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6387Y1 - 가변형 배출구를 갖는 집수통 - Google Patents

가변형 배출구를 갖는 집수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6387Y1
KR200306387Y1 KR20-2002-0032868U KR20020032868U KR200306387Y1 KR 200306387 Y1 KR200306387 Y1 KR 200306387Y1 KR 20020032868 U KR20020032868 U KR 20020032868U KR 200306387 Y1 KR200306387 Y1 KR 2003063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mp
discharge
discharge port
discharge hole
dischar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28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종
유상현
Original Assignee
(주)일산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일산금속 filed Critical (주)일산금속
Priority to KR20-2002-00328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63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63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63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03F5/021Connection of sewer pipes to manhole shaf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집수통의 배출구의 방향이 가변되는 구조를 가져 하수관의 위치에 따라 요구되는 배출구의 방향전환을 하나의 집수통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한 가변형 배출구를 갖는 집수통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집수통은 배출구가 일체로 형성되어 배출구의 방향뀌을 바꿀수 없는 정형화된 구조를 가졌기 때문에 시공시 집수통의 위치와 연결될 하수관의 위치에 따라 그 연결방향을 달리할 필요성을 가질 때에는 시공전에 배출구의 방향을 예측하여 해당 집수통을 구입 및 운반하여 시공하였고, 배출구의 방향은 현장특성에 따라 또 변화될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집수통의 생산 및 구입관리의 어려움이 있으며, 배추구의 방향전환에 따른 별도의 부품추가에 의해 시공시간이 길어짐과 아울러 시공비가 늘어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상부가 개구되고 몸체 일측에 배출구를 갖는 집수통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를 몸체의 배출구멍과, 엘보 형상을 가지면서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배출구멍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되는 배출관으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집수통과 하수관의 위치에 의해 또는 현장의 특이성에 의해 배출구의 방향을 바꾸어야 할 경우에는 단순히 배출관을 회전시키는 조작으로 간단히 해결할 수 있으므로 여러종류의 집수통을 갖출 필요 없이 하나의 집수통으로 각 현장의 조건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 집수통의 관리와 시공이 용이해지며, 그에 따른 작업시간 단축과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변형 배출구를 갖는 집수통{Catchment bulk that have variableness type of drain-outlet}
본 고안은 집수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집수통의 배출구의 방향이 가변되는 구조를 가져 하수관의 위치에 따라 요구되는 배출구의 방향전환의 조건을 하나의 집수통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한 가변형 배출구를 갖는 집수통에 관한 것이다.
집수통은 우수나 오수를 모아 이를 하수관으로 배출시키는 것으로, 주로 도로나 인도의 일측부나 운동장과 같이 시설물의 낮은 곳 일측에 설치되어 오수나 우수를 집수통(10)으로 집수하여 이를 배출구(12)를 통해 하수관으로 흘려보내는 하수시설이다.
이러한 우수받이의 구성은 다수의 우수 유입구멍(4)을 가지면서 집수통(10)의 상측 개구를 덮는 덮개(3)와, 상부로 덮개(3)가 안착되고 하부에는 집수된 우수 또는 오수를 하수관으로 배출시키는 배출구(12)를 갖는 집수통(10)으로 구성 되는데, 집수통(10)은 개구부를 제외한 부분을 지면에 매립시키고 하부의 배출구(12)를 하수관(P)에 연결시킨다.
종래의 집수통(10)은 배출구(12)가 일체로 형성되어 배출구(12)의 방향이 불변하는 정형화된 구조를 가졌다.
이러한 집수통을 설치하다보면 집수통(10)의 위치와 연결될 하수관(P)의 위치에 따라 그 연결방향을 달리할 필요성을 갖는다.
지금까지는 집수통(10)과 하수관(P)의 위치에 따라 배출구(12)의 방향을 설정하여 그에 맞는 방향의 배출구(12)를 갖는 집수통(10)을 선정하여 설치하거나 또는 별도의 방향전환 관 즉, 엘보관과 같은 부품을 사용하여 그 문제를 해결하고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집수통 구조는 집수통 설치할 때마다 배출구(12)의 방향을 예측하고 그에 맞는 집수통을 준비해야 할 뿐만 아니라 배출구(12)의 방향을 예측하여 그에 맞는 집수통(10)을 준비하였다 하더라도 현장여건에 따라 배출구의 방향을 달리해야 할 경우가 발생되기 때문에 생산 및 주문에 따른 관리가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고정된 배출구의 방향을 전환할 때에는 별도의 관을 연결하여 시공해야하기 때문에 부품 추가에 따른 비용 및 작업시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집수통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집수통의 배출구를 방향전환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현장에서의 집수통과 하수관의 위치에 관계없이 그리고 현장의 특이성에 관계없이 하나의 집수통으로 모두 만족한 시공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집수통의 배출구가 회전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부가 개구되고 몸체 일측에 배출구를 갖는 집수통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가 일측으로 꺾인 방향을 가지면서, 집수통의 몸체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집수통의 구조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집수통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집수통의 배출구 제1실시예도.
도 4는 도 3의 집수통 배출구 결합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집수통의 배출구 제2실시예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집수통의 배출구 제3실시예도.
도 7a,7b는 본 고안에 따른 집수통의 배출구 제4실시예도.
도 8a,8b는 본 고안에 따른 집수통의 배출구 제5실시예도.
도 9a,9b는 본 고안에 따른 집수통의 배출구 제6실시예도.
도 10a∼10g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집수통의 덮개 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몸체 21 - 배출구멍
25 - 배출구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집수통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집수통은 배출구(25)가 몸체(20) 측면부에서 회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배출구(25)를 몸체(20)에 형성되는 배출구멍(21)과 이에 결합수단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배출관(25)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하수관(P)이 어디에 위치하든 그 연결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가 있다.
몸체(20)에 배출관(25)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결합수단은 여러 실시예를 가질 수 있으므로 이하 그 결합수단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집수통의 배출구 제1실시예도이고, 도 4는 도 3의 집수통 배출구 결합단면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집수통 몸체(30)의 일측면에 배출구멍(31)을 형성하고, 배출구멍(31)의 내경 양측에 복수개의 걸림돌기(32)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와 접하는 배출관(35)의 단부 둘레에는 돌출부(36) 및 돌출부(36) 양측에 걸림돌기(32)가 통과하는 결합홈(37)을 형성하고, 이와 일정간격 떨어진 외경부에는 집수통 몸체(30)면에 밀착되는 지지칼라(39)가 형성된다. 따라서 돌출부(36)와 지지칼라(39)에는 자연적으로 배출구멍(31)의 걸림돌기(32)가 안내되는 안내홈(38)이 형성된다. 여기서 지지칼라(39)는 배출관(35)의 직경을 몸체(30)의 배출구멍(31)보다 크게 하여 그 기능을 대신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집수통은 몸체(30)와 배출관(35)을 각각 별도로 제조한 후 배출관(35)의 결합홈(37)과 몸체의 배출구멍(31)에 형성된 걸림돌기(32)를 일치시켜 삽입시킨 후 회전시키면 배출구멍(31)의 걸림돌기(32)는 배출관(35)의 안내홈(38)에 안내되어 회동되어 결국 도 4와 같이 배출관(35)의 결합홈(37)과 어긋나게 되므로 몸체(30)로부터 배출관(35)은 빠지지 않게 된다. 만일 분리시키고자 한다면 걸림돌기(32)와 결합홈(37)을 일치시킨 후 배출관(35)을 빼면 용이하게 빠진다.
이와 같이 몸체(30)의 배출구멍(31)에 배출관(35)이 결합되면 배출관(35)의 지지칼라(39)는 배출구멍(31)의 둘레면에 밀착되어 지지되므로 배출관(35)은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지지칼라(39)와 배출구멍(31)둘레면 사이에 패킹을 개재시키면 배출관(35)은 유동되지 않으면서 기밀성을 갖는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집수통의 배출구 제2실시예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 3, 도 4의 배출구의 결합수단과 반대의 구조를 갖는다.
즉, 몸체(40)의 배출구멍(41)의 내경 양측에 결합홈(42)을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배출관(45)의 단부 둘레에는 걸림돌기(46)를 형성한다. 그리고 걸림돌기(46)와 집수통 몸체(40)의 두께정도의 후측에는 배출구멍(41)의 둘레면에 밀착되는 지지칼라(49)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배출관(45)을 몸체(40)의 배출구멍(41)에 결합할 때에는 배출관(45) 선단 둘레의 걸림돌기(46)를 몸체(40)의 배출구멍(41)양측의 결합홈(42)에 일치시킨 후 삽입시키고 이어서 회전시키면 걸림돌기(46)가 결합홈(42)과 어긋나게 되어 배출관(45)은 몸체(40)로부터 이탈 되지 않게 된다.이때에도 배출관(45)의 지지칼라(49)는 몸체(40)의 배출구멍(41) 둘레면에 밀착되어 배출관(45)을 지지하며, 그 사이에 패킹을 개재시키면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 더욱더 견고한 결합을 이룰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집수통의 배출구 제3실시예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50)의 배출구멍(51)을 외측으로 연장시킨 연장부(52)를 구성하고, 이 연장부의 둘레에 결합돌기(53)를 복수개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배출관(55)의 선단에는 결합방향으로 형성된 홈의 후측이 직각으로 절곡된 걸림홈(56)을 결합돌기(53)의 두 배로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배출관(55)을 결합할 때는 걸림홈(56)의 입구를 배출구멍(51)의 연장부(52) 둘레의 결합돌기(53)에 일치시킨 후 배출관(56)을 연장부(52)에 밀어 끼운 다음 이를 비틀어 결합돌기(53)가 걸림홈(56)의 꺾인 부분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배출관(55)을 결합하면 몸체(5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배출관(55)을 몸체(50)로부터 이탈 시킬 때에는 결합시의 반대로 회전시킨 후 분리시키면 간단히 분리된다.
배출구의 각도를 변화시키고자 할 때에는 그 각도에 유사한 배출관(55)의 걸림홈(56)을 선택하여 연장부(52)의 걸림돌기(53)에 결합하면 간단히 각도를 조절할 수가 있다. 따라서 배출관(55)의 둘레에 형성된 걸림홈(56)은 여러개 구성할 수도록 배출구의 각도변화를 세밀하게 조절할 수가 있다.
도 7a,7b는 본 고안에 따른 집수통의 배출구 제4실시예도로서,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수통 몸체(60)의 배출구멍(61)을 외부로 돌출 연장시킨 연장부(62)를 형성하고, 연장부(62) 외주면에는 나사산(63)을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배출관(65)의 선단 내주면에는 암나사산(66)을 형성하여 몸체(60)의 배출구멍(61) 연장부(62)에 나사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결합된 배출구의 각도를 변화시킬 때에는 단순히 배출관(65)을 약간의 풀거나 조이는 조작으로 방향을 간편히 조절할 수가 있다.
도 7b의 도시는 도 7a의 배출구와는 반대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몸체(70)의 배출구멍(71)의 연장부(73) 내주면에 암나사산을 형성하고, 배출관(75)은 연장부(72)의 내부에 삽입되는 직경을 가지면서 선단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배출구멍(71)의 연장부(72)에 나사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배출구 또한 도 7a의 배출구와 마찬가지로 배출구의 각도를 변화시킬 때에는 단순히 배출관(75)을 약간의 풀거나 조이는 조작으로 방향을 간편히 조절할 수가 있다.
도 8a,8b는 본 고안에 따른 집수통의 배출구 제5실시예도로서, 배출구를 이루는 배출관(85)의 결합수단은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80)의 배출구멍(81)에 삽입되는 배출관(80)의 선단 둘레에 걸림부(86)를 형성하고, 이와 몸체(80)의 두께 간격정도로 떨어진 곳에 탄성역지편(87)을 적어도 하나이상 형성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배출관(85)의 조립은 집수통의 몸체(80)내부에서 배출관(85)의 후단을 배출구멍(81)으로 삽입시킨다. 이때 탄성역지편(87)이 배출구멍(81)을 지나도록 삽입시키면 탄성역지편(87)이 좁혀진 상태로 삽입되다가 배출구멍(81)을 벗어나면 탄성돌출하여 배출구멍(81)의 전면을 탄력지지하게 되므로 배출관은 몸체(80)로부터 빠지지 않는다. 특히 걸림부(86)가 배출구멍(81) 내측면에 밀착되어 지지되기 때문에 더욱더 견고한 조립을 이룰 수가 있으며, 더 나아가서 걸림부(86)와 배출구멍(81)의 내측면 사이에 패킹을 개재시키면 수밀성을 가지면서 높은 견고성을 가질 수가 있다.
또 배출관(85)이 결합된 배출구의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해서는 단순히 배출관(85)을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기만 하면 쉽게 방향을 바꿀수가 있다.
또한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구의 구조를 도 8a구조와 반대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배수통 몸체(90)의 배출구멍(91)에 형성된 연장부(92) 둘레에 탄성 역지편(94)을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배출관(95)은 연장부(92)의 외부에 끼워지는 직경으로 구성하면서 선단 내주면에 탄성역지편(94)이 삽입되는 걸림홈(96)을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한 배출관(95)의 조립은 배출관(95)의 단부를 단순히 연장부(91)의 외부에 밀어끼우면, 배출관(95)의 선단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홈(96)이 탄성역지편(94)을 타고 넘어가 탄성역지편(94)을 벗어나게 되면 탄성역지편(94)이 펴지면서 걸림홈(96)에 걸려 빠지지 않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회전은 가능하기 때문에 배출구의 방향을 전환시에는 단순히 결합된 배출관(95)을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조작에 의해 간단히 이루어지게 된다.
도 9a,9b는 본 고안에 따른 집수통의 배출구 제6실시예도로서,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부에 지지칼라(104)를 형성하고 둘레에 나사산을 형성한 조립관(103)을 형성하여 집수통 몸체(100)의 내측에서 배출구멍(101)으로 끼워넣고, 외부에서 선단 내주면에 암나사산을 형성한 배출관(105)을 나사체결하여 결합한다. 결합시 수밀성을 위해 몸체(100)의 내벽면과 조립관(103)의 지지칼라(104)사이에 패킹을 개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된 배출구의 방향을 전환할 때에는 배출관(105)을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기만 하면 용이하게 방향을 바꿀수 있다. 그렇지만 나사결합된 배출관(105)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서 나사체결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더 견고한 조립을 위해서는 조립관(104)에 배출관(105)을 결합시키기 이전에 조임너트(106)을 체결하면 조립후 몸체(100)의 배출구멍(101)의 둘레가 조립관(103)의 지지칼라(104)와 조임너트(106)의 사이에 끼어 지지되기 때문에 견고한 조립상태를 이룰 수 있다.
도 9b는 도 9a와 같은 배출구의 조립구조를 반대로 구성한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관(115)의 선단에 외주면에 나사산을 가지면서 몸체(100)의 배출구멍(101)에 끼워지는 삽입부(116)를 형성하고, 그 후측에 지지칼라(117)를 형성하여 삽입부(116)를 몸체(100)의 배출구멍(101)에 끼우고, 집수통 몸체(100)의 내측에는 조임너트(118)을 형성하여 배출구멍(101)에 끼워져 돌출된 배출관(115)의 삽입부(116)에 체결하여 조인다. 이때 지지칼라(117)와 몸체(100) 그리고 조임너트(118)와 몸체(100)사이에 패킹을 개재시키면 기밀하고 견고한 조립을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립된 배출구의 방향을 바꾸어야 할 경우에는 단순히 배출관(115)을 회전시키는 조작에 의해 간단히 방향이 바뀌어진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결합구조의 배수구를 갖는 각 집수통의 내부에는 배출구의 전방에 오물(협잡물)을 걸러내는 스크린(200)이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스크린(200)은 상부 양측단에 타원 또는 직사각 형상의 힌지축(201)이 있고, 힌지축(201)을 지지하는 집수통 몸체의 축수부(203)는 원형 홈상을 이룸과 동시에 힌지축(201)의 단축부의 두께보다 여유를 갖는 개구부(204)가 상측에 형성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축수부(203)를 탄성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구조에 의해 상기 스크린(200)의 힌지축(201)은 단축부를 축수부(203)의 개구부(204)와 나란하게 하여 삽입시킨 후 이를 회전시켜 배출구 전방에 위치하게 하면 결합후에는 장축이 단축방향을 이루기 때문에 이탈되지 않는다.
분리할 때에는 결합시키는 조작과 반대로 조작하여 분리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집수통과 하수관의 위치에 의해 또는 현장의 특이성에 의해 배출구의 방향을 바꾸어야 할 경우에는 단순히 배출관을 회전시키는 조작으로 간단히 해결할 수 있으므로 여러종류의 집수통을 갖출 필요 없이 하나의 집수통으로 각 현장의 조건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다. 이는 또 집수통의 관리와 시공이 용이해지고, 또 그에 따른 작업시간 단축과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집수통의 배출구가 간단한하고 단순한 결합구조를 가져 시공현장에서 방향전환이 필요할 때 신속하게 조립한 후 방향전환하여 시공할 수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9)

  1. 상부가 개구되고 몸체 일측에 배출구를 갖는 집수통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를 몸체의 배출구멍과, 엘보 형상을 가지면서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배출구멍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되는 배출관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배출구를 갖는 집수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배출관(35)의 선단부 둘레에 결합홈(37)을 양측에 형성한 돌출부(36)와 이와 일정간격 떨어진 외경부에 집수통 몸체(30)면에 밀착되는 지지 칼라(39)를 형성하고,
    상기 배출구멍(31)의 내경 양측에는 상기 결합홈(37)로 삽입되어 돌출부(36)에 걸림되는 복수개의 걸림돌기(32)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배출구를 갖는 집수통.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배출구멍(41)의 내경 양측에 결합홈(42)을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배출관(45)의 단부 둘레에는 결합홈(42)에 삽입되는 걸림돌기(46)를 형성하고, 상기 걸림돌기(46)와 몸체(40) 두께정도의 후측에는 몸체의 배출구멍(41)의 둘레면에 밀착되는 지지칼라(49)를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배출구를 갖는 집수통.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몸체의 배출구멍(51)을 외측으로 연장시킨 연장부(52)를 구성하고, 상기 연장부의 둘레에 결합돌기(53)를 복수개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상기 배출관(55)의 선단에는 결합방향으로 형성된 홈의 후측이 직각으로 절곡되어 결합돌기(53)가 걸림되는 걸림홈(56)을 결합돌기(53)의 배수로 형성하여 조립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배출구를 갖는 집수통.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집수통 몸체(60)의 배출구멍(61)을 외부로 돌출 연장시키면서 외주면에 나사산(63)을 형성한 연장부(62)를 구비하고, 이와 대응되는 배출관(65)의 선단 내주면에는 암나사산(66)을 형성하여 상기 연장부(62)에 나사결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배출구를 갖는 집수통.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몸체(80)의 배출구멍(81)에 삽입되는 배출관(80)의 선단 둘레에 걸림부(86)를 형성하고, 이와 몸체(80)의 두께정도의 간격 떨어진 외주면에 탄성역지편(87)을 적어도 하나이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배출구를 갖는 집수통.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선단부에 지지칼라(104)를 형성하고 둘레에 나사산을 형성한 조립관(103)을 형성하여 집수통 몸체(100)의 내측에서 배출구멍(101)으로 끼워넣고, 외부에서 선단 내주면에 암나사산을 형성한 배출관(105)을 나사체결하여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배출구를 갖는 집수통.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배출관(115)의 선단 외주면에 나사산을 가지면서 몸체(100)의 배출구멍(101)에 끼워지는 삽입부(116)를 형성하고, 그 후측에 지지칼라(117)를 형성하여 삽입부(116)를 몸체(100)의 배출구멍(101)에 끼우고, 집수통 몸체(100)의 내측에는 조임너트(118)을 형성하여 배출구멍(101)에 끼워져 돌출된 배출관(115)의 삽입부(116)에 체결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배출구를 갖는 집수통.
  9.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통 내부의 배출구 전방에는 오물을 걸러내는 스크린(200)이 탈착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배출구를 갖는 집수통.
KR20-2002-0032868U 2002-11-04 2002-11-04 가변형 배출구를 갖는 집수통 KR2003063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2868U KR200306387Y1 (ko) 2002-11-04 2002-11-04 가변형 배출구를 갖는 집수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2868U KR200306387Y1 (ko) 2002-11-04 2002-11-04 가변형 배출구를 갖는 집수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6387Y1 true KR200306387Y1 (ko) 2003-03-07

Family

ID=49402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2868U KR200306387Y1 (ko) 2002-11-04 2002-11-04 가변형 배출구를 갖는 집수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638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500B1 (ko) * 2006-04-14 2007-05-16 권혁중 몸통 및 유입, 유출관 높낮이 조절기능을 갖는 집수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500B1 (ko) * 2006-04-14 2007-05-16 권혁중 몸통 및 유입, 유출관 높낮이 조절기능을 갖는 집수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6387Y1 (ko) 가변형 배출구를 갖는 집수통
JP2013104202A (ja) 排水装置の取り付け構造
KR101989187B1 (ko) 루프드레인
KR100953897B1 (ko) 집합건물용 통합배수관
KR101165150B1 (ko) 세면대용 배수관 연결구
KR200322595Y1 (ko) 우오수받이의 유입/출구 위치조정장치
KR200265310Y1 (ko) 오수. 우수 구분 배수트랩
KR100751756B1 (ko) 공동주택의 경사지에 설치되는 하수관의 하수속도저감장치
KR101612384B1 (ko) 처짐방지 각도조절 오수받이
CN2312256Y (zh) 盥洗盆的溢水装置
KR100356546B1 (ko) 배수관 연결장치
KR200163545Y1 (ko) 동파 방지용 밸브관 유니트
EP0992687B1 (de) Ventilgesteuerte Durchflussregelung einer Haushaltspumpe
KR200333348Y1 (ko) 하수 역류방지 및 악취차단장치
KR20190074056A (ko) 배수관 회전조인트
KR200395244Y1 (ko) 오수받이 조립체
KR100522142B1 (ko) 지중 하수관 및 가지관의 결속구조
JP4152667B2 (ja) 排水管継手
KR0116437Y1 (ko) 분리관
KR200488858Y1 (ko) 하수구 빗물받이
CN212294889U (zh) 一种防渗漏潜置地漏管道结构
KR200329809Y1 (ko) 변기용 접속유닛
JP2019090438A (ja) 接続装置及び連結機構
KR200429496Y1 (ko) 높낮이 조절 기능을 갖는 집수통
JP4157643B2 (ja) 不凍水栓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