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9771B1 - 세면기 배수관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세면기 배수관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9771B1
KR101169771B1 KR1020120025500A KR20120025500A KR101169771B1 KR 101169771 B1 KR101169771 B1 KR 101169771B1 KR 1020120025500 A KR1020120025500 A KR 1020120025500A KR 20120025500 A KR20120025500 A KR 20120025500A KR 101169771 B1 KR101169771 B1 KR 101169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member
drain
drain pipe
coupled
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5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봉
Original Assignee
제노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노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노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5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97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9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9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4Wash-basins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03C1/1222Arrangements of devices in domestic waste water pipe-lin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관에 배수관 연결장치의 상부결합부재를 결합하고, 상기 배수관 연결장치의 하부결합부재에 트랩의 단부를 결합하여 설치하므로, 설치작업이 간소화되어 작업능률의 향상으로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수관 연결장치의 저장공간에 담수된 물 및 저장공간에 담수된 역류방지편에 의해 트랩으로 역류되는 악취의 차단할 수 있으므로 안정감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세면기 배수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세면기 배수관 연결장치{A washbowl pipe connection device}
본 발명은 세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면기의 배수관 및 트랩을 용이하면서도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트랩으로 역류되는 악취를 차단하는 배수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이나 사무실 및 공공장소의 욕실 또는 화장실에는 손을 씻을 수 있는 세면기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세면기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면기(11)의 설치공(미도시)에 배수플러그(13)가 삽입된 드레인밸브(12)를 설치하여 하부로 돌출되도록 하고, 상기 설치공(미도시) 하부로 돌출된 드레인밸브(12)에 체결너트(12')를 체결하여 고정시킨 후, 상기 드레인밸브(12)에 배수관(14')이 돌출된 킥 박스(14)를 체결하여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킥 박스(14)의 측방으로 상기 배수플러그(13)의 하단부와 킥 레버(15)의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킥 레버(15)의 타단부는 노브(17)가 결합된 리프트 레버(16)가 결합되며, 상기 배수관(14')에 'U'자 및 'S'자의 트랩(18)을 슬립너트(19)로 체결하여 결합된다.
그러나 상기의 배수장치는, 배수관과 트랩을 슬립너트로 체결하여 고정하나, 세면기 하부의 공간이 좁아 작업자가 용이하게 작업할 수 없으므로 작업능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좁은 공간에서는 슬립너트를 회전시키는 공구의 회전반경이 좁아 이를 반복하여 회전시켜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늘어남과 아울러 슬립너트가 배수관과 트랩을 견고하게 체결하여 고정하지 못할 경우, 오수가 누수되어 배수관의 기능을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수관과 트랩을 배수관 연결장치에 의해 용이하면서도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세면기 배수관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수관 연결장치의 저장공간에 담수된 물 및 저장공간에 담수된 역류방지편에 의해 트랩으로 역류되는 악취의 차단할 수 있는 세면기 배수관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세면기 배수관 연결장치는,
세면기의 배수관과 트랩을 연결하는 장치로서,
내주면에 방사상으로 돌출된 탄성편이 배수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배수관 단부에 결합되는 상부결합부재와;
상기 상부결합부재에 결합되어 배수관의 외주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실링돌기가 밀착되는 실링부재와;
상기 상부결합부재에 결합되어 트랩의 단부가 연결되도록 설치하는 하부결합부재와;
상기 하부결합부재에 돌출리브를 수용하도록 안착되어 오수의 배수를 안내하면서 악취의 역류를 차단하는 배수안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수관에 배수관 연결장치의 상부결합부재를 결합하고, 상기 배수관 연결장치의 하부결합부재에 트랩의 단부를 결합하여 설치하므로, 설치작업이 간소화되어 작업능률의 향상으로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배수관과 트랩을 연결하는 금속의 실링너트가 필요하지 않아 실링너트의 구입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배수관 연결장치의 저장공간에 담수된 물 및 저장공간에 담수된 역류방지편에 의해 트랩으로 역류되는 악취의 차단할 수 있으므로 안정감있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세면기의 배수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단면도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 과정도
도 7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 세면기 배수관 연결장치(100)는, 세면기(11)의 배수관(14')과 트랩(18)을 연결하는 장치로서, 내주면에 방사상으로 돌출된 탄성편(112)이 배수관(14')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배수관(14') 단부에 결합되는 상부결합부재(110)가 구성되고, 상기 상부결합부재(110)에 결합되어 배수관(14')의 외주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실링돌기(121)가 밀착되는 실링부재(120)가 구성되며, 상기 상부결합부재(110)에 결합되어 트랩(18)의 단부가 연결되도록 설치하는 하부결합부재(130)가 구성되고, 상기 하부결합부재(130)에 돌출리브를 수용하도록 안착되어 오수의 배수를 안내하면서 악취의 역류를 차단하는 배수안내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상부결합부재(110)는, 내부가 관통된 몸체(111) 내주면에 방사상으로 돌출된 탄성편(112)이 구비되고, 상기 탄성편(112) 하부의 몸체(111) 내부에 실링부재(120)가 결합되는 결합공간(113)이 구비되며, 상기 몸체(111) 하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내주나사산(114)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하부결합부재(130)는, 내부가 관통되면서 상단부 외주면에 외주나사산(132)이 형성된 몸체(131)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131) 내부에 수평으로 연장되면서 상향으로 돌출되어 오수를 저장하도록 저장공간(133')이 형성된 돌출리브(133)가 구비되며, 상기 돌출리브(133)가 돌출된 몸체(131) 내주면에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배수안내부재(140)의 유동을 방지하면서 오수의 배수를 안내하는 배수안내돌기(134)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131)의 하부로 돌출되어 트랩(18)이 결합되는 결합리브(135)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배수안내부재(140)는, 상기 하부결합부재(130)에 구비된 배수안내돌기(134)에 안착되면서 내부에 오수이동공간(142)이 형성된 배수안내몸체(141)가 구비되고, 상기 배수안내몸체(141)의 하부에 만곡되게 돌출되어 하부결합부재(130)의 돌출리브(133)를 수용하면서 저장공간(133')에 위치하여 악취의 역류를 차단하는 역류방지편(143)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설치 및 사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세면기(110의 설치공(미도시)에 배수플러그(13)가 삽입된 드레인밸브(12)를 결합하여 드레인밸브(12)의 단부가 설치공(미도시) 하부로 돌출되도록 하고, 상기 설치공(미도시) 하부로 돌출된 드레인밸브(12)에 체결너트(12')를 체결하여 고정시킨 후, 상기 드레인밸브(12)에 배수관(14')이 돌출된 킥 박스(14)를 체결하여 고정한다.
상기 킥 박스(14)의 측방으로 상기 배수플러그(13)의 하단부와 킥 레버(15)의 일단부를 결합고, 상기 킥 레버(15)의 타단부는 노브(17)가 결합된 리프트 레버(16)가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결합부재(110)의 몸체(111) 내부에 형성된 결합공간(113)에 실링부재(120)를 결합하는데, 상기 실링부재(120)의 외주면이 결합공간(113)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결합된다.
상기 실링부재(120)가 상부결합부재(110)에 결합되면, 배수안내부재(140)를 하부결합부재(130)의 몸체(131)에 안착시키는데, 상기 배수안내부재(140)의 역류방지편(143)은 하부결합부재(130)의 몸체(131) 내주면에 돌출된 배수안내돌기(134)에 밀착되어 하부로 이동됨과 동시에 배수안내부재(140)의 배수안내몸체(141)가 배수안내돌기(134)에 안착되면서 배수안내부재(140)의 하부 이동이 정지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배수안내부재(140)의 역류방지편(143) 하단부는, 상기 하부결합부재(130)의 저장공간(133')에 위치함과 동시에 돌출리브(134)를 수용하며, 상기 하부결합부재(130)를 회전시켜 하부결합부재(130)의 외주나사산(132)이 상부결합부재(110)의 내주나사산(114)에 체결되면서 본 발명 배수관 연결장치(100)의 결합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이 완료된 배수관 연결장치(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관 연결장치(100)의 하부결합부재(130) 결합리브(135)를 트랩(18)의 일단부에 결합하여 체결시킨 후, 상기 배수관 연결장치(100)가 체결되지 않는 트랩(18)의 타단부를 욕실이나 화장실의 벽면에 설치된 배관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트랩(18)을 상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배수관 연결장치(100)의 상부결합부재(110)는 배수관(14')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부결합부재(110)의 몸체(111) 내주면에 돌출된 탄성편(112)이 배수관(14')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소정각도 외향으로 벌어지면서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편(112)의 단부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배수관(14')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탄성편(112)이 배수관(14') 단부에 밀착된 상태에서도 트랩(18)의 상향 회전에 따라 배수관 연결장치(100)가 배수관(14')으로 결합되면, 상기 배수관(14')의 외주면에 실링부재(120)가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실링부재(120)의 내주면에 돌출된 적어도 1개 이상의 실링돌기(121)가 배수관(14') 외주면에 견고하게 밀착되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배수관 연결장치(100)의 설치가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본 발명 배수관 연결장치(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면기(11)에 저장된 물은, 노브(17)의 가압력이 리프트 레버(16)를 통해 킥 레버(15)로 전달되면, 상기 킥 레버(15)의 타단부는 하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킥 레버(15)의 일단부는 상향으로 이동되면서 배수플러그(13)를 상향으로 이동시켜 드레인밸브(12)를 개방하고, 개방된 드레인밸브(12)를 통해 킥 박스(14)로 배수된다.
상기 킥 박스(14)로 배수된 물은 배수관(14')으로 배수됨과 동시에 배수안내부재(140)의 배수안내몸체(141)에 관통된 오수이동공간(142)을 경유하여 역류방지편(143)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역류방지편(143) 상면을 따라 이동하는 물은, 하부결합부재(130)의 배수안내돌기(134)의 돌출된 길이만큼의 역류방지편(143)과 하부결합부재(130)의 몸체(131) 내면 사이의 공간을 통해 흘러내려 저장공간(133')으로 배수되면서 돌출리브(133)를 통과하여 트랩(18)으로 배수된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세면기(11)에 저장된 물의 배수가 완료되면, 상기 저장공간(133')에 물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저장공간(133')에 역류방지편(143)의 단부가 담수되어 있으므로 트랩(18)으로 역류되는 악취를 차단하면서 안정감있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배수관 연결장치 110: 상부결합부재
120: 실링부재 130: 하부결합부재
140: 배수안내부재

Claims (4)

  1. 세면기의 배수관과 트랩을 연결하는 장치로서,
    내주면에 방사상으로 돌출된 탄성편이 배수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배수관 단부에 결합되는 상부결합부재와;
    상기 상부결합부재에 결합되어 배수관의 외주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실링돌기가 밀착되는 실링부재와;
    상기 상부결합부재에 결합되어 트랩의 단부가 연결되도록 설치하는 하부결합부재와;
    상기 하부결합부재에 돌출리브를 수용하도록 안착되어 오수의 배수를 안내하면서 악취의 역류를 차단하는 배수안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배수관 연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결합부재는,
    내부가 관통된 몸체 내주면에 방사상으로 돌출된 탄성편과;
    상기 탄성편 하부의 몸체 내부에 실링부재가 결합되는 결합공간과;
    상기 몸체 하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내주나사산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배수관 연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결합부재는,
    내부가 관통되면서 상단부 외주면에 외주나사산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에 수평으로 연장되면서 상향으로 돌출되어 오수를 저장하도록 저장공간이 형성된 돌출리브와;
    상기 돌출리브가 돌출된 몸체 내주면에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배수안내부재의 유동을 방지하면서 오수의 배수를 안내하는 배수안내돌기와;
    상기 몸체의 하부로 돌출되어 트랩이 결합되는 결합리브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배수관 연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수안내부재는,
    상기 하부결합부재에 구비된 배수안내돌기에 안착되면서 내부에 오수이동공간이 형성된 배수안내몸체와;
    상기 배수안내몸체의 하부에 만곡되게 돌출되어 하부결합부재의 돌출리브를 수용하면서 저장공간에 위치하여 악취의 역류를 차단하는 역류방지편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배수관 연결장치.
KR1020120025500A 2012-03-13 2012-03-13 세면기 배수관 연결장치 KR101169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500A KR101169771B1 (ko) 2012-03-13 2012-03-13 세면기 배수관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500A KR101169771B1 (ko) 2012-03-13 2012-03-13 세면기 배수관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9771B1 true KR101169771B1 (ko) 2012-07-31

Family

ID=46717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5500A KR101169771B1 (ko) 2012-03-13 2012-03-13 세면기 배수관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977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196B1 (ko) 2013-03-29 2014-10-06 박기봉 세면대용 폽업장치
KR20160002081U (ko) * 2014-12-08 2016-06-16 김기옥 세면대용 배수관 연결구조
KR101694497B1 (ko) * 2016-07-11 2017-01-10 주식회사 임창 역류차단 기능이 강화된 배수관과 트랩관의 체결장치
KR102089765B1 (ko) 2019-08-27 2020-03-16 문면곤 패킹
KR102182877B1 (ko) * 2019-09-20 2020-11-25 김춘자 변기용 스퍼드 결합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3970Y1 (ko) 2000-11-29 2001-05-15 정점기 세면기의 배수트랩
KR100880460B1 (ko) 2007-05-22 2009-01-30 주식회사 청완 세면욕조실 이중 배수관 배수 시스템
JP2011032656A (ja) 2009-07-30 2011-02-17 Takiron Co Ltd ソケット部材とそれを用いた配管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3970Y1 (ko) 2000-11-29 2001-05-15 정점기 세면기의 배수트랩
KR100880460B1 (ko) 2007-05-22 2009-01-30 주식회사 청완 세면욕조실 이중 배수관 배수 시스템
JP2011032656A (ja) 2009-07-30 2011-02-17 Takiron Co Ltd ソケット部材とそれを用いた配管構造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196B1 (ko) 2013-03-29 2014-10-06 박기봉 세면대용 폽업장치
KR20160002081U (ko) * 2014-12-08 2016-06-16 김기옥 세면대용 배수관 연결구조
KR200480792Y1 (ko) * 2014-12-08 2016-07-07 김기옥 세면대용 배수관 연결구조
KR101694497B1 (ko) * 2016-07-11 2017-01-10 주식회사 임창 역류차단 기능이 강화된 배수관과 트랩관의 체결장치
KR102089765B1 (ko) 2019-08-27 2020-03-16 문면곤 패킹
KR102182877B1 (ko) * 2019-09-20 2020-11-25 김춘자 변기용 스퍼드 결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9771B1 (ko) 세면기 배수관 연결장치
US20150000022A1 (en) Popup Installation Structure for a Sink and Installation Method
JP6446629B2 (ja) 管体の接続構造
KR101674159B1 (ko) 욕조 배수장치
KR101619353B1 (ko) 세면기의 트랩배관 설치장치
JP6029130B2 (ja) 排水トラップ
KR101636536B1 (ko) 양변기의 탱크와 본체의 결합구조
KR200165466Y1 (ko) 세면대용 수도전
KR101177493B1 (ko) 배관 연결구조
KR101208089B1 (ko) 배수트랩의 결합구조
RU2751915C2 (ru) Санитарно-техническая сливная арматура
KR101186776B1 (ko) 배수관 고정구를 구비한 세면대 배수장치
KR20090037513A (ko) 세면대의 배수안내장치
KR101256571B1 (ko) 소변기의 배수장치
JP5200254B2 (ja) 接続構造
KR200165467Y1 (ko) 세면대 및 좌변기용 밸브
KR101447196B1 (ko) 세면대용 폽업장치
KR20140088429A (ko) 배수 트랩
KR101694497B1 (ko) 역류차단 기능이 강화된 배수관과 트랩관의 체결장치
KR100758544B1 (ko) 세면대의 배수구 개폐장치
KR101713125B1 (ko) 세면기용 폽업장치
JP4916674B2 (ja) 配管固定具
KR101243894B1 (ko) 위생기의 트랩과 오배수관의 연결구조
JP6446630B2 (ja) 排水口と排水部材の取付構造
KR200444553Y1 (ko) 세면대 배수관의 보호커버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