(64)이 상호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인접하는 회전원판 끼리의 결속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면의 미끄럼방지 요철 형성용 롤러구조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원판(60)의 양 단부에 장착되는 마감판(55A,55B)을 작업용 손잡이를 갖는 지지대(65)에 장착하거나 노면에 페인트를 분사시키기 위한 이송 대차(70)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면의 미끄럼방지 요철 형성용 롤러구조체.
KR1020190087557A 2019-07-19 2019-07-19 도로면의 미끄럼방지 요철 형성용 롤러구조체 KR202100101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557A KR20210010102A (ko) 2019-07-19 2019-07-19 도로면의 미끄럼방지 요철 형성용 롤러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557A KR20210010102A (ko) 2019-07-19 2019-07-19 도로면의 미끄럼방지 요철 형성용 롤러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102A true KR20210010102A (ko) 2021-01-27

Family

ID=74238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7557A KR20210010102A (ko) 2019-07-19 2019-07-19 도로면의 미끄럼방지 요철 형성용 롤러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0102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641B1 (ko) 2012-06-27 2014-06-17 (주) 로드테크 미끄럼방지 시공장치
KR101501091B1 (ko) 2014-09-04 2015-03-10 주식회사 해치엠엠에이 도포용 바닥재의 미끄럼방지 요철형성용 롤러장치
KR101709267B1 (ko) 2016-06-15 2017-02-22 한국도로공사 노면 요철 시공용 전압틀 및 이를 이용한 노면 요철이 형성된 도로의 시공방법
KR101832216B1 (ko) 2017-03-30 2018-02-26 주식회사 성동산업 도로면 미끄럼 방지홈 성형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641B1 (ko) 2012-06-27 2014-06-17 (주) 로드테크 미끄럼방지 시공장치
KR101501091B1 (ko) 2014-09-04 2015-03-10 주식회사 해치엠엠에이 도포용 바닥재의 미끄럼방지 요철형성용 롤러장치
KR101709267B1 (ko) 2016-06-15 2017-02-22 한국도로공사 노면 요철 시공용 전압틀 및 이를 이용한 노면 요철이 형성된 도로의 시공방법
KR101832216B1 (ko) 2017-03-30 2018-02-26 주식회사 성동산업 도로면 미끄럼 방지홈 성형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9689B1 (ko) 노면 미끄럼 방지 페인트 포설장비
KR101501091B1 (ko) 도포용 바닥재의 미끄럼방지 요철형성용 롤러장치
KR100804765B1 (ko) 이액형 재료를 사용한 미끄럼방지 시설물의 시공방법
KR100784031B1 (ko) 미끄럼방지용 다짐롤러 장치
KR20210010102A (ko) 도로면의 미끄럼방지 요철 형성용 롤러구조체
DE2611123C3 (de) Verfahren zum Prüfen des Abriebverlustes von Luftreifen für Kraftfahrzeuge
KR20140069690A (ko) 도막형 바닥재 도포용 롤러
KR101025280B1 (ko) 선명한 차선 도색구조를 갖는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
KR101527808B1 (ko) 노면홈 간격 조절이 가능한 노면홈 절삭장치 및 그를 이용한 노면홈 시공방법
KR102165634B1 (ko) 노면 미끄럼 방지 페인트 포설장비
US6345931B1 (en) Aggregate material spreading mechanism
KR101936227B1 (ko) 차선도포기
JP5061091B2 (ja) 路面切削用のドラム組立体及び路面切削装置
JP2003268714A (ja) 路面溝形成法、路面再生法、ブレード組立体及びグルービング装置
KR102546529B1 (ko) 노면 미끄럼 방지 페인트 분사장비
KR102143329B1 (ko) 미끄럼방지 요철 형성용 롤러장치
US4578837A (en) Apparatus for cleaning tee forms
KR101697311B1 (ko) 도포용 바닥재의 다목적 요철형성용 롤러장치
JP2007284900A (ja) ライン溝切削走行機
US20180094392A1 (en) Device for Patterning Surface Coatings Applied on Pavement Surfaces
JP2010024791A (ja) 移動式接着剤適用装置及び該装置を利用したアスファルト舗装工法
JP3775794B2 (ja) ブレード組立体及びグルービング装置
JP2001090097A (ja) 滑り止め加工を施したマンホール等の鉄蓋
KR200427777Y1 (ko) 횡단보도를 포함한 노면 표시와 미끄럼 방지부를 시공하는장치
KR20220055662A (ko) 도로면의 그루빙 시공장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