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1756A - 실링 가이드 장치 - Google Patents

실링 가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1756A
KR20200011756A KR1020180086606A KR20180086606A KR20200011756A KR 20200011756 A KR20200011756 A KR 20200011756A KR 1020180086606 A KR1020180086606 A KR 1020180086606A KR 20180086606 A KR20180086606 A KR 20180086606A KR 20200011756 A KR20200011756 A KR 20200011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p
frame
guide
coupled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6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0685B1 (ko
Inventor
고경민
박대석
Original Assignee
고경민
박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경민, 박대석 filed Critical 고경민
Priority to KR1020180086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0685B1/ko
Publication of KR20200011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1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0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0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02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applying plasticised masses to surfaces, e.g. plastering walls
    • E04F21/023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applying plasticised masses to surfaces, e.g. plastering walls for applying adhesive, e.g. glue or mortar, on the covering elements, in particular t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02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applying plasticised masses to surfaces, e.g. plastering walls
    • E04F21/026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applying plasticised masses to surfaces, e.g. plastering walls for applying adhesive or joint compound to joint tapes, in particular drywall t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03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 E04G23/0211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using inj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접착물질의 균일한 도포가 가능하도록 주입노즐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실링 가이드 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재들 사이의 틈을 외부공간과 연결하는 실링공간을 둘러싸는 프레임, 각각의 일단은 상기 틈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틈을 향해 연장되는 가이드판들을 포함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판들의 타단 사이에 형성되는 완충부 및 상기 틈에 인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틈을 향해 연장되는 중공이 형성된 마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실링 가이드 장치{GUIDE DEVICE FOR SEALING}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리콘을 포함하는 접착물질의 도포를 가이드하는 실링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실리콘건 또는 글루건은 실리콘 및 열가소성 물질을 포함하는 접착물질을 틈이나 균열부에 도포하며 건물 벽체의 균열된 부분에 대한 충진 또는 보수, 물품의 접착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틈 또는 균열부에 효과적으로 접착물질을 도포하기 위해서는 실리콘건 또는 글루건을 틈 또는 균열부를 따라 이동시키면서 틈 또는 균열부에 주입이 필요한 양을 적절하게 주입할 필요가 있어 처음 사용자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실리콘건 또는 글루건의 도포를 가이드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59994호는 가이드판이 회전하는 실리콘건을 개시하고 있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31901호는 헤라가 장착된 실리콘 건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기술들은 실리콘건 또는 글루건의 안정적이고 균일한 도포를 가이드하는 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접착물질의 균일한 도포가 가능하도록 주입노즐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실링 가이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부재들 사이의 틈을 외부공간과 연결하는 실링공간을 둘러싸는 프레임, 각각의 일단은 상기 틈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틈을 향해 연장되는 가이드판들을 포함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판들의 타단 사이에 형성되는 완충부 및 상기 틈에 인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틈을 향해 연장되는 중공이 형성된 마감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완충부는 일단은 상기 프레임과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틈을 향해 축소되도록 연장되며 상기 틈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판들 중 어느 하나의 타단을 향해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감부는 상기 틈과 인접한 상기 중공의 내부에서 상기 마감부를 관통하여 상기 마감부의 외부에 노출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판들 중 어느 하나의 일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프레임과 상기 틈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딩부 및 일단은 상기 틈을 향하도록 상기 프레임과 나사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슬라이딩부와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볼트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부는 일단은 상기 프레임에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틈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격된 상태에서 하부를 향해 연장된 후 일부분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완충부재 및 일단은 상기 완충부재의 타단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가이드판들 사이를 지나 상기 틈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일단 및 타단 각각은 상기 가이드판들 각각의 일단과 상기 틈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부재들과 이격되는 방향을 향해 연장되며 서로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판들 각각의 타단은 상기 틈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각각의 타단이 상기 틈 주변의 상기 부재들 각각과 밀착된 상태에서 각각의 일단은 인접한 상기 부재들 각각과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공간에서 상기 완충부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며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중공에 삽입되는 주입 노즐이 삽입 및 거치되는 거치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링 가이드 장치는 틈 사이에 일부분이 삽입되어 틈을 따라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하여 실리콘을 포함하는 접착물질의 균일한 도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실링 가이드 장치는 틈의 주위를 커버하는 가이드판들이 형성되어 주입노즐에서 도포되는 접착물질이 틈 주위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미관이 수려한 실링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실링 가이드 장치는 전방에 완충부가 형성되어 틈을 따라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하고, 가이드판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여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실리콘건 또는 글루건의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 가이드 장치의 사시도.
도 2 및 3들은 도 1의 실링 가이드 장치의 분해사시도들.
도 4는 도 1의 실링 가이드 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링 가이드 장치의 사시도 및 정면도.
도 6은 도 5의 실링 가이드 장치의 구동을 나타내는 정면도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링 가이드 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 가이드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 및 3들은 도 1의 실링 가이드 장치의 분해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1 내지 3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 가이드 장치(100)는 프레임(200), 가이드부(400), 완충부(500), 마감부(600) 및 제어부(700)를 포함한다.
실링 가이드 장치(100)는 실리콘 등의 접착물질을 부재들 사이의 틈에 주입하며 이동하는 과정에서 정량의 접착물질을 상기 틈에 주입하며 안정적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장치이다.
프레임(200)의 일단은 상기 틈을 사이에 두고 타단과 이격된 상태에서 일단 및 타단이 바 형태로 상기 틈의 연장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단 및 타단의 전방 일부분이 서로를 향해 절곡되고 연장되어 'ㄷ'자 형태로 형성된다.
프레임(200)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는 상기 틈을 외부공간과 연결하는 실링공간(10)이 형성되고, 실링공간(10)을 통해 외부의 접착물질이 상기 틈으로 주입된다.
또한, 프레임(200)의 후방에는 프레임(200)의 일단 및 타단을 연결하는 연결바가 형성되고, 한쪽 손으로 프레임(200)을 잡고 전방으로 프레임(200)을 이동시키면, 상기 연결바가 마감부(600)를 전방을 향해 밀어내며 실링이 진행된다.
가이드부(400)는 제1 가이드판(410), 제2 가이드판(430) 및 제2 삽입부재(440)를 포함한다.
가이드부(400)의 일단은 상기 틈을 사이에 두고 프레임(200)의 일단 및 타단 각각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틈을 향해 경사진 플레이트 형태로 하향 연장되어 상기 접착물질이 상기 틈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한다.
구체적으로, 제1 가이드판(410)의 일단은 프레임(200)의 일단 하부에 제어부(700)를 통해 상기 틈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틈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제2 가이드판(430)의 일단은 프레임(200)의 타단 하부에서 제2 삽입부재(440)를 통해 상기 틈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틈을 향해 경사지게 하향 연장되어 제1 가이드판(410)과 함께 상기 접착물질이 이동하는 경로를 가이드한다.
제2 삽입부재(440)들 각각의 일단은 전후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제2 가이드판(430)의 일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부를 향해 연장된 후 상기 틈의 연장방향을 따라 전방 및 후방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T' 형태로 형성된다.
완충부(500)는 완충부재(520) 및 삽입부(540)를 포함한다.
완충부(500)는 제1 및 제2 가이드판(410, 430)들의 타단 사이에서 프레임(200)의 전방에 상기 틈의 연장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하부 일부는 상기 틈에 삽입되어 실링 가이드 장치(100)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또한, 완충부(500)는 일단 일부분은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소재로 제작되어 상기 틈에 형성된 돌기들 또는 장애물을 지나는 경우 변형을 통해 상기 돌기들 또는 장애물을 부드럽게 통과하고 상기 틈을 메우는 상기 접착물질의 균일한 도포가 가능하다.
완충부재(520)의 일단은 프레임(200)의 일단 및 타단을 향해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전후방으로 이격 된 일부분들이 하부를 향해 연장되고 다시 상기 틈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절곡 및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완충부재(520)가 프레임(2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완충부재(520)의 일단은 프레임(200)의 전방에 상기 틈의 연장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프레임(200)에 삽입되고, 타단은 프레임(200)을 관통하여 하부에 위치하는 삽입부(540)와 프레임(200)의 일단 또는 타단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완충부재(520)는 연질의 폴리머 재질로 제작되어 신축성이 있고 복원력이 뛰어나 외압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킨다.
삽입부(540)의 일단은 완충부재(520)의 타단과 프레임(200)의 일단 또는 타단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완충부재(520)의 타단 사이 및 전후방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타단은 하부를 향해 축소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틈을 형성하는 부재들 중 어느 하나와 밀착된다.
또한, 제어부(700)가 형성된 프레임(200)의 일단에 인접한 삽입부(540)의 일측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은 후술될 제어부(700)를 통해 삽입부(540)를 향해 이동하는 제1 가이드판(410)의 이동을 가이드하여 상기 접착물질이 상기 틈을 향해 이동하도록 효과적으로 제1 가이드판(410)의 변형을 유도한다.
마감부(600)는 거치대(620), 중공(625) 및 홈(630)을 포함한다.
마감부(600)는 제1 및 제2 가이드판(410, 430)들 사이에서 상기 틈과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틈 및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중공(625)이 형성된다.
거치대(62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중공(625)은 거치대(620)의 상부에서 상기 틈 및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하향 연장되어 중공(625)에 삽입되는 주입노즐(20)과 상기 틈을 연결한다.
홈(630)은 상기 틈과 인접한 중공(625)의 내부에서 상기 틈의 연장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연장되어 중공(625)과 실링공간(10)의 전방을 연결하는 통로 형태로 형성된다.
해당 작업자는 주입 노즐(20)을 통해 상기 접착물질을 상기 틈으로 주입하는 과정에서 홈(630)을 따라 전방으로 유출되는 상기 접착물질의 양을 시각적으로 판단하면서 적정량의 상기 접착물질을 상기 틈에 주입할 수 있다.
또한, 주입 노즐(20)을 통해 상기 틈에 상기 접착물질이 주입되면서 실링 가이드 장치(10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거치대(620)의 저면이 상기 틈에 메워진 상기 접착물질의 상부면을 압박하여 상기 접착물질의 상부면을 정돈시키므로 마감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주입 노즐(20)을 통해 상기 틈에 상기 접착물질이 주입되면서 실링 가이드 장치(10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거치대(620)는 상기 연결바를 밀어내며 프레임(200)과 함께 이동하고, 실링 가이드 장치(100)는 효과적으로 상기 접착물질의 실링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슬라이딩부(720) 및 볼트(740)를 포함한다.
제어부(700)의 일단은 제1 가이드판(410)의 일단과 결합된 상태에서 프레임(200)의 일단과 상기 틈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타단은 별도의 부재를 통해 프레임(200)의 일단과 나사 결합되어 상기 틈을 향해 이동하거나 이격되도록 제1 가이드판(410)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딩부(720)의 일단은 제1 가이드판(410)의 일단 상부에 플레이트 형태로 결합되고, 상부에 위치한 타단은 'T'자 형태의 삽입부재들을 통해 프레임(200)의 일단과 상기 틈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볼트(740)의 일단은 상기 틈을 향하도록 상기 삽입부재들 사이에서 프레임(200)의 일단과 나사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틈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프레임(200)의 일단과 평행한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 일부분은 슬라이딩부(720)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따라서, 해당 사용자는 볼트(740)의 회전방향에 따라 슬라이딩부(720)를 상기 틈을 향해 이동시키거나 상기 틈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을 통해 제1 가이드판(410)의 위치를 제어하여 제1 가이드판(410) 및 제2 가이드판(430)들 각각의 타단 사이의 거리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실링 가이드 장치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540)의 일부는 틈(1)을 형성하는 부재(3, 4)들 사이에서 부재(4)와 밀착되고, 부재(3)를 향해 경사면을 형성하여, 볼트(740)의 회전방향에 따라 틈(1)으로 이동하는 제1 가이드판(410)의 타단이 틈(1)을 향해 변형되도록 가이드한다.
삽입부(540)의 상단 일부가 제1 가이드판(410)의 타단 상부면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턱의 저면은 제1 가이드판(410)과 밀착되어 주입노즐(20)을 통해 상기 접착물질을 주입하는 과정에서 제1 가이드판(410)을 압박하여 제1 가이드판(410)을 부재(3)의 상부에 고정시킨다.
따라서, 주입노즐(20)을 통해 상기 접착물질을 주입하는 과정에서 제1 가이드판(410)의 슬라이딩 이동이 정지되어 틈(1)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완충부재(520)에 인접한 위치의 슬라이딩부(720)는 프레임(200)의 일단 하부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프레임(200)과 결합되어 볼트(740)의 회전 방향에 따라 프레임(200)을 향해 이동하거나 프레임(200)과 이격될 수 있다.
제1 가이드판(410)의 일단은 슬라이딩부(720)의 이동에 따라 삽입부(540)를 향해 이동하거나 삽입부(540)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 가이드판(410)의 타단은 슬라이딩부(720)가 프레임(200)을 향해 이동하는 경우 삽입부(540)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변형되며 하강 이동한다.
제1 가이드판(410)의 타단의 하강 이동에 따라 틈(1) 사이의 거리는 감소하고, 제1 가이드판(410)의 타단의 하강 이동 후 주입노즐(20)을 통해 상기 접착물질을 주입하는 과정에서 삽입부(540)의 상단 걸림턱은 제1 가이드판(410)의 타단을 압박하여 제1 가이드판(410)의 타단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링 가이드 장치의 사시도 및 정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6은 도 5의 실링 가이드 장치의 구동을 나타내는 정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5 및 6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 가이드 장치(120)는 프레임(300), 가이드부(800), 완충부(870) 및 마감부(640)를 포함한다.
실링 가이드 장치(120)는 부재(6, 7)들이 이루는 각도가 수직 또는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경우, 주입노즐(20)과 결합하여, 주입노즐(20)이 상기 접착물질을 부재(6, 7)들 사이의 틈을 향해 안정적이고 균일하게 도포하도록 가이드하는 장치이다.
프레임(300)은 거치부(320)를 포함한다.
프레임(300)은 부재(6, 7)들 사이에 배치되어 틈(2)과 연결되는 실링공간(12)을 형성하고, 주입노즐(20)이 삽입될 수 있고 실링 상태를 주시할 수 있도록 외부 공간과 실링공간(12)을 연결하는 중공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프레임(300)의 일단 및 타단 각각은 틈(2)에서 이격된 위치에서 부재(6, 7)들과 각각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틈(1)의 연장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 형태로 형성되며, 프레임(300)의 일단 및 타단 각각의 전방 및 후방 일부분이 서로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프레임(300)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는 프레임(300) 및 틈(2) 사이의 실링공간(12)과 외부를 연결하는 중공을 통해 틈(2)의 실링 상태를 실시간으로 주시하며 작업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거치부(320)는 프레임(300)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서 상기 중공의 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주입노즐(20)의 일부분이 삽입 및 거치된다.
가이드부(800)는 제3 가이드판(820), 제3 삽입부재(830)들, 제4 가이드판(840) 및 제4 삽입부재(850)들을 포함한다.
제3 가이드판(820)의 일단은 틈(2)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며 배치되는 제3 삽입부재(830)들을 통해 프레임(300)의 일단과 틈(2)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4 가이드판(840)의 일단은 틈(2)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며 배치되는 제4 삽입부재(850)들을 통해 프레임(300)의 타단과 틈(2)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3 가이드판(820)의 타단은 프레임(300)과 이격되는 방향 및 틈(2)을 향해 경사지게 하향 연장되고, 제4 가이드판(840)의 타단은 프레임(300)과 이격되는 방향 및 틈(2)을 향해 경사지게 하향 연장되어 제3 및 제4 가이드판(820, 840)들 각각의 타단은 서로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다.
제3 및 제4 삽입부재(830, 850)들 각각은 일단은 틈(2)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바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 각각은 일단의 중앙에서 제3 및 제4 가이드판(820, 840)들을 향해 연장되어 제3 및 제4 가이드판(820, 840)들 각각과 결합된다.
도 5 및 6들을 참조하면, 해당 작업자는 제3 및 제4 가이드판(820, 840)들 각각의 타단을 변형시키며 제3 및 제4 가이드판(820, 840)들 각각을 부재(6, 7)들 각각에 밀착시킨 후 주입노즐(20) 및 마감부(640)를 통해 틈(2)에 접착물질을 주입한다.
제3 및 제4 가이드판(820, 840)들 각각의 타단의 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탄성력은 부재(6, 7)들 각각을 향해 전달되므로, 작업자가 프레임(300)을 잡은 상태에서는 실링 가이드 장치(120)의 진동이나 흔들림이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
마감부(640)는 거치대(642), 중공(644) 및 홈(646)을 포함한다.
마감부(640)는 제3 가이드판(820) 및 제4 가이드판(840)의 사이에서 틈(1)에 인접하도록 형성되고, 틈(1)을 향해 연장되는 중공(644)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거치대(642)의 일단은 틈(1)과 인접한 위치에서 제3 가이드판(820) 및 제4 가이드판(840)의 타단 사이에 형성되고, 타단은 제3 및 제4 가이드판(820, 840)들 각각의 일단을 향해 확장 연장되며 제3 및 제4 가이드판(820, 840)들과 밀착된다.
중공(644)은 거치대(642)의 타단에서 일단의 틈(1)을 향해 원통형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홈(646)은 거치대(642)의 일단과 인접한 중공(644)에서 거치대(642)의 일단을 관통하며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해당 작업자는 거치부(320)에 일부분이 삽입된 주입노즐(20)이 중공(644)에 삽입되어 상기 접착물질을 틈(1)을 향해 주입하고, 홈(646)을 통해 실링공간(12)에 일부 유출되는 상기 접착물질의 양을 시각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완충부(870)는 완충부재(872, 874)들을 포함한다.
완충부(870)는 가이드부(800)의 전방에 형성되어 틈(1)에 인접한 가이드부(800)의 일부분의 변형을 방지하여 틈(1)이 노출되는 공간을 확보한다.
구체적으로, 완충부재(872, 874)들 각각의 일단은 제3 및 제4 가이드판(820, 840)들 각각의 타단 전방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제3 및 제4 가이드판(820, 840)들 각각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인접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완충부재(872, 874)들 각각은 제3 및 제4 가이드판(820, 840)들 각각의 타단이 변형되며 부재(6, 7)들 각각에 밀착된 상태에서 과도한 압력에 의해 파손 또는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크기가 다른 완충부재들을 제3 및 제4 가이드판(820, 840)들 각각에 부착하여 서로 다른 크기의 틈에 적합하도록 제3 및 제4 가이드판(820, 840)들 각각의 타단 사이의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20: 실링 가이드 장치 200, 300: 프레임
400, 800: 가이드부 500, 870: 완충부
600, 640: 마감부 700: 제어부

Claims (6)

  1. 부재들 사이의 틈을 외부공간과 연결하는 실링공간을 둘러싸는 프레임;
    각각의 일단은 상기 틈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틈을 향해 연장되는 가이드판들을 포함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판들의 타단 사이에 형성되는 완충부; 및
    상기 틈에 인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틈을 향해 연장되는 중공이 형성된 마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 가이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일단은 상기 프레임과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틈을 향해 축소되도록 연장되며 상기 틈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판들 중 어느 하나의 타단을 향해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 가이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는,
    상기 틈과 인접한 상기 중공의 내부에서 상기 마감부를 관통하여 상기 마감부의 외부에 노출되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 가이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들 중 어느 하나의 일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프레임과 상기 틈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딩부 및
    일단은 상기 틈을 향하도록 상기 프레임과 나사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슬라이딩부와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볼트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 가이드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일단은 상기 프레임에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틈의 연장 방향을 따라 분리된 상태에서 하부를 향해 연장된 후 일부분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완충부재; 및
    일단은 상기 완충부재의 타단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가이드판들 사이를 지나 상기 틈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 가이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일단 및 타단 각각은 상기 가이드판들 각각의 일단과 상기 틈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부재들과 이격되는 방향을 향해 연장되며 서로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 가이드 장치.

















KR1020180086606A 2018-07-25 2018-07-25 실링 가이드 장치 KR102100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606A KR102100685B1 (ko) 2018-07-25 2018-07-25 실링 가이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606A KR102100685B1 (ko) 2018-07-25 2018-07-25 실링 가이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1756A true KR20200011756A (ko) 2020-02-04
KR102100685B1 KR102100685B1 (ko) 2020-04-16

Family

ID=69571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6606A KR102100685B1 (ko) 2018-07-25 2018-07-25 실링 가이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06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01793B (zh) * 2020-06-23 2022-02-25 上海应用技术大学 一种用于混凝土结构表面粘贴纤维复材的粘贴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19773B1 (en) * 1999-12-13 2002-07-16 William C. Lauermann Drywall tape and compound applicator
KR101392886B1 (ko) * 2012-12-11 2014-05-09 (주)라인테크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
CN203855514U (zh) * 2014-04-30 2014-10-01 安徽宏宇玻璃有限公司 一种镀膜玻璃自动淋漆装置
KR20150081122A (ko) * 2014-01-03 2015-07-13 슈프림이앤씨 주식회사 방수시트 연결용 도포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19773B1 (en) * 1999-12-13 2002-07-16 William C. Lauermann Drywall tape and compound applicator
KR101392886B1 (ko) * 2012-12-11 2014-05-09 (주)라인테크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
KR20150081122A (ko) * 2014-01-03 2015-07-13 슈프림이앤씨 주식회사 방수시트 연결용 도포기
CN203855514U (zh) * 2014-04-30 2014-10-01 安徽宏宇玻璃有限公司 一种镀膜玻璃自动淋漆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01793B (zh) * 2020-06-23 2022-02-25 上海应用技术大学 一种用于混凝土结构表面粘贴纤维复材的粘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0685B1 (ko) 2020-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11756A (ko) 실링 가이드 장치
US7244117B2 (en) Method for molding resin member and injection molding apparatus
US20180015646A1 (en) Nozzle tip and method for filling honeycomb panel for reinforcement
CN107028328B (zh) 液状化妆品容器
WO2008130123A1 (en) Glue gun
CN110430945A (zh) 具有偏转装置的胶带分配器
KR101687699B1 (ko) 타일용 줄눈 정리기구
CN108797717B (zh) 手持花洒的能装拆挂接结构及能装拆挂接结构
US11351568B2 (en) Paint applicator assembly
JP2008221362A (ja) 打込み工具
KR102648241B1 (ko) 용액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스프레이 용기의 구조
CN208089031U (zh) 一种用于推拉门窗的锁体
KR20120004118U (ko) 롤러 글루건
US20160008838A1 (en) Paint on board system and apparatus
CN205762137U (zh) 打胶枪
CN208972752U (zh) 涂料刷
JPH0679650A (ja) パテガン付エア釘打機
KR20160046701A (ko) 굵기 조절 지그를 구비한 글루건 장치
JP2835561B2 (ja) タイル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2207546B1 (ko) 세척 도구
US3775016A (en) Apparatus for applying putty
KR102412895B1 (ko) 시린지의 플런저 고정장치
JPH0319960Y2 (ko)
KR101424409B1 (ko) 액상 파우더 분산 장치
GB2485604A (en) Device for marking a su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