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6508B1 - 오수받이 - Google Patents

오수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6508B1
KR100766508B1 KR1020070064118A KR20070064118A KR100766508B1 KR 100766508 B1 KR100766508 B1 KR 100766508B1 KR 1020070064118 A KR1020070064118 A KR 1020070064118A KR 20070064118 A KR20070064118 A KR 20070064118A KR 100766508 B1 KR100766508 B1 KR 100766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ewage
drain
inlet
l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4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경
Original Assignee
브렌트유화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렌트유화산업(주) filed Critical 브렌트유화산업(주)
Priority to KR1020070064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65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6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6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03F5/021Connection of sewer pipes to manhole shaf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수받이 통에 화장실오수관 및 생활하수관을 각각 배관연결함에 있어, 화장실오수관 또는 생활하수관의 연결된 방향에 상관없이 연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입되는 생활하수가 일정량 고이도록, 즉 봉수가 저장되도록 하는 봉수기능판을 생활하수관이 연결된 위치와 대응되는 배수로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시에 화장실오수관 및 생활하수관의 배관작업이 매우 용이한 오수받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부의 외측면에는 제1 유입구 및 제2 유입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2 유입구와 마주보는 외측면에는 배수구가 형성된 오수받이 통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입구 및 제2 유입구의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상부를 향해 개구된 제1 유입관 및 제2 유입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유입관 및 제2 유입관의 입구에는 엘보형으로 형성된 제1 접속관 및 제2 접속관의 일단부를 각각 삽입하여 결합하며, 타단부에는 각각 화장실오수관 또는 생활하수관을 연결하되, 상기 화장실오수관 및 생활하수관의 연결된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접속관 및 제2 접속관을 각각 삽입된 일단부를 축으로 회전시켜서 연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접속관, 배관연결, 생활하수, 화장실오수, 유입관.

Description

오수받이{Drain Sewag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수받이를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수받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수받이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로서,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오수받이 통 11a, 11b : 제1, 제2 유입구
12 : 배수구 13a, 13b : 제1, 제2 유입관
20, 20A : 악취방지트랩 21 : 격벽
22a, 22b : 제1, 제2 배수로 23a, 23b : 끼움홈
24 : 배수구 연결로 25 : 봉수기능판
26 : 경사면 30a, 30b : 제1, 제2 접속관
31 : 화장실오수관 32 : 생활하수관
H : 높이차
본 발명은 오수받이 통에 화장실오수관 및 생활하수관을 각각 배관연결함에 있어, 화장실오수관 또는 생활하수관의 연결된 방향에 상관없이 연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입되는 생활하수가 일정량 고이도록, 즉 봉수가 저장되도록 하는 봉수기능판을 생활하수관이 연결된 위치와 대응되는 배수로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시에 화장실오수관 및 생활하수관의 배관작업이 매우 용이한 오수받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수받이는 원통형이나 사각함체로 형성되는 오수받이 통에 주방 또는 화장실에서 발생되는 오수를 유입하기 위한 각각의 유입구와 내부로 유입된 오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오수받이와 배관을 연결함에 있어, 오수받이의 연결부위와 배관 끝단의 높이를 맞추고 배관의 방향과 오수받이의 연결부를 일치시켜야 하는데, 종래에는 다양한 방향의 배수관과 공장제작되어 나오는 오수받이의 연결부의 방향을 일치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배관에 각종 앵글을 사용하여 오수받이의 연결부와 방향을 일치시키는 어려움이 있었으며, 부실한 연결부(배관방향과 연결부의 방향의 불일치)로 인하여 해당부분에서 누수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한 오수는 주방, 세탁실, 베란다, 싱크대 등에서 발생하는 생활하 수와, 화장실의 변기에서 배출되는 분뇨인 화장실오수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화장실오수 및 생활하수는 화장실오수관과 생활하수관을 통하여 각각 배수되어 오수받이를 통해 합류된 다음, 배수구에 연결된 오폐수관으로 배출된다.
종래 오수받이는 오수받이 통의 내부에서 유입되는 생활하수를 일정량 고이게 하여 즉, 악취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봉수'라 하여 항시 물이 고여 있도록 함으로써, 악취가 봉수에 의해 차단되어 생활하수관으로 진입할 수 없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 여러 종류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오수받이는 시공할 때, 화장실오수관 및 생활하수관을 각각의 유입구에 배관연결함에 있어, 화장실오수관 및 생활하수관을 연결하는 유입구가 정해져 있는데 즉, 생활하수가 일정량 고이도록 하는 벽이 오수받이 통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서 생활하수가 고여져서 악취가 생활하수관을 통해 역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봉수의 위치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그에 맞춰서 배관을 연결해야만 하는 배관작업상의 불편이 있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화장실오수관을 연결하는 유입구가 화장실오수관의 배관과 가까운 위치에 있지 않은 경우에는 화장실오수관을 그 옆에 있는 유입구에 배관연결함과 동시에 생활하수관도 다른쪽 유입구에 연결하게 되므로, 오수받이 통의 외측면에서 보았을 때, 배관연결이 서로 'X'형태로 교차하게 되어 배관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 봉수 공간에 이물질이 쌓여졌을 경우에는, 봉수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벽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청소를 하는데 불편한 문제 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오수받이 통에 화장실오수관 및 생활하수관을 각각 배관연결함에 있어, 화장실오수관 또는 생활하수관의 연결된 방향에 상관없이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유입되는 생활하수가 일정량 고이도록 즉, 봉수가 저장되도록 하는 봉수기능판을 생활하수관이 연결된 위치와 대응되는 배수로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시에 화장실오수관 및 생활하수관의 배관작업이 매우 용이한 오수받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다른 목적은, 화장실의 변기에서 배수되는 오수와 주방 등에서 배수되는 생활하수를 각각 유입하여 하나의 배수구를 통하여 오폐수관으로 배출하도록 형성된 오수받이 통의 내부에 악취방지트랩을 구비함으로써, 화장실오수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생활하수관을 통하여 주방 등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하는 오수받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유입되는 화장실오수와 생활하수가 원활하게 배수구로 배출되는 오수받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악취방지트랩을 오수받이 통과 일체로 형성하거나 별도로 분리형으로 형성할 수 있어서 제작상 용이한 잇점과 함께, 분리형으로 제작된 악취방지트랩은 오수받이 통의 내부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오수받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부의 외측면에는 제1 유입구 및 제2 유입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2 유입구와 마주보는 외측면에는 배수구가 형성된 오수받이 통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입구 및 제2 유입구의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상부를 향해 개구된 제1 유입관 및 제2 유입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유입관 및 제2 유입관의 입구에는 엘보형으로 형성된 제1 접속관 및 제2 접속관의 일단부를 각각 삽입하여 결합하며, 타단부에는 각각 화장실오수관 또는 생활하수관을 연결하되, 상기 화장실오수관 및 생활하수관의 연결된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접속관 및 제2 접속관을 각각 삽입된 일단부를 축으로 회전시켜서 연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오수받이 통의 내부에 악취방지트랩을 포함하여 구비하되, 상기 악취방지트랩은 상기 제1 유입구와 제2 유입구 사이에서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는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의 양측으로 상기 제1,2 유입구와 각각 연통되는 제1 배수로 및 제2 배수로로 구분되고, 상기 제1,2 배수로와 상기 배수구 사이에서 연통되어 화장실오수와 생활하수가 합쳐져서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구 연결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1,2 배수로상에는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유입되는 생활하수가 일정량 고이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생활하수관이 연결된 위치와 대응되는 제1,2 배수로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봉수기능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2 배수로상의 끝부위에는 각각 끼움홈이 형성되고, 일측의 끼움홈에 상기 봉수기능판을 결합시켰을 때, 그 상면은 상기 제1,2 배수로가 이루는 상면보다는 낮은 위치에 있고, 상기 제1,2 유입구의 상부보다는 높은 위치에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악취방지트랩은 상기 오수받이 통의 내측면에 맞게 외측면이 형성된 분리형으로 제작하되, 상기 악취방지트랩에 형성된 제1,2 배수로 및 배수구 연결로는, 상기 오수받이 통에 형성된 제1,2 유입구 및 배수구와 각각 연통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유입관 및 제2 유입관의 바닥면에서부터 제1,2 배수로와 배수구 연결로를 거쳐 상기 배수구 방향으로 하향되게 경사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수받이를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수받이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수받이의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수받이 통(10)은 하부의 외측면에 제1 유입구(11a) 및 제2 유입구(11b)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2 유입구(11a,11b)와 마주보는 위치의 외측면에는 오수와 생활하수가 합류되어 배출되는 배수구(12)가 형성된다.
상기 배수구(12)는 오폐수관(미도시)이 연결되는 것으로, 오수받이 통(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유입구(11a) 및 제2 유입구(11b)의 외측으로 제1 유입관(13a) 및 제2 유입관(13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유입관(13a) 및 제2 유입관(13b)은 상기 제1 유입구(11a) 및 제2 유입구(11b)의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상부를 향해 개구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유입관(13a) 및 제2 유입관(13b)의 입구에는 90도 방향으로 절곡되어 엘보형으로 형성된 제1 접속관(30a) 및 제2 접속관(30b)의 일단부를 각각 삽입하여 결합하게 되며, 제1 접속관(30a) 및 제2 접속관(30b) 각각의 타단부에는 화장실오수관(31) 또는 생활하수관(32)을 연결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오수받이 통(10)의 내부 하측에는 화장실오수와 생활하수를 합류하여 배출함에 있어 화장실오수 등의 악취가 생활하수관을 통하여 주방 등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하는 악취방지트랩(20)이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악취방지트랩(20)은 오수받이 통(10)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유입구(11a)와 제2 유입구(11b) 사이에서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는 격벽(21)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21)의 양측으로 상기 제1,2 유입구(11a,11b)와 각각 연통되는 제1 배수 로(22a) 및 제2 배수로(22b)로 구분되고, 상기 제1,2 배수로(22a,22b)와 상기 배수구(12) 사이에서 연통되어 화장실오수와 생활하수가 합쳐져서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구 연결로(24)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악취방지트랩(20)은 상기 제1,2 배수로(22a,22b)상에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유입되는 생활하수가 일정량 고이도록, 즉 봉수가 저장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생활하수관(32)이 연결된 위치와 대응되는 제1,2 배수로(22a,22b)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봉수기능판(25)을 1개 구비한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오수받이 통(10)의 개구된 상부에는 뚜껑이 개폐가능하게 설치됨은 물론이다.
상기 봉수기능판(25)은 제1,2 배수로(22a,22b)상에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상기 제1,2 배수로(22a,22b)상의 끝부위에는 각각 끼움홈(23a,23b)이 형성되고, 일측의 끼움홈(23a)(23b)에 상기 봉수기능판(25)을 결합시켰을 때, 그 상면은 상기 제1,2 배수로(22a,22b)가 이루는 상면보다는 낮은 위치에 있고, 상기 제1,2 유입구(11a,11b)의 상부보다는 높은 위치에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유입관(13a) 및 제2 유입관(13b)의 바닥면에서부터 제1,2 배수로(22a,22b)와 배수구 연결로(24)를 거쳐 상기 배수구(12) 방향으로 하향되게 경사면(26)을 이루게 형성함으로써, 유입되는 화장실오수와 생활하수가 원활하게 배수구(12)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도 5의 도면부호(H; 높이차) 참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악취방지트랩(20)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수받이 통(10)과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수받이 통(10)과 별개로 악취방지트랩(20A)를 분리형으로 제작하여 오수받이 통(10)의 내부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악취방지트랩(20A)은 오수받이 통(10)의 내측면에 맞게 외측면이 형성되며, 상기 악취방지트랩(20A)에 형성된 제1,2 배수로(22a,22b) 및 배수구 연결로(24)는, 상기 오수받이 통(10)에 형성된 제1,2 유입구(11a,11b) 및 배수구(12)와 각각 연통되도록 결합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수받이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로서,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은 오수받이를 시공할 때, 화장실오수관(31) 및 생활하수관(32)을 배관연결함에 있어 배관작업이 매우 용이하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장실오수관(31) 및 생활하수관(32)의 연결된 방향에 따라 이점쇄선으로 표현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접속관(30a) 및 제2 접속관(30b)을 각각 삽입된 일단부를 축으로 회전시켜서 타단부에 각각 화장실오수관(31) 및 생활하수관(32)의 배관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접속관(30a) 또는 제2 접속관(30b)을 화장실오수관(31)과 생활 하수관(32)의 연결된 방향에 따라 회전시킨 상태에서, 화장실오수 및 생활하수가 배관 결합부위를 통해 새는 것을 방지하면서 그 결합상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1,2 접속관(30a,30b)과 각각 결합된 화장실오수관(31) 및 생활하수관(32)의 결합부위와 함께, 제1,2 접속관(30a,30b)의 일단부가 삽입된 제1,2 유입관(13a,13b)의 결합부위에 실링재를 이용하여 밀폐시키는 것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또한, 화장실오수관(31) 또는 생활하수관(32)이 각각 오수받이 통(10)의 앞쪽과 뒤쪽에 있거나 그와 반대로 뒤쪽과 앞쪽에서 연결되더라도, 즉 그 방향에 상관없이 각각 가깝게 위치하고 있는 제1 접속관(30a) 또는 제2 접속관(30b)에 연결하면 되는데, 이때 봉수기능판(25)은 생활하수관(32)이 연결된 위치와 대응되는 제1,2 배수로(22a,22b)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3에 나타나 있듯이, 생활하수관(32)이 오수받이 통(10)의 앞쪽에서 연결되는 경우에는 봉수기능판(25)은 제2 배수로(22b)상에 형성되어 있는 끼움홈(23b)에 결합하게 되며, 생활하수관(32)이 오수받이 통(10)의 뒤쪽에서 연결되는 경우에는 봉수기능판(25)은 제1 배수로(22a)상에 형성되어 있는 끼움홈(23a)에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화장실오수관(31) 및 생활하수관(32)을 연결하고 그에 따라 봉수기능판(25)을 결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수받이의 시공을 완료한 상태에서 악취방지트랩(2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나타나 있듯이, 제1 접속관(30a)에 연결된 화장실오수관(31)을 통하 여 오물이 포함된 화장실오수가 제1 유입관(13a)을 거쳐 제1 유입구(11a)를 통해 서 오수받이 통(10)의 내부로 유입되면, 화장실오수는 배수구(12)측까지 경사면(26)으로 이루어진 제1 배수로(22a)를 따라 즉시 배수구(12)를 거쳐 배출됨으로써 오수받이 통(10)의 내부에 화장실오수가 잔류하지 않으므로 오물에 의한 악취 발생이 없다.
그리고 제1 접속관(30a)에 연결된 생활하수관(32)을 통하여 생활하수는 제2 유입관(13b)을 거쳐 제2 유입구(11b)를 통해서 오수받이 통(10)의 내부로 유입되어 제2 배수로(22b)를 거치게 되는데, 이때 제2 배수로(22b)상에는 봉수기능판(25)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도 4에 나타나 있듯이, 생활하수는 봉수기능판(25)에 의해 일정량, 봉수기능판(25)의 상면까지 고여진 상태에서 봉수기능판(25)의 상부로 넘쳐서 배수구 연결로(24)를 경유하여 배수구(12)로 배출된다.
여기서, 봉수기능판(25)에 의해 제2 배수로(22b)에는 일정량의 생활하수를 항시 저장하여 제2 유입구(11b)를 막는 봉수기능을 하게 됨에 따라, 제1 배수로(22a)를 통해 빠져나가는 화장실오수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비롯하여 배수구(12)와 연결된 오폐수관(미도시)에서 역류되는 악취는 제2 배수로(22b)에 고여져 있는 생활하수에 의해서 제2 유입구(11b)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어 있기 때문에, 생활하수관(32)을 통하여 주방 등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물질 유입에 따라 제2 배수로(22b)상에 이물질이 쌓여져서 청소가 필요한 경우에는, 끼움홈(23b)에 결합되어 있는 봉수기능판(25)을 분리하여 제2 배수로(22b)상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즉, 봉수기능판(25)을 분리함과 동 시에 제2 배수로(22b)상에 고여져 있던 생활하수와 함께 이물질이 배수구(12)측으로 배출되며, 청소를 한 후에는 다시 봉수기능판(25)을 끼움홈(22b)에 결합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수받이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오수받이 통에 화장실오수관 및 생활하수관을 각각 배관연결함에 있어, 화장실오수관 또는 생활하수관의 연결된 방향에 상관없이 연결할 수 있다.
나아가, 유입되는 생활하수가 일정량 고이도록, 즉 봉수가 저장되도록 하는 봉수기능판을 생활하수관이 연결된 위치와 대응되는 배수로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시에 화장실오수관 및 생활하수관의 배관작업이 매우 용이하다.
둘째, 화장실의 변기에서 배수되는 오수와 주방 등에서 배수되는 생활하수를 각각 유입하여 하나의 배수구를 통하여 오폐수관으로 배출하도록 형성된 오수받이 통의 내부에 악취방지트랩을 구비함으로써, 화장실오수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생활하수관을 통하여 주방 등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셋째, 각각의 유입관의 바닥면에서부터 배수구 방향으로 하향되게 경사면을 이루고 있으므로, 유입되는 화장실오수와 생활하수가 원활하게 배수구로 배출된다.
넷째, 악취방지트랩을 오수받이 통과 일체로 형성하거나 별도로 분리형으로 형성할 수 있어서 제작상 용이한 잇점과 함께, 분리형으로 제작된 악취방지트랩은 오수받이 통의 내부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Claims (5)

  1. 하부의 외측면에는 제1 유입구(11a) 및 제2 유입구(11b)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2 유입구(11a,11b)와 마주보는 외측면에는 배수구(12)가 형성된 오수받이 통(10)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입구(11a) 및 제2 유입구(11b)의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상부를 향해 개구된 제1 유입관(13a) 및 제2 유입관(13b)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유입관(13a) 및 제2 유입관(13b)의 입구에는 엘보형으로 형성된 제1 접속관(30a) 및 제2 접속관(30b)의 일단부를 각각 삽입하여 결합하며, 타단부에는 각각 화장실오수관(31) 또는 생활하수관(32)을 연결하되,
    상기 화장실오수관(31) 및 생활하수관(32)의 연결된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접속관(30a) 및 제2 접속관(30b)을 각각 삽입된 일단부를 축으로 회전시켜서 연결할 수 있으며,
    상기 오수받이 통(10)의 내측면에 맞게 외측면이 형성되어 분리형으로 제작된 악취방지트랩(20A)을 포함하여 구비하되,
    상기 악취방지트랩(20A)은 상기 제1 유입구(11a)와 제2 유입구(11b) 사이에서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는 격벽(21)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21)의 양측으로 상기 제1,2 유입구(11a,11b)와 각각 연통되는 제1 배수로(22a) 및 제2 배수로(22b)로 구분되고, 상기 제1,2 배수로(22a,22b)와 상기 배수구(12) 사이에서 연통되어 화장실오수와 생활하수가 합쳐져서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구 연결로(24)가 형성되며, 상기 제1,2 배수로(22a,22b)상에는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유입되는 생활하수가 일정량 고이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생활하수관(32)이 연결된 위치와 대응되는 제1,2 배수로(22a,22b)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봉수기능판(25)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2 배수로(22a,22b)상의 끝부위에는 각각 끼움홈(23a,23b)이 형성되고, 일측의 끼움홈(23a, 23b)에 상기 봉수기능판(25)을 결합시켰을 때, 그 상면은 상기 제1,2 배수로(22a,22b)가 이루는 상면보다는 낮은 위치에 있고, 상기 제1,2 유입구(11a,11b)의 상부보다는 높은 위치에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입관(13a) 및 제2 유입관(13b)의 바닥면에서부터 제1,2 배수로(22a,22b)와 배수구 연결로(24)를 거쳐 상기 배수구(12) 방향으로 하향되게 경사면(26)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70064118A 2007-06-28 2007-06-28 오수받이 KR100766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4118A KR100766508B1 (ko) 2007-06-28 2007-06-28 오수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4118A KR100766508B1 (ko) 2007-06-28 2007-06-28 오수받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6508B1 true KR100766508B1 (ko) 2007-10-15

Family

ID=39420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4118A KR100766508B1 (ko) 2007-06-28 2007-06-28 오수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650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45582A (ja) * 2014-02-03 2015-08-13 アロン化成株式会社 排水ますおよびそれを備えた排水システム
JP2016061089A (ja) * 2014-09-18 2016-04-25 アロン化成株式会社 排水ますおよびそれを備えた排水システム
JP2021017974A (ja) * 2019-07-24 2021-02-15 アロン化成株式会社 配管部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3744A (ja) 1996-12-19 1998-07-14 Aron Kasei Co Ltd 仕切板付合成樹脂製汚水ます
JPH10231545A (ja) 1997-02-18 1998-09-02 Kobe Jushi Kogyo Kk 掃除口付き管継手
JPH10266324A (ja) 1997-03-21 1998-10-06 Aron Kasei Co Ltd 仕切板付トラップます
KR200405349Y1 (ko) 2005-10-05 2006-01-10 백완기 트랩기능이 구비된 오우수받이
KR100684174B1 (ko) 2005-02-28 2007-02-20 보성포리테크 주식회사 악취 차단 오수받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3744A (ja) 1996-12-19 1998-07-14 Aron Kasei Co Ltd 仕切板付合成樹脂製汚水ます
JPH10231545A (ja) 1997-02-18 1998-09-02 Kobe Jushi Kogyo Kk 掃除口付き管継手
JPH10266324A (ja) 1997-03-21 1998-10-06 Aron Kasei Co Ltd 仕切板付トラップます
KR100684174B1 (ko) 2005-02-28 2007-02-20 보성포리테크 주식회사 악취 차단 오수받이
KR200405349Y1 (ko) 2005-10-05 2006-01-10 백완기 트랩기능이 구비된 오우수받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45582A (ja) * 2014-02-03 2015-08-13 アロン化成株式会社 排水ますおよびそれを備えた排水システム
JP2016061089A (ja) * 2014-09-18 2016-04-25 アロン化成株式会社 排水ますおよびそれを備えた排水システム
JP2021017974A (ja) * 2019-07-24 2021-02-15 アロン化成株式会社 配管部材
JP7278897B2 (ja) 2019-07-24 2023-05-22 アロン化成株式会社 配管部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8651B1 (ko) 오수받이 장치
KR101827077B1 (ko) 오수받이 겸 맨홀
KR101847554B1 (ko) 수로변경형 오수받이
KR100562898B1 (ko) 막힘 방지기능을 겸비한 방취 배수트랩
KR100766508B1 (ko) 오수받이
KR101764752B1 (ko) 유로 조정식 오수받이 장치
KR200405349Y1 (ko) 트랩기능이 구비된 오우수받이
KR100947986B1 (ko) 다용도 조립식 오수받이 맨홀
KR100658160B1 (ko) 공동주택 베란다의 배수구조
KR100552492B1 (ko) 오수받이 조립체
KR101296212B1 (ko) 역류방지구를 구비한 유로 분리형 오수받이
KR20170003867U (ko) 트랩형 멀티연결기구
KR101272416B1 (ko) 다용도 오폐수 침전조 오수받이 맨홀
KR20050080155A (ko) 악취차단과 이물질 수거가 용이한 생활하수용 배수조
KR100740525B1 (ko) 오수받이 장치
KR200383592Y1 (ko) 방취수단이 구비된 오수받이
KR100923133B1 (ko) 내장형 봉수트랩을 구비한 오수받이
KR100654309B1 (ko) 하수관로의 물받이 배수트랩
KR200389105Y1 (ko) 악취 차단용 오수받이
KR101114822B1 (ko) 오수받이
KR101050778B1 (ko) 유선형 트랩의 방취용 오수받이
KR20090105045A (ko) 오수받이장치 및 이에 장착 가능한 악취차단장치
KR100737270B1 (ko) 침전물의 제거가 용이한 오수받이
KR200386998Y1 (ko) 다용도집수통
KR200440533Y1 (ko) 다용도 맨홀용 악취차단 침전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