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7251B1 - 높이조절식 오수받이 - Google Patents

높이조절식 오수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7251B1
KR101237251B1 KR1020100120513A KR20100120513A KR101237251B1 KR 101237251 B1 KR101237251 B1 KR 101237251B1 KR 1020100120513 A KR1020100120513 A KR 1020100120513A KR 20100120513 A KR20100120513 A KR 20100120513A KR 101237251 B1 KR101237251 B1 KR 101237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receiving body
inlet
sewage receiving
f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0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8969A (ko
Inventor
박춘석
박환진
Original Assignee
박환진
박춘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661034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23725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박환진, 박춘석 filed Critical 박환진
Priority to KR1020100120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7251B1/ko
Publication of KR20120058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8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7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7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2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ir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urrounding surface
    • E03F2005/0413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ir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urrounding surface for height adjus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입구(16) 및 유출구(18)가 형성된 오수받이 몸체(4)의 내주면에 오수받이뚜껑(10)을 갖는 받침통(6)을 승강가능하게 끼우고, 받침통(6)의 외주연에는 높이조절을 위한 돌기부(22)들과 요입홈(24)들을 교호되게 형성하고, 오수받이 몸체(4)의 상단부에는 받침통(6)의 요입홈(24)에 끼워지는 고정링(8)이 장착되어 받침통(6)을 오수받이 몸체(4)에 대하여 위치고정하며, 오수받이 몸체(4)의 외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돌부(14)들이 형성되고, 고정링(8)의 하단에는 오수받이 몸체(4)의 상단에 끼워지는 설치홈(30)이 형성되며, 설치홈(30)에는 오수받이 몸체(4)의 돌부(14)에 끼워지는 돌부홈(32)들이 더 형성됨으로써, 노면의 상태에 따라 오수받이의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고, 하수관으로부터 역류되는 오폐수의 악취를 차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높이조절식 오수받이{HEIGHT ADJUSTABLE DRAIN SEWAGE}
본 발명은 오수받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노면상태에 따라 오수받이의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식 오수받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수받이는 가정 또는 업소 등의 오수를 집결되도록 하여 배출하는 장치로서, 지중에 매립되어 배수관 및 하수관과 연결되는 몸체와, 몸체의 상단에 장착되어 지표에 드러나는 오수받이 뚜껑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오수받이는 주철제로써 주물성형하거나 합성수지제로 사출성형을 함에 따라 그 크기가 일정하게 정하여져 있는 반면, 이와 달리 상기 오수받이가 사용되는 현장의 상황은 지중에 매립되어 오수받이 몸체와 연결되는 배수관 및 하수관에서 오수받이의 뚜껑이 드러나는 지표면까지의 높이가 현장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음에 따라, 그 사용함에 있어서 많은 제약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오수받이의 경우는 높낮이 조절이 불가능하여 그 사용상에 제약이 있음으로 인하여 다양한 크기의 오수받이를 미리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을뿐만 아니라 하수관측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일반가정이나 상가의 배수관측으로 역류하여 입주민에게 불쾌감을 유발하는 등의 생활에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편하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설치후 회전이 방지되는 높이조절식 오수받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수관으로부터 역류하는 오폐수의 악취를 차단할 수 있는 높이조절식 오수받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오수받이에 있어서, 유입구(16) 및 유출구(18)가 형성된 오수받이 몸체(4)의 내주면에 오수받이뚜껑(10)을 갖는 받침통(6)을 승강가능하게 끼우고, 받침통(6)의 외주연에는 높이조절을 위한 돌기부(22)들과 요입홈(24)들을 교호되게 형성하고, 오수받이 몸체(4)의 상단부에는 받침통(6)의 요입홈(24)에 끼워지는 고정링(8)이 장착되어 받침통(6)을 오수받이 몸체(4)에 대하여 위치고정하며, 오수받이 몸체(4)의 외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돌부(14)들이 형성되고, 고정링(8)의 하단에는 오수받이 몸체(4)의 상단에 끼워지는 설치홈(30)이 형성되며, 설치홈(30)에는 오수받이 몸체(4)의 돌부(14)에 끼워지는 돌부홈(32)들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노면의 상태에 따라 오수받이의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하고, 받침통을 오수받이 몸체에 대하여 견고하게 위치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수관으로부터 역류하는 오폐수의 악취를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오수받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오수받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오수받이의 조립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오수받이 유입구의 조립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의한 오수받이 유입구의 조립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오수받이 고정링의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오수받이의 작동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고정링을 이용하여 오수받이 몸체내에 끼워지는 받침통의 위치를 조정하여 오수받이의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하고, 오수받이 몸체의 유입구에 출구가 항상 물에 잠긴 엘보우관을 연결하여 하수관으로부터 역류하는 오폐수의 악취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오수받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오수받이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오수받이의 조립도이다. 그리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오수받이 유입구의 조립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의한 오수받이 유입구의 조립도이고, 도 6은 도 1의 오수받이 고정링의 상세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오수받이의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오수받이(2)는 오수받이 몸체(4)의 내주면에 받침통(6)을 승강가능하게 끼우고, 받침통(6)의 외주연에는 높이조절을 위한 돌기부(22)들과 요입홈(24)들을 교호되게 형성하고, 오수받이 몸체(4)의 상단부에는 받침통(6)의 요입홈(24)에 끼워지는 고정링(8)을 장착하여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오수받이 몸체(4)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오수받이 몸체(4)의 하측 좌우에는 하수관 및 배수관과 연결되는 유입구(16) 및 유출구(18)가 형성된다.
오수받이 몸체(4)내의 유입구(16)에는 도 4a 및 도 4b와 같이 수직으로 굽은 엘보우관(20)이 연결된다. 엘보우관(20)은 입구가 유입구(16)에 연결되고 출구가 오수받이 몸체(4)의 바닥면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변형예로서 오수받이 몸체(4)내의 유입구(16)에는 도 5a 및 도 5b와 같이 덮개(20a)가 여닫이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덮개(20a)는 오수받이 몸체(4)의 유입구(16) 상단에 힌지결합되어 하수가 유입되지 않을 때는 닫힌 상태로 있고 하수가 유입될 때는 하수의 흐름에 의해 개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오수받이 몸체(4)의 외주연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돌부(14)가 형성된다. 돌부(14)는 오수받이 몸체(4)의 상단에서 유입구(16) 및 유출구(18)의 상측까지 형성된다.
오수받이 몸체(4)내의 바닥면 일측에는 사각형상의 악취차단조(12)가 형성된다. 악취차단조(12)는 상부턱이 오수받이 몸체(4)의 유출구(18)보다 높게 형성되어서 내부에 항상 하수가 차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악취차단조(12)에는 유입구(16)와 연결된 엘보우관(20)의 출구가 잠기도록 설치되어서 하수관으로부터 역류하는 오폐수의 악취를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오수받이 몸체(4)의 내주면에는 오수받이 뚜껑(10)을 가진 받침통(6)이 승강가능하도록 끼워진다. 받침통(6)은 원통형 몸체의 상단에 오수받이 뚜껑(10)이 결합되어서 구성된다. 그리고, 받침통(6)의 외주연에는 높이조절을 위한 돌기부(22)들과 요입홈(24)들이 형성된다. 돌기부(22)들과 요입홈(24)들은 받침통(6)의 원주 둘레를 따라 링 형태로 형성되고, 받침통(6)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교호되게 형성되어서 구성된다.
받침통(6)의 외주연에는 고정링(8)이 끼워지는데, 고정링(8)은 오수받이 몸체(4)의 상단에 장착되는 동시에 받침통(6)의 요입홈(24)들중 원하는 위치의 요입홈(24)에 끼워져서 오수받이 몸체(4)내에 삽입되는 받침통(6)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링(8)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통(6)의 외주연에 끼울 수 있는 크기를 가진 링 형태로 구성된다. 고정링(8)의 일측에는 고정링(8)을 개구할 수 있는 개구홈(28)이 형성된다. 사용자는 개구홈(28)을 이용하여 고정링(8)을 개구하여 받침통(6)의 원하는 요입홈(24)에 용이하게 끼울 수 있다.
고정링(8)의 하단에는 오수받이 몸체(4)의 상단에 끼울 수 있도록 설치홈(30)이 형성된다. 고정링(8)의 외주면에는 일정간격마다 돌기(26)가 형성되는데, 돌기(26)는 오수받이 몸체(4)에 형성된 돌부(14)와 대응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돌기(26)의 내측에는 오수받이 몸체(4)의 돌부(14)에 끼워지는 돌부홈(32)이 형성된다. 고정링(8)의 돌부홈(32)은 하단에 형성된 설치홈(30)과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오수받이(2)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오수받이 몸체(4)내의 유입구(16)에 엘보우관(20)을 끼우고, 엘보우관(20)의 출구가 오수받이 몸체(4) 바닥면에 형성된 악취차단조(12)에 잠기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개구홈(28)을 벌려서 고정링(8)을 개구하여 고정링(8)을 원하는 위치의 받침통(6)의 요입홈(24)에 끼운다.
고정링(8)을 받침통(6)에 끼운 후에는 받침통(6)을 오수받이 몸체(4)내에 삽입한다. 그리고, 받침통(6)에 끼워진 고정링(8)의 하단 설치홈(30)에 오수받이 몸체(4)의 상단을 끼운다. 이때, 고정링(8)의 돌부홈(32)의 위치를 오수받이 몸체(4)의 돌부(14)에 대응시켜 돌부홈(32)에 돌부(14)가 끼워지도록 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오수받이(2)는 노면의 상태에 따라 오수받이(2)의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받침통(6)이 임의로 회전하지 않도록 오수받이 몸체(4)에 대하여 견고하게 위치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하수관으로부터 유입구(16)를 통해 오수받이 몸체(4)내로 유입된 하폐수는 엘보우관(20)을 통해 악취차단조(12)에 흘러들어가서 일정량이 채워진 후에는 오수받이 몸체(4)의 유출구(18)를 통하여 배수관으로 흘러나가게 된다. 이 과정에서 오수받이 몸체(4)내 바닥의 악취차단조(12)는 유입구(16)보다 높은 턱으로 형성되어서 하수가 항상 고여있게 되며, 유입구(16)와 연결된 엘보우관(20)이 항상 악취차단조(12)에 잠겨있으므로 하수관으로부터 역류하는 오폐수의 악취를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4 : 오수받이 몸체 6 : 받침통
8 : 고정링 10 : 오수받이 뚜껑
12 : 악취차단조 14 : 돌부
16 : 유입구 18 : 유출구
20 : 엘보우관 20a : 덮개
22 : 돌기부 24 : 요입홈
30 : 설치홈 32 : 돌부홈

Claims (3)

  1. 오수받이에 있어서,
    유입구(16) 및 유출구(18)가 형성된 오수받이 몸체(4)의 내주면에 오수받이뚜껑(10)을 갖는 받침통(6)을 승강가능하게 끼우고, 받침통(6)의 외주연에는 높이조절을 위한 돌기부(22)들과 요입홈(24)들을 교호되게 형성하고, 오수받이 몸체(4)의 상단부에는 받침통(6)의 요입홈(24)에 끼워지는 고정링(8)이 장착되어 받침통(6)을 오수받이 몸체(4)에 대하여 위치고정하며, 오수받이 몸체(4)의 외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돌부(14)들이 형성되고, 고정링(8)의 하단에는 오수받이 몸체(4)의 상단에 끼워지는 설치홈(30)이 형성되며, 설치홈(30)에는 오수받이 몸체(4)의 돌부(14)에 끼워지는 돌부홈(32)들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식 오수받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오수받이 몸체(4)의 바닥면 일측에는 상부턱이 유출구(18)보다 높은 악취차단조(12)가 형성되며, 유입구(16)에는 출구가 악취차단조(12)에 잠기는 엘보우관(20)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식 오수받이.
KR1020100120513A 2010-11-30 2010-11-30 높이조절식 오수받이 KR101237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513A KR101237251B1 (ko) 2010-11-30 2010-11-30 높이조절식 오수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513A KR101237251B1 (ko) 2010-11-30 2010-11-30 높이조절식 오수받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8969A KR20120058969A (ko) 2012-06-08
KR101237251B1 true KR101237251B1 (ko) 2013-02-27

Family

ID=46610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0513A KR101237251B1 (ko) 2010-11-30 2010-11-30 높이조절식 오수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72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936B1 (ko) * 2013-07-16 2014-03-13 주식회사 뉴보텍 입상관 길이 조절을 위한 오수받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4685A (ko) * 2002-06-07 2003-12-18 주식회사 강원프라코 높이조절이 가능한 오 ·우수받이
KR20050083586A (ko) * 2005-07-27 2005-08-26 김하용 맨홀의 높이 조절구조
KR200440803Y1 (ko) * 2008-03-10 2008-07-03 권혁중 높낮이 조절 기능을 갖는 오·우수받이
KR20090105045A (ko) * 2008-04-01 2009-10-07 승한케미칼(주) 오수받이장치 및 이에 장착 가능한 악취차단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4685A (ko) * 2002-06-07 2003-12-18 주식회사 강원프라코 높이조절이 가능한 오 ·우수받이
KR20050083586A (ko) * 2005-07-27 2005-08-26 김하용 맨홀의 높이 조절구조
KR200440803Y1 (ko) * 2008-03-10 2008-07-03 권혁중 높낮이 조절 기능을 갖는 오·우수받이
KR20090105045A (ko) * 2008-04-01 2009-10-07 승한케미칼(주) 오수받이장치 및 이에 장착 가능한 악취차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8969A (ko) 201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5324B1 (ko) 악취차단 오수받이
KR101295928B1 (ko) 역류방지 및 배수성 증대를 위한 빗물 배수용 집수정
KR101757620B1 (ko) 악취 역류방지용 배수트랩
RU2012127131A (ru) Канализационный слив с канализационным сильфонным затвором
KR200485881Y1 (ko) 하수구용 악취방지장치
CN201794152U (zh) 地面下水管道用排水装置
KR101237251B1 (ko) 높이조절식 오수받이
KR100845544B1 (ko) 우수 및 오수 겸용 공공물받이
KR100684174B1 (ko) 악취 차단 오수받이
KR200407641Y1 (ko) 오수받이
KR200383882Y1 (ko) 오수받이
CN106284610A (zh) 一种具有污水过滤功能的地沟盖板
KR20120007934U (ko) 우수받이
KR20080089804A (ko) 배수구 장치
KR20110123174A (ko) 악취 차단형 배수구
US20060076300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runoff of grease and similar effluents from restaurants and like facilites
KR101384662B1 (ko) 조립식 오수받이
KR101479418B1 (ko) 역류성 악취 차단장치
KR100811125B1 (ko) 오수받이
KR100739365B1 (ko) 배수트랩
KR101114822B1 (ko) 오수받이
KR200356471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맨홀
KR200202958Y1 (ko) 침사조를 갖는 도로집수정조립체
KR200420774Y1 (ko) 높이조절구조를 갖는 오수받이
KR20120080276A (ko) 배출관에 역류방지기능이 구비된 오수받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0414

Effective date: 20141015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1107

Effective date: 20150529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0629

Effective date: 2015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