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5310Y1 - 오수. 우수 구분 배수트랩 - Google Patents

오수. 우수 구분 배수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5310Y1
KR200265310Y1 KR2019980011232U KR19980011232U KR200265310Y1 KR 200265310 Y1 KR200265310 Y1 KR 200265310Y1 KR 2019980011232 U KR2019980011232 U KR 2019980011232U KR 19980011232 U KR19980011232 U KR 19980011232U KR 200265310 Y1 KR200265310 Y1 KR 2002653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pipe
discharge
discharged
rain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12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6016U (ko
Inventor
권태봉
Original Assignee
권태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태봉 filed Critical 권태봉
Priority to KR20199800112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5310Y1/ko
Publication of KR199800560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60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53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5310Y1/ko

Links

Landscapes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베란다 등에 설치되는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공동주택의 옥상으로부터 이어지는 우수배출통로관과 각각의 해당 층에서 배출되는 오수를 구분하여 배출하도록 하는 이중관 구조의 배수관로에 적합하도록 하는 오수. 우수 구분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하수처리시설의 구조를 보면 여름철 우기에 다량으로 내리는 빗물은 별도의 하수관로로 분리하여 배출되도록 하므로서 오염된 하수와 섞이지 않도록 하며 하수의 량을 줄이도록 한 설비 구조로 설치하고 있으며, 종래의 배수트랩은 우수와 각각의 해당 층에서 배출되는 오수를 하나의 관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하거나 별도의 관로를 이중으로 설치하도록 하므로서 하수처리 및 건물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에서는 다층구조의 공동주택에서 상부층과 하부층을 상호 연결하여 오수 및 우수를 배출하도록 함과 아울러, 각각의 해당 층에서 배출되는 오수를 모아 배출되도록 하는 다층 공동주택용 배수전으로서 외측의 배수전(200)과 상기 배수전의 내부에 내부결합부재(100)가 삽입 설치되도록 하며, 상기 내부결합부재(100)는 우수관(300)과 오수관(400)을 동심원적으로 결합 설치하여 각 해당 층의 오수를 용이하게 모아 배출하도록 하되 수시로 배출되는 오수에 의한 소음방지기능을 갖도록 오수관(400)이 내부에 설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오수. 우수 구분 배수트랩
본 고안은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베란다 등에 설치되는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공동주택의 옥상으로부터 이어지는 우수배출통로관과 각각의 해당 층에서 배출되는 오수를 구분하여 배출하도록 하는 이중관 구조의 배수관로에 적합하도록 하는 오수. 우수 구분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하수처리시설의 구조를 보면 여름철 우기에 다량으로 내리는 빗물은 별도의 하수관로로 구분하여 배출되도록 하므로서 오염된 하수와 섞이지 않도록 하며 하수의 량을 줄이도록 한 설비 구조로 설치하고 있다.
비교적 깨끗한 빗물과 일반 하 오수를 하나의 통로로 배출하도록 할 경우 오수와 우수가 섞이게 되므로 이와 같이 섞인 하수가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될 경우 하수처리용량만 늘리는 결과가 되므로 가능하면 분리 배출하도록 해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배수트랩은 우수와 각각의 해당 층에서 배출되는 오수를 하나의 관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하거나 별도의 관로를 이중으로 설치하도록 하므로서 하수처리 및 건물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하나의 관형태로서 내부에는 우수관이 위치하고, 외부에는 오수관이 위치하는 구조의 배수트랩이 적용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소음을 유발하는 오수관이 외측에 위치하므로 수시로 발생되는 오수의 배출시 소음발생으로 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에서는 상부층과 하부층 간을 연결하는 배수관을 오수배출관과 우수배출관을 각각 이중으로 설치하되 상기 우수배출관 내에 오수배출관이 동심원적으로 설치하여 각각 오수와 우수 배출관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하되 소음의 발생을 극소화하도록 한 오수. 우수 구분 배수트랩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내부 구조를 보인 A - 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배수트랩 외통에 삽입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
(상부커버는 제거한 상태임.)
도 5는 본 고안 설치에 의한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내부 구조를 보인 A - A'선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배수트랩 외통에 삽입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
(상부커버는 제거한 상태임.)
도 10은 본 고안 설치에 의한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내부결합부재 110: 우수배출통로
111: 와류형성날개 120: 오수배출통로
121: 오수배출관 연결단턱부 130: 오수받이
131: 오수배출연결통로 132: 경사면
133: 오수유입구 134: 밀착패킹
200: 배수전 300: 우수관
400: 오수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다층구조의 공동주택에서 상부층과 하부층을 상호 연결하여 오수 및 우수를 배출하도록 함과 아울러, 각각의 해당층에서 배출되는 오수를 모아 배출되도록 하는 다층 공동주택용 배수전으로서 외측의 배수전(200)과 상기 배수전의 내부에 내부결합부재(100)가 삽입 설치되도록 하며, 상기 내부결합부재(100)는 우수관(300)과 오수관(400)을 동심원적으로 결합 설치되도록 하되 상기 오수관(400)이 우수관(300)의 내측에 설치되도록 하고, 각 해당 층의 오수를 용이하게 모아 배출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 내부결합부재(100)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평면도이며, 도 3은 상기 도 2의 A - A'선 단면도이다.
상기 내부결합부재(100)의 외측에는 우수관(300)을 연결하여 배수되도록 하되 와류형성을 위한 다수의 와류형성날개(111)가 구비된 우수배출통로(110)가 형성되고, 상기 우수배출통로(110)의 내측 중앙부에는 동심원상으로 상기 우수관(300)과 구분되어 분리 배출될 수 있도록 오수배출관(400)을 연결하는 오수배출통로(120)가 동심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일 측에는 상기 오수배출통로(120)를 통하여 각각의 해당층 오수를 모아 배출하도록 오수배출연결통로(131)에 의해 연결되는 오수받이(13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부결합부재(100)의 우수배출통로(110)를 가로질러 오수배출통로(120)에 연결되는 오수배출연결통로(131)의 상측 외면은 상부로부터 낙하되는 우수의 마찰을 극소화하기 위하여 경사면(132)으로 형성한다.
도 4는 배수전(200) 본체에 내부결합부재(100)를 삽입 설치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설치 사용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상기 내부결합부재(100)는 각 층의 베란다 바닥 면에 고정 설치되는 배수전(200)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며, 상부에는 통상의 배수트랩상부커버(500)가 설치된다.
상기 배수트랩상부커버(500)에 상부층의 우수관(300)이 별도의 조임부재(510)에 의해 조여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오수받이(130)의 내측에는 별도의 밸브장치가 구비된 악취차단밸브(520)가 삽입 설치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220은 배수전(200)의 최초 설치시 위치선정 및 고정기능을 하는 고정부재로서 배수전(200)의 저면이 끼워 결합되는 것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오수배출통로(120)에 연결되는 상기 해당 층의 오수를 모아 배출하도록 하는 오수받이부(130)를 제거하여 곧바로 배수전의 바닥에 오수가 모아지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오수받이부(130)가 제거된 대신 오수 유입구(133)외측면에 누수방지용 밀착패킹(134)이 부가 설치되어 누수됨을 방지하고 배수전(200)의 바닥으로 부터 직접 오수배출통로(120)에 유입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배수전(200)의 내부에는 상기 유입구(133)가 끼워 맞춤되도록 격벽(2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격벽(210)과 유입구(133)의 사이에 밀착패킹(134)이 삽입 설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시공시 각층의 바닥면에 설치된 배수전(200)의 내부에 내부결합부재(100)를 삽입한 다음 배수트랩상부커버(500)를 씌우고 내부에 오수관(400)이 삽입된 우수관(300)의 상부를 상부층의 저면 결합부에 각각 삽입하고 나서 내부의 오수관(400)을 약간 들어올려 해당 층의 오수배출관 연결단턱부(121)에 맞추어 오수관(400)의 하부를 삽입하고 나서 외측의 우수관(300)을 결합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부층으로 부터 유입되는 오수와 우수를 각각 분리하여 배출하도록 하되 구경이 큰 우수관(300)의 내부에 구경이 작은 오수관(400)을 삽입하여 설치하므로서 외관상 하나의 관만이 설치된 것으로 하여 공간활용이 용이하며, 특히 우수관의 내부에 오수관을 삽입 설치하므로서 소음의 주 원인인 오수의 배출시 하부층에 소음차단기능을 갖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외형상 하나의 관에 의해 상부층으로 부터의 오수와 우수를 분리하여 배출하도록 하며, 특히 상부층에서 수시로 배출되는 오수를 내부관으로 하여 배출하도록 하므로서 하부층에 소음발생을 극소화하여 주게 되며, 아울러 설치 시공시에도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므로서 작업공정을 간편하게 하는 것으로 매우 유용한 기술인 것이다.

Claims (3)

  1. 다층구조의 공동주택에서 상부층과 하부층을 상호 연결하여 오수 및 우수를 배출하도록 함과 아울러, 각각의 해당 층에서 배출되는 오수를 모아 배출되도록 하는 다층 공동주택용 배수전에 있어서,
    상기 배수전(200)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내부결합부재(100)로서
    외측에는 우수관(300)을 연결하여 배수되도록 하되 와류형성을 위한 다수의 와류형성날개(111)가 구비된 우수배출통로(110)와;
    상기 우수배출통로(110)의 내측 중앙부에는 동심원상으로 상기 우수관(300)과 구분되어 분리 배출될 수 있도록 오수배출관(400)을 연결하는 오수배출통로(120)와;
    상기 오수배출통로(120)를 통하여 각각의 해당 층 오수를 모아 배출하도록 오수배출연결통로(131)에 의해 연결되는 오수받이(130)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우수 구분 배수트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결합부재(100)의 오수배출통로(120)에 연결되는 오수배출연결통로(131)의 상측 외면은 상부로부터 낙하되는 우수의 마찰을 극소화하기 위하여 경사면(132)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우수 구분 배수트랩.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전(200)의 바닥에는 격벽(210)이 설치되며, 상기 오수배출통로(120)에 연결되는 상기 해당 층의 오수를 모아 배출하도록 하는 오수받이부(130)는 제거되고 오수 유입구(133)외측 면에 누수방지용 밀착패킹(134)이 부가 설치되어 배수전(200)의 바닥으로부터 직접 오수배출통로(120)에 유입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우수 구분 배수트랩.
KR2019980011232U 1998-06-26 1998-06-26 오수. 우수 구분 배수트랩 KR2002653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1232U KR200265310Y1 (ko) 1998-06-26 1998-06-26 오수. 우수 구분 배수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1232U KR200265310Y1 (ko) 1998-06-26 1998-06-26 오수. 우수 구분 배수트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6016U KR19980056016U (ko) 1998-10-07
KR200265310Y1 true KR200265310Y1 (ko) 2002-04-13

Family

ID=69509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1232U KR200265310Y1 (ko) 1998-06-26 1998-06-26 오수. 우수 구분 배수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531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3246A (ko) * 2002-11-16 2004-05-24 김갑진 아파트의 각 세대에 설치되는 화단용 배수트랩과 발코니용배수트랩을 하나의 배수라인으로 연결 되도록 한 배수트랩
KR100528028B1 (ko) * 2005-04-11 2005-11-15 박선영 오폐수와 우수의 분리배출 구조를 갖는 배수조
KR20160012475A (ko) * 2014-07-24 2016-02-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드레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1391B1 (ko) * 2021-01-22 2021-07-01 삼성물산 주식회사 배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와류 형성 루프 드레인과 와류 형성 낙하용 배관을 가지는 배수구조
CN116495946B (zh) * 2023-06-27 2023-10-13 珠江水利委员会珠江水利科学研究院 一种用于城市雨污水截污调蓄和清淤综合处理方法及系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3246A (ko) * 2002-11-16 2004-05-24 김갑진 아파트의 각 세대에 설치되는 화단용 배수트랩과 발코니용배수트랩을 하나의 배수라인으로 연결 되도록 한 배수트랩
KR100528028B1 (ko) * 2005-04-11 2005-11-15 박선영 오폐수와 우수의 분리배출 구조를 갖는 배수조
KR20160012475A (ko) * 2014-07-24 2016-02-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드레인 시스템
KR101690976B1 (ko) * 2014-07-24 2016-12-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드레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6016U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8651B1 (ko) 오수받이 장치
KR200265310Y1 (ko) 오수. 우수 구분 배수트랩
KR100658160B1 (ko) 공동주택 베란다의 배수구조
KR100842368B1 (ko) 통합형 우수겸용 오수받이
KR200417636Y1 (ko) 배수트랩의 악취유입 방지구조
KR100740525B1 (ko) 오수받이 장치
KR20120076006A (ko) 통합 이중관 및 그를 적용한 통합 배수관 시공방법
KR101194420B1 (ko) 공동주택의 배수구 악취 제한용 하수관 구조물
KR200171769Y1 (ko) 배수트랩
KR200163726Y1 (ko) 건물의 하수역류방지 및 통기용 배관구조
KR200204329Y1 (ko) 배수트랩
KR200265573Y1 (ko) 배수트랩
KR100478013B1 (ko) 높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배수유입관
KR200289780Y1 (ko) 배수트랩
KR200204330Y1 (ko) 배수트랩
KR200295258Y1 (ko) 배수트랩
KR200333410Y1 (ko) 빗물 오수 겸용받이
KR200395195Y1 (ko) 배수트랩용 종단관의 개선구조
KR100648962B1 (ko) 트랩 일체형 우수받이
JPS6016692Y2 (ja) 洗面器配管ユニツト
KR200305922Y1 (ko) 배수배관용 연결 플로어
KR930004979Y1 (ko) 배수전
KR100356537B1 (ko) 배수관 조립체
KR19990022650U (ko) 하수역류방지및악취차단장치
KR200334316Y1 (ko) 트랩 일체형 우수받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7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