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1091B1 - 도포용 바닥재의 미끄럼방지 요철형성용 롤러장치 - Google Patents

도포용 바닥재의 미끄럼방지 요철형성용 롤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1091B1
KR101501091B1 KR20140117420A KR20140117420A KR101501091B1 KR 101501091 B1 KR101501091 B1 KR 101501091B1 KR 20140117420 A KR20140117420 A KR 20140117420A KR 20140117420 A KR20140117420 A KR 20140117420A KR 101501091 B1 KR101501091 B1 KR 101501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slip
forming
coating floor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17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현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치엠엠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치엠엠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치엠엠에이
Priority to KR20140117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10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1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1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08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roughening or patterning; for removing the surface down to a predetermined depth high spots or material bonded to the surface, e.g. markings; for maintaining earth roads, clay courts or like surfaces by means of surface working tools, e.g. scarifiers, levelling blades
    • E01C23/082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roughening or patterning; for removing the surface down to a predetermined depth high spots or material bonded to the surface, e.g. markings; for maintaining earth roads, clay courts or like surfaces by means of surface working tools, e.g. scarifiers, levelling blades using non-powered tools
    • E01C23/0825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roughening or patterning; for removing the surface down to a predetermined depth high spots or material bonded to the surface, e.g. markings; for maintaining earth roads, clay courts or like surfaces by means of surface working tools, e.g. scarifiers, levelling blades using non-powered tools rotary, e.g. gang disc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2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consolidating or finishing laid-down unset materials
    • E01C19/43Machines or arrangements for roughening or patterning freshly-laid paving courses, e.g. indenting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대상면에 도포된 바닥재 표면에 미끄럼을 방지하는 요철부를 형성하여 대상면의 안전생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미끄럼을 방지하는 바닥재가 반고형상태로 도포된 대상면의 상측으로 회전이송되는 중공형 원통 형상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회전시 반고형상태의 상기 바닥재의 표면을 가압하여 논슬립 요철부를 형성하도록, 내측단부가 상기 몸체부의 외측면에 연결되고 외측단부에 상기 대상면과 대응되는 가압면이 형성되도록 기설정된 길이로 연장된 기둥 형상의 복수개의 가압돌기가 방사형으로 정렬 돌설된 요철형성부; 양단이 상기 몸체부의 양단부측으로 돌출되도록 관통 삽입되되, 상기 몸체부가 회전이송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내면과 매개하는 볼베어링이 구비된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연장되는 연장손잡이부와, 일단이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연장손잡이의 일단에 연결되는 연결부가 구비된 그립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의 회전이송시 반고형 상태의 상기 바닥재를 파고들어 요홈을 형성하고 상기 요홈으로부터 분리시 상기 요홈 테두리부분의 바닥재 일부를 떼어내도록 상기 가압돌기의 외측단부 테두리에는 단부로 갈수록 단면이 확장되는 확장가압부가 연장 돌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용 바닥재의 미끄럼방지 요철형성용 롤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도포용 바닥재의 미끄럼방지 요철형성용 롤러장치{roller apparatus for forming rumble strip of coating floor}
본 발명은 도포용 바닥재의 미끄럼방지 요철형성용 롤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상면에 도포된 바닥재 표면에 미끄럼을 방지하는 요철부를 형성하여 대상면의 안전성이 개선될 수 있는 도포용 바닥재의 미끄럼방지 요철형성용 롤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로 형성된 도로에서 상기 도로의 기울기가 급하거나 급커브 구간, 경사로 등 제동거리가 요구되는 구간은 눈이나 비로 인하여 노면에 슬립현상이 발생하고 이로 인한 차량 사고의 위험이 존재한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상기 도로에는 여러 가지 안전시설물이 설치되며, 특히 차량의 타이어와 도로면 사이의 마찰력을 증대시키도록 하여 차량의 급정거 및 경사진 노면에서 차량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바닥재를 도로면에 도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미끄럼 방지 바닥재는 통상적으로 도로에 열가소성 수지 등 다양한 종류의 바닥재 도료와 규사, 석영, 유리알(bead), 보크사이트, 재강 슬러그 등의 골재를 혼합한 후 레이커, 헤라 등을 사용하여 도로면에 도포 후, 롤러브러쉬를 이용하여 표면거칠기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도로면에 상기 미끄럼방지 바닥재를 도포하고 표면에 거칠기를 형성하기 위해 롤러브러쉬가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롤러브러쉬는 원통형의 코어 외측에 어린 양의 모피나 화학섬유, 천연섬유 등을 식모한 것을 접착제로 고정한 파일이 구비되며, 일측으로 작업자가 쥘 수 있도록 손잡이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원통형의 코어는 축회전하면서도 상기 손잡이와 선택적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원통형 코어가 축회전됨에 따라 상기 파일단부가 상기 미끄럼방지 바닥재의 표면을 가압하여 평탄화 및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상기 롤러브러쉬는 상기 파일에 도료와 골재가 응집되면서 빠르게 경화되는 현상으로 인해 도료와 골재가 파일에 달라붙게 되어 고르게 분포되지 않고 균일한 두께로 도포되지 않으므로 상기 미끄럼방지 바닥재의 도료가 과다투입되어 공사비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처음 사용한 바닥재 재료가 응집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롤러브러쉬의 파일과 상기 바닥재 표면이 계속 마찰됨에 일정한 거칠기로 형성되지 않으므로 미관이 좋지 않고 미끄럼방지 효과가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롤러브러시로는 바닥재 내부의 기포제거와 도로 표면의 홈이나 틈새 등을 충진하기에 한계가 있어 탈락, 갈라짐, 마모 등의 하자요인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이 천연섬유 내지 합성섬유 재질의 파일이 상기 미끄럼방지 바닥재의 점성에 의해 탈락되므로 사용수명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08072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포용 바닥재의 미끄럼방지 요철형성용 롤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미끄럼을 방지하는 바닥재가 반고형상태로 도포된 대상면의 상측으로 회전이송되는 중공형 원통 형상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회전시 반고형상태의 상기 바닥재의 표면을 가압하여 논슬립 요철부를 형성하도록, 내측단부가 상기 몸체부의 외측면에 연결되고 외측단부에 상기 대상면과 대응되는 가압면이 형성되도록 기설정된 길이로 연장된 기둥 형상의 복수개의 가압돌기가 방사형으로 정렬 돌설된 요철형성부; 양단이 상기 몸체부의 양단부측으로 돌출되도록 관통 삽입되되, 상기 몸체부가 회전이송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내면과 매개하는 볼베어링이 구비된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연장되는 연장손잡이부와, 일단이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연장손잡이의 일단에 연결되는 연결부가 구비된 그립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의 회전이송시 반고형 상태의 상기 바닥재를 파고들어 요홈을 형성하고 상기 요홈으로부터 분리시 상기 요홈 테두리부분의 바닥재 일부를 떼어내도록 상기 가압돌기의 외측단부 테두리에는 단부로 갈수록 단면이 확장되는 확장가압부가 연장 돌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용 바닥재의 미끄럼방지 요철형성용 롤러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내측단부로부터 상기 외측단부를 향하여 균일한 두께로 연장되는 각기둥 및 원기둥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1~50mm의 길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요철형성부는 하나의 상기 가압돌기의 내측단부가 이웃하는 상기 가압돌기의 측면중앙부와 대응되도록 교번 정렬됨이 바람직하다.
삭제
더욱이, 상기 확장가압부의 상면은 단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의 도포용 바닥재의 미끄럼방지 요철형성용 롤러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원통형의 몸체부 외측에 복수개의 가압돌기가 정렬돌설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롤러장치가 회전하도록 작업자가 일측으로 밀기만 하면 상기 가압돌기가 상기 바닥재를 가압하여 상기 대상면에 균일하게 밀착 도포함과 동시에 논슬립 요철부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형성되므로 작업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둘째, 상기 가압돌기의 외측단부 테두리에 단부로 갈수록 단면이 확장되는 상기 확장가압부가 연장 돌설됨에 따라 상기 몸체부의 회전이송시 상기 바닥재 표면에 상기 가압돌기 단면보다 넓은 면적으로 가압하여 요홈을 형성한 후 분리될 때 상기 요홈 테두리에 잔존하는 바닥재 일부를 떼내어 보다 선명한 요홈이 형성되므로 미끄럼 방지 효과를 보다 극대화할 수 있다.
셋째, 상기 몸체부 외측에 각각의 가압돌기가 상호 교번되도록 정렬돌설되거나, 상기 가압돌기의 단면형상을 'Y'자형 내지 '+'자형으로 형성하여 상기 바닥재 표면에 형성되는 논슬립 요철부를 독특한 패턴으로 형성함으로써 마찰력이 증가되어 미끄럼 방지효과가 보다 개선되면서도 도로의 미관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포용 바닥재의 미끄럼방지 요철형성용 롤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도포용 바닥재의 미끄럼방지 요철형성용 롤러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포용 바닥재의 미끄럼방지 요철형성용 롤러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포용 바닥재의 미끄럼방지 요철형성용 롤러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포용 바닥재의 미끄럼방지 요철형성용 롤러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압돌기 및 그의 변형예를 나타낸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철형성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포용 바닥재의 미끄럼방지 요철형성용 롤러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포용 바닥재의 미끄럼방지 요철형성용 롤러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포용 바닥재의 미끄럼방지 요철형성용 롤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도포용 바닥재의 미끄럼방지 요철형성용 롤러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포용 바닥재의 미끄럼방지 요철형성용 롤러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포용 바닥재의 미끄럼방지 요철형성용 롤러장치(100)는 몸체부(10), 요철형성부(20), 회전축(30) 그리고 그립부(4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바닥재(M)는 경사로, 주차장, 보행자도로 등과 같이 미끄럼 방지 기능을 요구하는 대상면(K)의 표면에 도포하여 보행자의 낙상이나 차량의 교통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상기 바닥재(M)는 용융된 열가소성 합성수지 등에 규사, 석영, 유리, 재강 슬러그 등의 골재를 혼합 후 레이커, 헤라 등을 사용하여 상기 대상면(K)에 도포한다. 더욱이, 상기 바닥재(M)에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이하 MMA)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MMA는 접착제와 코팅제 및 페인팅용 바인더로서 활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MMA는 일반적인 도로 포장공사, 변색방지를 위한 상도코팅제, 몰타르화한 콘크리트보수 등 건축과 토목용으로 사용되는 접착제로서 저온속성 경화성과 접착성, 내마모성, 내충격성 등의 물성이 우수하다.
즉, 상기 대상면(K)에 상기 MMA가 혼합된 바닥재(M)를 도포할 경우 종래의 바닥재(M)에 비해 경화시간이 빨라 도로 등의 통제시간이 단축되어 불편함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접착력이 우수하여 대상면(K) 깊숙히 침투하여 상기 골재와 상기 대상면(K) 간의 긴밀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내마모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하여 상기 대상면(K) 자체의 내구성이 향상되며, 내약품성이 뛰어나 빗물이나 특별한 불순물에 의한 화학변화가 최소화될 수 있다. 더욱이, 자외선 등의 태양광에 적응 능력이 뛰어나므로 상기 바닥재(M)가 태양열에 의해 변색, 변성 및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이 MMA가 혼합된 바닥재(M)가 상기 대상면(K)에 견고하게 밀착되면서도 논슬립 효과가 보강되도록 상기 바닥재(M)의 표면에 요홈(X)과 철부(Y)를 포함하는 논슬립 요철부(B)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몸체부(10)의 외면(13)에 상기 요철형성부(20)가 구비된 상기 도포용 바닥재의 미끄럼방지 요철형성용 롤러장치(100)를 제공한다.
상세히, 상기 대상면(K)의 상측에는 보행자 내지 차량의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상기 MMA와 골재 등이 혼합된 바닥재(M)가 반고형상태로 도포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재(M)가 도포된 상기 대상면(K)의 상측으로 상기 몸체부(10)가 안착된다. 이때, 상기 몸체부(10)는 상기 대상면(K)의 상측으로 회전이송되도록 내부에 중공부(11)가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가 회전이송시 반고형상태의 상기 바닥재(M)의 표면을 가압하여 논슬립 요철부(B)가 형성되도록, 상기 몸체부(10)의 외측면에는 상기 요철형성부(2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요철형성부(20)는 기설정된 길이의 기둥형상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가압돌기(21)가 방사형으로 정렬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가압돌기(21)는 상기 몸체부(10)의 외면(13)에 연결되는 내측단부(21a)와 상기 바닥재(M)를 가압하는 외측단부(21b)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단부(21a)와 상기 외측단부(21b) 사이에는 기설정된 길이로 연장된 측면부(21c)가 형성된다. 이때, 내측단부(21a)의 단면과 상기 외측단부(21b)의 단면은 동일한 형태 및 크기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압돌기(21)가 균일한 두께로 연장되는 각기둥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된다.
물론, 상기 가압돌기(21)가 상기 외측단부(21b)를 향하여 협소화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나, 상기 외측단부(21b)와 상기 바닥재(M)가 상호 대응하여 가압 밀착되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어지도록 하여 상기 논슬립 요철부(B)가 명확하게 형성되면서도 상기 바닥재(M)와 상기 대상면(K) 사이가 가압면적이 커지므로 밀착력이 보다 개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측단부(21a)와 상기 외측단부(21b) 사이 즉, 상기 측면부(21c)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1~50mm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가압돌기(21)의 길이가 1mm 미만일 경우 상기 논슬립 요철부(B)가 미세하게 형성되어 충분한 미끄럼 방지 효과를 제공받기 어렵다. 반대로, 상기 가압돌기(21)의 길이가 51mm 이상일 경우 몸체부(10)의 회전시 반고형상태의 상기 바닥재(M)가 밀려 상기 논슬립 요철부(B)가 제대로 형성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상기 바닥재(M) 표면에 명확하고 균일한 패턴의 상기 논슬립 요철부(B)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가압돌기(21)가 1~50mm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부(10)의 내측에는 상기 회전축(3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몸체부(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에 중공부(11)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30)은 실질적으로 상기 중공부(11)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30)은 상기 몸체부(10)의 내면(12)과 매개하는 볼베어링(31)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상기 몸체부(10)가 상기 회전축(30)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볼베어링(31)은 상기 화전축(30)과 상기 몸체부(10) 내면(12)을 안정적으로 매개하도록 상기 몸체부(10)의 양단부에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술한 볼베어링(31) 외에도 상기 회전축(30)과 상기 몸체부(10)를 매개하여 회전이송력을 제공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의 회전수단이 구비될 수도 있다. 더욱이, 작업자의 작업성이 개선되도록 상기 회전축(30)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의 양단부에는 중공부(11)로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커버부(15)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축(30)의 양단부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부(10)의 양단부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커버부(15)의 중앙부에는 상기 회전축(30)의 양단부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바닥재(M)가 도포된 상기 대상면(K) 상측으로 작업자가 상기 그립부(40)를 쥔 상태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몸체부(10)가 상기 회전축(30)을 중심으로 회전이송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부(10)의 외면(13)에는 상기 복수개의 가압돌기(21)가 방사형으로 정렬돌설된 상기 요철형성부(20)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부(10)와 상기 요철형성부(20)의 하중에 의해 상기 가압돌기(21)의 각각의 외측단부(21b)가 반고형상태의 상기 바닥재(M)를 가압하며 삽입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몸체부(1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가압돌기(21)의 외측단부 일측(21d)이 상기 바닥재(M)에 먼저 파고든 후, 상기 몸체부(10)의 하중에 의해 상기 가압돌기(21)의 외측단부(21b)가 상기 대상면(K)의 표면에 실질적으로 접촉될 정도로 삽입된다.
그리하여, 상기 바닥재(M)에는 상기 가압돌기(21)의 외측단부(21b) 형상과 대응되는 상기 요홈(X)이 형성되며, 상기 가압돌기(21)의 측면부(21c)로는 외측단부(21b)가 삽입된 부피에 대응하여 기존에 상기 바닥재(M)가 도포된 높이보다 소폭 상승된 철부(Y)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압돌기(21)가 상기 요홈(X)으로부터 빠져나올 때 상기 가압돌기(21)의 외측단부 일측(21d)이 상기 요홈(X)의 테두리면에 잔존하는 상기 바닥재(M)를 상기 철부(Y)의 상측으로 밀어내므로 상기 요철부(B)의 거칠기가 보다 개선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요철형성부(20)의 각 가압돌기(21) 사이에 상기 바닥재(M)가 충분히 잔존하도록 상기 몸체부(10)를 상기 바닥재(M)에 침전키신 후 상기 대상면(K) 상면에 회전이송함으로써 상기 바닥재(M)를 도포함와 동시에 논슬립 요철부(B)가 형성되도록 작업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몸체부(10)가 회전이송됨에 따라 상기 몸체부(10)와 상기 요철형성부(20)의 하중에 의해 상기 가압돌기(21)의 외측단부(21b)가 반고형상태의 상기 바닥재(M)의 상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외측단부(21b) 형태와 대응되는 상기 요홈(X)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논슬립 요철부(B)는 상기 바닥재(M)의 표면에 거칠기를 제공하여 보행자나 차량의 이동시 미끄럼이 방지되므로 안전사고의 발생율이 현저히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상기 그립부(40)를 쥔 상태 이동하기만 하면 상기 몸체부(10)가 회전이송됨에 따라 상기 바닥재(K)의 표면에 상기 가압돌기(21)의 외측단부(21b) 형상에 대응되는 요홈(X)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형성되므로 작업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압돌기(21)의 외측단부(21b)에는 상기 대상면(K)과 대응되는 가압면(2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몸체부(10)가 회전시 각각의 상기 가압돌기(21)의 가압면(22)이 상기 대상면(K)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대응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바닥재(M)에 상기 가압돌기(21)의 단면형상의 상기 요철부(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보행자나 차량의 이동시 상기 대상면(B) 표면의 상기 논슬립 요철부(B)에 의해 미끄럼을 방지하면서도 균일한 패턴으로 형성되어 보행자 내지 차량운전자가 느낄 수 있는 요동 등의 불편감이 감소하므로 사용만족감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면(22)이 상기 몸체부(10)가 회전이송됨에 따라 반고형상태의 상기 바닥재(M)를 가압하여 내부에 잔존하는 기포층을 제거할 수 있도록 기설정된 면적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바닥재(M)와 상기 대상면(K) 간의 밀착력이 개선되어 장시간 사용시에도 박리가 최소화되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는, 빛, 물, 화학물질 등의 외부환경으로부터 상기 대상면(K)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으므로 내구성이 향상되고 추후 보수를 위해 소요되는 비용이 감소되므로 경제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의 양단부측으로 돌출된 상기 회전축(30)의 양단부에는 상기 그립부(40)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그립부(40)는 연장손잡이부(41)와 연결부(42)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대상면(K) 상측에 도포된 상기 바닥재(M)를 일정한 두께로 밀착시키면서도 표면에 논슬립 요철부(B)가 형성되도록 상기 요철형성부(20)가 구비된 상기 몸체부(10)를 회전이송하기 위해서 작업자가 조작할 수 있는 상기 그립부(4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그립부(40)는 연장손잡이부(41)와 연결부(42)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연장손잡이부(41)는 상기 회전축(30)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연결되되, 작업자의 신장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길이조절 할 수 있는 길이조절부(41a)가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연장손잡이부(41)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중공형 파이프로 구비되되, 일측 파이프의 단부가 타측 파이프의 중공 내측으로 삽입되어 중첩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일측 파이프와 상기 타측 파이프가 중첩되는 부분에는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에 구속부재를 체결함에 따라 상기 연장손잡이부(41)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일측 파이프와 상기 타측 파이프가 중첩되는 부분에 상호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회전됨에 따라 상기 연장손잡이부(41)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길이조절 방법은 해당분야에서 일반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연장손잡이부(41)와 상기 몸체부(10)를 연결하도록 일단이 상기 연장손잡이부(41)의 일단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축(30)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상기 연결부(42)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42)는 상기 몸체부(10)의 외측형상을 따라 일측으로 절곡 연장되어 타단부가 상기 회전축(30)의 양단부 중 어느 일측에 연결될 수도 있으나, 안정적인 회전이송을 위하여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연장손잡이부(41)의 일단부로부터 양측으로 분지되고, 분지된 각 타단부가 상기 회전축(30)의 양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30)의 양단부와 상기 연결부(42)의 단부가 체결되는 체결부(42a)는 용접 등에 의해 영구적으로 고정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상기 그립부(40)와 상기 몸체부(10)가 선택적으로 분리되도록 볼트체결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연장손잡이부(41)의 타단부는 작업자의 그립감이 개선되도록 실리콘 내지 고무재질과 같이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커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롤러장치(100)를 사용하여 상기 바닥재(M)에 논슬립 요철부(B)를 형성시 반고형상태의 상기 바닥재(M)가 응고되기 전 상기 요홈(X)의 테두리가 그의 내측으로 흘러내려 함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상기 요홈(X)과 상기 철부(Y)의 경계가 불명확해짐에 따라 충분한 논슬립 효과를 제공받지 못하므로 보행자 내지 차량의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포용 바닥재의 미끄럼방지 요철형성용 롤러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포용 바닥재의 미끄럼방지 요철형성용 롤러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압돌기 및 그의 변형예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압돌기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압돌기(221)의 외측단부(221b) 테두리에는 단부로 갈수록 단면이 확장되는 확장가압부(223)가 연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확장가압부(223)는 상기 가압돌기(221)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가압돌기(221)의 외측단부(221b)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가압면(222)의 면적이 상기 가압돌기(221)의 단면적보다 실질적으로 크게 형성되므로 상기 바닥재(M)를 가압하는 면적이 보다 증가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가압돌기(221)가 상기 외측단부를 향하여 단면적이 일정하게 확장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상기 확장가압부(223)가 상기 가압돌기(221)의 외측단부(221b)와 단차지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확장가압부(223)의 상면은 단부를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확장가압부(223)의 상면이 상기과 같이 경사면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몸체부(210)의 회전이송시 상기 경사면에 의해 단부가 협소화된 상기 확단가압부(223)가 상기 바닥재(K)에 용이하게 파고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면을 따라 상기 바닥재(K)가 상기 경사면 상측에 채워진 뒤, 상기 가압돌기(221)가 상기 요홈(X)으로부터 분리시 상기 요홈(X) 테두리부분의 바닥재 일부(Z)를 충분히 떼낼 수 있으므로 상기 요홈(X)과 철부(Y)의 경계가 보다 명확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도 5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230)을 중심으로 상기 몸체부(210)가 회전이송됨에 따라 상기 요철형성부(220)이 각각의 상기 가압돌기(221)의 외측단부가 상기 바닥재(M)를 가압한다.
이때, 상기 가압돌기(221)의 외측단부에 상기 확장가압부(223)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압면(222)이 상기 바닥재(M)를 가압하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커지므로 상기 가압돌기(221)의 단면적보다 큰 형상의 상기 요홈(X)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확장가압부(223)는 상기 가압돌기(221)와 실질적으로 단차지되, 상면에 상기 경사면이 형성되어 연장 돌설되며, 상기 경사면으로 반고형상태의 상기 바닥재(M)가 감싸듯이 다시 채워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가압돌기(221) 단부에 상기 확장가압부(223)가 외측으로 연장 돌설된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요홈(X)의 상측테두리 직경이 상기 요홈(X)의 바닥면 직경보다 실질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반고형상태의 상기 바닥재(M)가 경화되는 과정에서 상기 요홈(X)의 테두리가 하중에 의해 하측으로 소폭 흘러내려 함입되더라도 상기 요홈(X)의 홈형상이 상기 가압돌기(221)의 외측단부 형상과 실질적으로 대응될 수 있는 정도의 여유공간이 형성되므로 상기 논슬립 요철부(B)가 선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2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압돌기(221)의 외측단부가 상기 요홈(X)으로부터 빠져나올 때, 상기 가압돌기(221)의 외측단부를 감싸도록 채워진 상기 바닥재의 일부(Z)가 상기 확장가압부(223)의 테두리를 경계로 하여 상기 요홈(X)의 테두리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요홈(X)의 테두리부분이 명확하게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요홈(X)과 상기 철부(Y) 사이 경계가 뚜렷해지므로 보다 개선된 논슬립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압돌기(221)는 삼각 내지 사각의 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확장가압부(223)는 상기한 형상과 대응되도록 외측으로 확장될 수도 있으나, 생산성이 개선되도록 원기둥형상의 상기 가압돌기(221)의 외측단부 테두리를 따라 상기 원반 내지 원추 형상의 상기 확장가압부(223)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기설정된 직경의 원기둥의 외면을 원주방향을 따라 절삭가공하되, 단부를 향하여 절삭하는 깊이를 가변함으로써 도면에서와 같이 단부를 향하여 확장된 형상의 상기 확장가압부(223)를 형성하면 되므로 제작이 용이하다.
그리하여, 상기 도포용 바닥재의 미끄럼방지 요철형성용 롤러장치(200)의 제작시간이 현저히 단축될 수 있고, 제작공정이 단순화되므로 생산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도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원기둥 내지 각기둥의 상기 가압돌기(221) 단부에 상기 가압돌기(221)의 단면형상보다 상대적으로 큰 평판조각을 용접 내지 볼트 체결하여 고정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더욱이, 상기 확장가압부(423)의 단부 테두리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분리단턱(424)이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상측이라 함은 상기 가압돌기(421)의 외측단부에 형성된 상기 가압면(422)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분리단턱(424)이 돌설됨에 따라 상기 바닥재(M)의 일부분(Z)이 상기 확장가압부(423)의 상측으로 인입된 후 상기 분리단턱(424)을 경계로 하여 상기 요홈(X)의 테두리로부터 떼내어지므로 상기 요홈(X)의 형태가 명확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요홈(X)과 철부(Y) 사이의 경계가 뚜렷하게 형성되므로 개선된 논슬립 효과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철형성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요철형성부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요철형성부(520)는 복수개의 가압돌기(521f,521s)가 상기 몸체부(510)의 외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정렬돌설되되, 하나의 상기 가압돌기(521f)의 내측단부가 이웃하는 상기 가압돌기(521s)의 측면중앙부와 대응되도록 교번 정렬될 수도 있다.
그리하여, 상기 바닥재(M)의 상면에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요홈(X)이 좌우 뿐만 아니라 전후로도 기설정된 폭으로 어긋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한 쌍의 상기 요홈(X) 사이에 소정 간격으로 교차되는 상기 요홈(X)이 형성됨으로써 각각의 상기 요홈(X) 간의 간격을 상호 보완하여 상기 바닥재(M)가 도포된 대상면(K)의 상측으로 이동하는 보행자 내지 차량과의 마찰력이 증가되므로 논슬립 효과가 보다 개선될 수도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포용 바닥재의 미끄럼방지 요철형성용 롤러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압돌기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압돌기(621)는 단면형상이 'Y'자형 내지 '+'자 형으로 형성된 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압돌기(621)의 외측단부에는 평판형의 확장가압부(623)가 별도로 구비되어 체결될 수도 있다.
그리하여, 상기 바닥재(M)의 상면에 상기 가압돌기(621)의 단면형상과 대응되는 독특한 형상의 요홈(M)이 형성되어 논슬립효과가 보다 개선되면서도 상기 확장가압부(623)에 의해 상기 요홈(M)의 테두리측에 잔존하는 바닥재의 일부를 떼내어 상기 요홈(M)의 형상이 보다 명확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압돌기(621)는 'Y'자형 내지 '+'자형 형상에 대응하는 금형에 금속 내지 합성수지 재질을 압출하여 형성하여 기설정된 길이로 절단한 후 단부에 원판형의 상기 확장가압부(623)를 별도로 용접 내지 볼트체결하여 구비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확장가압부(623)는 상기 가압돌기(621)의 단면 형상보다 상대적으로 큰 형태로 형성하여 용접 내지 볼트체결할 수도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다른 도포용 바닥재의 미끄럼방지 요철형성용 롤러장치(100)는 원통형의 몸체부(10) 외측에 복수개의 가압돌기(21)가 정렬돌설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롤러장치(100)가 회전하도록 작업자가 일측으로 밀기만 하면 상기 가압돌기(21)가 상기 바닥재(M)를 가압하여 상기 대상면(K)에 균일하게 밀착 도포함과 동시에 논슬립 요철부(B)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형성되므로 작업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압돌기(221)의 외측단부 테두리에 단부로 갈수록 단면이 확장되는 상기 확장가압부(223)가 연장 돌설됨에 따라 상기 몸체부(210)의 회전이송시 상기 바닥재(M) 표면에 상기 가압돌기(221) 단면보다 넓은 면적으로 가압하여 요홈(X)을 형성한 후 분리될 때 상기 요홈(X) 테두리에 잔존하는 바닥재 일부(Z)를 떼내어 보다 선명한 요홈(X)이 형성되므로 미끄럼 방지 효과를 보다 극대화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몸체부(510) 외측에 각각의 가압돌기(521f,521s)가 상호 교번되도록 정렬돌설되거나, 상기 가압돌기(621)의 단면형상을 'Y'자형 내지 '+'자형으로 형성하여 상기 바닥재 표면에 형성되는 논슬립 요철부를 독특한 패턴으로 형성함으로써 마찰력이 증가되어 미끄럼 방지효과가 보다 개선되면서도 도로의 미관이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가압돌기(21)는 그의 외측단부(21b)와 내측단부(21a)의 단면형상 및 크기가 균일하도록 기설정된 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가압면(22)의 단면적에 대응하여 상기 바닥재(M)를 가압하므로 상기 대상면(K)과 상기 바닥재(M) 간의 밀착력이 보다 개선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몸체부 15 : 커버부
20 : 요철형성부 21 : 가압돌기
22 : 가압면 23 : 확장가압부
30 : 회전축 31 : 볼베어링
40 : 그립부 M : 바닥재
K : 대상면 B : 논슬립 요철부
100 : 도포용 바닥재의 미끄럼방지 요철형성용 롤러장치

Claims (5)

  1. 미끄럼을 방지하는 바닥재가 반고형상태로 도포된 대상면의 상측으로 회전이송되는 중공형 원통 형상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회전시 반고형상태의 상기 바닥재의 표면을 가압하여 논슬립 요철부를 형성하도록, 내측단부가 상기 몸체부의 외측면에 연결되고 외측단부에 상기 대상면과 대응되는 가압면이 형성되도록 기설정된 길이로 연장된 기둥 형상의 복수개의 가압돌기가 방사형으로 정렬 돌설된 요철형성부;
    양단이 상기 몸체부의 양단부측으로 돌출되도록 관통 삽입되되, 상기 몸체부가 회전이송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내면과 매개하는 볼베어링이 구비된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연장되는 연장손잡이부와, 일단이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연장손잡이의 일단에 연결되는 연결부가 구비된 그립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의 회전이송시 반고형 상태의 상기 바닥재를 파고들어 요홈을 형성하고 상기 요홈으로부터 분리시 상기 요홈 테두리부분의 바닥재 일부를 떼어내도록 상기 가압돌기의 외측단부 테두리에는 단부로 갈수록 단면이 확장되는 확장가압부가 연장 돌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용 바닥재의 미끄럼방지 요철형성용 롤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내측단부로부터 상기 외측단부를 향하여 균일한 두께로 연장되는 각기둥 및 원기둥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1~50mm의 길이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용 바닥재의 미끄럼방지 요철형성용 롤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형성부는
    하나의 상기 가압돌기의 내측단부가 이웃하는 상기 가압돌기의 측면중앙부와 대응되도록 교번 정렬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용 바닥재의 미끄럼방지 요철형성용 롤러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가압부의 상면은 단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용 바닥재의 미끄럼방지 요철형성용 롤러장치.
KR20140117420A 2014-09-04 2014-09-04 도포용 바닥재의 미끄럼방지 요철형성용 롤러장치 KR101501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17420A KR101501091B1 (ko) 2014-09-04 2014-09-04 도포용 바닥재의 미끄럼방지 요철형성용 롤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17420A KR101501091B1 (ko) 2014-09-04 2014-09-04 도포용 바닥재의 미끄럼방지 요철형성용 롤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1091B1 true KR101501091B1 (ko) 2015-03-10

Family

ID=53027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17420A KR101501091B1 (ko) 2014-09-04 2014-09-04 도포용 바닥재의 미끄럼방지 요철형성용 롤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109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4218B1 (ko) 2015-09-09 2015-12-03 한라케미칼(주) 복공판 미끄럼방지재 코팅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방지재 코팅방법
KR101924227B1 (ko) * 2018-04-19 2018-11-30 (주)펜테크 바닥재 시공 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되는 바닥재
KR102143329B1 (ko) 2019-12-12 2020-08-11 화성이엔씨(주) 미끄럼방지 요철 형성용 롤러장치
KR102165634B1 (ko) 2020-03-06 2020-10-14 주식회사 평강산업개발 노면 미끄럼 방지 페인트 포설장비
KR102189689B1 (ko) 2020-03-13 2020-12-17 이금선 노면 미끄럼 방지 페인트 포설장비
KR20210010102A (ko) 2019-07-19 2021-01-27 주식회사 시명 도로면의 미끄럼방지 요철 형성용 롤러구조체
KR20220055660A (ko) 2020-10-27 2022-05-04 경 곤 김 노면 미끄럼 방지 페인트 분사장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7801A (ko) * 2007-06-08 2008-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일체형도광판 제조방법
KR20090010560A (ko) * 2007-07-23 2009-01-30 강성택 생태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소도로
KR20140069690A (ko) * 2012-11-29 2014-06-10 주식회사 해치엠엠에이 도막형 바닥재 도포용 롤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7801A (ko) * 2007-06-08 2008-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일체형도광판 제조방법
KR20090010560A (ko) * 2007-07-23 2009-01-30 강성택 생태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소도로
KR20140069690A (ko) * 2012-11-29 2014-06-10 주식회사 해치엠엠에이 도막형 바닥재 도포용 롤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4218B1 (ko) 2015-09-09 2015-12-03 한라케미칼(주) 복공판 미끄럼방지재 코팅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방지재 코팅방법
KR101924227B1 (ko) * 2018-04-19 2018-11-30 (주)펜테크 바닥재 시공 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되는 바닥재
KR20210010102A (ko) 2019-07-19 2021-01-27 주식회사 시명 도로면의 미끄럼방지 요철 형성용 롤러구조체
KR102143329B1 (ko) 2019-12-12 2020-08-11 화성이엔씨(주) 미끄럼방지 요철 형성용 롤러장치
KR102165634B1 (ko) 2020-03-06 2020-10-14 주식회사 평강산업개발 노면 미끄럼 방지 페인트 포설장비
KR102189689B1 (ko) 2020-03-13 2020-12-17 이금선 노면 미끄럼 방지 페인트 포설장비
KR20220055660A (ko) 2020-10-27 2022-05-04 경 곤 김 노면 미끄럼 방지 페인트 분사장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1091B1 (ko) 도포용 바닥재의 미끄럼방지 요철형성용 롤러장치
KR102219319B1 (ko) 도로용 광기전 구조
KR100804765B1 (ko) 이액형 재료를 사용한 미끄럼방지 시설물의 시공방법
KR102189689B1 (ko) 노면 미끄럼 방지 페인트 포설장비
KR20140069690A (ko) 도막형 바닥재 도포용 롤러
KR101468040B1 (ko) 시인성이 향상된 노면시트와 이의 시공방법
CN205443872U (zh) 用于在涂布用地板材料上形成防滑凹凸的滚筒装置
JP3579401B2 (ja) 路面溝条形成法
KR101697311B1 (ko) 도포용 바닥재의 다목적 요철형성용 롤러장치
KR100958147B1 (ko) 미끄럼 방지층 시공장치
US20150284920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forming an anti-slip groove on roadway by using the non-cutting technology
JPH06313301A (ja) 弾性舗装ブロ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27777Y1 (ko) 횡단보도를 포함한 노면 표시와 미끄럼 방지부를 시공하는장치
KR101527808B1 (ko) 노면홈 간격 조절이 가능한 노면홈 절삭장치 및 그를 이용한 노면홈 시공방법
KR102143329B1 (ko) 미끄럼방지 요철 형성용 롤러장치
JPH11247132A (ja) プロファイリングローラ及びプロファイル付与方法
JP4110148B2 (ja) 路面処理方法及び走行式テープ貼付装置
JP3775794B2 (ja) ブレード組立体及びグルービング装置
JP2001090097A (ja) 滑り止め加工を施したマンホール等の鉄蓋
KR102165634B1 (ko) 노면 미끄럼 방지 페인트 포설장비
KR101097016B1 (ko) 우레탄 수지층과 mma수지층을 결합한 주차장 바닥 마감공법
KR101941235B1 (ko) 노면표지용 시트를 이용한 매립형 노면표지 시공방법
KR102546529B1 (ko) 노면 미끄럼 방지 페인트 분사장비
KR20210010102A (ko) 도로면의 미끄럼방지 요철 형성용 롤러구조체
KR102096837B1 (ko) 내부식성 미끄럼방지용 바닥재가 도포된 그레이팅 데크의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