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1053B1 - 2액형 도료 차선도색장치 - Google Patents

2액형 도료 차선도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1053B1
KR101931053B1 KR1020180048437A KR20180048437A KR101931053B1 KR 101931053 B1 KR101931053 B1 KR 101931053B1 KR 1020180048437 A KR1020180048437 A KR 1020180048437A KR 20180048437 A KR20180048437 A KR 20180048437A KR 101931053 B1 KR101931053 B1 KR 101931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iston
air
piston rod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8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규
Original Assignee
김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규 filed Critical 김영규
Priority to KR1020180048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10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 E01C23/20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by applying fusible particulate material to the surface, e.g. by means of a gaseous str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05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mounted on vehicles or designed to apply a liquid on a very large surface, e.g. on the road, on the surface of lar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093At least a part of the apparatus, e.g. a container, being provided with means, e.g. wheels or casters for allowing its displacement relative to the gr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8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separate outlet orifices, e.g. to form parallel jets, i.e. the axis of the jets being parallel, to form intersecting jets, i.e. the axis of the jets converging but not necessarily intersecting at a point
    • B05B7/0807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separate outlet orifices, e.g. to form parallel jets, i.e. the axis of the jets being parallel, to form intersecting jets, i.e. the axis of the jets converging but not necessarily intersecting at a point to form intersecting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1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7/125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ling means being fluid actuated
    • B05B7/1263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ling means being fluid actuated pneumatically actu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 E01C23/22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by spra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Nozzle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2액형 도료 차선도색장치는 도로용 주제(主劑)가 저장되는 제1 탱크(41); 액상 경화제가 저장되는 제2 탱크(42); 제1 단속관(25)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단속관(25)의 개폐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탱크(41)에 저장된 주제를 공급하는 제1 유입관(24a); 제2 단속관(25)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단속관(25)의 개폐 상태에 따라 상기 제2 탱크(42)에 저장된 주제를 공급하는 제2 유입관(24b); 상기 제1 단속관(25)에 연결되는 제1 유통로(10A)와, 상기 제1 유통로(10A)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주제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1노즐(30A)과, 상기 제2 단속관(24)에 연결되는 제2 유통로(10B)와, 상기 제2 유통로(10B)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경화제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2노즐(30B)를 구비하는 분기체(10); 상기 제1 유통로(10A)의 상부 입구 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탱크(41)로부터 공급되는 주제의 흐름을 단속하여 상기 제1 유통로(10A)로 공급하는 제1 밸브체(20A); 및 상기 제2 유통로(10B)의 상부 입구 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2 탱크(41)로부터 공급되는 경화제의 흐름을 단속하여 상기 제2 유통로(10B)로 공급하는 제2밸브체(20B);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밸브체(20A) 및 상기 제2 밸브체(20B)는 각각, 내측에 일정 공간부가 형성되는 하우징(21); 상기 하우징(21)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21) 내부의 압력 제어에 따라 중심축 방향으로 승강하고, 하향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단 외주면에 종동기어부(223)가 형성된 피스톤로드(221)을 구비하는 피스톤(22); 및 상기 피스톤로드(221)의 하향 중심축 방향에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22)의 승강에 따라 상기 제1 단속관 또는 제2 단속관(25)을 개폐시키는 밸브용 핀(23);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용 핀(23)은 중심축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구(239)가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로드(221)는 하단으로부터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밸브용 핀(23)의 관통구(239)에 연결되는 수직 제어관(226)과, 상기 수직 제어관(226)의 상부로부터 외주면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 제어관(225)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221)는 상기 피스톤(22)의 하강 시 하단의 종동기어부(223)부가 상기 하우징(21)의 하부로 노출되고, 상기 종동기어부(223)의 노출 시 상기 종동기어부(223)와 맞물려서 회전하는 원동기어부(50)와, 상기 원동기어부(50)의 회전을 제어하는 모터부(55)를 포함하고, 상기 분기체(10)에 에어가 공급되는 유로로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로드(221)가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 제어관(225)의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연결 제어관(225)과 연통되거나 폐쇄되는 분기관(217)을 포함한다.

Description

2액형 도료 차선도색장치{The two-component coating line painting system}
본 발명은 도료용 주제(主劑)와 경화제(硬化劑)들이 분사되면서 고르게 혼합되어 차선의 도색작업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2액형 도료 차선도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도(車道)에는 띠 모양의 각종 차선이 도색(塗色)되어 있어 차량을 원활하게 통행시키고 안전운행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차선에는 주행방향과 주행간격 등의 식별을 위한 백색차선 및 반대편 차선과의 구분을 위한 중앙차선인 황색선 등이 있다.
차선을 그리기 위한 도료의 종류에는 가열형, 상온형, 수용성, 융착식, 2액형 등이 있는데, 도료의 종류에 맞게 차선 도색장치도 다양하게 구성되고 있고 이 중에서 2액형 도료를 사용하는 차선도 색장치는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 분사하면서 차선을 도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중 2액형 차선 도색장치의 일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83820호 "2액형 차선도색장치"(이하 선행기술이라 함)를 들 수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주제와 경화제를 분사하는 노즐들의 위치조절작업이 필요 없어 작업의 편의성을 높여줄 수 있는 동시에 분기체에 결합된 분사용 노즐은 밸브체에 의하여 직접 개폐되어 유체의 공급을 차단하였을 때 유체의 흘러내림이 방지되어 보다 깨끗하게 차선을 도색(塗色)할 수 있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다만, 위 선행기술의 경우 일련의 작업을 수행하고, 다른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또는 작업의 수행이 끝난 후 이동하는 과정에서 밸브체 하단의 제1 및 제2 유통로와 연결관 등에 잔존하는 주제와 경화제가 외부로 흘러내리거나 노즐 부근에서 경화되어 후속 작업 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주제 및 경화제의 도포 시 주변 환경, 예를 들면 일정 이상 강도의 바람이 부는 등의 환경하에서 작업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작업의 일시 중지 또는 중단 시 잔존하는 밸브체 하단에 잔존하는 주제 및 경화제를 제거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는 2액형 차선도색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변의 환경에 따른 도색의 품질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2액형 도료 차선도색장치는 도로용 주제(主劑)가 저장되는 제1 탱크(41); 액상 경화제가 저장되는 제2 탱크(42); 제1 단속관(25)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단속관(25)의 개폐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탱크(41)에 저장된 주제를 공급하는 제1 유입관(24a); 제2 단속관(25)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단속관(25)의 개폐 상태에 따라 상기 제2 탱크(42)에 저장된 주제를 공급하는 제2 유입관(24b); 상기 제1 단속관(25)에 연결되는 제1 유통로(10A)와, 상기 제1 유통로(10A)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주제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1노즐(30A)과, 상기 제2 단속관(24)에 연결되는 제2 유통로(10B)와, 상기 제2 유통로(10B)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경화제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2노즐(30B)를 구비하는 분기체(10); 상기 제1 유통로(10A)의 상부 입구 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탱크(41)로부터 공급되는 주제의 흐름을 단속하여 상기 제1 유통로(10A)로 공급하는 제1 밸브체(20A); 및 상기 제2 유통로(10B)의 상부 입구 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2 탱크(41)로부터 공급되는 경화제의 흐름을 단속하여 상기 제2 유통로(10B)로 공급하는 제2밸브체(20B);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밸브체(20A) 및 상기 제2 밸브체(20B)는 각각, 내측에 일정 공간부가 형성되는 하우징(21); 상기 하우징(21)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21) 내부의 압력 제어에 따라 중심축 방향으로 승강하고, 하향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단 외주면에 종동기어부(223)가 형성된 피스톤로드(221)을 구비하는 피스톤(22); 및 상기 피스톤로드(221)의 하향 중심축 방향에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22)의 승강에 따라 상기 제1 단속관 또는 제2 단속관(25)을 개폐시키는 밸브용 핀(23);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용 핀(23)은 중심축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구(239)가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로드(221)는 하단으로부터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밸브용 핀(23)의 관통구(239)에 연결되는 수직 제어관(226)과, 상기 수직 제어관(226)의 상부로부터 외주면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 제어관(225)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221)는 상기 피스톤(22)의 하강 시 하단의 종동기어부(223)부가 상기 하우징(21)의 하부로 노출되고, 상기 종동기어부(223)의 노출 시 상기 종동기어부(223)와 맞물려서 회전하는 원동기어부(50)와, 상기 원동기어부(50)의 회전을 제어하는 모터부(55)를 포함하고, 상기 분기체(10)에 에어가 공급되는 유로로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로드(221)가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 제어관(225)의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연결 제어관(225)과 연통되거나 폐쇄되는 분기관(217)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21) 내의 공압을 제어하기 위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관(21a)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기관(217)은 상기 에어 공급관(21a)으로부터 분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부(55)는 스텝모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의 상부에 수직방향의 탄성을 구비하는 스프링(22a)를 구비하고, 상기 에어 공급관(21a)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는 상기 피스톤의 하부측에 공급되어 상기 에어 공급관(21a)을 통한 에어의 공급 시 상기 피스톤이 상승하고, 에어의 미 공급시에는 상기 스프링(22a)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피스톤이 하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는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의 최대 하강위치를 제한하는 하강 제한부(218)가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218)이 상기 하강 제한부(218)에 접하는 경우 상기 연결 제어관(225)이 상기 피스톤 로드의 회전에 따라 상기 분기관(217)과 연통 가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강 제한부(218)의 상부에는 패킹부(219)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잔존하는 주제 및 경화제를 제거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여 밸브체 하단의 잔존 원료를 제거함으로써 작업의 중단 후 재개 또는 이동 후의 작업 재개를 원할히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에 의하여 주제 및 경화제가 날림으로써 작업의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액형 차량도색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2액형 차량도색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부를 구비하는 분기체의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2액형 차량도색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다.
도 6 내지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체의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1 상태 단면도 및 제2 상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2액형 차량도색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액형 차량도색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2액형 차량도색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색장치는 차선도색을 위한 차량의 하단에 구비되어 주제와 경화제를 도포하여 혼합되도록 함으로써 차선을 형성하는 장치이다.
분기체(10)의 내부 양측에는 제1,2유통로(10A)(10B)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2유통로(10A)(10B)들의 상부 입구 측에는 제1밸브체(20A) 및 제2밸브체(20B)가 각각 결합되어 있으며, 제1,2밸브체(20A)(20B)들은 실린더의 작동으로 내부 유로(流路)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2유통로(10A)(10B)들의 하부 출구 측에는 제1노즐(30A) 및 제2노즐(30B)이 각각 결합되어 있고, 도료용 주제와 경화제가 제1,2노즐(30A)(30B)들을 통해 분사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2노즐(30A)(30B)들의 하부 또는 주변에는 보호부(60)가 구비되어 풍압에 의한 주제 및 경화제의 분사 경로 변경을 최소화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제1,2밸브체(20A)(20B)와는 달리 제1,2밸브체(20A)(20B)의 하부에 원동기어부(50)와 모터부(55)가 구비된다. 원동기어부(50)와 모터부(55)는 제1,2밸브체(20A)(20B)들과 연동하여 작동함으로써 후술할 잔존 주제 및 경화제의 제거를 가능하게 한다.
한편, 종래의 제1, 2 밸브체들은 앞서 설명한 선행기술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피스톤 및 밸브용 핀을 이용하는 형태의 다양한 형태의 밸브체들에 원동기어부(50)와 모터부(55)를 포함하는 관련 구성들이 적용이 가능하다.
이하 각 구성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의 핵심 구성을 제외한 기타 구성들은 선행기술들의 구성들을 일 예로들어 설명하나, 다양한 방식의 장치로서 구현이 가능하다.
즉, 에어호스(21a)를 통하여 하우징(21) 내의 피스톤의 승강 운동을 제어하고, 각각의 유입관(24a)을 통하여 주제와 경화제가 독립적으로 공급하는 구조는 선행기술과 동일하다. 제1밸브체(20A)는 제1탱크(41)와 호스로 연결되어 있고, 제1밸브체(20A)는 제1펌프(41a)의 작동으로 공급되는 도료용 주제(主劑)를 분기체(10)의 제1 유통로(10A)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밸브체(20B)는 제2탱크(42)와 호스로 연결되어 있고, 제2밸브체(20B)는 제2펌프(42a)의 작동으로 공급되는 액상 경화제(硬化劑)를 분기체(10)의 제2 유통로(10B)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2밸브체(20A)(20B)와 제1,2유통로(10A)(10B)들을 통해 각각 유입된 제와 경화제가 제1,2노즐(30A)(30B)들을 통해 분사되면서 혼합되어 도로(1)에 차선(2)을 형성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부를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부를 구비하는 분기체의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의 (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보호부(60)는 측면 플레이트(61)가 필수적으로 구비된다. 측면 플레이트(60는 차량의 주행방향을 기준으로 양 측면에 위치하여 측면으로부터 부는 바람을 막아주는 기능을 한다. 또한 측면 플레이트(61)는 주행방향 측으로 갈수록 측면 플레이트(61)간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측면 플레이트(61) 사이의 내부 공간은 주행방향 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고 반대방향으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형성된다. 그 결과 주행방향 측의 에어유입공간(619)는 상대적으로 좁은 반면, 반대측의 에어배출공간(615)는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된다. 이 경우, 전면으로부터 부는 방향은 보호부(60)의 내부를 따라 흘러가는 제1 경로와 보호부(60)의 양 측면을 따라 흘러가는 제2 경로 중 어느 하나의 경로를 통하여 이동하게 된다. 일정한 강도의 바람이 부는 경우 에어유입공간(619)를 통하여 바람이 유입되는 경우 공간이 확장됨으로써 압력이 증가하게 됨으로써 풍속이 감속하게 된다. 그 결과 외부의 바람에 의한 영향이 감소되어 보호부(60)의 내측으로 분사되는 주제 및 경화제의 분사 경로가 심하게 변경되는 현상을 최소화한다.
한편, 제2 측면 플레이트(611)를 측면 플레이트(61)의 전단부, 즉 차량의 주행방향 측에 구비할 수 있다. 제2 측면 플레이트(611)는 주행방향 측으로 간격이 줄어드는 비율이 측면 플레이트(61)에 비하여 더 크게 형성된다. 즉, 제2 측면 플레이트(611) 간의 간격은 측면 플레이트(61)간의 폭에 비하여 큰 비율로 주행방향을 향하여 줄어든다. 제2 측면 플레이트(611)가 구비됨으로써 에어유입공간(619)로부터 유입되는 에어의 최초 유입지점에서 급격히 압력을 증가시켜줌으로써 풍속의 감소량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부 플레이트(611)는 측면 플레이트(61) 간을 고정시킨다. 상부 플레이트(611)는 분기체(10)의 하단에 직접 또는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여 고정된다. 상부 플레이트(611)에는 제1노즐(30A)과 상기 제2노즐(30B)이 각각 통과하여 상기 측면 플레이트(61) 사이에 위치하도록 또는 제1노즐(30A)과 상기 제2노즐(30B)로부터 분사된 주제 및 경화제가 하부로 지나갈 수 있도록 경로를 형성하도록 관통형성된 관통구(621)가 형성된다.
한편,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61a)의 주행방향측 하단에는 측면 플레이트(61a)간을 연결하는 하단 플레이트(613)가 형성된다. 하단 플레이트(613)은 주행방향측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단 플레이트(613)는 에어유입공간(619)로부터 내측으로 갈수록 내부 공간이 확대되도록 함으로써 에어유입공간(619)로부터 유입된 에어의 풍속을 큰 폭으로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
한편, 보호부(60)의 수직 방향의 위치 또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부(60)의 상단면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노즐(30A)(30B)들의 하단에 바로 위치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고, 제1,2노즐(30A)(30B)들의 위에 위치하여 보호부(60)가 분기체(10)의 하단에 부착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호부(60)와 분기체(10)의 연결을 위한 별도의 부재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보호부(60)의 수직 길이도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주제와 경화제의 분사 경로 전체를 보호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보다 짧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보호부(60)는 주제와 경화제의 분사 경로 중 상부의 경로를 포함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이러한 주요 특징을 포함하는 한 보호부(60)의 위치 및 수직 방향의 길이는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주제 및 경화제의 경로 중 상부 경로를 외부 풍압으로부터 보호하는 경우 바람이 이미 형성된 경로 자체를 변경시키는 정도는 미비하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체(20A) 및 분기체(10)를 포함하는 관련 구성들을 설명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2액형 차량도색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고, 도 6 내지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체의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1 상태 단면도 및 제2 상태 단면도이다.
기본적인 구성 및 작용은 앞서 설명한 선행기술과 유사하다.
구체적으로 제1,2노즐(30A)(30B)들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즉, 1,2유통로(10A)(10B)들의 하부 출구 측에는 연결관(11)이 결합되어 용접(鎔接)에 의하여 분기체(10)의 하부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고, 연결관(11)에는 너트가 나사 결합되어 있으며, 너트(31)의 내부에는 분사용 팁(32)이 삽입되어 와셔에 의하여 지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1,2노즐(30A)(30B)들은 분기체(10)의 하부에서 근접 설치되어 있고, 제1,2노즐(30A)(30B)들은 각각 내측 경사를 이루어 장착되어 있고, 제1,2노즐(30A)(30B)들을 통해 분사되는 주제와 경화제가 분사되면서 혼합되어 도로(1)에 차선(2)을 도색(塗色)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2밸브체(20A)(20B)와 제1,2유통로(10A)(10B)들을 통해 각각 유입된 제와 경화제가 제1,2노즐(30A)(30B)들을 통해 분사되면서 혼합되어 도로(1)에 차선(2)을 형성한다.
제1밸브체(20A) 및 제2밸브체(20B)는 공압 실린더의 작동으로 승강(乘降)되는 밸브용 핀(23)의 작동에 의하여 내부 유로(流路)를 개폐시켜 유체흐름을 단속하는 밸브의 역할을 한다. 제1, 2 밸브체(20A)(20B)들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다. 즉, 실린더의 하우징(21) 내부에 삽입된 피스톤(22)이 상부에 장착된 스프링(22a)의 탄력에 의하여 하강되고, 하우징(21) 하부에 접속된 에어호스(21a)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압력에 의하여 피스톤(22)이 상승되며, 하우징(21)의 하부에 장착된 밸브관(24)의 내부에는 초경합금 단속관(25)이 결합되고, 피스톤(22)의 로드에 결합된 밸브용 핀(23)이 승강되면서 단속관(25)을 개폐시키며, 밸브관(24)의 일측에 결합된 유입관(24a)을 통해 유체가 유입되면 밸브용 핀(23)의 하부 볼(ball, 23a)에 의하여 개폐되는 단속관(25)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밸브관(24)에 형성된 나선부가 제1,2유통로(10A)(10B)들의 입구 측에 형성된 나선부에 각각 나사 결합되는 구조이다.
본 발명에 따른 2액형 도료 차선도색장치는 특히 피스톤 로드(221), 밸브용 핀(23), 종동기어부(223), 원동기어부(50) 및 모터부(55)의 구성면에서 차이가 있다.
피스톤로드(221)는 하단으로부터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밸브용 핀(23)의 관통구(239)에 연결되는 수직 제어관(226)과, 수직 제어관(226)의 상부로부터 외주면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 제어관(225)이 형성된다. 피스톤 로드(22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22)의 하강 시 하단의 종동기어부(223)부가 상기 하우징(21)의 하부로 노출된다.
피스톤로드(221)의 하부에는 밸브용 핀(23)이 연결된다. 밸브용 핀(23)에는 중심축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구(239)가 형성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피스톤로드(221)의 하단의 볼(23a)은 피스톤(22)의 하강 시 단속관(25)을 폐쇄하며, 이 경우 밸브용 핀(23)의 관통구(239)는 단속관(25)과 연통된다.
피스톤로드(221)의 하단 중앙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수직 제어관(226)이 형성되고, 수직 제어관(226)의 상단부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는 연결 제어관(225)가 형성된다.
원동기어부(50)는 종동기어부(223)의 노출 시 종동기어부(223)와 맞물려서 회전한다. 이 때 모터부(55)는 원동기어부(50)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한편, 분기관(217)에는 분기체(10)에 에어가 공급되는 유로로서 형성된다. 이 때 분기관(217)은 에어공급관(21a)로부터 분기된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피스톤(22)이 상승해 있는 경우에는 분기관(217)은 앞서 설명한 연결 제어관(225)과 이격되어 폐쇄된 상태가되며, 피스톤(22)이 하강한 상태에서는 피스톤(22)이 회전함에 따라 연결 제어관(225)과 연통되거나 분리되는 과정을 통하여 개폐된다.
한편, 피스톤 로드(221)의 하단에는 종동기어부(223)가 형성된다. 종동기어부(223)의 최대 외경은 피스톤 로드(221)의 외경에 비하여 작거나 같게 형성된다.
또한 모터부(55)는 스텝모터 등을 이용하여 연결 제어관(225)의 회전 상의 위치 및 회전 여부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모터부(55)에 의하여 피스톤 로드(225)를 회전시킴으로써 분기관(217)을 통하여 공급되는 에어가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으로 밸브용 핀(23)을 통하여 단속관(25)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피스톤 로드가 하강한 상태에서 회전하는 경우 분기관(217)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는 공급 및 차단이 반복되는 점사식으로 단속관(25)의 하단에 공급되며, 피스톤 로드(221)가 하강한 상태에서 분기관(217)과 수직 제어관(225)가 연통되도록 제어하는 경우 연속적으로 에어가 단속관(25)을 통하여 하부로 공급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공급되는 에어는 제1,2유통로(10A)(10B)들에 잔존하는 주제 또는 경화제를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하우징(21)의 내주면에는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피스톤(22)의 최대 하강위치를 제한하는 하강 제한부(218)가 형성된다. 피스톤(218)이 하강 제한부(218)에 접하는 경우 연결 제어관(225)이 피스톤 로드(221)의 회전하여 분기관(217)과 연통 가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하강 제한부(218)의 상부에는 패킹부(219)가 구비될 수 있다. 패킹부(219)는 피스톤(22)의 회전 시 하강 제한부(218)와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1: 도로 2: 차선
10 : 분기체 10A : 제1 유통로
10B : 제2 유통로 11 : 연결관
20A : 제1밸브체 20B : 제2밸브체
21 : 하우징 21a : 에어호스
22 : 피스톤 22a : 스프링
23 : 밸브용 핀 23a : 볼
24 : 밸브관 24a : 유입관
25 : 단속관 30A : 제1노즐
30B : 제2노즐 31 : 너트
32 : 분사용 팁 33 : 와셔
41 : 제1탱크 41a : 제1펌프
42 : 제2탱크 42a : 제2펌프
50: 원동기어 55: 모터부
60: 보호부

Claims (7)

  1. 도로용 주제(主劑)가 저장되는 제1 탱크(41);
    액상 경화제가 저장되는 제2 탱크(42);
    제1 단속관(25)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단속관(25)의 개폐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탱크(41)에 저장된 주제를 공급하는 제1 유입관(24a);
    제2 단속관(25)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단속관(25)의 개폐 상태에 따라 상기 제2 탱크(42)에 저장된 주제를 공급하는 제2 유입관(24b);
    상기 제1 단속관(25)에 연결되는 제1 유통로(10A)와, 상기 제1 유통로(10A)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주제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1노즐(30A)과, 상기 제2 단속관(25)에 연결되는 제2 유통로(10B)와, 상기 제2 유통로(10B)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경화제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2노즐(30B)를 구비하는 분기체(10);
    상기 제1 유통로(10A)의 상부 입구 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탱크(41)로부터 공급되는 주제의 흐름을 단속하여 상기 제1 유통로(10A)로 공급하는 제1 밸브체(20A); 및
    상기 제2 유통로(10B)의 상부 입구 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2 탱크(42)로부터 공급되는 경화제의 흐름을 단속하여 상기 제2 유통로(10B)로 공급하는 제2밸브체(20B);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밸브체(20A) 및 상기 제2 밸브체(20B)는 각각,
    내측에 일정 공간부가 형성되는 하우징(21);
    상기 하우징(21)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21) 내부의 압력 제어에 따라 중심축 방향으로 승강하고, 하향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단 외주면에 종동기어부(223)가 형성된 피스톤로드(221)을 구비하는 피스톤(22); 및
    상기 피스톤로드(221)의 하향 중심축 방향에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22)의 승강에 따라 상기 제1 단속관 또는 제2 단속관(25)을 개폐시키는 밸브용 핀(23);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용 핀(23)은 중심축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구(239)가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로드(221)는 하단으로부터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밸브용 핀(23)의 관통구(239)에 연결되는 수직 제어관(226)과, 상기 수직 제어관(226)의 상부로부터 외주면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 제어관(225)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221)는 상기 피스톤(22)의 하강 시 하단의 종동기어부(223)부가 상기 하우징(21)의 하부로 노출되고,
    상기 종동기어부(223)의 노출 시 상기 종동기어부(223)와 맞물려서 회전하는 원동기어부(50)와, 상기 원동기어부(50)의 회전을 제어하는 모터부(55)를 포함하고,
    상기 분기체(10)에 에어가 공급되는 유로로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로드(221)가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 제어관(225)의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연결 제어관(225)과 연통되거나 폐쇄되는 분기관(217)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21) 내의 공압을 제어하기 위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관(21a)을 포함하며,
    상기 분기관(217)은 상기 에어 공급관(21a)으로부터 분기되는 2액형 도료 차선도색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부(55)는 스텝모터인 2액형 도료 차선도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상부에 수직방향의 탄성을 구비하는 스프링(22a)를 구비하고,
    상기 에어 공급관(21a)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는 상기 피스톤의 하부측에 공급되어 상기 에어 공급관(21a)을 통한 에어의 공급 시 상기 피스톤이 상승하고,
    에어의 미 공급시에는 상기 스프링(22a)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피스톤이 하강하는 2액형 도료 차선도색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는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의 최대 하강위치를 제한하는 하강 제한부(218)가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22)이 상기 하강 제한부(218)에 접하는 경우 상기 연결 제어관(225)이 상기 피스톤 로드의 회전에 따라 상기 분기관(217)과 연통 가능하도록 위치하는 2액형 도료 차선도색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 제한부(218)의 상부에는 패킹부(219)가 구비되는 2액형 도료 차선도색장치.
KR1020180048437A 2018-04-26 2018-04-26 2액형 도료 차선도색장치 KR101931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8437A KR101931053B1 (ko) 2018-04-26 2018-04-26 2액형 도료 차선도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8437A KR101931053B1 (ko) 2018-04-26 2018-04-26 2액형 도료 차선도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1053B1 true KR101931053B1 (ko) 2019-03-11

Family

ID=65758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8437A KR101931053B1 (ko) 2018-04-26 2018-04-26 2액형 도료 차선도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10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008B1 (ko) * 2020-07-31 2021-04-21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텍코오트 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텍코오트 포설방법
KR102356991B1 (ko) * 2021-04-21 2022-02-09 강형주 이중 작동 방식의 분사 건 및 이를 이용한 분사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7412B1 (ko) * 2016-01-12 2017-07-13 강형주 2액형 도료 차선도색장치
KR101783820B1 (ko) * 2016-03-17 2017-10-11 강형주 2액형 도료 차선도색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7412B1 (ko) * 2016-01-12 2017-07-13 강형주 2액형 도료 차선도색장치
KR101783820B1 (ko) * 2016-03-17 2017-10-11 강형주 2액형 도료 차선도색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008B1 (ko) * 2020-07-31 2021-04-21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텍코오트 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텍코오트 포설방법
KR102356991B1 (ko) * 2021-04-21 2022-02-09 강형주 이중 작동 방식의 분사 건 및 이를 이용한 분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3820B1 (ko) 2액형 도료 차선도색장치
KR101931053B1 (ko) 2액형 도료 차선도색장치
KR100483728B1 (ko) 개선된 스프레이노즐에 의한 액체코팅재료의 도포방법 및 장치
US6102304A (en) Plural component striping spray system and method
KR101757412B1 (ko) 2액형 도료 차선도색장치
US3049439A (en) Internal mix catalyst type spray gun and process employing same
CN1397381A (zh) 喷枪
CN101142030A (zh) 用来输送粉末状流化介质的装置
KR20040016786A (ko) 분무 전에 유체의 개선된 혼합 및 분쇄를 하기 위한스프레이 건
CN107427850B (zh) 具有空气环喷嘴组件的喷枪
KR101931054B1 (ko) 풍압저항력이 향상된 2액형 도료 차선도색장치
KR20190051449A (ko) 차선 도색용 분사장비
JP2006150693A (ja) 金型の離型剤塗布装置
KR102085865B1 (ko) 차선 도색용 분사장비
KR102116032B1 (ko) 스프레드차선 및 돌출차선 복합 시공 시스템
KR101858445B1 (ko) 차선 도색용 페인트 분사장치
KR101279431B1 (ko) 수동식 차선 도색장치
KR20060104642A (ko) 도료분사장치
KR101892665B1 (ko) 차선 도색용 페인트 분사장치
KR101400114B1 (ko) 차선도색장치
KR102356714B1 (ko) 차선 도색용 이액형 도료 분사장치
KR102140946B1 (ko) 디퓨저 홀이 형성된 차선시공용 스프레이 노즐
WO2021132351A1 (ja) 塗装液混合装置及び塗装液の混合方法
KR102217894B1 (ko) 노면 표시용 도색기
US20070181061A1 (en) Dispensing appar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