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5043A - 회전 가능한 고압 호스용 연결 조인트 - Google Patents

회전 가능한 고압 호스용 연결 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5043A
KR20180115043A KR1020170047188A KR20170047188A KR20180115043A KR 20180115043 A KR20180115043 A KR 20180115043A KR 1020170047188 A KR1020170047188 A KR 1020170047188A KR 20170047188 A KR20170047188 A KR 20170047188A KR 20180115043 A KR20180115043 A KR 20180115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pple
washer
rubber packing
pressure hos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7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3260B1 (ko
Inventor
박명수
Original Assignee
(주) 대화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대화이에스 filed Critical (주) 대화이에스
Priority to KR1020170047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3260B1/ko
Publication of KR20180115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5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3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3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4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parts screwed directly on or into the ho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9/00Joints with fluid cut-off means
    • F16L29/02Joints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a cut-off device in one of the two pipe ends, the cut-off device being automatically opened when the coupling is appl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0Undivided rings, sleeves or like members contracted on the hose or expanded in the hose by means of tools; Arrangements using such members
    • F16L33/207Undivided rings, sleeves or like members contracted on the hose or expanded in the hose by means of tools; Arrangements using such members only a sleeve being contracted on the ho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가능한 고압 호스용 연결 조인트에 관한 것으로; 고압 호스의 단부에 제1 몸체의 후단부가 끼움 결합되고 제1 몸체의 중앙에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유로가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1 몸체의 둘레면에는 지지턱이 형성되는 니플과; 상기 니플의 전단으로 끼워지는 와셔와; 상기 와셔가 끼워진 상태의 상기 니플의 전단으로 끼워지는 고무패킹과; 상기 와셔 및 고무패킹이 끼워진 니플이 삽입 안착되는 안착부가 제2 몸체의 전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관연결부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산이 상기 안착부 내주면에 형성되며 제2 몸체의 중앙에는 상기 니플의 후단부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니플의 지지턱 및 와셔가 안착되는 제1 및 제2 단턱이 연속하여 형성되는 연결너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너트에 수도배관 또는 수전금구 등의 관연결부에 나사결합하여 조이는 경우 관연결부의 단부의 가압력이 니플 전방에서 직접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연결너트의 조임 강도가 커지더라도 원활하게 니플이 회전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니플에 일체로 결합되는 고압 호스의 자유회전을 충분히 보장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회전 가능한 고압 호스용 연결 조인트 {A coupling joint for A rotatable high pressure hose}
본 발명은 회전 가능한 고압 호스용 연결 조인트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세면대, 샤워기, 씽크대 등에 설치되는 각종 수전금구와 수도배관 등의 관연결부에 연결하는 고압 호스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 조인트의 구조를 개선하여 관연결부에 결합시 고압 호스의 원활한 자유 회전을 보장할 수 있는 고압 호스용 연결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욕실, 주방 등에 설치된 세면대, 씽크대 또는 양변기 등에 설치된 각종 수전금구와 외부에서 인입된 급수파이프(수도배관)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각종 수전금구와 급수파이프 각각의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연결이 간편하도록 변형이 자유로운 플렉시블 호스가 사용된다.
이때, 상기 플렉시블 호스의 양 끝단에는 각종 수전금구와 급수파이프를 상호 연결시킬 수 있도록 "등록실용신안 제20-0438767호의 종래기술"(참고문헌 1) 및 "등록실용신안 제20-0300326호의 종래기술"(참고문헌 2)에 기술된 연결조인트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연결 조인트의 경우 플렉시블 호스의 일단 또는 양단에 끼움 결합되며, 일단엔 원통형 패킹결합돌기가 구비되고 타단엔 테이퍼진 쐐기형 웨지편이 구비된 니플과; 상기 패킹결합돌기의 후방 외주면에 직경이 확대 형성되며, 상기 패킹결합돌기에 삽착된 고무패킹을 지지하는 패킹지지플랜지와; 상기 니플 일단의 패킹결합돌기에 결착된 상태로 패킹지지플랜지에 의해 지지되며, 각종 수전금구 또는 급수파이프와 연결너트 간의 나사 체결 시 기밀을 유지하여 누수를 방지하는 고무패킹과; 상기 웨지편이 관통 돌출되는 상태로 고무패킹과 함께 니플이 내삽됨과 동시에 플렉시블 호스의 일단 또는 양단에 자유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개방된 일측 내주연에 암나사가 구비된 연결너트로 구성되는 등 각종 수전금구와 급수파이프를 연결하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관 연결방법으로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연결 조인트의 경우 각종 수전금구 또는 급수파이프와 연결너트 간의 나사 체결 시 원통형 패킹결합돌기가 형성된 니플의 일단에 면착되는 상태로 연결너트에 내삽되는 고무재질의 고무패킹이 기밀하게 밀착되지 못하여 이를 통한 공극 발생 시 고무패킹과 연결너트 사이로 누수가 발생 될 뿐만 아니라,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가 스패너 등 조임공구를 이용하여 연결너트를 과도하게 조이게 되면 상기 고무패킹에 연결너트의 회전에 따른 압축력이 작용하게 되면서 상기 니플의 패킹지지플랜지에 고무패킹이 가압 밀착되는 등 상기 니플의 패킹지지플랜지와 고무패킹 간의 과도한 마찰력 증가로 인해 상기 연결너트의 회전 시고무패킹 및 니플 모두 회전하게 됨과 아울러, 상기 니플 타단의 웨지편에 끼움 결합된 플렉시블 호스 역시 함께 회전하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상기 연결너트의 과회전에 따른 플렉시블 호스가 뒤틀리거나 꼬이게 되는 등의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연결너트의 과회전에 따른 플렉시블 호스가 뒤틀리거나 꼬이게 될 경우 이로 인한 플렉시블 호스 내의 유체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과 아울러, 작업자가 각종 수전금구 또는 급수파이프에 체결된 연결너트의 결합력을 해제하여 뒤틀리거나 꼬인 플렉시블 호스를 고르게 편 후 다시 조이는 반복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등 종래의 연결 조인트에 대한 연결시공 시 작업이 번거롭고, 시공시간의 증가와 그에 따른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 역시 있었다.
그리고, 종래 연결 조인트의 경우 니플 즉, 원통형 패킹결합돌기에 삽착된 고무패킹을 지지하도록 외주면에 패킹지지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된 니플 전체가 값비싼 황동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패킹지지플랜지가 제거된 니플에 값싼 철 재질의 와셔를 끼워 고무패킹을 지지토록 하는 연결 조인트 구조에 비해 상기 니플의 크기 및 니플로부터 황동재질의 패킹지지플랜지를 제거하고 와셔로 대체한 정도의 차액만큼 원가가 증가하게 됨과 함께 이를 통해 제조된 연결 조인트의 제품가격 역시 상승하게 되는데 주요 원인이 되는 등의 문제점과 아울러, 종래 니플 제작에 따른 작업공정 및 작업시간 역시 매우 번거롭고 오래 걸릴 수밖에 없는 등의문제점도 있었다.
물론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등록실용신안 제20-0461753호(참고문헌 3)가 제안된 바 있다. 이는 회전 가능한 플렉시블 호스용 연결 조인트에 관한 것으로, 세면대, 샤워기, 씽크대에 설치되는 각종 수전금구와 수도배관을 연결하는 플렉시블 호스의 일단 또는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 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호스의 일단 또는 양단에 끼움 결합되며, 일단엔 방사형태로 확대 경사진 패킹결합돌기가 구비되고 타단엔 테이퍼진 쐐기형 웨지편이 구비된 니플과; 상기 니플 일단의 패킹결합돌기에 결착되며, 내주연에 결합돌기홈이 구비된 고무패킹과; 상기 웨지편이 관통 돌출되는 상태로 고무패킹과 함께 니플이 내삽됨과 동시에 플렉시블 호스의 일단 또는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개방된 일측 내주연에 암나사가 구비된 연결너트와; 상기 고무패킹과 연결너트의 내저면 사이에 설치되며, 수도배관 또는 수전금구와 연결너트 간의 나사 체결 시 고무패킹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고무패킹과 면착된 상태에서 플렉시블 호스의 일단 또는 양단으로부터 연결너트의 자유 회전이 원활하도록 하는 와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지만 이상의 참고문헌 3에 제안된 연결 조인트는 수도배관 또는 수전금구에 연결하기 위해 연결너트를 조이는 경우 고무패킹이 가압되면서 니플을 호스방향으로 전진시키게 되어 조임 초반에는 와셔와 니플의 걸림턱 사이가 어느 정도 헐거워 호스가 연결되는 니플의 회전이 원활하지만, 연결부위의 누수 방지를 위해 연결너트를 더욱 강하게 조이게 되면 고무패킹의 가압력이 니플과 와셔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며 연결너트에 와셔가 강하게 밀착되어 니플의 회전이 부드럽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고, 이로 인해 호스가 연결너트의 회전방향으로 꼬이게 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호스가 꼬이게 되면 연결 조인트를 수도배관 또는 수전금구에 원활하게 결합하는 것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결합을 한다고 하더라도 추후 수전금구 등을 사용시 물의 수압이 약화됨은 물론 호스의 꺾임으로 인한 취약부분에 수압이 집중되므로 호스의 파손 우려가 높다.
참고문헌 1: 등록실용신안 제20-0438767호 참고문헌 2: 등록실용신안 제20-0300326호 참고문헌 3: 등록실용신안 제20-0461753호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수도배관 또는 수전금구 등의 관연결부에 연결시 연결너트의 조임 강도에 상관없이 호스와 연결되는 니플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는 고압 호스용 연결 조인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연결너트의 조임 강도를 높이더라도 니플에 전달되는 가압력을 최소화하여 니플의 회전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연결이 완료된 이후에도 호스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면서도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고압 호스용 연결 조인트를 제공하는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고압 호스의 단부에 제1 몸체의 후단부가 끼움 결합되고 제1 몸체의 중앙에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유로가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1 몸체의 둘레면에는 지지턱이 형성되는 니플과; 상기 니플의 전단으로 끼워지는 와셔와; 상기 와셔가 끼워진 상태의 상기 니플의 전단으로 끼워지는 고무패킹과; 상기 와셔 및 고무패킹이 끼워진 니플이 삽입 안착되는 안착부가 제2 몸체의 전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관연결부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산이 상기 안착부 내주면에 형성되며 제2 몸체의 중앙에는 상기 니플의 후단부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니플의 지지턱 및 와셔가 안착되는 제1 및 제2 단턱이 연속하여 형성되는 연결너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고압 호스용 연결 조인트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니플은 제1 몸체의 둘레면에 설정 두께를 갖는 지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몸체의 후단에는 테이퍼진 쐐기형 웨지편이 구비되어 플렉시블한 고압 호스가 연결되며; 상기 연결너트는 제2 몸체 중앙에 상기 니플의 웨지편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에는 관통공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니플의 제1 몸체 외주면에 형성된 지지턱이 안착되는 설정 깊이를 갖는 제1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단턱의 가장자리를 따라 와셔가 안착되는 제2 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단턱의 설정 깊이는 상기 지지턱의 설정 두께 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너트 안착부에는 압력개폐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압력개폐구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중앙에 수용부가 형성되고 전단에 복수의 유입공을 갖는 마감부가 형성되어 상기 고무패킹에 지지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수용부에 구비되되 상기 본체의 전단에 고정되는 고정부의 후단에는 상기 본체의 수용부 내주면에 가장자리가 밀착되며 상기 유입공을 통해 유체가 유입되면 가장자리가 본체의 수용부 내주면에서 이격되어 유체가 니플의 유로로 유입되게 하는 탄성돔부가 형성되는 돔형 탄성안내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본체는 후단 테두리를 따라 지지돌부가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무패킹의 표면에 형성되는 끼움홈에 억지끼움식으로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고무패킹의 외주면에는 연결너트의 암나사산에 지지되는 날개부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전단에 형성되는 마감부의 중앙에는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돔형 탄성안내부재의 고정부에는 상기 고정공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 가능한 고압 호스용 연결 조인트는 연결너트에 수도배관 또는 수전금구 등의 관연결부에 나사결합하여 조이는 경우 관연결부의 단부의 가압력이 니플 전방에서 직접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연결너트의 조임 강도가 커지더라도 원활하게 니플이 회전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니플에 일체로 결합되는 고압 호스의 자유회전을 충분히 보장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연결너트를 조이는 과정은 물론 충분한 조임이 이루어진 후에도 고압 호스를 회전시킬 수 있어 고압 호스의 꼬임을 방지하여 고압 호스를 이동하는 유체의 압력 저하를 방지함은 물론 고압 호스에 고른 압력 배분이 이루어짐에 따라 고압 호스의 꼬임으로 인한 수명 단축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 가능한 고압 호스용 연결 조인트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 가능한 고압 호스용 연결 조인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 가능한 고압 호스용 연결 조인트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 가능한 고압 호스용 연결 조인트의 결합 단면도 및 작동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고압 호스용 연결 조인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고압 호스용 연결 조인트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고압 호스용 연결 조인트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회전 가능한 고압 호스용 연결 조인트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회전 가능한 고압 호스용 연결 조인트는 세면대, 샤워기, 씽크대에 설치되는 각종 수전금구와 수도배관 등의 관연결부(1)(이하, '관연결부'라 한다.)에 연결하는 플렉시블한 고압 호스(H)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장치이다.
이때, 상기 연결 조인트(100)는 필요에 따라 플렉시블한 고압 호스(H)의 일단 또는 양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회전 가능한 고압 호스용 연결 조인트(100)는, 플렉시블한 고압 호스(H)의 단부에 제1 몸체(111)의 후단부가 끼움 결합되고 제1 몸체(111)의 중앙에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유로(112)가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1 몸체(111)의 둘레면에는 지지턱(113)이 형성되는 니플(110)과; 상기 니플(110)의 전단으로 끼워지는 와셔(120) 및 고무패킹(130)과; 상기 와셔(120) 및 고무패킹(130)이 끼워진 니플(110)이 삽입 안착되는 안착부(142)가 제2 몸체(141)의 전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관연결부(1)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산(143)이 상기 안착부(142) 내주면에 형성되며 제2 몸체(141)의 중앙에는 상기 니플(110)의 후단부가 관통하는 관통공(144)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44)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니플(110)의 지지턱(113) 및 와셔(120)가 안착되는 제1 및 제2 단턱(145,146)이 연속하여 형성되는 연결너트(140);로 구성된다.
이때, 상호 끼움 결합된 니플(110)의 후단에 형성되는 웨지편(115)과 플렉시블한 고압 호스(H) 간에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압 호스(H)의 일단 외주연에 삽착된 상태로 결착공구에 의해 결합밴드(10)가 압착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니플(110)은 유체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중공의 원통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제1 몸체(111)에 길이방향으로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유로(112)가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황동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니플(110)은 제1 몸체(111)의 둘레면에 설정 두께(T)를 갖는 지지턱(113)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몸체(111)의 후단에는 테이퍼진 쐐기형 웨지편(115)이 구비되어 플렉시블한 고압 호스(H)가 연결되며, 상기 제1 몸체(111)의 전단에는 와셔(120) 및 고무패킹(130)이 순차적으로 끼워져 지지턱(113)에 지지되어 후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몸체(111)의 후단부에는 플렉시블한 고압 호스(H)의 단부에 끼움 결합되도록 쐐기형태로 테이퍼진 다수의 웨지편(115)이 일렬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와셔(120)는 중앙에 전후 방향으로 제1 지지공(121)이 관통 형성되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금속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와셔(120)의 제1 지지공(121)은 내경이 지지턱(113)의 외경에 비해 작게 형성되어 지지턱(113)에 의해 더이상 니플(110)의 후측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고무패킹(130)은 중앙에 전후 방향으로 제2 지지공(131)이 관통 형성되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고무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고무패킹(130)의 제2 지지공(131)은 내경이 상기 니플(110)의 제1 몸체(111)의 전단에 억지끼움식으로 끼워지도록 작게 형성하여 제1 몸체(111)에 지지하면 고무패킹(130)에 의해 와셔(120)가 니플(110)의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와셔(120)와 고무패킹(130)은 상기 연결너트(140)의 안착부(142)에 삽입 가능한 사이즈로 제작되는 것으로, 와셔(120)와 고무패킹(130)의 외경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사이즈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연결너트(140)는 와셔(120) 및 고무패킹(130)이 지지된 상태의 니플(110)이 안착되는 안착부(142)가 제2 몸체(141)에 전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몸체(141) 중앙에는 상기 니플(110)의 웨지편(115)이 관통되는 관통공(144)이 형성되며, 안착부(142)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143)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142)에 형성되는 관통공(144)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1 및 제2 단턱(145,146)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너트(140)의 안착부(142)는 제2 몸체(141)에 전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각종 수전금구와 수도배관 등의 관연결부(1)가 나사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안착부(142)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143)이 형성되어 수나사산(1a)이 외주면에 형성되는 관연결부(1)와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너트(140)의 관통공(144)은 상기 제2 몸체(141)의 후측 중앙에 상기 안착부(142)와 연통되게 형성되어 와셔(120) 및 고무패킹(130)이 끼워진 니플(110)을 안착부(142)에 삽입하여 웨지편(115)이 관통공(144)을 관통하여 연결너트(140)의 후방으로 노출되면 플렉시블한 고압 호스(H)의 단부에 삽입하고, 이후 니플(110)과 고압 호스(H)가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압 호스(H)의 일단 외주연에 결착공구에 의해 결합밴드(10)를 압착하여 일체로 결합시킨다.
이와 같은 연결너트(140)의 안착부(142)에는 관통공(144)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니플(110)의 제1 몸체(111) 외주면에 형성된 지지턱(113)이 안착되는 제1 단턱(145)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단턱(145)의 가장자리를 따라 와셔(120)가 안착되는 제2 단턱(146)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단턱(145)은 설정 깊이(D)를 갖는 것으로, 지지턱(113)의 설정 두께(T)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한다. 이를 통해 지지턱(113)이 제2 단턱(146)에 비해 전단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어, 추후 상기 연결너트(140)에 관연결부(1)에 나사결합하는 경우 관연결부(1)의 단부의 가압력이 지지턱(113)에 직접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며 이로 인해 상기 연결너트(140)의 조임 강도가 커지더라도 원활하게 니플(110)이 회전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기능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연결너트(140)는 플렉시블 호스(H)의 단부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수도배관 또는 수전금구의 관연결부(1)와 나사체결되어 상기 플렉시블 호스(H)와 수도배관 또는 수전금구 등을 상호 연결하게 된다. 이는 전체 형상이 캡 형태로 형성되되, 그 제2 몸체(141)의 외주면에는 스패너 등 조임공구를 통해 회전 조임력을 작용시킬 수 있도록 너트의 외주면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회전 가능한 고압 호스용 연결 조인트의 사용 예를 설명한다.
우선 니플(110)의 전단을 통해 와셔(120)를 후방으로 끼우고 연속해서 고무패킹(130)도 억지끼움식으로 제1몸체(111)에 끼워 지지한다.
그리고 와셔(120) 및 고무패킹(130)이 지지된 상태의 니플(110)을 연결너트(140)의 안착부(142)로 삽입시켜 니플(110)의 웨지편(115)을 연결너트(140)의 관통공(144)을 관통시켜 연결너트(140)의 후방으로 노출시킨 후 고압 호스(H)의 단부에 삽입하고 결합밴드(10)를 압착하여 일체로 결합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연결너트(140)의 안착부(142)에 수도배관 또는 수전금구의 관연결부(1)의 단부를 밀착시킨 후 나사결합한 후 스패너 등 조임공구를 통해 일방향으로 연결너트(140)를 조이면 관연결부(1)의 단부가 안착부(142)를 따라 연결너트(140)의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고무패킹(130)을 가압하게 된다.
이에 고무패킹(130)은 와셔(120)가 제2 단턱(146)에 밀착되도록 가압하게 되는데, 이후 더 큰 조임력이 제공되는 경우 고무패킹(130)의 형상이 변형되며 니플(110)의 제1 몸체(111) 외주면에 형성된 지지턱(113)과 고무패킹(130)의 제2 지지공(131) 사이를 가압하며 유체의 누수가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더욱 조이더라도 고무패킹(130)과 니플(110)의 제1 몸체(111) 외주면 사이에 가압력이 커지더라도 상기 니플(110)의 지지턱(113)과 제1 단턱(145)의 높이차로 인해 상기 니플(110)에 전후 방향으로 연결부의 가압력이 그대로 가해지지는 않게 되어 고압 호스(H)가 일체로 결합된 니플(110)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고압 호스(H)가 연결된 조인트(100)를 수도배관 또는 수전금구의 관연결부(1)에 나사결합시키더라도 고압 호스(H)가 자유회전이 최대한 유지되므로 고압 호스(H)가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고압 호스용 연결 조인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의하면 고압 호스용 연결 조인트(100)의 니플(110)이 끼워지는 연결너트(140)의 안착부(142)에는 압력개폐구(150)가 장착된다. 이는 유체의 흐름을 유도하는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만 개방되고 유체의 압력이 제거된 경우에는 폐쇄된다.
이와 같은 압력개폐구(150)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중앙에 수용부(152a)가 형성되고 전단에 복수의 유입공(152b)을 갖는 마감부(152c)가 형성되어 상기 고무패킹(130)에 지지되는 본체(152)와, 상기 본체(152)의 수용부(152a)에 구비되되 상기 본체(152)의 전단에 고정되는 고정부(154a)의 후단에는 상기 본체(152)의 수용부(152a) 내주면에 가장자리가 밀착되며 상기 유입공(152b)을 통해 유체가 유입되면 가장자리가 본체(152)의 수용부(152a) 내주면에서 이격되어 유체가 니플(110)의 유로(112)로 유입되게 하는 탄성돔부(154b)가 형성되는 돔형 탄성안내부재(154)로 이루어진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본체(152)는 후단 테두리를 따라 지지돌부(152d)가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고무패킹(130)의 표면에 형성되는 끼움홈(132)에 억지끼움식으로 끼워져 고정된다. 이 같은 구조에 의하면 관연결부(1)의 단부를 밀착시킨 후 나사결합한 후 스패너 등 조임공구를 통해 일방향으로 연결너트(140)를 조이면 관연결부(1)의 단부가 안착부(142)를 따라 연결너트(140)의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고무패킹(130)을 가압하게 되며, 그에 따라 상기 본체(152)의 지지돌부(152d)도 가압되어 연결너트(140)의 안착부(142)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한편, 상기 본체(152)의 전단에 형성되는 마감부(152c)의 중앙에는 고정공(152e)이 형성되어 상기 돔형 탄성안내부재(154)의 고정부(154a)가 고정된다.
상기 돔형 탄성안내부재(154)는 전체적으로 탄성이 우수한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고정부(154a)에는 전방으로 고정돌기(154c)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152)의 고정공(152e)에 끼워져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돔형 탄성안내부재(154)의 고정부(154a)의 후측에 형성되는 탄성돔부(154b)의 가장자리는 상기 본체(152)의 수용부(152a) 내주면에 가장자리가 밀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고무패킹(130)의 외주면에는 상기 연결너트(140)의 암나사산(143)에 지지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날개부(133)가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이를 통해 통해 압력개폐구(150)를 연결너트(140) 내부에 삽입시 고무패킹(130)의 날개부(133)가 암나사산(143)에 지지되어 이탈이 방지됨은 물론 연결너트(140)에 관연결부(1)의 단부를 밀착시킨 후 나사결합시키면 날개부(133)가 연결너트(140)의 암나사산(143) 방향으로 가압되어 누수를 방지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연결부(1)에서 고압 호스용 연결 조인트(100)의 니플(110) 방향으로 유체가 이동하는 경우에는, 유체가 이송되는 압력에 의해 본체(152)의 유입공(152b)을 따라 본체(152)의 수용부(152a)에 유입되며 그 유체 압력은 탄성돔부(154b)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집중되어 탄성돔부(154b)의 가장자리가 중앙으로 움추러들거나 꺾이면서 본체(152)의 수용부(152a)와 탄성돔부(154b)의 가장자리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면서 유체가 니플(110)을 통해 고압 호스(H)로 이동한다.
그리고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도꼭지 등을 잠궈 관연결부(1) 내부의 유체 흐름이 멈춘 경우에는 탄성돔부(154b)의 형상이 복원되어 수용부(152a)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수용부(152a) 내주면에 밀착되면 수용부(152a)에서 유입공(152b)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고압 호스(H)에 샤워기 헤드가 연결되고 그 샤워기의 수도꼭지를 잠그는 경우 공기가 관연결부(1) 방향으로 흘러들어오지 못하게 되고 이로 인해 고압 호스(H) 내 잔수가 샤워기 헤드를 통해 흘러내려 낭비되는 것을 해소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1: 관연결부 100: 연결 조인트
110: 니플 111: 제1 몸체
112: 유로 113: 지지턱
115: 웨지편 120: 와셔
130: 고무패킹 140: 연결너트
141: 제2 몸체 142: 안착부
143: 암나사산 144: 관통공
145: 제1 단턱 146: 제2 단턱
150: 압력개폐구 152: 본체
154: 돔형 탄성안내부재 H: 고압 호스

Claims (8)

  1. 고압 호스(H)의 단부에 제1 몸체(111)의 후단부가 끼움 결합되고 제1 몸체(111)의 중앙에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유로(112)가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1 몸체(111)의 둘레면에는 지지턱(113)이 형성되는 니플(110)과; 상기 니플(110)의 전단으로 끼워지는 와셔(120)와; 상기 와셔(120)가 끼워진 상태의 상기 니플(110)의 전단으로 끼워지는 고무패킹(130)과; 상기 와셔(120) 및 고무패킹(130)이 끼워진 니플(110)이 삽입 안착되는 안착부(142)가 제2 몸체(141)의 전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관연결부(1)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산(143)이 상기 안착부(142) 내주면에 형성되며 제2 몸체(141)의 중앙에는 상기 니플(110)의 후단부가 관통하는 관통공(144)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44)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니플(110)의 지지턱(113) 및 와셔(120)가 안착되는 제1 및 제2 단턱(145,146)이 연속하여 형성되는 연결너트(1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고압 호스용 연결 조인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니플(110)은 제1 몸체(111)의 둘레면에 설정 두께(T)를 갖는 지지턱(113)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몸체(111)의 후단에는 테이퍼진 쐐기형 웨지편(115)이 구비되어 플렉시블한 고압 호스(H)가 연결되며,
    상기 연결너트(140)는 제2 몸체(141) 중앙에 상기 니플(110)의 웨지편(115)이 관통되는 관통공(144)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142)에는 관통공(144)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니플(110)의 제1 몸체(111) 외주면에 형성된 지지턱(113)이 안착되는 설정 깊이(D)를 갖는 제1 단턱(145)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단턱(145)의 가장자리를 따라 와셔(120)가 안착되는 제2 단턱(14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고압 호스용 연결 조인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턱(145)의 설정 깊이(D)는 상기 지지턱(113)의 설정 두께(T) 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고압 호스용 연결 조인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너트(140)의 안착부(142)에는 압력개폐구(15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고압 호스용 연결 조인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개폐구(150)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중앙에 수용부(152a)가 형성되고 전단에 복수의 유입공(152b)을 갖는 마감부(152c)가 형성되어 상기 고무패킹(130)에 지지되는 본체(152)와, 상기 본체(152)의 수용부(152a)에 구비되되 상기 본체(152)의 전단에 고정되는 고정부(154a)의 후단에는 상기 본체(152)의 수용부(152a) 내주면에 가장자리가 밀착되며 상기 유입공(152b)을 통해 유체가 유입되면 가장자리가 본체(152)의 수용부(152a) 내주면에서 이격되어 유체가 니플(110)의 유로(112)로 유입되게 하는 탄성돔부(154b)가 형성되는 돔형 탄성안내부재(15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고압 호스용 연결 조인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52)는 후단 테두리를 따라 지지돌부(152d)가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고무패킹(130)의 표면에 형성되는 끼움홈(132)에 억지끼움식으로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고압 호스용 연결 조인트.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패킹(130)의 외주면에는 연결너트(140)의 암나사산(143)에 지지되는 날개부(133)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고압 호스용 연결 조인트.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52)의 전단에 형성되는 마감부(152c)의 중앙에는 고정공(152e)이 형성되고, 상기 돔형 탄성안내부재(154)의 고정부(154a)에는 상기 고정공(152e)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돌기(154c)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고압 호스용 연결 조인트.
KR1020170047188A 2017-04-12 2017-04-12 회전 가능한 고압 호스용 연결 조인트 KR101973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188A KR101973260B1 (ko) 2017-04-12 2017-04-12 회전 가능한 고압 호스용 연결 조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188A KR101973260B1 (ko) 2017-04-12 2017-04-12 회전 가능한 고압 호스용 연결 조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043A true KR20180115043A (ko) 2018-10-22
KR101973260B1 KR101973260B1 (ko) 2019-04-26

Family

ID=64102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7188A KR101973260B1 (ko) 2017-04-12 2017-04-12 회전 가능한 고압 호스용 연결 조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32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0264B1 (ko) * 2021-04-27 2022-03-04 한국수도관리(주) 잔수배출이 가능한 수도전 결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2804B1 (ko) 2019-06-20 2019-10-17 반태행 조인트의 연결너트 결합구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5808A (en) * 1983-07-08 1985-08-20 Dicken Manufacturing Company Check valve
KR200239709Y1 (ko) * 2001-04-14 2001-10-11 주식회사코푸렉스 호스의 연결부 구조
KR200300326Y1 (ko) 2002-10-09 2003-01-10 이홍구 회전가능한 급수용 호스
KR200438767Y1 (ko) 2007-11-06 2008-03-06 정호영 플랙시블 호스의 뒤틀림 방지용 연결 조인트
KR200461753Y1 (ko) 2009-11-12 2012-08-03 (주) 대화이에스 회전 가능한 플렉시블 호스용 연결 조인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5808A (en) * 1983-07-08 1985-08-20 Dicken Manufacturing Company Check valve
KR200239709Y1 (ko) * 2001-04-14 2001-10-11 주식회사코푸렉스 호스의 연결부 구조
KR200300326Y1 (ko) 2002-10-09 2003-01-10 이홍구 회전가능한 급수용 호스
KR200438767Y1 (ko) 2007-11-06 2008-03-06 정호영 플랙시블 호스의 뒤틀림 방지용 연결 조인트
KR200461753Y1 (ko) 2009-11-12 2012-08-03 (주) 대화이에스 회전 가능한 플렉시블 호스용 연결 조인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0264B1 (ko) * 2021-04-27 2022-03-04 한국수도관리(주) 잔수배출이 가능한 수도전 결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3260B1 (ko) 2019-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75465C (en) Combined faucet and drain assembly
KR200461753Y1 (ko) 회전 가능한 플렉시블 호스용 연결 조인트
US4850617A (en) Self sealing connector
KR102304858B1 (ko) 꼬임방지 기능을 갖는 수도배관용 고압호스 연결구
US20150089736A1 (en) Bathtub drain and overflow kit
CA2661948C (en) Adjustable locking spout shank
KR101973260B1 (ko) 회전 가능한 고압 호스용 연결 조인트
JPH0893010A (ja) 水栓の固定構造
KR101917803B1 (ko) 호스 꼬임 방지구조를 갖는 호스 연결구
CN108953793A (zh) 一种建筑装修用的水管接头结构
KR200452046Y1 (ko) 수도꼭지용 호스-커플링장치
KR101791816B1 (ko) 수전금구 조립용 고정샤워기의 연결관
KR200483179Y1 (ko) 수전 연결구
KR200438767Y1 (ko) 플랙시블 호스의 뒤틀림 방지용 연결 조인트
KR200475077Y1 (ko) 관 연결구
KR101950155B1 (ko) 밸브 위치 조절이 가능한 앵글밸브
JP4176445B2 (ja) 保護キャップ付配管継手
US1026632A (en) Bath or basin fitting.
US20060214424A1 (en) Coupling for faucet
JP2003227590A (ja) 継 手
CN220814104U (zh) 埋墙式水龙头的出水组件
TWM595182U (zh) 管接頭裝置
JP4621520B2 (ja) 水道用継手及び水栓
KR20190013549A (ko) 앵글밸브
CN214833147U (zh) 一种龙头台上快速安装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