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2595Y1 - 우오수받이의 유입/출구 위치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우오수받이의 유입/출구 위치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2595Y1
KR200322595Y1 KR20-2003-0010831U KR20030010831U KR200322595Y1 KR 200322595 Y1 KR200322595 Y1 KR 200322595Y1 KR 20030010831 U KR20030010831 U KR 20030010831U KR 200322595 Y1 KR200322595 Y1 KR 2003225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outlet
pipe
connector
lo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08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중
Original Assignee
권혁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혁중 filed Critical 권혁중
Priority to KR20-2003-00108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25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25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25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입구 또는 배출구의 위치를 상하좌우 조정가능하게 하여 시공의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한 우오수받이의 유입/출구 위치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본체의 일측 상부에 우수 또는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여기에 유입관이 커넥터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끼워지고, 본체 내부의 유입구 반대측 하부에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여기에 배출관이 커넥터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끼워진 우오수받이에 있어서, 본체의 유입구 또는 배출구에 각각 고정테를 삽입하고, 중앙부에 장홈이 형성되어 있는 원형의 조정부재를 고정테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삽입하며, 각 커넥터를 각각 2개로 분리하여 조정부재의 내측과 외측에서 장홈을 통해 직선운동 가능하게 서로 결합시키되, 조정부재와 각 커넥터의 사이에는 장홈을 막아주는 커버를 각각 위치시킨 것으로, 이와 같이 하면 장홈을 갖는 조정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고, 장홈을 따라 유입관 또는 배출관의 커넥터가 직선운동할 수 있어 우수 또는 오수의 유입관과 배출관이 어느 정도 틀어지게 위치하여도 조정부재와 커넥터의 위치를 조정하여 유입관, 배출관과 본체를 유입관 또는 배출관의 절곡없이 정확한 위치에서 서로 연결할 수 있는 것이며, 이에 따라 시공이 매우 편리해지고, 유입관 또는 배출관과 본체 연결부위에서의 누수가 방지되어 악취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우오수받이의 유입/출구 위치조정장치{Apparatus to control position of inlet or outlet in rain and dirty water receiver}
본 고안은 우오수받이의 유입/출구 위치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입구 또는 배출구의 위치를 상하좌우 조정가능하게 하여 시공의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우오수받이는 우수 또는 오수를 받아 일시 저장하면서 이에 포함된 슬러지 성분을 거른 상태에서 배수관을 통해 다시 내보내는 중간 정화조 역할을 하는 맨홀로서, 원형이나 사각함체로 된 맨홀몸체에 유입관과 배출관이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그런데, 우오수받이를 최초 시공하거나 파손 등에 의해 재설치할 경우 유입관과 배출관은 설계에 따라 시공되어 있으므로 그 위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없어 우오수받이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유입관과 배출관의 위치와 우오수받이의 유입관 연결부위 또는 배출관 연결부위가 일치하지 않아 시공에 애로점이 상당히 있으며, 이미 시공되어 있는 유입관 또는 배출관을 억지로 절곡하여 우오수받이에 연결하게 되면 그 연결부위가 약하여 쉽게 누수가 발생되고, 절곡된 부위에 물이 고이게 되어 악취발생의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감안하여 특허공개 제2002-70418호에서는 배수유입관, 외벽판, 내벽판의 결합으로 이루어지고 배수유입관은 크고 작은 환테의 내측관에는 나선을 구비하여 구성하고, 외벽판은 배수유입관 지지부의 내측홈에는 패킹을, 중앙에는 통공을 형성하여서 구성하고, 내벽판은 중앙의 내측관에는 나선을, 내측관의 타측으로 연장된 선단경사부에는 개폐마개가 위치되도록 개폐마개의 지지축을 지지요홈에 결합하여 배수유입관의 높이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시공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높이 조절기능을 구비한 배수유입관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특허공개 제2002-70418호에 따른 높이 조절기능을 구비한 배수유입관은 상하높이 조절만 가능할 뿐이어서 유입관 또는 배출관이 상하 높이만 다르다면 시공에 문제가 없으나 유입관과 배출관 위치는 설치장소마다 천차만별이고 상하 높이뿐만 아니라 좌우방향으로도 벌어지게 배치될 수 있는 것이므로 적용에 한계가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체의 유입구 또는 배출구에 장홈이 형성되어 있는 원형의 조정부재를 회전가능하게 끼우며, 조정부재에는 유입관 또는 배출관이 끼워지는 커넥터를 장홈을 통해 직선운동가능하게 연결하여 구성함으로써 유입관 또는 배출관이 어떠한 위치로 배치된다하더라도 완벽한 시공이 가능한 우오수받이의 유입/출구 위치조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우오수받이의 부분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우오수받이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정부재, 커버, 커넥터의 작용설명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본체 101 : 유입구
102 : 유입관 103,103',106,106' : 커넥터
103a,106a : 숫나사 103a',106a' : 암나사
104 : 배출구 105 : 배출관
107 : 고정테 108 : 조정부재
108a : 장홈 109,109' : 커버
109a : 패킹 110 : 악취차단관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과 제시되는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우오수받이의 유입/출구 위치조정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일측 상부에 우수 또는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01)가 형성되어 여기에 유입관(102)이 커넥터(103)(103')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끼워지고, 본체(100) 내부의 유입구 반대측 하부에는 배출구(104)가 형성되어 여기에 배출관(105)이 커넥터(106)(106')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끼워진 우오수받이에 있어서, 본체(100)의 유입구(101) 또는 배출구(104)에 각각 고정테(107)를 삽입하고, 중앙부에 장홈(108a)이 형성되어 있는 원형의 조정부재(108)를 고정테(107)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삽입하며, 각 커넥터(103)(103')(106)(106')를 각각 2개로 분리하여 조정부재(108)의 내측과 외측에서 장홈(108a)을 통해 직선운동 가능하게 서로 결합시키되, 조정부재(108)의 외측에 위치하는 커넥터(103)(106)에는 장홈(108a)의 외측을 막아주는 커버(109)를 각각 일체로 형성하고, 조정부재(108)의 내측에 위치하는 커넥터(103')(106')와 조정부재(108)의 사이에는 장홈(108a)의 내측을 막아주는 커버(109')를 각각 개재하여서 된 것이다.
이때, 각 커넥터(103)(103')(106)(106')에는 암나사(103a')(106a')와 숫나사(103a)(106a)를 서로 대응되게 하나씩 형성하여 서로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커버(109)(109')의 조정부재 대향면 테두리부에는 패킹(109a)(109a')을 부착하여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110는 우수 또는 오수를 본체 내로 유입시키면서 악취를 차단하는 악취차단관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우오수받이의 유입/출구 위치조정장치의 작용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우수 또는 오수의 유입관(102)과 배출관(105)은 그 위치가 고정되어 있고, 항상 동일한 위치에 있는 것이 아니므로 우오수받이를 최초 시공하거나 또는 재설치할 때에는 이미 시공되어 있는 유입관(102)과 배출관(105)의 위치에 맞게 우오수받이의 유입관 연결부위와 배출관 연결부위를 조정해야 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이 우수 또는 오수의 유입관(12)과 배출관(105)이어떠한 위치에 있더라도 우오수받이의 유입관 연결부위와 배출관 연결부위의 위치를 조정하여 정확한 위치에서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우오수받이를 설치할 때에는 각각의 커넥터(103)(103')(106)(106')를 조정부재(108)에 느슨하게 체결한 상태에서 유입관(102) 또는 배출관(105)의 위치에 따라 조정부재(108)와 커넥터(103)(103')(106)(106')의 위치를 조정하여 정확히 일치시킨 후 각 커넥터(103)(103')(106)(106')를 조이면 된다.
즉, 우수 또는 오수의 유입관(102)과 배출관(105)은 그 설치장소에 따라 틀어진 정도가 모두 상이하며, 상하뿐만 아니라 좌우방향으로도 일치하지 않게 되는데, 그 틀어진 정도는 규격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않는다. 따라서 유입관(102)과 배출관(105)의 틀어진 위치에 맞게 조정부재(108)를 회전시키면 장홈(108a) 역시 회전되면서 유입관(102) 또는 배출관(105)의 설치위치가 장홈(108a)에 들어오게 되며, 그러면 조정부재(108)의 회전을 멈추고 유입관(102) 또는 배출관(105)의 위치에 맞게 커넥터(103)(103')(106)(106')를 장홈(108a)을 따라 직선 이동시킨 후 각 커넥터(103)(103')(106)(106')를 조여 견고히 고정시킨 후 유입관(102) 또는 배출관(105)을 외측의 각 커넥터(103)(106)에 고정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때, 장홈(108a)이 그대로 노출되면 이를 통해 우수 또는 오수가 외부로 누수되어 악취가 발생되고, 지하수를 오염시킬 수 있으므로 조정부재(108) 외측에 위치하는 커넥터(103)(106)에는 패킹(109a)을 부착한 커버(109)를 일체로 형성한 것이고, 또 조정부재(108)의 내측에 위치하는 커넥터(103')(106')와 조정부재(108)의 사이에는 패킹(109a')을 부착한 커버(109')를 개재한 것으로, 장홈(108a)의 회전위치에 맞게 같이 조정부재 외측에 위치한 커넥터(103)(106)를 회전시킨 후 조정부재 내측에 위치한 커버(109') 역시 장홈(108A)을 막아주는 상태에서 조정부재 내측에 위치한 커넥터(103')(106')를 돌려 조임에 따라 조정부재(108)의 장홈(108a)을 완전히 커버해줄 수 있어 누수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우오수받이의 설치장소에 따라 우오수받이의 설치위치에 제약을 받게 되어 유입관(102), 배출관(105)과 우오수받이 본체(100)가 좌우방향으로 틀어지게 위치될 수도 있는데, 이럴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조정부재(108)와 커넥터(103)(103')(106)(106')의 위치를 조정해주면 유입관(102), 배출관(105)과 본체(100)를 유입관(102) 또는 배출관(105)의 절곡없이 정확한 위치에서 서로 연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장홈을 갖는 조정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고, 장홈을 따라 유입관 또는 배출관의 커넥터가 직선운동할 수 있어 우수 또는 오수의 유입관과 배출관이 어느 정도 틀어지게 위치하여도 조정부재와 커넥터의 위치를 조정하여 유입관, 배출관과 본체를 유입관 또는 배출관의 절곡없이 정확한 위치에서 서로 연결할 수 있는 것이며, 이에 따라 시공이 매우 편리해지고, 유입관 또는 배출관과 본체 연결부위에서의 누수가 방지되어 악취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본체(100)의 일측 상부에 우수 또는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01)가 형성되어 여기에 유입관(102)이 커넥터(103)(103')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본체(100) 내부의 유입구 반대측 하부에는 배출구(104)가 형성되어 여기에 배출관(105)이 커넥터(106)(106')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끼워진 우오수받이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유입구(102) 또는 배출구(104)에 각각 고정테(107)를 삽입하고, 중앙부에 장홈(108a)이 형성되어 있는 원형의 조정부재(108)를 상기 고정테(107)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삽입하며, 상기 각 커넥터(103)(103')(106)(106')를 각각 2개로 분리하여 상기 조정부재(108)의 내측과 외측에서 상기 장홈(108a)을 통해 직선운동 가능하게 서로 결합시키되, 상기 조정부재(108)와 상기 각 커넥터(103)(103')(106)(106')의 사이에는 상기 장홈(108a)을 막아주는 커버(109)(109')를 각각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오수받이의 유입/출구 위치조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커넥터(103)(103')(106)(106')에는 암나사(103a')(106a')와 숫나사(103a)(106a)를 서로 대응되게 하나씩 형성하여 서로 나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오수받이의 유입/출구 위치조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09)(109')의 조정부재 대향면 테두리부에는 패킹(109a)을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오수받이의 유입/출구 위치조정장치.
KR20-2003-0010831U 2003-04-09 2003-04-09 우오수받이의 유입/출구 위치조정장치 KR2003225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831U KR200322595Y1 (ko) 2003-04-09 2003-04-09 우오수받이의 유입/출구 위치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831U KR200322595Y1 (ko) 2003-04-09 2003-04-09 우오수받이의 유입/출구 위치조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2595Y1 true KR200322595Y1 (ko) 2003-08-09

Family

ID=49412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0831U KR200322595Y1 (ko) 2003-04-09 2003-04-09 우오수받이의 유입/출구 위치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259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423B1 (ko) * 2007-12-11 2008-09-05 승한케미칼(주) 악취 차단장치
KR101830672B1 (ko) * 2017-05-12 2018-02-21 주식회사 고리 오수받이
KR20210127472A (ko) * 2020-04-14 2021-10-22 김성찬 맨홀의 배관 연결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423B1 (ko) * 2007-12-11 2008-09-05 승한케미칼(주) 악취 차단장치
KR101830672B1 (ko) * 2017-05-12 2018-02-21 주식회사 고리 오수받이
KR20210127472A (ko) * 2020-04-14 2021-10-22 김성찬 맨홀의 배관 연결구조
KR102382132B1 (ko) * 2020-04-14 2022-04-01 김성찬 맨홀의 배관 연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93332C2 (ru) Водопроводное уплотне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1827077B1 (ko) 오수받이 겸 맨홀
KR200322595Y1 (ko) 우오수받이의 유입/출구 위치조정장치
JP2761282B2 (ja) 排水桝
KR100947986B1 (ko) 다용도 조립식 오수받이 맨홀
KR101283922B1 (ko) 악취 차단부가 구비된 빗물받이
KR101830672B1 (ko) 오수받이
KR100751756B1 (ko) 공동주택의 경사지에 설치되는 하수관의 하수속도저감장치
KR100495394B1 (ko) 트랩 내장형 오수받이장치
KR100739365B1 (ko) 배수트랩
KR101612384B1 (ko) 처짐방지 각도조절 오수받이
KR102143144B1 (ko) 하수관거용 수로변경장치
JP4539601B2 (ja) 浴室の排水構造
KR200420774Y1 (ko) 높이조절구조를 갖는 오수받이
KR930004463Y1 (ko) 배수용 트랩
KR200333348Y1 (ko) 하수 역류방지 및 악취차단장치
KR200395244Y1 (ko) 오수받이 조립체
KR20120052493A (ko) 오수받이장치
KR200489455Y1 (ko)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
KR200379968Y1 (ko) 트랩 내장형 오수받이장치
KR200306387Y1 (ko) 가변형 배출구를 갖는 집수통
KR20090043711A (ko) 시공이 용이한 우수 및 오수 공공물받이
JP4795786B2 (ja) トラップ付き排水桝
KR200392301Y1 (ko) 오수받이장치
KR100356546B1 (ko) 배수관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