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5045A - 오수받이장치 및 이에 장착 가능한 악취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오수받이장치 및 이에 장착 가능한 악취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5045A
KR20090105045A KR1020080030286A KR20080030286A KR20090105045A KR 20090105045 A KR20090105045 A KR 20090105045A KR 1020080030286 A KR1020080030286 A KR 1020080030286A KR 20080030286 A KR20080030286 A KR 20080030286A KR 20090105045 A KR20090105045 A KR 20090105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p
odor blocking
drip tray
blocking cover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0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희옥
Original Assignee
승한케미칼(주)
박희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승한케미칼(주), 박희옥 filed Critical 승한케미칼(주)
Priority to KR1020080030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5045A/ko
Publication of KR20090105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50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E03F7/02Shut-off devices
    • E03F7/04Valves for preventing return flow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수받이장치 및 이에 장착 가능한 악취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악취가 유입구를 통해 가정 등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악취차단장치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악취 역류를 자체적으로 방지하는 세간(예, 싱크대나 변기 등)이 있는 가정 등에서는 악취차단장치가 없는 채로 시공될 수 있도록 하고 반면, 그러한 기능이 없는 세간이 있는 곳에서는 냄새 역류 방지가 장착한 채로 시공될 수 있도록 한 오수받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시공 여건에 따라 오수받이장치에 장착이 필요한 경우, 그 내부에 견고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 악취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수받이, 맨홀, 트랩, 봉수, 악취, 역류

Description

오수받이장치 및 이에 장착 가능한 악취차단장치{apparatus for drain sewage and trap apparatus}
본 발명은 오수받이장치 및 이에 장착 가능한 악취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악취가 유입구를 통해 가정 등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악취차단장치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악취 역류를 자체적으로 방지하는 세간(예, 싱크대나 변기 등)이 있는 가정 등에서는 악취차단장치가 없는 채로 시공될 수 있도록 하고 반면, 그러한 기능이 없는 세간이 있는 곳에서는 냄새 역류 방지가 장착한 채로 시공될 수 있도록 한 오수받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시공 여건에 따라 오수받이장치에 장착이 필요한 경우, 그 내부에 견고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 악취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오수받이장치는 가정 혹은 공장 등에서 발생하는 생활폐수를 일시적으로 모아두었다가 배수관을 통해 하수처리장으로 내보내는 것이다. 한편으로, 이는 맨홀이라고도 하는데 일반적으로 사각이나 원기둥 모양이고, 생활폐 수를 받아들이기 위한 다수의 유입구와 이를 통해 유입되는 생활폐수를 하수처리장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화장실에 갖춰져 있는 변기나 세면대를 보면, 아래쪽에 'U'자나 'S'자 형상을 갖는 트랩(trap)을 볼 수 있다. 이는 배수구를 통해서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물을 보관하는 것으로써 물로 배수구를 봉한다는 의미에서 일명, '봉수'라고도 한다. 그에 반해, 싱크대는 상기한 트랩이 갖춰져 있지 않고 있는 실정이었다. 따라서, 종래 오수받이장치는 일반적으로 변기, 세면대 및 싱크대에 각각 연결되는 유입구를 갖되, 이 중에서 싱크대에 연결되는 유입구에는 상기한 트랩이 별도로 형성되도록 제조되고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싱크대도 트랩을 갖춘 상태로 아파트나 빌딩 등에 시공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시공 장소에는 오수받이장치에 굳이 트랩을 갖출 필요성이 없음에도 트랩이 내장된 오수받이장치가 그대로 적용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트랩을 갖춘 싱크대에 또한, 트랩을 갖춘 오수받이장치를 적용한다 하여서 악취가 가정으로 역류하는 것은 아니지만 트랩이 이중으로 설치된다는 것 자체가 비효율적인 면이 있다. 곧, 오수받이장치에서 트랩을 성형하지 않음으로써 낮출 수 있는 제조 비용이 사용자에게 고스란히 전가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트랩 내장형 오수받이장치는 악취의 역류를 매우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측면이 있는 반면, 맨홀 뚜껑을 열고 트랩 내부를 주기적으로 청소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왜냐하면, 어느 정도 시일이 경과가 되면 웬만한 수압에도 쓸려 내려 가지 않는 침전물이 트랩에 쌓이게 되는데, 이러한 침전물은 트랩의 제 기능을 방해하는 요소이다. 따라서, 트랩을 갖춘 싱크대에 트랩 내장형 오수받이장치를 설치하게 된다면 사용자는 원래 하지 않아도 되는 침전물의 청소를 매번 하여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시공 여건에 따라 오수받이장치에 트랩 즉, 악취차단장치를 장착하는 것을 시공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연구 중에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유입구 주변에 악취차단장치를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오수받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수받이장치 내부의 유입구 주변에 장착 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시공자가 그 시공 여건에 따라 오수받이장치에 결합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한 악취차단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배수구 및 다수의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오수받이장치에 있어서, 몸통 내부에서 상기 다수의 유입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테두리에는 물로 상기 몸통 내부와 유입구에 연결되는 배관 사이를 봉하는 구조를 갖는 악취차단장치가 장착되도록 하는 트랩 장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트랩 장착부는 상기 테두리에서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트랩 장착부에 있어서 상기 돌출된 부위에는 트랩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오수받이장치의 바닥면에는 트랩 고정구나 트랩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수의 유입구는 상기 배수구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되, 상기 오수받이장치의 바닥면은 상기 다수의 유입구에서 상기 배수구로 경사진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면이 개방되어 있는 물받이; 및 측면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저면에 배수구가 형성되되, 상기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저면이 상기 물받이의 상면보다 아래에 놓이는 채로 상기 물받이와 결합이 되는 악취차단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물받이와 상기 악취차단덮개를 트랩 장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오수받이장치에 장착되도록 하고, 상기 악취차단덮개의 유입구를 상기 오수받이장치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유입구에 연결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물받이와 상기 악취차단덮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차단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악취차단덮개의 상부에는 관 이음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물받이와 상기 악취차단덮개는 서로 분리되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악취차단덮개의 측면에는 상기 물받이와 결합되도록 하는 물받이결합부가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상기 악취차단덮개의 측면에는 상기 물받이와 결합되도록 하는 물받이결합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악취차단덮개의 상부는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과제 해결 수단에 따라 본 발명의 오수받이장치 및 이에 장착 가능한 악취차단장치에 따르면, 시공자는 그 시공 여건에 따라 악취차단장치를 오수받이장치의 내부에 결합하여 혹은 결합하지 않은 채로 오수받이장치를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시공자는 오수받이장치를 시공하는 해당 가정 등에 있는 모든 배수구에 트랩이 갖춰져 있는 경우에는 악취차단장치없이 오수받이장치를 매설하기만 하면 된다. 그 반대로, 배수구 중에 어느 하나라도 트랩이 없는 경우에는 오수받이장치에 악취차단장치를 결합하여 매설하면 될 것이다.
다른 측면에서 보자면, 제조자는 오수받이의 시장 상황에 대처하기가 용이하다. 즉, 제조자는 오수받이를 트랩 내장형과 그렇지 않은 것으로 따로 구분하여 제작할 필요가 없다. 다시 말해, 트랩 내장형 오수받이장치의 수요가 많든 적든 간에 본 발명에 따른 오수받이장치를 시공자에게 납품하기만 하면 된다. 그러면, 시공자는 본 발명의 오수받이장치를 각 가정 등에 시공하면서 트랩 내장이 필요한 경우에는, 제조자에게 본 발명의 악취차단장치를 별도로 주문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악취차단장치의 상부에는 호스 등을 연결할 수 있는 관 이음구가 형성될 수 있는바, 사용자는 이를 이용하여 악취차단장치의 청소 즉, 침전물을 제거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악취차단장치는 그 덮개가 투명한 것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굳이 덮개를 분리하지 않고도 맨홀 뚜겅을 여는 것만으로 물받이에 침전물이 어느 정도 쌓여있는지 등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오수받 이장치 및 이에 장착 가능한 악취차단장치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수받이장치의 사시도, 측면도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차단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4의 악취차단장치에서 악취차단덮개를 분리하여 본 측면도와 평면도이며, 도 7 및 도 8은 각각, 도 4의 악취차단장치에서 물받이를 분리하여 본 측면도와 평면도이며, 도 9 및 도 10은 각각, 도 4의 악취차단장치를 도 1의 오수받이장치에 장착하여 본 사시도와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악취차단장치가 장착되어 있는 오수받이장치에서 악취차단덮개를 분리하여 본 사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수받이장치(100)는 생활폐수를 일시적으로 모아두었다가 배수관을 통해 하수처리장으로 내보내기 위해, 배수구(105)와 다수의 유입구(110a, 110b, 110c; 11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여기서, 각각의 유입구(110)는 세면대, 싱크대 및 변기와 배관(미도시)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배수구(105)는 배관(미도시)을 통해 하수처리장과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각각의 유입구(110)의 둘레에는 배관과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수나사(111a, 111b, 111c; 11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오수받이장치(100)는 그 몸통(120) 내부에 악취차단장치(200; 도 4 내지 도 8 참조)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트랩 장착부(13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여기서, 악취차단장치(200)는 유입구(110) 중에서 어느 한 부위에 장착되어 유입구(110b)에서 흘러나오는 생활 폐수를 배수구(105)로 흘려보내는 역할을 하면서, 몸통(120) 내부와 유입구(110b)에 연결된 배관 사이를 봉할 수 있도록 유입되는 생활 폐수를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렇게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생활 폐수에 의해 다른 유입구(110a, 110c)에서 몸통(120)으로 들어오는 오폐수로 인한 악취가 가정 등으로 역류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그 구조에 대해서는 이하, 도 4 내지 도 8을 참조로 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하여 트랩 장착부(13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트랩 장착부(130)는 악취차단장치(200)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유입구(110b)의 테두리에서 돌출된 구조이다. 그리고 이렇게 돌출된 구조는 유입구(110b)를 사이에 두고 바닥면(140)까지 이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트랩 장착부(130)에 있어서, 이렇게 돌출된 부위의 안쪽으로는 트랩 삽입홈(131)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트랙 삽입홈(131)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면(140)의 밑으로까지 천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오수받이장치(100)는 트랩 장착부(130)와는 별도로, 그 바닥면(140)에 악취차단장치(200)가 더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트랩 고정구(141)가 천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트랩 고 정구(141)는 악취차단장치(200)의 특정 부위에 끼워질 수 있도록 돌기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트랩 고정구(141)는 오수받이의 시공시 악취차단장치(200)가 필요없는 경우에는 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오수받이장치(100)는 유입구(110)가 배수구(105)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고, 그 바닥면(140)은 유입구(110) 쪽에서 배수구(105) 쪽으로 경사진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오수받이장치(100)는 유입구(110) 중에서 가운데 위치하는 것은 배수구(105)와 일직선상에 위치하고, 배수구(105)보다 다른 유입구(110a, 110b)와 가깝게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오수받이장치(100)는 배수구(105) 반대편에 유입구(110)가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즉, 이러한 구조는 마치, 몸통(140) 내부로 인입되는 오폐수를 배수구(105)로 유도하는 도랑과 같은 기능을 함으로써 몸통(140)으로 인입된 오폐수가 다시 유입구(110) 쪽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이러한 구조는 오폐수가 몸통(120) 내부에 잔류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바닥면(140)에 침전물이 쌓이는 것을 최소화한다. 따라서, 오수받이장치(100)에 대한 유지 관리 즉, 청소 빈도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악취차단장 치(200)는 물받이(210)와 악취차단덮개(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물받이(210)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 공간이 둥근 'U'자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악취차단덮개(220)는 내부에 공간을 갖는 입체로써 측면에 유입구(221)가 형성되고 저면에 배수구(22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배수구(222)가 형성되어 있는 저면이 물받이(210)의 상면보다 아래에 놓이는 채로 물받이(210)와 결합이 되는 것이다.
또한, 악취차단덮개(220)의 저면 즉, 도 4에서 '도면 부호 225'로 나타낸 악취차단부는 물받이(21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할 수 있도록 제조되는 것이다. 즉, 이 악취차단부(225)가 물받이(210)에 고이는 물과 접촉되고 결국은, 잠기게 되는바, 이에 의해 악취가 유입구(221)를 통해 역류하는 것이 방지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물받이(210)에는 악취차단덮개(220)의 유입구(221)와 오수받이장치(10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유입구(110b)에 연결되도록 하고, 물받이(210)를 오수받이장치(100)에 장착되도록 하는 물받이 장착부(21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즉, 이 물받이 장착부(211)는 물받이(210)에서 돌출 성형된 것으로써 오수받이장치(100)의 트랙 삽입홈(131)에 끼워지게 된다(도 9 및 도 10 참조).
또한, 물받이(210)의 저면에는 물받이 장착부(211)와는 별개로, 물받이(210)가 오수받이장치(10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213)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이러한 고정돌기(213)는 오수받이장치(100)의 트랩 고정구(141)에 끼워지게 된다. 물론, 오수받이장치(100)의 트랩 고정구(141)가 돌기 형태로 대체된다면, 고정돌기(21)도 그 반대인 홈으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악취차단덮개(220)의 상부에는 관 이음구(22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를 테면, 호스와 같은 관을 이 관 이음구(223)에 연결하고 이 호스를 수도꼭지에 연결함으로써 물받이(210)의 청소를 손쉽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관 이음구(223)의 둘레에는 호스와 손쉽게 연결될 수 있도록 수나사(223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물받이(210)와 악취차단덮개(220)는 서로 분리되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악취차단덮개(220)의 측면에는 물받이(210)와 결합과 분리 가능하도록 하는 물받이 결합부(224)가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응하여, 물받이(210)의 안쪽면에도 이 물받이 결합부(224)가 끼워져 단단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덮개결합 홈(21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물받이 결합부(224)는 홈으로, 덮개결합 홈(212)은 돌출된 것으로 대체될 수 있다.
즉, 악취차단장치(200)는 이렇게 상부와 하부로 분리되는 구조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시공자는 하부인 물받이(210)의 경우엔 완전히 접합이 되도록 본드 등으로 이용하여 오수받이장치(100)에 장착할 수 있다. 그 반면, 상부인 악취차단덮 개(220)는 물받이(210)로부터 언제든지 분리 가능하기 때문에, 물받이 청소 등 오수받이의 유지 관리에 용이한 측면이 있다(도 11 참조).
또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악취차단덮개(220)의 상부는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굳이, 악취차단덮개(220)를 분리하지 않고도 맨홀 뚜껑을 여는 것만으로 물받이(210)에 침전물이 어느 정도 쌓여있는지 등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악취차단덮개(220)에 있어서, 유입구(221)가 형성되어 있는 측면에는 오수받이장치(100)의 트랙 삽입홈(131)에 끼워지도록 하는 덮개 장착부(226)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즉, 이 덮개 장착부(226)는 물받이(210)의 장착부(211)와 일직선으로 이어지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오수받이장치 및 이에 장착 가능한 악취차단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수받이장치의 사시도, 측면도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차단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4의 악취차단장치에서 악취차단덮개를 분리하여 본 측면도와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각각, 도 4의 악취차단장치에서 물받이를 분리하여 본 측면도와 평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각각, 도 4의 악취차단장치를 도 1의 오수받이장치에 장착하여 본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악취차단장치가 장착되어 있는 오수받이장치에서 악취차단덮개를 분리하여 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오수받이장치
105: 배수구 110a, 110b, 110c: 유입구
120: 몸통 130: 트랩 장착부(130)
131: 트랙 삽입홈 140: 바닥면
141: 트랩 고정구
200: 악취차단장치
210: 물받이
211: 물받이 장착부 212: 덮개결합 홈
213: 고정돌기
220: 악취차단덮개
221: 유입구 222: 배수구
223: 관 이음구 224: 물받이 결합부
225: 악취차단부 226: 덮개 장착부

Claims (11)

  1. 배수구 및 다수의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오수받이장치에 있어서,
    몸통 내부에서 상기 다수의 유입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테두리에는 물로 상기 몸통 내부와 유입구에 연결되는 배관 사이를 봉하는 구조를 갖는 악취차단장치가 장착되도록 하는 트랩 장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 장착부는 상기 테두리에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 장착부에 있어서 상기 돌출된 부위에는 트랩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바닥면에는 트랩 고정구나 트랩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유입구는 상기 배수구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되,
    바닥면은 상기 다수의 유입구에서 상기 배수구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장치.
  6. 상면이 개방되어 있는 물받이; 및
    측면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저면에 배수구가 형성되되, 상기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저면이 상기 물받이의 상면보다 아래에 놓이는 채로 상기 물받이와 결합이 되는 악취차단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물받이와 상기 악취차단덮개를 트랩 장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오수받이장치에 장착되도록 하고, 상기 악취차단덮개의 유입구를 상기 오수받이장치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유입구에 연결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물받이와 상기 악취차단덮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차단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차단덮개의 상부에는 관 이음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차단장치.
  8. 제 6항 및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와 상기 악취차단덮개는 서로 분리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차단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차단덮개의 측면에는 상기 물받이와 결합되도록 하는 물받이결합부가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차단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차단덮개의 측면에는 상기 물받이와 결합되도록 하는 물받이결합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차단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차단덮개의 상부는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차단장치.
KR1020080030286A 2008-04-01 2008-04-01 오수받이장치 및 이에 장착 가능한 악취차단장치 KR200901050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0286A KR20090105045A (ko) 2008-04-01 2008-04-01 오수받이장치 및 이에 장착 가능한 악취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0286A KR20090105045A (ko) 2008-04-01 2008-04-01 오수받이장치 및 이에 장착 가능한 악취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5045A true KR20090105045A (ko) 2009-10-07

Family

ID=41534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0286A KR20090105045A (ko) 2008-04-01 2008-04-01 오수받이장치 및 이에 장착 가능한 악취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0504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251B1 (ko) * 2010-11-30 2013-02-27 박환진 높이조절식 오수받이
KR101272774B1 (ko) * 2012-03-28 2013-06-10 주식회사 남정 두 종의 유입관이 구비된 맨홀에서 유입관의 위치변경 설치구조
KR101390233B1 (ko) * 2012-07-06 2014-04-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양구조물의 가스 역류 방지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251B1 (ko) * 2010-11-30 2013-02-27 박환진 높이조절식 오수받이
KR101272774B1 (ko) * 2012-03-28 2013-06-10 주식회사 남정 두 종의 유입관이 구비된 맨홀에서 유입관의 위치변경 설치구조
KR101390233B1 (ko) * 2012-07-06 2014-04-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양구조물의 가스 역류 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8651B1 (ko) 오수받이 장치
KR20090105045A (ko) 오수받이장치 및 이에 장착 가능한 악취차단장치
KR100816677B1 (ko) 침전물의 제거가 용이한 오수받이
KR100923133B1 (ko) 내장형 봉수트랩을 구비한 오수받이
KR100842368B1 (ko) 통합형 우수겸용 오수받이
KR100658160B1 (ko) 공동주택 베란다의 배수구조
KR100954145B1 (ko) 점검구 전환이 가능한 오수받이
JP2004360263A (ja) 排水トラップ配管
KR20050080155A (ko) 악취차단과 이물질 수거가 용이한 생활하수용 배수조
KR100811125B1 (ko) 오수받이
KR101114822B1 (ko) 오수받이
JP2004270290A (ja) 排水トラップ配管
KR100766508B1 (ko) 오수받이
KR100740525B1 (ko) 오수받이 장치
KR101342860B1 (ko) 동층배관 및 층하배관용 통합 배수 시스템
KR101401231B1 (ko) 세면기 배수장치
KR101296212B1 (ko) 역류방지구를 구비한 유로 분리형 오수받이
KR101186776B1 (ko) 배수관 고정구를 구비한 세면대 배수장치
KR100538411B1 (ko) 오수받이장치
KR200412547Y1 (ko) 우수받이 겸용 오수받이
KR101100907B1 (ko) 바닥체용 배수 장치
KR200434181Y1 (ko) 오수받이용 악취차단트랩
KR200383592Y1 (ko) 방취수단이 구비된 오수받이
KR100473604B1 (ko) 오수 및 하수용 합성수지맨홀
KR100737270B1 (ko) 침전물의 제거가 용이한 오수받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