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2292B1 - 배수 트랩 - Google Patents

배수 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2292B1
KR101152292B1 KR1020100081802A KR20100081802A KR101152292B1 KR 101152292 B1 KR101152292 B1 KR 101152292B1 KR 1020100081802 A KR1020100081802 A KR 1020100081802A KR 20100081802 A KR20100081802 A KR 20100081802A KR 101152292 B1 KR101152292 B1 KR 101152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p
drain
housing
pip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1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8866A (ko
Inventor
이은권
Original Assignee
엔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1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2292B1/ko
Publication of KR20120018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8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2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2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 트랩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트랩은, 상측에 트랩 수납부(112)가 형성된 서포터(110), 상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컨테이너 유닛(122)이 마련되고 컨테이너 유닛(122)의 한쪽에 컨테이너 유닛(122)의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 복수 개의 진입관체(124)가 형성되며 컨테이너 유닛(122)의 하측에 트랩 고정부(126)가 형성되어 트랩 고정부(126)는 트랩 수납부(112)에 수납되고 복수 개의 진입관체(124)를 통하여 오수가 유입되는 트랩 하우징(120), 컨테이너 유닛(122)에 관체(152)의 일부가 삽입되고 관체(152)의 한쪽에 관체(152)의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 복수 개의 진입관체(124)의 진입방향과 순방향으로 배출 관체(156)가 형성된 드레인 하우징(150) 및 드레인 하우징(150)의 상측에 배치되고 하측 일부가 드레인 하우징(150)을 관통되며 트랩 하우징(120)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측에서 유입되는 오수를 트랩 하우징(120)쪽으로 내보내는 맨홀 유닛(16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배수 트랩 {The drain trap}
본 발명은 배수 트랩 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오수(汚水) 발생원(發生原)으로부터 유입되는 오수를 배수 트랩 에서 집수하여 오폐수 하수관 쪽으로 배수할 수 있도록 하는 배수 트랩 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에 세면대, 욕조 또는 샤워 부스, 다용도 수도 등이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다양한 요소에서 오수가 발생될 수 있다.
상술한 오수는 각각의 오수원에 집수되어 배관을 따라 하수구로 배출되고, 배관의 한쪽에는 오수의 역류를 방지하거나,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수 트랩 이 설치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공동주택의 경우에는 수직방향으로 메인 오수관이 설치되고, 그 메인 오수관은 하수구 또는 정화조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술한 각각의 오수원은 상술한 메인 오수관으로 배관될 수 있고, 메인 오수관으로 유입되는 관로의 한쪽에는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배수 트랩 이 설치될 수 있다.
즉, 배수 트랩은 각종 오염원으로부터 집수되고 메인 오수관 쪽으로 배출하게 되는데, 이때 배수트랩 에는 물이 일정한 레벨 이상으로 채워져야 하고 이로써 봉수(封水)가 유지되어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배수 트랩은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수분이 증발하여 봉수가 파괴되므로 봉수가 쉽게 파괴되지 않는 배수트랩 이 요구된다.
또한, 하나의 배수트랩 에 여러 곳의 오염원이 관로로 연결됨으로써 배수트랩 이 비대해지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배수트랩 의 크기 커짐에 따라 배수트랩의 생산과 유통의 과정에서 많은 비용이 지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봉수(封水)의 파괴를 최소화하고, 배수트랩 에 여러 개의 오염원으로부터 관로가 연결되더라도 배수트랩 의 외형적인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배수 트랩 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트랩은, 건축물 층간에 매립되고 상측에 트랩 수납부가 형성된 서포터; 상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컨테이너 유닛이 마련되고 상기 컨테이너 유닛의 한쪽에 상기 컨테이너 유닛의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 복수 개의 진입관체가 형성되며 상기 컨테이너 유닛의 하측에 트랩 고정부가 형성되어 상기 트랩 고정부는 상기 트랩 수납부에 수납되고 상기 복수 개의 진입관체를 통하여 오수가 유입되는 트랩 하우징; 상기 컨테이너 유닛에 관체의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관체의 한쪽에 상기 관체의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 상기 복수 개의 진입관체의 진입방향과 순방향으로 배출 관체가 형성된 드레인 하우징; 및 상기 드레인 하우징의 상측에 배치되고 하측 일부가 상기 드레인 하우징에 관통되며 상기 트랩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측에서 유입되는 오수를 상기 트랩 하우징 쪽으로 내보내는 맨홀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출관체의 단부에 구비되어 드레인 배관을 고정시키도록 하는 파이프 피팅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진입 관체에 조립되어 오수 유입을 위한 진입 오수관을 배관하도록 하고 일측에 건축물 층간에 구비되는 철근 구조물과 결속하도록 하는 결속 그루브가 형성된 복수 개의 엘보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레인 하우징은, 상기 관체의 외경에 형성되어 상기 관체가 상기 컨테이너 유닛에 삽입되는 한계를 제한하도록 하는 플랜지;가 더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트랩은 배수트랩 의 내부에 일정량의 이상의 물이 채워져 있을 수 있고, 이러한 물이 모두 증발하기 까지는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이므로 봉수(封水)가 쉽게 파괴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트랩은 트랩 하우징의 측방에 진입 관체가 형성됨으로써 트랩 하우징의 크기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이로써 배수트랩의 생산과 유통에 있어서 비용적인 측면에서 종래의 배수 트랩 에 비교하여 유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트랩은 종래의 배수트랩 에 비교하여 구성품이 간소화됨으로써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고, 취급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트랩 을 설명하기 위한 조립상태의 사시도면, 분해 사시도면 및 배면방향에서 바라 본 사시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트랩 의 시공 사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트랩 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단면도 및 개략평면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트랩 (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트랩 (100)을 설명하기 위한 조립상태의 사시도면, 분해 사시도면 및 배면방향에서 바라 본 사시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랩 (100)은 서포터(110)의 상측에 트랩 하우징(120)이 설치되고, 상술한 트랩 하우징(120)에는 드레인 하우징(150)이 설치되며, 상술한 드레인 하우징(150)의 상측에는 맨홀 유닛(160)이 설치되고 상술한 맨홀 유닛(160)의 하측 일부는 상술한 드레인 하우징(150)을 관통하여 상술한 트랩 하우징(1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서포터(110)는 상측에 브래킷 트랩 수납부(112)가 형성되고, 외측에 복수 개의 브래킷(114)이 형성되며, 상술한 복수 개의 브래킷(114)은 건축물에 배수 트랩 (100)을 시공할 때에 거푸집에 못 등을 박아 서포터(110)를 고정시키는 데에 이용된다.
즉, 상술한 서포터(110)는 건축물을 시공할 때에 건축물 층간(12)에 매립되는 형태로 고정되는 것이다.
트랩 하우징(120)은 상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컨테이너 유닛(122)이 마련되고 상술한 컨테이너 유닛(122)의 한쪽에 상술한 컨테이너 유닛(122)의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 복수 개의 진입관체(124)가 형성되며 상술한 컨테이너 유닛(122)의 하측에 트랩 고정부(126)가 형성된다.
상술한 트랩 고정부(126)는 상기 트랩 수납부(112)에 수납되는 것이다.
상술한 복수 개의 진입관체(124)에는 오수가 유입될 각종 배관이 연결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컨테이너 유닛(122)의 주연부에는 방수 유닛(128)이 더 구비될 수 있고, 방수 유닛(128)은 컨테이너 유닛(122)의 외경보다 넓게 버킷 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트랩하우징(120)을 시공 완료하였을 때에 오수의 일부가 컨테이너 유닛(122)의 외부로 넘치더라도 그러한 오수가 방수 유닛(128)의 내부로 집수되어 건축물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드레인 하우징(150)은 상술한 컨테이너 유닛(122)에 관체(152)의 일부가 삽입되고 상술한 관체(152)의 한쪽에 상술한 관체(152)의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 상술한 복수 개의 진입관체(124)의 진입방향과 순방향으로 배출 관체(156)가 형성된다.
상술한 순방향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부연설명한다.
진입관체(124)에서 유체가 유입되면 유입되는 방향으로 트랩 하우징(120)의 내부에서 회전이동 하게 되고 트랩 하우징(120)의 내부에 오수가 차오르면 넘치는 오수는 배출관체(156)를 통하여 배출되는데 이때 회전되는 방향이 유지되므로 배출관체(156)의 방향이 상술한 유체가 이동되는 방향에 순응하는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오수의 배출이 더욱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관체(152)의 외경에 플랜지(154)가 형성될 수 있고, 이로써 상술한 관체(152)의 관체일부(152a)가 상술한 컨테이너 유닛(122)에 삽입될 때에 삽입되는 한계를 제한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술한 관체(152)가 상술한 컨테이너 유닛(122)에 삽입되더라도 관체일부(152a)는 상술한 진입관체(124)를 막지 않아 오수 유입에 방해되지 않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복수 개의 진입 관체(124)에 엘보 유닛(130)이 더 구비될 수 있고, 상술한 엘보 유닛(130)은 오수 유입을 위한 진입 오수관(10)을 배관할 수 있으며, 엘보 유닛(130)의 일측에는 결속 그루브(132)가 더 형성되어 결속 그루브(132)는 건축물 층간에 구비되는 철근 구조물과 결속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엘보 유닛(130)의 상측에는 방수 유닛이 구비되어 있고, 이러한 방수 유닛은 상술한 트랩 하우징(120)의 방수 유닛(128)과 동일한 기술적 사상으로 구성되는 것인바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것으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술한 엘보 유닛(130)에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회 엘보 유닛(140)을 더 구비할 수 있고, 선회 엘보 유닛(140)의 하측 일부가 상술한 엘보 유닛(130)에 결속되며 이때 선회 엘보 유닛(140)의 방향을 작업자의 의도에 따라 작업 현장에 조화를 이루도록 설정되고, 선회 엘보 유닛(140)의 다른 한쪽에는 오수 유입 관로(142)가 조립된다.
한편, 상술한 배출관체(156)의 단부에 파이프 피팅 유닛(158)이 더 구비될 수 있고, 파이프 피팅 유닛(158)은 드레인 배관(159)을 더욱 쉽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술한 파이프 피팅 유닛(158)은 너트를 조임으로써 콜릿 유닛의 내경이 좁아지고 콜릿 유닛의 내경에 상술한 드레인 배관(159)이 배치됨으로써 너트를 조여 드레인 배관(159)을 고정시키는 구성이다.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관체(152)를 컨테이너 유닛(122)에 삽입시킨 후에 배출관체(156)의 방향을 설정할 필요가 있을 수 있고, 배출 관체(156)의 방향을 설정하고자 할 때에는 드레인 하우징(150)을 돌려가며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관체(152)의 관체일부(152a)의 외측에는 패킹이 구비되거나 접착제 등이 도포될 수 있고, 이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드레인 하우징(150)의 방향이 설정된 이후에 접착제가 굳으면 트랩 하우징(120)에 드레인 하우징(150)이 방수되는 상태로 고정되는 것이다.
맨홀 유닛(160)은 상술한 드레인 하우징(150)의 상측에 배치되고 하측 일부가 상술한 드레인 하우징(150)에 관통되며 상술한 트랩 하우징(120)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측에서 유입되는 오수를 상기 트랩 하우징(120)쪽으로 내보내게 된다.
상술한 맨홀 유닛(160)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부연설명한다.
맨홀 유닛(160)은 배수 트랩(100)이 시공되는 건축물 층간(12)에서 바닥면으로부터 유입되는 오수를 집수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상측은 건축물 층간(12)의 바닥면과 동일한 높이로 시공될 수 있다.
또한, 맨홀 유닛(160)은 센터 파이프(166)의 상측에 그릴(164)이 구비되는데 그릴(164)은 육안으로 보이는 부분임으로 인테리어적인 측면 또는 현장상황에 적합하도록 설치되는 위치를 가변시킬 필요가 있고, 이러한 때에는 위치조절 유닛(162)을 이용하게 된다.
상술한 위치조절 유닛(162)은 센터 파이프(166)의 상측에 슬라이드 레일이 구비되고 상술한 그릴(164)의 하측에는 슬라이드가 구비되어 센터 파이프(166)가 상술한 드레인 하우징(150)에 고정되어 위치가 확정되더라도 그릴(164)의 최종위치는 작업자의 의도에 따라 가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센터 파이프(166)의 하측에는 센터 파이프 배출구(168)가 형성되고 센터 파이프(166)의 외측에는 거름 유닛(170)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센터 파이프 배출구(168)는 맨홀 유닛(160)을 배수 트랩(100)에 조립하였을 때에 컨테이너 유닛(122)의 바닥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으로 맨홀 유닛(160)으로부터 유입된 오수는 센터 파이프 배출구(168)에서 배출되어 컨테이너 유닛(122)과 드레인 하우징(150)의 내부에서 순환하면서 차올라 배출 관체(156) 쪽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술한 거름 유닛(170)은 가시 형상의 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오수에 포함된 실오라기나 머리카락 등이 거름 유닛(170)에 걸리도록 하는 것이며, 맨홀 유닛(160)에서 센터 파이프(166)를 드러내면 거름 유닛(170)이 함께 꺼내지는 것으로 머리카락이나 실오라기 등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트랩(100)의 시공을 첨부도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트랩 (100)의 시공 사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욕실에는 세면대(20), 욕조(30), 다용도 수도 등이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시설은 각각 인입 오수관(10)으로 연결되어 배수 트랩(100)에 연결된다.
또한, 상술한 다양한 시설을 이용함으로써 오수가 발생하며 발생한 오수는 인입 오수관(10)을 통하여 배수트랩(100)에 집수될 수 있으며, 이때 오수는 트랩 하우징(120)의 측방에 형성된 진입관체(124)를 통하여 유입되고, 건축물 층간(12)의 바닥으로부터 유입되는 오수는 맨홀 유닛(160)을 통하여 유입되는 것이다.
이하, 배수 트랩(100)의 내부에서 오수가 유입되고 배출되는 작용을 첨부도면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트랩 (100)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단면도 및 개략평면도면이다.
진입 관체(124)를 통하여 유입되는 오수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랩 하우징(120)의 바닥쪽으로 유입되어 차오르고 일정한 레벨(L)이상으로 넘치면 배수 관체(156)를 통하여 배출된다.
또한, 상측에서 유입될 오수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맨홀 유닛(160)을 통하여 센터 파이프(166)에 형성된 센터 파이프 배출구(168)를 통하여 트랩 하우징(120)의 바닥 쪽으로 유입되어 차오르고 일정한 레벨(L)이상으로 넘치면 배수 관체(156)를 통하여 배출된다.
또한, 상술한 진입관체(124)를 통하여 유입된 오수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수가 진입된 방향 그대로 계속 이동하고, 일례로서 트랩 하우징(120)의 상면을 평면으로 하는 평면도을 살펴보면, 상술한 오수는 트랩 하우징(120)의 내부로 유입되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후 오수가 계속 유입되면 차올라 배수 관체(156)로 배출하게 되는데 이때 배수관체(156)는 오수가 회전하는 방향에 순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오수의 배출에 유리하게 된다.
따라서 오수가 배출될 때에 유속이 감속되지 않고 유입될 때의 속도를 유지하면서 배출되므로 오수의 신속한 배출이 구현되는 것이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트랩 (100)은 배수트랩 (100)의 내부에 일정량의 레벨(L) 이상의 물이 채워져 있을 수 있고, 이러한 물이 모두 증발하기 까지는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이므로 채워진 물은 각각의 진입 관체(124)와 센터 파이프(166)를 막고 있어 악취가 역류하지 않게 되는 것이고, 물의 량이 많음으로써 봉수(封水)가 쉽게 파괴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트랩 (100)은 트랩 하우징(120)의 측방에 진입 관체(124)가 형성됨으로써 트랩 하우징(120)의 크기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이로써 배수트랩의 생산과 유통에 있어서 비용적인 측면에서 종래의 배수 트랩 에 비교하여 유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트랩 (100)은 종래의 배수트랩 에 비교하여 구성품이 간소화됨으로써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고, 취급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트랩은 욕실에 시공되어 여러 곳의 오염원으로부터 오수를 집수하여 메인 오수관으로 배출하도록 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10: 진입 오수관 12: 건축물 층간
20: 세면대 30: 욕조
40: 메인 오수관 L: 봉수 레벨
100: 배수 트랩 110: 서포터
112: 트랩 수납부 120: 트랩 하우징
122: 컨테이너 유닛 124: 진입 관체
126: 트랩 고정부 130: 엘보 유닛
132: 결속 그루브 140: 선회 엘보 유닛
142: 오수유입 관로 150: 드레인 하우징
152: 관체 152a: 관체일부
154: 플랜지 156: 배출 관체
158: 파이프 피팅 유닛 159: 드레인 배관
160: 맨홀 유닛 162: 위치조절 유닛
164: 그릴 166: 센터 파이프
168: 센터 파이프 배출구 170: 거름 유닛

Claims (4)

  1. 상측에 트랩 수납부(112)가 형성된 서포터(110);
    상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컨테이너 유닛(122)이 마련되고 상기 컨테이너 유닛(122)의 한쪽에 상기 컨테이너 유닛(122)의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 복수 개의 진입관체(124)가 형성되며 상기 컨테이너 유닛(122)의 하측에 트랩 고정부(126)가 형성되어 상기 트랩 고정부(126)는 상기 트랩 수납부(112)에 수납되고 상기 복수 개의 진입관체(124)를 통하여 오수가 유입되는 트랩 하우징(120);
    상기 컨테이너 유닛(122)에 관체(152)의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관체(152)의 한쪽에 상기 관체(152)의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 상기 복수 개의 진입관체(124)에 오수의 진입방향과 순방향으로 배출 관체(156)가 형성된 드레인 하우징(150); 및
    상기 드레인 하우징(150)의 상측에 배치되고 하측 일부가 상기 드레인 하우징(150)에 관통되며 상기 트랩 하우징(120)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측에서 유입되는 오수를 상기 트랩 하우징(120)쪽으로 내보내는 맨홀 유닛(160);
    을 포함하는 배수 트랩 .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체(156)의 단부에 구비되어 드레인 배관을 고정시키도록 하는 파이프 피팅 유닛(158);
    을 더 포함하는 배수 트랩 .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진입 관체(124)에 조립되어 오수 유입을 위한 진입 오수관(10)을 배관하도록 하고 일측에 건축물 층간에 구비되는 철근 구조물과 결속하도록 하는 결속 그루브(132)가 형성된 복수 개의 엘보 유닛(130);
    을 더 포함하는 배수 트랩 .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하우징(150)은,
    상기 관체(152)의 외경에 형성되어 상기 관체(152)가 상기 컨테이너 유닛(122)에 삽입되는 한계를 제한하도록 하는 플랜지(154);
    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트랩 .
KR1020100081802A 2010-08-24 2010-08-24 배수 트랩 KR101152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802A KR101152292B1 (ko) 2010-08-24 2010-08-24 배수 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802A KR101152292B1 (ko) 2010-08-24 2010-08-24 배수 트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866A KR20120018866A (ko) 2012-03-06
KR101152292B1 true KR101152292B1 (ko) 2012-06-08

Family

ID=46127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1802A KR101152292B1 (ko) 2010-08-24 2010-08-24 배수 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229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492Y1 (ko) 2007-02-02 2008-06-16 (주)오폼프 배관고정용 이중관
KR100845544B1 (ko) 2007-07-16 2008-07-11 주식회사 두리 우수 및 오수 겸용 공공물받이
KR100892620B1 (ko) 2008-07-23 2009-04-08 원진테크 주식회사 오수받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492Y1 (ko) 2007-02-02 2008-06-16 (주)오폼프 배관고정용 이중관
KR100845544B1 (ko) 2007-07-16 2008-07-11 주식회사 두리 우수 및 오수 겸용 공공물받이
KR100892620B1 (ko) 2008-07-23 2009-04-08 원진테크 주식회사 오수받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866A (ko) 2012-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20060688A (fi) Jätevesiputkisto lämmönvaihtimineen kylpemisasennuksia varten
KR100538651B1 (ko) 오수받이 장치
AU2002100710B4 (en) Greywater diversion vessell assembly
KR101847554B1 (ko) 수로변경형 오수받이
RU49041U1 (ru) Система экономного водоснабжения здания (варианты)
KR20160081728A (ko) 배수트랩
KR200372522Y1 (ko) 아파트 욕실의 오수 배수장치
KR102035964B1 (ko) 통합 오수 수집 장치
KR101312216B1 (ko) 층상 배수장치
KR101152292B1 (ko) 배수 트랩
KR100655740B1 (ko) 역류 및 악취방지맨홀
KR101188012B1 (ko) 배수 트랩 및 층상 배수 시스템
KR100923133B1 (ko) 내장형 봉수트랩을 구비한 오수받이
KR20090091637A (ko) 배관 구조
KR20120076006A (ko) 통합 이중관 및 그를 적용한 통합 배수관 시공방법
KR101050778B1 (ko) 유선형 트랩의 방취용 오수받이
KR101348450B1 (ko) 용수공급부가 구비된 배수트랩 및 이를 이용한 층상 배수 시스템
KR100740525B1 (ko) 오수받이 장치
KR101114822B1 (ko) 오수받이
KR101487394B1 (ko) 욕실용 통합 배수트랩
KR101511683B1 (ko) 욕실용 통합 배수트랩
KR101113410B1 (ko) 배수 트랩
CN203514416U (zh) 浴室排水汇流装置
JP7282956B2 (ja) 貯水装置、及び排水システム
TWM511513U (zh) 排水總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