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7147Y1 - 배수트랩 - Google Patents

배수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7147Y1
KR200257147Y1 KR2020010020790U KR20010020790U KR200257147Y1 KR 200257147 Y1 KR200257147 Y1 KR 200257147Y1 KR 2020010020790 U KR2020010020790 U KR 2020010020790U KR 20010020790 U KR20010020790 U KR 20010020790U KR 200257147 Y1 KR200257147 Y1 KR 2002571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intermediate body
pipe
flow path
upp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07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충삼
Original Assignee
장충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충삼 filed Critical 장충삼
Priority to KR20200100207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71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71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7147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배출수의 신속한 배수, 악취의 역류방지 및 소제가 용이하고, 배출되는 이물질이 중간에 걸리지 않고 완전히 배수되며, 간단한 구조로 장탈착이 용이한 한편, 배수밸브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중간 몸통을 갖추어 화장실의 배수구에 연결이 매우 용이하도록 개선된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세면기등에 사용되는 배수트랩에서, 상단부가 배수밸브 또는 배수관에 연결되고, 내부에는 중공유로를 형성하며, 하부측으로 향하여 유도관이 형성된 상부몸체; 상기 상부 몸체의 하측으로 결합되고, 내측에는 상기 유도관의 하단이 끼워지고, 이를 감싸 배치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유도관의 하단보다 높은 출구가 형성되어 악취 역류차단 유로를 형성하도록 된 중간몸체; 및 상기 중간몸체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중간몸체의 유로에 연통되는 중공유로를 내부에 형성하며, 하단에는 플렉시블 파이프가 연결되는 하부 몸체;를 포함하는 배수트랩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배수트랩{DRAIN WATER TRAP}
본 고안은 세면기등에 사용되는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하수의 신속한 배수, 악취의 역류방지 및 소제가 용이하고, 하수와 함께 배출되는 이물질이 중간에 걸리지 않고 완전히 배수되며, 간단한 구조로 제작이 용이한 한편, 배수밸브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중간 몸통을 갖추어 화장실의 배수구에 연결이 매우 용이하도록 개선된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세면기용 배수트랩으로서는 S형과 P형이 있다. 이러한 세면기용 배수트랩은 세면기 설치전 하수구 공사때, 세면기 배수트랩의 하단부와 화장실의 하수구의 위치가 맞지 않을 경우, 그 S형 및 P형의 구조로 인하여 배관작업을 하기가 매우 곤란하여 정확한 배관작업을 이룰 수가 없는 시공상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 그리고, 설치반경이 크고 화장실의 배수구에 정확하게 출구가 맞지 않아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며 시공성이 매우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러한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1996.1.3자의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6-12호로 '세면기용 트랩'을 출원하였고, 이는 실용신안등록 제 133501호로 등록되어 상기와 같은 대부분의 종래의 문제점이 해소되었다.
그러나,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 133501호는 중간 거르개(121)가 하부몸체(122)로부터 분리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세면기용 트랩(120)을 분해하여 소제하는 경우, 종종 거르개(121)를 분실하여 세면기용 트랩(120)내에 장착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발하였다. 이러한 경우는 세면기용 트랩(120)내에서 악취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이 상실되기 때문에, 이러한 거르개(121)의부품손실은 세면기용 트랩(120)의 기능을 상실시키는 것이었다.
한편, 이와는 다른 구조의 종래 기술에 따른 배수트랩(130)이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배수트랩(130)은 2001년 3월 5일자의 실용신안등록 제 0223970호에 기재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를 갖추고, 악취의 역류를 방지한다는 측면에서 효과는 얻어지지만, 이 역시 역류방지구(132)의 분실을 초래할 수 있는 것이며, 특히, 걸침날개(134)에 배출공(134a)을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리브(134b)들로 인하여 머리카락등과 같이 하수에 포함된 이물질들이 걸려서 유로를 막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
이와 같이 머리카락등의 이물질이 리브(134b)에 걸리면, 점차 누적되어 배출공(134a)을 막아버림으로서 하수의 배출기능이 약화되거나 상실되어지며, 이런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빈번하게 이를 소제하여야 하며, 이러한 소제작업은 여간 번거로운 것이 아니었다.
한편, 이와는 다른 또 다른 구조의 배수트랩(140)이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이는 2000년 6월 30자의 실용신안등록 제 0195584호에 개시된 것으로서, 중간 몸통(142)내에 상방돌출 칸막이(145)와 하방돌출 칸막이(147)등을 구비하여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된 것이나, 이러한 구조는 그 제조공정이 값비싼 주조 공정을 통하여만 제작가능한 것이었다. 즉, 중간 몸통(142)의 일체형 구조로 인하여 저가의 사출성형을 통해서는 그 일체형구조를 얻기가 불가능하며, 그에 따라서 이 중간 몸통(142)을 제작하는데에는 작업공정이 어렵고, 고가의 제작비용이 필요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상용화에 큰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구조는 배수밸브(150)의 하단에 중간몸통(142)이 일체로 나사식으로 고정되는 구조이어서, 일단 배수밸브(150)에 설치되면 그 위치를 변경시키기란 쉽지 않음으로서, 화장실의 하수구에 일치하여 그 하측 출구에 연결된 배관(152)을 위치시키기란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니었다. 따라서, 출구의 배관(152)과 하수구와의 연결작업의 시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배출수의 신속한 배수를 이루며, 악취의 역류방지 및 소제가 용이하고, 배출되는 이물질이 중간에 걸리지 않고 완전히 배수될 수 있는 배수트랩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출성형이 가능한 간단한 구조로 제작이 매우 용이한 한편, 배수밸브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배수밸브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중간 몸통을 갖추어 화장실의 배수구 위치에 무관하게 연결작업이 매우 용이하여 시공성을 크게 향상시키도록 개선된 배수트랩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이 세면대 또는 씽크대에 적용된 구조를 도시한 구 성도로서,
a)도는 배수트랩이 바닥으로 관통된 상태도,
b)도는 배수트랩이 측벽으로 관통된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을 도시한 분해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에서 물 배출상태를 도시한 일부 절개 단면도로서, a)도는 수직단면도, b)도는 a)도의 A-A선을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에서 상기 도 2의 구조와는 다른 구조를 갖는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배수트랩의 분해 단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배수트랩에서 물 배출상태를 도시한 일부 절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에서 중간몸통이 회전되는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9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배수 트랩으로서 역류방지구가 분리형인 경우의 구성도;
도 10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또 다른 구조의 배수 트랩으로서 배출되는 이물질이 유로에 걸리는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또 다른 구조의 배수 트랩으로서 배출되는 이물질이 유로에 걸리지는 않지만 주조공정을 통해 제작가능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 배수밸브 10..... 상부 몸체
12.... 중공형 유로 14..... 유도관
16.... 고리형 홈 20..... 중간 몸체
21.... 공간 23..... 출구
23a... 수직 격벽 28..... 숫나사부
40.... 하부 몸체 50..... 고정볼트
60.... 플렉시블 파이프 62..... 직관 파이프
63.... 조임 캡 70..... 키
100... 세면기 121.... 중간 거르개
132... 역류 방지구 134.... 걸침날개
142... 중간 몸통 145.... 상방돌출 칸막이
147... 하방돌출 칸막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세면기등에 사용되는 배수트랩에 있어서, 상단부가 배수밸브 또는 배수관에 연결되고, 내부에는 중공유로를 형성하며, 하부측으로 향하여 유도관이 형성된 상부몸체; 상기 상부 몸체의 하측으로 결합되고, 내측에는 상기 유도관의 하단이 끼워지고, 이를 감싸 배치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유도관의 하단보다 높은 출구가 형성되어 악취 역류차단 유로를 형성하도록 된 중간몸체; 및 상기 중간몸체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중간몸체의 유로에 연통되는 중공유로를 내부에 형성하며, 하단에는 플렉시블 파이프가 연결되는 하부 몸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을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1)은 도 2내지 도 4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가 배수관 또는 배수밸브(5)에 연결되는 상부몸체(10)를 갖추고, 상기 상부몸체(10)에 차례로 연결되는 중간몸체(20)와 하부몸체(40)를 갖는다.
상기 상부몸체(10)는 배수관, 또는 세면기(100)의 배수밸브(5) 하단에 나사식으로 직접 연결되고, 내부에는 중공유로(12)를 형성하며, 하부측으로는 상기 중공유로(12)를 형성하기 위한 작은 직경의 원통형 유도관(14)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상부몸체(10)는 이후에 설명될 중간 몸체(20)와의 연결부분이 유도관(14)의 외측으로 직경이 확대되어 그 하단부에 고리형 홈(16)과 밀봉링(18)을 장착하고, 상기 유도관(14)의 최하단(14a)은 상부몸체(10)의 외주연 하단(10a)보다 하부측으로 길게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몸체(10)의 하단에 결합되는 중간몸체(20)는, 그 상단부(20a)가 상부 몸체(10)의 하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그 내측에는 상기 유도관(14)의 하단부(14a)를 감싸 배치되는 공간(21)이 내장 형성되며, 상기 공간(21)의 일측으로는, 수직격벽(23a)상에 출구(23)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몸체(10)의 유도관(14)의 중공형 유로(12)로부터, 상기 공간(21)및 출구(23)로 이어지는 악취 역류차단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부몸체(10)와 중간 몸체(20)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출구(23)의 하부모서리 높이는 유도관(14)의 하단부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간몸체(20)는 상단 내주면이 상기 상부몸체(1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기 위하여, 상부몸체(10)의 외주면 하단부(10a)에 끼워지고, 중간몸체(20) 상단부의 일측으로 부터 고정나사(25)가 관통하여 상부몸체(10)의 고리형 홈(16)측으로 끼워짐으로서 고정나사(25)가 고리형 홈(16)내측에서 상부몸체(10)의 원주방향으로 이동가능하여 상부몸체(10)에 대하여 중간몸체(20)의 회전을 허용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중간몸체(20)는 상부몸체(10)와의 결합시 유도관(14)의 하단(14a)이 중간몸체의 공간(21) 하부측에 인접하도록 삽입되기 때문에, 그리고, 상기 공간(21)의 중간상부측으로 출구(23)가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공간(21)내에 물이 담겨지는 경우, 상기 공간(21)의 물 내부로 유도관(14)의 하단이 잠기게 되며, 이러한 유로 구조는 배수밸브(100)측으로 하수구의 악취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기능을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중간몸체(20)는 종래와는 달리 중간몸체(20)내에 빈 공간(21)이 형성되고, 이 공간(21)과 유도관(14)을 이용하여 악취역류방지 유로를 구성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부품의 분해 조립시 부품을 잃어버리지 않는 것이다.
또한, 상기 중간몸체(20)는 수직격벽(23a)의 상부측에 형성된 출구(23)를 통하여 상기 공간(21)에 연통되는 중공유로(27)를 형성하고, 그 하단 외주면에는 이후에 설명될 하부몸체(40)와의 결합을 위하여 숫나사부(28)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상기 유도관이 위치된 공간(21)과 중공형 유로(27)는 출구(23)를 통하여 서로 연통되면서 수직격벽(23a)에 의해서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나란하게 평행한 구조를 이룸으로써 중간 몸체(20)의 폭방향 크기를 작게하고, 사출성형시 제작의 편리함을 이루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공간(21)을 형성하는 중간 몸체(20)는 공간(21)의 하단부분(21a)이 반원형의 둥근 구조를 갖추어 유도관(14)으로 부터 낙하된 하수가 공간(21)의 하단부분(21a)을 이루는 중간몸체(20)에 되는 경우, 쉽게 그 흐름방향이 상향류로 반전되어 출구(23)측으로 유도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중간몸체(20)에 상단이 결합되고 하단에는 플렉시블 파이프(60)가 연결되는 하부몸체(40)는 상기 중간몸체(20)의 유로(27)에 연통되는 중공유로(42)를 내부에 형성하고 있다.
상기 하부몸체(40)는 상단 내주면에 암나사부(45)를 형성하여 상기 중간몸체(20)의 하단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부(28)에 나사 결합되어진다. 그리고, 하단부에는 플렉시블 파이프(60)와의 결합을 위하여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형의 홈(47)이 형성되고, 상기 고리형 홈(47)의 내측으로 플렉시블 파이프(60)의 상단이 끼워진 다음, 하단 몸체의 측방을 관통하는 볼트(50)등에 의해서 고정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하부몸체(40)에는 플렉시블 파이프(60)대신에 직관 파이프(61)등이 장착되어질 수 있음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미설명 부호는 상,하부몸체(40) 및 중간몸체(20)의 연결부위에 장착되는 오-링(55)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배수 트랩(1)은 상부몸체(10)가 배수밸브(5) 또는 배수관에 장착되는 경우, 배수되는 물이 상부몸체(10)의 유도관(14)을 통하여 상기 중간 몸체(20)의 공간(21)으로 흐르고, 이는 중간몸체(20) 내측의 수직격벽(23a)과 그 상부측의 출구(23)를 통하여 중공 유로(27)로 흐르며, 하부몸체(40)를 통하여 플렉시블 파이프(60)측으로 배수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상부몸체(10)의 유도관(12)을 통하여 낙하된 물은 일단 중간 몸체(20)의 공간(21) 하단을 구성하는 둥근 반원형의 바닥부분(21a)에 부딧친 다음, 그 반력으로 유도관(14)과 중간몸체(20)의 내주면사이의 유로(24)를 통하여, 출구(23)로 흐르는 것이다. 이와 같이 물이 배수되는 과정에서 머리카락등과 같은 이물질은 아무런 장해물없이 유로를 따라서 출구(23)로 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유로의 막힘이 근본적으로 차단됨으로서 사용자가 본 고안의 배수트랩(1)을 분해하여 내부를 청소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중간몸체(20)의 상단(20a)이 상부몸체(10)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구조를 갖추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로이 위치이동이 가능하다. 이는 화장실의 배수구 위치에 무관하게 연결작업이 매우 용이하여 시공성을 크게 향상시키게 된다. 즉, 화장실 배수구에 인접하도록 상기 중간몸체(20)를 회전시켜 놓고 플렉시블 파이프(60)의 연결작업을 하게 되면, 작업이 용이하게 되어질 뿐만 아니라, 소요되는 플렉시블 파이프(60)의 길이도 축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의 배수 트랩(1)은 이와 같이 하수구와의 연결공간의 확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3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설치작업과 해체작업이 모두간편하다.
그리고, 종래와 같이 S자형과 P형에서와 같이 큰 수두압을 받지 않기 때문에 트랩(1)을 빠져나가는 물은 신속하게 배출되며, 유도관(14)과 공간(21)및 출구(23)의 상호 작용으로 공간(21)내에 물이 담기어 유도관(14)의 하단이 잠기게 되면, 하수구으로 부터 하부몸체(40)의 유로(45)와 출구(23)를 통하여 역류하는 악취를 막을 수 있어 사용상 매우 편리하다.
또한, 하수가 배출되는 유로상에 아무런 장해물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하수에 포함되어 배출되는 머리카락등의 이물질이 중간에 걸리지 않고 완전히 배수되며, 3개의 부품들이 각각 사출성형이 가능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저가의 제조비용으로 완제품을 신속하게 대량 생산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하부몸체(40)에 볼트(50)를 통하여 플렉시블 파이프(60)가 연결된 구조를 설명하였지만, 상기와는 다르게 오-링(55)과 키(70)및 조임 캡(63)등을 이용하여 플렉시블 파이프(60)를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배수트랩(1')은 도 5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몸체(20)의 하단 숫나사부(28)에 나사 결합하는 하부몸체(40)로서의 조임 캡(63)을 마련하고, 상기 조임 캡(63)의 내측에는 오-링(55)과, 고리형의 키(70)를 위치시키되, 상기 고리형 키(70)는 일측부에 절단부(70a)를 형성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 파이프(60)의 오목부(60a)에 끼워지도록 하는 것이다.
즉, 이러한 변형 구조는 중간 몸체(20)에 직접 조임 캡(63)이 나사결합으로 장착되어 플렉시블 파이프(60)가 연결되는 경우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몸체(20)의 하단모서리와 키(70)의 상부면사이에 오-링(55)이 압착되어 밀봉작용을 하고, 상기 키(70)는 플렉시블 파이프(60)의 오목부(60a)에 삽입되어 걸리며, 조임 캡(63)의 내주면에 의해서 지지되어 외측으로 확대되지 않고 지지됨으로서 플렉시블 파이프(60)의 볼록부(60b)가 키(70)에 의해서 빠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플렉시블 파이프(60)의 연결을 이루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하부몸체(40)와 플렉시블 파이프(60)의 연결구조를 제외한 다른 부분의 구성 및 작용효과는 먼저 도 4의 실시예에 관련하여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의 S자형 및 P형의 구조보다도 배출수의 신속한 배수를 이루고, 거르개와 같은 부품의 분실을 사전에 예방하여 악취의 역류방지를 확실하게 보장하며, 배출되는 이물질이 중간에 걸리지 않고 완전히 배수됨으로써 별도의 소제작업이 생략되어 번거로움이 해소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3개의 부품으로 분할되어 사출성형이 가능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저가의 대량 생산이 용이한 한편, 배수밸브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중간 몸통을 갖추어 화장실의 배수구 위치에 무관하게 연결작업이 매우 용이하여 시공성을 크게 향상시킨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세면기 설치전 하수구 공사때 세면기 배수트랩의 하단부와 하수구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플렉시블파이프 또는 직관 파이프를 이용하여 이들을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으므로서 원활한 배관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 것이다.

Claims (6)

  1. 세면기등에 사용되는 배수트랩에 있어서,
    상단부가 배수밸브(5) 또는 배수관에 연결되고, 내부에는 중공유로(12)를 형성하며, 하부측으로 향하여 유도관(14)이 형성된 상부몸체(10); 상기 상부 몸체(10)의 하측으로 결합되고, 내측에는 상기 유도관(14)의 하단이 끼워지며 이를 감싸 배치되는 공간(21)이 형성되고 상기 유도관(14)의 하단(14a)보다 높은 출구(23)가 형성되어 악취 역류차단 유로를 형성하도록 된 중간몸체(20); 및 상기 중간몸체(20)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중간몸체(20)의 유로에 연통되는 중공유로(42)를 내부에 형성하며, 하단에는 플렉시블 파이프(60)가 연결되는 하부 몸체(4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10)는 유도관(14)의 외측으로 직경이 확대되어 그 하단부에 고리형 홈(16)과 밀봉링(18)이 장착되고, 상기 중간몸체(20)는 상단 내주면이 상부몸체(10)의 외주면 하단부(10a)에 끼워지고, 중간몸체(20) 상단부의 일측으로 부터 고정나사(25)가 관통하여 상부몸체(10)의 고리형 홈(16)측으로 연장됨으로서 고정나사(25)가 고리형 홈(16)내측에서 상부몸체(10)의 원주방향으로 이동가능하여 상부몸체(10)에 대하여 중간몸체(2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23)는 수직격벽(23a)상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몸체(10)의 유도관(14)의 중공형 유로(12)로부터, 상기 공간(21)및 출구(23)로 이어지는 악취 역류차단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유로에는 하수에 포함된 이물질의 걸림을 일으키는 장해물이 없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관이 위치된 공간(21)에 출구(23)를 통하여 서로 연통되면서 수직격벽(23a)에 의해서 서로 분리된 상태의 중공형 유로(27)를 추가 포함하고, 상기 공간(21)과 중공형 유로(27)는 서로 나란하게 평행한 구조를 이루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몸체(20)는 공간(21)의 하단부분(21a)이 반원형의 둥근 구조를 갖추어 유도관(14)으로 부터 낙하된 하수가 공간(21)의 하단부분(21a)을 이루는 중간몸체(20)에 충돌되는 경우, 쉽게 그 흐름방향이 상향류로 반전되어 출구(23)측으로 유도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40)에는 직관 파이프(61)가 장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KR2020010020790U 2001-07-10 2001-07-10 배수트랩 KR2002571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790U KR200257147Y1 (ko) 2001-07-10 2001-07-10 배수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790U KR200257147Y1 (ko) 2001-07-10 2001-07-10 배수트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7147Y1 true KR200257147Y1 (ko) 2001-12-24

Family

ID=73104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0790U KR200257147Y1 (ko) 2001-07-10 2001-07-10 배수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714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42897B2 (en) Internal drain hair and debris straining assembly
JP4709981B2 (ja) 排水トラップ
KR200395213Y1 (ko) 세면기용 배수트랩
KR200223970Y1 (ko) 세면기의 배수트랩
KR200257147Y1 (ko) 배수트랩
JP6019282B2 (ja) 排水装置の取り付け構造
US6553583B1 (en) Stop valve for basin or sewer
KR200395112Y1 (ko) 세면대용 트랩 구조
US4141090A (en) Trap and drain flush out kit
KR200348050Y1 (ko) 세면기용 트랩 배수관
EP1666676B1 (en) Odour trap
KR200282353Y1 (ko) 배수트랩
KR200241060Y1 (ko) 세면기용 배수밸브
KR200241059Y1 (ko) 배수트랩
KR20100002133U (ko) 세면기용 배수 트랩
JP2004244981A (ja) 排水トラップ
KR200262328Y1 (ko) 욕조용 배수트랩
KR200313969Y1 (ko) 세면기용 트랩
KR200388695Y1 (ko) 악취 방지 하수구 덮개
KR200341855Y1 (ko) 배수관 가변 조립체
KR200305388Y1 (ko) 배수용 트랩
JP6194507B2 (ja) 封水式排水トラップ
JP3569317B2 (ja) トラップ付き排水装置
KR200181575Y1 (ko) 베란다용 배수구조
JP2550557Y2 (ja) シヤワーヘツドの引き出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