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2328U - 세면기용 팝업밸브의 배수연결관 구조 - Google Patents

세면기용 팝업밸브의 배수연결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2328U
KR20080002328U KR2020060032572U KR20060032572U KR20080002328U KR 20080002328 U KR20080002328 U KR 20080002328U KR 2020060032572 U KR2020060032572 U KR 2020060032572U KR 20060032572 U KR20060032572 U KR 20060032572U KR 20080002328 U KR20080002328 U KR 2008000232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pop
nut
pipe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25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연
Original Assignee
김광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연 filed Critical 김광연
Priority to KR20200600325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2328U/ko
Publication of KR200800023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232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4Wash-basins connected to the waste-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벽부착식 또는 스탠드형 세면기(1)에서 물의 담수와 배수에 필요한 밸브기능을 담당하는 팝업밸브(110, Pop-up valve)의 하부 배수연결관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팝업밸브(110)의 하부에 설치되는 배수연결관 설치 작업시, 회전팁(114)이 형성된 패킹너트(113)를 구성하여 작업자가 수동으로 패킹너트(113)를 용이하게 조일수 있음은 물론, 팝업레버(123)가 설치되는 T형관(121)을 역너트(120)와 일체로 구성하여 편리한 설치뿐 아니라 누수 방지를 극대화 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통상 배수트랩과 연결되는 배수관(130)을 수밀하면서도 간단하게 설치하기 위해 결합너트(131)와 제2오링(132)을 통해 배수관(130)을 T형관(121)의 하부에 설치하도록 한 것이다.
팝업밸브, 회전팁, 세면기

Description

세면기용 팝업밸브의 배수연결관 구조{Structure of drainpipe for pop-up valve of washbowl}
도 1은 본 고안의 설치 일반도
도 2는 종래 세면기용 팝업밸브의 배수연결관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세면기용 팝업밸브의 배수연결관 분리 사시도
도 4a는 본 고안중 역너트 및 T형관의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A-A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배수관의 설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세면기
10 : 팝업밸브
11 : 밸브실
11a : 수나사부
12 : 패킹
13 : 패킹너트
20 : 역너트
21 : T형관
22 : 레버조정실
23 : 팝업레버
30 : 배수관
30a : 수나사부
110 : 팝업밸브
111 : 밸브실
111a : 수나사부
112 : 패킹
113 : 패킹너트
114 : 회전팁
120 : 역너트
121 : T형관
121a : 걸림홈
122 : 레버조정실
123 : 팝업레버
124 : 제1오링
125 : 걸림턱
130 : 배수관
131 : 결합너트
132 : 제2오링
본 고안은 벽부착식 또는 스탠드형 세면기(1)에서 물의 담수와 배수에 필요한 밸브기능을 담당하는 팝업밸브(110, Pop-up valve)의 하부 배수연결관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팝업밸브(110)의 하부에 설치되는 배수연결관 설치 작업시, 회전팁(114)이 형성된 패킹너트(113)를 구성하여 작업자가 수동으로 패킹너트(113)를 용이하게 조일수 있음은 물론, 팝업레버(123)가 설치되는 T형관(121)을 역너트(120)와 일체로 구성하여 편리한 설치뿐 아니라 누수 방지를 극대화 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통상 배수트랩과 연결되는 배수관(130)을 수밀하면서도 간단하게 설치하기 위해 결합너트(131)와 제2오링(132)을 통해 배수관(130)을 T형관(121)의 하부에 설치하도록 한 것이다.
도 2는 종래 세면기(1)용 팝업밸브(10)의 배수연결관의 분리 사시도로서, 팝업밸브(10)가 삽입된 밸브실(11)을 세면기(1)에 장착한다. 이때 세면기(1) 저부에는 밸브실(11)을 수밀하게 정착하기 위해 고무 패킹(12)을 밸브실(11)의 수나사부(11a)에 끼우고 패킹너트(13)를 통해 조여준다.
또한, 팝업밸브(10)를 작동하는 팝업레버(23)가 T형관(21)에 장착되는데, 이 T형관(21)은 역너트(20)와 함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킹너트(13)의 직하방에 설치되되, T형관(21)의 레버조정실(22)이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벽면을 향해 설치되도록 한다.
T형관(21)의 레버조정실(22)이 벽면을 향해 위치되면, 역너트(20)를 역회전시켜 T형관(21)의 상부를 조여주어 고정한다.
도 2와 같이 T형관(21)의 직하방에는 배수관(30)이 설치된다. 배수관(30)의 수나사부(30a)에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실링테이프를 먼저 감고 T형관(21)에 나사결합하면 팝업밸브(10)의 배수연결관이 완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구성중 패킹너트(13)의 경우 별도의 손잡이가 없는 관계로 공구를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또한 역너트(20)와 T형관(21)이 분리되어 있는바, 역너트(20)와 T형관(21)을 개별적으로 밸브실(11)에 나사결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배수관(30)을 T형관(21)에 연결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실링테이프를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감아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본 고안 에서는 패킹너트에 회전팁을 형성하여 별도의 공구없이 패킹너트를 작업자가 조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T형관과 역너트를 일체로 구성하여 역너트와 T형관을 개별적으로 밸브실에 나사결합해야 하는 불편함을 개선한다. 한편, T형관에 연결하는 배수관을 결합너트와 제2오링을 통해 연결하도록 하여 종래 실링테이프를 배수관의 수나사부에 감아야 하는 수작업을 생략하여 작업의 간소화를 도모한다.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기술구성 및 효과를 첨부된 종래의 도면과 본 고안의 도면을 대조하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부착식 또는 스탠드형 세면기(1)에서 물의 담수와 배수에 필요한 밸브기능을 담당하는 팝업밸브(110, Pop-up valve)의 하부 배수연결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도 2와 같이 팝업밸브(10)가 삽입된 밸브실(11)을 세면기(1)에 수밀하게 정착시키고자, 세면기(1) 저부로 돌출된 밸브실(11)의 수나사부(11a)에 고무 패킹(12)을 끼우고 패킹너트(13)를 공구를 이용하여 조여주었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작업의 신속성을 기하고자 도 3 및 도 5와 같이, 고무 패킹(112)을 가압하는 패킹너트(113)에 작업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회전팁(114)을 형성하여 별도의 공구 없이도 밸브실(111)을 세면기(1)에 정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종래에는 팝업밸브(10)를 작동하는 팝업레버(23)가 T형관(21)에 장착되는데, 이 T형관(21)은 역너트(20)와 함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킹너트(13)의 직하방에 설치된다.
이 T형관(21)은 통상 T형관(21)의 레버조정실(22)이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벽면을 향해 설치되도록 하며, 레버조정실(22)이 벽면을 향해 위치되면, 이미 밸브실(11)의 수나사부(11a)에 끼워진 역너트(20)를 역회전시켜 T형관(21)의 상부를 조여주어 레버조정실(22)이 벽면을 향한 상태로 T형관(21)이 고정되게 한다.
그러나, 상기 T형관(21)과 역너트(20)가 동반작업을 수행하는 한세트임에도 불구하고, 별개로 분리되어 있는바, 종래에는 도 2와 같이 밸브실(11)에 역너트(20)를 먼저 나사결합하고 이어서 T형관(21)을 나사결합하므로 작업에 번거로운 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T형관(121)과 역너트(120)를 일체로 구성함에 따라, 작업의 신속성을 구현하도록 개선한 것이다.
즉, 도 4a와 같이 T형관(121)의 상부에 걸림홈(121a)을 형성하고, 이 걸림홈(121a)에 역너트(120)의 걸림턱(125) 부분을 조립되는 방식으로 T형관(121)과 역너트(120)를 일체로 구성한다. 또한, 역너트(120) 내부에 제1오링(124)을 삽입하여 T형관(121)과 역너트(120)의 조립부분에서 누수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한다.
한편, 종래에는 도 2와 같이 수나사부(30a)가 형성된 배수관(30)이 T형관(21)의 직하방에 설치된다. 이 배수관(30)은 T형관(21) 내부에 수밀하게 나사결합되어야 하는바, 먼저 수나사부(30a)에 실링테이프를 감아야 하는 작업상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나사결합 방식임을 고려할 때, 배수관(30)에 수나사부(30a)를 사전에 가공해야 하므로, 생산 공정의 단순화 측면에서 개선되어야 하는 사항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수나사부가 배제된 배수관(130)과 제2오링(132)이 삽 입된 결합너트(131)를 사용하여 도 3, 5에서와 같이 배수관(130)을 T형관(121)의 직하방에 결합되게 한다.
즉, 제2오링(132)이 삽입된 결합너트(131)에 나사가공 등 어떠한 사전 가공도 단연 배제된 배수관(130)을 결합하고, T형관(121)에 결합너트(131)를 통해 나사결합하면 본 고안에 따른 세면기(1)용 팝업밸브(110)의 배수연결관의 완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2오링(132)은 나사결합시 수밀을 유지하고자 삽입된다.
결국, 본 고안의 기술요지는 세면기(1)용 팝업밸브(110)의 배수연결관 구조에 있어서, 세면기(1)의 저부에는 팝업밸브(110)가 삽입된 밸브실(111)의 수나사부(111a)를 수밀하게 조여주는 회전팁(114)이 형성된 패킹너트(113)가 나사결합되고, 패킹너트(113)의 직하방에는 제1오링(124)이 삽입되고, 걸림턱(125)이 형성된 역너트(120)와 걸림홈(121a)이 형성된 T형관(121)이 일체로 구성되어 밸브실(111)의 수나사부(111a)에 나사결합되며, T형관(121)의 직하방에는 제2오링(132)이 삽입된 결합너트(131) 내부로 나사가공이 배제된 배수관(130)이 삽입되어 결합너트(131)를 통해 T형관(121)에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용 팝업밸브의 배수연결관 구조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을 통하면 패킹너트 결합시 별도의 공구가 필요없게 됨은 물론, T형관 및 역너트가 일체화됨에 따라 조립작업시의 공정이 단순화 되며, 또한 배수관 연결시 나사가공이 배제된 어떠한 종류의 배관이라도 결 합너트의 호칭치수에만 맞으면 사용 가능한 작업상의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세면기(1)용 팝업밸브(110)의 배수연결관 구조에 있어서,
    세면기(1)의 저부에는 팝업밸브(110)가 삽입된 밸브실(111)의 수나사부(111a)를 수밀하게 조여주는 회전팁(114)이 형성된 패킹너트(113)가 나사결합되고,
    패킹너트(113)의 직하방에는 제1오링(124)이 삽입되고, 걸림턱(125)이 형성된 역너트(120)와 걸림홈(121a)이 형성된 T형관(121)이 일체로 구성되어 밸브실(111)의 수나사부(111a)에 나사결합되며,
    T형관(121)의 직하방에는 제2오링(132)이 삽입된 결합너트(131) 내부로 나사가공이 배제된 배수관(130)이 삽입되어 결합너트(131)를 통해 T형관(121)에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용 팝업밸브의 배수연결관 구조.
KR2020060032572U 2006-12-27 2006-12-27 세면기용 팝업밸브의 배수연결관 구조 KR2008000232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2572U KR20080002328U (ko) 2006-12-27 2006-12-27 세면기용 팝업밸브의 배수연결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2572U KR20080002328U (ko) 2006-12-27 2006-12-27 세면기용 팝업밸브의 배수연결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328U true KR20080002328U (ko) 2008-07-03

Family

ID=41490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2572U KR20080002328U (ko) 2006-12-27 2006-12-27 세면기용 팝업밸브의 배수연결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2328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608Y1 (ko) * 2009-09-14 2011-05-16 허용 너트 일체형 배수관
KR101402480B1 (ko) * 2012-11-06 2014-06-03 서상봉 세면대용 팝업 관연결장치
KR20140146027A (ko) 2014-11-19 2014-12-24 김창환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
KR20200016156A (ko) 2018-08-06 2020-02-14 주식회사 아이비코리아 위생기구용 원터치 너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608Y1 (ko) * 2009-09-14 2011-05-16 허용 너트 일체형 배수관
KR101402480B1 (ko) * 2012-11-06 2014-06-03 서상봉 세면대용 팝업 관연결장치
KR20140146027A (ko) 2014-11-19 2014-12-24 김창환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
KR20200016156A (ko) 2018-08-06 2020-02-14 주식회사 아이비코리아 위생기구용 원터치 너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63131A1 (en) System for pressure testing waste and overflow from a bathtub
US5577530A (en) Partially recessed valve fixture for connection to faucets and commodes
US7017199B2 (en) Plumbing fitting cover cap retention
US7562605B2 (en) Drain and strainer wrench
JPS63312435A (ja) 洗面台や洗し台などの組合せコック
JP5528184B2 (ja) 排水ますの継手手段に適用される着脱機構
KR20080002328U (ko) 세면기용 팝업밸브의 배수연결관 구조
US200601235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attaching a drain assembly to a plumbing fixture
US7373674B1 (en) Tub spout installation system
KR200409569Y1 (ko) 상부에서 수전설치가 가능토록 된 고정구
JP2017519926A (ja) 取り付け簡単な蛇口構造
KR20140023093A (ko) 세면대용 정수기 출수장치
KR101645645B1 (ko) 설치와 분리가 용이한 수전의 결합구조
US5277226A (en) Water line adapter
JP6029130B2 (ja) 排水トラップ
JP6441758B2 (ja) 湯水混合栓への給水および給湯ホース組付け機構
CN209873978U (zh) 下水器
KR101950155B1 (ko) 밸브 위치 조절이 가능한 앵글밸브
KR100478083B1 (ko) 보조공급수 연결용 튜브가 접속되는 수도꼭지 연결구
KR200474544Y1 (ko) 세면대의 자동팝업 배관 연결장치
CA2648129A1 (en) System for pressure testing waste and overflow from a bathtub
JP7253686B2 (ja) 排水口部材の治具
JP2007247170A (ja) 消火設備の配管接続装置
KR20070006185A (ko) 수전함
JP5285351B2 (ja) 排水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