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0838B1 - 가변이음부를 구비한 트랩 내장형 오수받이장치 - Google Patents

가변이음부를 구비한 트랩 내장형 오수받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0838B1
KR100670838B1 KR1020050070385A KR20050070385A KR100670838B1 KR 100670838 B1 KR100670838 B1 KR 100670838B1 KR 1020050070385 A KR1020050070385 A KR 1020050070385A KR 20050070385 A KR20050070385 A KR 20050070385A KR 100670838 B1 KR100670838 B1 KR 100670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m
trap
packing
sewage
f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0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희
Original Assignee
한승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희 filed Critical 한승희
Priority to KR1020050070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08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0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0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84Odour seals having U-shaped trap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80Combined water inlet and outlet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이음부를 구비한 트랩 내장형 오수받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오수받이로서 가정용 오수를 간편하게 처리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트랩 내장형 오수받이장치에 있어서 자유로운 곡관형성이 가능한 가변이음부를 구비하여 오수 유입/배출 및 시공의 용이한 오수받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몸체에 관통하며 일체화 된 관형상의 제 1 관부와, 상기 제 1 관부의 끝단에서 축방향으로 경사면을 형성하는 수평테두리를 구비하고 상기 수평테두리 상부에서 외주연에 나사돌기를 형성하는 제 1 돌출테두리가 구비되는 제 1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수개의 보조인입구와;
상기 제 1 결합부의 수평테두리와 대향하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패킹지지테두리와 상기 패킹지지테두리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돌출테두리에 삽입되는 제 2 돌출테두리를 구비하는 제 2 결합부와, 상기 패킹지지테두리의 밑단에서 일체화 된 관형상의 제 2 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유결합멤버와;
상기 패킹지지테두리 및 상기 제 2 돌출테두리에 안치되어 상기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2 결합부의 수밀을 유지하도록 하는 패킹과;
밑면에 형성된 중공과, 상기 중공 외측에서 형성되는 밑면테두리와, 상기 밑면테두리 외측에서 융기하여 벽면을 구성하며 그 내주연에 나사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결합부의 제 1 돌출테두리와 회전을 통해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벽면테두 리를 구비한 클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오수, 오수받이, 배수, 악취, U자 캡, 보조인입구, 패킹, 자유결합멤버, 클램프

Description

가변이음부를 구비한 트랩 내장형 오수받이장치{APPARATUS FOR DRAIN SEWAGE HAVING TRAP INSIDE BODY WITH VARIABLE CONNECTION}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트랩내장형 오수받이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트랩내장형 오수받이장치에 있어 보조인입구와 자유결합멤버가 결합하여 곡관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절취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가변이음부를 구비한 트랩 내장형 오수받이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가변이음부를 구비한 트랩 내장형 오수받이장치의 부분 절취 평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가변이음부를 구비한 트랩 내장형 오수받이장치에 있어 보조인입구와 자유결합멤버가 체결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6a은 도 5에 도시된 보조인입구를 나타내는 절취단면도.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자유결합멤버를 나타내는 절취단면도.
도6c는 도 5에 도시된 패킹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6d는 도 5에 도시된 클램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a와 7b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보조인입구, 자유결합멤버, 패킹 및 클램프가 직선으로 체결된 상태와 절곡된 상태를 나타내는 절취단면도.
도 8a 내지 도 8e는 도 3에 도시된 가변이음부를 구비한 트랩 내장형 오수받이장치에 부가적으로 결합될 자유곡관 및 그의 변형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9a는 도 6b에 도시된 자유결합멤버에 소켓부를 일체형으로 구성한 경우를 나타내는 절취단면도.
도 9b는 도 6b에 도시된 자유결합멤버에 이중벽관을 일체형으로 구성한 경우를 나타내는 절취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140 : 종래 보조인입구
200 : U자 캡 300 : 하부커버
400 : 종래 자유결합멤버 500 : 보조인입구
600 : 자유결합멤버 700 : 클램프
800 : 자유곡관
본 발명은 가변이음부를 구비한 트랩 내장형 오수받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오수받이로서 가정용 오수를 간편하게 처리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트랩 내장형 오수받이장치에 있어서 자유로운 곡관형성이 가능한 이음부를 구비하여 오수 유입/배출 및 시공의 용이한 오수받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수받이는 오수를 받아 일시 저장하면서 이에 포함된 슬러지 성분을 거른 상태에서 배수관을 통해 다시 내보내는 중간 정화조 역할을 행하는 장치이다.
이런 오수받이는 설치장소와 사용목적에 따라 오수처리 용량과 크기를 결정하여 그에 맞는 각각의 규격으로 제작 및 사용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가정용 오수받이의 경우에는 악취 때문에 대개 생활폐수용 오수받이와 변기용 오수받이가 나뉘어 사용되어 왔으나, 이는 적어도 두개의 오수받이를 별도로 구입하여 설치하여야 하는 소비자에게는 큰 가계부담으로 작용되었고, 설치작업도 매우 번거롭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어려움을 감안하여 고안된 종래 기술에 따른 오수받이장치는 본 출원인에 의한 특허 제49539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경로를 통해 유입되는 오수를 본체 한곳으로 입수 받아서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도록 적어도 복수개의 입수라인이 결합된 트랩 내장형 오수받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부분에 해당하여 복수개의 인입구와 관통하게 형성된 상부 몸체(110)와; 상기 상부 몸체(110)의 저부에 형성된 격막구조부(119)를 기준으로 하향에 일체형의 지지벽체를 형성한 하부 몸체(120)와; 상기 하부 몸체(120)의 내부에 내장된 U자 캡(200)을 포함하되, 상기 U자 캡(200)이 상기 격막구조부(119)의 제1트랩 구멍(117) 및 상기 인입구 중 하나에 해당하는 주인입구(150)에 관통한 제2트랩 구멍(157)에 U자 트랩 형상을 갖도록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인입구는 상기 입수라인과 관결합시 결합 방향을 유한한 각도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하기 위한 종래의 자유결합멤버(400)를 수밀 유지하게 각각 장착시킨 복수개의 종래의 보조인입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오수받이장치는 종래의 보조인입구(140)와 체결된 종래의 자유결합멤버(400)는 항아리 형상의 보조인입구의 내주연에 대응하여 기밀하게 미끄럼접촉 가능한 규격을 갖되 볼록형상으로 팽출된 외주부(401)와 이런 외주부(401)의 안쪽에서 보조입수라인의 삽입 결합을 위해 평활한 내주연을 갖게 형성된 내주부(402)와 상기 보조입수라인의 삽입 거리를 구속하도록 보조입수라인의 두께에 대응한 높이만큼 상기 내주부(402)의 일측 끝단에서 축심방향쪽으로 돌기된 테두리 정지턱부(403)로 이루어져 있는 바, 상기 종래의 자유결합멤버(400)의 회전에 의해 삽입된 보조입수라인을 곡관으로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자유결합멤버(400)를 회전하여 곡관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정지턱부(403) 등이 종래의 보조인입구(140)의 관로상에 노출됨에 따라 오수의 이동과정에서 슬러지가 걸러지게 됨에 따라 악취역류, 위생상 문제 등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오수받이장치에 있어 상기 종래의 자유결합멤버(400)의 회전에 의한 곡관 형성시 상기 종래의 자유결합멤버(400)와 항아리 형상의 종래의 보조인입구(140)의 체결이 단지 탄성결합과 사이에 오링삽입에 의한 결합이 므로 시공시 곡관각도가 사하중, 활하중 등 뜻하지 않은 여건 등에 의해 변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체의 내부에 악취 방지용 트랩이 내장되는 오수받이장치에서 인입구의 자유회전이 가능하여 어느 각도에서 입수라인이 연장되어 오더라도 입수라인을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자유회전에 따른 접합부에 슬러지가 고이지 않고, 자유회전 각도의 변환을 강결하게 함으로서 시간의 흐름에 따른 형상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가변이음부를 구비한 트랩 내장형 오수받이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들은 복수개의 보조인입구 및 주인입구와 관통하게 형성된 상부 몸체(110)와, 상기 상부 몸체(110)의 저부에 형성된 격막구조부(119)를 기준으로 하향에 일체형의 지지벽체를 형성한 하부 몸체(120)와, 상기 하부 몸체(120)의 내부에 내장되며, 상기 격막구조부(119)의 제1트랩 구멍(117) 및 상기 인입구 중 하나에 해당하는 주인입구(150)에 관통한 제2트랩 구멍(157)에 U자 트랩 형상을 갖도록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 U자 캡(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수개의 경로를 통해 유입되는 오수를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로 이루어진 본체 한곳으로 입수 받 아서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도록 적어도 복수개의 입수라인이 결합된 트랩 내장형 오수받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에 관통하며 일체화 된 관형상의 제 1 관부와, 상기 제 1 관부의 끝단에서 축방향으로 경사면을 형성하는 수평테두리를 구비하고 상기 수평테두리 상부에서 외주연에 나사돌기를 형성하는 제 1 돌출테두리가 구비되는 제 1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수개의 보조인입구와;
상기 제 1 결합부의 수평테두리와 대향하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패킹지지테두리와 상기 패킹지지테두리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돌출테두리에 삽입되는 제 2 돌출테두리를 구비하는 제 2 결합부와, 상기 패킹지지테두리의 밑단에서 일체화 된 관형상의 제 2 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유결합멤버와;
상기 패킹지지테두리 및 상기 제 2 돌출테두리에 안치되어 상기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2 결합부의 수밀을 유지하도록 하는 패킹과;
밑면에 형성된 중공과, 상기 중공 외측에서 형성되는 밑면테두리와, 상기 밑면테두리 외측에서 융기하여 벽면을 구성하며 그 내주연에 나사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결합부의 제 1 돌출테두리와 회전을 통해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벽면테두리를 구비한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이음부를 구비한 트랩 내장형 오수받이장치 및 그의 상세한 결합 및 형상 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서,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가변이음부를 구비한 트랩 내장형 오수받이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가변이음부를 구비한 트랩 내장형 오수받이장치의 부분 절취 평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가변이음부를 구비한 트랩 내장형 오수받이장치에 있어 보조인입구와 자유결합멤버가 체결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6a, 도 6b, 도6c 및 도6d는 도 5에 도시된 보조인입구, 자유결합멤버, 패킹 및 클램프를 나타내는 각각의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또한, 도 7a와 7b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보조인입구, 자유결합멤버, 패킹 및 클램프가 직선으로 체결된 상태와 절곡된 상태를 나타내는 절취단면도이다. 또한 도 8a 내지 도 8e는 도 3에 도시된 가변이음부를 구비한 트랩 내장형 오수받이장치에 부가적으로 결합될 자유곡관 및 그의 변형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또한, 도 9a 및 9b는 도 6b에 도시된 자유결합멤버에 소켓부를 일체형으로 구성한 경우 및 관을 일체형으로 구성한 경우를 나타내는 절취단면도이다. 상기 도3, 4에 있어서 종래기술을 도시한 도 1, 2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설시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본체(100)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상부 몸체(110)와 하부 몸체(120)를 갖는다.
상부 몸체(110)와 하부 몸체(120)의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중간에는 격막구조부(도 4의 도면부호 '119'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격막구조부는 상부 몸체(110)의 바닥면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면서 여러 갈래의 입수라인 결합 부위, 즉 주인입구(150)와 복수개의 보조인입구(500)로부터 유 입되는 오수를 하나의 배출구(130)로 유도하여 배출구(130)에 결합된 출수라인(도시 안됨)측으로 배출시키는 역할과 함께, 상부 몸체(110)의 내부 공간과 하부 몸체(120)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상하 분할 격막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한다.
여기서, 주인입구(150)는 본드접합이 아닌 고무링 접합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주인입구(150)는 일종의 주입수라인을 삽입시킬 수 있는 소켓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내주연쪽에서 함몰되고 외주연쪽에서 돌기된 패킹 수납 함몰부(159)를 형성하며, 패킹 수납 함몰부(159)에 오링, 고무링, 이중패킹 또는 수밀 패킹 중 하나가 장착될 수 있어서, 고무링 접합이 가능하다.
본체(100)에서 상부 몸체(110)는 주입수라인(9c) 또는 보조입수라인(9a, 9b)을 통해 전달된 오수를 본체(100)의 내부로 포집한 후 오수배출용 파이프(9d)를 통해 배출 처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를 위해서, 상부 몸체(110)는 대략적으로 원통형 관벽체를 갖고 있다.
이런 상부 몸체(110)는 원통형 관벽체의 상부가 개구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서 상부 커버(20) 또는 확장관 등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상부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내부에 다중 링벽 타입의 이중패킹을 수납할 수 있는 수밀결합부(160)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부 몸체(110)의 관벽체의 주면 일측에는 오수배출용 파이프(9d)를 배관시킬 수 있는 배출구(130)가 관통하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배출구(130)는 소켓 형식으로서 주인입구(150) 또는 보조인입구(500)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관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체(100)에서 하부 몸체(120)는 하부 커버(300)로 개폐 가능하게 된 하부를 통해서 U자 캡(200)을 내장시킨 후, 적어도 오수와 접촉하지 않는 U자 캡(200)의 표면 및 격막구조부의 표면과 접촉하도록 단열재(예 : 발포성 스티로폼 등)를 충진시킬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갖고 있다.
이런 하부 몸체(120)의 내부 공간은 상부 몸체(110)를 지면에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벽체의 내측에 형성된다.
하부 몸체(120)의 지지벽체는 그의 저부가 개구되어 있으며, 하부 커버(300)로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에서, 상부 몸체(110)의 내부는 격막구조부(119)를 바닥으로 하여 원주측 테두리에서 상향으로 수직하게 세워져 있는 원통형 관벽체(111)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다.
격막구조부(119)에는 복수개의 루틴을 따라 유입되는 오수를 배출구(130) 측으로 가이드하게 일부 함몰된 중앙 관로 형상(112) 및 복수개의 사이드 관로 형상(113, 114)과, 이런 관로 형상들(112, 113, 114)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돌출된 내부 구획벽(115, 116)이 형성되어 있다.
내부 구획벽(115, 116)의 안쪽에는 U자 캡(200)의 일측과 관통하게 결합되도록 격막구조부(119)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제1트랩 구멍(117)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보조인입구(500)는 배출구(130)와 주인입구(150)를 통과하는 가상의 기준선 양측에서 경사방향으로 진입하는 복수개의 사이드 관로 형상 (113, 114)과 연결되며, 결국 우수가 사이드 관로 형상(113, 114) 쪽으로 입수된 후 배출구(130)를 통해서 배출된다.
또한, 주인입구(150)는 그의 입구측에 오수의 주입수라인(도시 안됨)을 관통하게 배관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서, 상기 입구측의 반대쪽 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몸체(110)의 외측에서 내측까지 관통하는 곡관형 연결부위(151)와 연결된다. 곡관형 연결부위(151)는 주인입구(150)의 반대쪽 개구부위에 제2트랩 구멍(157)을 형성하도록 하부 몸체(120) 쪽으로 90ㅀ절곡되어 있다.
제1트랩 구멍(117)과 제2트랩 구멍(157)은 배출구(130)와 주인입구(150)를 통과하는 가상의 기준선 상에서 일치되게 배열되며, 이후 U자 캡(200)의 결합에 의해 곡관형 연결부위(151)의 관벽을 기준으로 U자 트랩의 형상을 갖게 된다.
이런 결합 상태에서는, 주인입구(150)를 통해 입수된 오수가 곡관형 연결부위(151), 제2트랩 구멍(157), U자 캡(200), 제1트랩 구멍(117)을 통과하면서 U자 트랩과 같은 유동을 한 후, 중심 관로 형상(112) 및 배출구(130)를 통한 배출이 가능하다.
U자 캡(200)은 하부 커버로 폐쇄되는 하부 몸체의 내부에 존재한다. 더구나, 적어도 오수와 접촉하지 않는 격막구조부의 표면 및 U자 캡(200)의 표면은 하부 몸체의 내부에 충진된 단열재와 직접 면접촉 되기 때문에, 겨울철 오수를 처리시에도 동파의 위험에서 자유롭게 된다.
한편, 각각의 보조인입구(500)는 도 6a에서 보듯이 상기 상부몸체에 관통하며 일체화 된 관형상의 제 1 관부(510)와 상기 제 1 관부(510)의 끝단에서 축방향 으로 경사면을 형성하는 수평테두리(531)를 구비하고, 상기 수평테두리(531) 상부에서 외주연에 나사돌기를 가진 제 1 돌출테두리(5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 돌출테두리(532)의 내주연은 상기 수평테두리(531)와 접촉면에서 수직으로 융기하며 이하에서 설명될 제 2 결합부의 패킹지지테두리(631)와 접하는 부위에서 경사면을 형성하며 외주연은 이하에서 설명될 클램프(700)와 회전결합을 위해 나사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평테두리(531)는 상기 제 1 돌출테두리(532)를 기준으로 내측수평테두리(531a) 및 외측수평테두리(531b)로 구성하여 상기 내측수평테두리(531a)에는 이하에서 설명될 패킹(640)과 제 2 결합부의 제 2 돌출테두리(632)에 의해 압착되도록 구성되며, 외측수평테두리(531b)에는 이하에서 설명될 클램프(700)가 회전에 의해 완전히 조여졌을때 상기 클램프의 벽면테두리(702) 끝단을 지지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유결합멤버는 도 6b에서 보듯이 상기 제 1 결합부의 수평테두리(531)와 대향하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패킹지지테두리(631)와 상기 패킹지지테두리(631)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돌출테두리(532)에 삽입되는 제 2 돌출테두리(632)를 구비하는 제 2 결합부(630)와, 상기 패킹지지테두리(631)의 밑단에서 일체화 된 관형상의 제 2 관부(6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2 돌출테두리(632)와 패킹지지테두리(631)에 안치되어 상기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2 결합부의 수밀을 유지하도록 하는 패킹(640)은 오링, 고무링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킹(640)은 제 1결합부(530)와 제 2 결합부(630)의 사이에 압착되면서 상기 1 결합부(530)와 상기 제 2 결합부(630)의 회전이 이하에서 설명될 클램프(700)의 회전을 통해 제 1 결합부(530)와 제 2 결합부(630)의 압착을 느슨하게 하는 경우 또는 일정한 힘이상을 가하는 경우만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자유결합멤버가 뜻하지 않는 굴곡을 피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패킹(640)은 고무, 연질 PVC, 실리콘, 통상의 패킹 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킹(640)을 상기 제 2 결합부의 제 2 돌출테두리(632)에 더욱 강결하게 안치하고자 하는 경우 도 5 및 도6c에서 보듯이 상기 제 2 돌출테두리(632)의 외주연에 다수의 돌기(633)를 형성하고, 상기 패킹(640)에 있어서도 상기 돌기(633)에 대응하는 체결홈(641)을 형성하여 상기 패킹(640)이 상기 제 2 돌출테두리(632)와 패킹지지테두리(631)에 안치되는 경우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결합부(530)와 상기 제 2결합부(630)를 체결하는 수단으로서 클램프(700)가 사용되는데 상기 클램프(700)는 도 6d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병마개 형상으로 구성되어 그 밑면에 중공(703)을 형성하며, 상기 중공 외측에서 밑면테두리(701)가 형성되며, 상기 밑면테두리(701) 외측에서 융기하여 벽면을 구성하는 벽면테두리(702)가 형성되며 상기 벽면테두리(702)는 그 내주연에 나사돌기가 형성됨으로서 상기 제 1 결합부의 제 1돌출테두리(532)와 회전을 통해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 된다.
상기 중공(703)의 내경(D)은 상기 제 2 관부(610)의 외경보다 커야함은 물론 상기 자유결합멤버(600)가 회전하여 관연결의 굴곡을 형성할시에 상기 자유결합멤버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구성해야 한다.
또한 상기 벽면테두리(702)의 길이는 상기 제 1 결합부의 제 1 돌출테두리(532)의 길이와 동일하게 구성하여 상기 클램프(7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결합부(530)가 완전히 조여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 2 결합부(630)의 높이 즉 패킹지지테두리(631)의 두께와 제 2 돌출테두리(632)의 길이의 합이 상기 벽면테두리(702)의 길이와 동일하게 구성하여 상기 클램프(7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2 결합부(630)가 완전히 조여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상기 보조인입구(500), 자유결합멤버(600), 패킹(640) 및 클램프(700)의 결합에 의하여 자유로운 각도변화가 가능한 가변이음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조인입구(500), 자유결합멤버(600), 패킹(640) 및 클램프(700)의 결합에 의한 실시예가 도 7a,7b에 도시되어 있는 바, 도 7a에서는 보조인입구(500)과 자유결합멤버(600)이 직선상으로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도 7b는 보조인입구(500)과 자유결합멤버(600)가 최대한 절곡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가변이음부는 직선으로 연결된 상태나 절곡으로 연결된 상태를 보더라도 보조인입구(500)의 제 1 내측관로(520)와 자유결합멤버(600)의 제 2 내측관로(620)가 접합부에서 턱이 없이 연결이 되므로 오수의 흐름이 원활할 것이며, 오수의 흐름에 따른 접합부에 슬러지의 농축도 없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각각의 경사면은 시공여건에 따라 큰 굴곡을 필요로 하는 환경에서는 그 각각의 경사면을 크게 하고, 반대로 작은 굴곡을 필요로 하는 환경에서는 그 각각의 경사면을 작게 하여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내측수평테두리(531a)의 두께는 상기 내측수평테두리(531a)에 접하는 패킹면과 제 2 접합부의 제 2 돌출테두리면의 두께의 합과 동일하거나 조금 작게 구성하여 패킹의 압착에 의해 완전히 수밀을 유지하게 하여야 하며 또한 이렇게 구성함에 의해 제 1 내측관로(520)와 제 2 내측관로(620)가 턱없이 평활한 면으로 연결되어 지게 된다.
도 8a 내지 도 8e는 도 3에 도시된 가변이음부를 구비한 트랩 내장형 오수받이장치에 부가적으로 결합될 자유곡관(800) 및 그의 변형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예컨대, 도 8a의 자유곡관(800)은 도 8b 내지 도 8e에 도시된 자유곡관에 비해 규격과 결합 타입 및 길이의 차이를 보일 뿐, 모두 대동소이하게 앞서 설명한 주인입구의 내경, 배출구의 내경 또는 보조인입구의 자유결합멤버의 내주부의 내경 등에 삽입 결합되는 관형상의 삽입부위(810); 상기 삽입부위(810)로부터 소정의 곡관 각도만큼 만곡된 관형상의 연결부위(820) 및 상기 연결부위(820)의 끝단에서 일체형으로 축방향으로 경사면을 형성하는 수평테두리(831)를 구비하고, 상기 수평테두리 상부에 제 3 돌출테두리(832)를 구비하는 제 3 결합부(8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삽입부위(810)에는 수밀 유지를 수행하는 오링 또는 패킹 부재의 장착 부위(811)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3 결합부에는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 있는 자유결합멤버(600)가 클램프(70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도 8b의 자유곡관은 대형 일반 합성수지관(VG관 Large) 또는 엘보 등과 같은 배관부재에 결합될 수 있는 평활형 삽입부위를 갖고 있되, 그의 끝단이 삽입 체결의 용이성을 위해서 웨지(wedge)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c의 자유곡관은 도 8b의 자유곡관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결부위의 축길이가 짧은 것이 특징이다.
도 8d의 자유곡관은 삽입부위에 소켓을 일체형으로 형성된 타입니다.
도 8e의 자유곡관은 자유곡관 결합 캡(840)을 나사 결합에 의해 장착시킬 수 있게 삽입부위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상기 제 2 관부(610)의 제 2 결합부(630)의 반대쪽 끝단에 소켓부(650)를 일체로 구성하여 관결합 즉 이중벽관, 코러게이트관 등이 결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 2 관부(610)의 제 2 결합부(630)의 반대쪽 끝단에 가변성이 우수한 관(660) 즉, 이중벽관, 코러게이트관 등을 일체로 구성하여 관연결 작업이 필요 없으며, 자유로운 곡관형성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변이음부를 구비한 트랩 내장형 오수받이장치에 의하면, 하나의 오수받이로서 생활오수와 변기로부터 배출되는 오수를 별도로 결합되는 U자 연결관 등의 배관 부재 없이 모두 처리할 수 있고, 그 내 부에 이물질이 적체되지 않아 막힘 현상이 방지됨과 아울러 그에 따른 악취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본 발명의 가변이음부를 구비한 트랩 내장형 오수받이장치는 가변이음부 즉 보조인입구에 자유결합멤버가 결합되거나, 주인입구, 배출구 또는 상기 보조인입구에 결합된 자유결합멤버에 자유곡관 및 자유결합멤버가 더 결합됨에 따라 어느 각도에서도 입수라인의 체결이 가능하여, 인입연결 마감시공 상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변이음부를 구비한 트랩 내장형 오수받이장치는 가변이음부를 구성하는 보조인입구 및 자유결합멤버의 결합시 접합부에 턱없이 형성함에 따라 접합부 등에 슬러지가 축적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변이음부를 구비한 트랩 내장형 오수받이장치는 가변이음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경우 클램프에 의한 회전으로 압착 또는 비압착에 의해 조절함으로서 시공후 형상변형이 없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복수개의 인입구와 관통하게 형성된 상부 몸체(110)와;
    상기 상부 몸체(110)의 저부에 형성된 격막구조부(119)를 기준으로 하향에 일체형의 지지벽체를 형성한 하부 몸체(120)와;
    상기 하부 몸체(120)의 내부에 내장되며, 상기 격막구조부(119)의 제1트랩 구멍(117) 및 상기 인입구 중 하나에 해당하는 주인입구(150)에 관통한 제2트랩 구멍(157)에 U자 트랩 형상을 갖도록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 U자 캡(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수개의 경로를 통해 유입되는 오수를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로 이루어진 본체 한곳으로 입수 받아서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도록 적어도 복수개의 입수라인이 결합된 트랩 내장형 오수받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에 관통하며 일체화 된 관형상의 제 1 관부(510)와 상기 제 1 관부(510)의 끝단에서 축방향으로 경사면을 형성하는 수평테두리(531)를 구비하고, 상기 수평테두리(531) 상부에 제 1 돌출테두리(532)를 구비하는 제 1 결합부(5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수개의 보조인입구(500)와;
    상기 제 1 결합부(530)의 수평테두리(531)와 대향하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패킹지지테두리(631)와 상기 패킹지지테두리(631)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결합부(530)에 삽입되는 제 2 돌출테두리(632)를 구비하는 제 2 결합부(630)와 상기 패킹지지테두리(631)의 밑단에서 일체화 된 관형상의 제 2 관부(610)를 포함하여 구성 되는 자유결합멤버(600)와;
    상기 패킹지지테두리(631) 및 상기 제 2 돌출테두리(632)에 안치되어 상기 제 1 결합부(530)와 상기 제 2 결합부(630)의 수밀을 유지하도록 하는 패킹(640)과;
    밑면에 형성된 중공(703)과, 상기 중공(703) 외측에서 형성되는 밑면테두리(701)와, 상기 밑면테두리(701) 외측에서 융기하여 벽면을 구성하며 그 내주연에 나사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결합부(530)의 제 1 돌출테두리(532)와 회전을 통해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벽면테두리(702)로 구성된 클램프(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이음부를 구비한 트랩 내장형 오수받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부(630)의 제 2 돌출테두리(632)는 그 외주연에 다수의 돌기(633)를 형성하고, 상기 패킹(640)에 있어서도 상기 돌기(633)에 대응하는 체결홈(641)을 형성하여 상기 패킹(640)이 상기 제 2 돌출테두리(632) 및 상기 패킹지지테두리(631)에 안치되는 경우 미끄럼이 방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이음부를 구비한 트랩 내장형 오수받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관부(610)는 오수가 인입되는 끝단에 관결합이 가능하도록 소켓부(650)가 일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이음부를 구비한 트랩 내장형 오수받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관부(610)는 오수가 인입되는 끝단에 자유로운 곡관형성이 가능하도록 관(660)이 일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이음부를 구비한 트랩 내장형 오수받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오수의 입/출입에 관여하는 주인입구, 상기 보조인입구에 결합된 자유결합멤버 또는 상기 배출구의 각각의 내경에 적어도 하나 이상 삽입 결합되는 관형상의 삽입부위(801); 상기 삽입부위(801)로부터 소정의 곡관 각도만큼 만곡된 관형상의 연결부위(802) 및 상기 연결부위(802)의 끝단에서 일체형으로 축방향으로 경사면을 형성하는 수평테두리(831)를 구비하고, 상기 수평테두리(831) 상부에 외주연에 나사돌기를 구비한 제 3 돌출테두리(832)를 구비하는 제 3 결합부(8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유곡관(800)이 더 배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이음부를 구비한 트랩 내장형 오수받이장치.
KR1020050070385A 2005-08-01 2005-08-01 가변이음부를 구비한 트랩 내장형 오수받이장치 KR100670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0385A KR100670838B1 (ko) 2005-08-01 2005-08-01 가변이음부를 구비한 트랩 내장형 오수받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0385A KR100670838B1 (ko) 2005-08-01 2005-08-01 가변이음부를 구비한 트랩 내장형 오수받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0838B1 true KR100670838B1 (ko) 2007-01-19

Family

ID=38014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0385A KR100670838B1 (ko) 2005-08-01 2005-08-01 가변이음부를 구비한 트랩 내장형 오수받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08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620B1 (ko) 2008-07-23 2009-04-08 원진테크 주식회사 오수받이
KR100925324B1 (ko) 2008-12-26 2009-11-04 주식회사 퍼팩트 악취차단 오수받이
CN104018569A (zh) * 2014-06-20 2014-09-03 洛阳城市建设勘察设计院有限公司 防止水流对冲的排水四通检查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5695A (ja) * 1990-05-22 1992-01-29 Kubota Corp 排水桝
JPH07145889A (ja) * 1993-11-25 1995-06-06 C I Kasei Co Ltd 自在継手の構造
JPH0868100A (ja) * 1994-08-30 1996-03-12 Aron Kasei Co Ltd 排水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5695A (ja) * 1990-05-22 1992-01-29 Kubota Corp 排水桝
JPH07145889A (ja) * 1993-11-25 1995-06-06 C I Kasei Co Ltd 自在継手の構造
JPH0868100A (ja) * 1994-08-30 1996-03-12 Aron Kasei Co Ltd 排水桝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620B1 (ko) 2008-07-23 2009-04-08 원진테크 주식회사 오수받이
KR100925324B1 (ko) 2008-12-26 2009-11-04 주식회사 퍼팩트 악취차단 오수받이
CN104018569A (zh) * 2014-06-20 2014-09-03 洛阳城市建设勘察设计院有限公司 防止水流对冲的排水四通检查井
CN104018569B (zh) * 2014-06-20 2016-01-20 洛阳城市建设勘察设计院有限公司 防止水流对冲的排水四通检查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15721C2 (ru) Гибкий сливной сифон
US6098212A (en) Plumbing apparatus
US5324001A (en) Sewer transfer system
KR100670838B1 (ko) 가변이음부를 구비한 트랩 내장형 오수받이장치
CA2338814C (en) P-trap for plumbing drainage systems
KR100495394B1 (ko) 트랩 내장형 오수받이장치
KR100806547B1 (ko) 가변연결부를 구비한 오수받이
KR200379968Y1 (ko) 트랩 내장형 오수받이장치
KR101729274B1 (ko) 착탈형 트랩부재를 구비하는 오수받이
KR100923133B1 (ko) 내장형 봉수트랩을 구비한 오수받이
KR100811125B1 (ko) 오수받이
KR102320890B1 (ko) 배수가 용이한 조립식 악취 역류방지 오수받이
CA2979153A1 (en) Catch basin trap with flexible outlet pipe connector
KR102256343B1 (ko) 입상관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오수받이
KR20080081811A (ko) 교체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
KR100950542B1 (ko) 오수받이 장치
KR100955478B1 (ko) 시공이 용이한 우수 및 오수 공공물받이
KR100924755B1 (ko) 동파 방지용 수도 계량기 보호통
JP4673127B2 (ja) 床下配管構造
KR20090105045A (ko) 오수받이장치 및 이에 장착 가능한 악취차단장치
KR200398694Y1 (ko) 클램프를 이용한 가변이음관
JPS6117093Y2 (ko)
RU2219314C2 (ru) Сифон сантехнический
KR20020094841A (ko) 관 이음 플랜지
KR200392301Y1 (ko) 오수받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