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9690A - 도막형 바닥재 도포용 롤러 - Google Patents

도막형 바닥재 도포용 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9690A
KR20140069690A KR1020120137289A KR20120137289A KR20140069690A KR 20140069690 A KR20140069690 A KR 20140069690A KR 1020120137289 A KR1020120137289 A KR 1020120137289A KR 20120137289 A KR20120137289 A KR 20120137289A KR 20140069690 A KR20140069690 A KR 20140069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brush
flooring
coating
coated
ball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7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현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치엠엠에이
한라케미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치엠엠에이, 한라케미칼(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치엠엠에이
Priority to KR1020120137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9690A/ko
Publication of KR20140069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96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02Apparatus for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a surface ; Controlling means therefor; Control of the thickness of a coating by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the coated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2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consolidating or finishing laid-down unset materials
    • E01C19/43Machines or arrangements for roughening or patterning freshly-laid paving courses, e.g. indenting 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2Devices for making, treating or filling grooves or like channels in not-yet-hardened paving, e.g. for joints or markings; Removable forms therefor; Devices for introducing inserts or removable insert-supports in not-yet-hardened paving
    • E01C23/025Making or working grooves or like channels in laid paving, e.g. smoothing groove e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08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roughening or patterning; for removing the surface down to a predetermined depth high spots or material bonded to the surface, e.g. markings; for maintaining earth roads, clay courts or like surfaces by means of surface working tools, e.g. scarifiers, levelling blades
    • E01C23/082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roughening or patterning; for removing the surface down to a predetermined depth high spots or material bonded to the surface, e.g. markings; for maintaining earth roads, clay courts or like surfaces by means of surface working tools, e.g. scarifiers, levelling blades using non-powered tools
    • E01C23/0825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roughening or patterning; for removing the surface down to a predetermined depth high spots or material bonded to the surface, e.g. markings; for maintaining earth roads, clay courts or like surfaces by means of surface working tools, e.g. scarifiers, levelling blades using non-powered tools rotary, e.g. gang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Floor Finish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운데가 중공형태인 금속재질의 몸체 외측면 전 둘레에 각뿔 또는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돌기를 형성하여 도막형 바닥재 도포 시 바닥재에 각뿔 또는 원뿔형상의 균일한 요철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미끄럼방지 효율을 극대화 하고, 요철부 형성 시 도포된 도막형 바닥재 내부에 잔존하는 기포제거와 골재를 고르게 분포시켜 균일한 도막 두께를 형성하므로 내구성을 높일 수 있으며, 도로면의 홈, 틈새까지 바닥재 도료를 충진하여 도로면과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정한 무늬모양으로 형성되는 균일한 요철부에 의해 도로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도막형 바닥재 도포용 롤러 브러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된 연결부에 설치되어 도막형 바닥재의 도포 및 요철부를 형성시키는 롤러 브러쉬에 있어서, 상기 롤러 브러쉬는 가운데가 중공형태의 원통형 금속재질의 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외측면 전 둘레에 도막형 바닥재의 도포 및 요철부를 형성하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양측 끝단부 내측에는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볼베어링이 설치되고, 상기 몸체의 중앙부에는 양측에 체결공이 형성된 회전축이 볼베어링을 관통하여 설치되고,상기 몸체의 양측 끝단부 외측면에는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커버가 설치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도막형 바닥재 도포용 롤러 브러시{Roller brush for coating of flooring coated type}
본 발명은 도막형 바닥재 도포용 롤러 브러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운데가 중공(中空) 형태인 금속재질의 몸체 외측면 전 둘레에 각뿔 또는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돌기를 형성하여 도막형 바닥재 도포 시 바닥재에 각뿔 또는 원뿔형상의 요철부가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하여 미끄럼방지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요철부 형성 시 돌기에 의해 도포된 도막형 바닥재에 잔존하는 기포제거와 골재를 고르게 분포시켜 균일한 도막두께를 형성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으며, 도로면의 홈, 틈새까지 바닥재의 충진이 가능하여 도로면과의 접착성을 높이고 일정한 무늬모양으로 형성되는 균일한 요철부에 의해 도로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도막형 바닥재 도포용 롤러 브러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막형 바닥재는 아스콘, 투수콘, 콘크리트 바닥의 표면을 도막으로 포장하여 경관 조성 및 강도를 보완하고 미끄럼방지 기능을 하는 제품으로 주차장 및 공장바닥, 자전거 및 보행자도로, 테마거리, 미끄럼방지 기능을 요구하는 도로 등에 적용하여 도로면이 미끄러워 발생하는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도막형 바닥재는 통상적으로 도로에 열가소성 수지 등 다양한 종류의 바닥재 도료와 규사, 석영, 유리 알(bead), 보크사이트, 재강 슬러그 등의 골재를 혼합 후 레이커, 헤라 등을 사용하여 도로면에 도포 후, 롤러 브러쉬를 이용하여 표면의 조도(거칠기)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도로면에 도막형 바닥재를 도포하고 표면에 조도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통상의 롤러 브러쉬(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 강화지관, 플라스틱 성형관 및 목관 재질로서 양측에 연결부(13)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코어(11)가 구비되고, 코어(11)의 외측 면에는 어린 양의 모피나 화학섬유, 천연섬유를 식모한 것을 접착제로 고정되는 파일(12)로서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13)에는 프레임(15)이 설치된 지지대(14)가 유입되어 롤러 브러쉬(10)의 회전이 원활하면서도 탈착이 용이하나, 사용 도중에는 쉽게 탈거되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파일(12)에 도료가 스며들어 접지 전면에 잘 도포됨으로써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통상의 롤러 브러쉬(10)로서 도막형 바닥재를 도포하는 과정을 도 2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로면(1)에 도포되는 도막형 바닥재(2)를 1mm 미만의 두께로 도포될 경우에는 롤러 브러쉬(10)를 도막형 바닥재(2)의 도료에 침전시켜 파일(12)에 바닥재 도료가 충분히 흡수되도록 한 다음, 롤러 브러쉬(10)를 도로면(1)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프레임(15)을 전진 및 후진할 경우 파일(12)에 흡수된 도막형 바닥재(2)가 도로면(1)에 도포됨과 동시에 도 2의 (다)에서와 같이 미끄럼방지 기능을 하는 요철부(3)가 형성됨으로서 도막형 바닥재의 도포를 완료하게 된다.
한편, 도로면(1)에 도포되는 도막형 바닥재(2)를 1~15mm 두께 범위내에서 도포될 경우에는 바닥재를 레이커, 헤라(5),분사장비 등을 사용하여 도포된 도막형 바닥재(2)를 1~15mm 범위내에서 평탄화 시키고, 이어서 도 2의 (나)에서와 같이 롤러 브러쉬(10)를 사용하여 도막형 바닥재(2)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프레임(15)을 전진 및 후진할 경우 파일(12)의 기모에 의해 바닥재(2)의 표면에 도 2의 (다)에서와 같이 미끄럼방지 기능을 하는 요철부(3)가 형성됨으로서 도막형 바닥재의 도포를 완료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도로면(1)에 도포된 도막형 바닥재(2)는 표면에 분포된 골재와 롤러 브러쉬(10)에 의해 형성된 요철부(3)의 상호작용에 의해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롤러 브러쉬(10)로서 도막형 바닥재(2)를 도로면(1)에 도포할 경우 양의 모피나 화학섬유, 천연섬유를 식모한 파일(12)에 도료와 골재가 응집되면서 빠르게 경화되는 현상으로 인해 도료와 골재가 파일(12)에 달라붙게 되어 도료와 골재가 고르게 분포되지 않고 균일한 두께로 도포되지 않으므로 바닥재 도료가 과다 투입되어 공사비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처음 사용한 바닥재 재료가 응집되지 않은 상태의 롤러 브러쉬의 바닥재 표면과 계속 사용됨에 따른 골재와 바닥재 도료가 응집된 상태의 롤러 브러쉬의 바닥재 표면이 일정한 조도(거칠기)를 형성하지 않으므로 미관이 좋지 않고 롤러 브러쉬를 계속 사용할수록 미끄럼방지 효과가 현저히 저하될 뿐만 아니라, 기존의 롤러 브러쉬로는 바닥재 내부의 기포제거와 도로 표면의 홈이나 틈새 등을 충진 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탈락, 크랙, 마모 등의 하자요인이 발생 되고 있다.
특히, 종래 롤러 브러쉬와 바닥재 재료(1)와의 응집에 의한 롤러 브러쉬의 잦은 교체로 인한 비용과 폐기된 롤러 브러쉬의 폐기물 처리로 인한 경제적인 손실이 발생됨은 물론, 롤러 브러쉬의 무게가 계속 가중되어 작업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운데가 중공(中空) 형태인 금속재질의 원통형 몸체 외측면 전 둘레에 각뿔 또는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돌기를 형성한 롤러 브러쉬를 제공함으로써 도막형 바닥재 도포 시 바닥재에 각뿔 또는 원뿔형상의 요철부가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하여 미끄럼방지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롤러 브러쉬의 몸체에 형성된 각뿔 또는 원뿔형상의 돌기가 균일한 요철부 형성을 위해 도막형 바닥재 내부 유입 시 잔존하는 기포제거와 골재를 고르게 분포시켜 균일한 도막두께를 형성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으며 도로면의 홈, 틈새까지 바닥재 도료를 충진하는 효과로 표면과의 접착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롤러 브러쉬를 금속재질로 제작하여 시공완료 후 토치 등을 이용하여 롤러 브러쉬에 일부 응집된 바닥재 도료를 제거함으로써 반영구적인 수명을 갖도록 하여 도막형 바닥재의 시공 시 원가절감과 시공성 향상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각뿔 또는 원뿔형상의 무늬모양으로 형성되는 일정한 요철부에 의해 도로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된 연결부에 설치되어 도막형 바닥재의 도포 및 요철부를 형성시키는 롤러 브러쉬에 있어서, 상기 롤러 브러쉬는 가운데가 중공형태의 원통형 금속재질의 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외측면 전 둘레에 도막형바닥재의 도포 및 요철홈과 요철기둥을 형성하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양측 끝단부 내측에는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볼베어링이 설치되고, 상기 몸체의 중앙부에는 양측에 체결공이 형성된 회전축이 볼베어링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몸체의 양측 끝단부 외측면에는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커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돌기는 사각뿔, 원뿔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몸체로부터 1~15mm의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는 몸체의 내측면과 볼베어링 외측면 사이에서 나사결합, 억지끼움 중에서 어느 하나의 수단으로 고정되며, 상기 롤러 브러쉬는 체결공을 통해 연결부 양측 끝단부에 설치된 브라켓에 체결볼트로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가운데가 중공 형태인 금속재질의 원통형 몸체 외측면 전 둘레에 일정한 높이를 갖는 각뿔 또는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돌기를 형성한 롤러 브러쉬를 제공함으로써 도막형 바닥재의 도포는 물론, 상기 돌기에 의해 도포된 바닥재에 일정한 높이의 각뿔 또는 원뿔형상의 요철부가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하여 미끄럼방지 효율을 극대화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롤러 브러쉬의 몸체에 형성된 각뿔 또는 원뿔형상의 돌기가 일정한 요철부 형성을 위해 도막형 바닥재 내부 유입 시 잔존하는 기포제거와 골재를 고르게 분포시켜 균일한 도막두께를 형성하므로 내구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도로면의 홈, 틈새까지 바닥재 도료를 충진하여 도로면과의 접착성을 높이는 효과로 기존 바닥재의 문제점인 크랙, 탈락, 마모 등의 문제점을 해결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롤러 브러쉬를 금속재질로 제작함에 따라 시공완료시 토치 등을 이용하여 롤러 브러쉬에 응집된 바닥재 재료를 제거함으로써 반영구적인 수명을 갖도록 하여 도막형 바닥재의 시공 시 원가절감과 시공성 향상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각뿔 또는 원뿔형상의 무늬모양으로 형성되는 균일한 요철부에 의해 도로의 미관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롤러 브러쉬의 구조도.
도 2는 종래 롤러 브러쉬를 이용한 도막형 바닥재의 도포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막형 바닥재 도포용 롤러 브러시와 핸들의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막형 바닥재 도포용 롤러 브러시와 핸들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막형 바닥재 도포용 롤러 브러시의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막형 바닥재 도포용 롤러 브러시의 단면도 및 부분확대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 브러시를 이용한 도막형 바닥재 의 도포공정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막형 바닥재 도포용 롤러 브러시의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도막형 바닥재 도포용 롤러 브러시를 첨부된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막형 바닥재 도포용 롤러 브러시와 핸들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막형 바닥재 도포용 롤러 브러시와 핸들의 분해사시도로서, 크게는 금속재질의 몸체 외측면 전 둘레에 각뿔 또는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돌기를 형성하여 도막형 바닥재의 도포 및 바닥재에 각뿔 또는 원뿔형상의 요철부를 형성시키는 롤러 브러쉬(10)와, 상기 롤러 브러쉬(10)를 조작하는 핸들(5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핸들(50)은 양측끝단부에 롤러 브러쉬(10)와 체결볼트(43)에 의해 고정되는 브라켓(16)이 설치된 연결부(19)가 구비되고, 이 연결부(19)의 중앙에는 지지대(18)에 의해 견고하게 설치되는 프레임(15)이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15)의 일측부분에는 길이조절부(17)에 의해 길이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막형 바닥재 도포용 롤러 브러시(10)의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막형 바닥재 도포용 롤러 브러시의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로서, 가운데가 중공형태의 원통형 금속재질의 몸체(20)가 구비되고, 이 몸체(20)의 외측면 전 둘레에 도막형 바닥재의 도포는 물론, 바닥재에 요철부(6)를 형성하는 사각뿔 형상의 돌기(21)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돌기(21)의 높이가 1mm 미만일 경우에는 요철부(6)가 미세하게 형성되어 미끄럼방지 효과를 얻을 수 없고, 돌기(21)의 높이가 16mm 이상일 경우에는 몸체(20)의 회전 시 도막형 바닥재(2)가 밀려 롤러 브러쉬(10)에 달라붙는 현상이 발생되어 요철부(6)가 안정적으로 형성되지 않음에 따라 돌기(21)의 높이는 1~15mm 범위내에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20)의 양측 끝단부 내측면에는 몸체(2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볼베어링(45)이 설치되고, 몸체(20)의 중앙부에는 양측 일측면에 체결공(42)이 형성된 회전축(41)이 볼베어링(45)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몸체(20)의 양측 끝단부 외측면에는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커버(44)가 설치되고, 상기 커버(44)는 몸체(20)의 내측면과 볼베어링(45) 외측면 사이에서 나사결합 또는 억지끼움으로 견고하게 고정 결합된다.
상기 회전축(41)은 체결공(42)을 통해 연결부(19)의 양측 끝단부에 설치된 브라켓(16)과 체결볼트(43)로서 서로 고정되어 핸들(50)을 전진 및 후진시킬 경우 롤러 브러쉬(10)가 볼베어링(45)에 의해 부드럽게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도막형 바닥재 도포용 롤러 브러시(10)를 사용하여 도로면(1)에 도막형 바닥재(2)의 도포 및 요철부(6)를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 브러시를 이용한 도막형 바닥재의 도포 공정도로서, 먼저 롤러 브러쉬(10)를 사용하여 직접 도포하는 경우에는 도 7a의 (가)에서와 롤러 브러쉬(10)를 도막형 바닥재(2)의 도료에 침전시켜 몸체(20)와 돌기(21) 사이에 충분히 잔존하도록 한 상태에서 롤러 브러쉬(10)를 도로면(1)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핸들(50)을 전진 및 후진할 경우 체결볼트(43)에 의해 회전축(41)과 연결부(19)의 브라켓(16)이 서로 고정됨으로 인해 몸체(20)가 회전축(41)을 중심으로 핸들(50)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몸체(20)가 회전하게 되면 도 7b의 (가)에서와 같이 상기 몸체(20)와 돌기(21) 사이에 존재하는 도막형 바닥재(2)가 자체 중량에 의해 도로면(1) 위에 도포(도막형 바닥재(2) 표면에 골재를 분포시킴)됨과 동시에 도 7b의 (나)에서와 같이 몸체(20)에 형성된 사각뿔 형상을 갖는 돌기(21)가 도막형 바닥재(2)를 도로면(1)까지 파고 들어가게 된다.
이 후, 도로면(1)까지 유입된 돌기(21)는 몸체(20)의 회전에 의해 외부로 노출될 때 도막형 바닥재(2)를 상측으로 밀어 올리게 됨으로써 사각뿔 형상의 요철부(6)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요철부(6)를 형성하기 위해 상측으로 올려진 공간부에는 근접한 도막형 바닥재(2)가 채워지게 되며, 이러한 요철부(6)는 도로의 거칠기 기능을 가짐에 따라 미끄럼방지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롤러 브러쉬(10)를 사용하여 도막형 바닥재(2)를 도포할 경우 1~15mm 두께의 범위내에서 도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도포 시 요철부(6)가 동시에 형성됨으로써 도로의 종류 및 환경에 대응이 용이하고 시공성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넓은 범위의 도로면(1)에 신속하고 두터운 도막형 바닥재(2)의 도포를 위해 분사장비를 사용하고, 이 도포된 도막형 바닥재(2)에 요철부(6)를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도 7a의 (나)에서와 같이 도료 분사장비 등을 사용하여 도로면(1)에 도막형 바닥재(2)를 일정한 두께로 도포한 다음, 롤러 브러쉬(10)를 도막형 바닥재(2)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핸들(50)을 전진 및 후진할 경우 체결볼트(43)에 의해 회전축(41)과 연결부(19)의 브라켓(16)이 서로 고정됨으로 인해 몸체(20)가 회전축(41)을 중심으로 핸들(50)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몸체(20)가 회전하게 되면 도 7b의 (가), (나)에서와 같이 롤러 브러쉬(10)의 자체 중량에 의해 도로면(1) 위에 도포된 도막형 바닥재(2)를 상측으로 밀어 올리게 됨으로써 사각뿔 형상의 요철부(6)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요철부(6)를 형성하기 위해 상측으로 올려진 공간부에는 근접한 도막형 바닥재(2)가 채워지게 되며, 이러한 요철부(6)는 도로의 거칠기 기능을 가짐에 따라 미끄럼방지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특히, 요철부(6) 형성을 위해 도포된 도막형 바닥재(2)에 돌기(21)가 파고 유입된 후, 상측으로 밀어내어 요철부(6)를 형성시킬 때 상기 도막형 바닥재(2) 내부에 잔존하고 있던 기포제거와 골재를 고르게 분포시켜 균일한 도막두께를 형성할 수 있어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도로면의 홈, 틈새까지 바닥재 도료를 충진하여 도로면과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몸체(20)의 회전으로 도막형 바닥재(2)의 표면에 균일한 요철부를 형성하여 미끄럼방지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체결볼트(43)로서 브라켓(16)과 회전축(41)의 착탈이 가능하여 롤러 브러쉬(10)와 핸들(50)의 분해가 용이함으로써 보관 및 이동이 편리하며, 길이조절부(17)에 의해 프레임(15)의 변위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막형 바닥재 도포용 롤러 브러시의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즉, 몸체(20)의 외측면 전 둘레에 도막형 바닥재의 도포는 물론, 바닥재에 요철부(6)를 형성하는 돌기(21)를 원통형으로 형성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된 돌기(21)는 사각뿔 형상과 동일한 작용 및 효과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1 : 도로면 2 : 도막형 바닥재
6 : 요철부 10 : 롤러 브러쉬
15 : 프레임 16 : 브라켓
18 : 지지대 19 : 연결부
20 : 몸체 21 : 돌기
41 : 회전축 42 : 체결공
43 : 체결볼트 44 : 커버
45 : 볼베어링 50 : 핸들

Claims (4)

  1. 프레임(15)과 일체로 형성된 연결부(19)에 설치되어 도막형 바닥재의 도포 및 요철부를 형성시키는 롤러 브러쉬(10)에 있어서,
    상기 롤러 브러쉬(10)는 가운데가 중공형태의 원통형 금속재질의 몸체(20)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20)의 외측면 전 둘레에 도막형 바닥재의 도포 및 요철부(6)를 형성하는 돌기(21)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20)의 양측 끝단부 내측에는 몸체(2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볼베어링(45)이 설치되고,
    상기 몸체(20)의 중앙부에는 양측에 체결공(42)이 형성된 회전축(41)이 볼베어링(45)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몸체(20)의 양측 끝단부 외측면에는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커버(44)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형 바닥재 도포용 롤러 브러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21)는,
    사각뿔, 원뿔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20)로부터 1~15mm의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형 바닥재 도포용 롤러 브러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44)는,
    상기 몸체(20)의 내측면과 볼베어링(45) 외측면 사이에서 나사결합, 억지끼움 중에서 어느 하나의 수단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형 바닥재 도포용 롤러 브러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브러쉬(10)는,
    상기 체결공(42)을 통해 연결부(19) 양측 끝단부에 설치된 브라켓(16)에 체결볼트(43)로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형 바닥재 도포용 롤러 브러시.
KR1020120137289A 2012-11-29 2012-11-29 도막형 바닥재 도포용 롤러 KR201400696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7289A KR20140069690A (ko) 2012-11-29 2012-11-29 도막형 바닥재 도포용 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7289A KR20140069690A (ko) 2012-11-29 2012-11-29 도막형 바닥재 도포용 롤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9690A true KR20140069690A (ko) 2014-06-10

Family

ID=51124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7289A KR20140069690A (ko) 2012-11-29 2012-11-29 도막형 바닥재 도포용 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6969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091B1 (ko) * 2014-09-04 2015-03-10 주식회사 해치엠엠에이 도포용 바닥재의 미끄럼방지 요철형성용 롤러장치
CN105797910A (zh) * 2016-05-13 2016-07-27 镇江颀龙科技有限公司 一种联轴器上油机构
CN111013919A (zh) * 2019-12-19 2020-04-17 江苏通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胎面刷胶浆装置
KR102143329B1 (ko) * 2019-12-12 2020-08-11 화성이엔씨(주) 미끄럼방지 요철 형성용 롤러장치
KR20210023053A (ko) * 2019-08-21 2021-03-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그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091B1 (ko) * 2014-09-04 2015-03-10 주식회사 해치엠엠에이 도포용 바닥재의 미끄럼방지 요철형성용 롤러장치
CN105797910A (zh) * 2016-05-13 2016-07-27 镇江颀龙科技有限公司 一种联轴器上油机构
CN105797910B (zh) * 2016-05-13 2018-12-25 镇江颀龙科技有限公司 一种联轴器上油机构
KR20210023053A (ko) * 2019-08-21 2021-03-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그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143329B1 (ko) * 2019-12-12 2020-08-11 화성이엔씨(주) 미끄럼방지 요철 형성용 롤러장치
CN111013919A (zh) * 2019-12-19 2020-04-17 江苏通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胎面刷胶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69690A (ko) 도막형 바닥재 도포용 롤러
KR101501091B1 (ko) 도포용 바닥재의 미끄럼방지 요철형성용 롤러장치
KR102189689B1 (ko) 노면 미끄럼 방지 페인트 포설장비
KR100958147B1 (ko) 미끄럼 방지층 시공장치
CN109025202B (zh) 一种建筑墙面装饰干挂石材涂刷施工设备及装饰施工方法
CN206707218U (zh) 一种新型白墙用滚筒刷
CN206415314U (zh) 一种多功能涂料辊
CN105951563A (zh) 一种摊铺机构及其摊铺机
KR101936227B1 (ko) 차선도포기
CN210288038U (zh) 一种用于沥青路面的高效压路机
KR20090094538A (ko) 무기질 엠보싱형 논슬립 주차장 바닥마감재 및 그 시공장치
KR102165634B1 (ko) 노면 미끄럼 방지 페인트 포설장비
JPH11247132A (ja) プロファイリングローラ及びプロファイル付与方法
KR102143329B1 (ko) 미끄럼방지 요철 형성용 롤러장치
KR101083270B1 (ko) 뿜칠형 엠보싱 무늬 시공 장치 및 방법
JP5781358B2 (ja) 塗膜積層体
CN211522809U (zh) 一种沥青道路用彩色喷绘装置
KR102546529B1 (ko) 노면 미끄럼 방지 페인트 분사장비
KR200420495Y1 (ko) 차량을 이용한 초속경 도로 미끄럼 방지제 도포장치
CN204620235U (zh) 一种轮胎压路机轮胎面喷油喷头结构
KR20210010102A (ko) 도로면의 미끄럼방지 요철 형성용 롤러구조체
CN204570415U (zh) 一种停车场防滑坡道
CN211275110U (zh) 一种喷漆用无气喷涂机
CN212529713U (zh) 一种建筑施工用重心可调式平衡推车
CN110805244B (zh) 一种基于棘轮卡接的墙面用多功能涂料涂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724

Effective date: 2015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