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2353Y1 - 배수트랩 - Google Patents

배수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2353Y1
KR200282353Y1 KR2020020011743U KR20020011743U KR200282353Y1 KR 200282353 Y1 KR200282353 Y1 KR 200282353Y1 KR 2020020011743 U KR2020020011743 U KR 2020020011743U KR 20020011743 U KR20020011743 U KR 20020011743U KR 200282353 Y1 KR200282353 Y1 KR 2002823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outlet
nut member
drain
intermediat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17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충삼
Original Assignee
장충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충삼 filed Critical 장충삼
Priority to KR20200200117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23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23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23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4Wash-basins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Abstract

본 고안은 하수의 신속한 배수, 악취의 역류방지 및 소제가 용이하고, 하수와 함께 배출되는 이물질이 중간에 걸리지 않고 완전히 배수되며, 간단한 구조로 제작이 용이한 한편, 배수밸브에 대하여 배출구가 수평및 수직방향으로 회전가능한 구조를 갖추어 화장실의 바닥 또는 측벽등의 하수구에 연결이 용이하도록 개선된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단부가 배수밸브 또는 배수관에 회전자재 하도록 연결되고, 내부에는 중공유로를 형성하며, 하부측으로 향하여 유도관이 형성된 상부몸체; 상기 상부 몸체의 하측으로 결합되고, 내측에는 상기 유도관의 하단이 끼워지고, 이를 감싸 배치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유도관의 하단보다 높은 출구가 측방으로 형성되어 악취 역류차단 유로를 형성하도록 된 중간몸체; 및 상기 중간몸체의 출구에 일측단이 회전자재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중간몸체의 유로에 연통되는 중공유로를 내부에 형성하며, 중간부분에는 절곡부를 형성하고, 타측단에는 플렉시블 파이프가 연결되는 하부 몸체;를 포함하는 배수트랩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배수트랩{DRAIN WATER TRAP}
본 고안은 세면기등에 사용되는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하수의 신속한 배수, 악취의 역류방지 및 소제가 용이하고, 하수와 함께 배출되는 이물질이 중간에 걸리지 않고 완전히 배수되며, 간단한 구조로 제작이 용이한 한편, 배수밸브에 대하여 배출구가 수평및 수직방향으로 회전가능한 구조를 갖추어 화장실의 바닥 또는 측벽등의 하수구에 연결이 용이하도록 개선된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세면기용 배수트랩으로서는 S형과 P형이 있다. 이러한 세면기용 배수트랩은 세면기 설치전 하수구 공사때, 세면기 배수트랩의 배출구와 화장실의 하수구의 위치가 맞지 않을 경우, 그 S형 및 P형의 구조로 인하여 배관작업을 하기가 매우 곤란하여 정확한 배관작업을 이룰 수가 없는 시공상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
그리고, 설치반경이 크고 화장실의 하수구에 정확하게 출구가 맞지 않아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며 시공성이 매우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고안자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도 7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2001.7.10자의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1-20790호로 '배수 트랩'을 출원하였고, 이는 실용신안등록 제 257147호로 등록되어 상기와 같은 대부분의 종래의 문제점이 해소되었다.
즉,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 257147호의 배수트랩(102)은 세면기(100)의 하부측에 장착된 배수밸브(105) 또는 배수관에 상단부가 연결되고, 내부에는 중공유로(112)를 형성하며, 하부측으로 향하여 유도관(114)이 형성된 상부몸체(110)를 갖추고, 상기 상부 몸체(110)의 하측으로 결합되고, 내측에는 상기 유도관(114)의 하단이 끼워지며 이를 감싸 배치되는 공간(121)이 형성되고 상기 유도관(114)의 하단(114a)보다 높은 출구(123)가 형성되어 악취 역류차단 유로를 형성하도록 된 중간몸체(120)를 갖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중간몸체(120)는 상단 내주면이 상부몸체(110)의 외주면 하단부(110a)에 끼워지고, 중간몸체(120) 상단부의 일측으로 부터 고정나사(125)가 관통하여 상부몸체(110)의 고리형 홈(118)측으로 연장됨으로서 고정나사(125)가 고리형 홈(118)내측에서 상부몸체(110)의 원주방향으로 이동가능하여 상부몸체(110)에 대하여 중간몸체(12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지며, 상기 중간몸체(120)의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중간몸체(120)의 유로에 연통되는 중공유로(142)를 내부에 형성하며, 하단에는 플렉시블 파이프(160)가 연결되는 하부 몸체(140)를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배수 트랩(10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밸브(105)에 대해서 수평, 횡방향으로만의 회전변위가 허용됨으로써 바닥에 위치된 하수구에 대해서는 다소의 자유도를 갖고서 연결가능하지만, 하수구가 벽체에 위치된 경우에는 플렉시블 파이프(160)를 휘어야 하는 등 설치에 곤란함을 갖는 것이었다.
즉, 일단 배수밸브(105)에 설치되면 그 수직방향으로 위치를 변경시키기란 쉽지 않음으로서, 화장실의 벽체등에 위치된 하수구에 일치하여 그 하측 출구에 연결된 플렉시블 파이프(160)를 위치시키기란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니었다. 따라서, 하수구와의 연결작업의 시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배출수의 신속한 배수를 이루며, 악취의 역류방지 및 소제가 용이하고, 배출되는 이물질이 중간에 걸리지 않고 완전히 배수될 수 있는 배수트랩을 제공하되, 배수밸브에 대하여 수평및 수직방향으로 회전자재한 구조를 갖추어 화장실의 하수구 위치에 무관하게 연결작업이 매우 용이하여 시공성을 크게 향상시키도록 개선된 배수트랩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을 도시한 분해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에서 물 배출상태를 도시한 일부 절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의 상세도로서,
도 a)는 횡방향 회전이 이루어지는 수평회전부의 상세 단면도,
도 b)는 종방향 회전이 이루어지는 수직회전부의 상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의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이 세면대 또는 씽크대에 적용된 구조를 도시한 구 성도로서,
a)도는 배수관이 바닥으로 관통된 상태도,
b)도는 배수관이 측벽으로 관통된 상태도;
도 7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배수트랩에서 물 배출상태를 도시한 일부 절개 단면도;
도 8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배수트랩에서 중간몸통이 회전되는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배수트랩 10..... 상부 몸체
13.... 중공형 유로 15..... 유도관
18.... 밀봉링 20..... 중간 몸체
21.... 공간 23..... 출구
23a... 수직 격벽 28..... 숫나사부
40.... 하부 몸체 50..... 고정볼트
60.... 플렉시블 파이프 61..... 직관 파이프
100... 세면기 105.... 배수밸브
105a.. 파이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세면기등에 사용되는 배수트랩에 있어서, 상단부가 배수밸브 또는 배수관에 회전자재 하도록 연결되고, 내부에는 중공유로를 형성하며, 하부측으로 향하여 유도관이 형성된 상부몸체; 상기 상부 몸체의 하측으로 결합되고, 내측에는 상기 유도관의 하단이 끼워지고, 이를 감싸 배치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유도관의 하단보다 높은 출구가 측방으로 형성되어 악취 역류차단 유로를 형성하도록 된 중간몸체; 및 상기 중간몸체의 출구에 일측단이 회전자재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중간몸체의 유로에 연통되는 중공유로를 내부에 형성하며, 중간부분에는 절곡부를 형성하고, 타측단에는 플렉시블 파이프가 연결되는 하부 몸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을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1)은 도 1내지 도 4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가 배수관 또는 배수밸브(105)의 파이프(105a)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상부몸체(10)를 갖추고, 상기 상부몸체(10)에 차례로 연결되는 중간몸체(20)와 하부몸체(40)를 갖는다.
상기 상부몸체(10)는 배수관, 또는 세면기(100)의 배수밸브(105)의 하단 파이프(105a)등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기 위하여, 그 상단에는 상기 파이프(105a)등이 내측으로 삽입되는 내경을 갖는 숫나사부(12a)가 형성되며, 상기 숫나사부(12a)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12b)를 구비한 너트부재(12)가 밀봉링(14)과 함께 구비된다.
이러한 상부몸체(1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너트부재(12)와밀봉링(14)이 상기 파이프(105a)에 끼워진 상태에서 숫나사부(12a)의 내경으로 상기 파이프(105)가 끼워지고, 너트부재(12)의 암나사부(12b)에 숫나사부(12a)가 나사결합하도록 너트부재(12)를 조이면, 상기 너트부재(12)와 숫나사부(12a)의 상단사이에 끼워진 밀봉링(14)이 압착되면서 파이프(105a)의 외주면과 너트부재(12)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너트부재(12)와 이에 나사결합된 상부몸체(10)가 파이프(105a)에 고정되도록 한다.
만일, 상기 파이프(105a)에 대해서 상부몸체(10)의 장착각도를 회전시키고자 한다면, 너트부재(12)를 임시로 풀고서 상부몸체(10)의 위치를 조정한 다음, 다시 조이면 상부몸체(10)의 장착각도를 쉽게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상부몸체(10)는 그 내부에 중공유로(13)를 형성하며, 상기 중공유로(13)를 형성하기 위한 작은 직경의 원통형 유도관(15)이 내부 하측에 일체로 끼워진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상부몸체(10)는 이후에 설명될 중간 몸체(20)와의 연결부분이 유도관(15)의 외측으로 직경이 확대되어 그 단부에 나사부(16)와 밀봉링(18)을 장착하고, 상기 유도관(15)의 최하단(15a)은 상부몸체(10)의 외주연 하단(10a)보다 하부측으로 길게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몸체(10)의 하단에 결합되는 중간몸체(20)는, 그 상단부(20a)가 상부 몸체(10)의 하단 나사부(16)에 연결되고, 그 내측에는 상기 유도관(15)의 하단부(15a)를 감싸 배치되는 공간(21)이 내장 형성되며, 상기 공간(21)의 일측으로는, 수직격벽(23a)상에 출구(23)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몸체(10)의 유도관(15)의 중공형 유로(13)로부터, 상기 공간(21)및 출구(23)로 이어지는 악취 역류차단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부몸체(10)와 중간 몸체(20)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출구(23)의 하부모서리 높이는 유도관(15)의 하단부(15a)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간몸체(20)는 상단 내주면이 상기 상부몸체(10)에 결합되기 위하여 나사부(20b)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부몸체(10)의 하단(10a)과의 사이에서 밀봉링(18)을 개재시켜 밀봉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중간몸체(20)는 상부몸체(10)와의 결합시 유도관(15)의 하단(14a)이 중간몸체의 공간(21) 하부측에 인접하도록 삽입되기 때문에, 그리고, 상기 공간(21)의 중간 상부측으로 출구(23)가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공간(21)내에 물이 담겨지는 경우, 상기 공간(21)의 물 내부로 유도관(15)의 하단이 잠기게 되며, 이러한 유로 구조는 배수밸브(105)측으로 하수구의 악취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기능을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공간(21)을 형성하는 중간 몸체(20)는 공간(21)의 하단부분(21a)이 반원형의 둥근 구조를 갖추어 유도관(15)으로 부터 낙하된 하수가 공간(21)의 하단부분(21a)을 이루는 중간몸체(20)에 도달되는 경우, 쉽게 그 흐름방향이 상향류로 반전되어 출구(23)측으로 유도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중간몸체(20)는 수직격벽(23a)의 상부측에 형성된 출구(23)를 통하여 상기 공간(21)에 연통되는 중공유로(27)를 형성하고, 그 출구의 끝단 외주면에는 이후에 설명될 하부몸체(40)와의 결합을 위하여 숫나사부(28)를 형성하고 있다.
한편, 상기 중간몸체(20)의 출구(23)에 상단이 나사결합되고, 하단에는 플렉시블 파이프(60)가 연결되는 하부몸체(40)는 상기 중간몸체(20)의 유로(27)에 연통되는 중공유로(42)를 내부에 형성하고 있다.
상기 하부몸체(40)는 ㄱ형의 단면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그 상단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몸체(20)의 출구(23)에 끼워질 수 있는 직경을 갖추고, 그 외면에는 밀봉링(45)이 위치되는 둥근홈(47)을 형성하며, 상기 출구(23)의 숫나사부(28)에 나사결합하는 너트부재(49)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너트부재(49)는 중간몸체(20)의 출구(23)에 마련된 숫나사부(28)에 나사결합되어 그 사이의 밀봉링(45)을 조이면, 상기 밀봉링(45)이 압착되어 중간몸체(20)의 출구(23)와 하부몸체(40)의 상단과의 연결부를 조이게 됨으로써 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너트부재(49)를 이용하여 상기 중간몸체(20)에 대해서 하부몸체(40)의 장착각도를 회전시키고자 한다면, 너트부재(49)를 임시로 풀고서 하부몸체(40)의 위치를 조정한 다음, 다시 조이면 중간몸체(20)에 대한 하부몸체(40)의 장착각도를 쉽게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몸체(40)는 그 하단부에 플렉시블 파이프(60)와의 결합을 위하여 고리형의 직경확대 홈(53)이 형성되고, 상기 고리형 홈(53)의 내측으로 플렉시블 파이프(60)의 상단이 끼워진 다음, 하부몸체(40)의 측방을 관통하는 복수의 볼트(55)등에 의해서 고정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하부몸체(40)에는 플렉시블 파이프(60)대신에 직관 파이프(61)등이 장착되어질 수 있음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배수 트랩(1)은 상부몸체(10)가 배수밸브(105)의 파이프(105a) 또는 배수관에 장착되는 경우, 배수되는 물이 상부몸체(10)의 유도관(15)을 통하여 상기 중간 몸체(20)의 공간(21)으로 흐르고, 이는 중간몸체(20) 내측의 수직격벽(23a)과 그 상부측의 출구(23)를 통하여 중공 유로(27)로 흐르며, ㄱ형 단면의 하부몸체(40)를 통하여 플렉시블 파이프(60)측으로 배수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상부몸체(10)의 유도관(15)을 통하여 낙하된 물은 일단 중간 몸체(20)의 공간(21) 하단을 구성하는 둥근 반원형의 바닥부분(21a)에 부딧친 다음, 그 반력으로 유도관(15)과 중간몸체(20)의 내주면사이의 유로를 통하여, 출구(23)로 흐르는 것이다. 이와 같이 물이 배수되는 과정에서 머리카락등과 같은 이물질은 아무런 장해물없이 유로를 따라서 출구(23)로 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유로의 막힘이 근본적으로 차단됨으로서 사용자가 본 고안의 배수트랩(1)을 분해하여 내부를 청소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부몸체(10)가 상기 배수밸브(105)의 파이프(105a) 또는 배수관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구조를 갖추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자유로이 위치이동이 가능하다. 이는 화장실의 하수구 위치가 바닥면에 위치된 경우, 연결작업이 매우 용이하여 시공성을 크게 향상시키게 된다.
즉, 화장실의 바닥 하수구에 인접하도록 상기 상부몸체(10)를 회전시켜 놓고, 상기 중간몸체(20)와 동축으로 하부몸체(40)를 위치시킨 다음 플렉시블 파이프(60)의 연결작업을 하게 되면, 작업이 용이하게 되어질 뿐만 아니라, 소요되는 플렉시블 파이프(60)의 길이도 축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의 배수 트랩(1)은 이와 같이 바닥 하수구와의 연결공간의 확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벽체측에 형성된 하수구와의 연결이 매우 용이하다. 이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몸체(20)에 대해 하부몸체(40)를 회전시켜 하부몸체(40)의 출구(23)에 연결된 플렉시블 파이프(60)가 벽체의 하수구측으로 향하도록 위치조정하면, 종래에 비하여 그 시공이 매우 간편하게 된다.
이러한 수직방향의 각도조정은 중간몸체(20)와 하부 몸체(40)를 연결하는 너트부재(49)를 풀고, 조이는 동작으로 실시하면 쉽게 이루어지므로 현장시공이 매우 간편하게 된다.
즉, 본 고안에 의하면, 상부몸체(10)가 상기 배수밸브(105)의 파이프(105a) 또는 배수관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구조를 갖추고, 이에 더하여 중간몸체(20)에 대해 하부몸체(40)가 회전가능한 구조를 갖추기 때문에 하수구가 바닥에 위치하던지, 또는 벽체에 위치하던지와는 무관하게 플렉시블 파이프(60)의 위치를 조절하여 시공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부몸체(10),중간몸체(20)및, 하부몸체(40)의 3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지고, 각각 너트부재(12)(49)와 밀봉링(14)(45)등을 이용하여 결합되어짐으로써 설치작업과 해체작업이 모두 간편하다.
그리고, 배수 트랩(1)을 빠져나가는 물은 신속하게 배출되며, 유도관(15)과 공간(21)및 출구(23)의 상호 작용으로 공간(21)내에 물이 담기어 유도관(15)의 하단이 잠기게 되면, 하수구으로 부터 하부몸체(40)의 유로(42)와 출구(23)를 통하여 역류하는 악취를 막을 수 있어 사용상 매우 편리하다.
또한, 하수가 배출되는 유로상에 아무런 장해물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하수에 포함되어 배출되는 머리카락등의 이물질이 중간에 걸리지 않고 완전히 배수되며, 3개의 부품들이 각각 사출성형이 가능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저가의 제조비용으로 완제품을 신속하게 대량 생산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하부몸체(40)에 볼트(55)를 통하여 플렉시블 파이프(60)가 연결된 구조를 설명하였지만, 상기와는 다르게 오-링(미도시)과 키(미도시)및 조임 캡(미도시)등을 이용하여 플렉시블 파이프(60)를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변형구조는 모두 본 고안에 포함될 수 있음을 당업자들은 쉽게 알수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부몸체(10)의 유도관(15)을 통하여 낙하된 물은 일단 중간 몸체(20)의 공간(21) 하단을 구성하는 둥근 반원형의 바닥부분(21a)에 부딧친 다음, 그 반력으로 유도관(15)과 중간몸체(20)의 내주면사이의 유로를 통하여, 출구(23)로 흐르는 짧은 유로길이를 갖추기 때문에, 배출수의 신속한 배수를 이루며, 악취의 역류방지 및 소제가 용이하고, 배출되는 이물질이 중간에 걸리지 않고 완전히 배수될 수 있는 배수트랩을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배수밸브(105)에 대하여 수평및 수직방향으로 회전자재한 구조를 갖추어 화장실의 하수구 위치가 바닥에 있던지 또는 벽체에 있던지와는 무관하게 연결작업이 매우 용이하여 시공성을 크게 향상시키도록 개선된다.
또한, 세면기(100)의 설치전, 하수구 공사때 세면기 배수트랩(1)의 배출구와 하수구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플렉시블 파이프 또는 직관 파이프를 수평및 수직으로 회전시켜 이들을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으므로서 원활한 배관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 것이다.

Claims (5)

  1. 세면기등에 사용되는 배수트랩에 있어서,
    상단부가 배수밸브(105)의 파이프(105a) 또는 배수관에 회전자재 하도록 연결되고, 내부에는 중공유로(13)를 형성하며, 하부측으로 향하여 유도관(15)이 형성된 상부몸체(10);
    상기 상부 몸체(10)의 하측으로 결합되고, 내측에는 상기 유도관(15)의 하단이 끼워지고, 이를 감싸 배치되는 공간(21)이 형성되며, 상기 유도관(15)의 하단보다 높은 출구(23)가 측방으로 형성되어 악취 역류차단 유로를 형성하도록 된 중간몸체(20); 및
    상기 중간몸체(20)의 출구(23)에 일측단이 회전자재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중간몸체(20)의 유로(27)에 연통되는 중공유로(42)를 내부에 형성하며, 중간부분에는 절곡부를 형성하고, 타측단에는 플렉시블 파이프(60)가 연결되는 하부 몸체(4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10)는 배수관, 또는 세면기(100)의 배수밸브(105)의 하단 파이프(105a)등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기 위하여, 그 상단에는 상기 파이프(105a)등이 내측으로 삽입되는 내경을 갖는 숫나사부(12a)가 형성되며,
    상기 숫나사부(12a)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12b)를 구비한 너트부재(12)가 밀봉링(14)과 함께 구비되어, 상부몸체(10)는 상기 너트부재(12)와 밀봉링(14)이 상기파이프(105a)에 끼워진 상태에서 숫나사부(12a)의 내경으로 상기 파이프(105)가 끼워지고,
    상기 너트부재(12)의 암나사부(12b)에 숫나사부(12a)가 나사결합하도록 너트부재(12)를 조이면, 상기 너트부재(12)와 숫나사부(12a)의 상단사이에 끼워진 밀봉링(14)이 압착되면서 파이프(105a)의 외주면과 너트부재(12)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너트부재(12)와 이에 나사결합된 상부몸체(10)가 파이프(105a)에 고정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몸체(20)는 상단 내주면이 상기 상부몸체(10)에 결합되기 위하여 나사부(20b)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부몸체(10)의 하단(10a)과의 사이에서 밀봉링(18)을 개재시켜 밀봉을 이루며, 그 내측에는 상기 유도관(15)의 하단부(15a)를 감싸 배치되는 공간(21)이 내장 형성되며, 상기 공간(21)의 일측으로는, 수직격벽(23a)상에 출구(23)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몸체(10)의 유도관(15)의 중공형 유로(13)로부터 상기 공간(21)및 출구(23)로 이어지는 악취 역류차단 유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출구(23)의 하부모서리 높이는 유도관(15)의 하단부(15a)보다 높게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40)는 그 상단이 상기 중간몸체(20)의 출구(23)에 끼워질 수 있는 직경을 갖추고, 그 외면에는 밀봉링(45)이 위치되는 둥근홈(47)을 형성하며, 상기 출구(23)의 숫나사부(28)에 나사결합하는 너트부재(49)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너트부재(49)가 중간몸체(20)의 출구(23)에 마련된 숫나사부(28)에 나사결합되어 그 사이의 밀봉링(45)을 조이면, 상기 밀봉링(45)이 압착되어 중간몸체(20)의 출구(23)와 하부몸체(40)의 상단과의 연결부를 조이게 됨으로써 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으며, 상기 너트부재(49)를 이용하여 상기 중간몸체(20)에 대해서 하부몸체(40)의 장착각도를 회전시키고자 한다면, 너트부재(49)를 임시로 풀고서 하부몸체(40)의 위치를 조정한 다음, 다시 조이면 중간몸체(20)에 대한 하부몸체(40)의 장착각도를 쉽게 변경시킬 수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40)에는 직관 파이프(61)가 장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KR2020020011743U 2002-04-18 2002-04-18 배수트랩 KR2002823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743U KR200282353Y1 (ko) 2002-04-18 2002-04-18 배수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743U KR200282353Y1 (ko) 2002-04-18 2002-04-18 배수트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2353Y1 true KR200282353Y1 (ko) 2002-07-22

Family

ID=73121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1743U KR200282353Y1 (ko) 2002-04-18 2002-04-18 배수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235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167B1 (ko) * 2010-04-16 2010-12-03 윤근수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배수트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167B1 (ko) * 2010-04-16 2010-12-03 윤근수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배수트랩
WO2011129670A2 (ko) * 2010-04-16 2011-10-20 Yun Keun Soo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배수트랩
WO2011129670A3 (ko) * 2010-04-16 2012-03-22 Yun Keun Soo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배수트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82824B2 (en) Tub drain and overflow assembly
US6588803B2 (en) Extendible p-trap dishwasher waste port
CA2924092A1 (en)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a discharge pipe to a discharge opening
KR200282353Y1 (ko) 배수트랩
JP6019282B2 (ja) 排水装置の取り付け構造
US11732458B2 (en) Water trap having a rotary valve
EP1076135B1 (en) Cascade bath spout apparatus
KR200395112Y1 (ko) 세면대용 트랩 구조
KR101612384B1 (ko) 처짐방지 각도조절 오수받이
JP4399522B2 (ja) オーバーフロー装置
KR200257147Y1 (ko) 배수트랩
KR200226282Y1 (ko) 조립식 욕실용 보조 배수트랩
KR200348050Y1 (ko) 세면기용 트랩 배수관
KR200465364Y1 (ko) 배수관용 배수 트랩의 조립체
US20150376873A1 (en) Water diverter fitting.
KR200341855Y1 (ko) 배수관 가변 조립체
JP3569317B2 (ja) トラップ付き排水装置
KR200241060Y1 (ko) 세면기용 배수밸브
KR200262328Y1 (ko) 욕조용 배수트랩
KR200289237Y1 (ko) 배수트랩과 배수밸브 사이의 중간 연결구
KR101763828B1 (ko) 세면대 수전용 분배장치
KR100356546B1 (ko) 배수관 연결장치
US4323270A (en) Pipe fitting device for plumbing systems
KR200313969Y1 (ko) 세면기용 트랩
KR200305387Y1 (ko) 배수용 트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