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2821B1 - 고압 미분무수 화재 진압 건 - Google Patents
고압 미분무수 화재 진압 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52821B1 KR101952821B1 KR1020170115609A KR20170115609A KR101952821B1 KR 101952821 B1 KR101952821 B1 KR 101952821B1 KR 1020170115609 A KR1020170115609 A KR 1020170115609A KR 20170115609 A KR20170115609 A KR 20170115609A KR 101952821 B1 KR101952821 B1 KR 1019528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flector
- holder
- fire
- gun
- inje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7/00—Hand fire-extinguishers essentially in the form of pistols or rif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 B05B3/08—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in association with stationary outlet or deflecting elements
- B05B3/08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in association with stationary outlet or deflecting elements the spraying being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 B05B3/085—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in association with stationary outlet or deflecting elements the spraying being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in association with sectorial deflectors
- B05B3/087—Spray guns comprising this arrang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 미분무수 화재 진압 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기 다른 디플렉터를 사용하여 분사 패턴을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플렉터홀더를 회전시켜 구경이 다른 디플렉터를 노즐에 위치하도록 조정하여 고압의 미분무수를 방사함으로써 먼 거리에서도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개선된 고압 미분무수 화재 진압 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압 미분무수 화재 진압 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기 다른 디플렉터를 사용하여 분사 패턴을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플렉터홀더를 회전시켜 구경이 다른 디플렉터를 노즐에 위치하도록 조정하여 고압의 미분무수를 방사함으로써 먼 거리에서도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개선된 고압 미분무수 화재 진압 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가 발생되면 먼저 소방서에 전화를 하고 이후 구비된 소화기에 충진된 약제를 화염에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하거나 또는 옥내소화전에 호스를 연결하여 물을 화염에 분사함으로써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대개 화재가 발생되면 당황하게 되고 당황함에 따라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지 못하기도 하며 B급화재(유류화재)에 옥내소화전의 봉상주수로 화재를 진압하다보면 화재가 급속도로 번지게 되며 이에 따라 화재진압자들에 의한 화재의 진압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때, 화재진압자들은 화재가 발생된 장소와 근접되게 위치하여 소화수나 소화약제를 화염측으로 분사함으로써 화재를 진압하고 있으나, 화재진압자들이 소화수나 소화약제를 분사하기 위해서는 1명은 밸브개방을 하고 다른 1명은 무거운 관창을 들고 화재발생지역까지 운반한 다음, 관창과 연결된 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소화수나 소화약제를 화염에 분사하기 때문에, 화재진압자들이 빠르게 지치게 되는 문제점과, 2명 이상의 인원이 소화를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소화전이나 또는 소화설비와 연결되어 소화수나 소화약제를 관창측으로 공급하는 호스를 통해 소화수나 소화약제를 분사하는 관창이 단순한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관창을 개폐하는 밸브만이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화재진압자가 관창을 화염에 근접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밸브를 개방할 때 소화수나 소화약제가 고압으로 토출되기 때문에 고압의 분사력에 의해 관창이 심하게 요동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요동치는 관창을 제대로 잡고 있지 않으면 관창에 화재를 진압하는 화재진압자가 부딪히게 되어 상해를 입게 되는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으며, 화재진압자들이 요동치는 관창을 잡은 상태에서 화재를 진압함에 따라 화염에 대한 소화수나 소화약제의 정밀한 분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종래 관창의 경우에는 소화수나 소화약제를 화염에 직접 분사하거나 또는 확산분사 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화염으로부터 방출되는 복사열을 그대로 화재진압자가 받게 되어 복사열에 의한 화상을 입게 되는 또 다른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소화수나 소화약제를 분사하는 노즐체에 직분사노즐부와 제1분사노즐 및 제2분사노즐을 각각 구비하여 직분사노즐부를 통해 소화수 또는 소화약제가 직분사로 분사되도록 하고, 제1분사노즐과 제2분사노즐을 통해 소화수나 소화약제가 넓게 확산되어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화염에 근접하여 소화수나 소화약제를 분사하는 화재진압자들이 화염의 복사열에 의해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분사조절구를 간단하게 구성하여 사용성 향상을 도모하며, 간단한 구성에 의해 생산단가가 올라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화재현장여건에 따라 노즐체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소화용 워터 미스트건이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미스트건은 분사각도는 물론 분사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 없어 화재진압시 많은 불편이 따랐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각기 다른 디플렉터를 사용하여 분사 패턴을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플렉터홀더를 회전시켜 구경이 다른 디플렉터를 노즐에 위치하도록 조정하여 고압의 미분무수를 방사함으로써 먼 거리에서도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개선된 고압 미분무수 화재 진압 건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소화수를 공급을 단속(斷續)하는 방아쇠(110)를 갖춘 건본체(100); 상기 건본체(100)의 소화수 배출단에 접속된 분사유닛(200);을 포함하는 고압 미분무수 화재 진압 건에 있어서;
상기 분사유닛(200)은 상기 건본체(100)의 소화수 배출단과 접속되며, 내부에 제1소화수유로(L1)가 형성된 유닛본체(210); 상기 유닛본체(210)의 상면에 고정되고, 둘레 일부에는 상기 제1소화수유로(L1)와 연통되는 분사구(222)가 형성된 홀더베이스(220); 상기 홀더베이스(220)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디플렉터홀더(300); 상기 디플렉터홀더(300)의 둘레면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서로 다른 굵기를 갖고 적어도 하나는 상기 분사구(222)와 간격을 두고 분사구(222)의 원중심과 일치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디플렉터(400);를 포함하고,
상기 디플렉터(400)는 탈착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디플렉터(400)가 설치된 디플렉터홀더(300)의 직하면에는 볼홈(410)이 요입형성되며; 상기 홀더베이스(220) 및 유닛본체(210)에는 스프링홈(420)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홈(420)에는 스프링(430)이 장입되며; 상기 스프링(430)의 상단에 스토퍼볼(440)이 배치되어, 상기 디플렉터홀더(300) 회전시 스토퍼볼(420)이 볼홈(410)에 걸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미분무수 화재 진압 건을 제공한다.
상기 분사유닛(200)은 상기 건본체(100)의 소화수 배출단과 접속되며, 내부에 제1소화수유로(L1)가 형성된 유닛본체(210); 상기 유닛본체(210)의 상면에 고정되고, 둘레 일부에는 상기 제1소화수유로(L1)와 연통되는 분사구(222)가 형성된 홀더베이스(220); 상기 홀더베이스(220)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디플렉터홀더(300); 상기 디플렉터홀더(300)의 둘레면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서로 다른 굵기를 갖고 적어도 하나는 상기 분사구(222)와 간격을 두고 분사구(222)의 원중심과 일치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디플렉터(400);를 포함하고,
상기 디플렉터(400)는 탈착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디플렉터(400)가 설치된 디플렉터홀더(300)의 직하면에는 볼홈(410)이 요입형성되며; 상기 홀더베이스(220) 및 유닛본체(210)에는 스프링홈(420)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홈(420)에는 스프링(430)이 장입되며; 상기 스프링(430)의 상단에 스토퍼볼(440)이 배치되어, 상기 디플렉터홀더(300) 회전시 스토퍼볼(420)이 볼홈(410)에 걸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미분무수 화재 진압 건을 제공한다.
삭제
또한, 상기 홀더베이스(220)의 둘레 일측에는 분사구(222) 앞에 설치된 디플렉터를 제외한 나머지 디플렉터(400)들을 보호하도록 반원통 형상의 디플렉터커버(500)가 더 구비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기 다른 디플렉터를 사용하여 분사 패턴을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플렉터홀더를 회전시켜 구경이 다른 디플렉터를 노즐에 위치하도록 조정하여 고압의 미분무수를 방사함으로써 먼 거리에서도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압 미분무수 화재 진압 건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분사유닛의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분사유닛의 예시적인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분사유닛의 예시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분사유닛의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분사유닛의 예시적인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분사유닛의 예시적인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압 미분무수 화재 진압 건은 건본체(Gun Body)(100)를 포함한다.
상기 건본체(100)는 총과 같은 형상을 하고 있으며, 방아쇠(110)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방아쇠(110)는 개폐밸브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방아쇠(110)를 당기면 밸브가 열리고, 방아쇠(110)를 놓으면 밸브가 닫히는 공지된 구조 이루어진다.
따라서, 방아쇠(110)의 밸브 개폐 구조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건본체(100)의 하단에는 소화수를 공급하는 호스와 연결하기 위한 호스연결구(120)가 구비되고, 상기 건본체(100)의 상단에는 분사유닛(200)과 연결되는 분사유닛연결구(130)가 구비된다.
때문에, 상기 방아쇠(110)에 의해 밸브 개폐기능은 호스연결구(120)를 통해 건본체(100)로 유입된 소화수를 상기 분사유닛연결구(130)로 단속(斷續)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분사유닛(20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사유닛연결구(130)에 연결되는 유닛본체(21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유닛본체(210)에는 상기 분사유닛연결구(130)와 접속되는 소켓(SOC)이 고정되고, 상기 소켓(SOC)과 연통되는 제1소화수분사유로(L1)가 수평으로 연장된 후 수직상방으로 절곡되어 유닛본체(210)의 상면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유닛본체(210)의 상면에는 홀더베이스(220)가 고정되는데, 상기 홀더베이스(220)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제1소화수분사유로(L1)와 연통되도록 제2소화수분사유로(L2)가 수직연장된 후 다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홀더베이스(220)의 측방, 즉 둘레면 일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2소화수분사유로(L2)의 수평절곡된 단부를 분사구(222)라 칭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홀더베이스(220)의 상면에는 두께를 갖는 디스크 형상의 디플렉터홀더(300)가 안착되며, 상기 디플렉터홀더(300)의 원중심에는 회전축(310)이 고정되어 상기 홀더베이스(220)에 대해 디플렉터홀더(300)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회전축(310)의 하단은 상기 홀더베이스(220)를 관통하여 유닛본체(210)에 나사고정된다.
이때, 유닛본체(210)에 나사고정되는 부분에만 나사산이 형성되고 나머지 길이에는 나사산이 없는 민자부로 형성되어 상기 디플렉터홀더(300)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물론, 상기 회전축(310)은 나사 고정식이 아닌 유닛본체(210)에서 일체로 돌출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디플렉터홀더(300)를 관통한 회전축(310)의 상단에는 너트(N)가 체결되는데, 상기 너트(N)는 꽉 조여지는 것이 아니라 느슨하게 조여져 상기 디플렉터홀더(300)가 분리이탈되지 않게 잡아주기만 하면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디플렉터홀더(300)가 회전하는데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아울러, 상기 디플레턱홀더(300)의 둘레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바람직하게는 90°간격을 두고 4개의 서로 다른 굵기(직경)를 갖는 디플렉터(400)가 고정된다.
상기 디플렉터(400)는 갈고리 형태를 가지며, 직경이 서로 다르게 구성되는데, 이를 통해 분사되는 소화수의 분사각도 및 분사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디플렉터(400)의 일단은 상기 디플렉터홀더(300)에 끼워진 다음 볼트공(BTH)에 체결되는 볼트(미도시)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이므로 얼마든지 다른 굵기의 디플렉터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디플렉터(400)의 비고정단, 즉 자유단은 분사구(222) 앞에 위치되었을 때 항상 분사구(222)의 원중심과 일정거리를 두고 배치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디플렉터(4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갈고리 형상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디플렉터(400)의 굵기가 굵은 것일 때에는 분사구(222)를 통해 분출되는 소화수의 각도가 커지면서 넓은 반경으로 퍼지게 분사되고, 디플렉터(400)의 굵기가 얇은 것일 때에는 소화수의 각도가 작아지면서 좁은 반경으로 퍼지게 분사되므로 이러한 디플렉터(400)를 회전시켜 화재 현장에 맞는 디플렉터를 배치시킨 상태에서 소화수를 분사하게 되면 원하는 각도와 거리 조절을 쉽게 할 수 있어 사용상 편리하고, 소화 효과도 높일 수 있으며, 안전거리 유지가 가능하여 안전에도 도움을 준다.
특히, 상기 디플렉터(400)를 회전시킬 때 디플렉터홀더(300)가 너무 쉽게 회전되면 분무중 회전될 수도 있고, 조절하기가 쉽지 않게 된다.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디플렉터홀더(300)의 디플렉터(400)가 설치된 지점 직하면에 볼홈(410)을 요입 형성하고, 상기 홀더베이스(220) 및 유닛본체(210)에는 스프링홈(420)을 형성하며, 상기 스프링홈(420)에는 스프링(430)을 장입시키고, 상기 스프링(430)의 상단에 스토퍼볼(440)을 배치시켜 디플렉터홀더(300) 회전시 스토퍼볼(420)이 볼홈(410)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상당한 힘이 가해졌을 때만 회전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조작의 안전성과 편리성을 모두 달성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더욱 좋다.
뿐만 아니라, 상기 홀더베이스(220)의 둘레 일측에는 사용하지 않고 대기중인 디플렉터(400)들을 보호하도록 반원통 형상의 디플렉터커버(5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플렉터커버(500)는 건본체(100)를 들고 화재를 진압할 때 불측의 간섭체에 의해 디플렉터(400)가 파손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으로, 이를 통해 안전성이 더욱 강화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압 미분무수 화재 진압 건은 화재현장에서 소화수를 분무할 때 소화수 줄기를 원추형상으로 분산시켜 무화시키는 디플렉터(400)를 다양한 굵기로 하여 이를 선택하게 함으로써 분무거리와 분무각도를 쉽고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어 화재 진압 효율을 높이고, 사용상 편리성도 증진시키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100: 건본체
200: 분사유닛
300: 디플렉터홀더
400: 디플렉터
500: 디플렉터커버
200: 분사유닛
300: 디플렉터홀더
400: 디플렉터
500: 디플렉터커버
Claims (3)
- 삭제
- 소화수를 공급을 단속(斷續)하는 방아쇠(110)를 갖춘 건본체(100); 상기 건본체(100)의 소화수 배출단에 접속된 분사유닛(200);을 포함하는 고압 미분무수 화재 진압 건에 있어서;
상기 분사유닛(200)은 상기 건본체(100)의 소화수 배출단과 접속되며, 내부에 제1소화수유로(L1)가 형성된 유닛본체(210); 상기 유닛본체(210)의 상면에 고정되고, 둘레 일부에는 상기 제1소화수유로(L1)와 연통되는 분사구(222)가 형성된 홀더베이스(220); 상기 홀더베이스(220)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디플렉터홀더(300); 상기 디플렉터홀더(300)의 둘레면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서로 다른 굵기를 갖고 적어도 하나는 상기 분사구(222)와 간격을 두고 분사구(222)의 원중심과 일치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디플렉터(400);를 포함하고,
상기 디플렉터(400)는 탈착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디플렉터(400)가 설치된 디플렉터홀더(300)의 직하면에는 볼홈(410)이 요입형성되며; 상기 홀더베이스(220) 및 유닛본체(210)에는 스프링홈(420)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홈(420)에는 스프링(430)이 장입되며; 상기 스프링(430)의 상단에 스토퍼볼(440)이 배치되어, 상기 디플렉터홀더(300) 회전시 스토퍼볼(420)이 볼홈(410)에 걸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미분무수 화재 진압 건.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홀더베이스(220)의 둘레 일측에는 분사구(222) 앞에 설치된 디플렉터를 제외한 나머지 디플렉터(400)들을 보호하도록 반원통 형상의 디플렉터커버(50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미분무수 화재 진압 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15609A KR101952821B1 (ko) | 2017-09-11 | 2017-09-11 | 고압 미분무수 화재 진압 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15609A KR101952821B1 (ko) | 2017-09-11 | 2017-09-11 | 고압 미분무수 화재 진압 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52821B1 true KR101952821B1 (ko) | 2019-02-28 |
Family
ID=65584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15609A KR101952821B1 (ko) | 2017-09-11 | 2017-09-11 | 고압 미분무수 화재 진압 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52821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34900B1 (ko) | 2020-08-26 | 2021-04-01 | 주식회사 파이어시스 | 화재 진압용 고압 소화건 |
CN114210006A (zh) * | 2021-12-08 | 2022-03-22 | 浙江瑞利工程有限公司 | 一种大型智能检测和灭火的消防水枪头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556657U (ko) * | 1978-08-09 | 1980-04-17 | ||
JPH06226148A (ja) * | 1993-02-02 | 1994-08-16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霧化ノズル |
JP2001252370A (ja) * | 2000-03-14 | 2001-09-18 | Nohmi Bosai Ltd | 可変噴霧ノズル |
US20020079381A1 (en) * | 2000-06-08 | 2002-06-27 | Smith Martin E. | Hose sprayer assembly |
KR101112778B1 (ko) * | 2010-03-24 | 2012-03-13 | 주식회사 진산기계 | 비드분사각 조절용 반사갓을 구비한 차선도포기 |
KR101216022B1 (ko) | 2012-04-30 | 2012-12-27 | 주식회사 플러스이엔지 | 소화용 워터 미스트건 |
JP2013085713A (ja) * | 2011-10-18 | 2013-05-13 | Chuo Rika Kogyo Kk | 消火用ノズル装置 |
-
2017
- 2017-09-11 KR KR1020170115609A patent/KR10195282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556657U (ko) * | 1978-08-09 | 1980-04-17 | ||
JPH06226148A (ja) * | 1993-02-02 | 1994-08-16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霧化ノズル |
JP2001252370A (ja) * | 2000-03-14 | 2001-09-18 | Nohmi Bosai Ltd | 可変噴霧ノズル |
US20020079381A1 (en) * | 2000-06-08 | 2002-06-27 | Smith Martin E. | Hose sprayer assembly |
KR101112778B1 (ko) * | 2010-03-24 | 2012-03-13 | 주식회사 진산기계 | 비드분사각 조절용 반사갓을 구비한 차선도포기 |
JP2013085713A (ja) * | 2011-10-18 | 2013-05-13 | Chuo Rika Kogyo Kk | 消火用ノズル装置 |
KR101216022B1 (ko) | 2012-04-30 | 2012-12-27 | 주식회사 플러스이엔지 | 소화용 워터 미스트건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34900B1 (ko) | 2020-08-26 | 2021-04-01 | 주식회사 파이어시스 | 화재 진압용 고압 소화건 |
CN114210006A (zh) * | 2021-12-08 | 2022-03-22 | 浙江瑞利工程有限公司 | 一种大型智能检测和灭火的消防水枪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256667B (zh) | 喷头 | |
KR101952821B1 (ko) | 고압 미분무수 화재 진압 건 | |
KR101693765B1 (ko) | 소방노즐 | |
US4801090A (en) | Discharge pipe and discharge apparatus using the same | |
KR100791937B1 (ko) | 소방용 미분무 및 분사노즐 | |
KR100709382B1 (ko) | 소방용 관창 | |
KR101662590B1 (ko) |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 | |
EP0052935A1 (en) | Nozzle having a deflector for pressurized fire-suppression fluid | |
US20200222736A1 (en) | Fog-cloud generating nozzle | |
KR102234900B1 (ko) | 화재 진압용 고압 소화건 | |
KR101216022B1 (ko) | 소화용 워터 미스트건 | |
CA2180561C (en) | Nozzle for spreading water fog | |
KR100751526B1 (ko) | 직사와 미분사 겸용 소화장치 | |
KR102533980B1 (ko) | 소방 방제용 산불진화 살수 분무기 | |
CN211273288U (zh) | 一种安全型消防喷头 | |
KR101353445B1 (ko) | 미스트 분무 기능을 갖는 화재진화용 관창 | |
WO1998004322A1 (en) | Fire suppression mist nozzle arrangement | |
KR101713236B1 (ko) | 소방 분사장치와 시스템 | |
KR200452092Y1 (ko) | 분사각 조절이 가능한 소방용 분사장치 | |
KR101045660B1 (ko) | 화재진압용 소방장치 | |
USRE21469E (en) | Jet pipe for | |
JP2869037B2 (ja) | 散水装置及び散水装置用部材 | |
RU2616883C1 (ru) | Спринклерный ороситель ходаковой | |
RU2646726C2 (ru) | Дренчерная систем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 |
KR20160137193A (ko) | 소방용 관창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