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2384B1 - 처짐방지 각도조절 오수받이 - Google Patents

처짐방지 각도조절 오수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2384B1
KR101612384B1 KR1020150006095A KR20150006095A KR101612384B1 KR 101612384 B1 KR101612384 B1 KR 101612384B1 KR 1020150006095 A KR1020150006095 A KR 1020150006095A KR 20150006095 A KR20150006095 A KR 20150006095A KR 101612384 B1 KR101612384 B1 KR 101612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discharge line
inlet
main body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6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종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진프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진프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진프라코
Priority to KR1020150006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23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2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2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상면에 형성되는 입상관 연결구; 상기 본체 측면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유입구; 상기 본체에 상기 유입구 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오수가 배출되는 배출구; 상기 배출구 외측으로 구성되며 끝단에 확관이 형성되는 본관과, 상기 확관 내부에서 횡방향 각도가 조절되며 내부로 오수배출라인에 연결되는 조절구를 포함하는 횡방향회동소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짐방지 각도조절 오수받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처짐방지 각도조절 오수받이{A DRAIN SEWAGE WITH FUCTION DEFLECTION PREVENTION AND ANGLE ADJUSTMENT}
본 발명은 각도조절에 의해 시공이 용이하면서 종방향 연동을 제어하여 역구배의 발생을 제어할 수 있는 오수받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수받이는 지하에 매립되어 생활하수, 빗물 및 오수 등이 유입되어 이를 일시 저장하면서 이에 포함된 슬러지 성분의 이물질을 거른 상태에서 배수관을 통해 다시 내보내는 중간 정화조 역할을 한다.
이러한 오수받이는 설치장소와 사용 목적에 따라 오수처리 용량과 크기를 결정하고 그에 적합한 각각의 규격으로 제작 및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 오수받이의 경우 악취 때문에 생활 폐수용 오수받이와 변기용 오수받이가 구분되어 사용되어 왔으나 이는 적어도 두 개의 오수받이를 별도로 구입하여 설치해야 하는 부담과 설치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또한, 여러 곳에서 입수되는 오수를 하나의 몸체를 통하여 배수되도록 하였으나, 하나의 몸체에 배수관을 여러 개 연결하기 위해서는 구조물에 따라서 배수관이 연결되는 위치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배관작업이 매우 불편한 결점이 있었다.
이에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784857호에서는 오수받이에 전방향 각도조절의 가능하도록 연결관에 볼의 내재되도록 하는 연결구조가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에 의하면 배관작업은 용이하나 지반침하 등이 발생되는 경우 오수배출라인에 연결된 연결구조가 종방향으로 변형이 발생되어 역구배가 형성되고 역류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784857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도조절이 가능하여 시공의 용의성이 도모됨과 동시에 종방향 연동을 제어함으로써 상재하중에 의한 역구배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오수받이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의한 처짐방지 각도조절 오수받이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상면에 형성되는 입상관 연결구; 상기 본체 측면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유입구; 상기 본체에 상기 유입구 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오수가 배출되는 배출구; 상기 배출구 외측으로 구성되며 끝단에 확관이 형성되는 본관과, 상기 확관 내부에서 횡방향 각도가 조절되며 내부로 오수배출라인에 연결되는 조절구를 포함하는 횡방향회동소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배출구와 대향하는 본체 측면에 동일방향으로 한쌍의 유입구가 형성되며 내부로 트랩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본관은 상기 배출구 외측으로 구성되는 직관과 상기 직관의 끝단에서 직경이 커지며 상,하 대향하는 위치에서 외측으로 개구가 형성되는 삽지홈이 형성된 확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조절구는 중공을 형성하며 외주연에 요홈형상의 제 1수밀링홈에 제 1수밀링이 장착되고 내주연에 제 2수밀링홈에 제 2수밀링이 장착되며 상,하로 상기 삽지홈에 삽지되는 축돌기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축돌기에는 상면으로 개구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확관에는 상기 삽지홈에 연통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는 고무바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직관과 상기 오수배출라인 내주연에는 부착단과 연결단으로 구성된 고무관이 구성되되, 상기 고무관은 부착단에 의해 상기 직관 끝단부에 부착되며 오수배출라인을 상기 조절구에 장착하기 전에는 상기 부착단에 상기 연결단이 겹쳐진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조절구에 상기 오수배출라인을 장착하면 상기 부착단으로부터 상기 연결단이 펼쳐지도록 하여 상기 연결단이 상기 오수배출라인의 내주연에 장착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처짐방지 각도조절 오수받이는 배관연결에 있어 각도조절이 가능하여 용이한 시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처짐방지 각도조절 오수받이는 각도조절에 있어 횡방향으로만 조절이 되도록 하여 지반처짐에 따른 역구배에 의한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오수받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오수받이 작동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횡방향회동소켓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횡방향회동소켓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횡방향회동소켓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횡방향회동소켓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을 첨부되는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처짐방지 각도조절 오수받이(1)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에 형성되는 본체(5); 상기 본체(5) 상면에 형성되는 입상관 연결구(2); 상기 본체(5) 측면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유입구(3); 상기 본체(5)에서 상기 유입구(3) 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유입구(3)로부터 유입된 오수가 배출되는 배출구(4); 상기 배출구(4) 외측으로 구성되며 끝단에 확관(112)이 형성되는 본관(110)과, 상기 확관(112) 내부에서 횡방향 각도가 조절되며 내부로 오수배출라인(l3)에 연결되는 조절구(120)를 포함하는 횡방향회동소켓(1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출구(4)에 횡방향회동소켓(100)이 구성되어 오수배출라인(l3)의 시공각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횡방향회동소켓(100)을 작동시켜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며, 횡방향회동소켓(100)은 횡방향만으로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여 종방향의 연동을 제어함으로써 지반침하 등의 경우에도 오수배출라인(l3)에 역구배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입상관이 연결되는 입상관 연결구(2)가 형성되어 있고, 측면을 따라 복수의 유입구(3)가 구성되며, 일 측면에는 상기 유입구(3)보다 낮은 위치에 배출구(4)가 형성된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상기 배출구(4)와 대향하는 본체(5) 측면에 동일방향으로 한쌍의 유입구(3)가 형성되며 내부로 트랩(31)이 장착되는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이유는 동일방향으로 각기 다른 오수가 유입되는 경우 각각의 유입구(3)에 각각 다른 오수유입라인(l1, l2)을 설치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트랩(31)은 다양한 공지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횡방향회동소켓(100)은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관(110)과 조절구(120)로 구성되어 오수배출라인(l3)과 연결되도록 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상기 본관(110)은 상기 배출구(4) 외측으로 구성되는 직관(111)과 상기 직관(111)의 끝단에서 직경이 커지며 상,하 대향하는 위치에서 외측으로 개구가 형성되는 삽지홈(113)이 형성된 확관(112)으로 구성되고, 상기 조절구(120)는 중공(121)을 형성하며 외주연에 요홈형상의 제 1수밀링홈(122)에 제 1수밀링(123)이 장착되고 내주연에 제 2수밀링홈(124)에 제 2수밀링(125)이 장착되며 상,하로 상기 삽지홈(113)에 삽지되는 축돌기(126)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관(110)에 있어 직관(111)은 상기 배출구(4) 외측에 구성되는데 체결에 의할 수도 있으나 상기 본체(5)에 상기 배출구(4)와 연통하도록 일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관(112)은 상기 직관(111) 끝단에서 직경이 커지는 형상으로 그 내주연이 곡면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렇게 상기 확관(112)을 구성하는 이유는 곡면을 형성하는 확관(112)의 내주연에 상기 조절구(120)가 장착되어 상기 조절구(120)가 상기 확관(112) 내주연에서 연동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확관(112)에는 상,하 대향하는 위치에서 외측으로 개구가 형성되는 삽지홈(113)이 형성되는 바, 상기 삽지홈(113)은 상기 조절구(120)의 축돌기(126)가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조절구(120)가 축돌기(126)를 축으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횡방향으로만 연동하도록 하는 것이며 그 외 상,하가 게재된 연동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조절구(120)는 중공(121)을 형성하여 체결시 상기 본관(110)과 상기 오수배출라인(l3)이 연통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내주연은 오수배출라인(l3)의 외주연과 접하도록 원형의 형상으로 구성되며 그 외주연은 상기 확관(112)의 내주연과 접하도록 곡면을 형성하도록 하여 상기 확관(112) 내주연에서 횡방향으로 회전연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조절구(120)에는 외주연에 요홈형상의 제 1수밀링홈(122)에 제 1수밀링(123)이 장착되도록 하여 상기 확관(112)에 상기 조절구(120)를 강제끼움방식에 의해 체결되도록 하면서 상호간 수밀성이 보장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절구(120)의 내주연에는 제 2수밀링홈(124)에 제 2수밀링(125)이 장착되도록 하여 상기 조절구(120) 내주연으로 상기 오수배출라인(l3)을 강제끼움방식에 의해 체결되도록 하면서 상호간 수밀성이 보장되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조절구(120)에는 상,하로 상기 삽지홈(113)에 삽지되는 축돌기(126)가 구성되도록 하여 상기 확관(112)에서 상기 조절구(120)가 상기 축돌기(126)를 축으로 횡방향 회전연동만 가능하도록 한다. 즉 조절구(120)의 축돌기(126)가 상기 확관(112)의 삽지홈(113)에 삽지되도록 하여 축돌기(126)를 축으로 하는 연동만이 가능케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삽지홈(113)의 형태가 일측이 개구된 형상으로 상기 축돌기(126)가 상기 삽지홈(113)의 개구로 삽입되어 상기 삽지홈(113)에 삽지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데 경우에 따라 상재하중, 지진 등에 의한 진동하중 등에 의해 축돌기(126)가 용이하게 삽지홈(113)에서 이탈되어 본관(110)으로부터 오수유출라인(l3)이 조절구(120)에 장착된 상태로 이탈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이를 제어하기 위한 실시 예를 도 5에서 제시하고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축돌기(126)에는 상면으로 개구되는 수용홈(126-1)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확관(112)에는 상기 삽지홈(113)에 연통하도록 관통공(114)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관통공(114)을 통해 상기 수용홈(126-1)에 삽입되는 고무바(130)가 구성되도록 하는 예를 제시하고 있다.
즉 상기 확관(112)에 상기 조절구(120)가 체결됨에 있어 상기 확관(112)의 삽지홈(113)에 상기 조절구(120)의 축돌기(126)가 삽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확관(112)에 형성된 관통공(114)을 통해 고무바(130)가 상기 축돌기(126)의 수용홈(126-1)에 삽입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고무바(130)는 장착시 상기 수용홈(126-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단이 상기 관통공(114) 외부로 노출이 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와 같이 고무바(130)에 의해 삽지홈(113)에서의 축돌기(126)를 확관(112)에 고정시키도록 하여 시공후 발생되는 예상치 못한 상재하중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변형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며 고무재질을 이용함으로써 어느 정도의 진동에너지는 상기 고무바(130)가 흡수하도록 하여 반복하중에 의한 피로에 의해 파쇄 등에 의한 상,하 방향으로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본관(110)과 오수배출라인(l3)의 연속성이 보장되도록 하여 확관(12)과 조절구(120) 사이의 간극 등에 이물질이 침적되어 작동을 방해하거나 세균의 번식으로 2차오염을 유발할 수 있는 점을 제어할 수 있는 실시 예를 도 6a 및 도 6b에서 제시하고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본관(110)에 있어 직관(111) 내주연 끝단부에 부착된 고무관(140)이 상기 조절구(120)에 장착된 오수배출라인(l3)의 내주연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본관(110)에서 배출되는 오수가 상기 오수배출라인(l3)으로 유속의 저하없이 이물질을 침적시키지 않으며 유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직관(111)과 상기 오수배출라인(l3) 내주연에는 부착단(141)과 연결단(142)으로 구성된 고무관(140)이 구성되되, 상기 고무관(140)은 부착단(141)에 의해 상기 직관(111) 끝단부에 부착되며 오수배출라인(l3)을 상기 조절구(120)에 장착하기 전에는 도 6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부착단(141)에 상기 연결단(142)이 겹쳐진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조절구(120)에 상기 오수배출라인(l3)을 장착하면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부착단(141)으로부터 상기 연결단(142)이 펼쳐지도록 하여 상기 연결단(142)이 상기 오수배출라인(l3)의 내주연에 장착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조절구(120)에 상기 오수배출라인(l3)을 장착한 후에는 인위적으로 배출구(4)를 통해 상기 부착단(141)으로부터 상기 연결단(142)이 펼쳐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연결단(142)이 상기 오수배출라인(l3)의 내주연에 장착이 되도록 하여 체결완료후에는 본관(110)과 오수배출라인(l3)이 어떠한 침적포인트, 유속저하포인트 없이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고무관(140)은 연성이 강한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횡방향회동소켓(100)에서 오수배출라인(l3)이 횡방향으로 다양한 각도변경에도 이를 보완할 수 있도록 하며, 이와 같이 고무관(140)이 내재되도록 함에 따라 시공후 예기치 않은 상재하중에 의해 상기 횡방향회동소켓(100)에서 오수배출라인(l3)이 이탈하더라도 어느 정도범위까지 본관(110)과 오수배출라인(l3)이 연결되도록 하여 오수의 토양침투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 : 오수받이 2 : 입상관 연결구
3 : 유입구 4 : 배출구
5 : 본체 100 : 횡방향회동소켓

Claims (5)

  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상면에 형성되는 입상관 연결구; 상기 본체 측면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유입구; 상기 본체에 상기 유입구 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오수가 배출되는 배출구; 상기 배출구 외측으로 구성되며 끝단에 확관이 형성되는 본관과, 상기 확관 내부에서 횡방향 각도가 조절되며 내부로 오수배출라인에 연결되는 조절구를 포함하는 횡방향회동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본관은 상기 배출구 외측으로 구성되는 직관과 상기 직관의 끝단에서 직경이 커지며 상,하 대향하는 위치에서 외측으로 개구가 형성되는 반원형태의 삽지홈이 형성된 확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조절구는 중공을 형성하며 외주연에 요홈형상의 제 1수밀링홈에 제 1수밀링이 장착되고 내주연에 제 2수밀링홈에 제 2수밀링이 장착되며 상,하로 상기 삽지홈에 삽지되는 축돌기가 구성되고,
    상기 축돌기에는 상면으로 개구되는 원형의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확관에는 상기 삽지홈에 연통하도록 원형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고무바가 그 상단이 상기 관통공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삽지홈과 축돌기가 상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호 회동 가능하며, 고무재질로 마련하여 시공 후 발생되는 상재하중 또는 지진에 의한 진동에너지가 상기 고무바에 흡수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배출구와 대향하는 본체 측면에 동일방향으로 한쌍의 유입구가 형성되며 내부로 트랩이 장착되고,
    상기 직관과 상기 오수배출라인 내주연에는 부착단과 연결단으로 구성된 고무관이 구성되되, 상기 고무관은 부착단에 의해 상기 직관 끝단부에 부착되며 오수배출라인을 상기 조절구에 장착하기 전에는 상기 부착단에 상기 연결단이 겹쳐진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조절구에 상기 오수배출라인을 장착하면 상기 부착단으로부터 상기 연결단이 펼쳐지도록 하여 상기 연결단이 상기 오수배출라인의 내주연에 장착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짐방지 각도조절 오수받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006095A 2015-01-13 2015-01-13 처짐방지 각도조절 오수받이 KR101612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6095A KR101612384B1 (ko) 2015-01-13 2015-01-13 처짐방지 각도조절 오수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6095A KR101612384B1 (ko) 2015-01-13 2015-01-13 처짐방지 각도조절 오수받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2384B1 true KR101612384B1 (ko) 2016-04-15

Family

ID=55801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6095A KR101612384B1 (ko) 2015-01-13 2015-01-13 처짐방지 각도조절 오수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23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54314A (zh) * 2020-12-09 2021-03-26 常州信息职业技术学院 一种截流井用自动回转装置
CN114622509A (zh) * 2022-03-25 2022-06-14 广东美房智高机器人有限公司 一种胶皮、吸水扒装置及清洁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9182A (ja) * 2002-05-14 2003-11-19 Mitsubishi Plastics Ind Ltd 自在管継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9182A (ja) * 2002-05-14 2003-11-19 Mitsubishi Plastics Ind Ltd 自在管継手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54314A (zh) * 2020-12-09 2021-03-26 常州信息职业技术学院 一种截流井用自动回转装置
CN114622509A (zh) * 2022-03-25 2022-06-14 广东美房智高机器人有限公司 一种胶皮、吸水扒装置及清洁设备
CN114622509B (zh) * 2022-03-25 2024-04-05 广东美房智高机器人有限公司 一种胶皮、吸水扒装置及清洁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72715A (en) Siphonage floor drain and port protector
US4067072A (en) Plastic drain assembly
JP5897339B2 (ja) 仮設トイレ用マンホールおよび仮設トイレ用配管設備
KR101612384B1 (ko) 처짐방지 각도조절 오수받이
US20080017250A1 (en) Wastewater diverting system
DK2295655T3 (en) Shaft, in particular, control and purification shaft for wastewater with a flow channel and a plate for the flow channel
CN207405707U (zh) 一种预埋式排水管件
KR100634186B1 (ko) 도로 배수구 집수맨홀
JP2016079661A (ja) 汚水桝の逆流防止装置
KR20110014441A (ko) 싱크대 배수유닛
KR101562940B1 (ko) 유속을 빠르게 하는 유선형 트랩을 갖는 오수받이
KR100751756B1 (ko) 공동주택의 경사지에 설치되는 하수관의 하수속도저감장치
US20150376873A1 (en) Water diverter fitting.
KR200415865Y1 (ko) 배수용 취수구
KR101511683B1 (ko) 욕실용 통합 배수트랩
JP4157643B2 (ja) 不凍水栓柱
JP4192204B2 (ja) 排水桝
KR200322595Y1 (ko) 우오수받이의 유입/출구 위치조정장치
KR200282353Y1 (ko) 배수트랩
KR100356546B1 (ko) 배수관 연결장치
JP2019112787A (ja) 排水桝および排水構造
CN208023659U (zh) 多通道存水弯
KR200405377Y1 (ko) 맨홀
KR200417557Y1 (ko) 맨홀 배수받이
KR200395244Y1 (ko) 오수받이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