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9105Y1 - 악취 차단용 오수받이 - Google Patents

악취 차단용 오수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9105Y1
KR200389105Y1 KR20-2005-0010894U KR20050010894U KR200389105Y1 KR 200389105 Y1 KR200389105 Y1 KR 200389105Y1 KR 20050010894 U KR20050010894 U KR 20050010894U KR 200389105 Y1 KR200389105 Y1 KR 2003891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assembled
height
inlet
od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08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원권
Original Assignee
허원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원권 filed Critical 허원권
Priority to KR20-2005-00108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91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91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91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2Arrangements of means against overflow of water, backing-up from the drai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2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ir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urrounding surface
    • E03F2005/0413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ir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urrounding surface for height adjus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악취 차단용 오수받이에 관한 것으로, 유입구 및 유출구가 형성된 본체부에, 관통구가 형성된 높이가변부를 조립하고, 티관에 반원형 용기의 트랩부가 고정된 상측유입부가 구성되어 높이가변부의 내부로 수용하되, 관통구를 통해 티관의 일부가 돌출되며, 높이가변부를 덮개부로 덮은 오수받이를 구성하여, 높이가변부의 절단으로, 그 높이가 조절되어 설치가 용이하고, 상기 트랩부의 고인 물로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오수받이(70)를 대략 설명하면, 상부가 트인 용기로, 하부측에 유입구(11) 및 유출구(12)를 마주보게 형성하고, 트인 상단은 돌출된 단턱부(13)를 형성한 본체부(10); 상·하로 트여, 일측에 관통구(31)를 형성한 높이가변부(30); 수직관(41′)의 중앙에 수평관(41″)이 수직으로 결합한 티관(41)이 구성되어, 상기 수직관(41′)에 반원형 용기의 트랩부(42)를 고정하고, 그 타측에 청소캡(43)을 조립한 상측유입부(40); 중앙이 트인 지면부(51)의 저면에 일정 깊이로 파인 끼움홈(51′)을 형성하고, 그 상부는 돌출되어 안착부(52)를 형성하여 트인 중앙을 따라 단턱부(53)가 형성된 프레임(50)이 구성되어, 상기 단턱부(53) 및 안착부(53)에 내부뚜껑(50a) 및 뚜껑(50b)이 조립된 덮개부(60)를 구성하여, 본체부(10)의 단턱부(13)에 끼워 조립하고, 높이가변부(30) 내부로 상측유입부(40)가 조립되어, 수평관(41″)이 관통구(13)를 통해 일부 돌출되고, 높이가변부(30)에 덮개부(60)가 조립된 오수받이(70)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한 오수받이는 매설되되, 각 유입구 및 상측유입부로 오수가 유입되고, 오수받이 내부를 거쳐 유출관으로 빠져나가도록 매설되며, 높이가변부의 조립시, 설치 높이에 맞추어 절단하여 조립되므로 설치가 용이하고, 상측유입부로 유입된 오수의 일정량이 트랩부에 항상 고여 있으므로, 오수에서 발생한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고, 해충이 거슬러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악취 차단용 오수받이 { the drainage inspection chamber for interception of bad smell }
본 고안은 악취 차단용 오수받이에 관한 것으로, 유입구 및 유출구가 형성된 본체부에, 관통구가 형성된 높이가변부를 조립하고, 티관에 반원형 용기의 트랩부가 고정된 상측유입부가 구성되어 높이가변부의 내부로 수용하되, 관통구를 통해 티관의 일부가 돌출되며, 높이가변부를 덮개부로 덮은 오수받이를 구성하여, 높이가변부의 절단으로, 그 높이가 조절되어 설치가 용이하고, 상기 트랩부의 고인 물로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수받이는 가정하수, 공장폐수 등의 오수를 관거로 유입하기 전 에 설치하는 물받이로, 통상 오수받이는, 뚜껑이 구비된 사각형상의 통에, 다수개의 연결관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연결관에 오수를 유입하는 관과, 하수처리장 등으로 이송하는 관거와 각각 연결되어 매설되는데, 연결할 관 및 관거가 오수받이의 연결관과 불일치할 경우, 부득이 엘보관을 쓰거나 기울기가 형성됨에 따라, 오수의 역류현상이 발생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각 연결관과 관 및 관거를 일치하면, 지면과 오수받이의 상부면이 불일치되어, 통행에 방해되고, 관리가 불편하며, 외관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통상 오수받이는 그 바닥과 연결관의 높이가 일치하지 않아, 오수가 고이거나, 포함된 부유물질 및 걸러내지 못한 이물질 등이 쌓여, 악취를 발생하고, 해충이 번식하게 되는데, 특히, 주방의 싱크대에는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는 트랩 구조가 대개 없으므로, 오수받이 및 이에 이르는 관에서 발생한 악취 및 해충이 역류하여, 보건위생상 좋지 않으며, 연결관과 이에 연결되는 관 및 관거의 연결이 긴밀하지 못하여, 오수가 새어 악취를 유발하고, 토양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내포되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부측에 유입구 및 유출구를 마주보게 형성하고, 트인 상단에 돌출된 단턱부를 형성한 본체부; 상·하부가 트여, 일측에 관통구를 형성한 높이가변부; 티관에 상부가 트인 반원형의 트랩부가 고정된 상측유입부; 저면에 끼움홈이 형성된 지면부의 상부에 안착부를 형성한 프레임을 구성하고, 이 안착부에 뚜껑을 조립한 덮개부를 구성하여, 상기 본체부, 높이가변부, 상측유입부 및 덮개부를 순차적으로 조립하되, 상측유입부가 높이가변부 내에 수용되어, 티관이 관통구를 통해 일부 돌출된 오수받이를 구성하여, 트랩부에 고여 있는 물로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는 것이다.
또, 오목한 흐름홈이 형성된 인버트를 구성하여, 이를 상기 본체부 바닥에 조립되어, 부유물질의 퇴적과 해충의 번식을 방지하며, 상기 높이가변부의 상단은 설치 높이에 따라 절단하여 조립함에 따라, 오수받이의 설치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유입구 및 유출구는, 각각 내관과 외관의 이중관으로 형성하되, 외관의 끝 부분에는 외주연을 따라 일정깊이로 파인 밴드홈을 형성하고, 길이 방향으로 일정 부분 제거된 절개부를 원주방향으로 다수개 형성하여, 연결할 파이프에 패킹을 끼워 연결하고, 밴드홈에 밴드를 고정하여, 오수의 유출 및 토양 오염을 방지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악취 차단용 오수받이에 관한 것으로, 유입구 및 유출구가 형성된 본체부에, 관통구가 형성된 높이가변부를 조립하고, 티관에 반원형 용기의 트랩부가 고정된 상측유입부가 구성되어 높이가변부의 내부로 수용하되, 관통구를 통해 티관의 일부가 돌출되며, 높이가변부를 덮개부로 덮은 오수받이를 구성하여, 높이가변부의 절단으로, 그 높이가 조절되어 설치가 용이하고, 상기 트랩부의 고인 물로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오수받이(70)를 대략 설명하면, 상부가 트인 용기로, 하부측에 유입구(11) 및 유출구(12)를 마주보게 형성하고, 트인 상단은 돌출된 단턱부(13)를 형성한 본체부(10); 상·하로 트여, 일측에 관통구(31)를 형성한 높이가변부(30); 수직관(41′)의 중앙에 수평관(41″)이 수직으로 결합한 티관(41)이 구성되어, 상기 수직관(41′)에 반원형 용기의 트랩부(42)를 고정하고, 그 타측에 청소캡(43)을 조립한 상측유입부(40); 중앙이 트인 지면부(51)의 저면에 일정 깊이로 파인 끼움홈(51′)을 형성하고, 그 상부는 돌출되어 안착부(52)를 형성하여 트인 중앙을 따라 단턱부(53)가 형성된 프레임(50)이 구성되어, 상기 단턱부(53) 및 안착부(53)에 내부뚜껑(50a) 및 뚜껑(50b)이 조립된 덮개부(60)를 구성하여, 본체부(10)의 단턱부(13)에 끼워 조립하고, 높이가변부(30) 내부로 상측유입부(40)가 조립되어, 수평관(41″)이 관통구(13)를 통해 일부 돌출되고, 높이가변부(30)에 덮개부(60)가 조립된 오수받이(70)를 구성한다.
본 고안에 따른 오수받이(70)는 크게 본체부(10), 인버트(20), 높이가변부(30), 상측유입부(40) 및 덮개부(60)로 구성되며,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먼저 본체부(10)를 도2 내지 도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이는 상부가 트인 사각 또는 실린더 형상의 용기로, 하부가 좁고 상부가 넓은 형상이고, 하부에 유입구(11)와 유출구(12)를 마주보게 형성하되, 상기 유입구(11) 및 유출구(12)는 관통된 구멍에 일정 길이의 파이프를 일체로 형성하며, 또, 트인 상단은 그 둘레를 따라 일정 높이로 돌출된 단턱부(13)를 형성하여, 이 단턱부(13)의 외주연을 따라 일정 깊이로 파인 밴드홈(13′)을 형성하고, 그 상단 둘레를 따라 일정 부분 제거된 절개부(13″)를 다수개 형성한다.
또한, 인버트(20, invert)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의 바닥 형상에 일정 두께를 가진 것으로, 그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오목하게 파인 흐름홈(21)을 형성하며, 높이가변부(30)는, 사각 또는 실린더 형상을 가지고, 상·하부가 트인 것으로, 일측에 관통된 관통구(31)를 형성하며, 끼움구(30a)를 구성하되, 양단에 단턱부(30a′)가 형성된 탄성 재질의 끼움구(30a)를 구성하여, 이를 상기 관통구(31)에 탄성 재질의 끼움구(30a)를 끼워 고정한다.
다음으로, 티관(41), 트랩부(42), 청소캡(43)으로 구성되는 상측유입부(40)를 도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티관(41)은, 일자의 수직관(41′) 중앙에 수직으로 일자의 수평관(41″)이 일체로 형성되어, ‘T’자로 형성한 관이며, 트랩부(42)는, 트인 입구를 가지는 반원 형상의 용기로, 입구는 두 개의 원을 일부 서로 겹친 땅콩 형상이고, 입구 일측은 외부로 돌출된 단턱부(42′)를 형성하며, 또, 청소캡(43)은 상기 티관(41)의 수직관(41′)의 일측을 막는 것으로, 상기 티관(41)의 수직관(41′)에 트랩부(42)와 청소캡(43)을 각각 조립하되, 트랩부(42)의 단턱부(42′)에 접착제를 발라, 이를 수직관(41′)에 조립하고, 원하는 방향으로 맞추어 고정하며, 그 타측의 수직관(41′)에 청소캡(43)을 조립하여 상측유입부(40)를 구성한다.
그리고 프레임(50), 내부뚜껑(50a) 및 뚜껑(50b)으로 구성되는 덮개부(60)를 도2 내지 도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프레임(50)은, 중앙이 관통된 지면부(51)를 형성하고, 이 저면에 상기 높이가변부(30)의 상단 형상을 따라 일정 깊이의 끼움홈(51′)을 형성하며, 그 상부는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그 내측으로 안착부(52)를 형성하되, 이 안착부(52)에는 일정 깊이로 파인 패킹자리(52′)가 형성되고, 이에 패킹(71)이 끼움되며, 관통된 중앙 가장자리 따라 단턱부(53)가 형성되며, 또, 내부뚜껑(50a) 및 뚜껑(50b) 구성되어, 이를 각각 상기 단턱부(53) 및 안착부(52)에 조립하여 덮개부(60)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한 본체부(10), 인버트(20), 높이가변부(30), 상측유입부(40) 및 덮개부(60)가 순차로 조립되어 오수받이(70)를 구성하되, 이는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본체부(10) 바닥으로 인버트(20)를 조립하고, 상기 본체부(10)의 단턱부(13)에 높이가변부(30)를 조립하여 고정하되, 높이가변부(30)의 하단부에 패킹(71)을 끼워, 이를 상기 본체부(10)의 단턱부(13)에 끼우고, 밴드홈(13′)에 밴드(72)를 둘러 고정하며, 상측유입부(40)를 높이가변부(30)의 내부로 조립하되, 수평관(41″)을 높이가변부(30)의 관통구(31)에 조립된 끼움구(30a)에 끼워, 수평관(41″)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며, 덮개부(60)는, 상기 조립된 높이가변부(30)의 상단에, 프레임(50)의 끼움홈(51′)을 끼워 덮어 오수받이(70)를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오수받이(70)는, 그 높이가 높이가변부(30)를 통해 조절되는데, 이는 높이가변부(30)의 조립 전에 그 몸통부(51)의 하단을, 원하는 높이에 맞추어 둘레를 따라 절단하고, 이를 상기 방법으로 본체부(10)에 조립하여 오수받이(60)의 전체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 오수받이(70)의 설치 방법을 살펴보면, 그 유입구(11)를 통해 화장실 등에서 발생한 오수가 유입되게 연결하고, 돌출된 상측유입부(40)의 수평관(41′)을 통해 주방 등의 생활 오수가 유입되게 연결하며, 유출구(12)는 하수처리장으로 이동하는 하수 차집관거와 연결되어, 지면부(61)가 지면에 드러나게 오수받이(70)를 매설하되, 지면과 연결될 관의 높이를 고려하여, 필요시 상기와 같이 높이가변부(30)의 상부를 일부 절단하여 설치한다.
또한, 오수받이(70)의 특성을 살펴보면, 이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입구(11)에서 유입된 오수는 유출구(12)로 흘러나가되, 오수의 양이 적더라도 오수받이(70)의 인버트(20)의 흐름홈(21)을 따라 저항없이 흐르므로, 본체부(10) 바닥에 오수가 고이는 것을 방지하며, 또, 상기 상측유입부(40)의 수평관(41″)으로 유입된 오수가 일정량 트랩부(42)에 항상 고여 있어, 오수받이(70) 내부와 수평관(41″) 사이를 차단하고, 이를 통해, 오수받이(70) 내부에서 발생하는 악취와 해충 등이 다시 거슬러 실내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청소캡(43)을 분리하여, 트랩부(42)에 쌓이는 부유 물질 및 이물질 등을 청소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오수받이(70)는 내부뚜껑(50a) 및 뚜껑(50b)으로 이중으로 밀폐하고 있으므로, 밖으로 악취가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며, 더욱이 높이가변부(3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패킹(71)은, 매설된 오수받이(70)에 흙이나 지하수 및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본체부(10)의 유입구(11)와 및 유출구(12)는, 일정길이의 파이프로 돌출·형성하거나, 또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의 내관(11a)(12a)과 그 외부의 외관(11b)(12b)을 ‘ㄷ’자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하되, 내관(11a)(12a)은 그 외경이 바깥쪽으로 갈수록 좁아 드는 테이퍼를 형성하며, 외관(11b)(12b)의 끝 부분에는 외주연을 따라 일정 깊이로 파인 밴드홈(11b′)(12b′)을 형성하고, 그 길이방향으로 따라 일정부분 제거된 절개부(11b″)(12b″)를 원주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이와 연결할 각 파이프(73)에 패킹(71)을 끼워 상기 내관(11a)(12a)과 외관(11b)(12b) 사이에 끼우고, 밴드(72)를 상기 밴드홈(11b′)(12b′)에 맞추어 고정하는 방법으로 오수의 유출을 방지하는데, 각 상기 유입구(11)와 유출구(12)의 지름에 따라 각 내관(11a)(12a)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유입구(11), 유출구(12) 및 단턱부(13)의 각 밴드홈(11b′)(12b′)(13′)에 끼움되는 밴드(72)는, 부식에 강한 스테인리스스틸을 사용하여, 수분의 노출에도 내구성을 유지하고, 시간이 경과하여도 끼움되는 각 파이프(73) 및 높이가변부(30)를 긴밀히 고정하도록 한다.
이와 함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는 일정 길이의 보조관(44)을 더 구성하여, 상기 보조관(44)을 수직관(41′)과 청소캡(43) 사이에 조립한 것으로, 상기 오수받이(70)에 있어서, 높이가변부(30)의 상부를 절단하여 오수받이(70)의 전체 높이를 조절함에 따라, 뚜껑(50a)과 청소캡(43)의 거리가 점점 좁아지는 것을, 상기 보조관(31)의 조립으로 일정 거리를 유지하고, 청소캡(43)의 분리와 청소를 용이하게 하며, 상기 오수받이(70)를 구성하는 본체부(10), 높이가변부(30), 상측유입부(40) 및 덮개부(60)는 합성수지, 또는 주물 등으로 각각 일체로 형성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하부측에 유입구 및 유출구를 마주보게 형성하고, 트인 상단에 돌출된 단턱부를 형성한 본체부; 상·하부가 트여, 일측에 관통구를 형성한 높이가변부; 티관에 상부가 트인 반원형의 트랩부가 고정된 상측유입부; 저면에 끼움홈이 형성된 지면부의 상부에 안착부를 형성한 프레임을 구성하고, 이 안착부에 뚜껑을 조립한 덮개부를 구성하여, 상기 본체부, 높이가변부, 상측유입부 및 덮개부를 순차적으로 조립하되, 상측유입부가 높이가변부 내에 수용되어, 티관이 관통구를 통해 일부 돌출된 오수받이를 구성하여, 트랩부에 고여 있는 물로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 오목한 흐름홈이 형성된 인버트를 구성하여, 이를 상기 본체부 바닥에 조립되어, 부유물질의 퇴적과 해충의 번식을 방지하며, 상기 높이가변부의 상단은 설치 높이에 따라 절단하여 조립함에 따라, 오수받이의 설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유입구 및 유출구는, 각각 내관과 외관의 이중관으로 형성하되, 외관의 끝 부분에는 외주연을 따라 일정깊이로 파인 밴드홈을 형성하고, 길이 방향으로 일정 부분 제거된 절개부를 원주방향으로 다수개 형성하여, 연결할 파이프에 패킹을 끼워 연결하고, 밴드홈에 밴드를 고정하여, 오수의 유출 및 토양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일부 절단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상측유입부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보조관을 결합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부 20 : 인버트 30 : 높이가변부
40 : 상측유입부 50 : 프레임 60 : 덮개부
70 : 오수받이

Claims (6)

  1. 상부가 트인 용기로, 하부측에 유입구(11) 및 유출구(12)를 마주보게 형성하고, 트인 상단은 돌출된 단턱부(13)를 형성한 본체부(10); 상·하로 트여 일측에 관통된 관통구(31)를 형성한 높이가변부(30); 수직관(41′)의 중앙에 수평관(41″)이 수직으로 일체 결합된 티관(41)이 구성되어, 수직관(41′)의 일측에 일정폭을 가진 반원형 용기의 트랩부(42)가 고정되고, 그 타측에 청소캡(43)이 조립된 상측유입부(40); 중앙이 트인 지면부(51)의 저면에 일정 높이로 파인 끼움홈(51′)이 형성되고, 그 상부는 돌출되어 안착부(52)를 형성한 프레임(50)을 구성하며, 이 안착부(52)에 뚜껑(50b)이 조립된 덮개부(60)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10), 높이가변부(30), 상측유입부(40) 및 덮개부(60)를 순차로 조립하되, 높이가변부(30) 내부로 상측유입부(40)가 수용되어, 수평관(41″)이 관통구(13)로 일부 돌출된 오수받이(70)를 구성하여,
    악취의 역류를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차단용 오수받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는, 그 단턱부(13)의 외주연을 따라 일정 깊이로 파인 밴드홈(13′)을 형성하고, 그 둘레를 따라 일정부분 제거된 절개부(13″)를 다수개 형성하여,
    패킹 및 밴드로 높이가변부를 본체부에 긴밀히 고정하여, 오수의 유출과 유입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차단용 오수받이.
  3. 제 1항에 있어서,
    일정 두께의 인버트(20)를 구성하되, 상기 오수받이(70)의 바닥 형상으로,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오목한 흐름홈(21)을 형성한 인버트(20)가 구비되어,
    오수받이 내부에서 오수의 흐름을 용이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차단용 오수받이.
  4. 제 1항에 있어서,
    일정 길이의 보조관(44)을 더 구비하여, 상기 티관(41)의 수직관(41′)과 청소캡(43) 사이에 조립되어, 높이가변부의 높이 변화에 따른, 뚜껑과 청소캡의 거리 변화를 최소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차단용 오수받이.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의 유입구(11)와 및 유출구(12)는, 내부의 내관(11a)(12a)과 그 외부의 외관(11b)(12b)으로 일체 형성하되, 내관(11a)(12a)의 외경은 테이퍼를 형성하며, 외관(11b)(12b)의 끝 부분에는 외주연을 따라 일정깊이로 파인 밴드홈(11b′)(12b′)을 형성하고,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부분 제거된 절개부(11b″)(12b″)를 다수개 형성하고,
    양단에 단턱부(30a′)가 형성된 탄성 재질의 끼움구(30a)가 구비되어,
    패킹 및 밴드로 파이프를 각 유입구 및 유출구에 긴밀히 고정하고, 끼움구를 본체부의 관통구에 고정하여, 오수의 유출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차단용 오수받이.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60)는, 프레임(50)의 안착부(52)에 일정 깊이로 파인 패킹자리(52′)를 형성하고, 이에 패킹(71)을 조립하며, 프레임(50)의 트인 중앙의 가장자리를 따라 단턱부(53)를 형성하고, 이에 내부뚜껑(50a)을 조립하여,
    오수받이의 악취 유출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차단용 오수받이.
KR20-2005-0010894U 2005-04-19 2005-04-19 악취 차단용 오수받이 KR2003891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894U KR200389105Y1 (ko) 2005-04-19 2005-04-19 악취 차단용 오수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894U KR200389105Y1 (ko) 2005-04-19 2005-04-19 악취 차단용 오수받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9105Y1 true KR200389105Y1 (ko) 2005-07-07

Family

ID=43690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0894U KR200389105Y1 (ko) 2005-04-19 2005-04-19 악취 차단용 오수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910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368B1 (ko) 2007-04-30 2008-06-30 주식회사 피앤아이휴먼코리아 통합형 우수겸용 오수받이
KR101336587B1 (ko) * 2013-06-21 2013-12-05 주식회사 고리 오수받이
KR102035964B1 (ko) * 2019-03-06 2019-10-23 피피아이평화 주식회사 통합 오수 수집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368B1 (ko) 2007-04-30 2008-06-30 주식회사 피앤아이휴먼코리아 통합형 우수겸용 오수받이
KR101336587B1 (ko) * 2013-06-21 2013-12-05 주식회사 고리 오수받이
KR102035964B1 (ko) * 2019-03-06 2019-10-23 피피아이평화 주식회사 통합 오수 수집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83690C2 (ru) Водяной затвор для санитарно-техническ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AU2002100710B4 (en) Greywater diversion vessell assembly
KR200389105Y1 (ko) 악취 차단용 오수받이
KR100684174B1 (ko) 악취 차단 오수받이
KR200383882Y1 (ko) 오수받이
KR100454465B1 (ko) 배수트랩
KR101142816B1 (ko) 트랩
KR101764752B1 (ko) 유로 조정식 오수받이 장치
KR102007220B1 (ko) 기밀성 및 내구성을 높인 배수유입관의 구조와 탈 부착형 악취차단 구조를 갖는 배수조
KR100552492B1 (ko) 오수받이 조립체
KR101272152B1 (ko) 봉수기능을 구비한 멀티 관 연결장치
KR100811125B1 (ko) 오수받이
JP3374965B2 (ja) 合成樹脂製溜めます
JP2009228812A (ja) 逆流防止弁、逆流防止弁付き管構造、逆流防止弁付き管継手、および逆流防止弁を備えたます
KR100766508B1 (ko) 오수받이
KR200388508Y1 (ko) 악취 차단 및 높이 조절 기능을 가진 오수받이
KR20110045600A (ko) 배수트랩
KR100605553B1 (ko) 배수가 용이한 오수받이의 트랩 구조
KR200383592Y1 (ko) 방취수단이 구비된 오수받이
JP2003321860A (ja) 排水トラップ
JP3569317B2 (ja) トラップ付き排水装置
KR102022246B1 (ko) 우수겸용 오수받이
JP2892310B2 (ja) エルボ付溜め桝
JP2509946Y2 (ja) 掃除口用蓋
JP4795786B2 (ja) トラップ付き排水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