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6343B1 - 입상관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오수받이 - Google Patents

입상관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오수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6343B1
KR102256343B1 KR1020200114558A KR20200114558A KR102256343B1 KR 102256343 B1 KR102256343 B1 KR 102256343B1 KR 1020200114558 A KR1020200114558 A KR 1020200114558A KR 20200114558 A KR20200114558 A KR 20200114558A KR 102256343 B1 KR102256343 B1 KR 102256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astening
upper pipe
coupled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4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문기
조규홍
박준하
박세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보텍
Priority to KR1020200114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63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6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6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2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ir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urrounding surface
    • E03F2005/0413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ir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urrounding surface for height adjus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수를 유입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으로 유입된 오수를 집수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집수된 오수를 유출시키는 유출관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지상에 설치된 맨홀뚜껑에 가깝게 상기 수용부를 연장시키는 입상관을 포함하는 오수받이에 있어서, 상기 입상관은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하부관과, 상기 하부관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관으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하부관과 상부관에는 상호 체결되는 암,수 한 쌍의 체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의 체결깊이에 따라 상기 입상관의 길이가 조절되며, 상기 상부관의 외면에는 상기 상부관을 나선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체결장비가 걸어지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관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오수받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관의 외면에 체결장비가 걸어지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체결장비를 걸림부에 걸고 체결장비에 힘을 가하여 상부관을 나선 방향으로 용이하게 회전시킴으로써 시공현장의 협소한 공간에서도 입상관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관에 형성된 걸림부는 상부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거나 외면에 덧대어지는 형태이여서 상부관의 강도를 보강시키며, 토압에 의해 발생되는 입상관의 변형 및 파손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입상관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오수받이{Drain Sewage Tray For Easy Adjustment Of The Pipe Length}
본 발명은 입상관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오수받이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오수받이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입상관의 길이조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입상관의 길이조절이 용이하여 시공 현장마다 다를 수 있는 매립 공간 및 매립 깊이에 구애받지 않고 오수받이 설치 작업의 편의성 및 신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입상관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오수받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 및 상업용 건물 등 각종 건물의 실내에서는 오폐수가 발생하고, 실외에서는 건물의 외부 및 주변을 세척할 때에 사용되는 세척수 및 빗물(이하, '우수'라 통칭함) 등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건물의 실내 및 실외에서 발생하는 오폐수 및 우수는 지중에 매설되는 오수받이에 의해 집수되어 정수시스템으로 이송되고 있다.
종래에는 악취 문제로 인하여 폐수와 오수를 별도로 구분시켜 폐수용 오수받이와 오수용 오수받이를 구분하여 매설하였으나, 근래에는 폐수와 오수를 구분하지 않고 일괄 집수할 수 있도록 폐수용 오수받이와 오수용 오수받이를 하나로 결합하여 형성한 오수받이가 제안되어 있으며, 오수받이의 내부에는 악취가 역류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종래 오수받이의 구조를 살펴보면, 내부에 수용부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주유입관과, 상기 본체의 타측에 형성된 유출관과, 상기 본체의 일측과 타측 사이에 설치된 두 개의 보조유입관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주유입관에 연결되어 오수가 유입됨과 아울러 오수가 잔류되어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는 U트랩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수용부를 갖는 본체는 지하 깊은 곳에 매립되고, 상기 본체의 수용부 상부에는 지상에 설치된 맨홀뚜껑에 가깝게 상기 수용부를 연장시키는 입상관이 설치된다.
여기서, 입상관은 시공현장의 맨홀뚜껑과 지하에 매립된 본체와의 거리에 따라 그 길이가 달라지기 때문에 본체깊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입상관을 구비하거나 길이가 긴 입상관을 길이에 맞춰 절단하여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시공현장마다 본체의 매립 깊이는 매번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본체의 매립 깊이에 알맞은 길이의 입상관을 준비하는 것도, 긴 압상관을 길이에 맞춰 절단하여 사용하는 것도 매우 번거로우며, 작업시간을 지연시켜 작업의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선 출원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42369호에서 시공 현장의 매립 깊이에 대응하여 오수받이 입상관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입상관 길이조절이 가능한 오수받이를 제시한 바 있다.
상기 오수받이의 입상관은 오수받이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하부관과 상기 하부관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관으로 분리되고, 상기 하부관과 상부관에는 상호 체결되는 암수 한 쌍의 체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의 체결깊이에 따라 입상관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시공현장의 협소한 공간에서는 입상관의 직경이 크기 때문에 입상관의 길이 조절을 위해 상부관을 나선 방향으로 회전시켜 길이를 늘이고, 줄이는 작업이 쉽지 않고, 상부관의 외면이 매끄러운 상태이여서 체결장비를 이용하기에도 구조적인 개선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365935호(등록일 2014.02.17)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30757호(등록일 2012.03.20)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오수받이의 입상관을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하부관과 상기 하부관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관으로 분리하고, 상기 하부관과 상부관에는 상호 체결되는 암수 한 쌍의 체결부를 형성하여 상기 체결부의 체결깊이에 따라 상기 입상관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되, 상기 상부관의 외면에는 상기 상부관을 나선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체결장비가 걸어지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에 걸어지는 체결장비를 이용하여 상기 상부관을 용이하게 회전시킴으로써 시공현장의 협소한 공간에서도 입상관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오수받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부관의 상단부에 체결부위의 수밀을 잡아주기 위한 고무링이 결합되어 입상관의 하부관과 상부관이 상호 체결되는 체결부위를 통해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입상관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오수받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입상관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오수받이는 오수를 유입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으로 유입된 오수를 집수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집수된 오수를 유출시키는 유출관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지상에 설치된 맨홀뚜껑에 가깝게 상기 수용부를 연장시키는 입상관을 포함하는 오수받이에 있어서,
상기 입상관은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하부관과, 상기 하부관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관으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하부관과 상부관에는 상호 체결되는 암,수 한 쌍의 체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의 체결깊이에 따라 상기 입상관의 길이가 조절되며, 상기 상부관의 외면에는 상기 상부관을 나선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체결장비가 걸어지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체결장비가 끼워지는 홀이 형성된 플랜지부로 구성되거나, 상기 상부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리브가 상기 상부관 외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리브에 상기 체결장비가 걸어지게 구성되거나, 둘 모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입상관은 상기 하부관과 상부관의 체결부위를 통해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하부관의 상단부에 수밀을 잡아주기 위한 고무링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고무링은 상기 하부관의 상단부를 감싸서 상기 하부관의 체결부 선단에 체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무링의 외주면에는 수밀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립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오수받이의 입상관을 하부관과 상부관으로 분리하고, 하부관과 상부관에는 상호 체결결합되는 암수 한 쌍의 체결부를 형성하여 하부관과 상부관이 체결되는 깊이에 따라 입상관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되, 상부관의 외면에 체결장비가 걸어지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체결장비를 걸림부에 걸고 체결장비에 힘을 가하여 상부관을 나선 방향으로 용이하게 회전시킴으로써 시공현장의 협소한 공간에서도 입상관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관에 형성된 걸림부는 상부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거나 외면에 덧대어지는 형태이여서 상부관의 강도를 보강시키며, 토압에 의해 발생되는 입상관의 변형 및 파손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부관의 상단부에 체결부위의 수밀을 잡아주기 위한 고무링이 결합되어 입상관의 하부관과 상부관이 상호 체결되는 체결부위를 통해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입상관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오수받이를 도시한 외형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입상관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오수받이에서 본체와 입상관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의 (a),(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입상관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오수받이에서 입상관의 하부관과 상부관의 체결에 따른 입상관의 길이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입상관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오수받이에서 입상관의 길이조절을 위해 상부관의 걸림부에 체결장비를 걸어 상부관을 회전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입상관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오수받이에서 입상관의 하부관에 결합되어 수밀을 잡아주는 고무링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의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에 대한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입상관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오수받이는 본체(100)와,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하부관(210)과 상기 하부관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관(220)이 체결 결합되어 길이가 조절되는 입상관(200)과, 입상관 체결부위의 수밀을 잡아주는 고무링(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본체(100)는 오수를 유입하는 유입관(110)과, 유입관(110)으로 유입된 오수를 집수하는 수용부(120)와, 수용부(120)에 집수된 오수를 유출시키는 유출관(130)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체(100)의 내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 형태의 수용부(120)가 구비되고, 수용부(120)의 일측면에는 수용부(120)와 연통되는 유입관(110)이 구비되며, 수용부(120)의 타측면에는 수용부(120)와 연통되는 유출관(130)이 구비된다.
이에 더하여, 본체(100)의 수용부(120) 일측면과 타측면에 이웃하는 양 측면에는 보조 유입관(111)이 구비되고, 본체(100)의 내부에는 유입관(110)을 통해 악취가 역류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U트랩(미도시)이 설치되며, 본체(100)의 상단에는 입상관(200)의 연결을 위한 이음관(140)이 구비된다.
여기서, 유출관(130)은 유입관(110) 및 보조 유입관(111)으로부터 동시에 유입되는 오수를 정체됨이 없이 빠른 시간 내에 유출시킬 수 있도록 유입관(110) 및 보조 유입관(111)보다 더 큰 직경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의 이음관(140)에는 입상관(200)이 결합된다.
입상관(200)은 지상에 설치되는 맨홀뚜껑(미도시)에 가깝게 본체(100)의 수용부(120)를 연장시키는 기능을 한다. 하지만, 시공 현장의 상황에 따라 맨홀뚜껑과 지하에 매립된 본체(100)와의 거리는 매번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맞춰서 입상관(200)의 길이가 달라져야 한다. 즉, 입상관(200)은 전체 길이를 늘였다 줄였다 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상관(200)은 본체(100)의 이음관(140)에 결합되는 하부관(210)과, 하부관(2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관(220)으로 구성되고, 하부관(210)의 상단부와 상부관(220)의 하단부에는 상호 체결되는 암, 수 한 쌍의 체결부(230)가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관(210)과 상부관(220)에 형성된 암, 수 한 쌍의 체결부(230)를 체결 결합하는 체결깊이에 따라 입상관(200)의 전체 길이가 달라진다.
즉,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관(210)과 상부관(220)에 형성된 암, 수 한 쌍의 체결부(230)가 서로 맞물려 끝까지 체결될 경우 입상관(200)의 길이가 가장 작은 기본의 상태가 되고,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관(210)과 상부관(220)에 형성된 암, 수 한 쌍의 체결부(230)가 체결되는 정도에 따라 입상관(200)의 길이가 조절된다.
여기서, 본체(100)에 결합되는 입상관(200)의 하부관(210)은 오수받이가 매설되는 깊이에 맞춰 일정 길이로 절단되어 본체(100)의 이음관(140)에 결합되는 것으로 1차 높이를 조절한다. 그리고, 하부관(210)의 체결부에 체결 결합되는 상부관(220)의 체결정도를 조절하여 입상관(200)의 2차 높이를 조절한다.
그러나, 시공현장의 협소한 공간에서는 입상관(200)의 직경이 크기 때문에 입상관(200)의 길이 조절을 위해 상부관(220)을 나선 방향으로 회전시켜 길이를 늘이고, 줄이는 작업이 쉽지 않을 수 있다.
이를 개선시킬 수 있도록 상부관(220)의 외면에는 상부관(220)을 나선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체결장비(D)가 걸어지는 걸림부(240)가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관(220)에 형성된 걸림부(240)는 체결장비(D)가 끼워지는 홀(242)이 형성된 플랜지부(241)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플랜지부(241)에 형성된 홀(242)은 상부관(220)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된다. 즉, 체결장비(D)를 플랜지부(241)의 홀(242)에 끼우고 체결장비(D)에 힘을 가하여 나선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부관(220)을 쉽게 풀었다 조였다 할 수 있어 입상관(200)의 전체 길이를 늘였다 줄였다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관(220)에 형성된 걸림부(240)는 상부관(22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리브(243)가 상부관(220) 외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리브(243)에 체결장비(D)가 걸어지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체결장비(D)를 리브(243)에 걸고 체결장비(D)에 힘을 가하여 나선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부관(220)을 쉽게 풀었다 조였다 할 수 있어 입상관(200)의 전체 길이를 늘였다 줄였다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리브(243)는 상부관(22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거나 외면에 덧대어지는 형태여서 상부관(220)의 강도를 보강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토압에 의해 발생되는 입상관(110)의 변형 및 파손을 예방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관(220)에 형성된 걸림부(240)는 홀(242)이 형성된 플랜지부(241)와, 상부관(220)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리브(243) 중 어느 하나가 구비되거나 또는 둘 모두가 구비되는 형태일 수 있다.
한편, 하부관(210)의 상단부에는 수밀을 잡아주기 위한 고무링(300)이 결합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링(300)은 하부관(210)의 상단부를 감싸서 체결부(230)를 형성하는 하부관(210)의 나사선 선단에 결합된다. 즉, 고무링(300)이 하부관(210)의 체결부(230) 선단에 체결 결합됨으로써 입상관(200) 길이 조절시 상부관(220)을 풀었다 조여다하더라도 고무링(300)이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에 더하여, 고무링(300)의 외주면에는 수밀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립(310)이 구비된다. 립(310)은 고무링(30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설되어 상부관(220)과의 밀착력을 높여 수밀력을 증대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오수받이의 입상관을 하부관과 상부관으로 분리하고, 하부관과 상부관에는 상호 체결결합되는 암수 한 쌍의 체결부를 형성하여 하부관과 상부관이 체결되는 깊이에 따라 입상관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되, 상부관의 외면에 형성된 걸림부에 체결장비를 걸고 체결장비에 힘을 가하여 상부관을 나선 방향으로 용이하게 회전시킴으로써 시공현장의 협소한 공간에서도 입상관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부관에 형성된 걸림부는 상부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거나 외면에 덧대어지는 형태이여서 상부관의 강도를 보강시키며, 이로 인하여 토압에 의해 발생되는 입상관의 변형 및 파손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하부관의 상단부에 체결부위의 수밀을 잡아주기 위한 고무링이 결합되고, 고무링에는 수밀력을 증대시키는 립이 형성되어 입상관의 하부관과 상부관이 상호 체결되는 체결부위를 통해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무링은 하부관의 체결부 선단에 체결 결합됨으로써 입상관 길이 조절시 상부관을 풀었다 조여다하더라도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0: 본체 110: 유입관
120: 수용부 130: 유출관
140: 이음관 200: 입상관
210: 하부관 220: 상부관
230: 체결부 240: 걸림부
241: 플랜지부 242: 홀
243: 리브 300: 고무링
310: 립

Claims (7)

  1. 오수를 유입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으로 유입된 오수를 집수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집수된 오수를 유출시키는 유출관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지상에 설치된 맨홀뚜껑에 가깝게 상기 수용부를 연장시키는 입상관을 포함하는 오수받이에 있어서,
    상기 입상관은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하부관과 상기 하부관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관으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하부관과 상부관에는 상호 체결되는 암,수 한 쌍의 체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의 체결깊이에 따라 상기 입상관의 길이가 조절되되,
    상기 상부관의 외면에는 상단 외주면의 직경을 따라 체결장비가 끼워지는 홀이 형성된 플랜지부가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와 플랜지부의 사이에는 체결장비가 걸어지는 리브가 상기 상부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현장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플랜지부의 홀에 체결장비를 끼우고 체결장비에 힘을 가하여 상기 상부관을 나선방향으로 용이하게 회전시키거나 상기 리브에 체결장비를 걸고 체결장비에 힘을 가하여 상기 상부관을 나선방향으로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으며, 상기 상부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리브가 상기 상부관의 강도를 보강시키고 토압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입상관의 변형 및 파손을 예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하부관과 상부관의 체결부위에는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수밀을 잡아주기 위한 고무링이 결합되되,
    상기 고무링은 상기 하부관의 상단부를 감싸서 상기 하부관의 체결부 선단에 체결 결합되게 구비됨에 따라 상기 입상관의 길이조절시 상기 상부관을 풀었다 조였다 하더라도 상기 하부관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으며, 상기 고무링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되는 립이 상기 상부관과의 밀착력을 높여 수밀력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입상관은 오수받이가 매설되는 깊이에 맞춰 상기 하부관을 일정길이로 절단하여 상기 본체의 이음관에 결합하는 것으로 1차 높이를 조절하고, 상기 하부관의 체결부에 체결 결합되는 상기 상부관의 체결정도를 조절하여 2차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관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오수받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00114558A 2020-09-08 2020-09-08 입상관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오수받이 KR102256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558A KR102256343B1 (ko) 2020-09-08 2020-09-08 입상관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오수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558A KR102256343B1 (ko) 2020-09-08 2020-09-08 입상관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오수받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6343B1 true KR102256343B1 (ko) 2021-05-26

Family

ID=76137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4558A KR102256343B1 (ko) 2020-09-08 2020-09-08 입상관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오수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63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7882B1 (ko) * 2022-11-28 2023-08-17 주식회사 티지에프 오·폐수 받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3560Y1 (ko) * 2000-12-21 2001-05-15 송시원 배관파이프의 연결구
KR200275256Y1 (ko) * 2002-01-31 2002-05-16 신성균 하수관과 가지관의 연결구조
KR101130757B1 (ko) 2011-05-24 2012-03-28 (주)태성종합기술 동결방지용 우.오수받이
KR101365935B1 (ko) 2013-07-16 2014-02-24 주식회사 뉴보텍 악취 방지를 위한 오수받이
KR20140002272U (ko) * 2012-10-12 2014-04-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파이프의 플랜지 홀 정렬장치
KR102142369B1 (ko) * 2019-11-26 2020-08-07 주식회사 뉴보텍 입상관 길이조절이 가능한 오수받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3560Y1 (ko) * 2000-12-21 2001-05-15 송시원 배관파이프의 연결구
KR200275256Y1 (ko) * 2002-01-31 2002-05-16 신성균 하수관과 가지관의 연결구조
KR101130757B1 (ko) 2011-05-24 2012-03-28 (주)태성종합기술 동결방지용 우.오수받이
KR20140002272U (ko) * 2012-10-12 2014-04-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파이프의 플랜지 홀 정렬장치
KR101365935B1 (ko) 2013-07-16 2014-02-24 주식회사 뉴보텍 악취 방지를 위한 오수받이
KR102142369B1 (ko) * 2019-11-26 2020-08-07 주식회사 뉴보텍 입상관 길이조절이 가능한 오수받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7882B1 (ko) * 2022-11-28 2023-08-17 주식회사 티지에프 오·폐수 받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15721C2 (ru) Гибкий сливной сифон
JP5897339B2 (ja) 仮設トイレ用マンホールおよび仮設トイレ用配管設備
KR100892620B1 (ko) 오수받이
KR102256343B1 (ko) 입상관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오수받이
KR102142369B1 (ko) 입상관 길이조절이 가능한 오수받이
KR20100042619A (ko) 악취방지기능을 강화한 이중 배수트랩
MX2012008447A (es) Sistemas y metodos para acoplar tuberias con un mecanismo de acoplamiento angulado.
JP5483924B2 (ja) 排水管継手及びこの排水管継手を用いた排水構造
KR100880460B1 (ko) 세면욕조실 이중 배수관 배수 시스템
US8771505B2 (en) Catch basin trap and mounting system
US10745900B2 (en) Catch basin trap with flexible outlet pipe connector
JP4454412B2 (ja) 床下配管の通気構造
KR101612384B1 (ko) 처짐방지 각도조절 오수받이
US9487934B1 (en) Frost-free hydrant drainage system
JP3929597B2 (ja) ルーフドレイン用仮設排水ホースの連結装置
KR20190074056A (ko) 배수관 회전조인트
KR101168642B1 (ko) 플렉시블 배수관 및 오수받이의 조립구조체
KR200395201Y1 (ko) 악취제거용 배관 연결장치
CN212294889U (zh) 一种防渗漏潜置地漏管道结构
CN210978803U (zh) 一种具有防漏水结构便于安装的排水管的连接管
KR100955478B1 (ko) 시공이 용이한 우수 및 오수 공공물받이
CN215406341U (zh) 一种预埋型单立管同层排水管件系统
CN112064734A (zh) 一种防渗漏潜置地漏管道结构
CN219888970U (zh) 一种波纹管连接用可视套筒接头
KR20080105687A (ko) 하수도 분기관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