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6659B1 - 외부 혼합식 차선도색공법 - Google Patents

외부 혼합식 차선도색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6659B1
KR101566659B1 KR1020150058625A KR20150058625A KR101566659B1 KR 101566659 B1 KR101566659 B1 KR 101566659B1 KR 1020150058625 A KR1020150058625 A KR 1020150058625A KR 20150058625 A KR20150058625 A KR 20150058625A KR 101566659 B1 KR101566659 B1 KR 101566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ing agent
curing agent
agent
lane
pa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8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무창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코리아건설
서무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코리아건설, 서무창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코리아건설
Priority to KR1020150058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66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6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6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 E01C23/22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by spra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적으로 하는 색상의 도색제와 경화제를 내부 공간이 아닌 도색 대상 영역인 외부에서 서로 혼합되게 유도함으로써 작업 효율성의 극대화를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색제와 경화제를 혼합하기 위한 별도의 믹싱 공간 부재로 인해 관련 장비의 간소화 및 유지 보수의 용이함을 확보할 수 있는 등 종래 장비로 인해 초래되던 제반 문제점을 불식시켜 보다 신속 정확한 도색작업이 실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외부 혼합식 차선도색공법에 관한 것으로, 컴프레셔와 연계된 에어 공급라인(30)을 통해 기 설정된 압력의 공기가 에어 분사유닛(130)으로 제공됨에 따라 도색 작업이 요구되는 지면으로의 배출이 실시되면서 잔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단계;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색제 저장조와 연계된 도색제 공급라인(10)을 통해 기 설정된 공급량과 압력에 기인하여 의도하는 색상의 도색제가 도색제 분사유닛(110)으로 분사 실시됨과 동시에 경화제 저장조와 연계된 경화제 공급라인(20)을 통해 기 설정된 공급량과 압력에 기인하여 해당 도색제가 경화제 분사유닛(120)으로 분사 실시됨으로써 대상 지면에 대해 도색제와 경화제의 동시 외부 분사가 이루어져 차선 도색이 실시되는 제2단계;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드 저장조와 연계된 비드 공급라인(40)을 통해 기 설정된 공급량과 압력에 기인하여 해당 비드가 비드 분사유닛(140)으로 제공됨으로써 도색된 차선 상방으로 분사 실시되는 제3단계;를 순차 거쳐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외부 혼합식 차선도색공법{Method for Lane Painting}
본 발명은 도색제와 경화제의 외부 혼합식 차선도색공법에 관한 것으로, 목적으로 하는 색상의 도색제와 경화제를 내부 공간이 아닌 도색 대상 영역인 외부에서 서로 혼합되게 유도함으로써 작업 효율성의 극대화를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색제와 경화제를 혼합하기 위한 별도의 믹싱 공간 부재로 인해 관련 장비의 간소화 및 유지 보수의 용이함을 확보할 수 있는 등 종래 장비로 인해 초래되던 제반 문제점을 불식시켜 보다 신속 정확한 도색작업이 실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외부 혼합식 차선도색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선의 도색은 1줄 또는 2줄, 황색 또는 흰색, 실선 또는 파선의 3가지 요소를 조합하여 실시되고 있으며, 도료는 페인트를 사용하는 경우와 돌가루와 수지를 혼합한 융착식 도료 또는 액상의 도료와 경화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이액형 도료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도로에는 주행방향을 구분하기 위한 황색의 띠형 중앙선 및 차량의 진행구간을 구분하는 백색의 띠형 주행차선이 기본적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띠형의 기본차선 상에는 졸음방지를 위한 돌출차선 및 야간차선 식별을 위한 일반형 글라스비드나 야간우천시의 차선식별을 위한 우천형 글라스비드가 선택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띠형의 기본차선 및 돌출차선의 도색시에는 통상 MMA수지와 무기분말 및 착색도료 등이 혼합된 도색제가 널리 이용되고 있는바, 이러한 일반 도색제를 이용한 차선도색 작업시에는 도색된 차선이 완전 경화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띠형의 기본차선을 도색한 후 그 기본차선 상에 돌출차선의 도색 및 글라스비드를 살포할 시 서로 간에 강한 일체감을 갖도록 유도할 수 있는 반면, 작업능률이 저하되고 또 교통체증을 유발시키게 된다.
한편, 근래 들어 도색된 차선의 신속한 경화를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소정의 경화제를 첨가하게 되는데, 이러한 도색제의 첨가로 인해 경화시간을 현저히 단축시켜 줄 수 있어 도색 작업시 작업능률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교통체증 또한 해소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상 효율적인 측면이 있다.
상기와 같이 차선을 도색하는 장치 및 공법의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6114호에 '이액형 돌출차선도색장치 및 그 돌출차선도색공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선행기술의 이액형 돌출차선도색장치 및 그 돌출차선도색공법은 차선도색차량의 주행시 띠형 차선을 도색해 주도록 하는 띠형 차선도색수단과 돌출형 차선을 도색해 주도록 하는 돌출형 차선도색수단 및 도색된 차선 상에 글라스비드를 살포해 주도록 하는 글라스비드 살포수단으로 구성된다.
이와 관련한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황색도색제 공급라인 및 백색도색제 공급라인은 각각 믹서기의 상부 후방에 연결 설치되게 하고, 또 경화제 공급라인 및 세척제 공급라인은 각각 믹서기 후방에 연결 설치되게 하며, 띠형 차선도색기 및 돌출형 차선도색기는 각각 믹서기의 전방에 연결 설치되게 하여 각각 선택된 도색제 및 경화제가 믹서기에 공급됨으로써 믹서기 통과 중 충분한 믹싱이 이루어지도록 한 뒤 띠형 차선도색기와 돌출형 차선도색기에 의해 토출되면서 차선 도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원하는 색상의 도색제가 믹서기에 공급되게 하고, 또 경화제 공급라인이 갖는 개폐밸브를 개방하여 경화제가 믹서기에 공급되게 하면 선택된 색상의 도색제와 경화제가 믹서기 내에 공급되어 충분한 믹싱이 이루어진 상태로 각각 띠형 차선도색기와 돌출형 차선도색기에 의해 토출되면서 띠형 차선도색작업 및 돌출형 차선도색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믹서기를 포함한 종래 모든 기술사상에 의하면 경화제와 도색제의 혼합을 행함에 있어 이의 작업이 실로 만족할 정도로 이루어지지 않아 작업 불량이 야기되고 있고, 혼합과 관련한 부위의 관리 및 유지 보수의 측면에서도 효율적이지 못하는 등 보다 실질적인 개선책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종래에는 경화제가 보유하는 특성에 기인하여 별도의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관련 설비가 마련되어야만 하므로 설비의 비용이 추가되는 등 또 다른 문제점을 유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차선도색과 관련한 모든 작업이 일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에어, 도색제와 경화제, 비드의 배출을 순차적으로 개별 실시하면서 도색제와 경화제의 혼합을 외부로의 분사 과정에서 실행되게 하는 차선도색공법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아울러, 도색제와 경화제의 원활한 혼합이 외부에서 실시될 수 있는 제반 구조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다른 해결 과제로 한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외부 혼합식 차선도색공법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차선도색공법은 컴프레셔와 연계된 에어 공급라인(30)을 통해 기 설정된 압력의 공기가 에어 분사유닛(130)으로 제공됨에 따라 도색 작업이 요구되는 지면으로의 배출이 실시되면서 잔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단계;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색제 저장조와 연계된 도색제 공급라인(10)을 통해 기 설정된 공급량과 압력에 기인하여 의도하는 색상의 도색제가 도색제 분사유닛(110)으로 분사 실시됨과 동시에 경화제 저장조와 연계된 경화제 공급라인(20)을 통해 기 설정된 공급량과 압력에 기인하여 해당 도색제가 경화제 분사유닛(120)으로 분사 실시됨으로써 대상 지면에 대해 도색제와 경화제의 동시 외부 분사가 이루어져 차선 도색이 실시되는 제2단계;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드 저장조와 연계된 비드 공급라인(40)을 통해 기 설정된 공급량과 압력에 기인하여 해당 비드가 비드 분사유닛(140)으로 제공됨으로써 도색된 차선 상방으로 분사 실시되는 제3단계;를 순차 거쳐서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단계에서는 도색제 분사유닛(110)과 경화제 분사유닛(120)을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마주하도록 저부가 이격된 형태의 'V' 형상으로 배치하여 지면으로의 각 분사시 도색제와 경화제의 동시 분사가 이루어짐에 따라 해당 도색제와 경화제를 도색 작업이 요구되는 지면 상에서 혼재된 상태로 도포되게 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도색제 분사유닛(110)은 지면에 대한 수직선상을 기준으로 하여 경화제 분사유닛(120) 방향으로 30~45°경사로 배치하고, 상기 경화제 분사유닛(120)은 지면에 대한 수직선상을 기준으로 하여 도색제 분사유닛(110) 방향으로 30~45°경사로 배치한 후, 각 도색제 분사유닛과 경화제 분사유닛으로부터 도색제 및 경화제가 동일 압력과 공급량으로 분사 실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단계에서는 탈부착 타입의 투명 보호캡(190)을 경화제 분사유닛(120) 단부에 체결시켜 경화제 분사시 보호캡이 허용하는 내부 공간으로 분사 실시되게 함으로써 도색제에 비해 비중이 낮은 경화제의 외부 간섭을 극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차선도색과 관련한 작업을 행함에 있어 도색제와 경화제의 혼합을 외부로의 분사 과정에서 실행되게 하므로 관련 장치의 간소화 및 유지 보수의 간편화, 그리고 이로 인한 작업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경화제가 보유하는 특성에 기인하여 별도의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관련 설비가 마련되어야만 하므로 설비의 비용이 추가되는 등 또 다른 문제점이 유발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세척 라인을 생략할 수 있는 이점 또한 보유한다.
즉, 도색제와 경화제의 혼합이 외부에서 원활하게 실시될 수 있는 제반 구조 내지 조건을 부여함에 따라 보다 신속 정확한 작업이 구현될 뿐만 아니라, 차량 탑재에 적합한 구조 및 형태로 제공되어 범용으로 사용 가능하며, 차선도색과 관련한 모든 작업이 에어 분사유닛; 도료 분사유닛; 비드 분사유닛;에 의해 일괄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개별 선택된 해당 유닛의 운용에 기인한 에어, 도색제와 경화제, 비드의 배출이 순차적으로 개별 실시될 수 있어 더욱 효과적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서의 차선도색공법은 도색제와 경화제를 혼합하기 위한 별도의 믹싱 공간 부재로 인해 관련 장비의 간소화 및 유지 보수의 용이함을 확보할 수 있는바, 종래로부터 비롯되던 제반 문제점을 불식시켜 보다 신속 정확한 도색작업이 실시될 수 있으므로 효과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차선도색공법을 개략적으로 순차 도시한 플로어 차트.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차선도색분사기기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사용 양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비산유도구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은 차선도색공법에 관하여 개시되고, 특히 외부 혼합식 차선도색공법에 관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차선도색공법을 개략적으로 순차 도시한 플로어 차트이다.
본 발명에서는 목적으로 하는 색상의 도색제와 경화제를 내부 공간이 아닌 도색 대상 영역인 외부에서 서로 혼합되게 유도함으로써 작업 효율성의 극대화를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색제와 경화제를 혼합하기 위한 별도의 믹싱 공간 부재로 인해 관련 장비의 간소화 및 유지 보수의 용이함을 확보할 수 있는 등 종래 장비로 인해 초래되던 제반 문제점을 불식시켜 보다 신속 정확한 도색작업이 실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외부 혼합식 차선도색공법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제시하는 차선도색공법은 크게 잔류 이물질 제거단계;와, 도색제와 경화제 분사 실시로 인한 차선도색 실시단계;와, 비드 분사 실시단계;로 구분될 수 있으며, 차선도색 실시단계에서는 도색제와 경화제의 동시 분사가 이루어지되 이때 각 분사 지점은 관련 설비 내부가 아닌 노면 상의 외부에서 이루어지게 한다.
더욱 상세하게 기재하면, 컴프레셔와 연계된 에어 공급라인(30)을 통해 기 설정된 압력의 공기가 에어 분사유닛(130)으로 제공됨에 따라 도색 작업이 요구되는 지면으로의 배출이 실시되면서 잔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단계;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색제 저장조와 연계된 도색제 공급라인(10)을 통해 기 설정된 공급량과 압력에 기인하여 의도하는 색상의 도색제가 도색제 분사유닛(110)으로 분사 실시됨과 동시에 경화제 저장조와 연계된 경화제 공급라인(20)을 통해 기 설정된 공급량과 압력에 기인하여 해당 도색제가 경화제 분사유닛(120)으로 분사 실시됨으로써 대상 지면에 대해 도색제와 경화제의 동시 외부 분사가 이루어져 차선 도색이 실시되는 제2단계;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드 저장조와 연계된 비드 공급라인(40)을 통해 기 설정된 공급량과 압력에 기인하여 해당 비드가 비드 분사유닛(140)으로 제공됨으로써 도색된 차선 상방으로 분사 실시되는 제3단계;를 순차 거쳐서 이루어진다.
상기 각 단계의 실행을 위한 제반 구성요소는 하기에서 기술된 차선도색기기(1)에 의거하여 설명될 수 있으며, 이러한 차선도색기기 또한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것임을 밝힌다.
상기 제2단계에서는 도색제 분사유닛(110)과 경화제 분사유닛(120)을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마주하도록 저부가 이격된 형태의 'V' 형상으로 배치하는 것을 주된 요부로 한다.
즉, 지면으로의 각 분사시 도색제와 경화제의 동시 분사가 이루어짐에 따라 해당 도색제와 경화제를 도색 작업이 요구되는 지면 상에서 혼재된 상태로 도포되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보다 효율적인 운용을 위하여 상기 도색제 분사유닛(110)은 지면에 대한 수직선상을 기준으로 하여 경화제 분사유닛(120) 방향으로 30~45°경사로 배치하는 한편, 상기 경화제 분사유닛(120)은 지면에 대한 수직선상을 기준으로 하여 도색제 분사유닛(110) 방향으로 30~45°경사로 배치한다. 이후, 각 도색제 분사유닛과 경화제 분사유닛으로부터 도색제 및 경화제가 동일 압력과 공급량으로 분사 실시되게 함으로써 차선도색과 관련한 작업을 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와 달리 내부가 아닌 외부 공간에서의 노출된 상태로 도색제와 경화제를 서로 혼합되게 하는바, 경화제를 세척하기 위한 별도의 세척 라인을 필요로 하지 않아 설비의 추가 비용을 막을 수 있어 보다 효과적이고, 아울러 도색제와 경화제의 혼합을 위한 소정의 믹싱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장치의 간소화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제, 전술한 차선도색공법을 각 단계별로 보다 세분화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노면 이물질 제거 실행]
최초, 차선도색을 행하기 위하여 차선도색분사기기가 채용된 작업차량을 차선도색이 요구되는 작업공간에 배치한 후, 차선도색이 이루어질 대상 노면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이러한 작업은 에어 분사유닛(130)에 의해 실시되고, 소정의 컴프레셔로부터 공기압을 전달받아 외부로 분사시킴으로써 노면의 이물질을 주변으로 비산시켜 보다 정확한 차선도색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예컨대, 컴프레셔와 연계된 에어 공급라인(30)을 통해 기 설정된 압력의 공기가 에어 분사유닛(130)으로 제공됨에 따라 도색 작업이 요구되는 지면으로의 배출이 실시되면서 잔류 이물질을 제거한다.
[도색제 및 경화제 분사 실시]
에어 분사유닛(130)에 의해 노면이 정리된 상태에서 도색제 분사유닛(110)과 경화제 분사유닛(120)을 운용시킴에 따라 도색제와 경화제의 동시 분사가 이루어진다.
이때, 도색제와 경화제는 대상 노면 상에서 혼재된 상태로 분사되므로 기존과 같은 믹싱 구조의 채용은 생략 가능한바, 관련 구조의 간소화 내지 보다 효율적인 작업을 달성하게 된다.
예컨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색제 저장조와 연계된 도색제 공급라인(10)을 통해 기 설정된 공급량과 압력에 기인하여 의도하는 색상의 도색제가 도색제 분사유닛(110)으로 분사 실시됨과 동시에 경화제 저장조와 연계된 경화제 공급라인(20)을 통해 기 설정된 공급량과 압력에 기인하여 해당 도색제가 경화제 분사유닛(120)으로 분사 실시됨으로써 대상 지면에 대해 도색제와 경화제의 동시 외부 분사가 이루어진다.
이와 관련한 실시예는 하기와 같다.
본 실시예 1에서는 도색제 분사유닛(110)과 경화제 분사유닛(120)의 설치 각도를 설정하여 보다 효율적인 혼합의 실시를 확인하였다.
도색제 분사유닛(110)을 지면에 대한 수직선상을 기준으로 하여 경화제 분사유닛(120) 방향으로 30~45°경사로 배치하되, 이와 대응하도록 경화제 분사유닛(120)을 지면에 대한 수직선상을 기준으로 하여 도색제 분사유닛(110) 방향으로 30~45°경사로 배치하였다. 또한, 각 도색제 분사유닛과 경화제 분사유닛으로부터 도색제 및 경화제가 동일 압력과 공급량으로 분사 실시되게 함으로써 차선도색작업을 행하였다.
[비드 분사 실시]
차선 도색이 실시된 대상 노면에 대해 비드 분사유닛(140)에 의한 소정의 비드를 살포하여 기능을 부여한다.
예컨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드 저장조와 연계된 비드 공급라인(40)을 통해 기 설정된 공급량과 압력에 기인하여 해당 비드가 비드 분사유닛(140)으로 제공됨으로써 도색된 차선 상방으로 분사 실시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차선도색분사기기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사용 양태도이다.
도 2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단계에서는 소정의 보호캡(190)을 더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제2단계에서는 탈부착 타입의 투명 보호캡(190)을 경화제 분사유닛(120) 단부에 체결시켜 경화제 분사시 보호캡이 허용하는 내부 공간으로 분사 실시되게 함으로써 도색제에 비해 비중이 낮은 경화제의 외부 간섭을 극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보호캡(190)은 도색제의 분사 지점을 고려하여 외부 간섭에 의한 흐트럼 없이 목적하는 지점에 이르도록 하기 위함인바, 외부에서도 경화제의 분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설치 각도 또한 경화제 분사유닛의 각도와 동일선상으로 배치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서는 탈부착 타입의 투명 보호캡(190)을 경화제 분사유닛(120) 단부에 더 체결시키되, 이의 형상을 상협하광의 원추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분사되는 경화제가 투명 보호캡의 내면에 묻지 않도록 저촉의 최소화를 구현함에 따라 외부로부터 내부 상황을 식별 가능하게 한다. 결국, 명칭에서 드러나는 바와 같이 해당 재질을 투명한 소재로 채택하여 경화제의 분사 상태를 외부에서 즉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이러한 기능은 경화제의 분사시에도 유지되어야 할 것이므로 전술한 것과 같이 투명 보호캡의 형상을 경화제의 분사각 내지 분사범위를 고려하여 원추형으로 구현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적용되는 차선도색분사기기(1)에 관하여 개시한다.
도 2 내지 3에 도시된 것처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색제 저장조로부터 기 설정된 공급량과 압력에 기인하여 목적으로 하는 색상의 도색제를 선택적으로 유도 공급하기 위한 도색제 공급라인(10)과, 경화제 저장조로부터 기 설정된 공급량과 압력에 기인하여 경화제를 유도 공급하기 위한 경화제 공급라인(20)과, 컴프레셔와 연계 형성되어 기 설정된 압력으로 에어 분사가 실시되는 에어 공급라인(30)과, 도색된 차선에 글라스 비드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드 공급라인(40)과, 각 공급라인으로부터 도색제와 경화제, 세척제, 에어, 글라스 비드를 개별적으로 선택 운용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박스(50)로 구성됨을 전제로 한다.
상기 도색제 공급라인(10)은 백색 또는 황색으로 구분된 색상의 도색제를 수용하여 도색 작업시 차선 등에 해당 색상을 부여하고자 구비되는 구성요소로, 예컨대 MMA수지와 무기분말 및 착색도료가 혼합된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도색제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역류방지밸브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화제 공급라인(20)은 주지한 바와 같이 경화제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각의 경화제 저장조로부터 연계 형성된 구성요소로, 해당 작업을 실시함에 있어 차선의 도색 작업시에는 경화제 저장조로부터 소정의 경화제를 유도 공급하는 역할이 수행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경화제 공급라인(20)은 경화제의 역류가 방지될 수 있도록 소정의 역류방지밸브를 부가할 수 있다.
상기 에어 공급라인(30)은 컴프레셔로부터 기인하는 에어를 일정 수준의 압력으로 외부 배출함으로써 도색 작업이 요구되는 지면에 대해 이물질 등의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구성요소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에어 공급라인(30)을 에어 분사유닛(130)과 결부시킴에 따라 목적으로 하는 지점에 대한 보다 정확하고 균일한 에어 배출이 도모될 수 있도록 하고, 작업의 특성상 차량의 진행 방향을 기점으로 거치프레임(60)의 선단에 배치하여 소기의 목적을 달성한다.
이와 관련한 상세 기술사상을 기재하면, 본 발명의 컨트롤 박스(50) 측면으로 격자 형상의 거치프레임(60)을 고정 결합시키되, 에어 공급라인과 연계 형성된 에어 분사유닛(130); 도색제 공급라인과 연계 형성된 도색제 분사유닛(110); 경화제 공급라인과 연계 형성된 경화제 분사유닛(120); 비드 공급라인과 연계 형성된 비드 분사유닛(140);을 거치프레임(60) 상에 순차적으로 직렬 배열하는 것을 주된 요부로 한다.
상기에서 제반 구성요소를 직렬로 배열한 구성은 차선도색과 관련한 모든 작업이 일괄적 또는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에어, 도색제와 경화제, 비드의 배출이 개별 실시되게 하기 위함으로, 주지한 것처럼 최초 도색 작업이 실시될 지면 영역에 대한 이물질 제거를 에어 분사유닛(130)에 의해 선행한 후, 연이어 도색제 분사유닛(110)과 경화제 분사유닛(120)을 통한 도색제와 경화제의 동시 분사로 차선 도색이 이루어지게 하고, 이후 연속하여 비드 분사유닛(140)으로 하여금 글라스 비드를 도색이 이루어진 차선에 대해 살포함으로써 소정의 차선도색 작업이 완료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거치프레임(60)은 본 발명의 유닛들을 서로 견고하게 위치 고정하는 수단으로 활용되고, 이를 위해 컨트롤 박스(50)의 일측면 또는 차량의 구조물을 이용하여 일체형으로 고정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거치프레임(60)의 일례로 격자 형상이 되게 하였는데, 컨트롤 박스 또는 차량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시켜 해당 유닛들을 고정 설치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므로 첨부 도면과 같은 격자 형상에 국한되지 않음이 자명하다.
상기에서 비드 공급라인(40)의 끝단은 비드 분사유닛(140)과 서로 결부된 타입으로 제공되고, 상기 비드 분사유닛(140)은 설정된 적정 폭에 대한 균일한 살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비드 분사팁(141)을 더 장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비드 분사팁(141)은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삼각 형상으로 형성하여 내부 공간을 통한 비드의 균일하고 광범위한 스프레이가 유도되고, 예컨대 지면에 대한 입설 각도를 가변할 수 있는 구조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비산유도구(170)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비산유도구(170)는 도색제 분사유닛과 경화제 분사유닛에 적용 가능한 구성요소로, 노면 상으로의 직접적인 분사가 이루어지게 하는 제반 요소이다.
상세하게는, 도색제 또는 경화제의 외부 배출이 실시되는 분사공(171);과, 분사공의 인접 영역에 대해 2개소로 구분 배치하여 분사 범위를 설정하고자 아치 형상으로 제공되는 돌출돌부(172);와, 돌출돌부의 외주 영역을 기점으로 연장 형성되고 돌출돌부의 외부 간섭성을 차단하면서 분사 범위를 설정하는 커버체(173);로 구분 구성된다.
상기 돌출돌부(172)는 도 4의 상세 영역에서와 같이 단면 형상을 아치형으로 구현하여 분사 배출 범위를 과도하지 않게 하고, 또한 분사되는 대상물의 집중 내지 집결을 유도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도색 작업이 실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즉, 하향 연장되면서 내측으로 소폭 절곡된 형상의 돌출돌부(172) 내경을 통해 대상물의 분사가 유도되므로 차선의 가장자리 영역에 대한 보다 확실하고 균일한 도색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차선도색과 관련한 작업을 행함에 있어 도색제와 경화제의 혼합을 외부로의 분사 과정에서 실행되게 하므로 관련 장치의 간소화 및 유지 보수의 간편화, 그리고 이로 인한 작업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경화제가 보유하는 특성에 기인하여 별도의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관련 설비가 마련되어야만 하므로 설비의 비용이 추가되는 등 또 다른 문제점이 유발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세척 라인을 생략할 수 있는 이점 또한 보유한다.
즉, 도색제와 경화제의 혼합이 외부에서 원활하게 실시될 수 있는 제반 구조 내지 조건을 부여함에 따라 보다 신속 정확한 작업이 구현될 뿐만 아니라, 차량 탑재에 적합한 구조 및 형태로 제공되어 범용으로 사용 가능하며, 차선도색과 관련한 모든 작업이 에어 분사유닛; 도료 분사유닛; 비드 분사유닛;에 의해 일괄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개별 선택된 해당 유닛의 운용에 기인한 에어, 도색제와 경화제, 비드의 배출이 순차적으로 개별 실시될 수 있어 더욱 효과적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서의 차선도색공법은 도색제와 경화제를 혼합하기 위한 별도의 믹싱 공간 부재로 인해 관련 장비의 간소화 및 유지 보수의 용이함을 확보할 수 있는바, 종래로부터 비롯되던 제반 문제점을 불식시켜 보다 신속 정확한 도색작업이 실시될 수 있으므로 효과적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차선도색분사기기
100. 교반부재
130. 에어 분사유닛
140. 도료 분사유닛
150. 비드 분사유닛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컴프레셔와 연계된 에어 공급라인(30)을 통해 기 설정된 압력의 공기가 에어 분사유닛(130)으로 제공됨에 따라 도색 작업이 요구되는 지면으로의 배출이 실시되면서 잔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단계;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색제 저장조와 연계된 도색제 공급라인(10)을 통해 기 설정된 공급량과 압력에 기인하여 의도하는 색상의 도색제가 도색제 분사유닛(110)으로 분사 실시됨과 동시에 경화제 저장조와 연계된 경화제 공급라인(20)을 통해 기 설정된 공급량과 압력에 기인하여 해당 도색제가 경화제 분사유닛(120)으로 분사 실시됨으로써 대상 지면에 대해 도색제와 경화제의 동시 외부 분사가 이루어져 차선 도색이 실시되는 제2단계;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드 저장조와 연계된 비드 공급라인(40)을 통해 기 설정된 공급량과 압력에 기인하여 해당 비드가 비드 분사유닛(140)으로 제공됨으로써 도색된 차선 상방으로 분사 실시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단계에서는 도색제 분사유닛(110)과 경화제 분사유닛(120)을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마주하도록 저부가 이격된 형태의 'V' 형상으로 배치하여 지면으로의 각 분사시 도색제와 경화제의 동시 분사가 이루어짐에 따라 해당 도색제와 경화제를 도색 작업이 요구되는 지면 상에서 혼재된 상태로 도포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외부 혼합식 차선도색공법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는 탈부착 타입의 투명 보호캡(190)을 경화제 분사유닛(120) 단부에 체결시키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투명 보호캡(190)은 외부로부터 내부에 대하여 식별 가능한 상협하광의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경화제 분사시 해당 내면과의 저촉이 이루어지지 않게 하면서 해당 내면이 제공하는 원추형의 공간으로 경화제의 분사가 실시됨에 따라 도색제에 비해 비중이 낮은 경화제의 외부 간섭을 극복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도색제 분사유닛(110)과 경화제 분사유닛(120)에는 도색제 또는 경화제의 외부 배출이 실시되는 분사공(171);과, 분사공의 인접 영역에 대해 2개소로 구분 배치하여 분사 범위를 설정하고자 아치 형상으로 제공되는 돌출돌부(172);와, 돌출돌부의 외주 영역을 기점으로 연장 형성되고 돌출돌부의 외부 간섭성을 차단하면서 분사 범위를 설정하는 커버체(173);를 포함하는 비산유도구(170)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혼합식 차선도색공법.
KR1020150058625A 2015-04-27 2015-04-27 외부 혼합식 차선도색공법 KR101566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8625A KR101566659B1 (ko) 2015-04-27 2015-04-27 외부 혼합식 차선도색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8625A KR101566659B1 (ko) 2015-04-27 2015-04-27 외부 혼합식 차선도색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6659B1 true KR101566659B1 (ko) 2015-11-05

Family

ID=54600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8625A KR101566659B1 (ko) 2015-04-27 2015-04-27 외부 혼합식 차선도색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66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8784B1 (ko) * 2016-08-24 2017-11-16 김지선 안개분사식 더치커피 추출장치
WO2018225887A1 (ko) * 2017-06-05 2018-12-13 김수호 이종도료의 동시 살포가 가능하게 구비되는 라인 마킹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857B1 (ko) * 2014-05-01 2014-09-23 주식회사 태웅산업 이액형 차선 도색 장치 및 이액형 물질을 이용한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857B1 (ko) * 2014-05-01 2014-09-23 주식회사 태웅산업 이액형 차선 도색 장치 및 이액형 물질을 이용한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8784B1 (ko) * 2016-08-24 2017-11-16 김지선 안개분사식 더치커피 추출장치
WO2018225887A1 (ko) * 2017-06-05 2018-12-13 김수호 이종도료의 동시 살포가 가능하게 구비되는 라인 마킹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91217B2 (ja) 塗装設備及び対応する塗装方法
CN104470770B (zh) 车载摄像机的清洗装置
KR101771587B1 (ko) 분사각 조절이 가능한 이액형 차선도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공법
KR101566659B1 (ko) 외부 혼합식 차선도색공법
KR101554450B1 (ko) 이액형 도료의 혼합기능이 부여되는 차선도색분사기기
KR101965160B1 (ko) 차선 자동 도색장치
KR101161144B1 (ko) 이액형 돌출차선도색장치 및 그 돌출차선도색공법
KR20080112694A (ko) 차선과 차선 도색 방법 및 차량용 차선 도색 장치
CN103691592A (zh) 一种树杆电线杆涂白机
US20190030548A1 (en) Double bell cup
KR20060083532A (ko) 차량용 차선 도색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차선 도색 방법
KR102170443B1 (ko) 차선 도색용 분사장비
CN208493412U (zh) 一种具有自清洗功能的废溶剂回收装置
KR101578547B1 (ko) 친환경 세척, 부착물 제거 및 페인트 제거장치
JP5101945B2 (ja) 廃液分別装置、及び廃液分別方法
KR101662463B1 (ko) 다기능을 갖는 차선도색 시공방법
KR101344370B1 (ko) 이액형 돌출차선도색장치 및 돌출차선도색공법
CN101939113A (zh) 喷涂装置
KR102126332B1 (ko) 차선도색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차량도색차량
KR102217894B1 (ko) 노면 표시용 도색기
KR101625296B1 (ko) 주제 및 경화제 비율의 정량 토출과 자동세척이 가능한 차선 도색장치
KR20120038714A (ko) 도로 특수문자 인쇄 장치
KR101389297B1 (ko) 차선도색기용 비드분사장치
KR101660213B1 (ko) 차선의 시인성이 확보되는 차선도색장치
KR101218281B1 (ko) 살수차량용 플러쉬 노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