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5553B1 - 배수가 용이한 오수받이의 트랩 구조 - Google Patents

배수가 용이한 오수받이의 트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5553B1
KR100605553B1 KR1020050092727A KR20050092727A KR100605553B1 KR 100605553 B1 KR100605553 B1 KR 100605553B1 KR 1020050092727 A KR1020050092727 A KR 1020050092727A KR 20050092727 A KR20050092727 A KR 20050092727A KR 100605553 B1 KR100605553 B1 KR 100605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p
trap structure
sewage
shaped
check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2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2063A (ko
Inventor
허원권
Original Assignee
허원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원권 filed Critical 허원권
Priority to KR1020050092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5553B1/ko
Publication of KR20050102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2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5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5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2Arrangements of means against overflow of water, backing-up from the drai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3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sediment trap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5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n odour se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가 용이한 오수받이의 트랩 구조에 관한 것으로, 이는 반원형의 용기 형상을 가진 트랩부(20); ‘T’자 형상의 티관(10); 상·하가 트여, 상부가 넓고, 하부로 갈수록 좁은 깔때기 형상의 구배링(30); 밀폐를 위한 패킹(50); 내부가 빈 구 형상의 경량 체크볼(40); 관통된 통기공(61)을 형성한 뚜껑 형상의 통기캡(60)를 순차·조립한 트랩 구조(70)를 구성하여, 이를 통상 오수받이(80)의 내부에 조립하되, 오수가 유입되는 입구부(81a)에 조립되어, 평소 트랩부(20)에 고인 오수와 구배링(30)의 하부를 막는 체크볼(40)로 악취 및 해충의 역류를 방지하고, 오수받이(80) 내부로 오수가 유입될 때, 상기 체크볼(40)의 상승 및 통기공(61)을 통한 공기의 배출로 배수가 용이하게 이뤄지는 것이다.
우수받이, 오수받이, 트랩, 배수, 체크볼, 공기, 압력, U, 배출

Description

배수가 용이한 오수받이의 트랩 구조 { the well-drained trap structure for drainage inspection chamber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수받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수받이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수받이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랩 구조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랩 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3의 AA′부분의 본 트랩 구조의 작용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티관 20 : 트랩부 30 : 구배링
40 : 체크볼 50 : 패킹 60 : 통기캡
70 : 트랩 구조 80 : 오수받이
본 발명은 배수가 용이한 오수받이의 트랩 구조에 관한 것으로, 통상의 오수받이 내부에 악취, 해충 등의 역류를 방지하는 트랩 구조를 형성하되, 반원형 용기의 트랩부, 티관, 깔때기 형상의 구배링, 구 형상의 체크볼, 통기공을 형성한 통기캡이 순차로 조립된 트랩 구조를 구성하여, 이를 오수받이 내부에 조립·설치되어, 평소 체크볼을 통해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고, 오수의 유입시, 체크볼의 상승 및 통기공을 통한 공기의 배출로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수받이는 가정하수, 공장폐수 등의 우수 또는 오수를 관거로 유입하기 전에 설치하는 물받이로, 통상 오수받이는, 뚜껑이 구비된 사각형상의 통에, 다수개의 연결관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연결관에 오수를 유입하는 관과, 하수처리장 등으로 이송하는 관거와 각각 연결되어 매설되어 사용된다.
그리고 통상 주방의 싱크대에 연결된 배수 구조에는 역류를 방지하는 트랩 구조가 없으므로, 오수받이 및 이에 이르는 관에서 발생한 악취 및 해충이 역류하여, 보건위생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상기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 오수받이의 입구부에 트랩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데, 몇 가지 예를 들어보면,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49102호 또는 국내등 록실용신안 제29998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오수받이의 입구부에 엘보관을 조립하고, 이 끝 부분이 용기 형상의 저장부 또는 오수받이홈에 일정 깊이로 인입한 트랩 구조를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국내등록실용신안 제360444호 또는 국내등록실용신안 제38910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오수받이의 하부 또는 내부에 ‘U’자 형상의 트랩 구조를 형성하여, 상기 저장부, 오수받이홈, 트랩 등에 오수가 일정량 유지되어, 엘보관을 통해 악취나 해충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트랩 구조는 일정량의 오수가 항상 고여있고, 또, 트랩 구조 사이와 싱크대의 배수 구조 사이의 배관에는 공기가 차 있어서, 싱크대에서 오수를 갑자기 많은 양을 버릴 경우에는 트랩 구조와 싱크대 사이의 공기를 밀어내면서 배수되므로, 배수될 때, ‘구루룩’과 같은 소리가 나면서 배수가 용이하게 일어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U’자 형상을 가지는 트랩 구조의 경우, 분해가 여의치 않아서, 오수가 고이는 부분의 청소가 용이하기 못한 문제점이 내포되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통상의 오수받이 내부에 트랩 구조를 형성하되, 통기공을 형성한 통기캡, 구 형상의 경량 체크볼, 깔때기 형상의 구배링, 티관 및 반원형 용기의 트랩부를 순차로 조립한 트랩 구조를 구성하여, 이를 통상 오수받이의 입구부에 조립·설치하여, 평소 구배링을 막고 있는 체 크볼 및 트랩부에 고인 오수를 통해 악취 및 해충의 역류를 방지하고, 티관을 통해 오수가 유입되면서, 체크볼의 상승 및 통기공을 통한 공기의 배출로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티관의 양단 외주연에는 나사산 및 삼각형의 단면으로 돌출된 돌기를 형성하고, 트랩부의 트인 상부에는 상기 돌기에 대응되게 파인 끼움홈을 형성하며, 청소캡의 내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통기캡과 트랩부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이에 따라 트랩부, 구배링 및 체크볼의 청소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배수가 용이한 오수받이의 트랩 구조에 관한 것으로, 통상의 오수받이 내부에 악취, 해충 등의 역류를 방지하는 트랩 구조를 형성하되, 반원형 용기의 트랩부, 티관, 깔때기 형상의 구배링, 구 형상의 체크볼, 통기공을 형성한 통기캡이 순차로 조립된 트랩 구조를 구성하여, 이를 오수받이 내부에 조립·설치되어, 평소 체크볼을 통해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고, 오수의 유입시, 체크볼의 상승 및 통기공을 통한 공기의 배출로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수받이의 트랩 구조를 대략 설명하면, 반원형의 용기 형상을 가진 트랩부(20); ‘T’자 형상의 티관(10); 상·하가 트여, 상부가 넓고, 하부 로 갈수록 좁은 깔때기 형상의 구배링(30); 밀폐를 위한 패킹(50); 내부가 빈 구 형상의 경량 체크볼(40); 관통된 통기공(61)을 형성한 뚜껑 형상의 통기캡(60)를 순차·조립한 트랩 구조(70)를 구성하여, 이를 통상 오수받이(80)의 내부에 조립하되, 오수가 유입되는 입구부(81a)에 조립되어, 트랩 구조(70)로 물이 유입될 때, 상기 체크볼(40)의 상승 및 통기공(61)을 통한 공기의 배출로 배수를 용이하게 하는 대략적인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은 크게 티관(10), 트랩부(20), 구배링(30), 체크볼(40), 패킹(50) 및 통기캡(60)으로 구성되는바, 이를 도5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티관(10)은, ‘一’자 파이프의 수직관(11)이 형성되고, 그 중간 부분에 수직으로 ‘一’자 파이프의 수평관(12)이 내부가 연결되게 일체로 형성되어, ‘T’자로 형성한 파이프로, 상기 수직관(11)의 일측 외주연에는 나사산(11a)을 형성하고, 그 타측 외주연의 둘레에는 삼각형의 단면으로 돌출한 돌기(11b)를 형성하되, 수직관(11)의 끝단 쪽으로 갈수록 좁아드는 기울기를 형성한다.
그리고 트랩부(20)는, 상부가 트인 반원 형상의 용기로, 트인 입구는 두 개의 원을 일부 서로 겹친 땅콩 형상이고, 입구 일측은 외부로 돌출된 단턱부(21)를 형성하되, 일측의 단턱부(21)의 내주연을 따라 상기 돌기(11b)와 대응되게 파인, 즉, 삼각형의 단면으로 파인 끼움홈(22)을 형성하는데, 상기 트랩부(20)의 트인 상부는 어느 정도의 힘을 가하면 벌어지므로 돌기(11b)와 끼움홈(22)의 단면 형상은 꼭 삼각형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나, 단면을 삼각형으로 형성할 경우, 그 기울기로 인해 끼움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구배링(30)은 상·하부가 트이되, 일측이 좁고 상부가 넓은 깔때기 형상으로, 넓은 쪽에는 그 가장자리를 따라 바깥측으로 일정폭 돌출한 안착부(31)를 형성하며, 다음, 체크볼(40)은 내부가 빈 구의 형상으로, 상기 구배링(30) 내부로 투입되어 빠지지 않는 지름을 형성하고, 가볍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통기캡(60)은 그 단면이 ‘
Figure 112005055895292-pat00001
’의 형상을 갖는 원통형의 뚜껑으로, 그 상면에 관통된 통기공(61)을 다수개 형성하고, 내측의 내주연을 따라 나사산(62, 미도시)을 형성하며, 이와 함께, 상기 통기캡(60)의 내측으로 안착하는 패킹(50)을 더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티관(10), 트랩부(20), 구배링(30), 체크볼(40), 패킹(50) 및 통기캡(60)은 순차적으로 조립되어 트랩 구조(70)를 형성하며, 이는 도4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티관(10)의 수직관(11) 일측에 트랩부(20)를 끼워 고정하되, 돌기(11b)에 끼움홈(22)이 맞아 들어가도록 하여 고정하고, 그 타측에는 구배링(30)을 그 좁은 쪽으로 넣어 넓은 쪽의 안착부(31)를 걸치며, 이에 체크볼(40)을 투입하고, 패킹(50)과 통기캡(60)을 닫아 잠그면 트랩 구조(70)가 완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한 트랩 구조(70)는 통상적인 오수받이(80)에 조립되어 사용하는데, 상기 트랩 구조(70)가 오수받이(80)에 조립되는 구조를 설명하기에 앞서, 일반적인 오수받이(80)의 구조를 살펴보면, 이는 용기 형상의 본체부(81)와 이를 덮는 뚜껑(82)으로 구성되되, 먼저 본체부(81)는 용기 형상으로, 측면 하부쪽에 관통된 유입구(81a) 및 유출구(81b)를 마주보게 다수개 형성하고, 뚜껑(82)은 상기 본체부(81)를 덮는 것으로, 대개 패킹이 추가 구성되어 밀폐되게 덮어 내부의 악취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 오수받이(80)는 발명자 및 사용자에 따라 상기 본체부(81) 및 뚜껑(82)을 기본 구성으로 하여 다양하게 변형·선택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통상의 오수받이(80)에 상기 트랩 구조(70)가 적용된 구조를 도1 내지 도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이는 상기 오수받이(80)의 본체부(81) 내측에서 유입부(81a)에 티관(10)의 수평관(12)이 끼움·고정되어 설치되며, 참고로, 트랩부(20)는 회전하여, 배출관(12)을 통한 배수가 적절하게 이뤄지도록 방향을 설정한다.
그리하여, 오수받이(80)에 설치한 트랩 구조(70)의 특징을 도9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이는 유입된 우수 또는 오수로 트랩부(20)에 일정량의 물이 일정량 항상 고여 있어, 수평관(12) 및 유입부(81a)를 통한 악취와 해충 등의 역류를 방지함은 물론, 상부의 수직관(11)에도 구배링(30)의 트인 하부쪽을 체크볼(40)이 막고 있 어, 이를 통한 악취와 해충 등의 역류를 방지한다.
또한, 상기 수평부(12)로 우수 또는 오수가 유입되고, 유입구(81a)와 우수를 버린 입구 사이의 배관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가 밀리면서, 그 압력으로 경량의 체크볼(40)을 밀게되어, 체크볼(40)이 구배링(30)의 기울기를 타고 일측으로 밀려, 공기가 빠지고, 통기캡(60)의 통기공(61)을 통해 공기가 배출되어, 물이 자연스럽게 트랩부(20)로 빠지게 되며, 이 트랩 구조(70)는 하수, 오수가 집거하는 오수받이, 빗물이 모이는 우수받이 등을 신설할 때, 또는 기존에 설치된 우수받이, 오수받이 등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트랩부(20)의 찌꺼기, 물이끼, 물때 등을 제거할 때에는, 트랩부(20)의 트인 입구를 벌려 티관(10)에서 분리하여 청소하고, 구배링(30) 및 체크볼(40)을 청소할 때에는, 상기 통기캡(60)을 티관(10)에서 분해하고, 이어 구배링(30) 및 체크볼(40)을 분리할 수 있으므로, 그 청소 및 교체가 용이한 특징이 있다.
한편, 상기 트랩 구조(70)는 기존의 오수받이(80)의 트랩 구조(70), 즉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관(11)과 이의 중간 부분에 수직한 수평관(12)이 일체· 형성된 ‘T’자 형상의 티관(10)을 형성되어, 일측의 수직관(11)을 오수받이(80)에 고여있는 일정량의 물에 잠기도록 하여, 악취 및 해충의 역류를 방지한 트랩 구조 (70)에 있어서, 상기 구배링(30), 체크볼(40), 패킹(50) 및 통기캡(60)이 구비되어, 이를 상측 수직관(11)에 순차로 고정하며, 상기와 같이, 유입구(81a)를 통한 우·오수의 유입시, 체크볼(40)의 상승 및 통기캡(60)의 통기공(61)을 통한 공기의 배출로,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통상의 오수받이 내부에 트랩 구조를 형성하되, 통기공을 형성한 통기캡, 구 형상의 경량 체크볼, 깔때기 형상의 구배링, 티관 및 반원형 용기의 트랩부를 순차로 조립한 트랩 구조를 구성하여, 이를 통상 오수받이의 입구부에 조립·설치하여, 평소 구배링을 막고 있는 체크볼 및 트랩부에 고인 오수를 통해 악취 및 해충의 역류를 방지하고, 티관을 통해 오수가 유입되면서, 체크볼의 상승 및 통기공을 통한 공기의 배출로 배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티관의 양단 외주연에는 나사산 및 삼각형의 단면으로 돌출된 돌기를 형성하고, 트랩부의 트인 상부에는 상기 돌기에 대응되게 파인 끼움홈을 형성하며, 청소캡의 내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통기캡과 트랩부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이에 따라 트랩부, 구배링 및 체크볼의 청소 및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삭제
  2. 오수받이 내부에 구비·조립되되, 악취 및 해충 등의 역류를 방지하는 트랩 구조에 있어서,
    ‘一’자 파이프의 수직관(11)이 형성되어, 그 중간 부분에 수직으로 ‘一’자 파이프의 수평관(12)이 일체로 형성된‘T’자 형상의 티관(10); 상·하가 트여, 상부가 넓고, 하부로 갈수록 좁은 깔때기 형상의 구배링(30); 내부가 빈 구 형상의 체크볼(40); 관통된 통기공(61)을 다수개 형성한 뚜껑 형상의 통기캡(60); 등이 상기 티관(10)의 수직관(11)의 상단으로 부터 순차로 조립되며, 상기 티관(10)의 수직관(11)의 하단 외주연에는 돌출된 돌기(11b)가 형성되고, 이에 반원형으로 형성된 용기 형상의 트랩부(20)가 구비·조립되되, 트인 상단 내측에 상기 돌기(11b)에 대응되게 파인 끼움홈(22)을 형성한 트랩부(20)을 순차·조립한 트랩 구조(70)를 구성하여, 이를 통상 오수받이에 조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가 용이한 오수받이의 트랩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11b)는 수직관(11) 끝단 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기울기를 갖는 삼각형의 단면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가 용이한 오수받이의 트랩 구조.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관(11)의 일측 외주연 및 통기캡(60)의 내측 내주연에는 나사산(11a)(62)을 각각 형성하고, 구배링(30)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폭으로 돌출한 안착부(31)를 형성하며, 밀폐를 위한 패킹(50)이 구비되어,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의 트랩 구조.
KR1020050092727A 2005-10-04 2005-10-04 배수가 용이한 오수받이의 트랩 구조 KR100605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2727A KR100605553B1 (ko) 2005-10-04 2005-10-04 배수가 용이한 오수받이의 트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2727A KR100605553B1 (ko) 2005-10-04 2005-10-04 배수가 용이한 오수받이의 트랩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1623U Division KR200399365Y1 (ko) 2005-07-25 2005-07-25 배수가 용이한 오수받이의 트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2063A KR20050102063A (ko) 2005-10-25
KR100605553B1 true KR100605553B1 (ko) 2006-08-01

Family

ID=37280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2727A KR100605553B1 (ko) 2005-10-04 2005-10-04 배수가 용이한 오수받이의 트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55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8518A (ko) 2014-12-05 2016-06-15 김성식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한 개별 구조타입의 배수 트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65256A (zh) * 2017-06-14 2017-09-15 上海期歆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下水道水溢倒灌报警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8518A (ko) 2014-12-05 2016-06-15 김성식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한 개별 구조타입의 배수 트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2063A (ko) 2005-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9512631A (ja) 油水分離機能を有するマンホール
KR100562898B1 (ko) 막힘 방지기능을 겸비한 방취 배수트랩
KR20170084574A (ko) 오수받이 겸 맨홀
US20050103694A1 (en) Nestable catch basin assembly with removable debris trap
KR20090036931A (ko) 배수트랩
KR100605553B1 (ko) 배수가 용이한 오수받이의 트랩 구조
KR100845544B1 (ko) 우수 및 오수 겸용 공공물받이
KR100454465B1 (ko) 배수트랩
KR20080081572A (ko) 악취 방지용 배수트랩
KR200399365Y1 (ko) 배수가 용이한 오수받이의 트랩 구조
KR200383882Y1 (ko) 오수받이
KR101755113B1 (ko) 그리스 트랩
KR100811125B1 (ko) 오수받이
KR100552492B1 (ko) 오수받이 조립체
KR101212948B1 (ko) 그리스 트랩
KR100655740B1 (ko) 역류 및 악취방지맨홀
JP5456284B2 (ja) 跳ね上がり防止具を装着した管継手及び枡
KR100707720B1 (ko) 인버트와 트랩이 일체로 형성된 오수받이의 본체구조
KR101272152B1 (ko) 봉수기능을 구비한 멀티 관 연결장치
KR100923133B1 (ko) 내장형 봉수트랩을 구비한 오수받이
KR200389105Y1 (ko) 악취 차단용 오수받이
KR20050080171A (ko) 악취차단 기능을 갖는 맨홀
KR20050080155A (ko) 악취차단과 이물질 수거가 용이한 생활하수용 배수조
KR200265933Y1 (ko) 악취방지용 배수트랩
KR100737270B1 (ko) 침전물의 제거가 용이한 오수받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