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1060Y1 - 세면기용 배수밸브 - Google Patents

세면기용 배수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1060Y1
KR200241060Y1 KR2020010010785U KR20010010785U KR200241060Y1 KR 200241060 Y1 KR200241060 Y1 KR 200241060Y1 KR 2020010010785 U KR2020010010785 U KR 2020010010785U KR 20010010785 U KR20010010785 U KR 20010010785U KR 200241060 Y1 KR200241060 Y1 KR 2002410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discharge pipe
drain valve
filter
wash ba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07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충삼
Original Assignee
장충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충삼 filed Critical 장충삼
Priority to KR20200100107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10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10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1060Y1/ko

Links

Landscapes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실의 세면기등에 사용되는 배수밸브에 관한 것으로, 배출수의 신속한 배수, 악취의 역류방지 및 소제가 용이하고 간단한 구조로 장,탈착이 용이하며, 시공상 편리함이 크게 개선된 배수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세면기의 배수구에 장착되는 배출관을 갖추고, 상기 배출관의 내부에서 조작레버에 의하여 상하이동 가능한 밸브 봉을 구비하여 상기 배출관을 개폐시킴으로서 세면기의 물 배수를 선택적으로 이루도록 된 배수밸브에서, 상기 배출관의 하단에는 상기 배출관과 동축을 이루는 직선형의 수봉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봉부의 하단에는 플렉시블 파이프 또는 플렉시블 호스가 결합되어 하수구에 연결되어지는 세면기용 배수밸브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세면기 설치전 하수구 공사때 세면기 수봉부의 하단부와 하수구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플렉시블 파이프를 이용하여 이들을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음으로서 원활한 배관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작업시간을 크게 단축하고 작업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는 것이다.

Description

세면기용 배수밸브{WATER DRAIN VALVE FOR A WASHBASIN}
본 고안은 화장실의 세면기등에 사용되는 배수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배출수의 신속한 배수, 악취의 역류방지 및 소제가 용이하고 간단한 구조로 장,탈착이 용이하며, 시공상 편리함이 크게 개선된 배수밸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세면기용 배수밸브는 세면기의 배수구에 장착된 상태에서 그 하부측으로 S형 또는 P형의 배수 트랩이 복수의 너트를 사용하여 체결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세면기용 배수 밸브(20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면기(205)의 배수구(205a)로 끼워지는 관 형태의 T형 배출관(210)을 갖추고, 상기 배출관(210)의 상부측 나사부(212)에는 각각 상부 너트(214)와 하부 너트(216)가 패킹(218a)(218b)들을 통하여 나사 결합된다. 이들 상,하부 너트(218a)(218b)들은 이와 같은 종래의 배수밸브(200)가 세면기(205)의 배수구(205a)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것으로서, 배출관(210)을 배수구(205a)에 끼운 상태에서 상부너트(214)와 하부너트(216)를 이용하여 그 사이의 세면기(205)를 조이게 되면 배수 밸브(200)의 장착이 이루어진다. 물론 이러한 경우 배수 밸브(200)와 배수구(205a)의 사이에서는 패킹(218a)(218b)들로 인하여 누수현상이 없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T형 배출관(210)의 내측으로는 상하로 이동가능한 밸브봉(230)이 끼워지며, 밸브 봉(230)의 하단은 T형 배출관(210)의 중간 연결구(232) 부근에서 조작레버(235)의 단부가 끼워 결합되며, 상기 조작레버(235)의 상하 조작으로 상기 밸브봉(230)이 T형 배출관(210)의 길이방향으로 상,하이동되어 T형 배출관(210)의 상단 입구를 선택적으로 막게됨으로서, 상기 밸브봉(230)이 들려지면, T형 배출관(210)이 개방되고, 밸브봉(230)이 하향되면 T형 배출관(210)이 닫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배수밸브(200)는 상기 조작레버(235)의 상하작동이 세면기(205)의 상부측에 돌출 형성된 조작 노브(237)에 의해서 이루어지도록 상기 조작레버(235)의 타단이 조작노브(237)에 연결되어진 것으로서, 사용자는 이와 같은 배수밸브(200)를 이용하여 세면기(205)내에 물을 담거나 사용한 물을 배수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종래의 배수밸브(200)는 T형 배출관(210)의 하단에 S형 또는 P형의 배수 트랩(250)이 복수의 너트(254)를 사용하여 체결되어 있음으로서, 항상 배수 트랩(250)내에 일정 수위의 물이 차 있도록 하여 하수구(205a)로부터 배출관(210)을 통하여 악취가 역류하지 않도록 하는 수봉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배수밸브(200)는 하단부에 장착되는 배수트랩(250)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을 일으키는 것이었다. 즉, 종래의 배수밸브(200)에 장착된 배수트랩(250)은 곡관부(252)에 고여 있어야할 악취역류방지용 물의 량이 많아 수압이 상당하기 때문에 배수밸브(200)를 통한 세면수의 배출속도가 느리다. 이러한 결점은 특히 다수가 이용하는 공중 세면장이나 화장실에 비치된 세면대에서는 다음 사람이 이용하려고 대기하는 시간이 길어서 이용 상 불편을 주기 십상이다.
또한, 상기 배수 트랩(250)에서는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을 걸러주는 여과기능이 미흡했다. 이처럼 여과기능이 미흡하다 보니 이따금씩 이물질 때문에 트랩(250)이 막혀서 배수기능이 저하되거나 상실되고 마는 일이 발생한다.
특히, 종래의 배수트랩(250)은 세면기(205) 설치전 하수구(270) 공사 때, 세면기 배수트랩(250)의 하단부와 하수구(270)의 위치가 맞지 않을 경우, 그 S형 및 P형의 구조로 인하여 시공작업 공간이 협소하게 되어 배관작업을 하기가 매우 곤란하여 정확한 배관작업을 이룰 수가 없고, 작업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어 작업생산성이 저하되는 시공상 큰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배출수의 보다 신속한 배수를 이루고, 악취의 역류방지를 확실하게 보장하며, 플렉시블 파이프 또는 플렉시블 호스등을 사용하여 세면기 설치전 하수구 공사 때, 수봉부의 하단부와 하수구의 위치를 정확하게 일치시켜 원활한 배관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장,탈착이 용이하도록 개선된 세면기용 배수밸브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밸브가 세면대에 적용된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a)도는 배수밸브가 바닥으로 관통된 상태도,
b)도는 배수밸브가 측벽으로 관통된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밸브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밸브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밸브에서 물 배출상태를 도시한 세로방향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4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밸브에서 상기 도 4의 구조와는 다른 구조를 갖는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배수 밸브로서,
a)도는 S 형 배수밸브가 바닥으로 관통된 상태도,
b)도는 P 형 배수밸브가 측벽으로 관통된 상태도;
도 8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배수 밸브의 외관 사시도;
도 9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배수 밸브의 분해 단면도;
도 10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배수 밸브의 작동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 수봉부 10..... 상부 도입구
12.... 중공유로 14..... 유도관
20.... 몸체부 22..... 거르개
30.... 연결리브 40..... 하부 연결구
47.... 고리형 홈 50..... 볼트
55.... 오-링 60.... 플렉시블 파이프
70.... 키 205... 세면기
210... T형 배출관 214,216.... 너트
230... 밸브 봉 235... 조작레버
237... 조작 노브 250... 배수 트랩
270... 하수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세면기의 배수구에 장착되는 배출관을 갖추고, 상기 배출관의 내부에서 조작레버에 의하여 상하이동 가능한 밸브 봉을 구비하여 상기 배출관을 개폐시킴으로서 세면기의 물 배수를 선택적으로 이루도록 된 배수밸브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의 하단에는 상기 배출관과 동축을 이루는 직선형의 수봉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봉부의 하단에는 플렉시블 파이프 또는 플렉시블 호스가 결합되어 하수구에 연결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용 배수밸브를 마련함에 의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 수봉부가 상기 배출관의 하단에 연이어서 일체로 형성되고, 배출관보다 축소된 직경을 갖추며, 중공유로를 중앙에 형성한 유도관이 구비된 상부 도입구; 상기 상부 도입구의 하단에 결합되고, 내측에는 상기 유도관의 하단이 상부측으로 끼워지고, 이를 감싸 배치되는 거르개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유도관의 중공형 유로로부터, 상기 유도관과 거르개 사이및, 상기 거르개와 내측벽 사이로 이어지는 유로를 형성하도록 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고 하단에는 플렉시블 파이프가 연결되며, 상기 몸체부의 유로에 연통되는 중공유로를 내부에 형성하는 하부 연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용 배수밸브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세면기용 배수밸브(1)는 도 2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면기(205)의 배수구(205a)에 장착되는 배출관(210)을 갖추고, 상기 배출관(210)의 내부에서 조작레버(235)에 의하여 상하이동 가능한 밸브 봉(230)을 구비하며, 상기 배출관(210)을 개폐시킴으로서 세면기(205)의 물 배수를 선택적으로 이루도록 된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본 고안을 도시하는 도면에서 종래의 기술에 관련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종래의 도면에 관련하여 부여된 동일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하고, 이에 대해서는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배출관(210)의 하단에 상기 배출관(210)과 동축을 이루는 직선형의 수봉부(3)가 형성되고, 상기 수봉부(3)의 하단에는 플렉시블 파이프 또는 플렉시블 호스(60)가 결합되어 하수구(270)에 연결됨으로서, 세면기(205) 설치전 하수구(270) 공사 때 세면기 수봉부(3)의 하단부와 하수구(270)의 위치를 쉽고 정확하게 일치시켜 원활한 배관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배출관(210)의 하단에 형성되는 수봉부(3)가 상기 배출관(210)의 하단에 연이어서 형성되고, 배출관(210)보다 축소된 직경을 갖추며, 중공유로(12)를 중앙에 형성한 유도관(14)이 구비된 상부 도입구(10)를 갖는다.
상기 상부 도입구(10)는 유도관(14)의 외측에 직경이 확대되어 형성된 외경부(16)가 그 하단부에 숫나사부(16a)를 형성하고, 상기 유도관(14)의 최하단(14a)은 상부 도입구(10)의 외경부(16) 하단(16b)보다 하부측으로 다소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도입구(10)의 하단에 결합되는 몸체부(20)는, 내측에 상기 유도관(14)의 외측을 감싸 배치되는 거르개(22)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도입구(10)의 중공형 유로(12)로부터, 상기 유도관(14)과 거르개(22) 사이및, 상기 거르개(22)와 내벽사이로 이어지는 유로(24)(26)를 형성하도록 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몸체부(20)는 상단 외주면에 상기 상부 도입구(10)의 외경부(16) 하단에 나사결합하기 위한 암나사부(28a)를 형성하고, 하단 외주면에는 이후에 설명될 하부 연결구(40)와의 결합을 위하여 숫나사부(28b)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몸체부(20)는 내측에 거르개(22)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는 바, 상기 거르개(22)는 하단이 막힌 중공원통형의 구조를 갖는 것으로, 외측면이 복수의 연결리브(30)를 통하여 몸체부(20)의 내벽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거르개(2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직경이 상기 상부 도입구(10)의 유도관(14)보다는 크고, 몸체부(20)의 내경보다는 작은 것이며, 몸체부(20)가 상부 도입구(10)와의 결합시, 상기 유도관(14)의 하단(14a)을 거르개(22)가 감싸서 에워싸도록 구성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관(14)의 하단(14a)은 거르개(22)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그에 따라서 상부 도입구(10)의 유도관(14) 내측에서 형성되는 중공형 유로(12)로부터 상기 유도관(14)과 거르개(22) 사이및, 상기 거르개(22)와 몸체부(20)의 내벽사이로 이어지는 유로(24)(26)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부(20)는 상부 도입구(10)와의 결합시, 유도관(14)의 하단(14a)이 거르개(22)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거르개(22)에 물이 담겨지는 경우, 거르개(22)에 담겨진 물의 내부로 유도관(14)이 잠기게 되며, 이는 유도관(14)을 통하여 하수관의 악취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기능을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몸체부(20)에 상단이 결합되고 하단에는 플렉시블 파이프(60)가 연결되는 하부 연결구(40)는 상기 몸체부(20)의 유로에 연통되는 중공유로(42)를 내부에 형성하고 있다.
상기 하부 연결구(40)는 상단 내주면에 암나사부(45)를 형성하여 상기 몸체부(20)의 하단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부(28b)에 나사 결합되어진다. 그리고, 하단부에는 플렉시블 파이프(60)와의 결합을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연결구(40)의 하단 외주면에 숫나사부(57)를 형성한 다음, 상기 숫나사부(57)에 나사 결합하는 조임 캡(63)을 마련하고, 상기 조임 캡(63)의 내측에는 오-링(55)과, 고리형의 키(70)를 위치시키되, 상기 고리형 키(70)는 일측부에 절단부(70a)를 형성하여 플렉시블 파이프(60)의 오목부(60a)에 끼워지도록 하는 것이다.
즉, 이러한 구조는 하부 연결구(40)에 조임 캡(63)이 장착되어 플렉시블 파이프(60)를 연결하는 경우, 하부 연결구(40)의 하단모서리와 키(70)의 상부면 사이에서 오-링(55)이 압착되어 밀봉작용을 하고, 상기 키(70)는 플렉시블 파이프(60)의 오목부(60a)에 삽입되어 걸리며, 조임 캡(63)의 내주면에 의해서 지지되어 외측으로 확대되지 않고 지지됨으로서 플렉시블 파이프(60)의 볼록부(60b)가 키(70)에 의해서 빠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플렉시블 파이프(60)의 연결을 이루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는 상부 도입구(10), 몸체부(20) 및 하부 연결구(40)의 연결부위에 각각 장착되는 오-링(55)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배수밸브(1)는 사용자가 조작노브(237)를 동작시킴으로서 조작레버(235)를 통하여 T형 배출관(210)내에서 밸브 봉(230)이 상승되고, 그에 따라서, T형 배출관(210)이 개구되어 세면기(205)의 물은 T형 배출관(210)을 통하여 유도관(14)의 내측으로 낙하된다.
이와 같이, 세면기(205)로 부터 배수되는 물은 상부 도입구(10)의 유도관(14) 중앙 유로(12)를 통하여 상기 유도관(14)과 거르개(22) 사이의 유로(24)및, 상기 거르개(22)와 내벽사이로 이어지는 유로(26)를 통과하여 하부 연결구(40)의 중앙 유로(42)측으로 흐르고, 플렉시블 파이프(60)측으로 배수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상부 도입구(10)의 유로(12)를 통하여 낙하된 물은 일단 거르개(22)의 바닥에 부딪친 다음, 그 반력으로 유도관(14)과 거르개(22) 사이의 유로(24)를 통하여, 그리고 거르개(22)와 내벽사이의 유로(26)를 통하여 낙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물이 배수되는 과정에서 머리카락등과 같은 이물질은 거르개(22)를 통하여 걸러지게 되고, 사용자가 이를 분해하여 내부를 청소하는 경우에도 거르개(22)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의 배수 밸브(1)는 그 하단에 형성된 수봉부(3)가 배출관(210)에 동축을 이루는 일자형의 구조를 갖춤으로서 세면기(205)하부의 공간을 훨씬 적게 차지하여 공간확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단지 배수밸브(1)에 연결되는 2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설치작업과 해체작업이 모두 간편하다.
그리고, 종래와 같이 S자형과 P형에서와 같이 큰 수두압을 받지 않기 때문에 수봉부(3)를 빠져나가는 물은 신속하게 배출되면서, 유도관(14)과 거르개(22)의 작용으로 거르개(22) 내에 물이 담기어 유도관(14)의 하단이 잠기게 되면, 하수관을 역류하는 악취를 막을 수 있어 사용상 매우 편리하다.
또한, 종래의 S자형 구조나 P형 구조를 모두 대신할 수 있기 때문에 범용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세면기(205) 설치전 하수구(270) 공사 때, 수봉부(3)의 하단부와 하수구(270)의 위치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플렉시블 파이프(60)를 이용하여 이를 정확하게 일치시켜 원활한 배관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시공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오-링(55)과 키(70)를 이용하여 플렉시블 파이프(60)를 결합시키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는 다르게 하부 연결구(40)에 볼트(50)를 통하여 플렉시블 파이프(60)가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배수밸브(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연결구(40)에 고리형 홈(47)을 형성하여 플렉시블 파이프(60)를 끼우고, 이를 볼트(50)로 조이는 것이다. 즉, 이러한 변형 구조는 보다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플렉시블 파이프(60)의 연결을 이루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하부 연결구(40)와 플렉시블 파이프(60)사이의 변형구조를 제외한 다른부분의 구성 및 작용효과는 먼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련하여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에서 유도관(14)은 상부 도입구(10)의 외경부 하단보다 길게 하부측으로 연장된 구조가 제시되었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유도관(14)이 상기 상부 도입구(10)의 하단모서리보다 짧고, 대신 상기 거르개(22)의 상단모서리가 상대적으로 높아서 악취역류를 방지하는 기능을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거르개(22)는 유도관(14)의 외측을 감싸고, 거르개(22)의 내측에 물이 담기는 경우, 유도관(14)이 물속에 잠기어야 악취역류 방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배출관(210)의 하단에 상기 배출관(210)과 동축을 이루는 직선형의 수봉부(3)가 형성되므로서, 종래의 S자형 및 P형의 구조보다도 배출수의 신속한 배수를 이루고,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게 되어 소제가 용이하며, 또한, 세면기(205) 설치전 하수구(270) 공사때 수봉부(3)의 하단부와 하수구(270)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플렉시블 파이프(60)를 이용하여 이들을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음으로서 원활한 배관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작업시간을 크게 단축하고 작업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는 것이다.

Claims (6)

  1. 세면기(205)의 배수구(205a)에 장착되는 배출관(210)을 갖추고, 상기 배출관(210)의 내부에서 조작레버(235)에 의하여 상하이동 가능한 밸브 봉(230)을 구비하여 상기 배출관(210)을 개폐시킴으로서 세면기(205)의 물 배수를 선택적으로 이루도록 된 배수밸브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210)의 하단에는 상기 배출관(210)과 동축을 이루는 직선형의 수봉부(3)가 형성되고, 상기 수봉부(3)의 하단에는 플렉시블 파이프 또는 플렉시블 호스(60)가 결합되어 하수구(270)에 연결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용 배수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봉부(3)가, 상기 배출관(210)의 하단에 연이어서 일체로 형성되고, 배출관(210)보다 축소된 직경을 갖추며, 중공유로(12)를 중앙에 형성한 유도관(14)이 구비된 상부 도입구(10); 상기 상부 도입구(10)의 하단에 결합되고, 내측에는 상기 유도관(14)의 하단이 상부측으로 끼워지고, 이를 감싸 배치되는 거르개(22)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유도관(14)의 중공형 유로(12)로부터, 상기 유도관(14)과 거르개(22) 사이및, 상기 거르개(22)와 내측벽 사이로 이어지는 유로(24)(26)를 형성하도록 된 몸체부(20); 및 상기 몸체부(20)에 결합되고 하단에는 플렉시블 파이프(60)가 연결되며, 상기 몸체부(20)의 유로에 연통되는 중공유로(42)를 내부에 형성하는 하부 연결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용 배수밸브.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거르개(22)는 하단이 막힌 중공원통형의 구조를 갖고, 외측면이 복수의 연결리브(30)를 통하여 몸체부(20)의 내벽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용 배수밸브.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0)는 상부 도입구(10)와의 결합시, 유도관(14)의 하단(14a)이 거르개(22)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거르개(22)에 물이 담겨지는 경우, 거르개(22)에 담겨진 물의 내부로 유도관(14)이 잠기게 되며, 유도관(14)을 통하여 하수관의 악취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용 배수밸브.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연결구(40)는 그 하단 외주면에 숫나사부(57)를 형성하고, 상기 숫나사부(57)에 나사결합하는 조임 캡(63)을 갖추며, 상기 조임 캡(63)의 내측에는 오-링(55)과, 고리형의 키(70)를 갖춤으로서, 하부 연결구(40)에 조임 캡(63)이 장착되어 플렉시블 파이프(60)가 연결되는 경우, 하부 연결구(40)의 하단모서리와 키(70)의 상부면 사이에 오-링(55)이 압착되어 밀봉작용을 하고, 상기 키(70)는 플렉시블 파이프(60)의 오목부(60a)에 삽입되어 걸리며, 조임 캡(63)의 내주면에 의해서 지지되어 외측으로 확대되지 않고 지지됨으로서 플렉시블 파이프(60)의 볼록부(60b)가 키(70)에 의해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플렉시블 파이프(60)의 연결을 이루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용 배수밸브.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연결구(40)는 하단부에 플렉시블 파이프(60)와의 결합을 위하여 고리형의 홈(47)이 형성되고, 상기 고리형 홈(47)의 내측으로 플렉시블 파이프(60)의 상단이 끼워진 다음, 하부 연결구(40)의 측방을 관통하는 볼트(50)등에 의해서 고정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용 배수밸브.
KR2020010010785U 2001-04-17 2001-04-17 세면기용 배수밸브 KR2002410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785U KR200241060Y1 (ko) 2001-04-17 2001-04-17 세면기용 배수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785U KR200241060Y1 (ko) 2001-04-17 2001-04-17 세면기용 배수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1060Y1 true KR200241060Y1 (ko) 2001-10-11

Family

ID=73099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785U KR200241060Y1 (ko) 2001-04-17 2001-04-17 세면기용 배수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106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897B1 (ko) * 2011-03-17 2013-02-15 설이수 세면기 배수밸브
KR101814595B1 (ko) * 2016-12-05 2018-01-04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세면기의 배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897B1 (ko) * 2011-03-17 2013-02-15 설이수 세면기 배수밸브
KR101814595B1 (ko) * 2016-12-05 2018-01-04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세면기의 배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45527B1 (en) In-the-wall plumbing trap with integral waste and vent line
US20130015388A1 (en) Valve for integrating into a sanitary appliance
JP2015507113A (ja) 洗面器用ポップアップ装置の設置構造及び設置方法
US6971400B1 (en) Air gap apparatus
WO2004099513A2 (en) Toilet overflow prevention system
KR200241060Y1 (ko) 세면기용 배수밸브
KR101674159B1 (ko) 욕조 배수장치
JP3668945B2 (ja) 排水トラップ配管
KR200223970Y1 (ko) 세면기의 배수트랩
KR101734203B1 (ko) 세면대 배수관용 거름장치
RU2751915C2 (ru) Санитарно-техническая сливная арматура
KR200395112Y1 (ko) 세면대용 트랩 구조
KR200241059Y1 (ko) 배수트랩
KR101186776B1 (ko) 배수관 고정구를 구비한 세면대 배수장치
KR101401231B1 (ko) 세면기 배수장치
KR100654309B1 (ko) 하수관로의 물받이 배수트랩
KR200262328Y1 (ko) 욕조용 배수트랩
CN220888843U (zh) 一种快速排水的防臭型下水器
KR200333348Y1 (ko) 하수 역류방지 및 악취차단장치
JP3569317B2 (ja) トラップ付き排水装置
JP5779759B2 (ja) 排水トラップ
KR200257147Y1 (ko) 배수트랩
KR200305387Y1 (ko) 배수용 트랩
WO2007019615A1 (en) Waste outlet fitting
WO2024089824A1 (ja) 排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