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0890B1 - 배수가 용이한 조립식 악취 역류방지 오수받이 - Google Patents

배수가 용이한 조립식 악취 역류방지 오수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0890B1
KR102320890B1 KR1020210059881A KR20210059881A KR102320890B1 KR 102320890 B1 KR102320890 B1 KR 102320890B1 KR 1020210059881 A KR1020210059881 A KR 1020210059881A KR 20210059881 A KR20210059881 A KR 20210059881A KR 102320890 B1 KR102320890 B1 KR 102320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pipe
coupled
groove
low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9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원권
최민석
이재학
이창직
김대규
이수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퍼팩트
한국환경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퍼팩트, 한국환경공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퍼팩트
Priority to KR1020210059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08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가 용이하고 조립에 의해 설치가 용이한 오수받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수의 하수관과 연결이 가능하되, 연결소켓을 이용하여 연결이 용이하고, 하부본체의 하부면에 유출관의 방향으로 경사면과 유도홈을 형성함과 동시에 생활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관에 배수트랩을 설치하며, 변기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관에 유도엘보를 설치하여 집수된 생활오수와 변기오수가 상기 유출관을 통해 배수가 용이하도록 하는 한편, 다수의 구성들이 조립이 가능하여 설치가 용이한 배수가 용이한 조립식 악취 역류방지 오수받이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배수가 용이한 조립식 악취 역류방지 오수받이{Assembled odor backflow prevention sewage tray for easy drainage}
본 발명은 배수가 용이한 조립식 악취 역류방지 오수받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수의 오폐수관과 연결하되 연결소켓을 이용하여 연결이 용이하고, 하부본체의 하부면에 유출관의 방향으로 경사면과 유도홈을 형성함과 동시에 생활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관에 배수트랩을 설치하여 오폐수의 악취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고, 변기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관에 유도엘보를 설치하여 집수된 생활오수와 변기오수가 상기 유출관을 통해 배수가 용이하도록 하는 한편, 다수의 부품을 조립하여 설치하는 배수가 용이한 조립식 악취 역류방지 오수받이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일반적으로 오수받이는 지하에 매설되며, 이러한 오수받이는 각 건물에서 발생하는 오폐수 등 생활하수를 한곳으로 모아 기존에 매설되어 있는 하수관로를 통해 하수종말처리장으로 보내져 생활하수를 정화하여 하천으로 흘러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상기 생활하수에는 사람이 살아가는데 발생하는 모든 하수를 지칭하는 것으로 주방에서 발생하는 오수 즉, 하수(살균 및 세정용도의 화학제품이 함유된 하수)와 화장실의 세면장에서 발생하는 하수(비누 샴프 린스 등의 목용/세면용 화학제품이 함유된 하수)와 변기에서 발생하는 하수(인분 등의 오물이 포함된 하수)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생활하수에는 생태계에 피해를 주는 화학성분이 포함된 하수와 부패하기 쉽고 악취를 풍기는 하수를 모두 포함하고 있어 주변하천으로 유입될 경우에는 하천이 오염되어 결과적으로 쾌적한 생활환경을 저해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인구가 밀집되어 있는 도시지역이나 산업단지 지역에는 조밀하게 차집관 간선관 지선관으로 이루어진 하수관을 통해 하수종말처리장으로 보내져 지역에서 발생하는 생활하수를 정화한 후 하천으로 흘러들어가도록 하수처리시스템이 갖춰져 있으나, 상기 하수관은 생활하수 뿐만 아니라 우기에 다량의 빗물과 부유 물질까지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유입되어 정화기능이 떨어진 상태로 하천으로 흘러들어가 결과적으로 하천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십수 년 전부터 생활환경을 관리하는 중앙정부의 환경부에서는 단계적으로 생활하수(산업단지에서 발생하는 오수도 포함)를 독립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생활하수 전용관을 지하에 매설하고 있으며, 기존 하수관은 우수 전용관으로 사용하여 빗물은 직접 하천으로 흐르도록 하는 기간시설을 갖춰가고 있다.
상기와 같이 순수한 빗물은 기존 하수관을 이용하여 하천으로 흐르도록 함으로써, 우기에 빗물이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평소와 같이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유입되는 생활하수를 완벽하게 정화처리한 후 하천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었으며, 이것은 하천의 오염을 사전에 방지함으로써, 주변 주거지역의 생활환경을 쾌적하게 하면서 생태계를 보존할 수 있는 효과를 낳고 있다.
이러한 하천관리 노력으로 인하여 악취를 풍기며 썩은 물이 흐르던 대표적인 한강 수계의 지천인 중랑천, 안양천, 양재천 등의 수질이 크게 개선되어 악취가 사라지면서 생태계가 살아있는 하천으로 돌아오면서 지역주민들이 하천을 찾게 되고 이러한 하천을 보다 활성화하기 위해 지역별로 하천주변을 정비하여 공원화하면서 주변지역의 주민들은 산책로로 즐겨 찾는 등 생활환경이 크게 개선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개선으로 인하여 생활하수 전용관의 설치지역은 전국적으로 확대되면서 하수종말처리장이 지역별로 단계적으로 건설되고 있으나, 이러한 단계적 설치로 인하여 지역에 따라 생활하수처리관련 시설을 지하에 매설하는데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선행기술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특허등록 제0781312호(명칭:분류식 하수도 공사를 위한 가옥 내 배수설비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 )가 있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주택의 주방이나 세면장에서 배출되는 일반하수는 하수배출관을 통해 수로변경장치를 거쳐 기존 매설되어 있는 하수관에 연결되고, 화장실에서 배출되는 분뇨를 포함한 오물 하수는 오물배출관을 통해 수로변경장치를 거쳐 정화조에 보내져 슬러지를 침전시킨 후 오물 하수만을 상기 하수관에 연결하여 사용하다가, 생활하수전용관이 매설되고, 하수종말처리장이 완공되면, 상기 각각의 수로변경장치를 이용하여 일반하수와 분뇨를 포함한 오물 하수를 집수공간을 갖춘 집수수단을 거쳐 오수전용관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상기 선행기술 1은 앞으로 해당지역에 생활하수전용관과 하수종말처리장이 건설될 것이라는 전제하에 각 주택에 설치되는 배수설비로서, 하수배출관과 오물배출관에 각각 수로변경장치를 갖추게 하고, 상기 각각의 수로변경장치의 수로를 변경하여 오물하수과 일반하수가 합류하여 집수되는 집수수단을 갖추게 하고, 상기 집수수단에서 오수전용관을 연결하는 연결관을 매설하는 등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복잡한 구조로 인한 시설비가 필요 이상으로 많이 발생하며, 또한 복잡한 구조로 인하여 유지관리하는데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일반하수와 오물하수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오수받이 관련 선행기술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는데, 이러한 오수받이 선행기술들은 생활하수 즉, 생활오수와 변기의 오수에 포함된 고형물에 의해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구성이 복잡하여 각각의 구조를 조립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생활하수가 이동되는 하수관과 오수받이에 형성된 유입관의 연결 및 오수받이에 형성된 유출관과 집수된 생활하수가 배출되도록 이동되는 배수관의 연결시 견고한 수밀성을 유지하며 연결하기 어려우며, 오수받이와 연결된 맨홀부의 수밀성 유지 및 설치가 까다로운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들의 오수받이의 구조는 다수의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는 유입관과 하나의 유출구 및 상기 유출구과 연통되는 유출구가 갖춰지고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 즉, 유입관과 유출관은 집수된 생활하수의 흐름을 원활히 하기 위해 상기 유출관이 더 낮은 높이에 형성될 수 있도록 높이 차이를 갖추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오수받이의 대표적인 선행기술을 보면, 내부에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는 수용부와 엘보형의 출구로 이루어진 트랩과, 물에 분해되지 않는 물질(예를 들어 물휴지나 행주조각 등)을 걸러낼 수 있는 환형리브와 연장리브로 이루어진 스크린을 갖춘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6-0001344호(명칭:스크린을 구비하는 오수받이 및 상기 오수받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크린, 이하 "선행기술 2"라 함)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 2 외에도 오수받이 관련 선행기술은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배수가 용이하지 못하고, 하수관과 배수관의 연결이 어려우며, 맨홀부의 수밀성 및 유지 및 설치가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동절기에 집수된 생활하수가 동결되어 오수받이 본체가 파손되거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27077호(2018.02.01.)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하부본체의 하부면이 유출관의 방향으로 경사면과 유도홈이 형성되어 이물질의 침전을 방지하고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생활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관에 배수트랩을 설치하여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고, 제1, 2연결소켓에 의한 하수관의 결합구조가 간단하여 연결이 용이하며, 맨홀부에 속뚜껑을 설치하여 수밀성을 향상킴과 동시에 제2이탈방지부재의 이탈방지돌기를 통해 상기 맨홀부의 설치가 용이한 한편, 상기 하부본체의 바닥에 보온공간이 형성되어 동파가 방지되고, 다수의 구성들이 조립에 의해 쉽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배수가 용이한 조립식 악취 역류방지 오수받이의 제공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상부가 개방되고, 후면과 양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된 복수 개의 유입관(110)을 통해 유입된 오수가 집수되며, 전면에 형성된 유출관(120)을 통해 오수가 유출되는 하부본체(100);와 상기 하부본체(100)의 상부에 결합되고, 이음관(210)이 상부로 돌출형성되는 상부본체(200);와 상기 이음관(210)에 하부가 내입되는 입상관(300);과 상기 입상관(300)의 상부에 결합되는 맨홀부(400);와 상기 하부본체(100)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복수 개의 유입관(11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되는 배수트랩(500);과 상기 하부본체(100)의 유입관(110)이 내입되도록 결합되되,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유입관(110)과 하수관을 연결하는 제1연결소켓(600); 및 상기 하부본체(100)의 유출관(120)에 내입되도록 결합되되,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유출관(120)과 배수관을 연결하는 제2연결소켓(7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가 용이한 조립식 악취 역류방지 오수받이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하부본체(100)는 하부 말단보다 상부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보온공간(132)을 형성하는 하부면(130);과 상기 하부본체(100)는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보온공간(132)을 지면과 구획하고, 복수 개의 관통홀(142)이 형성되는 바닥판(1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하부면(130)은 양측에 중심방향으로 형성되되, 하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경사면(131);과 상기 경사면(131)의 사이에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본체(100)의 내부 후면부터 상기 유출관(120)의 내주면 하부까지 형성되는 유도홈(13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유도홈(134)은 상기 하부본체(100)의 내부 후면부터 상기 유출관(120)의 내주면 하부로 갈수록 하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부본체(10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복수 개의 유입관(11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본체(100)의 중심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유도엘보(8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하부본체(100)는 내부 후면 또는 내부 양측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수직으로 형성되되, 상기 유입관(110)의 측방에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내측 상부에 결합홈(152)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삽입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배수트랩(500)과 상기 유도엘보(800)는 양측에 상기 삽입부(150)의 결합홈(152)과 대응되는 삽입돌기(5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연결소켓(600)은 외주연에 외주연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고, 일측말단에 말단면까지 제1개방홈(612)이 형성되는 착탈홈(61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유입관(110)은 외주연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개방홈(612)에 인입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착탈홈(610)을 따라 이동가능한 착탈돌기(1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착탈돌기(112)는 후면에 형성되는 걸림홈(112a);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착탈홈(610)은 내측면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걸림홈(112a)과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걸림돌기(61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유출관(120)은 외주연에 외주연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고, 중앙 후방에 말단면까지 제2개방홈(122a)이 형성되는 고리홈(12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연결소켓(700)은 후면에 상기 유출관(120)에 내입되도록 형성되는 내입부(710);와 후면에 형성되되, 상기 내입부(71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2개방홈(122a)에 인입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리홈(122)을 따라 이동가능한 걸고리(7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내입부(710)는 외주연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부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본체(200)는 상기 이음관(210)의 내주면 하부에 돌출형성되어 입상관(300)의 하부가 안착되는 단턱(220);과 상기 단턱(220)의 내주면에 돌출형성되는 복 수개의 안착돌기(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맨홀부(400)는 상기 입상관(300)의 상부가 하부에 내입되도록 결합되는 제1이탈방지부재(410);와 상기 제1이탈방지부재(410)의 상부에 하부가 내입되어 결합되고, 하부 외주연에 제1수밀링(422)이 결합된 속뚜껑(420);과 상기 제1이탈방지부재(410)의 상부가 하부에 내입되도록 결합되는 제2이탈방지부재(430);와 상기 제2이탈방지부재(430)의 상부면에 하부가 안착되어 결합되는 받침틀(440); 및 상기 받침틀(440)의 상부에 내입되어 결합되고, 외주연에 제2수밀링(452)이 결합된 맨홀뚜껑(4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이탈방지부재(430)는 상부면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받침틀(44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환형으로 형성되는 외측이탈방지돌기(432);와 상부면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받침틀(440)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환형으로 형성되는 내측이탈방지돌기(43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배수트랩(500)은 상기 유입관(110)에 전방이 내입되어 설치되고, 후방이 하부로 구부러져 형성되는 몸체(510);와 상기 몸체(510)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부면에 돌출형성되되,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어 다수의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가이드돌기(522)를 구비하는 물받이(5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연결소켓(600)에 결합되는 마감캡(602)은 외주연에 결합되는 수밀링과, 후면에 편심되어 돌출형성되는 손잡이부(602a)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배수가 용이한 조립식 악취 역류방지 오수받이는 하부본체의 하부면이 집수된 오수가 배출되는 유출관의 방향으로 경사면과 유도홈이 형성되고, 생활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관에 배수트랩을 설치하며, 변기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관에 유도엘보를 설치함으로써, 오수받이 내부에 이물질이 끼거나 침전을 방지 및 배수가 원활하고, 오수와 냄새의 역류를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생활하수 즉, 생활오수와 변기오수 등이 이송되는 하수관과 유입관의 연결시 제1연결소켓을 통해 연결되도록 하되, 상기 제1연결소켓과 유입관의 결합구조를 조립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집수된 오수를 이송하는 배수관과 유출관의 연결시 제2연결소켓을 통해 연결되도록 하되, 상기 제2연결소켓과 유입관의 결합구조를 조립이 가능하게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유입관과 배수관의 수밀성 및 결합력을 향상시켜 설치가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본체의 하부에 보온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지반으로부터 발생되는 지열에 의해 동절기에 상기 하부본체에 집수된 오수가 동결되는 것을 방지하여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맨홀부에 속뚜껑 및 제1수밀링을 설치하여 지면과의 수밀성을 향상시키고, 제2이탈방지부재의 이탈방지돌기를 통해 지면에 상기 맨홀부를 설치할 때 몰탈 등의 타설을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오수받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오수받이를 나타낸 하부부분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오수받이를 나타낸 상부부분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오수받이의 상부본체를 나타낸 사시도(a) 및 단면사시도(b).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오수받이의 하부본체와 제1,2연결소켓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 "B" 부분 확대도.
도 7은 도 5의 "C", "D" 부분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오수받이의 하부본체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부분확대 및 하부면 경사진거 화살표 표시)
도 9는 도 8의 "E-E" 단면도(a) 및 "F-F" 단면도(b).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입상관과 맨홀부를 나타낸 사시도(a) 및 단면사시도(b).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입상관과 맨홀부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배수트랩을 나타낸 사시도(a) 및 분해사시도(b).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유도엘보가 설치된 하부본체를 나타낸 단면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마감캡이 추가된 오수받이를 나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마감캡을 나타낸 사시도(a)(b) 및 배면도(c).
본 발명은 배수가 용이하고 조립에 의해 하수관과의 연결이 용이한 오수받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수의 하수관과 연결이 가능하되, 제1연결소켓(600)과 제2연결소켓(700)을 이용하여 유입관(110)과 유출관(120)에 상기 하수관을 조립에 의해 쉽게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고, 하부본체(100)의 하부면(130)이 유출관(120)의 방향으로 경사지고, 유도홈(134)이 형성됨과 동시에 생활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관(110)에 배수트랩(500)을 설치하며, 변기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관(110)에 유도엘보(800)를 설치하여 집수된 생활오수와 변기오수가 상기 유출관(120)을 통해 배수의 용이와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는 한편, 맨홀부(400)에 속뚜껑(420)과 제1수밀링(422)을 더 설치하여 수밀성을 향상시키고, 제2이탈방지부재(430)를 통해 시멘트의 타설에 의한 상기 맨홀부(400)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며, 상기 하부본체(100)의 하부에 보온공간(132)을 형성하여 지열에 의한 동파를 방지할 수 있는 배수가 용이한 조립식 악취 역류방지 오수받이에 관한 기술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상부가 개방되고, 후면과 양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된 복수 개의 유입관(110)을 통해 유입된 오수가 집수되며, 전면에 형성된 유출관(120)을 통해 오수가 유출되는 하부본체(100);와 상기 하부본체(100)의 상부에 결합되고, 이음관(210)이 상부로 돌출형성되는 상부본체(200);와 상기 이음관(210)에 하부가 내입되는 입상관(300);과 상기 입상관(300)의 상부에 결합되는 맨홀부(400);와 상기 하부본체(100)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복수 개의 유입관(11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되는 배수트랩(500);과 상기 하부본체(100)의 유입관(110)이 내입되도록 결합되되,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유입관(110)과 하수관을 연결하는 제1연결소켓(600); 및 상기 하부본체(100)의 유출관(120)에 내입되도록 결합되되,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유출관(120)과 배수관을 연결하는 제2연결소켓(7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하부본체(100)는 하부 말단보다 상부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보온공간(132)을 형성하는 하부면(130);과 상기 하부본체(100)는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보온공간(132)을 지면과 구획하고, 복수 개의 관통홀(142)이 형성되는 바닥판(1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하부면(130)은 양측에 중심방향으로 형성되되, 하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경사면(131);과 상기 경사면(131)의 사이에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본체(100)의 내부 후면부터 상기 유출관(120)의 내주면 하부까지 형성되는 유도홈(13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유도홈(134)은 상기 하부본체(100)의 내부 후면부터 상기 유출관(120)의 내주면 하부로 갈수록 하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부본체(10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복수 개의 유입관(11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본체(100)의 중심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유도엘보(8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하부본체(100)는 내부 후면 또는 내부 양측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수직으로 형성되되, 상기 유입관(110)의 측방에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내측 상부에 결합홈(152)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삽입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배수트랩(500)과 상기 유도엘보(800)는 양측에 상기 삽입부(150)의 결합홈(152)과 대응되는 삽입돌기(5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연결소켓(600)은 외주연에 외주연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고, 일측말단에 말단면까지 제1개방홈(612)이 형성되는 착탈홈(61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유입관(110)은 외주연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개방홈(612)에 인입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착탈홈(610)을 따라 이동가능한 착탈돌기(1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착탈돌기(112)는 후면에 형성되는 걸림홈(112a);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착탈홈(610)은 내측면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걸림홈(112a)과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걸림돌기(61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유출관(120)은 외주연에 외주연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고, 중앙 후방에 말단면까지 제2개방홈(122a)이 형성되는 고리홈(12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연결소켓(700)은 후면에 상기 유출관(120)에 내입되도록 형성되는 내입부(710);와 후면에 형성되되, 상기 내입부(71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2개방홈(122a)에 인입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리홈(122)을 따라 이동가능한 걸고리(7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내입부(710)는 외주연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부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본체(200)는 상기 이음관(210)의 내주면 하부에 돌출형성되어 입상관(300)의 하부가 안착되는 단턱(220);과 상기 단턱(220)의 내주면에 돌출형성되는 복 수개의 안착돌기(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맨홀부(400)는 상기 입상관(300)의 상부가 하부에 내입되도록 결합되는 제1이탈방지부재(410);와 상기 제1이탈방지부재(410)의 상부에 하부가 내입되어 결합되고, 하부 외주연에 제1수밀링(422)이 결합된 속뚜껑(420);과 상기 제1이탈방지부재(410)의 상부가 하부에 내입되도록 결합되는 제2이탈방지부재(430);와 상기 제2이탈방지부재(430)의 상부면에 하부가 안착되어 결합되는 받침틀(440); 및 상기 받침틀(440)의 상부에 내입되어 결합되고, 외주연에 제2수밀링(452)이 결합된 맨홀뚜껑(4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이탈방지부재(430)는 상부면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받침틀(44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환형으로 형성되는 외측이탈방지돌기(43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배수트랩(500)은 상기 유입관(110)에 전방이 내입되어 설치되고, 후방이 하부로 구부러져 형성되는 몸체(510);와 상기 몸체(510)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부면에 돌출형성되되,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어 다수의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가이드돌기(522)를 구비하는 물받이(5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1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하부본체(100)는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상부에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상부본체(200)가 결합되고, 후면과 양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된 복수 개의 유입관(110)을 통해 유입된 오수가 집수되며, 전면에 형성된 유출관(120)을 통해 오수가 유출되는 것으로서, 지면에 매설되어 설치되어 생활하수 즉, 생활오수와 변기오수가 이송되는 다수의 하수관이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제1연결소켓(600)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유입관(110)과 연결되어 상기 유입관(110)을 통해 생활하수가 집수되고, 집수된 생활하수가 정수처리장 등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배수관과 상기 유출관(120)이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제2연결소켓(700)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유출관(120)을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하부본체(100)는 상기 유입관(110)을 통해 생활하수가 집수될 수 있도록 상기 유입관(110)과 연통되는 유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집수된 생활하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유출관(120)과 연통되는 유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관(110)과 유출관(120)을 지칭할 때는 상기 유입홀과 유출홀이 포함된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하부본체(100)는 상기 유입관(110)의 상기 유출관(120)보다 상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후면과 양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유입관(110)을 통해 집수되는 생활하수가 상기 유출관(120)을 통해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하부본체(100)는 하부면(130)이 하부 말단보다 상부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보온공간(13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보온공간(132)을 통해 지반의 열 즉, 지열이 보관되어 동절기에 집수된 생활하수가 동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부가하여, 상기 하부면(130)은 양측에 중심방향으로 형성되되, 하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경사면(131)과, 상기 경사면의 사이에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본체(100)의 내부 후면부터 상기 유출관(120)의 내주면 하부까지 형성되는 유도홈(134)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유도홈(134)은 상기 하부본체(100)의 내부 후면부터 상기 유출관(120)의 내주면 하부로 갈수록 하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사면(131)은 후면과 양측면에 형성된 유입관(110)을 통해 유입되는 생활하수가 상기 유도홈(134)으로 모일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유도홈(134)은 상기 경사면(131)에 의해 모인 생활하수가 유출관(120)의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유출관(120)을 통해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유도홈(134)이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은 생활하수에 포함된 고형물이 코너부분에 축적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자연스럽게 유체에 포함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유도홈(134)은 상기 하부본체(100)의 내부 후면부터 상기 유출관(120)의 내주면 하부 즉, 상기 하부본체(100)의 내부 전면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상기 유출관(120)의 방향으로 갈수록 고형물이 확산되도록 하여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고,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유출관(120)으로부터 가장 먼 곳의 유도홈(134)에 모인 고형물의 축적이 최소화되도록 하여 고형물 누적에 의한 막힘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부본체(100)는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보온공간(132)을 지면과 구호기하고, 복수 개의 관통홀(142)이 형성되는 바닥판(1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바닥판(140)은 상기 관통홀(142)을 통해 지열이 상기 보온공간(132)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하부본체(100)의 하부를 지지하여 상기 하부본체(100)가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하부본체(100)와 바닥판(140)의 결합은 상기 하부본체(100)의 내측으로 상기 바닥판(140)의 상부가 삽입된 후 볼트 등에 의해 체결되거나 끼움결합 및 융착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 가능하며, 조립의 편의성을 위해 접착제 도포 후 끼움결합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상부본체(200)는
상기 하부본체(100)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고, 이음관(210)이 상부로 돌출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이음관(210)을 통해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입상관(300)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지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맨홀부(400)에 의해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상부본체(200)와 앞서 설명된 하부본체(100)의 결합은 앞서 설명된 하부본체(100)와 바닥판(140)과의 결합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으나, 상기 하부본체(100)의 상부가 상기 상부본체(200)의 하부로 내입되되, 끼움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상부본체(200)의 하부 내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조립이 쉽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부본체(200)는 상기 이음관(210)의 내주면 하부에 내측방햐으로 돌출형성되어 입상관(300)의 하부가 안착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단턱(220)과, 상기 단턱(220)의 내주면에 내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복수 개의 안착돌기(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단턱(220)은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입상관(300)의 하부면이 안착된 후 용접 또는 융착 등의 방법에 의해 상기 입상관(300)의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안착돌기(230)는 단열재가 안착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단열재에 의해 하부본체(100)의 내부가 보온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즉, 상기 안착돌기(230)는 동절기에 평상시 생활하수가 집수되어 배수될 때, 상기 하부본체(100)의 개방된 상부로 지면의 차가운 공기 또는 온도가 맨홀부(400)를 통해 상기 하부본체(100)의 내부로 이동되는 것을 단열재에 의해 최소화함으로써, 동절기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입상관(300)은
앞서 설명된 상부본체(200)의 이음관(210)에 하부가 내입되어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맨홀부(400)가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맨홀부(400)가 지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됨에 따라 상기 맨홀부(400)를 통해 상기 하부본체(100)의 내부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맨홀부(400)는
앞서 설명된 입상관(300)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지면에 하부가 매설되되,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맨홀뚜껑(450)만 지면에 노출되도록 하여 상기 맨홀뚜껑(450)을 개폐함으로써, 본 발명의 오수받이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맨홀부(400)는 상부가 지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므로, 우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장마철과 같이 우수의 양이 많은 경우 생활하수가 상기 우수에 의해 원활하게 배수되지 못하는 것을 차단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맨홀부(400)는 상기 입상관(300)의 상부가 하부에 내입되도록 결합되는 제1이탈방지부재(410)와, 상기 제1이탈방지부재(410)의 상부에 하부가 내입되어 결합되고, 하부 외주연에 제1수밀링(422)이 결합된 속뚜껑(420)과, 상기 제1이탈방지부재(410)의 상부가 하부에 내입되도록 결합되는 제2이탈방지부재(430)와, 상기 제2이탈방지부재(430)의 상부면에 하부가 안착되어 결합되는 받침틀(440) 및 상기 받침틀(440)의 상부에 내입되어 결합되고, 외주연에 제2수밀링(452)이 결합된 맨홀뚜껑(4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이탈방지부재(410)는 상기 입상관(300)의 상부에 안착된 후 고정될 수 있도록 하부 내측에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에 의해 상기 입상관(300)이 하부에 내입되었을 때 상기 입상관(300)의 상부면이 상기 단턱을 지지하여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며, 상기 단턱의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돌출부에 의해 상기 제2이탈방지부재(430)의 하부가 안착되어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 속뚜껑(420)은 하부면에 돌출형성되는 환형의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이탈방지부재(410)의 상부 내측으로 내입되며, 하부면 외측이 상기 제1이탈방지부재(410)의 상부면에 안착되어 결합되며, 상기 제1수밀링(422)에 의해 상기 제1이탈방지부재(410)와의 사이에 수밀성이 형성되도록 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1수밀링(422)은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속뚜껑(420)의 하부 즉,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이탈방지부재(410)의 상부에 내입되면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제1이탈방지부재(410)의 상부 내측면과의 사이에 위치되어 수밀성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돌출부는 외주연에 상기 제1수밀링(422)의 내측이 내입되어 결합되도록 하는 내입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수밀링(422)은 외주연 상부와 하부에 돌출되는 탄성부(422a)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422a)가 상기 제1이탈방지부재(410)의 상부 내측면에 의해 가압되어 수밀성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1수밀링(422)은 상부면에 외주연 상부에 형성된 탄성부(422a)가 유연한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유격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주연 상부에 형성된 탄성부(422a)의 외주연은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제1수밀링(422)의 내측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제1수밀링(422)의 외주연 하부에 형성된 탄성부(422a)가 유연한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이고 향상된 수밀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또한, 상기 제1수밀링(422)은 내측면에 돌출형성되는 복수 개의 리브돌기(422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리브돌기(422b)는 상기 속뚜껑(420)의 외주연 즉, 돌출부의 외주연에 형성된 내입홈과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수밀링(422)의 측방향으로 형성되는 탄성력의 유연성을 부가함으로써, 보다 원활한 수밀성이 형성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 제2이탈방지부재(430)는 상기 제1이탈방지부재(410)의 돌출부의 상부면에 하부면 내측이 안착되어 설치되고, 상부면에 상기 맨홀뚜껑(450)이 설치되는 받침틀(440)이 안착된 후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2이탈방지부재(430)는 상부면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받침틀(44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환형으로 돌출형성되는 외측이탈방지돌기(43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측이탈방지돌기(432)는 상부면에 설치되는 받침틀(440)의 이탈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의 타설시 상기 받침틀(440)과의 사이에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상기 콘크리트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설치가 콘크리트에 의한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또한, 상기 제2이탈방지부재(430)는 상부면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받침틀(440)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환형으로 돌출형성되는 내측이탈방지돌기(43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내측이탈방지돌기(433)는 상기 받침틀(440)의 내측으로 내입되어 상기 받침틀(440)의 심한 유동을 방지하여 상기 입상관(300)의 상부에 상기 받침틀(440)이 위치된 상태로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 받침틀(440)은 하부가 상기 제2이탈방지부재(430)의 상부면에 안착된 후 용접 또는 볼트 등에 의해 견고하게 상기 제2이탈방지부재(430)와 결합되고, 상부 내측에 맨홀뚜껑(450)이 내입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받침틀(440)은 상기 제2이탈방지부재(430)의 상부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된 후 결합될 수 있도록 하부에 외측방향으로 형성되는 안착부와, 맨홀뚜껑(45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내측면에 돌출형성되는 안착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맨홀뚜껑(450)은 상기 받침틀(440)의 상부에 내입되어 설치되고, 필요시 즉, 본 발명의 오수받이의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 상기 받침틀(440)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입상관(300)을 통해 작업자가 진입할 수 있도록 상부면이 지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맨홀뚜껑(450)은 외주연에 제2수밀링(452)이 설치되어 상기 받침틀(440)과의 사이에 수밀성이 형성되도록 하고, 앞서 설명된 제1수밀링(422)이 설치된 속뚜껑(420)과 함께 2중으로 수밀성이 형성되도록 한다.
즉, 상기 속뚜껑(420)은 상기 맨홀뚜껑(45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입상관(300)의 수밀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상기 맨홀뚜껑(450)과의 사이에 단열공간을 형성하여 수밀성과 함께 보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배수트랩(500)은
상기 하부본체(10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복수 개의 유입관(110) 즉, 유입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생활하수 중 변기오수가 제외되는 생활오수에 의한 악취가 상기 유입관(110)을 통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배수트랩(500)은 상기 유입관(110) 즉, 유입홀에 전방이 내입되어 설치되고, 후방이 하부로 구부러져 형성되는 몸체(510)와, 상기 몸체(510)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부면에 돌출형성되되,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어 다수의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가이드돌기(522)를 구비하는 물받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돌기(522)는 생활오수에 함께 포함되어 집수되는 이물질 즉, 고형물이 분산되도록 하거나, 상기 이물질이 상부에 축적되어 상기 유로를 따라 생활오수가 하부본체(100)의 내부로 집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활오수가 원활하게 집수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또한, 상기 몸체(510)는 하부가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물받이(520)는 상기 몸체(510)의 하부 전방과 대응되는 전면 즉, 전방 내측면과 상기 몸체(510)의 하부 후방 양측과 대응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몸체(510)의 하부 형상과 상기 물받이(520)의 전방 내측 형상은 상기 몸체(510)의 하부가 만곡된 형상 즉, 타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510)의 하부가 상기 물받이(520)의 전방 상부에 견고하게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오수받이는 상기 하부본체(10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복수 개의 유입관(11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본체(100)의 중심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유도엘보(8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유도엘보(800)는 생활하수 중 변기오수가 집수되도록 하는 유입관(110)에 설치되어 변기오수의 이물질 즉, 고형물이 상기 유입관(110)의 하부에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여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유도엘보(800)는 상기 유입관(110)으로부터 유출관(120)의 방향 또는 하부본체(100)의 중심방향으로 구부러져 집수되는 변기오수가 유출관(120)을 통해 원활하게 배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앞서 설명된 배수트랩(500)과 유도엘보(800)가 하부본체(100)에 착탈되는 구조는 상기 배수트랩(500)의 전방과 유도엘보(800)의 전방이 상기 유입관(110)의 내측으로 끼움결합되고, 수밀성 및 견고한 결합을 위해 상기 배수트랩(500)의 전방 외주연과 상기 유도엘보(800)의 전방 외주연에 적어도 하나의 패킹이 설치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본체(100)와 배수트랩(500) 및 유도엘보(800)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상기 하부본체(100)는 내부 후면 또는 내부 양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수직으로 형성되되, 상기 유입관(110)의 측방에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내측 상부에 결합홈(152)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삽입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트랩(500)과 상기 유도엘보(800)는 전방 양측에 상기 삽입부(150)의 결합홈(152)과 대응되는 삽입돌기(5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삽입돌기(580)는 상기 삽입부(150)의 결합홈(152)에 끼움결합됨에 따라 상기 배수트랩(500)과 상기 유도엘보(800)가 유입관(110)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삽입부(150)는 상기 유입관(110)의 측방 즉, 일측과 타측 모두에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부본체(100)와 배수트랩(500) 및 유도엘보(800)의 결합을 보다 견고하게 할 수 있으나, 상기 배수트랩(500)과 유도엘보(800)가 유입관(110)에 용이하게 결합되기 위해 상기 유입관(110)의 일측 또는 타측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에 의한 제1연결소켓(600)은
상기 하부본체(100)의 유입관(110)이 내입되도록 결합되되,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유입관(110)과 하수관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기 하수관을 통해 이송되는 생활하수가 상기 유입관(110)을 통해 하부본체(100)에 집수될 수 있도록 하고, 종래에 사용되는 연결소켓에 비해 설치가 용이하도록 착탈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설치가 용이한 착탈 가능한 구조를 위해 본 발명의 제1연결소켓(600)은 외주연에 외주연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고, 일측말단에 말단면까지 제1개방홈(612)이 형성되는 착탈홈(61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유입관(110)은 외주연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개방홈(612)에 인입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착탈홈(610)을 따라 이동가능한 착탈돌기(1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제1연결소켓(600)은 하수관과 상기 유입관(110)이 결합될 때, 상기 유입관(110)의 후방 내측에 상기 유입관(110)의 말단이 내입되도록 결합되되, 상기 제1개방홈(612)을 통해 상기 유입관(110)의 착탈돌기(112)가 상기 착탈홈(610)에 내입된 후 회전되어 상기 착탈돌기(112)를 상기 착탈홈(610)의 일측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한 효과를 실현케 한다.
또한, 상기 착탈돌기(112)는 후면에 형성되는 걸림홈(112a)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착탈홈(610)은 내측면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걸림홈(112a)과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걸림돌기(61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제1연결소켓(600)을 회전시켜 유입관(110)과 하수관을 연결할 때, 상기 걸림홈(112a)에 상기 복수 개의 걸림돌기(614) 중 어느 하나가 내입되어 견고한 체결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착탈돌기(112)는 측면이 상기 걸림돌기(614)가 원활하게 상기 걸림홈(112a)으로 내입될 수 있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걸림돌기(614) 또한 측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112a)에 인입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1연결소켓(60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수관이 연결되지 않는 경우 마감캡(602)을 통해 폐쇄한다. 추후 상기 제1연결소켓(600)을 하수관과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마감캡(602)을 제거하고, 하수관을 연결한다.
한편, 상기 마감캡(602)은 다른 실시예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소켓(600)에 내입되어 결합되되, 상기 제1연결소켓(600)에 내입되는 외주연에 결합되는 수밀링과, 후면 즉, 배면에 돌출형성되되, 후면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되는 부분에 돌출형성되는 손잡이부(602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다른 실시예의 마감캡(602)은 오랜기간 동안 하수관이 연결되지 않아 상기 제1연결소켓(600)을 폐쇄하는 경우 상기 제1연결소켓(600)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편심된 위치에 돌출형성된 손잡이부(602a)를 파지하여 원활하게 유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폐쇄된 상기 제1연결소켓(600)을 보다 쉽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제2연결소켓(700)은
상기 하부본체(100)의 유출관(120)에 내입되도록 결합되되,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유출관(120)과 배수관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기 하부본체(100)에 집수된 생활하수가 상기 유출관(120)을 통해 상기 배수관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하고, 종래에 사용되는 연결소켓에 비해 설치가 용이하고 배수되는 강한 생활하수에 의해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설치가 용이하고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위해 상기 유출관(120)은 외주연에 외주연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고, 중앙 후방에 말단면까지 제2개방홈(122a)이 형성되는 고리홈(12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본 발명의 제2연결소켓(700)은 후면에 상기 유출관(120)에 내입되도록 형성되는 내입부(710)와, 후면에 형성되되, 상기 내입부(710)의 외측에 외치되도록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2개방홈(122a)에 인입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며,상기 고리홈(122)을 따라 이동가능한 걸고리(7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제2연결소켓(700)은 상기 내입부(710)가 상기 유출관(120)의 내부에 내입되어 설치될 때, 상기 걸고리(720)가 제2개방홈(122a)을 통해 상기 고리홈(122)에 내입된 후 회전되어 상기 걸고리(720)가 상기 고리홈(122)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한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걸고리(720)는 말단에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내입부(710)가 상기 유출관(120)의 내부에 내입되어 설치될 때, 상기 제2개방홈(122a)을 통해 상기 고리홈(122)에 내입된 후 이탈이 방지되어 설치가 보다 용이한 효과를 실현케 한다. 즉, 상기와 같은 효과를 위해 상기 고리홈(122)은 상기 제2개방홈(122a)에 비해 높이가 크게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내입부(710)는 외주연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설치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설치홈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부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부싱은 상기 제2연결소켓(700)과 유출관(120)과의 수밀성 향상과 함게 보다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즉, 본 발명의 제1연결소켓(600)과 제2연결소켓(700)은 종래에 비해 착탈 가능한 구조로 인해 하수관과 유입관 및 배수관과 유출관이 결합이 용이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설치가 용이한 효과를 실현케 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배수가 용이한 조립식 악취 역류방지 오수받이는 하부본체(100)의 하부면(130)이 경사지게 형성됨과 동시에 유도홈(134)이 형성되고, 배수트랩(500)과 유도엘보(800)가 설치됨에 따라 배수가 용이하며, 착탈 가능한 구조의 제1연결소켓(600)과 제2연결소켓(700)을 통해 설치가 용이하며, 맨홀부(400)에 설치되는 속뚜껑(420)에 의해 수밀성이 향상되므로 배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설치가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하부본체 110 : 유입관 112 : 착탈돌기
112a : 걸림홈 120 : 유출관 122 : 고리홈
122a : 제2개방홈 130 : 하부면 131 : 경사면
132 : 보온공간 134 : 유도홈 140 : 바닥판
142 : 관통홀 150 : 삽입부 152 : 결합홈
200 : 상부본체 210 : 이음관 220 : 단턱
230 : 안착돌기 300 : 입상관 400 : 맨홀부
410 : 제1이탈방지부재 420 : 속뚜껑 422 : 제1수밀링
422a : 탄성부 422b : 리브돌기 430 ; 제2이탈방지부재
432 : 외측이탈방지돌기 440 : 받침틀 450 : 맨홀뚜껑
452 : 제2수밀링 500 : 배수트랩 510 : 몸체
520 : 물받이 522 : 가이드돌기 580 : 삽입돌기
600 : 제1연결소켓 610 : 착탈홈 612 : 제1개방홈
614 : 걸림돌기 700 : 제2연결소켓 710 : 내입부
720 : 걸고리 800 : 유도엘보

Claims (13)

  1. 상부가 개방되고, 후면과 양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된 유입관(110)을 통해 유입된 오수가 집수되며, 전면에 형성된 유출관(120)을 통해 오수가 유출되는 하부본체(100);와
    상기 하부본체(100)의 상부에 결합되고, 이음관(210)이 상부로 돌출형성되는 상부본체(200);와
    상기 이음관(210)에 하부가 내입되는 입상관(300);과
    상기 입상관(300)의 상부에 결합되는 맨홀부(400);와
    상기 하부본체(100)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복수 개의 유입관(11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되는 배수트랩(500);과
    상기 하부본체(100)의 유입관(110)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유입관(110)과 하수관을 연결하는 제1연결소켓(600); 및
    상기 하부본체(100)의 유출관(120)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유출관(120)과 배수관을 연결하는 제2연결소켓(700);을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소켓(600)은
    외주연에 외주연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고 제1개방홈(612)이 형성되는 착탈홈(61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유입관(110)은
    외주연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개방홈(612)에 인입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착탈홈(610)을 따라 이동가능한 착탈돌기(112);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돌기(112)는
    후면에 형성되는 걸림홈(112a);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착탈홈(610)은
    내측면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걸림홈(112a)과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걸림돌기(61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가 용이한 조립식 악취 역류방지 오수받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본체(100)는
    하부 말단보다 상부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보온공간(132)을 형성하는 하부면(130);과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보온공간(132)을 지면과 구획하고, 복수 개의 관통홀(142)이 형성되는 바닥판(1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가 용이한 조립식 악취 역류방지 오수받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면(130)은
    양측에 중심방향으로 형성되되, 하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경사면(131);과
    상기 경사면(131)의 사이에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본체(100)의 내부 후면부터 상기 유출관(120)의 내주면 하부까지 형성되는 유도홈(134);을 포함하되,
    상기 유도홈(134)은
    상기 하부본체(100)의 내부 후면부터 상기 유출관(120)의 내주면 하부로 갈수록 하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가 용이한 조립식 악취 역류방지 오수받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본체(10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복수 개의 유입관(11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본체(100)의 중심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유도엘보(8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가 용이한 조립식 악취 역류방지 오수받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본체(100)는
    내부 후면 또는 내부 양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수직으로 형성되되, 내측 상부에 결합홈(152)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삽입부(150);를 포함하되,
    상기 배수트랩(500)과 상기 유도엘보(800)에는
    양측에 상기 삽입부(150)의 결합홈(152)과 결합되는 삽입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가 용이한 조립식 악취 역류방지 오수받이.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관(120)은
    외주연에 외주연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고, 중앙 후방에 말단면까지 제2개방홈(122a)이 형성되는 고리홈(12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연결소켓(700)은
    후면에 상기 유출관(120)에 내입되도록 형성되는 내입부(710);와
    후면에 형성되되, 상기 내입부(71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2개방홈(122a)에 인입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리홈(122)을 따라 이동가능한 걸고리(7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가 용이한 조립식 악취 역류방지 오수받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본체(200)는
    상기 이음관(210)의 내주면 하부에 돌출형성되어 입상관(300)의 하부가 안착되는 단턱(220);과
    상기 단턱(220)의 내주면에 돌출형성되는 복 수개의 안착돌기(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가 용이한 조립식 악취 역류방지 오수받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부(400)는
    상기 입상관(300)의 상부가 하부에 내입되도록 결합되는 제1이탈방지부재(410);와
    상기 제1이탈방지부재(410)의 상부에 하부가 내입되어 결합되고, 하부 외주연에 제1수밀링(422)이 결합된 속뚜껑(420);과
    상기 제1이탈방지부재(410)의 상부가 하부에 내입되도록 결합되는 제2이탈방지부재(430);와
    상기 제2이탈방지부재(430)의 상부면에 하부가 안착되어 결합되는 받침틀(440); 및
    상기 받침틀(440)의 상부에 내입되어 결합되고, 외주연에 제2수밀링(452)이 결합된 맨홀뚜껑(4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가 용이한 조립식 악취 역류방지 오수받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탈방지부재(430)는
    상부면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받침틀(44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환형으로 형성되는 외측이탈방지돌기(432);와
    상부면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받침틀(440)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환형으로 형성되는 내측이탈방지돌기(43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가 용이한 조립식 악취 역류방지 오수받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트랩(500)은
    상기 유입관(110)에 전방이 내입되어 설치되고, 후방이 하부로 구부러져 형성되는 몸체(510);와
    상기 몸체(510)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부면에 돌출형성되되,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어 다수의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가이드돌기(522)를 구비하는 물받이(5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가 용이한 조립식 악취 역류방지 오수받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소켓(600)에 결합되는 마감캡(602)은
    외주연에 결합되는 수밀링과, 후면에 편심되어 돌출형성되는 손잡이부(602a)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가 용이한 조립식 악취 역류방지 오수받이.
KR1020210059881A 2021-05-10 2021-05-10 배수가 용이한 조립식 악취 역류방지 오수받이 KR102320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881A KR102320890B1 (ko) 2021-05-10 2021-05-10 배수가 용이한 조립식 악취 역류방지 오수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881A KR102320890B1 (ko) 2021-05-10 2021-05-10 배수가 용이한 조립식 악취 역류방지 오수받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0890B1 true KR102320890B1 (ko) 2021-11-03

Family

ID=78505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9881A KR102320890B1 (ko) 2021-05-10 2021-05-10 배수가 용이한 조립식 악취 역류방지 오수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08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22220A (en) * 2022-09-06 2024-03-13 Polypipe Ltd Inspection chamber system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3182A (ko) * 2006-02-08 2006-03-13 주식회사 퍼팩트 조립식 인버터 및 유도관을 구비한 맨홀
KR100765446B1 (ko) * 2006-05-09 2007-10-09 백완기 유로 변경식 오수받이 장치
KR100947986B1 (ko) * 2009-03-05 2010-03-18 주식회사 퍼팩트 다용도 조립식 오수받이 맨홀
KR101827077B1 (ko) 2016-01-12 2018-02-07 피피아이평화 주식회사 오수받이 겸 맨홀
KR101869955B1 (ko) * 2017-12-05 2018-06-21 김진희 슬러지의 퇴적 방지구조를 갖는 오수받이
KR101863310B1 (ko) * 2017-01-26 2018-06-29 주식회사 퍼팩트 배수가 원활한 트랩형 맨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3182A (ko) * 2006-02-08 2006-03-13 주식회사 퍼팩트 조립식 인버터 및 유도관을 구비한 맨홀
KR100765446B1 (ko) * 2006-05-09 2007-10-09 백완기 유로 변경식 오수받이 장치
KR100947986B1 (ko) * 2009-03-05 2010-03-18 주식회사 퍼팩트 다용도 조립식 오수받이 맨홀
KR101827077B1 (ko) 2016-01-12 2018-02-07 피피아이평화 주식회사 오수받이 겸 맨홀
KR101863310B1 (ko) * 2017-01-26 2018-06-29 주식회사 퍼팩트 배수가 원활한 트랩형 맨홀
KR101869955B1 (ko) * 2017-12-05 2018-06-21 김진희 슬러지의 퇴적 방지구조를 갖는 오수받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22220A (en) * 2022-09-06 2024-03-13 Polypipe Ltd Inspection chamber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89838A1 (en) Floor drain
KR100538651B1 (ko) 오수받이 장치
KR102320890B1 (ko) 배수가 용이한 조립식 악취 역류방지 오수받이
KR101316846B1 (ko) 욕실의 배수트랩
KR101847554B1 (ko) 수로변경형 오수받이
KR200372522Y1 (ko) 아파트 욕실의 오수 배수장치
KR200383882Y1 (ko) 오수받이
JP2761282B2 (ja) 排水桝
JPH0322372Y2 (ko)
KR102339341B1 (ko) 수밀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킨 다기능 점검구 맨홀
KR101050778B1 (ko) 유선형 트랩의 방취용 오수받이
KR100740525B1 (ko) 오수받이 장치
KR101111528B1 (ko)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용 봉수 구조를 갖는 배수 트랩
JP3738132B2 (ja) グリーストラップにおける水の浸入防止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0654309B1 (ko) 하수관로의 물받이 배수트랩
JPH11247281A (ja) 排水桝
JPH022793Y2 (ko)
JP3271745B2 (ja) 防臭装置を備えた雨水浸透桝
KR102311496B1 (ko) 가변형 오수받이
JP2004076342A (ja) 防臭・油分離ます
CN217630366U (zh) 一种自带水封汇集装置
JP2892310B2 (ja) エルボ付溜め桝
KR930004979Y1 (ko) 배수전
JPH0738449Y2 (ja) トラップ付き排水桝
KR910003804Y1 (ko) 악취차단 및 동결방지용 오수맨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