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0213B1 - 차선의 시인성이 확보되는 차선도색장치 - Google Patents

차선의 시인성이 확보되는 차선도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0213B1
KR101660213B1 KR1020160086310A KR20160086310A KR101660213B1 KR 101660213 B1 KR101660213 B1 KR 101660213B1 KR 1020160086310 A KR1020160086310 A KR 1020160086310A KR 20160086310 A KR20160086310 A KR 20160086310A KR 101660213 B1 KR101660213 B1 KR 101660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glass bead
lane
stirring
visi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6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무창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코리아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코리아건설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코리아건설
Priority to KR1020160086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02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0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0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166Means for dispensing particulate material on to freshly applied markings or into the marking material after discharge thereof, e.g. reflective beads, grip-improving part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 E01C23/22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by spra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Nozzle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인성 도료와 글라스 비드 혼합물을 대상으로 하는 차선에 동시 분사 가능한 것은 물론 이러한 시인성 도료와 글라스 비드의 교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제반 구성을 채택함에 따라 시인성 안료 상에서의 글라스 비드 분포율을 고르게 편성하여 비드 고착의 우수함이 확보되게 하는 차선의 시인성이 확보되는 차선도색장치에 관한 것으로, 비드 분사유닛(100) 중 어느 하나는 시인성 도료를 공급하는 시인성 도료 공급라인(102)과 연계 형성되어 시인성 도료 및 글라스 비드가 서로 혼합된 상태로 분사되게 하는 것을 포함하고, 시인성 도료와 글라스 비드를 공급받는 혼합물 공급라인(110);과, 혼합물 공급라인의 연직 하방에서 층간 구분된 수개의 교반익(122)을 통해 시인성 도료와 글라스 비드의 1차 교반을 실시하기 위하여 컨트롤 박스(50) 측면에 고정되는 제1교반부(120);와, 제1교반부 연직 하방에서 베어링(130)을 매개로 결부되고 체결부(141)에 의한 벨트(183) 개재를 허용하여 회전 움직임이 유도됨에 따라 시인성 도료와 글라스 비드의 2차 교반을 실시하는 제2교반부(140);와, 제2교반부의 연직 하방에서 베어링(150)을 매개로 결부되고 시인성 도료와 글라스 비드 혼합물을 토출시키기 위하여 컨트롤 박스(50) 측면에 고정되는 토출구(160);와, 토출구의 하방에서 시인성 도료와 글라스 비드 혼합물을 차선에 분사시키는 분사팁(170);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차선의 시인성이 확보되는 차선도색장치{Traffic lane Apparatus}
본 발명은 차선의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한 차선도색장치에 관한 것으로, 시인성 도료와 글라스 비드 혼합물을 대상으로 하는 차선에 동시 분사 가능한 것은 물론 이러한 시인성 도료와 글라스 비드의 교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제반 구성을 채택함에 따라 시인성 안료 상에서의 글라스 비드 분포율을 고르게 편성하여 비드 고착의 우수함이 확보되게 하는 차선의 시인성이 확보되는 차선도색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도로의 차선(車線)은 자동차 도로에 주행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그어 놓은 선을 일컫는 것으로서, 포장도로(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에는 차량의 주행을 구획하는 중앙선과 차량의 주행 구간을 분리하기 위한 주행차선 및 차도와 보도를 구분하기 위한 보행선(이하 '차선'으로 통칭함) 등을 도색하게 된다.
차선은 운전자로 하여금 주행방향을 식별토록 하여 안전운행을 유도하는 기준선으로서 시각적으로 인지되는 시인성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러한 차선의 도색은 도료를 압축하여 분사하는 형태로 시공하는 방법과, 도료를 용융시켜서 노면에 흘려 융착하는 형태로 시공하는 방법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각 도로의 노면에 시공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차선 시공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차선 시공장치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특허청의 공고실용신안공보 제1657호(1995.03.11.)에는 대차 상에 페인트통과 이를 가열하기 위한 가스버너 및 가스통이 탑재된 융착식 차선 도색기에 있어서, 상기한 페인트통의 하부 일측에 설치된 게이트의 하측방으로 저류실을 형성하고, 이 저류실의 바닥 통로 상에 개폐판을 배치함과 아울러 상기한 개폐판의 일단부를, 중간부가 축에 의해 축 지지된 엘보우의 일단부로 축 이음하고, 상기한 엘보우의 타측 단장공에는 개폐손잡이에서 분지된 링크의 자유단부를 끼워 맞추고, 상기한 저류실의 일측방에 통상의 가스버너를 비치하여 구성됨에 따라 단시간에 용융된 페인트를 얻을 수 있게 하여 작업의 능률화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식 차선 도색기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청의 공개특허공보 제10704호(1999.02.18.)에는 대차에 손잡이 및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가이드봉이 설치되어 있으며, 도료용융탱크와 이를 가열하는 연료로서 가스통 및 반사체탱크가 설치되고, 상기 도료용융탱크에 설치되는 게이트를 통하여 흘러나오는 도료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의 하부에 도료살포부를 설치하고, 상기 도료살포부의 후방에 반사체살포부를 설치하여 구동부에 의하여 구동되는 융착식 차선 도색기에 있어서, 상기 도료살포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구동부에 따라 회전하는 브러쉬롤 및 공급롤에 의하여 요철이 있는 노면이나 평활하지 않는 노면에 도료를 분사시켜 도포함과 동시에 상기 도포된 도료위에 반사체살포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구동부에 따라 회전하는 한 쌍의 브러쉬롤에 의하여 반사체를 살포하여 상기 도료가 응고되기 전에 침적됨에 따라 고착율 및 반사효과가 양호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식 차선 도색기가 공지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 차선을 융착하는 시공만으로는 차선에 대한 운전자의 시야 확보가 주간주행에만 용이할 뿐 야간 주행시 차선이 잘 보이지 않아 사고를 일으킬 위험이 있으며, 이에 따라 야간이나 우천시에도 차선으로부터 차량의 주행을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도록 차량의 전조등 빛을 양호하게 반사시키는 빛 반사입자인 글라스 비드 입자를 차선시공시 도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예컨대 상기한 종래기술 중에서 공고실용신안공보 제1657호의 경우에는 단순히 차선의 융착 시공만이 가능하여 글라스비드를 도포하기 위한 별도의 도포장비를 통한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로우며 인건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가 있고, 반면 공개특허공보 제10704호의 경우에는 반사체를 브러쉬의 구동력에 의해서만 살포하여 도료 내에 침투시키는바 분포 내지 고착 정도에 있어 한계가 있다.
나아가 이러한 기존 기술사상으로는 글라스 비드의 교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없어 추후 시공시 비드 고착의 상태 불량은 물론 고르게 분포되지 못함에 기인하여 재귀반사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폐단을 초래한다.
공고실용신안공보 제1657호(1995.03.11.) 공개특허공보 제10704호(1999.02.18.)
본 발명은 위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시인성 도료와 글라스 비드를 서로 교반하여 대상 차선으로 동시 분사되게 하는 차선도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그리고 시인성 도료와 글라스 비드를 서로 교반함에 있어 그 교반 정도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회전 움직임이 구현될 수 있는 차선도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다른 해결 과제이다.
위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차선의 시인성이 확보되는 차선도색장치(1)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위 차선의 시인성이 확보되는 차선도색장치(1)는 에어 분사라인(11)과 연계 형성된 에어 분사유닛(10); 도색제 공급라인(21) 및 경화제 또는 세척제를 공급하는 첨가물 공급라인(22)과 연계 형성된 도료 분사유닛(20); 하나 이상의 비드 공급라인(101)과 개별 연계되면서 도색된 차선에 글라스 비드를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비드 분사유닛(100); 각 분사유닛을 운용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50); 컨트롤 박스 측면에서 에어 분사유닛, 도료 분사유닛, 비드 분사유닛의 순으로 정렬시키는 거치프레임(40);을 포함한다.
위 비드 분사유닛(100) 중 어느 하나는 시인성 도료를 공급하는 시인성 도료 공급라인(102)과 연계 형성되어 시인성 도료 및 글라스 비드가 서로 혼합된 상태로 분사되게 하는 것을 포함하고, 시인성 도료와 글라스 비드를 공급받는 혼합물 공급라인(110);과, 혼합물 공급라인의 연직 하방에서 층간 구분된 수개의 교반익(122)을 통해 시인성 도료와 글라스 비드의 1차 교반을 실시하기 위하여 컨트롤 박스(50) 측면에 고정되는 제1교반부(120);와, 제1교반부 연직 하방에서 베어링(130)을 매개로 결부되고 체결부(141)에 의한 벨트(183) 개재를 허용하여 회전 움직임이 유도됨에 따라 시인성 도료와 글라스 비드의 2차 교반을 실시하는 제2교반부(140);와, 제2교반부의 연직 하방에서 베어링(150)을 매개로 결부되고 시인성 도료와 글라스 비드 혼합물을 토출시키기 위하여 컨트롤 박스(50) 측면에 고정되는 토출구(160);와, 토출구의 하방에서 시인성 도료와 글라스 비드 혼합물을 차선에 분사시키는 분사팁(17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컨트롤 박스(50) 측면에 고정 체결되어 모터(180)를 수용하는 지지앵글(181);과, 모터 하방에 일체화되고 체결부(141)의 동일 수평선상으로 대응 형성시켜 벨트(183) 개재를 허용하는 회전부(182);를 포함한다.
특히 위 제2교반부(140)는 내부에서 다단으로 구분 배열되고 제1교반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시인성 도료와 글라스 비드 혼합물에 의해 상하 반전되면서 시인성 도료와 글라스 비드 혼합물의 믹싱 및 하향 이동을 유도하는 교반부재(147);를 포함한다.
아울러 위 교반부재(147)는 내부 공간의 수평 방향으로 횡단 배치되어 회전 움직임을 갖는 회전바(142);와, 내부 공간과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어 하향하는 시인성 도료와 글라스 비드 혼합물에 의해 간섭되면서 회전바를 기점으로 회전되는 원판(143);과, 원판 상에서 수개 구분하여 상하 관통됨에 따라 시인성 도료와 글라스 비드 혼합물의 하향 이동을 허용하는 유입홀(144);과, 원판 외주면에 반복 형성되어 내부 공간과의 유격을 발생시킴에 따라 시인성 도료와 글라스 비드 혼합물의 하향 이동을 허용하는 절개부(14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위 제1교반부(120) 및 토출구(160)는 컨트롤 박스(50) 측면에서 각각 지지프레임(190)에 의해 위치 구속시키되, 위 지지프레임(190)은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지지바(184)와 나사 결합되고, 위 지지바(184)는 지지프레임에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해당 양단이 제1교반부 및 토출구 외면에 형성된 각 걸림편(121,161)으로 개재되어 조임수단(185)을 통해 고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시인성 도료와 글라스 비드를 서로 충분히 교반한 상태에서 대상 차선으로 동시 분사되게 하므로 관련 장비의 설치 및 별도 작업이 필요치 않아 작업시간의 단축, 인건비용의 감축 등 작업상의 효율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통상 2개소로 구분하여 설치되는 비드 분사유닛 중 어느 하나를 채택하여 소정의 교반수단으로 활용하는바, 시인성 도료와 글라스 비드를 서로 교반하기 위한 해당 비드 분사유닛이 제1,2교반부의 순차적인 상호 작용 및 제2교반부의 독립적인 회전 행위를 구현하는 등 기존과 극히 차별된 구성으로 제공되어 교반 효율성을 극대화 유도함에 따라 시인성 도료 상에서의 글라스 비드 분포가 균일하게 되므로 더욱 효과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차선도색장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제1교반부의 관련 구성을 상세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요부인 제2교반부의 관련 구성을 상세 도시한 단면도.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차선도색장치의 사용 상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차선의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한 차선도색장치에 관하여 개시된다.
특히 본 발명은 시인성 도료와 글라스 비드 혼합물을 대상으로 하는 차선에 동시 분사 가능한 것은 물론 이러한 시인성 도료와 글라스 비드의 교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제반 구성을 채택함에 따라 시인성 안료 상에서의 글라스 비드 분포율을 고르게 편성하여 비드 고착의 우수함이 확보되게 하는 차선의 시인성이 확보되는 차선도색장치(1)에 관련됨을 주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차선도색장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제1교반부의 관련 구성을 상세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요부인 제2교반부의 관련 구성을 상세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차선도색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위 차선의 시인성이 확보되는 차선도색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분사라인(11)과 연계 형성된 에어 분사유닛(10); 도색제 공급라인(21) 및 경화제 또는 세척제를 공급하는 첨가물 공급라인(22)과 연계 형성된 도료 분사유닛(20); 하나 이상의 비드 공급라인(101)과 개별 연계되면서 도색된 차선에 글라스 비드를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비드 분사유닛(100); 각 분사유닛을 운용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50); 컨트롤 박스 측면에서 에어 분사유닛, 도료 분사유닛, 비드 분사유닛의 순으로 정렬시키는 거치프레임(40);을 포함한다.
무엇보다 위 비드 분사유닛(100) 중 어느 하나는 시인성 도료를 공급하는 시인성 도료 공급라인(102)과 연계 형성되어 시인성 도료 및 글라스 비드가 서로 혼합된 상태로 분사되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위 비드 분사유닛(100)은 시인성 도료와 글라스 비드를 공급받는 혼합물 공급라인(110);과, 혼합물 공급라인의 연직 하방에서 층간 구분된 수개의 교반익(122)을 통해 시인성 도료와 글라스 비드의 1차 교반을 실시하기 위하여 컨트롤 박스(50) 측면에 고정되는 제1교반부(120);와, 제1교반부 연직 하방에서 베어링(130)을 매개로 결부되고 체결부(141)에 의한 벨트(183) 개재를 허용하여 회전 움직임이 유도됨에 따라 시인성 도료와 글라스 비드의 2차 교반을 실시하는 제2교반부(140);와, 제2교반부의 연직 하방에서 베어링(150)을 매개로 결부되고 시인성 도료와 글라스 비드 혼합물을 토출시키기 위하여 컨트롤 박스(50) 측면에 고정되는 토출구(160);와, 토출구의 하방에서 시인성 도료와 글라스 비드 혼합물을 차선에 분사시키는 분사팁(170);으로 구성되는 것을 주된 특징으로 한다.
위 비드 분사유닛(100)은 시인성 도료와 글라스 비드를 서로 충분히 교반시켜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비드 분사유닛의 구성을 기존과 차별화시켜 제반 효과를 달성하고자 한다.
즉 기존 기술사상으로는 글라스 비드의 교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없어 추후 시공시 비드 고착의 상태 불량은 물론 고르게 분포되지 못함에 기인하여 재귀반사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폐단을 초래한다. 다시 말해서 종래에는 본 발명의 비드 분사유닛(100)과 같은 지속적이고 확실한 교반 수단이 제공되지 못하였을 뿐 아니라 글라스 비드를 시공하는 전 또는 후 단계에서 시인성 도료가 도포되는 구분된 작업으로 시행되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글라스 비드와 시인성 도료를 그 대상으로 하면서 자체 회전 움직임 및 상하 구분된 개소로 나누어진 개별 공간으로 하여금 순차적으로 글라스 비드와 시인성 도료를 혼합되게 하므로 종래 대비 더욱 차별화된다. 이와 관련한 보다 상세한 구성은 하기에서 도면과 함께 기술하기로 한다.
한편, 위 도색제 공급라인(21)은 백색 또는 황색으로 구분된 색상의 도색제를 수용하여 도색 작업시 차선 등에 해당 색상을 부여하고자 구비되는 구성요소로, 도색제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역류방지밸브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위 첨가물 공급라인(22)은 경화제 또는 세척제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각의 경화제 저장조 및 세척제 저장조로부터 연계 형성된 구성요소로, 해당 작업을 실시함에 있어 차선의 도색 작업시에는 경화제 저장조로부터 소정의 경화제를 유도 공급하는 역할이 수행되는 한편 도색 작업 후에는 도료 분사유닛(20)을 비롯한 제반 구성요소의 내부 세척을 위하여 세척제 저장조로부터 소정의 세척제가 유도 공급되는 역할이 병행된다.
위 에어 공급라인(11)은 컴프레셔로부터 기인하는 에어를 일정 수준의 압력으로 외부 배출함으로써 도색 작업이 요구되는 지면에 대해 이물질 등의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구성요소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에어 공급라인(11)을 에어 분사유닛(10)과 결부시킴에 따라 목적으로 하는 지점에 대한 보다 정확하고 균일한 에어 배출이 도모될 수 있도록 하고, 작업의 특성상 차량의 진행 방향을 기점으로 거치프레임(40)의 선단에 배치하여 소기의 목적을 달성한다.
이렇듯 제반 구성요소를 직렬로 배열한 구성은 차선도색과 관련한 모든 작업이 일괄적 또는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면서 에어, 도색제와 경화제 또는 세척제, 비드의 배출이 개별 실시되게 하기 위함으로, 주지한 것처럼 최초 도색 작업이 실시될 지면 영역에 대한 이물질 제거를 에어 분사유닛(10)에 의해 선행한 후, 연이어 도료 분사유닛(20)을 통한 도색제와 경화제의 혼합물 분사로 차선 도색이 이루어지게 하고, 이후 연속하여 비드 분사유닛(30)으로 하여금 글라스 비드를 도색이 이루어진 차선에 대해 살포함으로써 소정의 차선도색 작업이 완료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후, 또 하나의 비드 분사유닛(100)에서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바와 같이 시인성 도료와 글라스 비드가 적절히 혼합된 상태로 유지됨과 아울러 작업시 분사팁을 통해 교반된 상태 그대로 분사되게 한다.
위 혼합물 공급라인(110)은 도 1 내지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시인성 도료와 글라스 비드를 일괄적으로 공급받는 연결수단으로, 소정의 연결관(식별번호 없음)을 통해 제1교반부(120)의 상방에서 나사 결합된다.
위 제1교반부(120)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중공으로 형성되고 해당 내부 공간에 수개의 교반익(122)을 구분 형성하여 혼합물 공급라인으로부터 제공되는 시인성 도료와 글라스 비드를 우선적으로 교반한다.
이때 위 교반익(122)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는 시인성 도료와 글라스 비드에 간섭성을 극대화하기 위함으로, 도면과 같이 제1교반부 내면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기타 시인성 도료와 글라스 비드의 하향 이동을 보다 원활하게 유도하면서 간섭 정도를 보장하기 위해 제1교반부 내면을 기점으로 중앙에 이르는 경로가 하향되게 형성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교반 효율성의 극대화를 위하여 해당 교반익은 단순히 측 방향으로 전개된 형태이거나 상향 경사면 또는 상향으로 끝단이 절곡된 형태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시인성 도료와 글라스 비드는 의도치 않게 회전 내지 와류 발생이 유도됨에 따라 교반의 극대화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시인성 도료와 글라스 비드의 와류 현상은 단순히 교반익(122)에 간섭되면서 충돌을 일으키는 수준이 아니라 형상적 특성에 기인하여 연직 하방으로 곧장 수직 낙하하지 않고 짧은 시간 해당 수평선상 또는 보다 상향된 위치에 머무르게 되면서 시인성 도료와 글라스 비드의 혼합시간을 더욱 연장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위 제2교반부(140)는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하는 제반 요소로, 제1교반부(120)와 토출구(160) 상간에서 각각 베어링(130,150)을 매개로 회전 움직임이 유발되고, 이때 회전 움직임은 제2교반부 외면에 형성된 체결부(141)를 비롯하여 지지앵글(181)에 구속된 모터(180) 및 회전부(182)를 통해 벨트의 체결로써 구현될 수 있다.
즉 벨트(183)를 수단으로 제2교반부(140)는 제1교반부(120)와 별도로 회전되는바, 제1교반부에 의해 적정하게 혼합된 글라스 비드와 시인성 도료 혼합물이 재차 수직으로 제2교반부에 공급되고, 이때 글라스 비드와 시인성 도료의 혼합물은 제2교반부 내부에서 회전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교반된다.
이러한 구성은 글라스 비드와 시인성 도료가 자체 보유한 비중 내지 물성에 기초한 것으로, 시인성 도료 상에서 글라스 비드가 충분히 교반되어 고르게 분포될 필요성에 따라 토출구(160) 및 분사팁(170)을 통해 분사되기 직전까지 글라스 비드와 시인성 도료 혼합물의 교반이 실행되게 한 것이다. 이 또한 원활한 배출을 위하여 상하 방향으로 입설 배치되는 제1,2교반부(120,140)의 특성을 반영한 것인데, 상하 배치로 인하여 글라스 비드와 시인성 도료가 충분히 섞이지 않은 상태로 쉽게 하향 이동되지 않도록 제2교반부(140)에 회전력을 부여함과 동시에 소정의 교반부재(147)가 내부 공간에 수개 형성된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컨트롤 박스(50) 측면에 고정 체결되어 모터(180)를 수용하는 지지앵글(181);과, 모터 하방에 일체화되고 체결부(141)의 동일 수평선상으로 대응 형성시켜 벨트(183) 개재를 허용하는 회전부(182);를 포함한다.
특히 위 제2교반부(140)는 내부에서 다단으로 구분 배열되고 제1교반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시인성 도료와 글라스 비드 혼합물에 의해 상하 반전되면서 시인성 도료와 글라스 비드 혼합물의 믹싱 및 하향 이동을 유도하는 교반부재(147);를 포함한다.
위 교반부재(147)는 내부 공간의 수평 방향으로 횡단 배치되어 회전 움직임을 갖는 회전바(142);와, 내부 공간과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어 하향하는 시인성 도료와 글라스 비드 혼합물에 의해 간섭되면서 회전바를 기점으로 회전되는 원판(143);과, 원판 상에서 수개 구분하여 상하 관통됨에 따라 시인성 도료와 글라스 비드 혼합물의 하향 이동을 허용하는 유입홀(144);과, 원판 외주면에 반복 형성되어 내부 공간과의 유격을 발생시킴에 따라 시인성 도료와 글라스 비드 혼합물의 하향 이동을 허용하는 절개부(14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제2교반부(140) 및 교반부재(147)의 구성은 제1교반부(120)와 동일 유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함으로, 해당 시인성 도료와 글라스 비드가 연직 하방으로 곧장 수직 낙하하지 않고 원판에 의해 반복적으로 간섭받음에 따라 짧은 시간 해당 수평선상 위치에 머무르게 되면서 시인성 도료와 글라스 비드의 혼합시간을 더욱 연장되게 한다.
위 원판(143)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글라스 비드와 시인성 도료의 하향 속도를 늦추면서 서로 교반되게 하는 요부인바, 시인성 도료와 글라스 비드가 과도하게 체류되지 않도록 유입홀(144) 및 절개부(145)를 부가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엇보다 위 원판 상에 천공되는 수개의 유입홀(144)은 서로 상하 이웃하는 타 원판의 유입홀 위치를 고려하여 서로 동일 수직선상에 배치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즉 유입홀과 유입홀이 동일 수직선상에 배열되면 시인성 도료와 글라스 비드의 하향이 예기치 않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원판의 유입홀은 타 원판의 유입홀 위치와 동일하지 않게 교번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위 절개면(145) 역시 유입홀과 동일한 이유로 상하 이웃하는 타 절개면과 일치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시인성 도료와 글라스 비드의 과도한 체류를 방지함과 아울러 하향 속도를 완화시켜 교반 효율성이 증대되게 한다. 이러한 절개면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것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위 제1교반부(120) 및 토출구(160)는 컨트롤 박스(50) 측면에서 각각 지지프레임(190)에 의해 위치 구속되게 한다.
이러한 구성은 제2교반부의 회전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면서 시인성 도료 및 글라스 비드의 공급과 배출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기 위함이고, 위 지지프레임(190)은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지지바(184)와 나사 결합되는 한편, 위 지지바(184)는 지지프레임에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해당 양단이 제1교반부 및 토출구 외면에 형성된 각 걸림편(121,161)으로 개재되어 조임수단(185)을 통해 고정된다.
결과적으로 지지바(184)의 나사산으로 하여금 지지프레임(190) 및 걸림편(121,161)과 일괄 체결될 수 있으며, 이는 곧 작업 환경에 따라 제1,2교반부(120,140)의 승강을 지지바로 인해 실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시인성 도료와 글라스 비드를 서로 충분히 교반한 상태에서 대상 차선으로 동시 분사되게 하므로 관련 장비의 설치 및 별도 작업이 필요치 않아 작업시간의 단축, 인건비용의 감축 등 작업상의 효율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통상 2개소로 구분하여 설치되는 비드 분사유닛 중 어느 하나를 채택하여 소정의 교반수단으로 활용하는바, 시인성 도료와 글라스 비드를 서로 교반하기 위한 해당 비드 분사유닛이 제1,2교반부의 순차적인 상호 작용 및 제2교반부의 독립적인 회전 행위를 구현하는 등 기존과 극히 차별된 구성으로 제공되어 교반 효율성을 극대화 유도함에 따라 시인성 도료 상에서의 글라스 비드 분포가 균일하게 되므로 더욱 효과적이다.
1. 차선도색장치
100. 비드 분사유닛
110. 혼합물 공급라인
120. 제1교반부
130,150. 베어링
140. 제2교반부
160. 토출구
170. 분사팁
180. 모터
183. 벨트
190. 지지프레임

Claims (3)

  1. 에어 분사라인(11)과 연계 형성된 에어 분사유닛(10); 도색제 공급라인(21) 및 경화제 또는 세척제를 공급하는 첨가물 공급라인(22)과 연계 형성된 도료 분사유닛(20); 하나 이상의 비드 공급라인(101)과 개별 연계되면서 도색된 차선에 글라스 비드를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비드 분사유닛(100); 각 분사유닛을 운용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50); 컨트롤 박스 측면에서 에어 분사유닛, 도료 분사유닛, 비드 분사유닛의 순으로 정렬시키는 거치프레임(40);을 포함하는 차선도색장치에 있어서,
    위 비드 분사유닛(100) 중 어느 하나는 시인성 도료를 공급하는 시인성 도료 공급라인(102)과 연계 형성되어 시인성 도료 및 글라스 비드가 서로 혼합된 상태로 분사되게 하는 것을 포함하고, 시인성 도료와 글라스 비드를 공급받는 혼합물 공급라인(110);과, 혼합물 공급라인의 연직 하방에서 층간 구분된 수개의 교반익(122)을 통해 시인성 도료와 글라스 비드의 1차 교반을 실시하기 위하여 컨트롤 박스(50) 측면에 고정되는 제1교반부(120);와, 제1교반부 연직 하방에서 베어링(130)을 매개로 결부되고 체결부(141)에 의한 벨트(183) 개재를 허용하여 회전 움직임이 유도됨에 따라 시인성 도료와 글라스 비드의 2차 교반을 실시하는 제2교반부(140);와, 제2교반부의 연직 하방에서 베어링(150)을 매개로 결부되고 시인성 도료와 글라스 비드 혼합물을 토출시키기 위하여 컨트롤 박스(50) 측면에 고정되는 토출구(160);와, 토출구의 하방에서 시인성 도료와 글라스 비드 혼합물을 차선에 분사시키는 분사팁(17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의 시인성이 확보되는 차선도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위 컨트롤 박스(50) 측면에 고정 체결되어 모터(180)를 수용하는 지지앵글(181);과, 모터 하방에 일체화되고 체결부(141)의 동일 수평선상으로 대응 형성시켜 벨트(183) 개재를 허용하는 회전부(182);를 포함하고,
    위 제2교반부(140)는 내부에서 다단으로 구분 배열되고 제1교반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시인성 도료와 글라스 비드 혼합물에 의해 상하 반전되면서 시인성 도료와 글라스 비드 혼합물의 믹싱 및 하향 이동을 유도하는 교반부재(147);를 포함하되,
    위 교반부재(147)는 내부 공간의 수평 방향으로 횡단 배치되어 회전 움직임을 갖는 회전바(142);와, 내부 공간과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어 하향하는 시인성 도료와 글라스 비드 혼합물에 의해 간섭되면서 회전바를 기점으로 회전되는 원판(143);과, 원판 상에서 수개 구분하여 상하 관통됨에 따라 시인성 도료와 글라스 비드 혼합물의 하향 이동을 허용하는 유입홀(144);과, 원판 외주면에 반복 형성되어 내부 공간과의 유격을 발생시킴에 따라 시인성 도료와 글라스 비드 혼합물의 하향 이동을 허용하는 절개부(14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의 시인성이 확보되는 차선도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위 제1교반부(120) 및 토출구(160)는 컨트롤 박스(50) 측면에서 각각 지지프레임(190)에 의해 위치 구속시키되,
    위 지지프레임(190)은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지지바(184)와 나사 결합되고,
    위 지지바(184)는 지지프레임에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해당 양단이 제1교반부 및 토출구 외면에 형성된 각 걸림편(121,161)으로 개재되어 조임수단(185)을 통해 고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의 시인성이 확보되는 차선도색장치.
KR1020160086310A 2016-07-07 2016-07-07 차선의 시인성이 확보되는 차선도색장치 KR101660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310A KR101660213B1 (ko) 2016-07-07 2016-07-07 차선의 시인성이 확보되는 차선도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310A KR101660213B1 (ko) 2016-07-07 2016-07-07 차선의 시인성이 확보되는 차선도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0213B1 true KR101660213B1 (ko) 2016-09-26

Family

ID=57068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6310A KR101660213B1 (ko) 2016-07-07 2016-07-07 차선의 시인성이 확보되는 차선도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02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86125A (zh) * 2017-11-23 2018-05-29 深圳市晟祥知识产权有限公司 一种市政马路交通标线喷涂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3923A (en) * 1990-11-27 1993-04-20 Research Derivatives, Inc. Apparatus for painting highway markings
KR20030058930A (ko) * 2001-12-31 2003-07-07 최장선 차선도색차량
KR101554450B1 (ko) * 2015-02-06 2015-09-18 유한회사 코리아건설 이액형 도료의 혼합기능이 부여되는 차선도색분사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3923A (en) * 1990-11-27 1993-04-20 Research Derivatives, Inc. Apparatus for painting highway markings
KR20030058930A (ko) * 2001-12-31 2003-07-07 최장선 차선도색차량
KR101554450B1 (ko) * 2015-02-06 2015-09-18 유한회사 코리아건설 이액형 도료의 혼합기능이 부여되는 차선도색분사기기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제10704호(1999.02.18.)
공고실용신안공보 제1657호(1995.03.11.)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86125A (zh) * 2017-11-23 2018-05-29 深圳市晟祥知识产权有限公司 一种市政马路交通标线喷涂装置
CN108086125B (zh) * 2017-11-23 2019-08-06 中铁上海工程局集团有限公司 一种市政马路交通标线喷涂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5002B1 (ko) 스프레드 노즐 선택이 가능한 복합식 차선 시공장치
KR101443857B1 (ko) 이액형 차선 도색 장치 및 이액형 물질을 이용한 시공방법
KR101709545B1 (ko) 차선도료 균일 토출용 디퓨저 노즐
KR100895652B1 (ko) 차선과 차선 도색 방법 및 차량용 차선 도색 장치
KR20190007592A (ko) 차선 자동 도색장치
KR101660213B1 (ko) 차선의 시인성이 확보되는 차선도색장치
KR20100073465A (ko)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돌출형 차선 도색장치
KR100817609B1 (ko) 차량용 차선 도색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차선 도색 방법
KR101252655B1 (ko) 돌출차선표시용 시공장치
KR101368458B1 (ko) 차선 폭을 일정하게 도색 할 수 있는 차선 도색 장치 및 방법
KR101329801B1 (ko) 반자동식 차선 도색장치
KR101493778B1 (ko) 스프레드 노즐형 차선 시공장치
KR101392886B1 (ko)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
KR102116032B1 (ko) 스프레드차선 및 돌출차선 복합 시공 시스템
KR101133570B1 (ko) 선명도를 향상시킨 차선 및 상기 선명도를 향상시킨 차선의 스프레이 융착식 선명도향상차선 도색장치와 선명도향상차선 도색방법
KR101473169B1 (ko) 이액형 차선 도색장치
KR101112778B1 (ko) 비드분사각 조절용 반사갓을 구비한 차선도포기
KR20130059955A (ko) 차선 도색장치
KR101554450B1 (ko) 이액형 도료의 혼합기능이 부여되는 차선도색분사기기
KR101252657B1 (ko) 돌출형 차선 시공장치
KR101383163B1 (ko) 도로 주행차선이 선명하게 부각되게 하는 분사구조를 갖는 도색차량의 차선도색장치 및 차선도색공법
KR20190051449A (ko) 차선 도색용 분사장비
KR101487932B1 (ko) 이액형 차선 도색 방법
KR102140946B1 (ko) 디퓨저 홀이 형성된 차선시공용 스프레이 노즐
KR101578547B1 (ko) 친환경 세척, 부착물 제거 및 페인트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